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207A - 위편지 - Google Patents

위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207A
KR20020033207A KR1020027004061A KR20027004061A KR20020033207A KR 20020033207 A KR20020033207 A KR 20020033207A KR 1020027004061 A KR1020027004061 A KR 1020027004061A KR 20027004061 A KR20027004061 A KR 20027004061A KR 20020033207 A KR20020033207 A KR 2002003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elongation
fibers
pt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920B1 (ko
Inventor
이께다마사따까
야마자끼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카즈모토
Publication of KR200200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조를 포함하고, JIS-L-1018 에 의한 2.5 cm 폭 당 19.6 N 의 하중으로 측정한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이 80 ∼ 250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편지로서, 드라이터치로 부드러운 질감과, 우수한 스트레치성과 신장회복성을 가지며, 착용쾌적성이 우수한 위편지이다.

Description

위편지{WEFT KNITTED FABIRC}
종래, 합성섬유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ET 라 함) 섬유나 나일론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위편물은 겉옷이나 속옷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ET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위편물은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안정성, 내황변성 등의 특징을 갖지만, 질감이 단단하고, 스트레치성이 불충분하며, 드레이프성이나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나일론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위편물은 매끄러운 느낌이 있는 부드러운 질감과 어느 정도의 스트레치성을 갖지만,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안정성, 내황변성 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하, PTT 라 함) 섬유사조를 사용한 편지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902 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사조와 PTT 계 섬유사조를 교편(交編)한 교편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기술은 셀룰로오스계 섬유사조 특유의 질감을 갖고, 또한 줄이나 단의 발생이 없는 편지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경편물이나 환편물, 횡편물의 교편물을 액류 염색기로 정련ㆍ염색한 후, 마름질제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00175 호에는 PTT 섬유로 이루어지는 발색성이 우수한 직편물이 개시되어 있고, 일구편지 (一口編地) 를 정련시에 종방향으로 5.8 % 수축시킨 후 열처리하고, 이어서 염색 후에 다시 열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어떤한 선행기술에 개시된 편지도 질감이 단단하고, 스트레치성이나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편지(緯編地), 특히 드라이터치로 부드러운 질감과, 우수한 스트레치성과 신장회복성을 가지며, 착용쾌적성이 우수한 위편지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안정성, 내황변성이 우수하고, 드라이터치로 부드러운 질감과 우수한 스트레치성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로 표시함) 을 가지며 착용쾌적성이 우수한 위편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겉옷용도에 적합한 위편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PTT 섬유는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안정성, 내황변성이 우수하고, 저영률에서 유래하는 부드러운 질감과, 드라이터치감 및 우수한 탄성회복률을 갖는다. 그러나, 이 섬유를 사용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위편지를 제조하면, 질감이 단단하고, 스트레치성이 낮아 착용쾌적성이 떨어지는 것밖에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PTT 섬유를 사용한 위편지로서, 특히 부드러운 질감과, 고스트레치성 및 우수한 신장회복성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미세구조, 섬유물성,편물구조, 제편공정 및 염색가공ㆍ마름질가공 공정에서의 편지구조의 변화거동과, 질감이나 스트레치성 등의 관계에 대하여 예의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PTT 섬유 특유의 현상으로서, 제편공정에서의 실의 장력에 근거하는 편축 (編縮) 이 비교적 크게 발생하고, 이 생기(生機)를 염색 마름질가공 공정에서 열수축시키면, 편지의 부피밀도가 높아지고, 이 때문에 질감이 단단해지고, 또한 스트레치성이 저하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902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PET 섬유 등에서 통상 실시되고 있는 방법으로 환편지나 횡편지 생기을 작성하면, 편축이 커지기 때문에 생기밀도가 너무 높아지고, 이 생기를 PET 섬유 등에서 통상 실시하는 방법으로 염색 마름질가공하면, 염색가공 공정 등의 열처리에 의한 생기의 수축에 의해 편지의 부피밀도가 현저하게 높아지고, 그 결과 얻어지는 편지는 질감이 단단하고, 횡방향의 스트레치성이 낮으며, 또한 착용쾌적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PTT 편지 특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PTT 편지의 생기설계와 제편조건 및 염색ㆍ마름질가공 조건을 적정화함으로써, 얻어지는 PTT 편지의 부피밀도를 적정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질감이 부드럽고 스트레치성, 신장회복성이 우수한 위편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우수한 착용쾌적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질감이 부드러운 것과 더불어, 편지가 특히 횡 (웰) 방향이 낮은 응력으로 신장되기 쉽고, 또한 신장회복성이 우수한 것과, 전단방향으로 낮은 응력으로 변형되기 쉬운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00175 호에 개시된 방법과 같이 염색가공 공정 등의 열처리에 의해 종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수축시키면, 비교적 작은 생기의 폭수축밖에 일어나지 않고, 얻어지는 편지는 횡방향의 신축성이 현저하게 낮은 것이 된다. 또한, 특히 PET 원사를 사용한 위편지는 용이하게 런이 발생하지만, PTT 위편지의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을 특정범위로 함으로써, 원사를 사용해도 런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예상되지 않았던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런 (run) 이란 래더링 (laddering) 이라고도 하며, 편지에 횡 (웰) 방향의 비교적 큰 장력을 가하면 편환이 편조직으로부터 벗어나 편지의 종 (코스) 방향으로 선형으로 조직이 무너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1. PTT 섬유사조를 포함하고, JIS-L-1018 에 의한 2.5 cm 폭 당 19.6 N 의 하중으로 측정한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이 80 ∼ 250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편지.
2. JIS-L-1018 에 의한 횡방향의 50 % 신장시의 신장탄성률이 80 % 이상인 상기 1 에 기재된 위편지.
3. 중량이 80 ∼ 500 g/㎡ 이고, 또한 부피밀도가 0.28 ∼ 0.60 g/㎤ 인 상기 2 에 기재된 위편지.
4. KES-FB 에 의한 전단강성 (G) 이 0.28 ∼ 1.50 cN/cmㆍdeg. 인 상기 2 또는 3 에 기재된 위편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PTT 섬유란,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단위로 하는 PTT 섬유를 말하고, 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약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 3 성분으로서 다른 산성분 및/또는 글리콜성분의 합계량이 약 5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범위로 함유된 PTT 를 포함한다.
PTT 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와, 트리메틸렌 글리콜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촉매의 존재 하, 적당한 반응 조건 하에서 중축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 제조과정에서 적당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제 3 성분을 첨가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해도 되고, 또 PTT 와, PET 등의 PTT 이외의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을 브렌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PTT 섬유는 상기 PTT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과의 복합방사 (외피/심, 사이드 바이 사이드 등) 섬유도 포함한다.
첨가하는 제 3 성분으로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아디프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소듐술포이소프탈산 등), 지방족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지환족 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 방향족을 함유하는 지방족 글리콜 (1,4-비스(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 폴리에테르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ω-옥시카프론산 등), 방향족 옥시카르복실산 (p-옥시벤조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벤조산 등 또는 글리세린 등) 도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TT 섬유에는 이산화티탄 등의 광택제거제, 인산 등의 안정제, 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탤크 등의 결정화핵제, 아에로실 등의 이활제, 힌더드페놀 유도체 등의 항산화제, 난연제, 제전제, 안료, 형광증백제, 적외선흡수제, 소포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PTT 섬유의 방사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1500 m/분 정도의 권취속도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얻은 후, 2 ∼ 3.5 배 정도로 연연 (延撚) 하는 방법, 방사-연연 공정을 직결시킨 직연법 (스핀드로법), 귄취속도 5000 m/분 이상의 고속방사법 (스핀테이크업법), 방사 후, 한 번 수조에서 냉각한 후 연신하는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PTT 섬유는 장섬유이거나 단섬유라도 되지만, 장섬유가 바람직하다. 또,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것이나 굵기가 불균일한 것이라도 되고, 단면형상에서도 환형, 삼각, L 형, T 형, Y 형, W 형, 팔엽형, 편평, 도그본형 등의 다각형형, 다엽형, 중공형이나 부정형인 것이라도 된다.
PTT 섬유사조는 원사, 가연사 (POY 등의 연신가연사를 포함함), 선연 (先撚) 가연사 (예를 들어, S 또는 Z 방향으로 600 ∼ 1000 T/m 선연하고, Z 또는 S 방향으로 3000 ∼ 4000 T/m 가연한 것), 공기분사 가공사, 링 방적사, 오픈앤드 방적사등의 방적사나 멀티필라멘트 원사 (극세사를 포함함), 혼섬사 및 이들을 연사한 것 등을 포함한다.
PTT 섬유사조의 단사섬도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0.1 ∼ 11 dtex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편지의 스트레치율이나 신장회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1 ∼ 8 dtex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총섬도는 30 ∼ 300 dtex 가 바람직하고, 특히 50 ∼ 200 dtex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TT 섬유는 파단강도 2.2 ∼ 5.0 cN/dtex, 파단신도 30 ∼ 55 %, 초기탄성률 14 ∼27 cN/dtex, 10 % 신장시의 탄성회복률 80 ∼ 100 %, 비수 (沸水) 수축률 6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울, 면으로 대표되는 천연섬유 등이나 합성섬유를 혼방 (사일로 스판이나 사일로 필 등), 교락혼섬 (고수축사와의 이수축혼섬사 등), 교연, 혼합가연 (신도차 가연 등), 2 피드유체분사가공 등의 수단으로 혼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PTT 섬유사조를 함유하는 위편지란, PTT 섬유사조 단독으로 구성된 위편지는 물론, PTT 섬유사조와 다른 섬유사조 (단독 또는 복수) 를 교편한 위편지 등도 포함한다. PTT 섬유와 교편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힘께 급사하는 방법, 각각 단독으로 루프를 형성하는 방법, 루프를 형성하지 않고 삽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교편하는 다른 섬유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어떠한 섬유라도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등의 합성섬유나면, 마, 울, 비단 등의 천연섬유, 큐프라, 레이온, 폴리노직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나 아세테이트계 섬유이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PTT 섬유 이외의 탄성섬유, 즉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의 탄성섬유를 함유하지 않아도 원하는 스트레치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편지를 구성하는 PTT 섬유사조의 비율은 얻어지는 편지의 질감 (부드러움), 스트레치성의 점에서 15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40 wt% 이상,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80 wt%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위편지란, 환편지, 횡편지를 들 수 있지만, 특히 환편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편조직으로서는 양면뜨기 (스무드), 3 단 양면뜨기, 천축 (평뜨기), 천축메리야스뜨기, 리브뜨기 (프라이스뜨기, 고무뜨기), 펄뜨기, 펀치로마뜨기, 더블피케뜨기, 싱글피케뜨기, 하프가디건뜨기, 에이트록뜨기, 블리스터뜨기, 속털뜨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편구조로서는 싱글뜨기, 더블뜨기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JIS-L-1018 에 의한 2.5 cm 폭 당 19.6 N 의 하중으로 측정한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이 80 ∼ 250 %, 바람직하게는 9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50 % 이다. 이 정하중시 신장률이 80 % 미만이면, 스트레치성이 떨어지고, 착용시의 생지의 추종성이 불충분해져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 한편, 정하중시 신장률이 250 % 를 초과하면, 신장탄성률의 저하가 커져 신장회복성이 떨어지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JIS-L-1018 의 A 법 (정신장법) 에 의해 측정한 횡방향의 50 % 신장시의 신장탄성률이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착용시의 형태안정성이 양호해지고, 착용쾌적성도 높아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KES-FB 에 의한 전단강성 (G) 이 0.28 ∼ 1.50 cN/cmㆍdeg.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 1.30 cN/cmㆍdeg. 의 범위이다. 이 범위내라면, 특히 질감이 부드럽고, 양호한 착용쾌적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전단강성 (G) 이란, KES-FB 계측시스템 (Kawabata's Evaluation System for Fabric) 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서, 이 값이 작을수록 질감이 부드럽다. KES-FB 계측시스템은 포백의 질감에 영향을 주는 역학적 특성을 4 기종 (인장ㆍ전단, 순굽힘, 압축, 표면특성) 을 사용하여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전단강성 (G) 은 생지의 전단 (경사) 방향의 변형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값이 작을수록 변형되기 쉽다. 이 전단강성 (G) 을 상기한 범위로 특정함으로써, 착용시의 생지의 추종성이 높아져 양호한 착용쾌적성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드레이프성, 신장회복성의 점에서 겉옷용도로서 중량이 8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량의 점에서 의료용도로서는 중량이 5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400 g/㎡,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 350 g/㎡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신장회복성의 점에서 부피밀도가 0.28 g/㎤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질감, 스트레치성, 착용쾌적성의 점에서 부피밀도는 0.6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 0.55 g/㎤ 의 범위이다.
편지의 밀도는 15 ∼ 80 코스/2.54cm, 15 ∼ 70 웰/2.54cm, 특히 30 ∼ 70 코스/2.54cm, 30 ∼ 60 웰/2.54cm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PTT 섬유사조를 PET 섬유사조 등으로 실시되고 있는 통상의 편성조건으로 편성한 생기는 편축이 커서 밀도가 높아진다. 이는 PTT 섬유사조 자체가 갖는, 저응력으로 신장되고 신장회복성이 우수하다는 성질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 생기를 사용하여 염색ㆍ마름질가공을 실시하면, 염색공정에서의 특히 횡방향의 수축에 의해 편지의 부피밀도가 높아져 섬유 상호의 구속력이 높아지고, 스트레치성이 낮으며, 또한 질감이 단단한 것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게이지나 편직길이를 조정하여 편지밀도를 종래의 PET 섬유사조 등에서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편성설계보다 약 10 ∼ 30 % 성기게 설계한 생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같은 조 (粗) 설계의 위편지 생기를 사용하여 열수, 습열, 건열 등의 릴렉스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코스와 웰의 배열이나 밀도밸런스가 변화하고 조직점의 길이변화나, 교차점의 굴곡에 의한 크림프 부여나, 사조가 떠있는 부분에 권축 부여에 의한 형태변화를 갖게 할 수 있어 위편지는 높은 스트레치성과 우수한 신장회복성을 발휘한다. 한편, PET 섬유사조 등에서 실시되고 있는 통상의 평성조건으로 편성된 생기를 사용한 경우, PTT 섬유는 비수 수축률이 6 ∼ 15 % 정도로 높고, 또한 열응력도 높기 때문에, 이 릴렉스 열처리에 의해 위편지 생기는 수축되어 부피밀도가 너무 커지고, 편지를 구성하는 섬유 상호의 자유도가 저하되어 질감이 단단하고 스트레치성도 낮은 것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부드러운 질감과 고스트레치성 및 우수한 신장회복성을 얻기 위해서는 미리 밀도를 성기게 설계한 위편지 생기를 염색ㆍ마름질가공 공정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적정한 부피밀도로 하는 것이 중요하고, 사 자체의 수축 이외에 조직수축을 일으킴으로써, 코스 또는 웰방향으로 미세한 굴곡크림프나 권축을 부여함과 동시에, 편지를 구성하는 섬유 자체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위편지는 조설계 생기를 염색가공 공정에서 주로 횡 (폭) 방향으로 적당하게 수축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얻을 수 있다. 즉, PTT 섬유의 위편지 생기를 열처리하여 위편지를 제조할 때에,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수축계수를 1.2 ∼ 1.9 로 하는 위편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바랍직하게 얻을 수 있다.
수축계수 = {(제품의 코스수)} ×(제품의 웰수)} / {(생기의 코스수) ×(생기의 웰수)}
(단, 제품이란 생기를 염색ㆍ마름질가공한 후의 위편지를 말함)
상기 수축계수는 신장회복성, 착용쾌적성의 점에서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피밀도, 질감, 스트레치성, 전단강성, 착용쾌적성의 점에서 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수축계수는 1.3 ∼ 1.9 이다.
종래, PET 에서는 180 ∼ 190 ℃ 에서의 폭내기 세트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위편지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조설계 생기를 정련 전 또는 정련 후에 150 ∼ 170 ℃ 의 건열로 30 초 내지 2 분간의 폭넣기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나, 릴렉서나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80 ∼ 130 ℃, 바람직하게는 95 ∼ 130 ℃ 의 열수로 천을 주물러 릴렉스시키는 방법에 의해, 폭수축율이 5 ∼ 30 %, 보다 바림직하게는 10 ∼ 20 % 폭넣기를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련 전 또는 정련 후에 횡방향의 폭넣기율을 20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 %,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0 % (유폭 (有幅)) 로 설정하고, 150 ∼ 170 ℃ 의 건열로 30 초 내지 2 분간의 폭넣기 열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릴렉서나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80 ∼ 130 ℃, 바람직하게는 95 ∼ 130 ℃ 의 열수로 천을 주물러 릴렉스시키는 방법에 의해, 폭수축율이 5 ∼ 30 %, 더욱 바림직하게는 10 ∼ 20 % 폭넣기를 실시한다. 그 후에, 0 (유폭) ∼ 5 % 의 폭내기율로 150 ∼ 170 ℃ 파이널 세트를 실시함으로써 횡방향의 고스트레치성과 우수한 신장회복성 및 부드러운 질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연가공사 등의 가공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 열처리 온도의 최고온도를 실의 가공온도보다 약 10 ℃ 정도 낮게 하는 것이 고스트레치성과 우수한 신장회복성 및 부드러운 질감을 얻기에 바람직하다.
PTT 섬유에서 양호한 권축을 얻기 위해서는 PET 의 경우보다 가연가공온도를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가연가공온도가 170 ℃ 정도에서 양호한 권축을 갖는 가공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지의 열세트온도는 150 ∼ 160 ℃ 가 바람직하다. 170 ℃ 이상에서 열세트하면, 권축이 풀려 스트레치성과 신장회복성이 저하되어 형태안정성이 불충분해진다.
또, 종 (길이) 방향으로 적당하게 추종하면서 열세트함으로써, 편지의 종 (길이) 방향의 스트레치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열처리기로서는 핀 텐터, 클립 텐터, 쇼트 루프 드라이어, 슈링크 서퍼 드라이어, 드럼 드라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원하는 스트레치율을 얻기 위해서는 종, 횡방향으로 수치제어를 할 수 있는 핀 텐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스트레치성을 갖는 편지에 대하여 통상의 마름질가공제를 적용할 수 있지만, 특히 PTT 섬유사조의 실-실 사이의 마찰저항을 저감시키는 성능을 갖는 가공제를 부여하면, 드라이크리닝이나 세탁 후의 편지의 신장회복성의 저하가 보다 적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 가공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활성과 내드라이크리닝성, 내세탁성을 겸비한 실록산결합 (Si-O-Si) 을 기본골격으로서 갖는 화합물인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포백에 대한 이같은 실리콘 화합물의 부착량은 실리콘 에멀젼의 순분 환산의 질량으로 0.05 ∼ 2.0 wt%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화합물은 흡진처리, 스프레이, 침지하여 교액, 키스롤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착 후 또는 건조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 화합물에 필요에 따라 가교제, 촉매, 수지, 질감조제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위편지는 카렌더가공, 엠보스가공, 기모가공, 프리츠가공, 프린트가공, 오팔가공 등의 가공을 실시한 것도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측정방법,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환원점도 (ηsp/c)
환원점도 (ηsp/c) 는 폴리머를 90 ℃ 에서 o-클로로페놀에 1 g/㎗ 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그 후 얻어진 용액을 오스트발트 점도관으로 옮겨 35 ℃ 에서 측정하여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환원점도 (ηsp/c) = (T/TO-1)/c
(식 중, T 는 시료용액의 낙하시간 (초), TO는 용제의 낙하시간 (초), c 는 용액농도 (g/㎗) 를 표시함)
(2) 탄성회복률 (%)
섬유는 척간 거리 20 cm 로 인장시험기에 장착하여 신장률 10 % 까지 인장속도 20 cm/분으로 신장시켜 1 분간 방치하였다. 그 후, 다시 동일한 속도로 수축시켜 응력변형곡선을 그린다. 수축 중, 응력이 제로가 되었을 때의 신도를 잔류신도 (A) 로 한다. 탄성회복률은 이하의 식에 따라 구하였다.
10 % 신장시의 탄성회복률 (%) = {(10-A)/10} ×100
(3) 비수 수축률 (BWS)
JIS-L-1013 열수수축률 시험방법의 (B) 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열수온도는 약 100 ℃ (보일) 로 하였다.
(4) 정하중시 신장률 (%)
JIS-L-1018 의 정하중시 신장률을 그래브법에 준거하여 웰 (횡) 방향만 측정하였다. 채취시험편의 크기는 종 10 cm ×횡 15 cm 로 하였다. 샘플 2.5 cm 폭 당 19.6 N 의 일정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5) 중량 (g/㎡)
JIS-L-1018 의 정량 측정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6) 부피밀도 (g/㎤)
두께를 JIS-L-1018 의 두께 측정법에 준거하여 초하중 9.8 kPa, 10 초간의 일정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부피밀도는 상기 (5) 에서 구한 중량을 이 두께로 나누어 구하였다.
(7) 전단강성 : G (cN/cmㆍdeg.)
카토테크 (주) 제조, KES-FB1 (인장ㆍ전단시험기) 을 사용하여 하기 측정조건으로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코스 (종) 방향과 웰 (횡) 방향의 평균값을 말한다.
(전단강성 (G) 의 측정방법)
최대전단각도 : ±8°
전단끌림속도 : 5 mm/12sec.
강제하중 : 9.8 cN/cm
유효시료 : 20 ×5 cm
(8) 신장탄성률 (%)
JIS-L-1018 의 신장탄성률 A 법 (정신장법) 에 준거하여 웰방향만 측정하였다. 채취시험편의 크기는 종 10 cm ×횡 15 cm 로 하였다. 그래브법에 의해 인장속도 10 cm/분으로 50 % 의 일정신장으로 측정하였다.
(9) 질감
피험자를 10 명으로 촉감에 의해 질감을 판정하였다. 질감의 단단함을 0 점, 질감의 유연함을 1 점으로 하여 각 사람에게 평가하게 하여 그 총점에서 하기의 기준에 따라 질감 (유연도) 을 판정하였다.
9 ∼ 10 점 : ◎, 7 ∼ 8 점 : O, 4 ∼ 6 점 : △, 0 ∼ 3 점 : ×
(10) 착용쾌적성
각 편지로부터 부인 원피스를 각각 3 벌 제작하였다. 피험자 3 명에게 각 편지의 원피스를 1 주일간 착용하게 하여 각 옷에 대한 쾌적성에 관하여 A 랭크 (쾌적성 양호), B 랭크 (쾌적성 보통), C 랭크 (쾌적성 불량) 의 3 랭크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3 명이 모두 A 랭크를 부여한 것을 ◎, 3 명 중 2 명 이상이 B 랭크를 부여한 것을 O, 3 명 중 2 명 이상이 C 랭크를 부여한 것을 ×라고 하고, 그 외를 △ 라고 하였다.
(11) 런
채취시험편의 크기는 종 5 cm ×횡 15 cm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상기 (4) 의 정하중시 신장률 측정법과 동일하게 하여 웰 (횡) 방향으로 2.5 cm 당 19.6 N 의 일정 하중을 가한다. 이 때의 런 발생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런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O, 발생한 것을 ×라 하였다.
실시예 1
환원점도 (ηsp/c) = 0.8 의 PTT 를 방사온도 265 ℃, 방사속도 1200 m/분으로 방사하여 미연신사를 얻었다. 이어서, 이 미연신사를 핫롤온도 60 ℃, 핫플레이트온도 140 ℃, 연신배율 3 배, 연신속도 800 m/분으로 연연 (延撚) 하여 84 dtex/36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도, 신도, 탄성률, 10 % 신장시의 탄성회복률 및 비수 수축률은 각각 2.9 cN/dtex, 45 %, 24 cN/dtex, 94 % 및 14 % 였다.
얻어진 원사를 3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0.4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1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15 % 길음) 로 제편하여 45 코스/2.54cm, 44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90 ℃ 에서 20 분간 정련한 후,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120 ℃ 에서 30 분간, 분사염료로 염색을 실시하고, 이어서 환원세정을 실시하였다. 물 세정, 탈수 후 펼쳐 건조시켰다. 건조된 편지를 통상의 마름질제에 침지 후, 유폭으로 170 ℃ ×1 분간의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여 49 코스/2.54cm, 54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PTT 섬유 대신에 84 dtex/36f 의 PET 섬유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편직길이 26.4 cm/100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46 코스/2.54cm, 48 웰/2.54cm 의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염색온도를 130 ℃, 파이널 세트온도를 180 ℃ 로 변경한 것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48 코스/2.54cm, 55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1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고 런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원사 2 개를 합쳐 167 dtex/72f 의 원사로 하고, 이 원사를 사용하여 3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22.0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2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10 % 길음) 로 제편하여 44 코스/2.54cm, 46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56 코스/2.54cm, 58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 에서 사용한 PTT 섬유 대신에 167 dtex/72f 의 PET 섬유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편직길이 20.0 cm/100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49 코스/2.54cm, 48 웰/2.54cm 의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염색온도를 130 ℃, 파이널 세트온도를 18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56 코스/2.54cm, 57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2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고 런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원사 2 개를 합쳐 167 dtex/72f 의 원사로 하고, 이 원사를 사용하여 2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2.8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3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10 % 길음) 로 제편하여 32 코스/2.54cm, 36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40 코스/2.54cm, 44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3 에서 사용한 PTT 섬유 대신에 167 dtex/72f 의 PET 섬유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편직길이 29.8 cm/100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8 코스/2.54cm, 42 웰/2.54cm 의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염색온도를 130 ℃, 파이널 세트온도를 18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34 코스/2.54cm, 43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3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불량하고 런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84 dtex/36f 의 PTT 섬유를 하기에 나타내는 가연가공조건으로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가연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3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7.0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4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20 % 길음) 로 제편하여 32 코스/2.54cm, 49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유폭으로 160 ℃ ×1 분간의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60 코스/2.54cm, 49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가연조건>
가연기 : ARCT-450B 핀 가연기
사속 : 84 m/분
스핀회전수 : 277000 rpm
가연수 : 3600 T/m
1 st 피드 : 0 %
히터온도 : 170 ℃
TU 피드 : 5.03 %
비교예 4
비교예 1 에서 사용한 84 dtex/36f 의 PET 섬유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하기에 나타내는 가연조건으로 가연가공을 실시하여 가연가공사를 얻었다.
얻어진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편직길이 30.8 cm/100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51 코스/2.54cm, 47 웰/2.54cm 의 PET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염색온도를 130 ℃, 파이널 세트온도를 18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58 코스/2.54cm, 49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4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였다.
<가연조건>
가연기 : ARCT-450B 핀가연기
사속 : 84 m/분
스핀회전수 : 277000 rpm
가연수 : 3300 T/m
1st 피드 : +2 %
히터온도 : 220 ℃
TU 피드 : 5.03 %
실시예 5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84 dtex/36f 의 PTT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2 개 합쳐167 dtex/72f 의 가연가공사로 하고, 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2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3.0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5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15 % 길음) 로 제편하여 29 코스/2.54cm, 45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46 코스/2.54cm, 50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비교예 4 에서 얻어진 84 dtex/36f 의 PET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2 개 합쳐 167 dtex/72f 의 가연가공사로 하고, 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2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28.7 cm/100웰로 제편하여 38 코스/2.54cm, 36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48 코스/2.54cm, 45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5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 에서 제작한 스무드편지 생기를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정련한 후, 펼쳐 핀 텐터를 사용하여 유폭으로 160 ℃, 1 분간의 프레 세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염색, 환원세정, 마름질제 부여, 파이널 세트 처리하여 46 코스/2.54cm, 46 웰/2.54cm 의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비교예 5 에서 편직길이를 비교예 5 와 동일한 28.7 cm/100웰로 변경하고 37 코스/2.54cm, 41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50 코스/2.54cm, 58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실시예 5 의 편지는 생기밀도를 비교예 5 의 PET 섬유를 사용한 스무드편지 생기보다 밀도가 성기게 하고 있는 데에 비하여, 이 편지는 편직길이를 비교예 5 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기 때문에, 생기밀도가 실시예 5 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아져, 얻어진 편지의 부피밀도가 너무 높아 정하중시의 신장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고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
비교예 7
실시예 4 에서 제작한 스무드편지 생기를 펼쳐 횡방향으로 10 % 의 폭내기율로 설정하고, 핀텐터로 190 ℃ ×1 분간의 프레 세트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정련, 염색, 환원세정, 물 세정, 탈수, 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된 편지를 통상의 마름질제에 함침 후, 유폭으로 180 ℃ ×1 분간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여 40 코스/2.54cm, 46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실시예 4 의 편지는 160 ℃ 에서 파이널 세트하고 있는 데에 비하여, 이 비교예는 생기를 190 ℃ 에서 폭내기 프레 세트와 180 ℃ 의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사의 권축이 풀려 정하중시의 신장률 및 신장회복률이 크게 저하되고, 형태안정성이 불량해져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
실시예 7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56 dtex/24f 의 PTT 섬유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도, 신도, 탄성률, 10 % 신장시의 탄성회복률 및 비수 수축률은 각각 2.8 cN/dtex, 46 %, 24 cN/dtex, 95 % 및 12 % 였다.
얻어진 56 dtex/24f 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 84 dtex/33f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28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3.5 cm/100웰로 하고, 편지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의 구성질량 비율을 67 : 33 이 되도록 교편하여 54 코스/2.54cm, 44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지를 펼쳐 횡방향으로 5 % 의 폭넣기율로 설정하여 핀텐터로 160 ℃ ×1 분간의 프레 세트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서큘러염색기로 90 ℃ ×20 분간 정련 후, 분사염료로 120 ℃ ×30 분간 염색하고, 80 ℃ 에서 10 분간 환원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반응염료로 60 ℃ ×60 분 염색 후, 80 ℃ 에서 10 분간 소핑을 실시하였다. 건조 후, 통상의 마름질제에 침지 후, 교액하여 유폭으로 150 ℃ ×1 분간의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여 65 코스/2.54cm, 51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56 dtex/24f 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 84 dtex/33f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28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지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의 구성질량 비율을 40 : 60 이 되도록 교편하여 51 코스/2.54cm, 40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지를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68 코스/2.54cm, 50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56 dtex/24f 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 84 dtex/33f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28 게이지 환편기로 편지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의 구성질량 비율을 18 : 82 가 되도록 교편하여 52 코스/2.54cm, 40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지를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64 코스/2.54cm, 39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PTT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3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21.0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8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15 % 길음) 로 제편하여 27 코스/2.54cm, 50 웰/2.54cm 의 밀도의 천축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48 코스/2.54cm, 52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비교예 4 에서 얻어진 84 dtex/36f 의 PET 섬유의 가연가공사를 사용하여 32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18.3 cm/100웰로 제편하여 29 코스/2.54cm, 52 웰/2.54cm 의 밀도의 천축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기를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40 코스/2.54cm, 48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10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22 dtex/15f 의 PTT 섬유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도, 신도, 탄성률, 10 % 신장시의 탄성회복률 및 비수 수축률은 각각 2.7 cN/dtex, 43 %, 25 cN/dtex, 97 % 및 12 % 였다.
이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 84 dtex/24f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편지의 PTT 섬유와 레이온 섬유의 구성질량 비율을 20 : 80 이 되도록, 28 게이지의 환편기로 편직길이 33.0 cm/100웰 (후술하는 비교예 9 의 PET 섬유에서의 조건보다 20 % 길음) 로 제편하여 42 코스/2.54cm, 42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 생지를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90 ℃ 에서 20 분간 정련한 후, 펼쳐 핀텐터로 160 ℃ 에서 1 분간의 유폭 프레 세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액류염색기를 사용하여 분사염료로 120 ℃ ×30분간 염색하고, 80 ℃ 에서 10 분간 환원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반응염료로 60 ℃ ×60 분 염색 후, 80 ℃ 에서 10 분간 소핑을 실시하였다. 건조 후, 통상의 마름질제를 침지 후, 교액하여 유폭으로 150 ℃ ×1 분간의 파이널 세트를 실시하여 48 코스/2.54cm, 49 웰/2.54cm 의 편지를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1 에서 사용한 22 dtex/15f 의 PTT 대신에 22 dtex/15f 의 PET 섬유 (아사히카세이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하여 편직길이 27.5 cm/100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47 코스/2.54cm, 48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제작하였다.
이 편지를 후술하는 비교예 10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46 코스/2.54cm, 50 웰/2.54cm 의 편물을 얻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이 편지는 실시예 11 에 비하여 정하중시의 신장률이 낮고, 전단강성이 높으며 질감이 단단하다. 또, 착용감도 불량하고 런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11 에서 편직길이를 비교예 9 와 동일하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54 코스/2.54cm, 46 웰/2.54cm 의 밀도의 스무드편지 생기를 얻었다.
이 편지 생지를 액류 염색기를 사용하여 90 ℃ 에서 20 분간 정련하고, 분사염료로 130 ℃ ×30 분간 염색 후, 80 ℃ 에서 10 분간 환원세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반응염료로 60 ℃ ×60 분 염색 후, 80 ℃ 에서 10 분간 소핑을 실시하였다. 건조 후, 마름질제를 부여시켜 140 ℃ × 2 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교편편지는 72 코스/2.54cm, 66 웰/2.54cm 이었다. 얻어진 편지의 평가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실시예 11 의 편지는 생기밀도를 성기게 하고 있는 데에 비하여, 이 편지는 편직길이를 PET 섬유의 통상 조건으로 하였기 때문에, 생기밀도가 실시예 11 의 것보다 현저하게 높아지고, 또한 프레 세트를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얻어진 편지의 부피밀도가 너무 높아져 정하중시의 신장률, 신장탄성률이 낮고, 질감이 단단하며 착용쾌적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위편물은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안정성, 내황변성이 우수하고, 드라이터치로 부드러운 질감과, 우수한 스트레치성과 신장회복률을 가지며, 착용쾌적성이 우수하여 겉옷으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4)

  1.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조를 포함하고, JIS-L-1018 에 의한 2.5 cm 폭 당 19.6 N 의 하중으로 측정한 횡방향의 정하중시 신장률이 80 ∼ 250 %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JIS-L-1018 에 의한 횡방향의 50 % 신장시 신장탄성률이 80 % 이상인 위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중량이 80 ∼ 500 g/㎡ 이고, 또한 부피밀도가 0.28 ∼ 0.60 g/㎤ 인 위편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KES-FB 에 의한 전단강성 (G) 이 0.28 ∼ 1.50 cN/cmㆍdeg. 인 위편지.
KR10-2002-7004061A 1999-09-30 2000-09-29 위편지 KR100518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79072 1999-09-30
JP27907299 199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207A true KR20020033207A (ko) 2002-05-04
KR100518920B1 KR100518920B1 (ko) 2005-10-06

Family

ID=1760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061A KR100518920B1 (ko) 1999-09-30 2000-09-29 위편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61230B1 (ko)
EP (1) EP1266990B1 (ko)
JP (1) JP3902007B2 (ko)
KR (1) KR100518920B1 (ko)
CN (1) CN1283864C (ko)
AU (1) AU7450700A (ko)
BR (1) BR0014393A (ko)
DE (1) DE60028092T2 (ko)
HK (1) HK1049031A1 (ko)
IL (1) IL148753A0 (ko)
TR (1) TR200200857T2 (ko)
TW (1) TW584682B (ko)
WO (1) WO20010236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4742C (zh) 2000-05-18 2005-10-26 旭化成株式会社 原丝染色丝条
ATE328495T1 (de) 2001-03-19 2006-06-15 Asahi Chemical Ind Unterwäsche
KR101165244B1 (ko) * 2002-12-12 2012-07-17 닛신보 홀딩스 가부시키 가이샤 폴리우레탄 탄성섬유 혼용 직편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39361A1 (en) * 2004-04-21 2005-10-27 Fay William L Sr Printable moisture management fabric
US20070035058A1 (en) * 2005-07-06 2007-02-15 Ogle Steven E Method for relofting a nonwoven fiber batt
CN1324181C (zh) * 2005-09-20 2007-07-04 王启明 以聚对苯二甲酸丙二醇酯为原料的摇粒绒纺织品的生产方法及其产品
CN1962983B (zh) * 2006-12-14 2011-04-13 王启明 一种以丙纶为原料的摇粒绒纺织品的制造方法及其产品
JP2009209495A (ja) * 2008-03-06 2009-09-17 Toray Ind Inc 弾性経編地
JP5692993B2 (ja) * 2009-12-03 2015-04-01 帝人株式会社 丸編地および衣料
CN102138709B (zh) * 2011-05-10 2013-03-27 丹阳市丹祈鱼跃纺织有限公司 玉米生物基纤维皮感休闲面料的制备方法
JP5803595B2 (ja) * 2011-11-15 2015-11-0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CN103122550B (zh) * 2011-11-18 2016-05-25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单面针织物及其生产方法
CN102797104B (zh) * 2012-08-01 2014-04-30 劲霸男装(上海)有限公司 一种Sorona与真丝服装面料的加工方法
CN103835059A (zh) * 2012-11-27 2014-06-04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丝涤针织物及其生产方法
CN102995266A (zh) * 2012-11-27 2013-03-27 绍兴县舒丽乐纺织品有限公司 一种新型生物质弹力短纤混纺运动针织面料
CN103556375A (zh) * 2013-09-25 2014-02-05 桐乡市中龙纺业有限责任公司 钻石丝面料的制备方法
CN103541100B (zh) * 2013-10-18 2015-05-27 江苏倪家巷集团精毛纺织有限公司 多组分精纺花呢
JP6654565B2 (ja) * 2014-07-09 2020-02-26 公益財団法人がん研究会 衣料
JP6958850B2 (ja) * 2015-10-13 2021-11-02 中野産業株式会社 オパール加工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74149A (zh) * 2016-01-20 2018-08-31 帝人富瑞特株式会社 针织物和纤维制品
GB2559567B (en) 2017-02-08 2022-06-22 Unmade Ltd A method of knitting a fabric using a knitting machine and a knitting machine
JP6923354B2 (ja) * 2017-05-08 2021-08-18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グローブ用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6505162B2 (ja) * 2017-06-16 2019-04-24 共和レザー株式会社 メリヤス及びこのメリヤスを基布とする合成樹脂積層体
JP7079110B2 (ja) * 2018-02-05 2022-06-01 東レ株式会社 シングル丸編地
CN110760984B (zh) * 2019-11-14 2021-04-09 江苏翔宇工艺编织有限公司 一种提高混纺针织物舒适度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7788A (en) * 1963-11-21 1966-11-29 Riegel Textile Corp Method of making stretchable cotton fabrics
US4670326A (en) * 1983-08-17 1987-06-02 Standard Textile Company, Inc. Woven sheeting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900613A (en) * 1987-09-04 1990-02-1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 Comfortable fabrics of high durability
JP2801264B2 (ja) * 1989-05-24 1998-09-21 帝人株式会社 高級綿様風合を有する合成繊維糸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36759B2 (ja) 1990-03-14 1999-08-23 東レ株式会社 高密度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27156A (en) 1993-03-26 1995-06-27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Cotton fabric made from spun yarns of high fiber length and fineness
JPH073588A (ja) 1993-06-14 1995-01-06 Toyobo Co Ltd 柔軟性と光沢に優れた新規な木綿編物
JP2838643B2 (ja) 1993-12-21 1998-12-16 東宝繊維株式会社 パップ用メリヤス基布、その製造方法、及びパップ
JP3489910B2 (ja) 1995-05-15 2004-01-26 東レ株式会社 水 着
JPH1112902A (ja) 1997-06-23 1999-01-19 Asahi Chem Ind Co Ltd 交編物
JP3073953B2 (ja) 1997-12-26 2000-08-07 旭化成工業株式会社 発色性の優れた織編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6222A (zh) 2002-10-23
CN1283864C (zh) 2006-11-08
TW584682B (en) 2004-04-21
EP1266990A4 (en) 2004-07-07
DE60028092D1 (de) 2006-06-22
WO2001023654A1 (fr) 2001-04-05
IL148753A0 (en) 2002-09-12
TR200200857T2 (tr) 2002-06-21
BR0014393A (pt) 2002-08-20
HK1049031A1 (zh) 2003-04-25
US6561230B1 (en) 2003-05-13
JP3902007B2 (ja) 2007-04-04
EP1266990A1 (en) 2002-12-18
KR100518920B1 (ko) 2005-10-06
DE60028092T2 (de) 2006-12-21
EP1266990B1 (en) 2006-05-17
AU7450700A (en) 200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920B1 (ko) 위편지
KR100471706B1 (ko) 선염사
KR100554060B1 (ko) 속옷
KR100686299B1 (ko) 재봉사 및 직물 봉제품
JP3963774B2 (ja) 織物
JP2006219796A (ja) 織物
JP2008095245A (ja) 編物
JP2001040537A (ja)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JPH04361650A (ja) 伸縮性ピーチ調編地の製造方法
JP4049574B2 (ja) 複合先染糸
JP2001089950A (ja) 強撚織物
JP4285851B2 (ja) 編物
JP4317082B2 (ja) レース編地
JP2002020272A (ja) 貼付剤用基布および貼付剤
JP4108399B2 (ja) 貼布剤用基布及び貼布剤
JP2002004156A (ja) 交編経編地
JP2003155632A (ja) 先染糸の製造方法
JP3484822B2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複合糸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6247A (ja) 筒状編地
JP2002266198A (ja) 複合伸縮性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14626B2 (ja) 強撚織物
JP2007031882A (ja) 織物の製造方法
JP2003342846A (ja) スエード調複合交絡糸
JP2002013048A (ja) 混用品
JP2007231437A (ja) 裏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