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057A -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 Google Patents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057A
KR20140039057A KR1020147001519A KR20147001519A KR20140039057A KR 20140039057 A KR20140039057 A KR 20140039057A KR 1020147001519 A KR1020147001519 A KR 1020147001519A KR 20147001519 A KR20147001519 A KR 20147001519A KR 20140039057 A KR20140039057 A KR 2014003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core
laminated iron
iron cor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963B1 (ko
Inventor
다이스케 시조
히로유키 아키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alient poles or claw-shaped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은, 백 요크부와 상기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자극 티스부로 구성되는 분할된 복수의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여 타발하고, 다이컷 코킹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철심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상기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자극 티스부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LAMINATED CORE MANUFACTURING METHOD AND LAMINATED CORE MANUFACTURED USING SAME}
본 발명은 회전 전기의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코어편이 연결된 적층 철심에 있어서의 생산성의 개선, 재료 수율의 향상에 부가하여, 적층 철심의 특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층 철심으로서는, 백 요크부와,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자극 티스부와, 백 요크부 단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와, 백 요크부 단부의 타단부에 마련된 원호 형상의 오목 형상부와,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에 마련된 회전축부를 구비한 코어편을, 인접하는 코어편의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와 원호 형상의 오목 형상부가 끼워 맞춤 접촉하도록 순차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코어 부재와, 코어편을 제 1 코어 부재와는 배열 방향이 다르도록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와 원호 형상의 오목 형상부가 끼워 맞춤 접촉하여 순차 배열된 제 2 코어 부재가 교대로 적층 연결되어 있으며, 코어편이 적층된 적층 철심이 서로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16074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접하는 코어편의 원호 형상의 볼록 형상부와 원호 형상의 오목 형상부의 끼워 맞춤 접촉부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71725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형 내에서 타발과 절곡 가공(lancing)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16074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71725 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적층 철심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코어편의 끼워 맞춤 접촉 부를 절곡 가공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절곡 가공의 휨 지점에 상당하는 부위에 뒤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층 철심의 형상 정밀도의 악화나 적층 철심의 부분적인 자기 뒤틀림에 의해, 회전 전기의 효율 저하나 토크 맥동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도 1에는,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여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적층 철심의 재료 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의 공정 A 또는 공정 B와 같은 인접하는 코어편의 백 요크부 단부를 형성하는 간극과 그 부근의 백 요크부의 내외 주변부를 일체로 타발하는 펀치를 정밀도 양호하게 제작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해당 펀치는 상기 간극과 내외 주변부를 타발하는 개소가 불연속하게 연결된 형상이기 때문에, 해당 연결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펀치의 내구성이 저하하여, 적층 철심의 양산이 곤란한 금형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양산성이 뛰어나고 또한 수율이 높은 프레스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코어편의 가공 뒤틀림을 저감하여 효율이나 토크 맥동 등의 특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은, 백 요크부와 상기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자극 티스부로 구성되는 분할된 복수의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여 타발하고, 다이 컷 코킹(die-cut caulking)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철심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상기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자극 티스부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제 3 공정에 의해 타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절곡 공법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 가공이 가능해지므로, 가공 뒤틀림이 저감하여, 효율이나 토크 맥동 등의 특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를 타발하는 공정을,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상기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으로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펀치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펀치의 내구성이 향상하여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코어편을 금속 시트에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료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전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의 프레스 가공 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의 프레스 가공 공정도를 도시하는 평면도.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회전 전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의 프레스 가공 후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적층 철심의 프레스 가공 공정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1은 회전 전기이며, 적층 철심(3)에 인슐레이터(4)를 거쳐서 구동 코일(5)이 권회된 스테이터(2)와, 스테이터(2)의 내주측에 배치되며 영구 자석(7)을 갖는 로터(6)와, 스테이터(2)와, 로터(6)를 보지하는 하우징(8)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철심(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9개의 코어 블록(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블록(1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철심(3)의 원환상의 계철부를 형성하는 백 요크부(13)와, 백 요크부(13)로부터 내주측으로 돌출한 구동 코일(5)이 권회되는 자극 티스부(14)와, 인접하는 코어 블록(12)을 연결하는 백 요크부(13)의 단부의 일단부에 마련된 회전축부(15)와, 외주측 노치부(19)로 구성되며, 인접하는 코어 블록(12)이 서로 회전축부(1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적층 철심(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자극 티스부(14)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전자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 요크부(13)의 일단에 대략 볼록 형상부(17), 타단에 대략 오목 형상부(18), 대략 볼록 형상부(17) 및 대략 오목 형상부(18)의 외주측에 마련된 외주측 노치부(19)를 갖는 코어편(16)을,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피치로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가 대향하도록 순차 배열된 제 1 코어 부재(20)와, 제 1 코어 부재(20)는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소정 피치로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가 대향하도록 순차 배열된 제 2 코어 부재(21)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3층마다 적층되며 다이컷 코킹(22)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부(15)는 코어편(16)의 대략 볼록 형상부(17)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주측 노치부(19)는, 회전축부(15)를 통하여 자극 티스(14)에 평행 직선에 대하여 대칭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 1 코어 부재(20)와 제 2 코어 부재(21)는 자기적인 균형을 잡기 위해서 토크 맥동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해당 적층 철심의 프레스 가공 공정에 있어서, 외주측 노치부(19)를 형성하는 펀치를 1종류로 할 수 있어서, 금형의 간소화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코어편(16)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1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원호 형상으로 적층 철심(3)을 폐쇄할 시에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가 맞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부(15)의 축심(P1)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볼록 형상부(17)의 원호부의 중심(P2)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자극 티스부(14)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직선 형상으로 적층 철심(3)을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코어편(16)의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 사이에 외주측 노치부(19)로부터 내주측에 연결되는 코어편 사이 간극(23)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어편(16)을 폐쇄하고 원환 형상의 적층 철심(3)으로 했을 때, 대략 오목 형상부(18)와 대략 볼록 형상부(17)가 맞대어져 백 요크부(13)의 자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회전 전기(1)의 효율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의 (a) 내지 (h)를 이용하여, 적층 철심(3)을 제조하는 프레스 가공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프레스에 세트된 띠 형상의 전자 강판에 대해, 공정(A)에 있어서, 금형과의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파일럿 구멍(30)을 타발한다. 이어서, 전자 강판이 등 피치로 재료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공정의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공정(B)은, 코어편(16)의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이며, 제 1 부위인 외주측 노치부(19)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31)을 타발한다.
공정(C)은, 코어편(16)의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이며, 도면은 일 예로서 자극 티스부(14)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이 일체적으로 동작되어, 제 2 부위와 자극 티스(14)를 형성하는 슬릿(32)을 타발한다.
공정(D), (E)는,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1 부위와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이며, 코어편(16)의 백 요크부(13)의 단부의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편 사이 간극(23)인 슬릿(33, 34)을 타발한다.
이들 슬릿(33, 34)을 타발하는 펀치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하는 2종의 제 1 코어 부재(20), 제 2 코어 부재(21)를 형성하기 위해서, 프레스의 동작과 동기하여 자동적으로 전환되며, 슬릿(33, 34)이 중복하여 타발되는 일은 없다. 예를 들면, 소정의 적층 철심(3)의 적층 매수, 예를 들면 3매 마다 슬릿(33)과 슬릿(34)이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타발된다.
여기서, 슬릿(31, 32, 33, 34)은 각각 독립한 펀치로 타발하기 때문에, 각각의 펀치의 제작이 용이한 동시에, 미리 슬릿(31, 32)을 타발한 후에 슬릿(33, 34)을 타발하기 때문에, 펀치의 강성이 비교적 작은 슬릿(33, 34)의 펀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슬릿(33, 34)의 펀치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서는, 코어 사이 간극(23)에 해당하는 슬릿(33, 34)의 펀치의 폭을 코어편(16)(전자 강판)의 판 두께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과 같이 외주측 노치부(19)를 형성하는 슬릿(31)이, 회전축부(15)를 통과하며 자극 티스(14)에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대칭 형상, 즉 슬릿(33, 34)에 대하여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1종류의 펀치로 외주측 노치부(19)를 형성할 수 있어서, 공정(B)에 집약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간소화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공정(F)에서는, 다이컷 코킹(22)이 끼우는 슬릿(35)과, 회전축부(15)가 끼우는 구멍(36)을 타발하고, 공정(G)에서는, 다이컷 코킹(22)과 회전축부(15)의 다월(dowel)을 성형한다. 이들 공정(F), 공정(G)은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공정(F)은 소정의 적층 철심(3)의 적층 매수, 예를 들면 3매 마다 슬릿(35)과 구멍(36)이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타발된다. 이러한 슬릿(35)에 다이컷 코킹(22)이 끼워지고, 구멍(36)에 회전축부(15)가 끼워지도록 적층된다.
또한, 제 1 코어 부재(20)와 제 2 코어 부재(21)는 자기적인 균형을 잡기 위해 토크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H)에서 코어편(16)의 외주를 타발하고, 연속적으로 금형 내부에 코어편(16)을 적층하지만, 자동 전환 펀치로 구성되는 공정(F)이 소정의 적층 철심(3)의 적층 매수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유효가 되는 것에 의해, 복수 개의 적층 철심(3)이 다이컷 코킹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공정(F), 공정(G)은, 공정(D)이 선택된 제 1 코어 부재(20)를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시는 하지 않지만 공정(E)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공정(F), 공정(G)을 실행한 후, 공정(H)에서 코어편(16)의 외주를 타발하고, 연속적으로 금형 내부에 코어편(16)이 적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 전기의 적층 철심은, 인접하는 코어편(16)의 백 요크부(13)의 단부에 대략 볼록 형상부(17)와 대략 오목 형상부(18)를 형성할 때,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1 부위와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제 3 공정으로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펀치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펀치의 내구성이 향상하여, 코어편(16)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의 프레스 가공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형태 1로 제조한 적층 철심은, 가공 뒤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서, 효율이나 토크 맥동 등의 특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원호 형상이나 환상의 상태로 프레스 가공했을 경우에 비하여 전자 강판의 자기 이방성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서, 토크 맥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코어편(16)의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자극 티스부(14)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이 일체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자극 티스(14)를 형성하는 펀칭 공정과는 분리하여 타발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자극 티스(14)를 형성하는 펀칭 공정과 코어(16)편의 외주를 타발하는 공정(H)을 일체적으로 타발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공정 수를 축소하여 금형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공정과,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1 부위와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으로 분할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공통, 즉, 동시에 타발하도록 하여도 좋고, 상술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펀치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펀치의 내구성이 향상하여, 코어편(16)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의 프레스 가공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백 요크부(13)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1 부위와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으로 분할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제 2 공정과, 제 1 부위와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공통, 즉, 동시에 타발하도록 하여도 좋고, 상술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펀치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펀치의 내구성이 향상하여, 코어편(16)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의 프레스 가공의 양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주측 노치부(19)를 공정(B)에서 형성하고 있었지만, 코어(16)편의 외주를 타발하는 공정(H)에 집약하여 일체적으로 타발하는 것에 의해, 공정 수를 축소하여 금형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부(15)에 의해서 인접하는 코어 블록(12)이 연결된 적층 철심을 제조하는 방법이지만, 이 회전축부(15)의 가공을 생략하고, 코어 블록(12)이 각각 분할되어 있는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할 형태 적층 철심의 재료 수율을 향상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코어편의 가공 뒤틀림을 저감하여 효율이나 토크 맥동 등의 특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의 실현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13)

  1. 백 요크부와 상기 백 요크부로부터 돌출한 자극 티스부로 구성되는 분할된 복수의 코어편을 직선 형상으로 배치하여 타발하고, 다이컷 코킹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철심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반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의 상기 자극 티스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상기 자극 티스부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편의 백 요크부의 인접하는 단부는, 일단부측에 대략 볼록 형상부가 마련되고, 타단부측에 대략 오목 형상부가 마련되며, 상기 코어편의 일단부측의 대략 볼록 형상부와 상기 코어편의 타단부측의 대략 오목 형상부가 맞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부측에 상기 대략 볼록 형상부와 타단부측에 대략 오목 형상부를 가지는 백 요크부를 가지는 코어편을 순차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코어 부재와,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상기 코어편의 상기 대략 볼록 형상부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대략 오목 형상부로 하고,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상기 코어편의 상기 대략 오목 형상부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대략 볼록 형상부로 한 백 요크부를 가지는 코어편을 순차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코어 부재가 교대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어의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연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이 상기 대략 볼록 형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 의해 타발되는 상기 제 1 부위의 형상은, 상기 자극 티스부의 돌출 방향과 병행하며 상기 연결 수단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의 타발을 실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타발 폭이 상기 코어편의 판 두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은,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제 3 공정과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은,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부위를 연통하는 부위를 타발하는 펀치와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를 타발하는 제 2 공정은, 자극 티스부를 형성하도록 타발하는 제 4 공정과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를 타발하는 제 1 공정은, 상기 코어편을 타발하여 적층하는 공정과 공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편을 원환상 혹은 원호 형상으로 복수 개를 순차 배열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 요크부의 단부끼리가 접촉하는 외주측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백 요크부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의 회전 중심은 상기 대략 볼록 형상부의 회전 중심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철심.
KR1020147001519A 2011-10-06 2011-10-06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KR101586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3071 WO2013051125A1 (ja) 2011-10-06 2011-10-06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積層鉄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057A true KR20140039057A (ko) 2014-03-31
KR101586963B1 KR101586963B1 (ko) 2016-01-19

Family

ID=4804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519A KR101586963B1 (ko) 2011-10-06 2011-10-06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5512B2 (ko)
KR (1) KR101586963B1 (ko)
CN (1) CN103703655A (ko)
DE (1) DE112011105446T5 (ko)
TW (1) TWI451666B (ko)
WO (1) WO2013051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1341B2 (ja) * 2013-06-03 2017-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分割電機子鉄心の製造装置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並びに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10128700B2 (en) * 2014-04-16 201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ary electric machine armature core
JP6778497B2 (ja) * 2016-03-22 2020-11-04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6652460B2 (ja) * 2016-08-01 2020-02-26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積層鉄心の製造装置及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WO2018043651A1 (ja) * 2016-09-02 2018-03-08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WO2018062003A1 (ja) * 2016-09-30 2018-04-05 日本電産株式会社 積層コアの製造方法
WO2019227841A1 (zh) * 2018-05-31 2019-12-05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定子铁芯、定子和电机
EP3827507A1 (en) * 2018-07-24 2021-06-02 Mainspring Energy, Inc. Linear electromagnetic machine
JP6739497B2 (ja) * 2018-11-06 2020-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機子
JP6841975B1 (ja) * 2019-09-27 2021-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機子鉄心、電機子および電動機
KR20210042619A (ko) * 2019-10-10 2021-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6074A (ja) 1998-08-06 2000-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部材の積層金型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02171725A (ja) 2000-12-01 200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金型装置
KR20020061184A (ko) * 1998-06-30 2002-07-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철심장치
JP2002281697A (ja) * 2001-03-19 2002-09-27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およ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KR20020074078A (ko) * 2001-03-15 2002-09-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코어
JP2009131027A (ja) * 2007-11-22 2009-06-11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331C1 (de) 1989-09-04 1990-12-13 Buehler Gmbh Nachf Geb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m Bewickeln von für Elektro-Motore mit Innenläufer bestimmten Statorblechpaketen
JPH0951640A (ja) 1995-08-04 1997-02-18 Seiko Epson Corp モータのヨーク構造
JP3568364B2 (ja) * 1996-09-30 2004-09-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コア
TW411653B (en) * 1997-04-11 2000-11-11 Toshiba Corp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249878C (zh) 1998-06-30 2006-04-05 三菱电机株式会社 铁芯组件及其制造方法
JP4004969B2 (ja) 2003-02-10 2007-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鉄心
JP2005110464A (ja) 2003-10-02 200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ステータ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68324A (ja) * 2005-08-31 2007-03-15 Nippon Densan Corp 電機子およびこの電機子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
KR101275210B1 (ko) * 2006-06-16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인딩 타입 스테이터 코어를 갖는 스테이터 및 이를포함한 세탁장치
JP4934402B2 (ja) 2006-10-26 2012-05-16 黒田精工株式会社 電機子製造方法および順送り金型装置
JP5097491B2 (ja) 2007-09-25 2012-1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の駆動用モータ
JP2009077600A (ja) 2007-09-25 2009-04-09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の駆動用モータ
JP5020034B2 (ja) * 2007-11-22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0220288A (ja) * 2009-03-13 2010-09-30 Mabuchi Motor Co Ltd コアブロック及び該コアブロックを用いたモータ用の磁極コア
JP5380241B2 (ja) 2009-10-14 2014-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積層固定鉄心
JP5186467B2 (ja) 2009-11-24 2013-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ステータコア
EP2557660B1 (en) * 2010-04-08 2019-03-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ayered iron core of rotary electrical machine
US8786158B2 (en) * 2010-08-19 2014-07-22 L. H. Carbide Corporation Continuously formed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9099897B2 (en) * 2011-09-13 2015-08-04 L.H.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end sections of an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84A (ko) * 1998-06-30 2002-07-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철심장치
JP2000116074A (ja) 1998-08-06 2000-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ア部材の積層金型装置および積層方法
JP2002171725A (ja) 2000-12-01 200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コア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金型装置
KR20020074078A (ko) * 2001-03-15 2002-09-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코어
JP2002281697A (ja) * 2001-03-19 2002-09-27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およ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2009131027A (ja) * 2007-11-22 2009-06-11 Mitsui High Tec Inc 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125A1 (ja) 2013-04-11
TW201316655A (zh) 2013-04-16
US20140139068A1 (en) 2014-05-22
US9825512B2 (en) 2017-11-21
TWI451666B (zh) 2014-09-01
CN103703655A (zh) 2014-04-02
DE112011105446T5 (de) 2014-03-27
KR101586963B1 (ko)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9057A (ko) 적층 철심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적층 철심
KR101373907B1 (ko) 회전전기의 적층철심
US9136735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laminated core
JP5518258B2 (ja) リニアモータの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3437B2 (ja) 回転電機の積層鉄心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9979B1 (ja) 積層鉄心製造装置および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5638475B2 (ja) リニアモータの積層鉄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090386A (ja) 回転電機用コアの製造方法及びコア板の打ち抜き装置
JP2013132138A (ja) ロ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045638B2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
JP5528164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5827A (ko) 세그먼트형 스테이터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스테이터
JP6091409B2 (ja) 回転子鉄心及び回転子鉄心の製造方法
JP5311290B2 (ja)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用ステータコアの製造方法
JPWO2013051125A1 (ja) 積層鉄心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積層鉄心
JP2005095000A (ja) 内転型電動機の固定子
JP5968258B2 (ja) 電機子鉄心、電機子、回転電機、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JP2013207805A (ja) 積層固定子鉄心、積層固定子鉄心の製造方法
JP2013062939A (ja) 回転電気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