KR20020074078A - 코어 - Google Patents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4078A
KR20020074078A KR1020020013393A KR20020013393A KR20020074078A KR 20020074078 A KR20020074078 A KR 20020074078A KR 1020020013393 A KR1020020013393 A KR 1020020013393A KR 20020013393 A KR20020013393 A KR 20020013393A KR 20020074078 A KR20020074078 A KR 20020074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end surface
core member
magnetic po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8980B1 (ko
Inventor
미야께노부아끼
나까하라유지
아끼따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alient poles or claw-shaped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어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일측에 자극 티스(11a)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제1 단부면(11d)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제1 단부면(11d)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11f)이 형성된 복수의 판형의 코어편(11)을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12)와, 각 코어편(11)이 제1 코어 부재(1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13)를 각 코어편(11)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연결 수단을 거쳐서 각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14)에 있어서, 각 코어편(11)의 제2 단부면(11f)의 코어(14)의 외측 각부에 절결부(11e)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코어{Core}
본 발명은 복수의 코어편이 연결부를 거쳐서 접합되는 띠형의 코어 부재를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모서리부끼리가 서로 겹치도록 적층하고, 연결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환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코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코어편의 단부면의 형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코어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2000-201458호 공보 등에서 개시되어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9는 종래의 코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도9에 있어서의 코어를 직선형으로 변형하여 그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종래의 코어에 권선을 실시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코어편(31)으로, 일측에 자극 티스(1a)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 표리면에 연결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b) 및 볼록부(1c)가 형성되고, 그 제1 단부면(1d)은 이들 오목부, 볼록부(1b, 1c)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1)의 제1 단부면(1d)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1e)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2는 복수의 코어편(1)이 각 단부면(1d, 1e)을 거쳐서 배열된 제1 코어 부재이다.
부호 3은 각 코어편(1)이 제1 코어 부재(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 제2 코어 부재로, 제1 코어 부재(2)와 교대로 적층되고,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1b, 1c)가 끼움 맞추어짐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호 4는 적층된 양 코어 부재(2, 3)의 각 코어편(1)의 오목부, 볼록부(1b, 1c)를 회전시킴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 코어이며, 오목부, 볼록부(1b, 1c)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각 코어편(1)의 단부끼리는 서로 다르게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종래의 코어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코어 부재(2, 3)를 직선 상태로 변형시켜, 각 자극 티스(1a)에 권선(도시하지 않음)을 실시함으로써 권선 작업의 용이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양 코어 부재(2, 3)를 직선 상태로 해도, 충분한 권취 공간을 얻는 것이 곤란하므로, 노즐에 의한 권취밖에 할 수 없다.
그리고, 노즐에 의한 권취 작업을 행한 경우,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5)의 토출구의 내경측 코너부(도면 중 A로 도시함)의 곡률 반경이 작으므로, 노즐(5)의 이동 위치에 의해, 예를 들어 마그넷 와이어(6)가 도면 중 실선 및 파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마그넷 와이어(6)와 코너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달라, 마그넷 와이어(6)에 가해지는 장력이 변동하므로 정렬하여 권취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마그넷 와이어(6)의 직경이 두꺼운 경우에는 왜곡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플라이어에 의한 권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의 코어편을 반대로 휘게 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를 프레스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의 코어편을 반대로 휘게 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제1 단부면측의 상세도, (c)는 제2 단부면측의 상세도.
도9는 종래의 코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도9에 있어서의 코어를 직선형으로 변형하여 그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종래의 코어에 권선을 실시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 코어편
11a, 21a, 31a, 41a : 자극 티스
11b, 21b, 31b, 41b : 오목부
11c, 21c, 31c, 41c : 볼록부
11d, 21d, 31d, 41d : 제1 단부면
11e, 21f, 21g, 31f, 31g, 41f, 41i : 절결부
11f, 21e, 31e, 41e : 제2 단부면
11g, 21h, 31i : 구멍부
31h, 41g : 제2 절결부
41h : 면
12, 22, 32, 42 : 제1 코어 부재
13, 23, 33, 43 : 제2 코어 부재
14 : 코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코어는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코어편은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코어편을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와, 코어편이 제1 코어 부재와는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제2 단부면의 코어의 외측 각부에 절결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코어는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코어편은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코어편을 상기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부재와, 코어편이 상기 제1 코어 부재와는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각 코어편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각 코어편의 제1 및 제2 단부면의 코어 외측의 각 각부에 절결부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코어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절결부가 형성된 부위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코어편의 부위를 상기 절결부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의 코어편을 반대로 휘게 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를 프레스 펀칭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코어편으로, 일측에 자극 티스(11a)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 표리면에 연결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1b) 및 볼록부(11c)가 형성되고, 그 제1 단부면(11d)은 이들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11)의 제1 단부면(11d)과 끼워 맞춤 가능하며, 또한 자극 티스(11a)와 다른 측의 각부에 절결부(11e)를 갖는 제2 단부면(11f)이 형성되고, 이 코어편(11)의 중앙부에는 구멍부(11g)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2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복수의 코어편(11)을 각 단부면(11d, 11f)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된 제1 코어 부재이다.
부호 13은 코어편(11)이 제1 코어 부재(1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 제2 코어 부재로, 제1 코어 부재(12)와 교대로 적층되고,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1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11d, 11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호 14는 적층된 양 제1 및 제2 코어 부재(12, 13)의 각 코어편(11)의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회전시킴으로써 환형으로 형성된 코어이며,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거쳐서 서로 대향하는 각 코어편(11)의 단부끼리는 서로 다르게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14)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은 자극 티스(21a)의 3개분에 대해 행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도4에 화살표 A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제1 코어 부재(12)를 가공하는 제1 단계로서, 도시하지 않은 전단계에서 미리 도면 중 해칭으로 나타낸 부분을 프레스 펀칭함으로써, 자극 티스(11a)의 주변부 및 절결부(11e), 구멍부(11g)가 형성된 부분에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제1 단부면(11d) 및 제2 단부면(11f)을 형성한다.
또, 화살표 B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는 제2 코어 부재(13)를 가공하는 제1단계로서, 상기 제1 코어 부재(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전단계에서 미리 도면 중 해칭으로 표시한 부분을 프레스 펀칭함으로써, 자극 티스(11a)의 주변부 및 절결부(11e), 구멍부(11g)가 형성된 부분에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제1 단부면(11d) 및 제2 단부면(11f)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도4에 화살표 C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낸 위치에서 코어편(11)의 제1 단부면(11d)이 형성된 측의 단부의 표리면에 프레스 펀칭에 의해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화살표 B로 나타낸 위치에서 코어편(11)의 제1 단부면(11d)이 형성된 측의 단부의 표리면에 프레스 펀칭에 의해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4에 화살표 D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화살표 A, C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가공된 부분과, 화살표 B, C로 나타낸 위치에 있어서 가공된 부분을 차례로 교대로 도면 중 해칭으로 표시한 부분을 프레스 펀칭함으로써, 제1 및 제2 코어 부재(12, 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들 양 코어 부재(12, 13)는 금형 내에서 차례로 적층되고, 각 코어편(11)의 적층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11b) 및 볼록부(11c)를 끼워 맞추게 하는 동시에, 펀칭 코오킹이 이루어져 일체화된 후, 끼워 맞추어진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회전시킴으로써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로 휘게 한 상태에서, 양 코어 부재(12, 13)의 각 코어편(11)에 권선(도시하지 않음)이 실시되고, 그 후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코어(14)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코어편(11)의 제2 단부면(11f)의 자극 티스(11a)와는 다른 측의 각부에 절결부(11e)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오목부, 볼록부(11b, 11c)를 회전시킴으로써, 도2에 도시한 직선 상태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 즉 역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플라이어에 의한 권취 작업이 가능해져 노즐에 의한 권취시에 발생하는 장력의 변동 등이 일어날 우려도 없어지므로, 권선의 정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각 코어편(11)에 구멍부(11g)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구멍부(11g)에 권선시에 있어서의 코어편(11)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핀 등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코어 부재의 코어편을 반대로 휘게 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21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코어편으로, 일측에 자극 티스(21a)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 표리면에 연결 수단으로서의 오목부(21b) 및 볼록부(21c)가 형성되고, 그 제1 단부면(21d)은 이들 오목부, 볼록부(21b, 21c)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21)의 제1 단부면(21d)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2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 단부면(21d, 21e)의 자극 티스(21a)와 다른 측의 각부에는 각각 절결부(21f, 21g)가 형성되고, 또한 코어편(11)의 중앙부에는 구멍부(21h)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22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복수의 코어편(21)을 각 단부면(21d, 21e)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된 제1 코어 부재, 부호 23은 각 코어편(21)이 제1 코어 부재(2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 제2 코어 부재로, 제1 코어 부재(22)와 교대로 적층 일체화되고,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2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21b, 21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절결부(21f, 21g)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부위도 각 절결부(21f, 21g)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되어(도5 중 화살표 A로 표시함)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코어편(21)의 제1 및 제2 단부면(21d, 21e)의 자극 티스(21a)와는 다른 측의 각부에 각각 절결부(21f, 21g)를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양 코어편(21)의 한 쪽의 제1 단부면(21d)과, 다른 쪽의 제2 단부면(21e)을 서로 대향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편(21)을 반대로 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조립 작업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양 절결부(21f, 21g)가 형성된 부위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코어편(21)의 부위도 각 절결부(21f, 21g)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으므로, 반대로 휨이 더욱 용이해져, 그만큼 절결부(21f, 21g)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으므로, 절결부(21f, 21g)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자로가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자기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서술하지 않았지만,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절결부(11e)가 형성된 부위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코어편(11)의 부위도 절결부(11)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3 실시 형태>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의 코어 부재를 직선형으로 배치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31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코어편으로, 일측에 자극 티스(31a)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 표리면에 연결 수단으로서의 오목부(31b) 및 볼록부(31c)가 형성되고, 그 제1 단부면(31d)은 이들 오목부, 볼록부(31b, 31c)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의 제1 단부면(31d)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3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 단부면(31d, 31e)의 자극 티스(31a)와 다른 측의 각부에는 각각 절결부(31f, 31g)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면(31d)측에는 절결부(31f)와의 사이에 자극 티스(31a)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결부(31h)가 형성되고, 또한 코어편(11)의 중앙부에는 구멍부(31i)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32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복수의 코어편(31)을 각 단부면(31d, 31e)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된 제1 코어 부재, 부호 33은 각 코어편(31)이 제1 코어 부재(3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 제2 코어 부재로, 제1 코어부재(32)와 교대로 적층 일체화되고,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32b, 31c)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절결부(31h)는 이 상태에서 양 절결부(31f, 31g) 사이로 이어져 선저(船底)형(도7 중 화살표 A로 표시함)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코어편(31)의 제1 단부면(31d)과 절결부(31f) 사이에 자극 티스(31a)와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결부(31h)를 형성하고, 이 제2 절결부(31h)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양 코어편(31)의 한 쪽 제1 단부면(31d)의 절결부(31f)와, 다른 쪽의 제2 단부면(31e)의 절결부(31e) 사이로 이어지게 하여 선저형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절결부(11e),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양 절결부(21f, 21g)의 경우와 비교하여 절결부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부분을 펀칭하는 금형의 단면적도 크게 취할 수 있어 금형의 강도 향상, 나아가서는 긴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 형태>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어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제1 단부면측의 상세도, (c)는 제2 단부면측의 상세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인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부호 41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형의 코어편으로, 일측에 자극 티스(41a)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 표리면에 연결 수단으로서의 오목부(41b) 및 볼록부(41c)가 형성되고, 그 제1 단부면(41d)은 이들 오목부, 볼록부(41b, 41c)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의 제2 단부면(31e)과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의 제1 단부면(31d)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부면(41d)의 자극 티스(41a)와 다른 측의 각부에는 코어편(31)의 절결부(31f) 및 제2 절결부(31h)와 마찬가지인 절결부(41f) 및 제2 절결부(41g)가 형성되고, 제2 단부면(41e)의 자극 티스(41a)와 다른 측의 각부에는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의 제2 절결부(31h)와 동일면에 형성된 면(41h)을 거쳐서 코어편(31)의 절결부(31g)와 마찬가지인 절결부(41i)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42는 복수의 코어편(31)이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코어편(41)을 이음매로 배치하여 각 단부면(31d, 31e, 41d, 41e)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된 제1 코어 부재이다.
부호 43은 각 코어편(31, 41)이 제1 코어 부재(42)와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배열된 제2 코어 부재로, 제1 코어 부재(42)와 교대로 적층 일체화되고,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31b, 31c) 및 코어편(31)과 코어편(41)끼리의 오목부, 볼록부(31b, 41b, 31c, 41c)가 각각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절결부(31g, 41g, 41f)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부위도 각 절결부(31g, 41g, 41f)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되고(도8 중 화살표 A로 표시함), 또한 절결부(41i, 31h, 31f)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부위도 각 절결부(41i, 31h, 31f)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되어(도8 중 화살표 B로 표시함)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음매로 배치되는 코어편(41)의 제2 단부면(41e)의 자극 티스(41a)와는 다른 측의 각부에, 서로 인접하는 코어편(31)의 제2 절결부(31h)와 동일면의 면(41h)을 거쳐서 절결부(41i)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2 단부면(41e)의 각부에 직접 절결부(41i)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음매를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할 때의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해져 조립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코어편은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코어편을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와, 코어편이 상기 제1 코어 부재와는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각 코어편의 제2 단부면의 코어의 외측 각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플라이어에 의한 권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코어편은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코어편을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편이 상기 제1 코어 부재와는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각 코어편의 제1 및 제2 단부면의 코어 외측의 각 각부에 절결부를 각각 형성하였으므로, 플라이어에 의한 권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절결부가 형성된 부위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코어편의 부위를 상기 절결부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하도록 하였으므로, 자기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편은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편을 상기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편이 상기 제1 코어 부재와는 상기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제2 단부면의 상기 코어의 외측 각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2. 복수의 코어편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편은 상기 연결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자극 티스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부 중 어느 한 일단부측에 연결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일단부측의 제1 단부면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타단부측에는 서로 인접하였으나 상기 제1 단부면과 끼워 맞춤 가능한 제2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코어편을 상기 양 단부면을 거쳐서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1 코어 부재와, 상기 코어편이 상기 제1 코어 부재와는 상기 연결 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띠형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2 코어 부재를 상기 각 코어편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겹치도록 적층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끼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자극 티스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환형으로 형성한 코어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편의 제1 및 제2 단부면의 상기 코어 외측의 각 각부에 절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가 형성된 부위와 적층 방향에 대응하는 각 코어편의 부위가 상기 절결부와 동일한 투영 단면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KR10-2002-0013393A 2001-03-15 2002-03-13 코어 KR100468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3214 2001-03-15
JP2001073214A JP3749444B2 (ja) 2001-03-15 2001-03-15 コ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078A true KR20020074078A (ko) 2002-09-28
KR100468980B1 KR100468980B1 (ko) 2005-02-02

Family

ID=1893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393A KR100468980B1 (ko) 2001-03-15 2002-03-13 코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46535B2 (ko)
EP (1) EP1241769B1 (ko)
JP (1) JP3749444B2 (ko)
KR (1) KR100468980B1 (ko)
CN (1) CN1210857C (ko)
TW (1) TW5563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057A (ko) * 2011-10-06 2014-03-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753A (ja) * 2000-12-07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固定子
DE10203709A1 (de) * 2001-02-02 2002-10-02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zur Kernlamellierung in einem Motor und deren Lamellierungsbauweise
JP4305649B2 (ja) * 2003-02-26 2009-07-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電動機
KR100585801B1 (ko) * 2004-01-27 2006-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치형 스파이럴 고정자 코어
JP4725721B2 (ja) * 2005-01-24 2011-07-1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JP4816879B2 (ja) * 2005-06-30 2011-11-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JP2007068324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Densan Corp 電機子およびこの電機子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228720A (ja) * 2006-02-23 2007-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
KR100783413B1 (ko) * 2006-09-18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모터의 고정자 적층구조
JP2009044880A (ja) * 2007-08-09 2009-02-26 Jtekt Corp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37159B2 (ja) * 2007-11-12 2011-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コア
GB2475732B (en) * 2009-11-27 2013-05-29 Protean Electric Ltd Coil tooth assembly
JP5192531B2 (ja) * 2010-10-29 2013-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JP5815336B2 (ja) * 2011-09-01 2015-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積層鉄心、及び回転電機の積層鉄心の製造方法
US9099897B2 (en) 2011-09-13 2015-08-04 L.H.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end sections of an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WO2013051125A1 (ja) * 2011-10-06 201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積層鉄心
CN106233577B (zh) * 2014-04-16 2018-11-02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的电枢铁芯
CN104993622B (zh) * 2015-06-12 2018-04-10 宁波震裕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定子铁芯及形成该定子铁芯的带状层叠体
JP6067078B1 (ja) * 2015-09-09 2017-01-2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サーボプレス機械、及びそれに用いるモータ、及びモータ組み付け取り外し方法
CN106571727A (zh) * 2015-10-12 2017-04-19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一种两相步进电机
CN111602317B (zh) * 2018-01-24 2022-05-24 三菱电机株式会社 定子以及电动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8605A (en) * 1976-04-05 1977-09-13 Sangamo Electric Company Split core current transformer having an interleaved joint and hinge structure
JP2888142B2 (ja) * 1993-11-08 1999-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動機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430521B2 (ja) * 1992-09-24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3355700B2 (ja) * 1993-06-14 2002-1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3017085B2 (ja) * 1995-11-02 2000-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8364B2 (ja) * 1996-09-30 2004-09-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コア
JPH10145991A (ja) * 1996-11-07 1998-05-29 Shibaura Eng Works Co Ltd モータの固定子およびモータフレーム
EP0871282A1 (en) * 1997-04-11 1998-10-14 Kabushiki Kaisha Toshiba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567305B2 (ja) * 1998-03-12 2004-09-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積層用鉄心素材
JP3279279B2 (ja) * 1998-06-30 2002-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鉄心装置
JP3379461B2 (ja) * 1998-08-06 2003-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ア部材の積層金型装置、コア部材の積層方法および電動機
JP3103343B2 (ja) * 1998-12-30 2000-10-30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固定子用積層磁極鉄心の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用いる金型装置
JP3604946B2 (ja) * 1999-04-01 2004-12-2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分割形ステータコ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057A (ko) * 2011-10-06 2014-03-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US9825512B2 (en) 2011-10-06 2017-11-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aminated cor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1769A3 (en) 2004-02-18
JP3749444B2 (ja) 2006-03-01
CN1387294A (zh) 2002-12-25
KR100468980B1 (ko) 2005-02-02
JP2002272027A (ja) 2002-09-20
EP1241769B1 (en) 2012-10-24
US6646535B2 (en) 2003-11-11
CN1210857C (zh) 2005-07-13
US20020130750A1 (en) 2002-09-19
TW556387B (en) 2003-10-01
EP1241769A2 (en)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980B1 (ko) 코어
EP2026448B1 (en) Split co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stator core
EP0969581B1 (en) Iron cor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993552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re for motor
JP4579775B2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及びステータ
US7414348B2 (en) Armature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JP2006288096A (ja) 固定子鉄心とその製造方法
JPH08196061A (ja) 固定子用積層鉄心
JP5212129B2 (ja) 積層コア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治具
CN111418131B (zh) 定子铁心
US11411447B2 (en) Axial gap motor
WO2009093524A1 (ja) 回転子積層鉄心
JP2007228720A (ja) コア
JP3379461B2 (ja) コア部材の積層金型装置、コア部材の積層方法および電動機
JP2001339881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39673B2 (ja) 積層鉄心
JP2007060877A (ja) 環状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0998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03164080A (ja) 回転電機の電機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2205B2 (ja) 固定子、及び、電動機
JP2002118992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6305A (ja) 積層鉄心
JP2010213496A (ja) ステータおよびモータ
TW201724704A (zh) 鐵心裝置以及其製造方法
JP2009124789A (ja) ステータコ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