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4300A -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 Google Patents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4300A
KR20020064300A KR1020027005007A KR20027005007A KR20020064300A KR 20020064300 A KR20020064300 A KR 20020064300A KR 1020027005007 A KR1020027005007 A KR 1020027005007A KR 20027005007 A KR20027005007 A KR 20027005007A KR 20020064300 A KR20020064300 A KR 2002006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owing agent
polymer
expandable
olefi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1035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말레츠코
클라우스 한
이시도르 데그라베
게르트 에르만
프란츠-조세프 디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6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Extrusion of the foamable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32Impregnation of a formed object with a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2Organic compounds only containing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e.g. ketone or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08J2203/142Halogenated saturated hydrocarbons, e.g. H3C-CF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 -5 내지 150 ℃의 알칸, 알칸올, 케톤 및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발포제를 포함하는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자는 발포되지 않은 상태로 500 g/ℓ이상의 벌크 밀도를 갖고,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실온에서 한 시간 저장한 후에 200 g/ℓ 미만의 벌크 밀도를 갖도록 발포될 수 있다. 상기 입자는 가압 용기 내에서 폴리올레핀 미립을 현탁액 중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생성물을 100 ℃ 미만으로 냉각시킨 후 입자를 발포 및 분리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Particle-Shaped, Expandable Olefin Polymers}
본 발명은 발포되어 성형 가능한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성형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는 자동차의 제조, 포장재 및 레져 분야에서의 발포 성형체의 제조를 위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성형 가능한 발포체는 발포되지 않은 발포성 비드,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기재의 발포되지 않은 발포성 비드 (EPS 비드)에 비해 훨씬 부피가 크므로 필요한 공간이 커서 운반 및 보관시에 불리하다.
EPS 비드는 공지된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펠렛을 수성 현탁액 중 휘발성 탄화수소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현탁액을 냉각하고 함침된 비드를 단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은 우수한 탄화수소 보유능을 갖기 때문에, 매우 서서히 확산되어 발포제를 포함하는 비드는 발포제가 손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의 경우는 이것이 쉽게 가능하지 않으며, 따라서 현재까지 발포되지 않은 발포성 폴리올레핀 비드를 얻을 수 없었다. 공지의 발포된 폴리프로필렌의 성형 가능한 발포체 (EPP)는 가압하에 폴리프로필렌 펠렛을 수성 현탁액 중 휘발성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감압하여 함침된 비드가 발포하도록 하여 산업적 규모로 제조한다.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발포제는 부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및 CO2를 포함한다. 이들 발포제 역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의 확산에 의해 비교적 빠르게 손실되므로, 발포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프로필렌 비드는 저장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유럽 특허 출원 EP-A 540 271 호는 폴리페닐렌 에테르와 폴리올레핀으로부터 발포성 폴리블렌드 비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올레핀 블렌드로 제조한 소펠렛은 가압 용기 내의 수성 분산액 중에서 할로겐화 탄화수소 발포제,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으로 함침되고, 분산액이 냉각되고 발포성 비드가 단리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명백하게도 발포제로서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하여서만 수행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환경적으로 해롭다. 게다가 실시가 반복되는 경우, 발포성 비드가 발포될 때 매우 큰 기포의 발포체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무함유 발포제를 포함하며 발포하여 작은 기포의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올레핀계 중합체로부터 제조한 발포되지 않은 발포성 비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올레핀계 중합체는 180 ℃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어떠한 혼합형 열가소성 수지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200 ℃이다). 다른 유형의 열가소성 수지가 5 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 180 ℃ 미만의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딩된것일 수 있으며, 비점 -5 내지 150 ℃의 유기 발포제를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 함유하는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제야 밝혀내었다.
상기 중합체는 400 g/ℓ이상의 벌크 밀도를 가지며, 100 ℃ 이상으로 가열하여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200 g/ℓ 미만의 벌크 밀도로 발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 동안, 발포제를 포함하는 비드는 적어도 어느 정도 용융되어 발포 공정이 종결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프로필렌 중합체의 경우, 이상적인 발포 온도는 130 내지 160 ℃, 바람직하게는 150 ℃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압 용기 내에서 승온에서 폴리올레핀 펠렛을 현탁액 중 2 내지 50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무함유 유기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배치를 100 ℃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함침된 펠렛을 단리하여 세척하는, 상기 발포성 비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유럽 특허 출원 EP-A 778 310 호는, 고형 발포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을 압출하여, 120 내지 400 g/ℓ의 벌크 밀도를 갖는 부분 발포된 비드를 제조하는 제 1 단계와, 이어서 증기를 사용하여 이들을 추가로 발포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성형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신규의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는 400 g/ℓ이상, 바람직하게는 500 g/ℓ이상의 벌크 밀도를 갖는 실질적으로 발포되지 않은 비드이며, 100 ℃ 이상으로 가열하여 (프로필렌 중합체의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60 ℃, 특히 150 ℃로 가열함)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200 g/ℓ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g/ℓ미만, 특히 100 g/ℓ미만의 벌크 밀도로 발포될 수 있다.
첫 번째 조건은, 함침 배치의 압력이 감압될 때 비드가 실질적으로 발포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올레핀계 중합체 펠렛은 이들의 입자의 형태 및 이들의 조성에 따라 450 내지 700 g/ℓ의 벌크 밀도를 갖는다. 두 번째 조건은,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한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도, 비드는 여전히 우수한 발포가 가능하도록 충분히 저장된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실온에서의 한 시간 동안의 상기와 같은 저장은 실제에 있어서 중요하며 또한 현실적인데, 이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비드의 포장 이전 및 이들이 발포되기 이전에 포장으로부터 꺼낸 이후의 실제적인 처리 및 취급이 총 한 시간을 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빠져나가는 발포제의 양은 매우 적어야 한다. 비드가 저장되고 운반될 때 일반적으로 밀봉 용기 또는 기밀 필름 봉지에 비드가 포장되어 왔지만, 이 단계에서 빠져나갈 수 있는 발포제의 양도 역시 많지 않다.
발포제를 포함하는 신규의 폴리올레핀 비드는 일반적으로 발포제의 상당량이 손실되지 않고 수일간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개봉된 상태로의 장기간의 저장은 피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올레핀계 중합체는 하기와 같다.
a) 단독 폴리프로필렌,
b) 프로필렌과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 중량%의 에틸렌 및(또는) C4-10-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과 0.5 내지 6 중량%의 에틸렌 또는 0.5 내지 15 중량%의 1-부텐과의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0.5 내지 6 중량%의 에틸렌 및 0.5 내지 6 중량%의 1-부텐으로 제조한 3원 공중합체, 또는
c) 상기 a) 또는 b)와 0.1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혼합물, 예를 들어 30 내지 70 중량%의 프로필렌과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d) 폴리에틸렌 (LLDPE, LDPE, MDPE, HDPE), 또는
e) 상기 a) 내지 d) 기재의 폴리올레핀의 혼합물 (필요한 경우 상용화제를 첨가함).
지글러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한 올레핀계 중합체가 적합하다.
상기 a) 내지 e)에 열거된 폴리올레핀의 결정 용융 온도 (DSC 최대)는 일반적으로 90 내지 170 ℃이고, DSC로 측정한 이들의 용융 엔탈피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 J/g 이며, 용융 지수 MFR (프로필렌 중합체에 대해서는 230 ℃, 2.16 kp, 에틸렌 중합체에 대해서는 190 ℃, 2.1 kp)는 바람직하게는 DIN 53 735에 따라 0.1 내지 100 g/10 분이었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프로필렌과 15 중량% 이하의 에틸렌 및(또는) 1-부텐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에틸렌과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이다. 이들은 130 내지 160 ℃의 융점 및 실온에서 약 900 g/ℓ의 밀도를 갖는다.
올레핀계 중합체는 180 ℃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 (DSC 곡선에서의 굴곡점)를 갖는 50 중량% 이하의 다른 유형의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딩된 것일 수 있다.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는 5 내지 40 중량%의 폴리아미드가 있으며, 통상적인 상용화제, 예를 들어 블록 공중합체, 예컨대 엑손사 (EXXON)의 Exxelor P 1015 를 본 발명의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외부의 열가소성 수지의 존재가 폴리올레핀의 재생성 및 이로부터 제조한 발포체의 재생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다. 가소화를 위해 첨가될 수 있는 엘라스토머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상 다른 유형의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폴리올레핀은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제, 난연제, 왁스, 핵형성제, 충전제, 안료 및 염료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신규의 발포성 폴리올레핀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출발 물질은 폴리올레핀 펠렛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mm, 특히 0.5 내지 5 mm 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상기의 대부분 원통형 또는 원형인 소펠렛은 필요한 경우 혼합할 열가소성 수지 및 다른 첨가제와 함께 폴리올레핀을 압출하고, 필요한 경우 냉각하고 펠렛화하여 제조된다.
소펠렛은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특히 0.5내지 3 중량%의 핵형성제를 포함해야 한다. 이들의 적합한 예로는 활석, 파라핀 및(또는) 왁스, 및 카본블랙, 흑연 및 발열 실리카 및 천연 또는 합성 제올라이트 및 (개질 또는 비개질의) 벤토나이트가 있다. 이들은 작은 기포의 발포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며, 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들 없이는 발포가 불가능하다.
상기 펠렛은 교반 반응기 내에서 현탁 매질에 분산된다. 바람직한 현탁 매질은 물이다. 이 경우 소펠렛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현탁 매질에 현탁제를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절한 현탁제는 비수용성 무기 안정제, 예컨대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피로포스페이트 및 금속 탄산염; 기타 폴리비닐 알콜 및 소듐 도데실아릴술포네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있다. 이들의 사용량은 통상적으로 0.05 내지 10 중량%이다. 국제 특허 출원 WO-A 99/10419 호에서와 같이, 현탁 매질의 밀도가 현탁된 펠렛의 밀도보다 낮으면 현탁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예를 들어 현탁 매질이 에탄올 또는 50 중량% 이하의 물과 에탄올과의 혼합물인 경우 그러하다.
발포제의 바른 선택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발포제의 비점은 -5 내지 150 ℃, 특히 25 내지 125 ℃이어야 한다. 발포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칸, 알칸올, 케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이다. 펜탄, 헥산 및 헵탄, 특히 sec-펜탄, 3,3-디메틸-2-부탄온 및 4-메틸-2-펜탄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발포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포제는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소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특히 5 중량% 미만의 할로겐-함유 발포제, 예를 들어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불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발포제 혼합물이 배제되어서는 안된다.
발포제의 사용량은 펠렛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중량%, 특히 5 내지 30 중량%이다. 발포제는 반응기의 내용물을 가열하기 이전, 도중 또는 이후에 첨가할 수 있으며, 한꺼번에 또는 나누어 첨가할 수 있다.
함침 도중 온도는 폴리올레핀의 연화점 부근이어야 한다. 상기 온도는 융점 (결정 융점)보다 40 내지 25 ℃ 높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융점 이하이어야 한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바람직한 함침 온도는 120 내지 150 ℃이다.
발포제의 양과 특성 및 온도에 따라, 반응기의 설정 압력은 일반적으로 2 바아 이상이나 40 바아를 초과하지 않는다.
함침 시간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시간이다. 압력 감소 및 교반 반응기로부터 꺼내기 이전에, 현탁액은 예를 들어 반응기 자켓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1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로 냉각된다. 압력이 감소되고 반응기로부터 배치가 배출된 후 발포제를 포함하는 비드는 현탁 매질로부터 단리되어 세척된다.
발포제를 포함하는 비드는 가압 예비 발포기에 고온 공기 또는 증기를 사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발포될 수 있다. 발포제의 특성 및 중합체 매트릭스 및 희망하는 벌크 밀도에 따라, 증기로 발포하는 경우 사용되는 압력은 2 내지 4.5 바아이며, 발포 시간은 3 내지 30 초이며 발포 도중 온도는 100 ℃ 이상이어야 하며, 특히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130 내지 160 ℃이다. 단일 발포는 20 내지 200 g/ℓ의 벌크 밀도를 제공한다. 기술적인, 또는 경제적인 이유로, 낮은 벌크 밀도를 위해 1 회 이상 발포시킬 수 있다.
생성되는 성형 가능한 발포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발포 성형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12
A. 소펠렛 (MP)의 제조
1. 출발 물질 :
PP : NOVOLEN 3200 MC 폴리프로필렌; 타고르사 (Targor GmbH)
PA : ULTRAMID B 3 폴리아미드; 바스프사 (BASF Aktiengesellschaft)
PPE : NORYL 8390 산화 폴리페닐렌; 제네랄 일렉트릭 캄파니 (General Electric Comp.)
EX : EXXELOR P 1015 상용화제; 엑손사 (Exxon Corp.)
KR : KRATON G 1701 E 상용화제; 쉘사 (Shell Corp.)
왁스 : LUWAX AF 31 폴리에틸렌 왁스; 바스프사 (BASF Aktiengesellschaft)
BE : Bentonite EXM 948 쉐드케미사 (Suedchemie AG)
2. 혼합물 :
MP 1: PP 100 중량부
왁스0.5 중량부
활석 1 중량부
MP 2: PP 95 중량부
PA 4.75 중량부
EX 0.25 중량부
왁스 0.1 중량부
활석 1 중량부
MP 3: PP 70 중량부
PA 28.5 중량부
EX 1.5 중량부
왁스 0.1 중량부
활석 1 중량부
MP 4: PP 70 중량부
PPE 30 중량부
KR 5 중량부
왁스 0.1 중량부
활석 1 중량부
MP 5: PP 100 중량부
왁스 1 중량부
활석 1 중량부
MP 6: PP 100 중량부
BE 2 중량부
왁스 1 중량부
3. 압출
상기량의 출발 물질을 압출기 내에서 혼합하고 압출하여 펠렛화시켰다. 소펠렛은 d = 0.8 내지 1 mm, l = 2.3 내지 2.8 mm 의 치수를 가졌다.
실시예 1 내지 6
B. 260 ml 교반 고압 반응기에서의 발포성 비드의 제조
1. 출발 물질 및 양
소펠렛 33.3 g
물106.7 g
발포제 10.7 g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2.9 g
소듐 도데실아릴술포네이트 0.1 g
2. 함침
출발 물질을 260 ml 의 교반 고압 반응기에 넣었다. 배치를 140 ℃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고압 용기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압력을 감소시켰다. 함침된 비드를 단리하여 세척하고, 강제 공기 건조시킨 후 밀봉 용기에 저장하였다.
C. 발포성 비드의 발포
상기 비드를 용기로부터 꺼내어 실온에서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한 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이어서 이들을 통상의 가압 예비 발포기에서 150 ℃ 하에 8 초 동안 증기 (증기압 : 3.5 바아)로 발포시켰다. 사용된 소펠렛 및 발포제, 한 시간동안 유지시키기 이전 및 이후에 측정된 발포제의 함량, 비드의 벌크 밀도를 생성되는 성형 가능한 발포체의 기포의 특성과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 3 4 5 6c
소펠렛 MP1 MP2 MP3 MP1 MP1 MP4
발포제 sec-펜탄 DB 4M2P 4M2P n-부탄 Freon 11
이전 함량 % 15.5 19.2 22.8 17.9 7.2 17.6
이후 함량 % 5.9 9.3 9.9 9.4 3.5 12.4
이전 벌크 밀도 g/ℓ 480 546 522 539 531 573
이후 벌크 밀도 g/ℓ 88 51 86 70 147 278
기포의 특성 소 기포 중 기포 중 기포 소 기포 소 기포 대 기포
발포제DB : 3,3-디메틸-2-부탄온4M2P : 4-메틸-2-펜탄온Freon 11 :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실시예 6c 는 비교예이다.
실시예 7 내지 11
B. 55 ℓ 의 교반 용기에서의 발포성 비드의 제조
1a. 출발 물질 및 양 (실시예 7 내지 9)
소펠렛11.93 kg
물26.50 kg
발포제 2.50 kg
탄산칼슘 1.05 kg (Calcilit 1G, 알파사 (Alpha))
Lutensol AO 31091.07 g (바스프사 (BASF AG)의 계면활성제)
1b. 출발 물질 및 양 (실시예 10)
소펠렛16.19 kg
물20.24 kg
발포제3.40 kg
탄산칼슘1.42 kg (Calcilit 1G, 알파사 (Alpha))
Lutensol AO 31091.46 g (바스프사 (BASF AG)의 계면활성제)
1c. 출발 물질 및 양 (실시예 11)
소펠렛16.24 kg
물20.30 kg
발포제3.41 kg
탄산칼슘1.06 kg (Calcilit 1G, 알파사 (Alpha))
Lutensol AO 31091.46 g (바스프사 (BASF AG)의 계면활성제)
2. 함침
출발 물질을 55 ℓ의 교반 용기에 넣었다. 표에 나타내어진 가열 시간 내에 혼합물을 140 ℃로 승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한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압력을 낮췄다. 함침된 펠렛을 스크린으로 배출시켜 물로 세척한 후, 밀봉 드럼에 저장하였다. 이들 물질의 표본을 강제 공기 건조시키고 발포 시험에 사용하였다 (표 2 참조).
실시예 12
B. 1.6 m3의 교반 용기에서의 발포성 비드의 제조
1c. 출발 물질 및 양 (실시예 12)
소펠렛423.3 kg
물940.7 kg
발포제88.9 kg
탄산칼슘37.1 kg (Calcilit 1G, 알파사 (Alpha))
Lutensol AO 310938.1 g (바스프사 (BASF AG)의 계면활성제)
2. 함침
출발 물질을 1.6 m3의 교반 용기에 넣었다. 이어서 혼합물을 5 시간에 걸쳐 140 ℃로 승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한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압력을 낮췄다. 함침된 펠렛을 스크린으로 배출시켜 물로 세척한 후, 밀봉 드럼에 저장하였다. 이들 물질의 표본을 강제 공기 건조시키고 발포 시험에 사용하였다 (표 2 참조).
실시예 7 내지 12
C. 발포성 비드의 발포
실시예 1 내지 6c 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발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8 9 10 11 12
소펠렛 MP1 MP5 MP6 MP1 MP1 MP1
가열 시간 [h] 1 1 1 5 5 5
발포제 sec-펜탄 n-헵탄 sec-펜탄 sec-펜탄 sec-펜탄 sec-펜탄
이전 함량 % 8.7 12.0 10.8 12.5 12.1 13.6
이후 함량 % 4.6 4.9 7.3 5.7 5.7 5.9
이전 벌크 밀도 g/ℓ 564 562 562 563 558 562
이후 벌크 밀도 g/ℓ 73 154* 46 67 61 78
기포의 특성 소 기포 소 기포 소 기포 소 기포 소 기포 소 기포
* 비표준 증기압 : 4 바아, 8 초

Claims (13)

  1.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하의 유리 전이 온도 180 ℃ 미만의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딩된 것일 수 있으며, 비점 -5 내지 150 ℃의 유기 발포제를 올레핀계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 포함하고, 발포되지 않은 비드는 400 g/ℓ이상의 벌크 밀도를 가지며 100 ℃ 이상으로 가열하여 대기와의 자유 접촉하에 실온에서 한 시간 동안 저장한 후에 200 g/ℓ 미만의 벌크 밀도로 발포될 수 있는 것인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할로겐 무함유 발포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15 중량% 이하의 에틸렌 및(또는) 1-부텐의 공중합체인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의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형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5 내지 40 중량%의 폴리아미드와 블렌딩된 것인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7. 가압 용기 내에서 승온하에 폴리올레핀 펠렛을 현탁액 중 비점 -5 내지 150 ℃의 2 내지 50 중량%의 유기 발포제로 함침시키고, 배치의 압력을 낮추고 함침된 펠렛을 단리하여 세척하되, 압력을 감소시키기 이전에 배치를 100 ℃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할로겐 무함유 발포제가 사용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알칸, 알칸올, 케톤,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펜탄, 헥산, 헵탄, 3,3-디메틸-2-부탄온 또는 4-메틸-2-펜탄온인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펠렛이 0.001 내지 10 중량%의 핵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핵형성제가 왁스 및(또는) 활석인 방법.
  13.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 기재의 발포성 올레핀계 비드 중합체의 용도.
KR1020027005007A 1999-10-20 2000-10-10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KR100661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0420.2 1999-10-20
DE19950420A DE19950420A1 (de) 1999-10-20 1999-10-20 Partikelförmige, expandierbare Olefinpolymeris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300A true KR20020064300A (ko) 2002-08-07
KR100661035B1 KR100661035B1 (ko) 2006-12-26

Family

ID=792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007A KR100661035B1 (ko) 1999-10-20 2000-10-10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6448300B1 (ko)
EP (1) EP1228127B1 (ko)
JP (1) JP4680461B2 (ko)
KR (1) KR100661035B1 (ko)
CN (1) CN1159369C (ko)
AT (1) ATE304032T1 (ko)
AU (1) AU7917500A (ko)
BR (1) BR0014892B1 (ko)
CA (1) CA2388134C (ko)
CZ (1) CZ296408B6 (ko)
DE (2) DE19950420A1 (ko)
ES (1) ES2248132T3 (ko)
HU (1) HU226798B1 (ko)
MX (1) MXPA02003215A (ko)
MY (1) MY125351A (ko)
NO (1) NO327228B1 (ko)
PL (1) PL202081B1 (ko)
RU (1) RU2290417C2 (ko)
TW (1) TW527387B (ko)
WO (1) WO2001029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12568D1 (de) 2000-01-25 2006-05-2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rtikelfoermigen, Expandierbaren Propylenpolymerisaten
DE10105618A1 (de) * 2001-02-08 2002-08-22 Basf Ag Expandierbare Polyolefinpartikel
DE10137355A1 (de) * 2001-07-31 2003-02-1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Schaumpartikeln mit hoher Schüttdichte
US6821931B2 (en) * 2002-03-05 2004-11-23 Alpine Mud Products Corporation Water-based drilling fluid additive containing talc and carrier
DE10230583A1 (de) 2002-07-05 2004-01-15 Basf Ag Offenzellige Polypropylen-Partikelschäume
US7277201B2 (en) * 2003-05-28 2007-10-02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digital anamorphic line screens
US20050090571A1 (en) * 2003-10-27 2005-04-28 Mehta Aspy K. Expanded bead foams from propylene-diene copolymers and their use
DE10359436A1 (de) 2003-12-17 2005-07-21 Basf Ag Expandierbares, einen DSC-Doppelpeak aufweisendes Polyolefin
DE102004027073A1 (de) 2004-06-02 2005-12-29 Basf Ag Metallpartikel enthaltende Polyolefinschaumpartikel
PL1702945T5 (pl) 2005-03-18 2014-09-30 Basf Se Tworzywa piankowe z cząstek poliolefinowych zawierające wypełniacze
PT2144959E (pt) * 2007-04-11 2011-02-07 Basf Se Espuma de partículas elásticas à base de misturas de poliolefinas/polímeros de estireno
JP5124337B2 (ja) * 2008-04-24 2013-01-2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乳酸系樹脂発泡粒子を収納した密閉容器と成形用型とを纏めた組み合わせ体およびその使用
JP5485611B2 (ja) 2008-08-07 2014-05-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膨張性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発泡成形体
KR101769265B1 (ko) * 2008-09-30 2017-08-1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성형용 마스터 뱃치 및 발포 성형체
PL2336225T3 (pl) * 2009-12-17 2017-01-31 Basf Se Sposób wytwarzania cząstek poliolefinowego tworzywa piankowego
KR101082782B1 (ko) * 2010-01-20 2011-11-11 김병환 발포용 폴리프로필렌 비드의 제조방법
BR112013031990A2 (pt) 2011-06-23 2017-03-21 Total Res & Technology Feluy polímeros vinil aromáticos expansíveis melhorados.
JP6437448B2 (ja) * 2012-12-21 2018-12-12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改善した発泡性および向上した加工性のためのポリオレフィン系ケーブル用化合物の配合物
WO2019050032A1 (ja) 2017-09-11 2019-03-1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WO2023107680A1 (en) 2021-12-10 2023-06-15 Lightwave Logic, Inc. Nonlinear optical chromophores having tetrahydrocarbazole donor groups, lyotrop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poling such compositions
US20230212399A1 (en) 2022-01-05 2023-07-06 Lightwave Logic, Inc. Nonlinear Optical Chromophores Having Short-Chain Bridge Structures, Low Optical Loss Material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946A (en) * 1986-08-11 1987-05-19 Atlantic Richfield Company Expandable polypropylene interpolymer particles
JPS6377947A (ja) * 1986-09-19 1988-04-08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スチレン・アクリロニトリル・ブタジエン系共重合体の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H068364B2 (ja) * 1987-11-18 1994-02-0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
JPH0739503B2 (ja) * 1987-12-11 1995-05-01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4908393A (en) * 1988-03-24 1990-03-13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Propylene resin foamed particles and foamed mold article
JPH0465441A (ja) * 1990-07-04 1992-03-02 Tonen Chem Corp 架橋発泡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US5389320A (en) 1991-10-28 1995-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phenylene ether and polyolefin blend
JP3504042B2 (ja) * 1995-10-31 2004-03-0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型内成形方法
DE19545098A1 (de) 1995-12-04 1997-06-05 Basf Ag Polyolefin-Partikelschaumstoff
US6596782B1 (en) * 1996-04-05 2003-07-22 Kaneka Corporation Hydrous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reexpanded particles produced therefro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expanded m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50420A1 (de) 2001-04-26
NO20021852D0 (no) 2002-04-19
DE50011131D1 (de) 2005-10-13
CA2388134C (en) 2008-03-11
WO2001029119A1 (de) 2001-04-26
HUP0203128A2 (hu) 2003-01-28
MXPA02003215A (es) 2002-09-30
MY125351A (en) 2006-07-31
US6448300B1 (en) 2002-09-10
ES2248132T3 (es) 2006-03-16
TW527387B (en) 2003-04-11
CN1159369C (zh) 2004-07-28
EP1228127A1 (de) 2002-08-07
HUP0203128A3 (en) 2004-07-28
JP4680461B2 (ja) 2011-05-11
US6476089B1 (en) 2002-11-05
NO20021852L (no) 2002-06-03
JP2003512491A (ja) 2003-04-02
CZ20021362A3 (cs) 2002-09-11
AU7917500A (en) 2001-04-30
BR0014892A (pt) 2002-06-18
CZ296408B6 (cs) 2006-03-15
PL202081B1 (pl) 2009-05-29
BR0014892B1 (pt) 2011-08-09
CA2388134A1 (en) 2001-04-26
CN1382179A (zh) 2002-11-27
ATE304032T1 (de) 2005-09-15
HU226798B1 (en) 2009-10-28
RU2290417C2 (ru) 2006-12-27
NO327228B1 (no) 2009-05-18
PL354969A1 (en) 2004-03-22
EP1228127B1 (de) 2005-09-07
KR100661035B1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035B1 (ko) 입자상의 발포성 올레핀계 중합체
US20010016610A1 (en) Expandable olefin bead polymers
RU2002113170A (ru) Способные расширяться олефиновые полимеры в форме гранул
JP4128177B2 (ja) 連続気泡成形ポリプロピレン発泡体
JPH04189840A (ja) 重合体発泡粒子の製造方法
US4749725A (en) Production process of pre-foamed particles
US6864298B2 (en) Expandable polyolefin particles
JP350769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US5925686A (en) Production of expanded polyolefin particles
JP2002533505A (ja) 発泡プロピレン重合体ビーズ
US6239185B1 (en) Method for producing expanded polyolefin particles
JPS5940164B2 (ja) 発泡可能な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H07330942A (ja) 帯電防止性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