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391A -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391A
KR20020013391A KR1020010044855A KR20010044855A KR20020013391A KR 20020013391 A KR20020013391 A KR 20020013391A KR 1020010044855 A KR1020010044855 A KR 1020010044855A KR 20010044855 A KR20010044855 A KR 20010044855A KR 20020013391 A KR20020013391 A KR 2002001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wall
braking
inn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681B1 (ko
Inventor
구라치가츠히토
히로세아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1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과제) 부착 작업성을 개선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어시스트 그립(10)은, 리테이너(14A)의 돌출부(40,41)에 돌출방향이 동일하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축(42,43)이 형성되고, 상기 축(42,43)이 그립본체(12)의 벽부(50,51)에 형성된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관통구멍(52,53)에 삽입됨으로써 그립본체(12)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이 축지지상태에서는 돌출부(41)와 벽부(5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오일댐퍼를 수납함으로써 그립본체의 빠짐이 방지된다. 이 때, 오일댐퍼의 내축(62)은 돌기부(66)를 돌출부(41)의 홈(44)에 걸어맞춤으로써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 원통부(64)는 긴 돌기부(68)를 그립본체(12)의 긴 홈(56)에 걸어맞춤으로써 그립본체(12)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Brake structure of rotary element and Assist grip with Brake structure of rotary element}
본 발명은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어시스트 그립에 이용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에 장착된 가동(회동)식 어시스트 그립으로서, 어시스트 그립을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되돌리는 스프링 등의 탄지수단과, 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격납위치로 회동하는 어시스트 그립을 제동하기 위한 댐퍼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일례로서 일본국 특개평 9-26316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특개평 9-263166호 공보에 개시된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댐퍼가 장착된 측의 지지부를 도 9에 나타내고, 이하 설명한다.
어시스트 그립(100)의 일측 지지부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실 내의 천정부 등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부재(102)에 그립부재(104)가 댐퍼(106)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댐퍼(106)는 수지제로 된 외측 원통부(108)와 이 외측 원통부(108)내에 끼워지는 금속제로 된 내축(內軸)(110)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원통부(108)는 그 삽입방향 선단측의 소경부(小徑部)(112)가 베이스부재(102)의 소경 축구멍(114)에 끼워지고, 삽입방향 기단측의 대경부(大徑部)(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널링부(118)가 베이스부재(102)의 대경 축구멍(120)의 내벽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측 원통부(10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내축(110)은, 그 삽입방향 선단측의 소경부(122)가 그립부재(104)의 소경 축구멍(124)에 끼워지고, 삽입방향 기단측의 널링부(126)가 그립부재(104)의 대경 축구멍(128)의 내벽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축(110)의 대경부(130)와 외측 원통부(108)의 수용구멍(132)과의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댐퍼오일이 충전되어 있으며, 대경부(130)의 축방향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실링홈(134)에 실링(136)이 각각 끼워져서 밀폐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어시스트 그립(100)의 타측 지지부에는 탄지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어시스트 그립을 항시 벽면(격납위치)측으로 탄지하고 있다.
따라서,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되돌려지는 어시스트 그립(100)은 댐퍼(106)의 오일에 의한 점성저항에 의해서 되돌림 속도가 억제됨으로써, 벽면에 고속으로 충돌되는 것과 같은 일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어시스트 그립에서는, 댐퍼의 조립을 내축의 조립과 함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즉 그립부재(104)를 베이스부재(102)에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내축(110)을 외측 원통부(108)내에 축방향으로 삽입하여 댐퍼(106)를 구성하면서, 내축(110)의 소경부(122)를 그립부재(104)의 소경 축구멍(124)에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의 작업성이 좋지 못했다.
또, 그립부재(104)가 제동기능을 가지는 댐퍼(106)를 통해서 베이스부재 (102)에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재(104)에 걸리는 힘(하중)은 당연히 댐퍼(106)에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내축(110)과 외측 원통부(108)가 접하는 슬라이드 접촉부(138A,138B,138C)에서의 마찰저항이 커지는 등의 요인에 의해서 제동력이 변화하거나 댐퍼(106) 전체가 휘어져서 오일이 누출될 우려가 있는 등, 제동력이나 내구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조립 작업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회전체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키면서 내구성도 우수한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적용한 어시스트 그립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어시스트 그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어시스트 그립이 차실 내의 천정부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격납위
치를 나타낸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어시스트 그립이 차실 내의 천정부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사용위치를 나타낸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5는 그립본체의 일단측이 리테이너에 축지지되어 격납위치에 있을 때의 오일댐퍼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요부만을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
도 6은 그립본체의 일단측이 리테이너에 축지지되어 격납위치에 있을 때의 오일댐퍼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요부만을 나타낸 개략 부분 단면도
도 7은 오일댐퍼를 조립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오일댐퍼를조립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그립본체 및 리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8은 오일댐퍼를 조립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오일댐퍼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그립본체 및 리테이너의 측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의 개략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시스트 그립 12 - 그립본체(회전체)
14A - 리테이너(기체(基體)) 16 - 오일댐퍼(제동체)
40,41 - 돌출부 42,43 - 축
44 - 홈(제 1 걸림부) 50 - 벽부(제 2 벽부)
51 - 벽부(제 1 벽부) 52,53 - 관통구멍(삽입구멍)
56 - 긴 홈(제 3 걸림부) 60 - 공간
62 - 내축(內軸) 64 - 외측 원통부
66 - 돌기부(제 2 걸림부) 68 - 긴 돌기부(제 4 걸림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에 돌출방향이 동일하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축 또는 개구방향이 동일하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구멍이 형성된 기체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복수의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벽부의 각각에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이 형성되어 상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축지지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적어도 1개가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체와; 상기 공간에 수납되어 대향하는 각 측면을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벽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한 내축과, 상기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내축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4 걸림부를 구비한 외측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체는,기체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동체의 제동력에 의해서 회전이 제동된다. 기체에는 복수의 돌출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되, 이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에 돌출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또한 동일 축선상에 배치한 축 또는 개구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또한 동일 축선상에 배치한 구멍을 형성한다. 회전체에는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복수의 벽부를 배치하되, 각 벽부에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을 형성하여 상기 기체의 축 또는 구멍에 소정 방향에서 삽입함으로써, 상기한 축지지상태를 얻는다.
여기서,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을 축 또는 구멍에 삽입하면, 복수의 벽부 중 적어도 1개는 인접하는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 제동체를 수납하면, 제동체의 대향하는 각 측면이 돌출부 및 벽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회전체가 기체에서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제동체는 내축과 이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외측 원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내축의 축심이 축 또는 구멍(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의 축심과 일치하게 된다. 또, 내축은 제 2 걸림부가 기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기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 원통부는 제 4 걸림부가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가 회전하면, 이 회전에 수반하여 제동체의 외측 원통부가 내축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때 내축과의 사이에서 저항력을 발생시켜 회전체를 제동한다. 이 저항력으로서는 기계적인 마찰저항이나, 내축과 외측 원통부와의 사이에 봉입된 오일 등의 점성유체의 점성저항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체의 제동구조에서는, 기체의 축 또는 구멍에 회전체의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을 소정 방향에서 삽입하여 축지지하고, 이 축지지상태에서 형성되는 기체의 돌출부와 회전체의 벽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제동체를 수납하면서 각 걸림부끼리를 걸어맞추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동체(댐퍼)를 회전축의 삽입과 동시에 조립하는 복잡한 수순을 거칠 필요가 없어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제동체를 하나의 단체(單體)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체의 교환도 용이하게 된다.
또, 어시스트 그립 등과 같이 회전체에 지름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사용상태에서는, 축지지부(축과 삽입구멍 또는 구멍과 삽입축의 끼워맞춤부분)를 통해서 기체에 의해서 축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체에 가해진 힘이 제동체에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동력의 변화가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축 또는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기체와;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이 형성되어 상기 기체의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 1 벽부와, 상기 제 1 벽부와 대향되게 상기 삽입방향 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축지지상태에서는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벽부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공간에 수납되어 대향하는 각 측면을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 2 벽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한 내축과, 상기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내축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4 걸림부를 구비한 외측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체에 돌출부를 배치하되, 이 돌출부에 축 또는 구멍을 형성한다. 회전체에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제 1 벽부를 형성하되, 이 제 1 벽부에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을 형성하여 상기 기체의 축 또는 구멍에 소정 방향에서 삽입함으로써, 상기한 축지지상태를 얻는다. 또한, 회전체에는 제 1 벽부와 대향하는 제 2 벽부를 상기 삽입방향 전방에 배치하고, 회전체를 기체에 축지지하면, 제 2 벽부가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에 제동체를 수납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제동체의 대향하는 각 측면이 돌출부 및 벽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회전체가 기체에서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제동체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내축과 이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외측 원통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내축의 축심이 축 또는 구멍(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의 축심과 일치하게 된다. 또, 내축은 제 2 걸림부가 기체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기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 원통부는 제 4 걸림부가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동체의 외측 원통부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내축과의 사이에서 저항력을 발생시켜 회전체를 제동한다. 이 저항력으로서는,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기계적인 마찰저항이나 점성유체의 점성저항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체의 제동구조에서도, 기체의 축 또는 구멍에 회전체의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을 소정 방향에서 삽입하여 축지지하고, 기체의 돌출부와 회전체의 제 2 벽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제동체를 수납하면서 각 걸림부끼리를 걸어맞추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회전체에 지름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기체와의 사이의 축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회전체에 가해진 힘이 제동체에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동력의 변화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수납된 상기 제동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동체가 유지수단에 의해서 유지됨으로써 수납공간(기체 및 회전체)에서의 빠짐이 방지되며,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탈락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기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동체의 상기 외측 원통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유지수단을 기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재로 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나사 등의 체결구조나 기계적인 고정구조 등을 가지지 않게 함으로써, 제동체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어시스트 그립에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이 도시되어 있다(도 1은 사용위치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어시스트 그립(10)은, 파지부가 되는 대략 U자 형상의 그립본체(12)와, 그립본체(12)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차실 내의 천정부(벽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립본체(12)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리테이너(14A,14B)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리테이너(14A)에는 오일댐퍼(16)가 조립되어 있고, 좌측에 위치하는 리테이너(14B)에는 탄지수단으로서의 스프링(18)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오일댐퍼(16)나 스프링(18)을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리테이너(14A)는 수지제(PA)로 이루어지며,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0)의 표면측에는, 본체부(20)의 외형과 거의 비슷한 개구형상으로 된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22)의 바닥면 중앙에는 장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24)은 본체부(20) 및 본체부(20)의 이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원통부(26)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장공(24)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A)를 벽면(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3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리테이너(14A)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26) 및 본체부(20)의 일부를 벽면(28)의 부착구멍(32)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24)에 볼트(30)를 끼우고, 이 볼트(30)의 선단측에 형성된 나사부(34)를 보디(35)의 나사구멍(36)에 나사결합함에 의해서 부착된다. 볼트(30)의 머리부(38)는 상기한 오목부(22)내에 수납되어 본체부(20)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가 덮혀져서 볼트(30)의 머리부(38)가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양 측면에는, 팔 모양으로 연장되며, 선단을 대략 원반형상으로 한 1쌍의 돌출부(40,41)가 하측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0,4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일측면(외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며 또한 동일한 직경 치수로 된 축(42,43)이 외측(도면에 있어서의 우측방향)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 외측에 위치하는 돌출부(41)의 타측면(내측면)에는 원통부(26)의 돌출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의 하면측에 있어서의 원통부(26)의 기단부 부근에는, 소정의 두께 치수로 되어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한 평판형상의 탄성편(46)이 축(42,43)의 축심방향을 향해서 돌출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한편, 리테이너(14A)에 조립되는 그립본체(12)의 일단측 선단부에는 상기 돌출부(40,41)에 대응하는 1쌍의 벽부(50,51)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벽부(50,51)는 그 윤곽(벽부 외측둘레)이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벽면의 대략 중앙에는 동일 축선상에 관통구멍(52,5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52,53)은 리테이너(14A)측의 축(42,43)보다도 직경 치수가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52,53)에 축(42,43)을 삽입함으로써 그립본체(12)의 일단측이 리테이너(14A)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 벽부(50,51)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벽(54)은, 선단측의 벽면(54A)이 벽부(50,51)의 윤곽을 따라서 만곡되어 있으며, 관통구멍(52,53)의 축선과 겹쳐지는 위치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긴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그립본체(12)의 일단측이 리테이너(14A)에 의해서 축지지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A)측의 축(42,43)을 그립본체(12)측의 관통구멍(52,53)에 삽입하여, 벽부(50)에 돌출부(40)를, 벽부(51)에 돌출부(41)를 각각 맞닿게 하면, 돌출부(41), 벽부(50) 및 그립본체(12)의 바닥벽(54)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60)이 형성된다. 이 공간(60)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댐퍼(16)가 수납되는 구조이다.
오일댐퍼(16)는 수지제로 이루어지며, 원통체의 내축(62)과, 이 내축(62)을 내포함과 아울러 내축(62)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외측 원통부(64)로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내축(62)과 외측 원통부(6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오일이 충전되어 있으며, 내축(62)에 대해서 외측 원통부(64)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오일의 점성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내축(62)의 일단면에는 1쌍의 돌기부(66)가 내축(6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대칭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측 원통부(64)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긴 돌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댐퍼(16)의 길이 치수는 상기한 공간(60)의 폭 치수, 즉 돌출부(41)와 벽부(50)의 내측 폭 치수에 맞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오일댐퍼(16)가 공간(60)에 수납된 도 1 및 도 6의 상태에서는, 오일댐퍼(16)의 양 측면이 돌출부(41)와 벽부(50)에 맞닿아서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립본체(12)가 리테이너(14A)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이 수납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원통부(64)의 외주면의 일부가 그립본체(12)의 바닥벽(54)의 벽면(54A)에 접촉하고, 이 접촉부분의 반대측에 배치된 탄성편(46)에 의해서 외측 원통부(64)가 유지된다. 따라서, 오일댐퍼(16)의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며, 오일댐퍼(16){내축(62)}의 축심이 축(42,43) 및 관통구멍(52,53)의 축심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내축(62)은 1쌍의 돌기부(66)가 돌출부(41)의 홈(44)에 걸어맞춰져서 리테이너(14)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 원통부(64)의 긴 돌기부(68)는 그립본체(12)측의 긴 홈(56)에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그립본체(12)가 회동하면, 이 회동에 수반하여 오일댐퍼(16)의 외측 원통부(64)가 내축(6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때 댐퍼기능이 작용하여 그립본체(12)의 동작을 제동하게 된다.
한편, 리테이너(14B)측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B) 및 리테이너(14B)에 축지지되는 그립본체(12)의 타단측이 상기한 리테이너(14A) 및 그립본체(12)의 일단측과 좌우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테이너(14A)측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위에 대해서 리테이너(14A)측에서 사용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로 된 스프링(18)이 리테이너(14B)의 돌출부(41)와 그립본체(12)의 타단측의 벽부(5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어 그립본체(12)를 도 3에 나타낸 격납방향으로 탄지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리테이너(14A)측에 오일댐퍼(16)를 조립하는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테이너(14A)측의 축(42,43)을 그립본체(12)측의 관통구멍(52,53)에 삽입한 후(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본체(12)의 바닥벽(54)을 리테이너(14A)의 본체부(20)에 가까이 대도록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리테이너(14A)와 그립본체(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60)의 입구가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오일댐퍼(16)의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오일댐퍼(16)를 상기 공간(60)에 삽입할 때에는, 외측 원통부(64)의 긴 돌기부(68)를 삽입방향의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축(62)의 돌기부(66)를 리테이너(14A)측의 홈(44)에 끼워맞추면서 삽입해 간다. 이 때, 외측 원통부(64)의 외주면이 리테이너(14A)측의 탄성편(46)을 압압하게 됨으로써 탄성편(46)은 본체부(20)측으로 쓰러지도록 휨변형된다.
이 상태에서 오일댐퍼(16)를 공간(60)내로 압입하여 긴 돌기부(68)를 그립본체(12)측의 긴 홈(56)에 끼워맞춘다. 외측 원통부(64)가 바닥벽(54)의 벽면(54A)에접하여 위치결정되면, 탄성편(46)이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외측 원통부(64)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어시스트 그립의 사용위치에서 그립본체(12)로부터 손을 놓으면, 스프링(18)의 탄지력에 의해서 그립본체(12)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3에 나타낸 격납위치까지 되돌아가게 된다. 이 때, 오일댐퍼(16)는 리테이너(14A)에 고정된 내축(62)의 주위를 외측 원통부(64)가 회전할 때에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외측 원통부(64)에 연결된 그립본체(12)의 동작속도가 늦춰지게 된다.
또, 오일댐퍼(16)는 종래와 같이 회전축 등을 개재하지 않고 리테이너(14A)와 그립본체(12)와의 사이에 조립되어 있어, 클립본체(12)에 걸리는 하중은 관통구멍(52,53)에 삽입된 축(42,43)을 통해서 리테이너(14A)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하중이 오일댐퍼(16)에 미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그립본체(12)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으며, 오일댐퍼(16)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10)에서는, 리테이너(14A)의 축(42,43)을 그립본체(12)의 관통구멍(52,53)에 소정의 방향에서 삽입하여 축지지하고, 이 축지지상태에서 형성되는 리테이너(14A)의 돌출부(41)와 그립 본체(12)의 벽부(50)와의 사이의 공간(60)에 오일댐퍼(16)를 수납하면서 내축(62)의 돌기부(66)를 홈(44)에, 외측 원통부(64)의 긴 돌기부(68)를 긴 홈(56)에 각각 걸어맞추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은 어시스트 그립(10)에 적용한 경우에도 그립본체(12)에 걸리는 하중이 오일댐퍼(16)에 직접 작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정상적인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일댐퍼(16)가 리테이너(14A)의 탄성편(46)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 등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쉽게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탄성편(46)은 리테이너(14A)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오일댐퍼(16)의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테이너(14A,14B)측에 축(42,43)을 형성하고 그립본체(12)측에 관통구멍(52,53)을 형성하였으나, 이것들은 배치를 바꿔서 구성하여도 된다. 또, 돌출방향이 동일한 각 축이 각각 삽입되는 각 구멍은 관통시키지 않아도 되며, 개구방향이 일치되어 있으면 동일한 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다.
또, 축과 구멍의 조합에 의한 축지지부는 2개소에만 한정하지 않고, 돌출부와 벽부를 늘여서 3개소 이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1개소에서만 축지지하는 구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서는, 리테이너(14A)의 돌출부(40) 및 축(42)을 제거하고, 그립본체(12)에는 돌출부(41)의 축(43)이 삽입되는 관통구멍(53)이 형성된 벽부(51)와, 이 벽부(51)와 대향되게 삽입방향 전방에 배치되며 축지지상태에서는 돌출부(41)와의 사이에 공간(60)을 형성하는 벽부(50)를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되는 등의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동력을 얻는 댐퍼에 대해서는 오일댐퍼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내축과 이 내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외측 원통부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와 같은 자동차의 어시스트 그립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어의 제동구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개선됨과 아울러, 회전체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된다.

Claims (5)

  1.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의 각각에 돌출방향이 동일하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축 또는 개구방향이 동일하고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구멍이 형성된 기체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복수의 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벽부의 각각에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이 형성되어 상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축지지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벽부 중 적어도 1개가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회전체와,
    상기 공간에 수납되어 대향하는 각 측면을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벽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한 내축과, 상기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내축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4 걸림부를 구비한 외측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2. 축 또는 구멍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기체와,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구멍 또는 삽입축이 형성되어 상기기체의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 1 벽부와, 상기 제 1 벽부와 대향되게 상기 삽입방향 전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축지지상태에서는 돌출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벽부를 구비한 회전체와,
    상기 공간에 수납되어 대향하는 각 측면을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 2 벽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축 또는 상기 구멍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과 아울러 돌출부에 형성된 제 1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2 걸림부를 구비한 내축과, 상기 내축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내축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제 4 걸림부를 구비한 외측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제동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수납된 상기 제동체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기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동체의 상기 외측 원통부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
KR10-2001-0044855A 2000-08-10 2001-07-25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KR100406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3214A JP2002052970A (ja) 2000-08-10 2000-08-10 回転体の制動構造、及びその回転体の制動構造を備えたアシストグリップ
JPJP-P-2000-00243214 200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391A true KR20020013391A (ko) 2002-02-20
KR100406681B1 KR100406681B1 (ko) 2003-11-21

Family

ID=1873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855A KR100406681B1 (ko) 2000-08-10 2001-07-25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67130B2 (ko)
JP (1) JP2002052970A (ko)
KR (1) KR100406681B1 (ko)
GB (1) GB2365946B (ko)
TW (1) TWI2431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87B1 (ko) * 2007-06-27 2008-06-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의 장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3897B2 (en) * 2001-10-23 2003-11-11 Trw Inc. Retractable grab handle and coat hook
US7124475B2 (en) * 2002-03-28 2006-10-24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ing handle
US7062818B2 (en) * 2002-03-28 2006-06-20 Austin Hardware & Supply, Inc. D-ring handle
US6708371B2 (en) * 2002-06-11 2004-03-23 Illinois Tool Works Inc. Positive retaining pivot pin
DE20212335U1 (de) * 2002-08-09 2003-12-18 Arturo Salice S.P.A., Novedrate Schwenkdämpfer
US6715813B2 (en) * 2002-08-20 2004-04-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Over-center spring control
DE10303349B4 (de) * 2003-01-29 2005-04-07 Daimlerchrysler Ag Türaußengriffeinrichtung
DE20302226U1 (de) * 2003-02-11 2003-04-10 Utescheny Ag Bauteil für Fahrzeuginnenräume, insbesondere Dachhaltegriff
CA2423282A1 (fr) * 2003-03-19 2004-09-19 Universite De Sherbrooke Poignee anti-vibratile pour outils percutants ou a mouvement alternatif
US7008972B2 (en) * 2003-06-12 2006-03-07 Acushnet Company Golf ball comprising micropor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intability and interlayer adhesion
DE20310944U1 (de) * 2003-07-16 2003-12-0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Kg Lager für einen Fahrzeug-Haltegriff sowie Haltegriff
JP3966842B2 (ja) * 2003-08-25 2007-08-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制動装置
US7103939B2 (en) * 2003-11-03 2006-09-12 Illinois Tool Works Inc Pin-less damper assembly for an assist grip handle
KR100600129B1 (ko) * 2004-08-13 2006-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인너핸들 장착 구조
US7219868B2 (en) * 2004-09-13 2007-05-22 Rec Enterprises, Ltd Hook device for attachment to tables and the like
JP4560384B2 (ja) * 2004-11-25 2010-10-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自動車内装部品の取付け装置
US20060130275A1 (en) * 2004-12-22 2006-06-22 Joy Tong Suitcase handle with mobile grip
JP4639826B2 (ja) * 2005-01-31 2011-02-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DE202005011297U1 (de) * 2005-07-18 2005-11-03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Fahrzeug-Haltegriff
KR100625164B1 (ko) 2005-08-18 2006-09-15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철도차량용 도어 포스트장치의 핸들 체결구조 및 그체결방법
JP2008068749A (ja) * 2006-09-14 2008-03-27 Toyoda Gosei Co Ltd アシストグリップ
JP5013168B2 (ja) * 2006-09-14 2012-08-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CA493745A (en) * 2006-10-04 1953-06-16 E. Glassburn William Bridge-connected relay
US7617571B2 (en) * 2006-10-30 2009-11-17 Illinois Tool Works Inc. Pin-less assist grip handle assembly
JP4928282B2 (ja) * 2007-01-23 2012-05-09 株式会社ニフコ 携行用収納体用ハンドル装置
US7785216B2 (en) 2007-08-27 2010-08-31 Acushnet Company Golf balls including mechanically hybridized lay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802665B2 (en) * 2007-09-28 2010-09-28 Joy Tong Rotation-controllable rotary grip assembly for luggage handle
DE102008029629A1 (de) * 2008-06-23 2009-12-2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Transportbehälter, insbesondere zur Aufbewahrung von Wertscheinen
JP5199007B2 (ja) * 2008-09-30 2013-05-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10159032A (ja) * 2009-01-09 2010-07-22 Howa Kasei Kk アシストグリップ
JP5399093B2 (ja) * 2009-02-24 2014-01-29 豊和化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US8056188B2 (en) * 2009-03-02 2011-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ssist assembly for being grasped by a user of a vehicle
JP5481120B2 (ja) * 2009-07-22 2014-04-23 豊和化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JP5330965B2 (ja) * 2009-11-18 2013-10-30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制動構造
US8307516B2 (en) * 2010-03-17 2012-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ssist handle spring design for constant return velocity
JP4774464B1 (ja) * 2010-05-12 2011-09-14 豊田合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JP5659124B2 (ja) * 2011-10-31 2015-01-28 豊田鉄工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取付構造
KR200469936Y1 (ko) * 2011-12-19 2013-11-14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힌지 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1382285B1 (ko) 2012-06-13 2014-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N102697276B (zh) * 2012-06-19 2014-06-11 陈宏伟 提手
KR101416421B1 (ko) * 2013-07-17 2014-07-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N103362354A (zh) * 2013-07-29 2013-10-23 无锡市张泾宇钢机械厂 易固定型把手
JP6076232B2 (ja) * 2013-10-28 2017-02-08 株式会社ニフコ アシストグリップ
JP6289051B2 (ja) * 2013-11-22 2018-03-07 トーシン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手摺り
DE102014018900A1 (de) * 2014-03-14 2015-09-17 Gronbach Vertriebs GmbH Dreheinheit für ein Gerät oder Möbel
JP6341873B2 (ja) * 2015-03-03 2018-06-13 株式会社ニフコ 回動機構
KR101765456B1 (ko) * 2015-12-08 2017-08-07 이준영 도어 핸들
US20190111821A1 (en) * 2016-03-28 2019-04-18 Nifco America Corp. Assist grip
JP6612205B2 (ja) * 2016-12-14 2019-11-27 株式会社ニフコ アシストグリップ
US10040384B2 (en) * 2016-12-29 2018-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wist-lock articulating assis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4506A (en) * 1940-09-27 1941-09-02 Wheary Trunk Co Handle
US3204286A (en) * 1963-01-14 1965-09-07 Batesville Casket Co Swinging casket handles
IT8553304V0 (it) * 1985-04-24 1985-04-24 Foggini Progetti Dispositivo di rallentamento e blocco di sportelli e cassetti particolarmente di autoveicoli
FR2606846B1 (fr) * 1986-11-19 1991-05-24 Aerospatiale Amortisseur de rotation, et suspension pour vehicule comportant au moins un amortisseur de ce type
JP2544628B2 (ja) * 1987-07-10 1996-10-16 株式会社 ニフコ 回転ダンパ−
US4842106A (en) * 1987-10-08 1989-06-27 Hughes Aircraft Company Rate controllable damping mechanism
US4981323A (en) * 1988-06-10 1991-01-01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Assist strap for a modular headliner
US4981322A (en) * 1988-06-10 1991-01-0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Inc. Assist strap for a motor vehicle
DE3829209A1 (de) 1988-08-29 1990-03-15 Happich Gmbh Gebr Haltegriff fuer fahrzeuge
DE4224148A1 (de) * 1992-07-22 1994-01-27 Happich Gmbh Gebr Anbauteil, wie Haltegriff, Sonnenblende o. dgl. für den Innenraum von Fahrzeugen
SE509769C2 (sv) 1993-09-03 1999-03-08 Itw Ateco Gmbh Rotationsdämpare
JPH0718967U (ja) 1993-09-08 1995-04-04 池田物産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3779015B2 (ja) 1996-01-26 2006-05-2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乗物用の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DE19611309A1 (de) 1996-02-22 1998-02-19 Schmidt Gmbh R Haltegriff für Kraftfahrzeuge
DE19611724C2 (de) * 1996-03-25 2001-04-05 United Carr Gmbh Trw Haltegriff aus Kunststoff
DE29707759U1 (de) * 1997-04-29 1997-07-03 Schmidt Gmbh R Haltegriff in einem Kraftfahrzeug
DE29715912U1 (de) 1997-09-04 1997-11-06 Schmidt Gmbh R Dämpfungsvorrichtung
US6076233A (en) * 1998-05-27 2000-06-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Grab rail and hook assembly for a vehicle
US6397435B1 (en) * 1999-04-22 2002-06-04 Lear Corporation Handle assembly with integrated hook
US6223395B1 (en) * 1999-06-17 2001-05-01 Nishikawa Kasel Co., Ltd. Retractable assist grip
JP3781624B2 (ja) * 2000-02-18 2006-05-3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回転ダンパ
US6397436B1 (en) * 2001-01-30 2002-06-04 King Sheng Wang Suitcase handle having damp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87B1 (ko) * 2007-06-27 2008-06-2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핸들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118982D0 (en) 2001-09-26
US20020020042A1 (en) 2002-02-21
US6467130B2 (en) 2002-10-22
JP2002052970A (ja) 2002-02-19
GB2365946A (en) 2002-02-27
KR100406681B1 (ko) 2003-11-21
TWI243121B (en) 2005-11-11
GB2365946B (en)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681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JP4907100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0329183A (ja) ヒンジダンパ
JP4626661B2 (ja) 固定部材
JP5330965B2 (ja) 回動体の制動構造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JP5836281B2 (ja) ダンパー装置
KR100368337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JP4418581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4464697B2 (ja) 電動モータ
JP2568804Y2 (ja) 回転ダンパ
US20040130082A1 (en) Mechanical isolator
KR100493803B1 (ko) 회전댐퍼
US6011316A (en) Starter having magnetic switch an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agnetic switch therein
KR970062241A (ko) 축래치장치
JP2571659B2 (ja) 転がり軸受の取付け構造
JP3056364B2 (ja) シリンダ錠の組付構造
JP3750818B2 (ja) 回動抵抗付与ダンパ
WO2024111069A1 (ja) 軸受ユニット及び減速機付きモータユニット
JP4015783B2 (ja) ワイパモータ
JP4035517B2 (ja) 器具の取付構造
JP2019124342A (ja) 樹脂製スラストワッシャ
KR200347111Y1 (ko) 마찰힌지장치
KR200162312Y1 (ko) 시동 전동기의 축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