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041A -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041A
KR20020031041A KR1020010063933A KR20010063933A KR20020031041A KR 20020031041 A KR20020031041 A KR 20020031041A KR 1020010063933 A KR1020010063933 A KR 1020010063933A KR 20010063933 A KR20010063933 A KR 20010063933A KR 20020031041 A KR20020031041 A KR 2002003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main body
open position
body casing
feed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406B1 (ko
Inventor
다카하시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2003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4Manual suppl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5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65H2405/324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between operative position and non 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79Copy medium holder
    • G03G2215/00392Manual input t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를 정 역회전 개폐 자유롭게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케이싱에 지지된 용지 공급 트레이와, 개방 위치에 위치된 용지 공급 트레이상에 세트된 용지를 용지 공급 트레이로부터 송출하는 용지 공급 롤러를 구비하는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개방 위치를 점한 용지 공급 트레이와 용지 공급 롤러의 위치 정밀도를 높여서 용지를 정확하게 송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감소시킨 용지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아암(10)의 기단부(11)를 일체로 고정함과 동시에,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아암(10)의 선단부(13)에 형성된 볼록부(15A)를 본체 케이싱(2)에 형성한 오목부(14A)에 걸어맞춘다.

Description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HEET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케이싱내로 송출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공급 트레이와, 그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송출된 용지를 상기 본체 케이싱내로 도입하는 용지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용지 공급구로부터 용지를 본체 케이싱내로 송출할 때의 개방 위치인 적어도 두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용지 공급 장치와, 그 용지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적어도 두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등으로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형식의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종래로부터 주지한 바이다. 이 형식의 용지 공급 장치는 그 사용시에 용지 공급 트레이를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그 윗면에 세트한 용지를 용지 송출 수단에 의해 본체 케이싱의 용지 공급구를 통하여 본체 케이싱내로 보낼 수 있다. 또, 용지 공급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용지 공급트레이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켜 용지 공급 트레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용지 공급 트레이가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여 방해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켜서 용지를 송출할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의 용지 송출 수단에 대한 위치 정밀도가 낮으면 용지를 정확하게 송출할 수 없다. 그래서 본체 케이싱에 고정된 지지 부재에 용지 공급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용지 공급 트레이를 이 지지 부재를 통하여 본체 케이싱에 지지하고, 용지 공급 트레이에 마련한 스톱퍼를 지지 부재의 걸어맞춤부에 맞붙여 용지 공급 트레이를 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용지 공급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9-150995호 공보 참조). 이 제안에 따른 용지 공급 장치에 의하면, 용지 공급 트레이의 지지부와, 용지 공급 트레이의 스톱퍼가 맞붙는 걸어맞춤부가 동시에 하나의 지지부재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지 공급 트레이가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용지 송출 수단에 대한 용지 공급 트레이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용지 공급 장치에 의하면, 용지 공급 트레이 외에 지지부재와 스톱퍼를 마련한 필요가 있으므로, 그 부품수가 증대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의 부품 정밀도를 높이지 않으면 개방 위치를 점한 용지 공급 트레이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없어 용지 공급 장치의 비용이 상승하는 결점을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고, 종래보다도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는 용지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하고, 상기 용지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외관 사시도로서, 용지 공급 트레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지 공급 트레이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 단면도.
도 4는 용지 공급 트레이를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꺼내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아암과 본체 케이싱의 맞춤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암 선단부의 이동 궤적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아암과 본체 케이싱의 맞춤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용지 공급 트레이가 다른 개방 위치로 회전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본체 케이싱에 안내 홈(28)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도 8의 안내홈(28)의 확대도, 도 9B는 안내홈(28)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본체 케이싱에 안내홈(28, 28A)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안내홈(28A)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용지 공급 장치
2본체 케이싱
3용지 공급 트레이
4용지 공급구
10아암
13선단부
14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
14A오목부
15아암 걸어맞춤부
15A볼록부
17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
17A오목부
18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
19아암 부분
20아암 홈
21본체 케이싱 부분
24다른 본체 케이싱 부분
25케이싱 홈
28, 28A안내 홈
D깊이
P용지
본 발명은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케이싱 내로 송출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공급 트레이와, 그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송출된 용지를 상기 본체 케이싱내로 도입하는 용지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용지 공급구로부터 용지를 본체 케이싱내로 송출할 때의 개방 위치인 적어도 두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의 회전 중심부보다도 이 용지 공급 트레이의 자유단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용지 공급 트레이 부분에 기단부(基端剖)가 고정된 아암을 구비하고, 이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선단부에는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이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아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 1).
그 때,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춰지는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2).
또,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개방 위치 이외의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싱에 정역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3, 4).
나아가, 상기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측으로 되접어 꺾어진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아암 부분 사이에 아암 홈이 구획되며,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전개방(全開放) 위치를 점했을 때, 상기 아암 홈에 본체 케이싱 부분이 들어온 상태에서 이 본체 케이싱 부분과 상기 아암 홈이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5).
또,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전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상기 아암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 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본체 케이싱 부분 사이에 구획된 케이싱 홈에 들어온 상태에서 이 아암의 선단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 홈이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6).
나아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각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상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상기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져 미끄럼 운동하는 안내홈이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7, 8).
또,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아암과의 접촉에 의해 이 아암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점차증대하도록 이 아암이 본체 케이싱에 맞춰져 있으면 유리하다(청구항 9, 10).
나아가, 상기 안내홈의 깊이가 상기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로부터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이 안내홈을 형성하면 유리하다(청구항 11, 12).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용지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안한다(청구항 1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용지 공급 장치(1)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개략 단면도이다. 여기에 나타낸 용지 공급 장치(1)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케이싱(2)의 측부에 배치된 용지 공급 트레이(3)를 구비하고, 본체 케이싱(2)에는 그 케이싱 내로 용지를 도입하기 위한 용지 공급구(4)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본체 케이싱(2)의 측벽(2A) 아래쪽에 용지 공급구(4)가 위치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구(4) 근처의 본체 케이싱 부분에는 동심형의 한쌍의 힌지 핀(5, 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각 힌지 핀(5, 5)에 용지 공급 트레이(3)의 폭 방향 각 측부에 형성된 힌지 구멍(6, 6)이 회전 자유롭게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구(4)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용지를 송출할때의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 케이싱(2)에 지지된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구(4) 근처의 본체 케이싱내 부위에는 용지 송출 수단의 일례인 용지 공급 롤러(7) 주면에 용지 분리 수단의 일례인 마찰 패드(8)가 맞붙어 있다.
용지 공급 장치(1)의 비사용 시에는 용지 공급 트레이(3)는 도 1에 나타낸 폐쇄 위치를 점하고, 이 때 용지 공급 트레이(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용지 공급 장치(1)의 비사용 시에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를 점하므로 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본체 케이싱(2)의 바깥쪽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아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방해로 되지 않는다.
용지 공급 장치(1)를 사용할 때에는 조작자는 용지 공급 트레이(3)에 마련된 손잡이(9)를 잡고 폐쇄 위치에 있는 용지 공급 트레이(3)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용지 공급 트레이(3)는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다음 도 2에 절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상에 하나 또는 복수 매의 용지(P)를 세트하여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키를 누르면, 용지 공급 롤러(7)가 하강하여 용지 윗면에 맞붙음과 동시에 그 용지 공급 롤러(7)가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최상위의 용지가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안내되면서 화살표 B방향으로 송출된다. 이 때 마찰 패드(8)의 작용으로 한번에 복수 매의 용지가 동시에 송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용지 공급 트레이에 그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사이드 펜스(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하고, 그 사이드 펜스에 의해 송출되는 용지의 폭방향 측 가장자리를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용지 공급구(4)로부터 본체 케이싱 내로 보내진 용지는 본체 케이싱 내의 도시하지 않은 화상 형성부로 이송되고, 여기서 용지 상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며, 계속하여 그 용지는 도시하지 않은 용지 배출부로 배출된다.
용지 공급 장치(1)의 사용이 완료되면 그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도 2에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 복귀시켜 그 용지 공급 트레이(3)를 저장한다.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전술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외에 예컨대 도 3에 절선으로 나타낸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본 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를 화상 형성부로 자동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용지 공급 장치가 마련되고, 이 용지 공급 장치로 공급하는데에 부적당한 용지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용지 공급 장치(1)에 의해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용지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동 용지 공급 장치로 불리우는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용지 공급 장치(1)만을 마련하여 오직 이 용지 공급 장치(1)에 의해 용지를 화상 형성부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용지 공급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케이싱 내로 송출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공급 트레이와, 그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수단을 구비하고, 용지 공급 트레이는 송출된 용지를 본체 케이싱내로 도입하는 용지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용지 공급구로부터 용지를 본체 케이싱내로 송출할 때의 개방 위치의 적어도 2 개의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도 1에 나타낸 폐쇄 위치와 도 2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 할 때, 용지 공급 트레이(3)를 그 각 위치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의 회전 중심부(도시한 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힌지 구멍(6)의 부분)로부터 용지 공급 트레이(3)의 자유단측으로 소정 거리 간격을 둔 용지 공급 트레이 부분에 한 쌍의 아암(10, 10)의 기단부(11, 11)가 고정되고, 이 예에서는 용지 공급 트레이(3)의 폭 방향 각 측부에 각 아암(10, 10)의 기단부(11, 11)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아암(10, 10)은 그 기단부(11, 11)로부터 용지 공급 트레이(3)의 회전 중심부 주위에 원호형으로 연장되고, 도 5 및 도 6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2)의 측벽(2A)에 형성된 각 구멍(12, 12)을 관통시켜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가 본체 케이싱(2)내에 수납되어 있다. 각 아암(10, 10)과 그 각 아암(10, 10)이 맞춰진 본체 케이싱 부분의 형상은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용지 공급 트레이(3)의 폭방향 중심선(CL)(도 2)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아암이 2 개 마련되어 있지만 그 수는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각 아암(10, 10)과,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별도로 제작한 후, 그 각 아암(10, 10)의 기단부(11, 11)를 접착제나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에고정하여도 좋고, 아암(10, 10)과 용지 공급 트레이(3)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각 아암(10, 10)의 기단부(11, 11)를 용지 공급 트레이(3)에 고정할 수도 있다. 용지 공급 트레이(3), 아암(10, 10) 및 본체 케이싱(2)은 예컨대 경질 수지, 또는 금속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 내에 삽입된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에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도 2에 나타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이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되도록,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에 걸어맞추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아암 걸어맞춤부(15)가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에 돌출되게 설치된 볼록부(15A)에 의해 형성되고,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가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오목부(14A, 14A)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 볼록부(15A, 15A)가 각 오목부(14A, 14A)에 각각 걸어맞춰짐으로써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아암 걸어맞춤부(15)를 오목부에 의해 구성하고,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를 볼록부에 의해 구성하며, 그 오목부와 볼록부를 서로 걸어맞춰서 용지 공급 트레이를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시킬 수도 있다.
개방 위치를 점하고 있던 용지 공급 트레이(3)를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때까지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에 걸어맞춰져 있던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그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로부터 떨어져 볼록부(15A, 15A)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본체 케이싱(2)의 각 면(2B, 2B)을미끄럼운동한다.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도 1에 나타낸 폐쇄 위치에 이르면,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에 형성된 아암 걸어맞춤부(15)가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에 걸어맞춰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그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지 공급 트레이가 폐쇄 위치를 점했을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가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도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오목부(17A, 17A)로 이루어지고, 그 각 오목부(17A, 17A)에 볼록부(15A, 15A)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걸어맞춰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그 폐쇄 위치에 위치에 결정되지만, 아암 걸어맞춤부를 오목부에 의해 형성하고,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를 그 오목부에 걸어맞추는 볼록부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폐쇄 위치를 점하고 있던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도 1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아암 걸어맞춤부(15, 15)는 각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로부터 떨어져 볼록부(15A, 15A)로 이루어지는 각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본체 케이싱(2)의 면(2B, 2B)을 미끄럼 운동하여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에 이르렀을 때, 각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각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에 걸어맞춰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다.
상술한 용지 공급 장치에 의하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도 2에 나타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는 이 트레이(3)에 일체로 고정된 아암(10, 10)의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므로,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본체 케이싱(2)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용지 공급 롤러(7)로 이루어지는 용지 송출 수단도 본체 케이싱(2)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용지 공급 롤러(7)를 본체 케이싱(2)에 대하여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 위치를 점한 용지 공급 트레이(3)와,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수단이 함께 본체 케이싱(2)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결정되므로, 용지 송출 수단에 대한 용지 공급 트레이(3)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상의 용지(P)를 정확하게 송출하여 화상 형성부로 공급할 수 있고, 용지가 경사지거나, 용지의 이송 불능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아암 이외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도 용지 공급 트레이(3)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용지 공급 장치의 부품 수 증대를 억제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를 점한 경우에도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에 걸어맞춰져 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암 이외의 부재를 마련하지 않고도 용지 공급 트레이(3)를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어 용지 공급 장치(1)의 비용을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는 본체 케이싱(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아암 걸어맞춤부(15, 15)와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 및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도 본체 케이싱내에 숨겨진상태로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볼 수 없다. 이 때문에, 용지 공급 장치(1)가 번잡한 외관을 나타내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회전할 때,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본체 케이싱(2)의 면(2B, 2B)에 미끄럼 접촉하므로, 그 면(2B, 2B)에 다소 손상 줄 우려도 있지만, 이 면(2B, 2B)은 본체 케이싱(2)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볼 수 없으므로 이 면(2B, 2B)이 다소 손상 받아도 그 외관은 손상받지 않는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도 2에 나타낸 개방 위치 이외의 다른 개방 위치, 예컨대 도 3에 절선으로 나타낸 위치도 점할 수 있도록 그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본체 케이싱(2)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는데, 이 구성을 채용한 경우,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할 때,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이 다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전술한 각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각각 걸어맞추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18, 18)(도 7에는 한 쪽만 나타낸다)를 본체 케이싱(2)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18, 18)도 오목부(18A, 18A)에 의해 구성되고, 볼록부(15A)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그 각 오목부(18A, 18A)에 각각 걸어맞춰져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다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암 걸어맞춤부(15, 15)를 오목부에 의해 구성했을 때에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18, 18)는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볼록부에 의해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다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한 용지 공급 트레이(3)상에 예컨대, 용지 등을 적재할 수 있고, 용지 공급 트레이(3)를 물건 올려놓는 테이블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는 용지 공급 트레이(3)의 측으로 되접어 꺾어진 부분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부(13, 13)와 이것에 대향하는 아암 부분(19, 19)의 사이에 아암 홈(20, 20)이 각각 구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아암 부분(19, 19)과,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의 사이의 아암 되접어 꺾음부(23, 23)에 의해 아암 홈(20, 20)의 저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전개방 위치, 즉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개방 위치, 또는 그 도면에 절선으로 나타낸 다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도 5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아암 홈(20, 20)에 본체 케이싱(2)의 일부인 본체 케이싱 부분(21, 21)이 각각 들어간 상태에서 그 각 본체 케이싱 부분(21, 21)과 아암 홈(20, 20)이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전개방 위치를 점한 상태에서 그 용지 공급 트레이(3)에 대하여 그것이 더욱 개방하는 방향의 큰 외력이 가해질 때, 본체 케이싱 부분(21, 21)의 선단면(22, 22)이 아암 홈(20, 20)의 저면에 맞붙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그 이상 크게 회전하거나, 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본체 케이싱(2)으로부터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예의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전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가 상술한 각 본체 케이싱 부분(21, 21)과,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본체 케이싱 부분(24, 24)의 사이에 구획된 각 케이싱 홈(25, 25)에 들어온 상태에서 그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와 각 케이싱 홈(25, 25)이 각각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본체 케이싱 부분(21, 21)과, 다른 본체 케이싱 부분(24, 24) 사이의 본체 케이싱의 부분(27, 27)에 의해 케이싱 홈(25, 25)의 저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용지 공급 트레이(3)가 전개방 위치를 점하고 있을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에 개방 방향의 큰 외력이 가해져도 각 선단부(13, 13)의 선단면(26, 26)이 각 케이싱 홈(25, 25)의 저면에 맞붙고, 이것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그 이상 크게 회전하거나 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본체 케이싱(2)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한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싱(2)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가 각각 오목부(14A, 14A; 17A, 17A)에 의해 형성되고, 더욱이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오목부(14A, 14A; 17A, 17A)로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에 각각 걸어맞추는 볼록부(15A, 15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도 8내지 도 11에 나타낸 예도 마찬가지이지만, 그 때 도 8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트레이(3)가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할 때, 볼록부(15A, 15A)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끼워맞춰 미끄럼 운동하는 안내홈(28, 28)을 본체 케이싱(2)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지 공급 트레이(3)를 폐쇄 위치와 개폐 위치 사이에 회전시킬 때,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안내홈(28, 28)에 의해 안내되므로 아암(10, 1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지 공급 트레이(3)를 안정한 상태로 회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와, 다른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할 때에도 볼록부(15A, 15A)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15, 15)가 끼워맞춰 미끄럼 운동하는 안내홈(28A, 28A)이 본체 케이싱(2)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와 다른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에도 그 회전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시한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는 거의 수직으로 일어선 자세를 취하고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이 용지 공급 트레이(3)는 점차 경사진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함에 따라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작용하는 그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점차 커진다. 이 때문에 전술한 구성만이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그 회전 속도가 높아져 용지 공급 트레이(3)가 개방 위치에 정지할 때 큰 충격이 발생하여 조작자에게 불쾌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각 구성에 있어서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본체 케이싱(2)과 아암(10, 10)의 접촉에 의해 이 아암(10, 10)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점차 증대하도록 이 아암(10, 10)을 본체 케이싱(2)에 맞추면 유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할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작용하는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점차 증대하지만,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작용하는 마찰력도 점차 증대하므로 용지 공급 트레이(3)는 급격히 속도를 빨리면서 개방 위치로 회전하는 일은 없다. 예컨대, 용지 공급 트레이(3)를 폐쇄 위치로부터 약간의 각도를 경사지게 하는 곳까지 손으로 잡아 당긴 후, 용지 공급 트레이(3)로부터 손을 떼면 용지 공급 트레이(3)는 일정 속도로 개방 위치까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그 때, 도 8, 도 9A,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2)에 안내홈(28, 28)을 형성했을 때에는 그 안내홈(28, 28)의 두께(D)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17, 17)로부터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14, 14)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즉 D1 > D2로 되도록 그 안내홈(28, 28)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용지 공급 트레이(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그 용지 공급 트레이(3)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점차 높일 수 있다.
또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2)에 안내홈(28A, 28A)을 마련한 경우도 그 안내홈(28A, 28A)의 깊이(D3)가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18, 18)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즉 D4 > D5로 구성함으로써 용지 공급 트레이(3)가 다른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할 때, 이것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점차 높일 수 있다.
아암(10, 10)을 본체 케이싱(2)에 맞추기 위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아암(10, 10)의 선단부(13, 13)를 본체 케이싱(2)의 구멍(12, 12)으로 삽입한다. 각 선단부(13, 13)를 각 구멍(12, 12)에 삽입하여 그 각 선단부(13, 13)가 면(2D)으로부터 떨어지면 그 각 선단부(13, 13)는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탄성 복귀하여 그 각 단부(13, 13)가 본체 케이싱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아암(10, 10)을 본체 케이싱(2)에 맞출 수 있다.
청구항 1내지 1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용지 송출 수단에 대한 개방 위치를 점한 용지 공급 트레이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게다가 용지 공급 장치의 부품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하여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아암의 선단부가 본체 케이싱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용지 공급 장치의 외관미 저하를 저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케이싱 내로 송출되는 용지를 안내하는 용지 공급 트레이와, 그 용지를 송출하는 용지 송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송출된 용지를 상기 본체 케이싱내로 도입하는 용지 공급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용지 공급구로부터 용지를 본체 케이싱내로 송출할 때의 개방 위치인 적어도 두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용지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의 회전 중심부로부터 이 용지 공급 트레이의 자유단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용지 공급 트레이 부분에 기단부가 고정된 아암을 구비하고, 이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선단부에는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이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지는 아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폐쇄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춰지는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개방 위치 이외의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개방 위치 이외의 다른 개방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싱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 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이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다른 개방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다른 개방 위치용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선단부는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측으로 되접어 꺾어진 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 선단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아암 부분 사이에 아암 홈이 구획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전개방(全開放) 위치를 점했을 때, 상기 아암 홈에 본체 케이싱 부분이 들어온 상태에서 이 본체 케이싱 부분과 상기 아암 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전개방 위치를 점했을 때, 상기 아암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 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다른 본체 케이싱 부분 사이에 구획된 케이싱 홈에 들어온 상태에서 이 아암의 선단부와 상기 본체 케이싱 홈이 서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각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상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추는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를회전할 때, 상기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서 미끄럼 운동하는 안내홈이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된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가 각각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아암 걸어맞춤부가 상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와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추는 볼록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를 회전할 때, 상기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아암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서 미끄럼 운동하는 안내홈이 상기 본체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아암과의 접촉에 의해 이 아암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점차 증대하도록 이 아암이 본체 케이싱에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공급 트레이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본체 케이싱과 상기 아암과의 접촉에 의해 이 아암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점차 증대하도록 이 아암이 본체 케이싱에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깊이가 상기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로부터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이 안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깊이가 상기 폐쇄 위치용 걸어맞춤부로부터 개방 위치용 걸어맞춤부를 향하여 점차 얕아지도록 이 안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공급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용지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63933A 2000-10-20 2001-10-17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장치 KR10039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1576 2000-10-20
JPJP-P-2000-00321576 2000-10-20
JPJP-P-2001-00284191 2001-09-18
JP2001284191A JP2002193497A (ja) 2000-10-20 2001-09-18 給紙装置及びその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041A true KR20020031041A (ko) 2002-04-26
KR100393406B1 KR100393406B1 (ko) 2003-07-31

Family

ID=2660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933A KR100393406B1 (ko) 2000-10-20 2001-10-17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95514B2 (ko)
EP (1) EP1199269B1 (ko)
JP (1) JP2002193497A (ko)
KR (1) KR100393406B1 (ko)
CN (1) CN1222845C (ko)
DE (1) DE601049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3184B2 (ja) * 2001-09-17 2008-09-17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
JP3996035B2 (ja) * 2002-10-25 2007-10-24 株式会社リコー エンドフェンス、給送カセッ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50347B2 (ja) * 2003-03-31 2008-09-17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04990B2 (ja) * 2003-03-31 2009-01-07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85460B2 (ja) * 2003-03-31 2008-11-26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942211B2 (en) * 2003-07-11 2005-09-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bile printer and paper feeder
JP2005070544A (ja) * 2003-08-26 2005-03-17 Sharp Corp 画像形成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7190A (ja) * 2003-12-26 2005-07-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073787B2 (en) * 2003-12-15 2006-07-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tray damper
JP4717455B2 (ja) * 2004-02-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34615B1 (ko) * 2004-03-15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가능한 급지카세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608078B1 (ko) * 2004-07-16 2006-08-08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JP4311295B2 (ja) 2004-07-22 2009-08-12 船井電機株式会社 用紙トレイ支持構造
JP4446862B2 (ja) * 2004-11-09 2010-04-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の給紙装置
JP4449747B2 (ja) * 2005-01-04 2010-04-14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TWI250083B (en) * 2005-01-24 2006-03-01 Benq Corp Business machine and retractable feeding apparatus thereof
JP4119899B2 (ja) * 2005-02-28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26593A1 (en) * 2005-03-31 2006-10-12 Xerox Corporation Sheet feeder trays
JP4396565B2 (ja) * 2005-04-01 2010-01-13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12872B2 (ja) * 2005-06-3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並びに記録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7431279B2 (en) * 2005-06-30 2008-10-07 Budelsky Stephen A Media support for an imaging apparatus
TWI291416B (en) * 2005-07-19 2007-12-21 Benq Corp Business equipment
JP4692409B2 (ja) * 2006-06-23 2011-06-01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開閉カバーのスナップフィット機構
JP2008011466A (ja) * 2006-06-30 2008-01-17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0822B2 (ja) * 2006-10-27 2011-08-0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手差しトレイ構造
JP4887133B2 (ja) * 2006-12-21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15524B2 (ja) * 2007-07-20 2012-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材のサポート装置及び記録装置
JP5080932B2 (ja) * 2007-10-17 2012-1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手差し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38083B2 (ja) * 2008-02-12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
JP2009214948A (ja) 2008-03-06 2009-09-24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
KR101228929B1 (ko) * 2008-08-19 201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5347436B2 (ja) * 2008-11-05 2013-1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333059B2 (ja) * 2009-08-27 2013-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CN102029808B (zh) * 2009-09-30 2014-11-19 立志凯株式会社 印刷装置以及输送带
US8662498B2 (en) 2010-10-26 2014-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paper discharge device
TW201400304A (zh) * 2012-06-20 201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定位出紙盤的印表機
JP5881654B2 (ja) * 2013-08-26 2016-03-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30556B2 (ja) * 2014-07-31 2018-05-30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19640A (ja)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300769B2 (ja) * 2015-08-21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90571B2 (ja) * 2015-09-28 2018-09-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01114B2 (ja) * 2015-10-02 2019-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US11090048B2 (en) 2016-12-21 2021-08-17 Cilag Gmbh International Method for resetting a fuse of a surgical instrument shaft
JP2018126976A (ja) * 2017-02-10 2018-08-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US11214080B2 (en) * 2019-03-08 2022-01-04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160A (en) * 1988-11-30 1992-09-08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sending apparatus
JPH0335559U (ko) 1989-08-19 1991-04-08
JP2522155Y2 (ja) 1989-08-26 1997-01-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569654Y2 (ja) 1989-09-22 1998-04-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536713Y2 (ja) 1989-11-29 1997-05-28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US5300996A (en) 1991-06-07 1994-04-05 Ricoh Company, Ltd. Fixing apparatus
JPH05204244A (ja) 1992-01-23 1993-08-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689764A (en) 1995-05-24 1997-11-1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ice for driving a contact type charging member
JP3136262B2 (ja) 1995-12-06 2001-02-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排紙トレイ支持装置
JPH09286534A (ja) * 1996-04-20 1997-11-04 Ricoh Co Ltd 給紙装置
JPH10186825A (ja) 1996-09-25 1998-07-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25158B2 (ja) * 1997-12-12 2006-09-20 株式会社東芝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93860A (ja) 1997-12-29 1999-07-21 Ricoh Co Ltd 樹脂製の歯車
US6215970B1 (en) * 1999-01-13 2001-04-10 Ricoh Company, Ltd. Duplex unit with recess for retracting manual sheet feeding tra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uplex unit
JP2000318884A (ja) 1999-05-12 2000-11-21 Copyer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71598B1 (ko) 1999-10-29 2003-02-1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회전체 구동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9269B1 (en) 2004-08-18
DE60104960D1 (de) 2004-09-23
CN1350209A (zh) 2002-05-22
EP1199269A1 (en) 2002-04-24
DE60104960T2 (de) 2005-01-20
US20020063374A1 (en) 2002-05-30
JP2002193497A (ja) 2002-07-10
US6595514B2 (en) 2003-07-22
CN1222845C (zh) 2005-10-12
KR100393406B1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406B1 (ko) 용지 공급 장치 및 그 용지 공급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장치
JP6816514B2 (ja) 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20000017291A (ko) 회전식 봉상물 조출구
EP2019064A1 (en) Transfer tool
US201901463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2282103C (en) Printer with two working positions
JPH1059555A (ja) 給紙装置及び印字装置
EP2156957A1 (en) Recording device
US7052197B2 (en) Printer system having a rotatable input tray with length adjuster
US1163572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otatable manual feed tray
JP2000309451A5 (ko)
KR10052115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7122985B2 (ja) 転写具
JP3750124B2 (ja) 給紙装置及び印字装置
JP2001302027A (ja) シート部材供給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機
KR200151922Y1 (ko) 별도의 용지 가이드 구조를 갖는 급지 카세트
US5040780A (en) Sheet feeding apparatus for separating individual sheets from stacks of sheets of different relative stiffness
JP2004323125A (ja) 給紙カセット
JPH0679935A (ja) 小型プリンタ
JPH0644918Y2 (ja) 給紙装置
JPH082449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18950A (ja) トレイ位置決め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097Y2 (ja) 印字装置
KR920006988Y1 (ko) 복사기의 용지 안내장치
JP202016371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