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958A -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 Google Patents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958A
KR20020017958A KR1020010046908A KR20010046908A KR20020017958A KR 20020017958 A KR20020017958 A KR 20020017958A KR 1020010046908 A KR1020010046908 A KR 1020010046908A KR 20010046908 A KR20010046908 A KR 20010046908A KR 20020017958 A KR20020017958 A KR 20020017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weight
nonaqueous electrolyte
parts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720B1 (ko
Inventor
스즈키고헤이
구보타가즈노리
구로다아키라
가와무라모토이
후쿠나가마사오
오하타쓰모루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393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1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0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2823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20017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06/106Elliptic woun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2010/4292Aspects relating to capacity ratio of electrodes/electrolyte or anode/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활성물질로서의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 및 입자형상결착제를 포함하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양극, 탄소재료를 포함하는 음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로부터, 상기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가 3.0∼4.0 g/m1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를 구성한다. 이 전지는, 수명이 길고, 고 에너지밀도로 고출력이다.

Description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for the same}
휴대용전자기기의 전원으로서 이용되는 비수전해질이차전지의 양극은,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음극에는, 리튬의 흡수저장·방출이 가능한 탄소재료가 포함되고 있다.
양극합제는, 활성물질인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과, 활성물질끼리를 서로 결착시키는 결착제를 포함하고 있다. 양극합제는, 더욱, 도전제, 전극의 형성을 쉽게 하는 증점제 등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시트형상 양극은, 양극합제를 금속박 등의 코어재료에 도착(塗着)하여 제조된다.
결착제에는,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물에 분산시킨 변성 아크릴고무 등이 사용되고 있다(특개평11-25956호 공보).
그러나, 양극합제는, 유기용제와 혼합하고 나서 코어재료로 도공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물에 분산시킨 변성 아크릴고무는 일반적이지 않다. 양극합제가 물을 포함하면, 전지내부에 있어서의 가스발생의 원인이 된다.
유기용매에 용해한 PVDF는, 활성물질이나 도전제의 입자를 피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입자사이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활성물질끼리를 충분히 결착하기 위해서는,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2∼5중량부와, 다량의 PVDF를 요한다.
PTFE는, 양극합제 속에서는 입자형상을 유지하지만, 양극판의 압연공정에서, 전단력에 의해, 미세섬유를 발생한다. 이 경우, 활성물질이나 도전제의 입자에, 다량의 미세섬유가 얽히는 것에 의해, 결착작용이 발현하기 때문에, 역시 다량의 PTFE를 요한다.
양극합제 중에 있어서의 결착제량이 많아지면, 활성물질의 비율(활성물질밀도)이 감소하고, 전극의 용량이 감소한다. 또한, 결착제량이 많아지면, 전극의 공극율이 감소하고, 전지의 출력이 저하한다.
다량의 결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극의 전자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량의 도전제를 요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예컨대, 결착제로서 포름알데히드에 용해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물질 l 00중량부당, 4중량부 이상의 도전제가 필요하여 진다(특허 제3046055호). 그러나, 양극의 활성물질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전제의 사용량도 저감하는 것이 요망된다.
한편, 양극합제 중에 있어서의 결착제량을 감소하여, 활성물질밀도를 높게 하면, 양극합제의 가공이 곤란하여 진다. 예컨대, 제조공정에서, 코어재료로부터 양극합제가 박리한다. 따라서, 3.0 g/ml 이상의 높은 활성물질밀도를 갖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양극을 사용하여, 감겨진 극판군을 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활성물질밀도를 높게 하면, 양극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수명특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본 발명은, 활성물질밀도가 높고, 또한, 가공성이 뛰어난 시트형상양극을 사용하고, 수명이 길고, 고 에너지밀도이고 고출력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이차전지의 일례의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FT-IR 측정으로 얻어진 입자형상 결착제의 일례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제3도는, FT-IR 측정으로 얻어진 증점제의 일례의 투과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과 입자형상 결착제를 포함하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양극, 탄소재료를 포함하는 음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음극,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로 이루어지는 비수전해질전지로서, 양극과 음극가, 세퍼레이터를 통해 감기고, 극판군을 구성하고 있고,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가, 3.0∼4.0 g/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극판군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횡단면이란, 감기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면에 의한 극판군의 단면을 말한다. 대략 타원형에는, 직사각형의 2개의 짧은 변을 원호형상으로 부풀린, 후술하는 제1도에 나타내는 것 같은 형상도 포함된다.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가, 4∼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형상 결착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위, 아크릴산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단위를 포함하는 탄성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형상 결착제는 가교구조를 갖더라도 좋다.
탄성공중합체의 FT-IR 측정으로 얻어지는 흡수 스펙트럼에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아크릴산단위의 C=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가, 아크릴로니트릴단위의 C≡N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의 3∼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강도란, 스펙트럼의 베이스라인으로부터 본 흡수피크의 높이를 의미한다.
양극합제에 포함되는 입자형상 결착제의 량은,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 100중량부 당, 0.4∼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합제는, 더욱, 흑연(A) 및 카본블랙(B)로 이루어지는 도전제를,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 100중량부 당,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 포함하고 있고, 도전제에 있어서의 흑연(A)과 카본블랙(B)과의 중량비 (A/B)가, 20/80∼8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합제는, 더욱, 폴리에틸렌구조를 갖는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을 100중량부, 입자형상 결착제를 0.4∼2중량부 및 도전제를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 포함하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가, 3.0∼4.0 g/m1이고, 상기 도전제가, 흑연(A) 및 카본블랙(B)으로 이루어지고, 흑연 (A)과 카본블랙(B)과의 중량비(A/B)가, 20/80∼80/20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통해 감긴 극판군을 갖는다. 양극은, 양극합제와 코어재료로 이루어진다. 양극합제는, 활성물질과, 입자형상결착제를 포함하고 있고, 더욱, 증점제 및/또는 도전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다. 입자형상 결착제는, 양극합제의 분산매에 용해하지 않은 것이 필요하다.
양극 내에서도 입자형상을 유지하는 입자형상결착제는, 활성물질-활성물질사이, 활성물질-도전제사이 및 도전제-도전제사이에 입자형상으로 효율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양극 내에서 활성물질이나 도전제의 입자표면을 피복하는 것이 없다. 또한, 입자형상결착제는 효율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소량의 사용이라도 충분한 결착력을 발휘한다.
양극에 포함되는 결착제량이 적은 경우, 도전제의 사용량도 적어진다. 결과적으로, 수명특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양극의 활성물질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는 3.0∼4.0 g/m1이다. 활성물질밀도는, 단위부피(ml) 당의 양극합제에 포함되는 활성물질로서의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의 중량(g)으로 나타낸다.
활성물질밀도가 3.0 g/m1미만이 되면, 충분한 도전성을 갖는 양극을 얻을 수 없고, 전지의 수명도 줄어든다. 한편, 활성물질밀도가 4.0 g/ml를 넘으면, 양극이 붕괴하기 쉽게 된다. 양극의 도전성과 강도와의 균형이 잘 되는 것으로부터, 활성물질밀도는 3.4∼3.7 g/m1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물질밀도는, 양극합제의 조성이 같더라도, 코어재료에 양극합제를 도포한 후의 압연조건에 의해서 변화한다. 양극을 얇게 압연할수록, 소형전지의 제조에 유리해져, 활성물질밀도가 상승한다.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에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 〔LiXMn2-X〕O4(0≤x≤0.18)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쓰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쓰더라도 좋다.
입자형상결착제로서는, 유기용매에 분산시킨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아크릴산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단위를 포함하는 탄성공중합체, 물에 분산시킨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공중합체 (FEP) 등을 쓸 수 있다. FEP는, 결착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약 250℃에서 가열해야 한다. 이들 중에서는, 물을 포함하지 않고, 가열의 필요가 없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아크릴산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단위를 포함하는 탄성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단위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를 포함하는 유연한 셸(shell)부로 이루어지는 코어셸형의 고무입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어셸형의 입자는, 강고한 코어부를 갖기 때문에, 양극내에서도 입자형상을 유지할 수가 있다. 셸부는결착력을 발현한다.
상기 탄성공중합체의 FT-IR 측정으로 얻어지는 흡수 스펙트럼에서는, 결착제의 점착성과 탄성과의 균형의 관점에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및 아크릴산단위의 C= 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가, 아크릴로니트릴단위의 C≡N 신축진동에근거하는 흡수강도의 3∼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가, 상기 C≡N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의 3배미만이 되면, 결착제의 결착력이 저하하고, 50배를 넘으면, 결착제의 고무탄성이 불충분해지고, 양극합제의 강도가 약해진다.
입자형상결착제의 FT-IR 흡수 스펙트럼은, 입자형상 결착제를 KBr 판상에 도포한 시료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가 있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및 아크릴산단위의 C= 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는, 일반적으로 1700∼1760 cm-1부근에 보여진다. 또한, 아크릴로니트릴단위의 C≡N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는, 일반적으로 2200∼2280 cm-1부근에 보여진다.
입자형상결착제는, 물이나 유기용매에 분산한 상태로 입수할 수 있다. 분산매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유기용매에는, 예컨대 N-메틸-2-피롤리돈을 쓸 수 있다.
입자형상결착제의 평균입자지름은, 0.05∼0.3㎛ 인 것이, 결착력, 활성물질밀도 및 공극율의 균형이 좋은 양극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양극에 있어서의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은, 양극활성물질 100중량부당, 0.4∼2중량부가 적합하다.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이 0.4중량부 미만이 되면, 결착력이 감소한다. 한편,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이 2중량부를 넘으면, 양극의 공극율이 작아지게 되고, 양극의 기능이 저하한다.
증점제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계증점제나, 에틸렌과 비닐알콜과의 공중합체로 대표되는 폴리에틸렌구조를 갖는 증점제를 쓸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쓰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쓰더라도 좋다.
상기 탄성공중합체를 결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에틸렌과 비닐알콜과의 공중합체가, 상기 결착제의 분산매인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기 쉬운 점에서, 적합하다.
FEP를 결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가, FEP의 분산매인 물에 용해하기 쉬운 점에서, 적합하다.
에틸렌과 비닐알콜과의 공중합체는, 에틸렌단위 10∼90 몰% 과 비닐알콜단위 10∼90 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과 비닐알콜과의 공중합체는,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를 겔화하면 얻을 수 있다.
양극에 있어서의 증점제의 량은, 양극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0.1∼1중량부가 적합하다. 증점제의 량이 0.1중량부 미만이 되면, 코어재료에 양극합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증점제의 량이 1중량부를 넘으면, 양극활성물질의 대부분이 증점제로 덮어지고, 양극의 기능이 저하한다.
도전제에는, 그래파이트 (A) 및 카본블랙 (B)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파이트(A)는, 그 입자지름이 비교적 큰 것으로부터, 양극 내에 있어서, 주로 활성물질과 코어재료와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카본블랙(B)은, 그 입자지름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부터, 양극 내에 있어서, 주로 활성물질 입자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그래파이트와 카본블랙의 어느 쪽인가 한쪽 밖에 포함하지 않은 양극 내에는 치밀한 전도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어렵다.
소량의 도전제로 치밀한 전도 네트워크를 양극 내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전제에 포함되는 그래파이트 (A)와 카본블랙 (B)과의 중량비 (A/B)가 20/80∼8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파이트의 평균입자지름은, O.1∼1㎛인 것이, 양호한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의 평균입자지름은, O.O1∼O.1㎛ 인 것이, 양호한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의 평균입자지름에 대한 그래파이트의 평균입자지름의 비는, 2∼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파이트에는, 기상성장흑연이나 팽창흑연 같은 인조흑연, 비늘 조각형상 흑연 같은 천연흑연 등을 쓸 수 있다.
카본블랙에는, 아세틸렌블랙, 퍼니스블랙(furnace black) 등을 쓸 수 있다.
양극에서의 도전제의 량은, 양극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2∼7중량부, 더욱이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이 적합하다. 도전제량이 2중량부 미만이 되면, 양극내에 전도 네트워크가 충분히 형성되기 어렵다. 한편, 도전제량이 7중량부를 넘으면, 양극이 깨어지기 쉽게 되고, 양극의 기능이 저하한다. 또한, 양극의 활성물질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전제량이 4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극은, 입자형상결착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공극율이 지나치게 작아지는 일이 없고, 비수전해질과의 친화성이 우수하다. 양극과 비수전해질과의 친화성은, 양극표면과 비수전해질과의 접촉각에 의해서 평가할 수가 있다. 접촉각의 값은, 비수전해질의 종류, 활성물질밀도 등에 의해서 변화하지만, 10∼30°가 적합 범위이다. 접촉각이 지나치게 낮으면, 양극이 비수전해질을 지나치게 흡수하기 때문에, 전지의 레이트(rate)특성이 불충분하여 진다. 한편, 접촉각이 지나치게 크면, 양극이 비수전해질을 거의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레이트특성이 불충분하여 진다.
양극합제를, 금속박, 라스메탈판 등의 코어재료의 양면에 도착하여 압연하고, 절단하면, 시트형상양극을 얻을 수 있다. 전지의 소형 경량화의 관점에서, 금속박의 두께는 10∼25㎛ 정도, 라스메탈판의 두께는 10∼50㎛ 정도이다. 양극의 두께는 80∼200㎛정도이다.
시트형상음극은, 탄소재료를 활성물질로서 포함하는 음극합제를, 코어재료의 양면에 도착하고, 압연하여, 절단하면 얻어진다. 코어재료에는, 양극판과 같은 두께의 금속박이나 라스메탈판이 쓰인다. 음극의 두께는 80∼200㎛정도이다.
시트형상양극과 시트형상음극을, 세퍼레이터를 통해 감으면, 극판군을 얻을 수 있다. 세퍼레이터에는, 폴리에틸렌제 미다공막 등이 쓰인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10∼4 O㎛정도이다.
각형전지를 얻는 경우, 감긴 극판군은, 횡단면이 대략 타원모양이 되도록 한 방향으로부터 압축된다. 이 때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는, 일반적으로 4이상이다. 본 발명의 양극은, 소량이라도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입자형상결착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활성물질밀도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발명에 의하면 양극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를 6∼10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이차전지의 일례의 횡단면도를 제1도에 나타낸다. 각형의 전지케이스(1)의 내부에는, 편평한 극판군이 충전되어 있다. 이 극판군은, 시트형상 양극(2)과 시트형상 음극(3)을, 세퍼레이터(4)를 통해 감고, 더욱 한 방향으로부터 압축하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부터 리튬이차전지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리튬염 및 비수용매로 이루어지는 비수전해질을 쓸 수 있다.
리튬염에는, LiPF6, LiBF6등을 쓸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쓰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쓰더라도 좋다.
비수용매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을 쓸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쓰더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쓰더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1
100중량부의 LiCoO2와, 입자형상결착제(평균입자지름 0.2㎛) 0.5 중량부와, 증점제 0.3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2중량부와, 비늘조각형상 흑연 2중량부와, 적량의 N-메틸-2-피롤리돈을 혼합하여, 양극합제를 얻었다.
입자형상결착제에는, 아크릴로니트릴단위,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및 아크릴산단위를 포함하는 탄성공중합체 (니혼제온(주)제의 BM500B (상품명))을 썼다. FT-IR 측정으로 얻어지는 BM500B의 흡수 스펙트럼을 제2도에 나타낸다.
제2도 중, 2240 cm-1부근에 보이는 흡수피크는, 아크릴로니트릴의 C≡N 신축진동에 귀속된다. 1733 cm-1부근에 보이는 흡수피크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C=O 신축진동에 귀속된다.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및 아크릴산단위의 C=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피크강도는, 아크릴로니트릴단위의 C≡N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피크강도의 약 10배이다.
상기 흡수 스펙트럼의 측정조건을 이하에 나타낸다.
샘플 스켄 회수 : 32
백그라운드 스켄 회수 : 32
분해능 : 4000
샘플 게인 1.0
측정장치 : 현미 FT-IR(콘티뉴(Continu)㎛(니코레사제))
광원 : AVATAR-360
측정용의 시료는, 입자형상결착제를 N-메틸-2-피롤리돈에 녹이고, KBr 판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조제하였다.
증점제에는, 에틸렌과 비닐알콜과의 공중합체(니혼제온(주)제의 BM700H (상품명))을 썼다.
FT-IR 측정으로 얻어지는 BM700H의 투과 스펙트럼을 제3도에 나타낸다. 측정조건, 측정장치 등은 BM500B과 마찬가지다. 제3도중, 2852cm-1부근 및 2930cm-1부근에 보이는 2종의 흡수피크는, 에틸렌단위에 결합한 비닐알콜단위의 OH기에 귀속된다.
상기 양극합제는,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도포하고,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LiCoO2의 밀도가 3.5 g/m1가 되도록 압연하고, 폭 4cm, 길이 46cm로 절단하여, 시트형상양극으로 하였다. LiCoO2의 밀도는, 양극합제 중의 LiCoO2의 중량을, 양극합제의 부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양극에는 코어재료와 동재질의 양극리드를 접속하였다.
한편, 100중량부의 구상인조흑연,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3중량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1.3중량부를 혼합하여, 음극합제를 얻었다.
상기 음극합제는, 두께 15㎛의 동박의 양면에 도포하고, 두께 140 ㎛에 압연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시트형상음극으로 하였다. 음극에는 코어재료와 동재질의 음극리드를 접속하였다.
이어서, 시트형상양극과 시트형상음극을,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감기고, 극판군을 얻었다. 세퍼레이터에는, 두께 27㎛의 폴리에틸렌제 미다공막을 썼다. 감긴 극판군은, 단면이 대략 타원모양이 되도록 한방향으로부터 압축하였다. 상기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는 6.3이었다.
극판군은, 절연링을 그 상하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알루미늄제 케이스 내에 3.2 g의 비수전해질과 동시에 수용하였다. 비수전해질은, 등부피의 에틸렌카보네이트와 에틸메틸카보네이트와의 혼합물에, 1몰/리터의 농도로 LiPF6를 용해하여 조제하였다. 음극리드 및 양극리드를 소정의 개소에 접속한 후, 케이스의 개구부를 밀봉판으로 밀봉하고, 각형전지 A를 완성하였다. 전지 A의 치수는, 폭 30 mm, 높이48 mm, 두께 5 mm이고, 전지 A의 공칭용량은 600 mAh 이었다.
다음에, 제작한 양극 및 전지의 평가를 하였다.
(i) 양극의 평가
·한계편평율
양극을 1번 감아서 지름 8cm의 통형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통형상체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한 압력을 가하였다. 통형상체에 깨어짐이 발생하였을 때의 통형상체 저면의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를, 한계 편평율로서 구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접촉각
25℃에서 양극표면에 대한 상기 비수전해질의 접촉각을 구하였다. 양극표면에 비수전해질을 0.2 ㎖ 적하하고 나서 30초 후에 접촉각의 측정을 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ⅱ) 전지의 평가
·레이트특성
전지를, 600 mA로 전지전압이 4.2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120 mA로 전지전압이 3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이어서, 600mA로 전지전압이 4.2 V가 될 때까지충전하고, 1200 mA로 전지전압이 3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120 mA 방전에서의 방전용량에 대한 1200 mA 방전에서의 방전용량의 비를 구하였다. 결과를 100분률로 표1에 나타낸다.
·용량유지율
전지를, 600 mA로 전지전압이 4.2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600 mA로 전지전압이 3V가 될 때까지 방전하는 조작을 100회 되풀이하였다. 그리고, 1회째의 방전용량에 대한 100회째의 방전용량의 비를 구하였다. 결과를 100분률로 표1에 나타낸다.
표1
실시예2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LiCoO2의 밀도를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 실시예1과 같은 양극 B∼G 및 전지 B∼G를, 각각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1과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의 결과로부터, 활성물질밀도가 2.9 g/m1에서는, 충분한 수명을 갖는 전지를 얻을 수 없는 것, 4.2 g/m1에서는, 각 특성이 저하하여 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성물질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양극이 용이하게 붕괴하여 버리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으로부터, 활성물질밀도의 적정범위는, 3.0∼4.0 g/ml 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1로부터는, 3.4∼3.7 g/m1이, 활성물질밀도의 보다 적합한 범위인 것을 알 수 있다. 활성물질밀도가 높을 수록, 깨어져 발생 시의 편평율이 높게 되는 경향이 있고, 고용량 또한 소형의 각형전지에 적합한 양극을 얻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3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결착제의 량을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키고, LiCoO2의 밀도가 3.4 g/ml가 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 실시예1과 같은 양극 H∼L 및 전지 H∼L을, 각각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1과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표1의 결과는, 양극에 포함되는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이,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O.4중량부 이상에서, 높은 레이트특성을 보이는 장수명의 전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이 2중량부 이상으로 되면, 레이트특성이 약간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0.4∼2중량부, 특히 0.4∼1중량부가 적합한 범 위인 것이 시사된다.
비교예1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결착제를 4중량부의 PVDF로 바꾸고, 증점제를 쓰지 않고, LiCoO2의 밀도를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 이외, 실시예1과 같은 양극 M∼0및 전지 M∼0를, 각각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1과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 l에 나타낸다.
PVDF는 활성물질의 결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양극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4중량부 정도를 요한다. 이와 같이 다량의 결착제를 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극 M∼0은, 강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접촉각으로부터, 전지 M∼0에 있어서는, 비수전해질과 양극과의 친화성이 지나치게 높고, 전지내부에 있어서의 비수전해질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레이트특성이 낮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표1에 있어서, 실시예의 전지의 대부분이, 10∼30°이 적정한 접촉각을 갖고 있다.
실시예4
100 중량부의 LiCoO2와, 0.4중량부의 BM500B와, 0.3중량부의 BM700H와, 평균입자지름 0.3㎛의 흑연 1.5중량부와, 평균입자지름 0.03㎛의 아세틸렌블랙1.5중량부와, 적량의 N-메틸-2-피롤리돈을 혼합하고, 고형분농도 28중량%의 양극합제를 얻었다. 그리고, 활성물질밀도를 3.6 g/m1로 조정한 것 이외, 실시예1과 같은 양극을 제작하고, 실시예1과 같은 전지 a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양극 및 전지의 평가를 하였다.
(i) 양극의 평가
·벗겨짐
알루미늄박상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의, 양극합제의 알루미늄박으로부터의 탈락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또, 합제의 탈락이 없는 양극만, 전지의 제작에 썼다.
·표면상태
극판군 구성 후의 양극표면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또, 이상이 없는 양극만, 전지의 제작에 썼다.
(ⅱ)전지의 평가
·용량유지율
전지를, 600 mA로 전지전압이 4.2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600 mA로 전지전압이 3V가 될 때까지 방전하는 조작을 200회 되풀이하였다. 그리고, 1회째의 방전용량에 대한 200회째의 방전용량의 비를 구하였다. 결과를 100분률로 표2에 나타낸다.
표2
결착제로서 BM500B를 사용한 전지 a의 양극은, 소량이라도 충분한 결착효과를 발현한다. 그 때문에, 충분한 공극을 확보하면서 활성물질밀도를 3.6 g/m1로 조정할 수가 있었다. 또한, 전지 a의 양극에 불량은 일체 생기지 않았다. 전지 a의 용량유지율은 양호하다.
실시예5
양극에 포함되는 결착제의 량을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 실시예4와 같이 양극 및 전지 b∼f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4와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전지 e와 같이 결착제의 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합제가 극판으로부터 탈락하고 있고, 전지 f와 같이 결착제의 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양극내의 전자전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용량유지율이 저하하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결착제량의 최적범위는,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0.4중량부 이상 2중량부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6
양극에 포함되는 도전제의 총량은 바꾸지 않고서 흑연과 아세틸렌블랙과의 중량비를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 실시예4와 같이 양극 및 전지 g∼j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4와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흑연/아세틸렌블랙의 중량비가 10/90의 전지 i와, 흑연/아세틸렌블랙의 중량비가 90/10의 전지 j에서는, 용량유지율이 낮게 되어 있다. 전지 i의 양극은, 흑연이 부족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전지 j의 양극은, 아세틸렌블랙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밀한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으로부터, 흑연/아세틸렌블랙의 중량비의 최적범위는 20/80∼80/20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7
양극에 포함되는 도전제에 있어서의 흑연과 아세틸렌블랙과의 중량비는 바꾸지 않고 도전제의 총량을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 이외, 실시예4와 같이 양극 및 전지 k∼o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4와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1.6중량부 밖에 도전제를 포함하지 않은 전지 m의 양극은, 전자전도성 부족 때문에, 용량유지율이 낮게 되어 있다. 물질100 중량부 당 4중량부의 도전제를 포함하는 전지 n의 양극은, 극판군을 구성하였을 때에 균열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균열은 미세하였다. 전지 n의 용량유지율은, 전지 a와 동등이었다. 그러나, 활성물질100중량부 당 4.6중량부의 결착제를 포함하는 전지 o의 양극에는, 후술의 전지 q와 같은 정도의 균열이 확인되었다. 이것으로부터, 도전제량의 최적범위는,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8
양극에 포함되는 결착제를 FEP로 바꾸고, 증점제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로 바꾸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의 량을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1중량부로 한 것 이외, 전지 d와 같이 양극 및 전지 p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4와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결착제로서 FEP를 사용한 전지 p의 양극에서도, 전지 a와 비교하여 용량유지율이 약간 저하하였지만, 양극에 불량은 일체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2
양극에 포함되는 결착제를 PVDF로 바꾸고, PVDF의 량을 활성물질 100중량부 당 4중량부로 하고, 증점제는 쓰지 않은 것 이외, 실시예4와 같이 양극 및 전지 q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4와 같은 평가를 하였다.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결착제로서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하는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사용한 전지 q의 양극은, 극판군 구성 후, 가장 곡률이 높은 개소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전지 q의 양극은 다량의 폴리불화비닐리덴을 결착제로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극판내의 공극 부피가 적어지고, 극판의 유연성이 현저히 손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양극의 활성물질밀도를 3.3 g/ml까지 감소하면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활성물질밀도를 감소하면, 극판의 두께는 증가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금속케이스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양극의 길이를 감소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수전해질이차전지는, 활성물질밀도가 높고, 또한, 가공성이 뛰어난 시트형상양극을 사용하고, 수명이 길고, 고 에너지밀도이고 고출력이다.

Claims (9)

  1. 활성물질로서의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과, 입자형상결착제를 포함하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양극, 탄소재료를 포함하는 음극합제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로 이루어지는 비수전해질전지로서,
    상기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통해 감기고, 극판군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가, 3.0∼4.0 g/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군의 횡단면이, 대략 타원형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략 타원의 짧은 지름에 대한 긴 지름의 비가, 4∼10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형상결착제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아크릴산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단위를 포함하는 탄성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비수전해질이차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공중합체는, 그 FT-IR 측정으로 얻어지는 흡수 스펙트럼에 있어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단위 및 아크릴산단위의 C= O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가, 아크릴로니트릴단위의 C≡N 신축진동에 근거하는 흡수강도의 3∼50배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합제에 포함되는 상기 입자형상결착제의 량은,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 100중량부 당, 0.4∼2중량부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합제는, 더욱, 흑연(A) 및 카본블랙 (B) 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제를,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 100중량부 당,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전제에 있어서의 흑연(A)과 카본블랙(B)과의 중량비 (A/B)가, 20/80∼80/20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합제는, 더욱, 폴리에틸렌구조를 갖는 증점제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이차전지.
  9. 리튬함유천이금속산화물을 100중량부, 입자형상결착제를 0.4∼2중량부 및 도전제를 2중량부 이상 4중량부 미만 포함하는 양극합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극합제에 있어서의 활성물질밀도가, 3.0∼4.0 g/m1이고,
    상기 도전제가, 흑연(A) 및 카본블랙(B)으로 이루어지고, 흑연(A)과 카본블랙(B)과의 중량비(A/B)가, 20/80∼80/20인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KR10-2001-0046908A 2000-08-08 2001-08-03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KR100414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39351 2000-08-08
JP2000239351A JP3781955B2 (ja) 2000-08-08 2000-08-08 非水電解質電池
JPJP-P-2000-00310765 2000-10-11
JP2000310765A JP3582823B2 (ja) 2000-10-11 2000-10-11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958A true KR20020017958A (ko) 2002-03-07
KR100414720B1 KR100414720B1 (ko) 2004-01-13

Family

ID=2659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908A KR100414720B1 (ko) 2000-08-08 2001-08-03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9724B2 (ko)
EP (2) EP1858095B1 (ko)
KR (1) KR100414720B1 (ko)
CN (1) CN1167161C (ko)
DE (2) DE60137001D1 (ko)
TW (1) TW50886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158B1 (ko) * 2002-06-20 2011-08-08 소니 주식회사 전극 및 이를 사용하는 전지
WO2012039564A3 (ko) * 2010-09-20 2012-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이 개선된 고용량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101527996B1 (ko) * 2011-04-29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된 리튬 망간 산화물계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870B2 (ja) * 2002-03-22 2006-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454948B2 (ja) * 2002-04-12 2010-04-21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8524397B1 (en) 2004-11-08 2013-09-03 Quallion Llc Battery having high rate and high capacity capabilities
US7572554B2 (en) * 2002-09-03 2009-08-11 Quallion Llc Electrolyte
US6787268B2 (en) * 2002-09-03 2004-09-07 Quallion Llc Electrolyte
JP4183472B2 (ja) * 2002-10-10 2008-11-19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4140425B2 (ja) * 2003-04-10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4667242B2 (ja) * 2003-07-29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732803B1 (ko) * 2003-09-18 2007-06-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리튬이온 2차전지
JP4694968B2 (ja) * 2004-01-05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9077022B2 (en) * 2004-10-29 2015-07-07 Medtronic, Inc. Lithium-ion battery
US8105714B2 (en) * 2004-10-29 2012-01-31 Medtronic, Inc. Lithium-ion battery
US20080044728A1 (en) * 2004-10-29 2008-02-21 Medtronic, Inc. Lithium-ion battery
US7879495B2 (en) * 2004-10-29 2011-02-01 Medtronic, Inc. Medical device having lithium-ion battery
US7927742B2 (en) 2004-10-29 2011-04-19 Medtronic, Inc. Negative-limited lithium-ion battery
CN101048898B (zh) * 2004-10-29 2012-02-01 麦德托尼克公司 锂离子电池及医疗装置
US8980453B2 (en) 2008-04-30 2015-03-17 Medtronic, Inc. Formation process for lithium-ion batteries
US9065145B2 (en) * 2004-10-29 2015-06-23 Medtronic, Inc. Lithium-ion battery
CN100370643C (zh) * 2004-12-27 2008-02-20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锂离子电池正极片制造方法、用该方法制造的正极片和锂离子电池
JP4774232B2 (ja) * 2005-04-13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10556B2 (ja) * 2006-03-27 2012-12-26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およびその使用方法
UA83075C2 (uk) * 2006-04-27 2008-06-10 Елена Моисеевна Шембель Електрод для первинних, вторинних літієвих джерел струму та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ів і спосіб його виготовлення
KR100907621B1 (ko) * 2006-08-28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 성분의 도전재를 포함하는 양극 합제 및 그것으로구성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14885B1 (ko) * 2006-11-17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982325B1 (ko) * 2006-12-12 2010-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20100279155A1 (en) * 2009-04-30 2010-11-04 Medtronic, Inc. Lithium-ion battery with electrolyte additive
DE102009023126A1 (de) * 2009-05-20 2010-11-25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s Element mit quecksilberfreier negativer Elektrode
CN102473900B (zh) * 2010-05-28 2015-08-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及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4849286B1 (ja) 2011-06-06 2012-01-11 Jsr株式会社 正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CN102244299A (zh) * 2011-06-08 2011-11-16 曙鹏科技(深圳)有限公司 软包装锂电池卷绕式电芯及其制作方法和锂电池
US9287580B2 (en) 2011-07-27 2016-03-15 Medtronic, Inc. Battery with auxiliary electrode
WO2013031226A1 (ja) * 2011-08-31 2013-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130149560A1 (en) 2011-12-09 2013-06-13 Medtronic, Inc. Auxiliary electrode for lithium-ion battery
PL2903064T3 (pl) * 2012-09-28 2017-10-31 Zeon Corp Kompozycja kleju przewodzącego prąd elektryczny do elektrody do urządzenia elektrochemicznego, odbierak prądu z warstwą kleju i elektroda do urządzenia elektrochemicznego
JP2015210848A (ja) * 2014-04-23 2015-11-24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614236B2 (ja) * 2015-03-24 2019-12-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正極用スラ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515097B1 (ko) * 2015-10-26 2023-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20200076005A1 (en) * 2016-12-05 2020-03-05 Sanyo Electric Co., Ltd. Cylindrical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21243701A1 (zh) * 2020-06-05 2021-12-0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114436240B (zh) * 2022-01-26 2023-07-21 蜂巢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硬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5761A (ja) 1990-01-30 1991-10-04 Bridgestone Corp 円筒形リチウム二次電池
JP3046055B2 (ja) 1990-10-26 2000-05-29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
JPH0729600A (ja) 1993-07-12 1995-01-31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
JPH087881A (ja) 1994-06-17 1996-0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水電解液2次電池用電極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6013873A1 (fr) * 1994-10-27 1996-05-09 Fuji Photo Film Co., Ltd. Cellule secondaire non aqueus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3539448B2 (ja) * 1995-04-19 2004-07-0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JP3704780B2 (ja) 1996-02-09 2005-10-12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CA2207801C (en) * 1996-06-19 2004-03-30 Hideki Kaido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WO1998040919A1 (en) * 1997-03-11 1998-09-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JP3975502B2 (ja) 1997-03-17 2007-09-12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3719312B2 (ja) 1997-07-07 2005-11-24 宇部興産株式会社 正極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6458487B1 (en) * 1997-07-25 2002-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Positiv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made by using the same
US6746798B1 (en) * 1997-11-07 2004-06-08 Sony Corporation Rectangular and sealed battery
JPH11233115A (ja) 1998-02-19 1999-08-27 Fuji Elelctrochem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3905973B2 (ja) 1998-03-10 2007-04-18 三洋電機株式会社 薄型電池
JP4127892B2 (ja) 1998-03-31 2008-07-30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H11339839A (ja) 1998-05-28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角形または薄形二次電池
JP2000048805A (ja) 1998-07-29 2000-02-18 Sekisui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の正極又は負極の製造方法
DE60000460T2 (de) * 1999-03-04 2003-06-05 Greatbatch W Ltd Gewickelte Hochleistungsbatterie
JP4193271B2 (ja) * 1999-03-12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電解質電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158B1 (ko) * 2002-06-20 2011-08-08 소니 주식회사 전극 및 이를 사용하는 전지
WO2012039564A3 (ko) * 2010-09-20 2012-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이 개선된 고용량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101337365B1 (ko) * 2010-09-20 2013-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도전성이 개선된 고용량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US9214664B2 (en) 2010-09-20 2015-12-15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with high capacity and improved conductivit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527996B1 (ko) * 2011-04-29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된 리튬 망간 산화물계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8095A3 (en) 2008-06-25
EP1858095A2 (en) 2007-11-21
DE60142371D1 (de) 2010-07-22
US6869724B2 (en) 2005-03-22
CN1167161C (zh) 2004-09-15
US20020037450A1 (en) 2002-03-28
KR100414720B1 (ko) 2004-01-13
EP1179869A2 (en) 2002-02-13
TW508861B (en) 2002-11-01
DE60137001D1 (de) 2009-01-29
EP1179869A3 (en) 2005-08-10
EP1179869B1 (en) 2008-12-17
EP1858095B1 (en) 2010-06-09
CN1337756A (zh)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720B1 (ko) 비수전해질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것을 사용한 전지
EP1492182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for the same
US9236612B2 (en) Positive electrode mixture for nonaqueous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structure
US20080166633A1 (en) Anod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same
EP4109592A1 (en) Secondary battery
WO2019168035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料、正極活物質層、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863084A1 (en)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20180028814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3781955B2 (ja) 非水電解質電池
CN1259742C (zh) 锂离子二次电池
JP3615472B2 (ja) 非水電解質電池
US11081700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2283785B1 (ko) 이차전지용 음극합제,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차전지
KR20210016799A (ko)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0200873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3582823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H0822220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3637351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621031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
JPH0997611A (ja) 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4804624B2 (ja) 複合炭素材料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
KR20230049042A (ko) 신규한 분산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및이차전지
KR20220139717A (ko)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1150210A (zh) 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