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886A - 사진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사진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886A
KR20020040886A KR1020027004910A KR20027004910A KR20020040886A KR 20020040886 A KR20020040886 A KR 20020040886A KR 1020027004910 A KR1020027004910 A KR 1020027004910A KR 20027004910 A KR20027004910 A KR 20027004910A KR 20020040886 A KR20020040886 A KR 2002004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subject
unit
image
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726B1 (ko
Inventor
마에다타다스
타무라효우에
아키마마사미치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5984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4088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2002004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8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studio circuitry, devices or equipment, e.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8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studio circuitry, devices or equipment, e.g. television cameras
    • H04N1/0028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studio circuitry, devices or equipment, e.g. television cameras in a video photo booth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21)와, 피사체를 조명하는 조명장치(22)와, 화상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6)와, 외부에서 조작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17)와, 카메라로 촬상하여 얻어진 피사체의 사진을 실지에 프린트하고 사진이 프린트된 실지(33)를 방출하는 프린터(26)를 구비한다. 카메라(21)는 촬상을 위한 렌즈를 아래쪽을 향해서 촬상을 위한 영역(12)의 천정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21)에 의해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참신한 앵글로 촬영된 사진 실(33)을 판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진 자동 판매기{PHOTOGRAPH VENDING MACHINE}
종래, 실(seal)을 위한 종이(이하, 실지라 칭함)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하여 얻어진 사진이 프린트된 것(이하, 사진 실이라 칭함)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가 알려지고 있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피사체를 조명하는 스트로보 등의 조명부와,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와, 촬상을 시작하는 시작 버튼 등의 고객에 의해 조작되는 각종 스위치를 갖는 입력부와,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사진을 실지에 프린트하는 인쇄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통체 내부에 조립되어 있다.
종래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을 위한 앵글을피사체의 정면, 비스듬한 위, 비스듬한 아래의 방향으로 설정하여 다른 앵글에 의해 촬상할 수는 있지만, 피사체를 바로 윗 방향에서 촬상할 수는 없었다. 또한 케이블이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를 사진 실 자동 판매기 통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 임의의 앵글로 피사체를 촬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케이블이 얽히거나 휘감기거나 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를 통체의 바로 위에 고정하고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바로 윗 방향에서 촬상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할 수 있는 사진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게임 센터 등의 오락 시설에 마련되어,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촬상하여 얻어지는 피사체의 사진을 자동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진을 실지(seal paper) 등의 매체에 프린트하고 그 후 해당 매체를 출력하여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 1 및 2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처리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처리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실시 형태 4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 4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처리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개략 구성도.
도 10은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동작을 도시한 처리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의 다른 동작을 도시한 처리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실시 형태 5에 따라 출력되는 사진 실 시트의 1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한 국면에 관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로서,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상(像)에 의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에 의해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른 피사체의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해당 매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인쇄 출력부를 구비한다. 촬상부는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고, 또한 촬상 방향은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한다.
상술한 촬상부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인쇄 출력부는 모노톤 프린터, 세피아(sepia)톤 프린터 또는 컬러 프린트로 구성할 수 있다. 촬상 영역은, 1인 또는 복수인(어느것이나 피사체)이 포즈를 취할 수 있는 촬상 스페이스에 설정할 수 있다. 촬상부의 천정부로의 설치는, 천정부에 매설하여 배치하거나, 천정에 매달아 배치하는 등으로 하여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촬상부는 촬상의 방향을,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하고, 예를들면 그 렌즈(촬상용의 렌즈)를 하측을 향하고, 또한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참신한 앵글로 촬상된 사진이 프린트된 매체를 고객에게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피사체)에 대하여 새로운 촬상 체험을 제공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피사체를 아래로부터 윗 방향으로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를 또한 구비한다. 조명부는 형광등, 백열등 등의 조명 램프나 스트로보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조명부는 촬상 영역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에 배치된다. 따라서 피사체의 신장의 차이나 그 밖의 것에 의한 피사체와 촬상부 사이의 떨어진 거리의 대소에 관계 없이, 균일한 조명 광량(조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촬상부 부근에 있어서,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포즈 확인부를 또한 구비한다. 포즈 확인부는 천정부에 배치되는 미러 또는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한 모니터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피사체)은 자신의 포즈를 포즈 확인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포즈를 취하기 쉽게 된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의 촬상부는 피사체 상(像)의 배율을 조정하는 배율 조정 기능을 가져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는 줌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신장의 차이나 그 밖의 것에의한 피사체와 촬상부 사이의 떨어진 거리의 대소에 맞추어 확대/축소하여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얼굴을 크게 확대하여 촬상하거나 배경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 피사체 상을 축소하여 촬상할 수 있게 되어 고객은 더욱 만족한다.
또한, 포즈 확인부는 모니터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확대/축소하여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고객(피사체)은 촬상되는 자신의 사이즈를 포즈 확인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사이즈에 따르는 촬상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화상이나 필요 사항(조작 순서의 메시지를 포함한다)을 표시하는 표시부,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장치 또는 스위치에 의한 입력장치로 구성되는 입력부 및 각 부를 제어하는 CPU(중앙처리장치의 약칭) 등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입력부는 고객에 의해 조작되고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로서, 촬상부, 입력부 및 인쇄 출력부를 구비한다. 촬상부는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의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상에 의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입력부는 외부 조작되어 정보를 입력한다. 인쇄 출력부는 촬상부에 의해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피사체의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매체를 외부에 출력한다. 촬상부는,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며 또한 촬상의 방향이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촬상부와, 촬상 영역의 측부에 설치되며 또한 촬상의 방향이 상기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과는 다른방향에 대응하는 제2 촬상부를 갖는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촬상부 및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이 능동화 된다.
제1 촬상부 및 제2 촬상부의 각각은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촬상부 및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이 능동화 되는 것은, 고객이 입력부를 조작하여 제1 촬상부 및 제2 촬상부중 어느 소망하는 쪽을 선택하고, 선택된 쪽을 능동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인 능동화는 전환 회로 등의 전환 장치를 통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촬상부중 어느것이 선택적으로 능동화 되더라도 적정한 촬상 조건을 확보할 수 있어, 고객은 바로 윗 방향 이외로부터의 앵글에 의한 촬상과 바로 위에서의 앵글에 의한 촬상중 어느 소망하는 쪽을 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제1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위해 피사체를 조명하는 제1 조명 상태와, 제2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위해 피사체를 조명하는 제2 조명 상태를 갖는 조명부와, 전환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전환부는,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및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을 능동화 하고, 또한 조명부를 제1 및 제2 조명 상태중 어느 한쪽에 설정한다. 조명부는 형광등, 백열 등 등의 조명 램프나 스트로보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입력부의 조작에 의한 선택은, 제1 촬상부와 제1 조명 상태를 이용하는 제1 상태와, 제2 촬상부와 제2 조명 상태를 이용하는 제2 상태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화상이나 필요 사항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조명부는 촬상 영역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에 배치된 마루부 조명부와, 촬상 영역의 측부에 마련된 측부 조명부를 가지며, 제1 및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이며 또한 마루부 및 측부 조명부 중 어느 한쪽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거하여 능동화 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입력부의 조작에 의한 선택은, 제1 촬상부와 마루부 조명부를 사용하는 상태와, 제2 촬상부와 측부 조명부를 사용하는 상태중 어느 소망하는 쪽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제1 촬상부는 피사체 상의 배율을 조정하는 배율 조정(줌) 기능을 가져도 좋고, 제2 촬상부가 해당 배률 조정 기능를 가져도 좋다. 제1 촬상부 및/또는 제2 촬상부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을 포함하며, 쌍방이 함께 줌 기능을 구비하여도 좋다. 따라서 신장의 차이나 그 밖의 것에 의한 피사체와 촬상부 사이의 떨어진 거리의 대소에 맞추어 피사체 상을 확대/축소하여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얼굴을 확대하여 촬상하거나, 배경을 많이 확보하도록 피사체 상을 축소하여 촬상할 수 있게 되어, 고객은 더욱 만족한다.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기는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포즈 확인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좋다. 포즈 확인부는, 제1 촬상부 및 제2 촬상부 각각의 부근에 마련된다. 포즈 확인부는, 천정부에 배치되는 미러 또는 촬상부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모니터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피사체)은 자신의 포즈를 포즈 확인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희망하는 포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관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은,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방법으로서, 촬상 스텝과 인쇄 출력 스텝을 구비한다. 촬상 스텝에서는,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의 피사체를 미리 준비된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피사체 상에 의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인쇄 출력 스텝에서는, 촬상 스텝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피사체의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매체를 외부에 출력한다. 촬상부는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고, 또한 촬상의 방향은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관한 사진 프린트용의 매체는,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으로 사진을 프린트시키기 위한 또는 사진이 프린트된 매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관한 프로그램 기억 매체는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계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관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에서는, 피사체를 바로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참신한 앵글로서의 사진 실을 얻을 수 있다. 이하, 각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1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예를 들면, 오락 시설에 설치되는 바와 같은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개략 구성이 도시된다. 도 2에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제어 회로가 도시된다. 도 1에 있어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는 촬상 영역(12)을 형성하는 프레임(13)과 사진 실기(14)(장치 본체)를 구비한다. 사진 실기(14)의 통체(15)는 접객(接客)을 위한 접객면(15A)을 가지며 접객면(15A)은 촬상 영역(12)과 대향하도록 마련된다.
통체(15)의 접객면(15A)의 상부 중앙에는, 각종 정보 및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6)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6)는 CRT(음극선관)에 의해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에는, 조작 순서의 메시지,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에 겹쳐지는 낙서 등의 편집을 위한 화상 등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에 대응하여 정보의 입력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디스플레이(16)와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장치(17)(도 2 참조)는, 화면에 터치 패널이 겹쳐지도록,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입력장치(17)에는 촬상(셔터 조작)을 지시하기 위해 조작되는 시작 버튼(도시 생략) 등의 각종 스위치나 버튼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6)의 하부의 단차 패널 부분(또는 경사된 패널 부분)에는 요금(주화)을 투입하는 화폐 투입구(18)와, 사진 실을 방출하는 사진 실 방출구(19)가 배치되고, 화폐 투입구(18)의 하부의 수직 패널 부분에는 화폐의 반환구(20)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영역(12)의 프레임(13)으로 구성되는 천정부에는, 촬상 영역(12) 내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해, 예를들면 디지털 카메라(21)가 배치되어 있다. 천정부는 프레임(13)에 대하여 천정 골조를 마련하거나, 또는 천정판을 뻗어 설치하여 구성하면 좋다. 디지털 카메라(21)는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12)의 피사체인 1인 또는 복수인의 고객을 촬상한다. 촬상 영역(12)에서는 1인 또는 복수인의 고객이 포즈를 취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21)는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하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21)의 촬상을 위한 렌즈를 아래쪽을 향해 설치된다. 디지털 카메라(21)의 촬상 영역(12)의 천정부에의 부착은 도시한 바와 같은 천정 중앙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를 그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 가능하면, 천정 중앙부에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따라서 촬상 영역(12) 내에 위치하는 고객(피사체)은, 얼굴을 천정 방향으로 향할 뿐으로, 신장에 관계 없이 디지털 카메라(21)는 항상 얼굴을 중심으로 하여 촬상할 수 있다.
촬상 영역(12)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에는, 피사체의 발밑에서부터 윗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여 피사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명장치(22)로서는 형광등, 백열등 등의 조명 램프나 스트로보에 의한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편의상, 조명장치(22)는 마루부의 좌우 양 사이드에 마련된다.
디지털 카메라(21)의 부근 즉 천정부에는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미러(23)가 디지털 카메라(21)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미러(23)는 상이 비치는 면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미러(23)의 크기, 형상은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형상이면 좋다.
여기서 미러(23)는 피사체의 포즈 확인용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조명장치(22)로부터 조사된 광은 미러(23)로 반사됨으로써 보다 조명 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그러므로 소비 전력이 저감되는 동시에, 조명을 위한 제어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촬상 영역(12)에는 조명장치(22)를 점등/소등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부로서는, 예를들면 온/오프 조작됨에 따라 조명장치(22)를 점등/소등시키기 위한 스위치 등이여도 좋다. 또는, 촬상 영역(12)에 피사체로서의 인간이 들어간 것/나간 것을 적외선 센서 등의 검지부에서 검지한 것에 따라 조명장치(22)를 점등/소등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2를 참조하여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는, 자신을 집중적으로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CPU(30)와, CPU(30)에 접속되는 전술한 디스플레이(16), 입력장치(17), 디지털 카메라(21) 및 조명장치(22) 및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ROM(리드 온리 메모리의 약칭)(25)과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약칭)(27), 화폐 처리장치(24), 시트 형상의 실에 사진을 프린트하는 프린터(26)및 하드 디스크(32)를 갖는다. 프린터(26)에 의해 사진이 프린트된 시트 형상의 실(이하, 사진 실 시트이라 한다)(33)은 고객에게 넘겨주기 위해 사진 실 방출구(19)로부터 방출된다. RAM(27)에는 또한 화상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CPU(30)는, 입력장치(17)로부터의 입력 신호(171)를 수리하고, 화폐 처리장치(24)와 처리 신호(241)를 입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21)로부터 화상 데이터(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211)를 입력하고, 디지털 카메라(21)에 줌 동작을 지시하는 줌 신호(212)나 셔터 신호(213)를 출력한다. 셔터 신호(213)는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이 온 조작되었을 때에 출력된다. 또한 CPU(30)는, 조명장치(22)에 조명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221)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6)에 화상이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RGB 신호(Red, Green, Blue의 광의 삼원색의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신호(161)를 출력하고, 프린터(26)에 프린트하여야 할 화상 데이터(이하, 프린트 화상 데이터라 한다)(261)를 출력한다.
CPU(30)는 입력 신호(171), 처리 신호(241) 및 화상 데이터(211)에 의거하여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1), 조명장치(22), 디스플레이(16), 프린터(26) 및 화폐 처리장치(24)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사진 실 자동 판매 방법을 CPU(30)에 실행시키기 위한 소정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32)에 미리 기억된다. CPU(30)는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기동된 후에 하드 디스크(32)의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화폐 처리장치(24)는 도 1의 통체(15)에 내장되고, 화폐 투입구(18)로부터 화폐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 투입된 화폐의 진위 및 금액 종류 등을 판정하고, 그 결과, 거스름돈이나 가짜 화폐를 반환구(20)로부터 반환한다.
프린터(26)는 도 1의 통체(15)에 내장되고, 디지털 카메라(21)로 촬상하여 얻어진 피사체에 의한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를 시트 형상 실에 프린트하고, 사진 실 시트(33)가 출력된다. 프린터(26)는 예를들면 컬러 프린트로 하고 있지만, 컬러 프린터 대신에 모노톤이나 세피아 등의 단색으로서 프린트하여도 좋다.
디지털 카메라(21)는 CPU(30)로부터 주어지는 셔터 신호(213)를 입력하면, 응하여 피사체를 촬상한다. 조명장치(22)는 CPU(30)로부터의 조명 제어 신호(221)에 의해 기동된다. 단, 조명장치(22)로서 스트로보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로보 조명장치는 셔터 신호(213)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21)의 셔터 동작과 동시에 발광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점에 관해서는 이하에 기술하는 각각의 동작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디스플레이(16)는, 디지털 카메라(2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211)를 기초로 CPU(30)에 의해 얻어진 RGB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RGB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기능을 갖는다. 모니터 기능에 의해 피사체는 자신의 포즈를 디스플레이(16)의 화면에서 리얼 타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동작을 도 3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 3의 스텝 S7의 처리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다.
우선 피사체로서의 1인 또는 복수인의 고객이 촬상 영역(12)에 들어가고, 화폐 투입구(18)에 화폐를 투입하면, 화폐 처리장치(24)로부터 처리 신호(241)가 CPU(30)에 입력된다. 스텝 S1에서, CPU(30)는 입력된 처리 신호(241)에 의거하여 화폐가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투입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에만 다음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각종 신호(161)를 출력하여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표시 메시지에 의해, 피사체에 대하여 천정 촬상 모드(천정의 디지털 카메라(21)를 사용하여 촬영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촉구하고, 또한 촬영을 위한 포즈를 결정한 후에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도시 생략)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한다. 피사체는, 포즈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천정부에 마련된 미러(23)로 자신의 포즈를 확인할 수 있다. 시작 버튼이 온 조작되면 촬상이 지시된다. 피사체는, 스텝 S2에서 천정 촬상 모드를 선택하는 동시에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면, 처리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또한, 천정 촬상 모드의 선택 조작을 생략하고, 시작 버튼의 온 조작만으로 스텝 S3으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S3에서, CPU(30)는 조명장치(22)에 대하여 조명 제어 신호(221)를 출력하여, 도 1의 좌우의 조명장치(22)를 동시 기동시킨다. 이로 인해,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가 조명된다.
다음 스텝 S4에서, CPU(30)는 디지털 카메라(21)에 셔터 신호(213)를 출력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21)는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한다. CPU(30)는 디지털 카메라(21)로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211)를 입력하기 때문에, 스텝 S5에서 화상 데이터(211)에 의거하는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를 프린터(26)에 출력한다. 프린터(26)는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를 입력하여 시트 형상의 실에 프린트하기 때문에, 피사체의 화상에 의한 사진 실 시트(33)가 얻어진다.
스텝 S6에서, CPU(30)는 사진 실 방출구(19)의 내부에 마련된 반출장치(도시 생략)를 구동하여, 사진 실 시트(33)를 사진 실 방출구(19)로부터 방출한다.
이와 같이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21)에 의해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은, 참신한 앵글로 촬상한 사진이 프린트된 사진 실을 얻을 수 있어,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
조명장치(22)는 촬상 영역(12)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에 배치된 것이기 때문에, 피사체의 신장의 차이나 그 밖의 것에 의한 피사체와 디지털 카메라(21) 사이의 떨어진 거리의 대소에 관계 없이 균일한 조명 광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21) 부근에는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미러(23)가 마련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희망하는 포즈를 취하기 쉽게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2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디지털 카메라(21)가 또한 줌 기능을 갖는다. 디지털 카메라(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30)로부터 셔터 신호(213)와 함께 줌 신호(212)를 입력되고, 입력된 줌 신호(212)에 의거하여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동작을 행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동작을, 도 3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앞에서의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스텝 S3과 스텝 S4 사이에 새롭게 스텝 S7의 처리가 가해지고, 스텝 S2에서는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할 수 없게 된다. 스텝 S7에서는,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표시된 메시지는, 피사체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하나를 입력장치(17)로 조작하도록 촉구하는 동시에, 포즈 결정시에는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한다. 피사체는 메시지에 따라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입력장치(17)를 통하여 행하기 때문에, 해당 조작 내용을 나타낸 입력 신호(171)는 CPU(30)에 주어진다.
CPU(30)는 입력 신호(171)에 의거한 줌 신호(212)를 디지털 카메라(21)에 주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21)는 주어진 줌 신호(212)에 의거하여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동작을 한다. 또한,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모니터 기능에 의한 화면이나 미러(23)에 비치는 상을 확인하면서 촬상을 위한 포즈를 결정하면,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처리는 다음 스텝 S4로 이행한다.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의 표시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소망의 포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또는 줌 아웃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는, 입력장치(17)와는 별도로 마련된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전환 스위치 등의 스위치로 구성하고, 이들 스위치는 디지털 카메라(21)의 부근 등 피사체가 조작하기 쉬운 범위에 마련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디지털 카메라(21)는 줌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고객(피사체)은 자신의 신장에 맞추어 상을 확대/축소하여 촬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확대 촬상으로 얼굴을 크게 촬상하거나, 축소 촬상으로 배경을 많이 확보하여 촬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4, 도 5 및 도 6에는 본 실시 형태 3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의 구조, 제어 회로 블록 및 처리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도 4와 도 5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와 도 1과 도 2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를 비교하여 다른 점은,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는 미러(23) 대신에 모니터 장치(28)를 갖는 점이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의 다른 부분은 도 1 또는 도 2의 그것과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모니터 장치(2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영역(12)의 천정부에서의 디지털 카메라(21)의 부근에서, 그 화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모니터 장치(28)는 모니터 모드로서 동작할 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1)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어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211)에 의한 비디오 신호(214)가 주어지기 때문에, 주어진 비디오 신호(214)에 의거한 화상을 리얼 타임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자신의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3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의 동작을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 내지 S3은, 전술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다. 단, 스텝 S2에서는 천정 촬영 모드의 선택 조작만이 행하여지고, 온(ON) 조작은 행하여지지않는다. 그 후, 스텝 S3a로 이행한다.
스텝 S3a에서, CPU(30)는 디지털 카메라(21)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21)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214)는 모니터 장치(28)에 주어진다. 따라서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에는 주어진 비디오 신호(214)에 의한 1인 또는 복수인의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으로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면서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6)에는 포즈 결정시에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피사체는, 포즈를 결정하면,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따라 시작 보턴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처리는 스텝 S4로 이행한다. 스텝 S4 이후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아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에는, 디지털 카메라(21) 부근에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28)가 마련되기 때문에, 고객(피사체)은 희망하는 포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의 디지털 카메라(21)는 또한 줌 기능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디지털 카메라(21)는, CPU(30)으로부터 줌 신호(212)가 주어지면, 주어진 줌 신호(212)에 의거하여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스텝 S7의 처리가 추가된다. 스텝 S7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때,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에는 비디오 신호(214)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16)에는 각종 신호(161)중의 RGB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 피사체의 상이 줌 인 또는 줌 아웃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등의 화면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소망하는 화상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는, 화면을 보면서 소망하는 촬상의 포즈 및 사이즈를 결정하면, 디스플레이(16)의 표시 메시지에 따라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스텝 S4로 이행하고, 전술과 마찬가지로 처리가 행하여진다.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또는 줌 아웃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는 입력장치(17)와는 별도로 모니터 장치(28)에 터치 패널을 겹처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전환 스위치 등의 스위치로서, 모니터 장치(28)의 부근 또는 촬상 영역(12)의 측면 등 피사체가 모니터 장치(28)로 자신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구성하여도 좋다.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손에 쥔 원격 조작장치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A)는,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또는 줌 아웃 동작에 연동하여 모니터 장치(28)에 피사체 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고객(피사체)은 희망하는 포즈 및 화상의 사이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7과 도 8은 본 실시 형태 4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의 제어 회로 블록도와 플로우차트이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부의 디지털 카메라(21)와 그 부근에 마련된 모니터 장치(28)를 사용한 구조가 채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실 이동 판매기(11B)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신호 분배기(29)를 갖는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의 다른 부분은 전술한 것과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CPU(30)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161)중의 RGB 신호는 신호 분배기(29)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6)와 모니터 장치(28)에 주어지기 때문에, 모니터 장치(28)와 디스플레이(16)는 주어진 RGB 신호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각각 표시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의 동작을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1까지의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지고, 다음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피사체에 대하여 천정 촬상 모드를 선택하도록 촉구하기 때문에, 피사체는 입력장치(17)를 조작하여 천정 촬상 모드를 선택하면 다음 스텝 S3의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스텝 S3b에서, CPU(30)는 디지털 카메라(21)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고, 디지털 카메라(21)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211)를 RGB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분배기(29)를 통하여 모니터 장치(28)와 디스플레이(16)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모니터 장치(28)의 화면과 디스플레이(16)의 쌍방에는, 디지털 카메라(21)에 의해 촬상되어 얻어진 1인 또는 복수인의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의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의해, 포즈 결정시에는 입력장치(17)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되기 때문에, 포즈를 결정하면,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한다.
시작 버튼이 온 조작되면, 스텝 S4 내지 S6의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 4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에는, 디지털 카메라(21) 부근에 피사체가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28)가 마련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자신의 포즈를 모니터 장치(28)에 표시되는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소망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B)의 디지털 카메라(21)는 줌 기능을 가저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8의 스텝 S3b와 스텝 S4 사이에 스텝 S7이 더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3b에서 모니터 장치(28)와 디스플레이(16)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면, 스텝 S7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피사체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한 조작을 하도록 촉구한다. 피사체는, 메시지에 따라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소망하는 쪽으로 조작을 하기 때문에, 해당 조작 내용을 나타낸 입력 신호(171)가 CPU(30)에 주어진다. CPU(30)는 주어진 입력 신호(171)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21)에 줌 신호(212)를 출력하여 디지털 카메라(21)를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동작을 시킨다. 이 때, 모니터 장치(28)의 화면 및 디스플레이(16)의 각각은 피사체의 화상이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동작에 따라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의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16)로 자신의 화상의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모니터 장치(28)의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고 소망의 포즈 및 소망 화상의 사이즈를 결정하면, 피사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에 따라서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이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S4 내지 S6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21)의 줌 인 또는 줌 아웃를 조작하는 부분은 입력장치(17)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조작부분은, 입력장치(17)에 더하여 모니터 장치(28)에 터치 패널을 겹처서 구성하여도 좋고,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전환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로서 구성하고, 모니터 장치(28)의 부근 등 피사체가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으로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1)가 줌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에 표시되는 자신의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희망하는 포즈 및 화상의 사이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9,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형태 5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구조의 사시도, 제어 회로 블록도 및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촬상 영역(12)의 천정부에 그 렌즈를 아래쪽을 향해 제1 촬상부로서 제1 디지털 카메라(21A) 및 제1 디지털 카메라(21A) 부근에 피사체가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모니터 장치(28)를 구비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또한 제1 디지털 카메라(21A)와 대향하도록 촬상 영역(12)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단, 도 9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마루부의 예를 도시한다)의 좌우양 사이드에 제1 조명부로서의 제1 조명장치(22A)를 구비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또한 전술한 통체(15)의 접객면(15A)에서의 상부 중앙의 위쪽에 제2 촬상부로서 제2 디지털 카메라(21B)를, 그 아래쪽에 디스플레이(16)를 구비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또한 제2 디지털 카메라(21B)와 디스플레이(16)의 사이를 막은 접객면(15A)의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을 지향하도록 제2 조명부로서의 제2 조명장치(22B)를 마련하고 있다. 도 9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의 다른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의 천정부의 모니터 장치(28)를 미러(23)로 대체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정부의 제1 디지털 카메라(21A)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모드를 천정 촬상 모드라 하고, 제2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모드를 보통 촬상 모드라고 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제어 회로에 관해 설명한다.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디스플레이(16), 입력장치(17), 제1 및 제2 디지털 카메라(21A 및 21B), 제1 및 제2 조명장치(22A 및 22B), 화폐 처리장치(24), ROM(25), 프린터(26), RAM(27), 모니터 장치(28), CPU(30), 전환 장치(31) 및 하드 디스크(3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디지털 카메라(21A 및 21B)는 CPU(30)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211A 및 211B)를 각각 출력하고, 전환 장치(31)로부터 줌 신호(212A 및 212B) 및 셔터 신호(213A 및 213B)가 각각 입력된다. 제1 디지털 카메라(21A)는 모니터 장치(28)에 비디오 신호(214)를 출력한다.
전환 장치(31)는 CPU(30)로부터 선택 신호(311)가 입력되고, 입력된 선택 신호(311)에 의거하여 줌 신호(212A)(셔터 신호(213A)) 및 줌 신호(212B)(셔터 신호(213B))중 어느 한쪽을 출력한다. 따라서 전환 장치(31)는 선택 신호(311)에 의해 제1 및 제2 디지털 카메라(21A 및 21B)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구동(능동화)한다. 마찬가지로, 전환 장치(31)는 CPU(30)로부터 선택 신호(311)가 입력되고, 입력된 선택 신호(311)에 의거하여 조명 제어 신호(221A 및 221B)중 어느 한쪽을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 신호(311)에 의해 제1 및 제2 조명장치(22A 및 22B)중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전환 장치(31)는 입력장치(17)의 조작에 의거하여 디지털 카메라(21A와 21B)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고, 또한 조명장치(22A와 22B)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환 장치(31)는 CPU(30)로부터의 선택 신호(311)(천정 촬상 모드 선택 신호와 보통 촬상 모드 선택 신호중 어느 한쪽을 포함한다)에 의해 제1 디지털 카메라(21A)와 이것에 대응하는 마루측의 제1 조명장치(22A)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제1 상태와, 관체(15)측의 제2 디지털 카메라(21B)와 이것에 대응하는 통체(15)측의 제2 조명장치(22B)를 선택하여 구동하는 제2 상태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천정 촬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1 디지털 카메라(21A)에 의해 피사체를 바로 윗 방향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211A)가 얻어질 수 있고, 보통 촬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2 디지털 카메라(21B)에 의해 피사체를 바로 위 이외의 방향, 예를 들면 피사체의 정면, 비스듬한 위 또는 비스듬한 아래의 방향(이하, 보통 앵글이라고 칭함)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211B)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다른 구성에 관해서는 앞에서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음으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인 고객은 천정 촬영 모드 및 보통 촬영 모드중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촬상하는 동작을 소정 회수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한 회수를 카운트하기 위해 변수(SC)가 이용되고 있다.
우선, 피사체로서의 1인 또는 복수인의 고객이 도 9에 도시한 촬상 영역(12)에 들어가고, 화폐 투입구(18)에 화폐를 투입하고, 화폐 처리장치(24)로부터 처리 신호(241)가 CPU(30)에 주어지면, 스텝 Q1에서, 전술한 스텝 S1과 같은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 후, CPU(30)는, 스텝 Q1a에서 변수(SC)로 0을 설정함에 의해 리셋한 후, 스텝 Q1b에서 변수(SC)를 금회의 모드가 선택된 것을 카운트하기 위해서 +1 잉크리멘트하고, 스텝 Q2로 이행한다.
스텝 Q2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피사체에 대하여 천정 촬상 모드 및 보통 촬상 모드중 어느 하나를 입력장치(17)를 조작하여 선택하도록 촉구한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 선택에 있어서는, 천정의 제1 디지털 카메라(21A)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211A)에 의한 피사체의 화상과, 통체(15)의 제2 디지털 카메라(21B)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211B)에 의한 피사체의 화상의 쌍방을 디스플레이(16)에 표시하고, 모드 선택을 촉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고객은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메시지 또는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의거하여 어느 소망하는 모드를 선택한다. 입력장치(17)로부터 출력된 선택 결과를 나타낸 입력 신호(171)는 CPU(30)에 주어진다. CPU(30)는 주어진 입력 신호(171)에 의거하여 천정 촬상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때에는 처리는 스텝 Q3으로 이행하고, 보통 촬상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때에는 처리는 스텝 Q5로 이행한다.
우선 제1 상태에 상당하는 스텝 Q3에서는, CPU(30)는 천정 촬상 모드가 선택된 취지의 선택 신호(311)를 전환 장치(31)에 주기 때문에, 전환 장치(31)는 주어진 선택 신호(311)에 의거하여 조명 제어 신호(221A)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한 마루부(또는 마루부 부근)에 설치된 좌우의 각 제1 조명장치(22A)는 동시에 기동하여,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에 대하여, 발밑에서부터 위를 향하여 광을 조사한다.
스텝 Q3에서는, CPU(30)는 제1 디지털 카메라(21A)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기 때문에, 제1 디지털 카메라(21A)로부터의 비디오 신호(214)는 모니터 장치(28)에 주어진다. 이로 인해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에는, 주어진 비디오 신호(214)에 의거하여 1인 또는 복수인의 피사체를 바로 윗 방향에서 촬상하여 얻어지는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에서 자신의 상을 확인하면서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에는 포즈를 결정한 때에는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고객은, 포즈를 결정한 때에는,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따라서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다음 스텝 Q4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제1 디지털 카메라(21A)가 모니터 모드로 구동되었을 때의 화상은 모니터 장치(28)에만 표시된다고 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16)에도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스텝 Q4에서, CPU(30)는 시작 버튼이 온 조작된 것을 나타낸 입력 신호(171)가 주어지면, 선택 신호(311)를 이용하여 전환 장치(31)를 통하여 제1 디지털 카메라(21A)에 셔터 신호(213A)를 출력하기 때문에, 응하여 제1 디지털 카메라(21A)는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211A)를 출력한다.
제2 상태에 상당하는 스텝 Q5에서는, CPU(30)는 보통 촬상 모드가 선택된 취지의 선택 신호(311)를 전환 장치(31)에 주기 때문에, 전환 장치(31)는 주어진 선택 신호(311)에 의거하여 조명 제어 신호(221B)를 출력한다. 이로 인해, 도 9에 도시한 각 제1 조명장치(22B)는 동시에 기동하여,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의 정면에 광을 조사한다.
스텝 Q5에서, CPU(30)는 제2 디지털 카메라(21B)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21B)로부터 화상 데이터(211B)가 입력되고, 입력된 화상 데이터(211B)에 의거하여 RGB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신호(161)를 디스플레이(16)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16)에는, 주어진 RGB 신호에 의거하여 1인 또는 복수인의 피사체를 보통 앵글로 촬상한 화상이 표시된다.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6)에는, 주어진 각종 신호(161)에 의거하여 포즈 결정시에는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도록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피사체는 포즈를 결정하면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한다.
이 스텝 Q6에서, CPU(30)는 시작 버튼이 온 조작된 것을 나타낸 입력 신호(171)가 주어지면, 선택 신호(311)를 이용하여 전환 장치(31)를 통하여 제2 디지털 카메라(21B)에 셔터 신호(213B)를 출력하기 때문에, 따라서 제2 디지털 카메라(21B)는 피사체를 보통 앵글로서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211B)를 출력한다.
CPU(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촬상되어 주어진 화상 데이터(211A 또는 211B)를, 일단, RAM(27)에 저장한다. 그 후, 스텝 Q6a로 이행한다.
스텝 Q6a에서, CPU(30)는 변수(SC)의 값이 소정 회수에 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소정 회수에 달하여 있으면, 소정 회수의 촬상은 종료하였기 때문에, 스텝 Q7로 이행하지만, 달하지 않으면, 스텝 Q1B의 처리로 되돌아가, 이후의 처리가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따라서 소정 회수의 촬상이 종료하였을 때에는, RAM(27)에는 소정 회수분에 상당하는 화상 데이터(211A 또는 211B)가 저장되어 있다.
스텝 Q7에서는 CPU(30)는 RAM(27)으로부터 소정 회수분의 화상 데이터(211A 또는 211B)를 판독하여, 프린터(26)에 대하여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로서 준다. 프린터(26)는 주어진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에 의한 사진을 시트 형상의 실에 프린트한다. 이로 인해 사진 실 프린트(33)가 얻어진다. 스텝 Q8에서 CPU(30)는 사진 실 방출구(19)의 내부에 마련된 반출 장치를 구동하여, 프린터(26)에서 얻어진 사진 실 시트(33)를 사진 실 방출구(19)로부터 방출한다. 이로써, 피사체인 고객은 자신의 사진이 프린트된 사진 실 시트(33)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는, 고객(피사체)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제1 디지털 카메라(21A)와 제1 조명장치(22A)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제1 상태와, 제2 디지털 카메라(21B)와 제2 조명장치(22B)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제2 상태중 어느 소망하는 쪽으로 전환한다. 이 결과, 어떠한 상태가 선택되더라도 적정한 조명조건을 확보할 수 있어, 고객은 보통 앵글에 의한 촬상과 바로 위에서의 앵글에 의한 촬상중 어느 한쪽을 소망에 따라서 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제1 및 제2 디지털 카메라(21A 및 21B)는 줌 기능을 가져도 좋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 장치(31)로부터는, 제1 디지털 카메라(21A)에 대하여 셔터 신호(213A) 및 줌 신호(212A)가 주어지고, 제2 디지털 카메라(21B)에 대하여 셔터 신호(213B) 및 줌 신호(212B)가 주어진다.
줌 기능을 갖은 제1 및 제2 디지털 카메라(21A 및 21B)를 구비한 경우의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C)의 동작에 관해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스텝 Q1 내지 Q2까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2에서 천정 촬영 모드가 선택되어 제1 상태에 대응의 스텝 Q3로 이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의 제1 조명장치(22A)는 동시에 기동되어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를 조명한다.
스텝 Q3에서는, CPU(30)는 제1 디지털 카메라(21A)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21A)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214)에 따르는 피사체의 화상은 모니터 장치(28)의 화면에 표시된다.
다음 스텝 Q4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피사체에 제1 디지털 카메라(21A)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조작을 입력장치(17)에서 행하도록 촉구한다. 피사체는 메시지에 따라서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조작을 행하기 때문에, 해당 조작 내용을 나타낸 입력신호(171)는 CPU(30)에 주어진다. CPU(30)는 주어진 입력 신호(171)에 의거하는 선택 신호(311)를 출력하기 때문에, 전환 장치(31)로부터는 선택 신호(311)에 따르는 내용(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 내용)의 줌 신호(212A)가 제1 디지털 카메라(21A)에 출력된다. 따라서 제1 디지털 카메라(21A)는 주어진 줌 신호(212A)에 따라서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동작을 행한다. 줌 신호(212A) 출력시에는, 비디오 신호(214)에 의거하여 모니터 장치(28)에서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 및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도 줌 인 또는 줌 아웃된다. 피사체는 모니터 장치(28)에서 표시되는 자신의 화상 또는 디스플레이(16)로 표시되는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조작을 함으로써, 소망하는 화상의 사이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1A)의 줌 인 또는 줌 아웃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입력장치(17)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입력장치(17)에 더하여, 해당 조작부를 모니터 장치(28)에 터치 패널을 겹처서 구성하여도 좋고,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전환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로 구성하고, 모니터 장치(28)의 부근 등 피사체가 모니터 장치(28)로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마련하여도 좋다.
피사체는, 이렇게 하여 화상의 사이즈 및 포즈를 결정하면,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따라서 입력장치(17)의 시작 버튼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스텝 Q4 이후의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2 상태에 상당하는 스텝 Q5로 이행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스텝Q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쪽의 제2 조명장치(22B)는 동시 기동되어, 촬상 영역(12) 내의 피사체에 광을 조사한다.
이 스텝 Q6에서, CPU(30)는 제2 디지털 카메라(21B)를 모니터 모드로서 구동하고, 디지털 카메라(21B)로부터의 화상 데이터(211B)를 RGB 신호로 변환하고, RGB 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신호(161)를 디스플레이(16)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16)에는 1인 또는 복수인의 피사체의 RGB 신호에 따르는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소망하는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 Q5a에서, CPU(30)는 디스플레이(16)에 조작 순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피사체에 디지털 카메라(21B)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조작을 입력장치(17)에서 행하도록 촉구한다. 피사체는 메시지에 따라서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한 조작을 하면, 조작 내용을 나타낸 입력 신호(171)는 CPU(30)에 주어지기 때문에, CPU(30)는 주어진 입력 신호(171)에 따르는 선택 신호(311)를 전환 장치(31)에 준다. 전환 장치(31)는 주어져 선택 신호(311)에 따르는 줌 신호(212B)를 제2 디지털 카메라(21B)에 출력하기 때문에, 제2 디지털 카메라(21B)는 주어진 줌 신호(212B)에 따라서 줌 인 및 줌 아웃중 어느 한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이 때, 디스플레이(16)에서는 각종 신호(161)중의 RGB 신호에 따라서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도 줌 인 또는 줌 아웃하여 표시된다.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입력장치(17)를 조작함으로써 자신의 소망하는 화상의 사이즈를 간단히 결정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21B)의 줌 인 또는 줌 아웃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는 입력장치(17)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로터리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또는 전환 스위치 등의 각종 스위치로 구성하고, 디스플레이(16)의 부근 등 피사체가 디스플레이(16)로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피사체는 자신의 소망하는 포즈 및 화상의 사이즈를 결정하면,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된 메시지에 따라서 입력장치(17)의 시작 보턴을 온 조작하기 때문에, 스텝 Q6 이후의 처리가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출력되는 사진 실 시트(33)의 1예가 도 13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실 시트(33)에는 천정 촬상 모드와 보통 촬상 모드가 혼재한 경우의 프린트 화상 데이터(261)에 의한 복수의 사진이 프린트되어 있다. 따라서 고객은 천정 촬상 모드에 의한 바로 윗 방향에서 찍은 사진과 보통 촬상 모드에 의한 보통 앵글(예를들면, 정면 방향)로 찍은 사진을 한번에 즐길 수 있다. 물론, 어느 한쪽 모드만에 한정하여 촬상 동작이 행하여져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피사체를 바로 윗 방향에서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신장에 관계 없이 얼굴을 중심으로 확실히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가 복수인이며, 신장이 가지각색이더라도 각 사람을 얼굴을 중심으로 확실히 촬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사체가 되는 고객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줄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의 소망에 따라, 동일 촬상 모드로 소정 회수, 예를들면 4회 또 6회 등 연속하여 촬상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 소정회수는 고객이 임의로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에 앞서서, 고객은, 사진의 배경이나 주위에 그려지는 모양, 사진의 상에 겹처서 그려지는 문자나 도형 등을 입력장치(17)를 조작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13과 같이 보다 즐길 수 있는 사진 실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에 의한 사진이 프린트되는 매체는 시트 형상의 실지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상 영역(12)을 주위에서 둘러싸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는 리플렉스판을 구성하는 부재와 동일 또는 개략 동일한 흰 천 등(반사 부재)을 이용하여, 광의 반사에 의해 음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6)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나타내여지는 플로우차트에서 도시된 순서를 포함하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11)(11A, 11B, 11C)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순서를 CPU(30)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는,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된다. 이 기억 매체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 내부의 하드 디스크(32)로 구성하여도 좋고, CD(Compact Disk), DVD(Digital Versatile Disk), FD(Flexible Disk), MO(Magneto Optical Disk), Zip,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removable hard disk), IC카드 등의 도시되지 않는 외부 기억 매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외부 기억 매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에는, 외부 기억 매체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장착된 외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CPU(3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기억 매체 구동장치(도시 생략)가 마련된다. 기억 매체 구동장치에 장착된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RAM(27) 등의 소정 영역에 인스톨된 후 CPU(30)에 의해 실행되던지, 직접 CPU(30)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상술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는 인터넷 등의 각종의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RAM(27) 등의 소정 영역에 다운로드되어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진 실 자동 판매기는 통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모뎀 등의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어디까지나 예시이고 본 발명을 어떠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Claims (14)

  1.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11)에 있어서,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12)의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상에 의한 화상 데이터(211)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21)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상기 피사체의 상기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상기 매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인쇄 출력 수단(19, 26)과, 상기 촬상 수단의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피사체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의 방향에 대응한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포즈 확인 수단(23, 28)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촬상 방향은, 상기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를 아래로부터 윗 방향으로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2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즈 확인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수단(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피사체 상(像)의 배율을 조정하는 배율 조정 수단(S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피사체 상의 배율을 조정하는 배율 조정 수단(S7)을 가지며,
    상기 모니터 수단은, 상기 배율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상기 배율에 따르는 크기의 상기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6.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12)의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피사체 상에 의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21A, 21B)과, 외부 조작되어 정보(171)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17)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상기 피사체의 상기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상기 매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인쇄 출력 수단(19, 26)과, 포즈 확인 수단(28, 16)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설치되고, 또한 촬상의 방향이 상기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촬상부(21A)와,상기 촬상 영역의 측부에 설치되고, 또한 촬상의 방향이 상기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촬상부(21B)를 가지며,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보(171)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촬상부(21A) 및 상기 제2 촬상부(21B)중 어느 한쪽이 능동화 되고,
    상기 포즈 확인 수단은,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제1 촬상부에 의한 촬상의 방향에 대응한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제1 포즈 확인부(28) 및 상기 피사체가 상기 제2 촬상부에 의한 촬상의 방향에 대응한 자신의 포즈를 확인하기 위한 제2 포즈 확인부(16)를 가지며,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각각의 부근에,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포즈 확인부 및 상기 제2 포즈 확인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상부(21A)에 의한 촬상을 위해 상기 피사체를 조명하는 제1 조명 상태와, 상기 제2 촬상부(21B)에 의한 촬상을 위해 상기 피사체를 조명하는 제2 조명 상태를 갖는 조명 수단(22A, 22B)과,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을 능동화 하고, 또한 상기 조명 수단을 상기 제1 조명 상태 및 상기 제1 조명 상태 및 상기 제2 조명 상태중 어느 한쪽에 설정하는 전환 수단(3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촬상 영역의 마루부 또는 마루부 부근에 배치된 마루부 조명 수단(22A)과, 상기 촬상 영역의 측부에 마련된 측부 조명 수단(22B)을 가지며,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촬상부 및 상기 제2 촬상부중 어느 한쪽, 또한 상기 마루부 조명 수단과 상기 측부 조명 수단 중 어느 한쪽이 능동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촬상부는, 상기 피사체 상의 배율을 조정하는 배율 조정 수단(Q3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10.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즈 확인부는, 상기 제1 촬상부가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여 출력한 상기 피사체 상에 의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기.
  11. 피사체의 사진을 판매하는 사진 자동 판매 방법에 있어서,
    촬상을 위한 스페이스에 설정된 촬상 영역의 상기 피사체를, 상기 촬상 영역의 천정부에 미리 설치된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고, 피사체 상에 의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촬상 스텝(S4)과,
    상기 촬상 스텝에서 출력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르는 상기 피사체의 사진을 매체에 프린트한 후 상기 매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인쇄 출력 스텝(S5, S6)를 구비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의 방향은, 상기 피사체를 바로 위에서 내려다 보는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의 방향에 대응한 상기 피사체의 포즈는, 상기 촬상부의 부근에 미리 설치된 포즈 확인부(23, 28)에 의해 상기 피사체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자동 판매 방법.
  12. 제 11항에 기재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으로 상기 사진을 프린트시키기 위한, 또는 상기 사진이 프린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프린트용의 매체(33).
  13. 제 11항에 기재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계 판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14. 제 11항에 기재된 사진 자동 판매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2-7004910A 2000-08-25 2001-08-20 사진 자동 판매기 KR10045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5548 2000-08-25
JPJP-P-2000-00255548 2000-08-25
JP2001128916A JP3240411B1 (ja) 2000-08-25 2001-04-26 写真シール自動販売機
JPJP-P-2001-00128916 2001-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886A true KR20020040886A (ko) 2002-05-30
KR100456726B1 KR100456726B1 (ko) 2004-11-15

Family

ID=2659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910A KR100456726B1 (ko) 2000-08-25 2001-08-20 사진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38567B2 (ko)
EP (1) EP1223461A4 (ko)
JP (1) JP3240411B1 (ko)
KR (1) KR100456726B1 (ko)
CN (1) CN1217228C (ko)
AU (1) AU2001280098A1 (ko)
TW (1) TW522277B (ko)
WO (1) WO200201701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6B1 (ko) 2017-12-11 2019-06-14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장치
KR101989557B1 (ko) 2017-12-11 2019-06-14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바아의 mdps 마운팅부 내구강도 모사시험 시스템
KR20190068800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용 틸팅지그
KR102102763B1 (ko) 2018-12-27 2020-04-22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부품 용접 시스템
KR102127423B1 (ko) 2018-12-27 2020-06-26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바아의 mdps 마운팅부 내구강도 모사시험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435B1 (en) * 1998-01-07 2001-04-03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apparatus with cutter and image printing and cutting method
JP2002281227A (ja) * 2001-03-21 2002-09-27 Olympus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4085677B2 (ja) * 2002-04-04 2008-05-14 ソニー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04077582A (ja) * 2002-08-12 2004-03-11 Omron Corp 写真シール自動販売機および方法、シール紙、並びにシール紙ユニット
JP2004145245A (ja) * 2002-08-30 2004-05-20 Omron Corp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プリント紙ユニット
US20040252286A1 (en) * 2003-06-10 2004-12-1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 special effect preview print
US7789300B2 (en) * 2006-02-21 2010-09-07 Fakhri Omar J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puter media in a secure environment
US9158179B2 (en) * 2008-07-14 2015-10-13 The Traveling Photo Booth Inc. Photo booth systems and methods
US9681041B1 (en) * 2012-11-02 2017-06-13 Foto Fantasy,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compositing an image using a light-emitting backdrop
US20150042822A1 (en) * 2013-08-12 2015-02-12 Tu Le Inflatable photo booth
JP6428183B2 (ja) 2014-11-14 2018-11-28 フリュー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写真シール作成方法及び写真シール作成処理プログラム
US11983886B2 (en) * 2020-10-14 2024-05-14 Shutterfly, Llc System for background and floor replacement in full-length subject imag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876A (en) * 1989-11-20 1993-03-23 Thayer Donald O Photography booth and method
JP2579080B2 (ja) 1991-08-14 1997-02-05 株式会社クボタ 蓄熱式熱源ユニット
JP3618917B2 (ja) 1996-08-05 2005-02-09 株式会社東芝 情報収集方法
US5897220A (en) * 1996-08-30 1999-04-27 American Alpha Inc. Automatic photograph booth for forming sketches
US5778258A (en) * 1997-03-31 1998-07-07 Zamoyski; Mark Photography booth for digital image capture
JP3049553U (ja) * 1997-05-30 1998-06-19 株式会社エス・アイ・シー シール印刷用撮影装置
US5923406A (en) 1997-06-27 1999-07-13 Pitney Bowes Inc. Personal postage stamp vending machine
JPH1161521A (ja) 1997-08-25 1999-03-05 Takikiyo Kk パジャマ
US6317560B1 (en) * 1997-12-01 2001-11-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hotographing system containing synchroniz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lighting, photography, printing and guidance based upon the user's choice of photographing mode
JPH11160785A (ja) * 1997-12-01 1999-06-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ォトボックス
JP4408144B2 (ja) 1998-09-04 2010-02-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JP3147875B2 (ja) * 1998-10-30 2001-03-19 オムロン株式会社 写真シール作成装置
JP3480691B2 (ja) * 1998-12-25 2003-12-22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写真撮影装置
JP3061521U (ja) * 1999-02-18 1999-09-24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086438A (ja) * 1999-09-16 2001-03-30 Funai Electric Co Ltd 映像プリント遊戯装置
JP3076909B1 (ja) * 1999-09-24 2000-08-14 三吉工業株式会社 写真撮影スタジオ装置
JP2001100304A (ja) * 1999-09-29 2001-04-13 Make Softwear:Kk 写真自販機
JP2001296600A (ja) 2000-04-13 2001-10-26 Make Softwear:Kk 写真自販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556B1 (ko) 2017-12-11 2019-06-14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장치
KR101989557B1 (ko) 2017-12-11 2019-06-14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바아의 mdps 마운팅부 내구강도 모사시험 시스템
KR20190068800A (ko)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용접용 틸팅지그
KR102102763B1 (ko) 2018-12-27 2020-04-22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부품 용접 시스템
KR102127423B1 (ko) 2018-12-27 2020-06-26 주식회사 세원정공 카울 크로스 바아의 mdps 마운팅부 내구강도 모사시험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40764A (ja) 2002-05-17
JP3240411B1 (ja) 2001-12-17
CN1217228C (zh) 2005-08-31
TW522277B (en) 2003-03-01
EP1223461A4 (en) 2007-05-09
WO2002017015A1 (en) 2002-02-28
CN1388914A (zh) 2003-01-01
AU2001280098A1 (en) 2002-03-04
EP1223461A1 (en) 2002-07-17
KR100456726B1 (ko) 2004-11-15
US6738567B2 (en) 2004-05-18
US20020154905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726B1 (ko) 사진 자동 판매기
US5986718A (en) Photographic method using chroma-key and a photobooth employing the same
US7839429B2 (en) In-camera panorama st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5897220A (en) Automatic photograph booth for forming sketches
JP3849517B2 (ja) 写真ブース、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27618B1 (ko) 사진 실 자동 판매 방법과 그 장치, 사진 실지 유닛 및사진 실 시트
US5696995A (en) Automatic photography booth
US20050254811A1 (en) Digital camera and portable device
JPH11167674A (ja) 画像プリント作成装置
JP2003107574A (ja) 撮影システム
JP2004159158A (ja) 写真プリント提供装置および方法
JP2002232749A (ja) 画像撮影装置
JP2003173472A (ja) 写真シール自動販売方法とその装置、シール紙ユニット及び写真シールシート
JP3393472B2 (ja) 写真撮影方法とその装置
JP2002162684A (ja) 写真シール自動販売機
JP2019161322A (ja) 写真撮影装置
JPH0888784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3219329A (ja) プリンタ一体型カメラ
JP6468386B2 (ja) 写真撮影遊戯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269577B2 (ja) 写真プリント装置およびプリント紙ユニット
EP2059025B1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control method
JP4649796B2 (ja) 写真シール自動販売方法とその装置
JP2000078504A (ja) 映像プリント供給装置
JP2002365700A (ja) 映像プリント遊戯装置
JP4193402B2 (ja) 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写真撮影プリント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