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8337B1 -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 Google Patents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8337B1
KR100368337B1 KR10-2000-0042743A KR20000042743A KR100368337B1 KR 100368337 B1 KR100368337 B1 KR 100368337B1 KR 20000042743 A KR20000042743 A KR 20000042743A KR 100368337 B1 KR100368337 B1 KR 10036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ylindrical portion
rotor
cap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873A (ko
Inventor
진보나오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4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를 동일 축선상에 가지며, 상기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사이에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오일저장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며 점성유체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에 배치되는 환형상 캡과, 상기 오일저장실내의 점성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외측둘레 및 외측 원통부의 내측둘레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제 1, 제 2 실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와 회전자의 내측둘레를 축부재가 관통하도록 한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의 반경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고, 또한 상기 회전자와 캡을 일체로 함에 의한 실성 및 토크의 안정성에 대한 저하를 방지한다.
(해결수단) 상기 회전댐퍼의 회전자(20)와 캡(40)을 별체로 하고, 회전자 (20)에는 캡(40)의 내측둘레(41)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부(32)를 형성하고, 캡(40)의 내측둘레(41)에 상기 중공 원통부(32)의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1 실부재(53)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우징(10)의 오일저장실(13)에 삽입되는 회전자(20)의 내측둘레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의 상단부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2 실부재(54)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oil type cylindrical rotary damper}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등의 점성저항에 의해서 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를 동일 축선상에 가지며, 상기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사이에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오일저장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며 점성유체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에 배치되는 환형상 캡과, 상기 오일저장실의 점성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외측둘레 및 외측 원통부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제 1, 제 2 실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와 회전자의 내측둘레를 축부재가 관통하도록 한 오일실 원통형 회전댐퍼가 공지되어 있다(독일 실용신안 296 04 260 U1참조).
상기한 종래의 오일실 원통형 회전댐퍼에서는 캡이 회전자 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상부 내측둘레에는 캡의 외측둘레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회전자의 상단부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지름이 큰 실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환형상 단부를 형성하고, 또 내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에는 회전자의 상단부 내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지름이 작은 실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환형상 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와 내측 원통부의 상단부는 환형상 단부에 의해서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것에 충분한 강도를 주기 위해서 외측 원통부나 내측 원통부의 벽을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고,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의 반경방향의 치수가 커지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를 막는 캡을 회전자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캡으로 실부재의 외부로의 탈출을 방지하면, 실(seal)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토크의 안전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것은, 상기한 오일실 원통형 댐퍼에서는 회전자와 하우징의 벽부와의 틈새에 채워지는 점성유체와의 전단력이저항으로 되어 토크가 발생하는 것이고, 이 틈새는 매우 작다. 회전자가 하우징의 캡을 겸한다는 것은 양 부재 모두가 원형이라는 것이고, 양 부재의 동축도(同軸度)가 약간이라도 어긋나면, 실부재의 스퀴즈 값이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회전자와 하우징의 벽면간의 거리(틈새)도 일정하지 않게 된다. 또, 회전자의 캡과 하우징의 걸어맞춤부가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서 걸어맞춤력(면적)이 작아지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이유로 실성능의 저하, 토크의 불안정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와 하우징의 성형 정밀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b)는 그 종단측면도, (c)는 (a)의 C-C선 횡단면도
도 2는 전 부품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에 있어서, (a)는 회전자를 구성하는 원통형 헤드와 제동 원통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b)는 그 종단측면도
도 4에 있어서, (a)는 원통형 헤드와 제동 원통부로 구성된 회전자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b)는 그 측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내측 원통부
12 - 외측 원통부 13 - 오일저장실
14 - 저벽 15 - 소경(小徑) 환형상 단부
16 - 환형상 벽부 17 - 세로홈
18 - 돌조 20 - 회전자
21 - 제동 원통부 22 - 상향 원통부
23 - 홈부 24 - 역지돌기
25 - 하향 절결부 26 - 세로홈
31 - 원통형 헤드 32 - 중공 원통부
33 - 하향 원통부 34 - 원호상 편부
35 - 걸어맞춤구멍 36 - 환형상 홈
37 - 세로홈 38 - 상향 절결부
39 - 돌기 40 - 캡
41 - 내측둘레 42 - 환형상 홈
43 - 환형상 오목부 51 - 축부재
52 - 점성유체 53 - 제 1 실부재
54 - 제 2 실부재 55 - 용착 실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으로서,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를 동일 축선상에 가지며, 상기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사이에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오일저장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며, 점성유체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에 배치되는 환형상 캡과, 상기 오일저장실의 점성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외측둘레 및 외측 원통부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제 1, 제 2 실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와 회전자의 내측둘레를 축부재가 관통하도록 한 오일실 원통형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캡을 별체로 하고, 회전자에는 캡의 내측둘레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캡의 내측둘레에 상기 중공 원통부의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1 실부재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는 회전자의 내측둘레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2 실부재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자를 상기 중공 원통부를 가지는 원통형 헤드와 이 원통형 헤드 아래에 접합되는 제동 원통부의 2부품으로 구성하고, 회전자의 내측둘레가 유지하는 제 2 실부재를 상기 원통형 헤드와 제동 원통부의 접합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와 캡의 하단 외측둘레와의 사이를 용착 실부로 밀봉하는 것, 상기 제 1 실부재와 제 2 실부재를 동일한 지름, 동일한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하우징, 20은 회전자, 40은 캡을 나타내며, 이것들은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상하(上下)란 도면을 기준으로 한 편의적인 방향 내지 위치를 나타내며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하우징(10)은 동일한 축중심을 가지는 내측 원통부(11)와 외측 원통부(12), 상기 내측 원통부(11)와 외측 원통부(12) 사이의 환형상 공간인 오일저장실(13)의 하단을 막는 저벽(14)을 일체로 구비하며, 내측 원통부(11)의 내측둘레인 개구부에 축부재(51)를 회전가능하게 관통시키고, 오일저장실(13)에 실리콘 오일등의 점성유체(52)를 수용한다. 외측 원통부(12)의 상단부는 내측 원통부(11)의 상단부보다도길게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원통부(11)의 상단부에는 그 외측둘레를 따라서 소경 환형상 단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측 원통부(12)의 상단부에는 그 내측둘레를 따라서 두께가 얇은 환형상 벽부(16)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회전자(20)는 상기 하우징(10)의 오일저장실(13)내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동 원통부(21)와, 외측 원통부(12)의 상단부내에 수용되며,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를 관통한 축부재(51)가 삽입되는 중공 원통부(32)를 가지며 상기 제동 원통부(21)와 일체로 회동하는 원통형 헤드(31)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의 내경은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원통형 헤드(31)는 외측 원통부(12)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하측으로 수하(垂下)되는 하향 원통부(33)와 이 하향 원통부(33)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1쌍의 원호상 편부(34,34)를 가지며, 제동 원통부(21)는 그 상단부에 내측 원통부(11)의 외측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형성되는 두께가 얇은 상향 원통부(22)를 가진다. 상향 원통부(22)는 하우징(10)의 오일저장실(13) 내부에서 원통형 헤드(31)의 하향 원통부(33)의 내측둘레에 끼워맞춰진다. 즉, 상향 원통부(22)의 두께와 하향 원통부(33)의 두께를 합한 두께는 내측 원통부(11)와 외측 원통부(12) 사이의 오일저장실(13)의 반경방향의 간격과 같다. 그리고, 제동 원통부(21)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헤드(31)의 원호상 편부(34,34)가 끼워맞춰지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1쌍의 홈부(23,23)가 상향 원통부(2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각 홈부(23)에는 외향의 역지돌기(24)가 돌출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각 원호상 편부(34)에는 상기 역지돌기(24)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35)이 형성된다.
오일저장실(13)내의 점성유체(52)의 수용량을 증가시켜 회전자(20)의 제동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동 원통부(21)에는 상기 홈부(23,23)와 직교하는 직경방향으로 상향 원통부(22)의 상단에서 이 상향 원통부(22)보다도 긴 하향 절결부(25,25)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하향 절결부(25,25)의 하단이 연이어 통하는 세로홈(26, 26)을 제동 원통부(21)의 외측둘레에 형성한다. 또, 원통형 헤드(31)에는 하향 원통부(33)의 상단부 근방에 그 외측둘레를 따라서 환형상 홈(36)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원호상 편부(34,34)와 직교하는 직경방향으로 상기 환형상 홈(36)과 연이어 통하는 세로홈(37,37)과, 이 세로홈(37,37)의 하단에 상향 절결부(38)를 형성한다.
오일저장실(13)에 주입되는 점성유체(52)는 상기 절결부(25,38), 세로홈(26, 37), 환형상 홈(36)내에도 채워지기 때문에 그 만큼 수용량이 증가함과 아울러, 회전자(20)가 회동할 때에는 상기 절결부(25,38), 세로홈(26,37), 환형상 홈(36)내에 채워져 있는 점성유체(52)와 저항하여 회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높아진다. 또한, 같은 목적에서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의 외측둘레에도 복수(도면에서는 3개)의 세로홈(17)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캡(40)은 두꺼운 환형상 판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를 통과시키는 내측둘레(41)를 구비하며, 그 외경은 하우징(10)의 외측원통부(12)의 외경과 같다. 캡(40)의 하면에는 상기 외측 원통부(12)의 환형상 벽부(16)를 수용하는 환형상 홈(42)과, 상기 내측둘레(41)를 따라서 환형상 오목부 (43)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20)에는 회전동력을 받기 위해서, 중공 원통부(32)의 상단에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돌출되는 1쌍의 상향 돌기(39,39)가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외측 원통부(12)의 외측둘레에는 하우징(10)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돌조(18)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는 다음과 같이하여 조립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해상태의 원통형 헤드(31)와 제동 원통부(21)를 결합하여 회전자(20)로 한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통형 헤드(31)의 하향 원통부(33)의 내측둘레에 O링등의 제 2 실부재(54)를 끼우고, 원통형 헤드(31)의 1쌍의 원호상 편부(34,34)의 방향과 제동 원통부(21)의 1쌍의 홈부(23,23)의 방향을 맞춘 후에 원통형 헤드(31)와 제동 원통부(21)를 눌러서 끼워맞춘다. 이와 같이 하면, 원통형 헤드(31)의 원호상 편부(34,34)가 제동 원통부 (21)의 홈부(23,23)내로 슬라이드되어 끼워맞춰지게 되는데, 이 때 원호상 편부 (34,34)가 홈부(23,23)내에 형성된 역지돌기(24,24)를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타고 넘은 후 홈부(23,23)내로 탄성복귀함으로써 역지돌기(24,24)가 원호상 편부(34,34)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35,35)에 각각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원통형 헤드(31)의 하향 원통부(33)내에 끼워진 제 2 실부재(54)가 제동 원통부(21)의 상향 원통부(22)의 상단과 하향 원통부(33)의 상단 하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원통형 헤드(31)와 제동 원통부(21)가 일체로 된 회전자(20)를 구성하게 되고 또 제 2 실부재(54)가 유지된다.
이어서, 하우징(10)의 오일저장실(13)내로 소정량의 점성유체(52)를 주입하고, 회전자(20)를 그 제동 원통부(21)를 오일저장실(13)내로 삽입하면서 압입하여 하우징(10)내에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동 원통부(21)의 상향 원통부(22)의 상단과 하향 원통부(33)의 상단 하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제 2 실부재(54)가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의 소경 환형상 단부(15)에 의해서도 압축되게 됨으로써, 점성유체(52)가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의 내측둘레에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전자(20)를 하우징(10)에 수용하기 전에 또는 수용한 후에, 제 1 실부재(53)를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의 외측둘레에 끼운다. 이 제 1 실부재(53)는 상기한 제 2 실부재(54)와 같은 것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캡(40)의 내측둘레(41)에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가 끼워지도록 함과 아울러 캡(40)의 환형상 홈(42)에 하우징(10)의 외측 원통부(12)의 환형상 벽부(16)가 끼워지도록 하면서 캡(40)을 하우징(10)에 덮어씌운다. 이와 같이 하면,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2)의 외측둘레에 끼워져 있던 제 1 실부재(53)가 캡(40)의 환형상 오목부(43)내에서 압축됨으로써, 중공 원통부(32)의 외측둘레에서 점성유체(52)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최후로, 캡(40)의 하단 외측둘레와 하우징(10)의 외측 원통부(12)의 상단 외측둘레와의 접촉부에 고주파 용착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용착 실부(55)를 형성하여 하우징(10)에서 캡(4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 접촉부에서 점성유체(52)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는, 예를 들면 독일 실용신안 296 04 260 U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실내의 조수석이나 후부 좌석에 있어서의 좌우 유리창의 상측벽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어시스트 그립을 탑승원이 손으로 쥐고서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어시스트 그립을 측벽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사용한 후에 승무원이 손을 떼면, 어시스트 그립이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서 급격히 측벽을 향하여 회동하는 것을 제동함으로써, 즉 정숙하게 회동시켜서 본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고급감을 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내측 원통부(11), 회전자(20)의 원통형 헤드(31)의 중공 원통부(33), 캡(40)의 중심을 관통한 축부재(51)의 각 단부를 차실내의 측벽에 고정한 1쌍의 브래킷(도시생략)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어시스트 그립의 일측 암의 내부에 설치된 축받이편(도시생략)을 캡(40)에 근접하게 하여 캡(4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자(20)의 원통형 헤드(31)의 돌기(39,39)를 상기 축받이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하우징(10)의 외측 원통부(12)의 외측둘레에 축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조(18)를 차체측에 걸어맞춰서 하우징(10)을 차체에 고정하여 회전자(20)를 어시스트 그립과 일체로 회동하게 한다. 또한, 어시스트 그립의 타측 암도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암의 내부에 어시스트 그립을 측벽에 맞닿을 때까지 회동하여 탄지하는 스프링,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을 수용한다. 상기 구조는 본 발명의 요지외의 사항이므로 상기 독일 실용신안을 참조하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을 고정하고서 회전자(20)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자(20)의 제동 원통부(21)가 점성유체(52)를 수용한 하우징(10)의 오일저장실 (13)내에서 점성유체(52)의 점성저항에 저항하여 회전하여야 하기 때문에, 회전자 (20)를 회동시키는 외력을 제동할 수 있다. 이것은 회전자(20)를 고정하고서 하우징(10)을 회동시키는 별도의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을 회동시키는 외력을 제동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의하면,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며 점성유체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에 배치되는 환형상의 캡을 별체로 하고, 회전자에는 캡의 내측둘레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캡의 내측둘레에 상기 중공 원통부의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1 실부재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는 회전자의 내측둘레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2 실부재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나 내측 원통부에는 제 1, 제 2 실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환형상 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나 내측 원통부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반경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와 별체로 된 캡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실성이 개선되며, 즉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에 충진된 점성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토크도 안정하게 된다. 또, 회전자와 캡을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같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자와 캡을 따로 따로 성형하는 제조비용도 높아지지 않는다.
청구항 2에 의하면,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의 점성유체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자를 중공 원통부를 가지는 원통형 헤드와 이 원통형 헤드 아래에 접합되는 제동 원통부의 2부품으로 구성하고, 회전자의 내측둘레가 유지하는 제 2 실부재를 상기 원통형 헤드와 제동 원통부의 접합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회전자를 일체로 한 경우와 같이 제 2 실부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언더컷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의해서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상단과 캡과의 사이에서 점성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구항 4에 의해서 제 1, 제 2 실부재로서 동일한 실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관리가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조립할 때에 제 1 실부재와 제 2 실부재를 구별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수순이 생략된다.

Claims (5)

  1.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를 동일 축선상에 가지며, 상기 내측 원통부와 외측 원통부 사이에 점성유체가 충진되는 오일저장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며, 점성유체와의 사이에서 토크를 발생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개방단부에 배치되는 환형상 캡과; 상기 오일저장실의 점성유체가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외측둘레 및 외측 원통부의 내측둘레를 따라서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제 1, 제 2 실부재;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와 회전자의 내측둘레를 축부재가 관통하도록 한 오일실 원통형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캡을 별체로 하고,
    회전자에는 캡의 내측둘레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중공 원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캡의 내측둘레에 상기 중공 원통부의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1 실부재를 유지함과 아울러, 하우징의 오일저장실에 삽입되는 회전자의 내측둘레의 상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2 실부재를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자를 상기 중공 원통부를 가지는 원통형 헤드와 이 원통형 헤드 아래에 접합되는 제동 원통부의 2부품으로 구성하고, 회전자의 내측둘레가 유지하는 제 2 실부재를 상기 원통형 헤드와 제동 원통부의 접합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우징의 외측 원통부의 상단부 외측둘레와 캡의 하단 외측둘레와의 사이를 용착 실부로 밀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부재와 제 2 실부재는 동일한 지름,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부재와 제 2 실부재는 동일한 지름,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10-2000-0042743A 1999-08-09 2000-07-25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100368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499199 1999-08-09
JP224991 1999-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873A KR20010049873A (ko) 2001-06-15
KR100368337B1 true KR100368337B1 (ko) 2003-01-24

Family

ID=2878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743A KR100368337B1 (ko) 1999-08-09 2000-07-25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68337B1 (ko)
TW (1) TW5281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264A1 (en) * 2020-12-31 2022-07-07 A.I.R. Süspansi̇yon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Sealed cap assembly in suspension air spr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902A (ja) * 2000-07-05 2002-01-23 Nifco Inc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6150737B2 (ja) 2014-02-03 2017-06-2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JP6210893B2 (ja) * 2014-02-03 2017-10-1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264A1 (en) * 2020-12-31 2022-07-07 A.I.R. Süspansi̇yon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Sealed cap assembly in suspension air sp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8129U (en) 2003-04-11
KR2001004987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2620B2 (ja)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KR100406681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US5497863A (en) Rotary damper
EP1227263B1 (en) Rotary damper and assist grip device
JPS6343039A (ja) オイル式ダンパ−
US7938238B2 (en) Rotary damper
KR100368337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890009675A (ko) 구동연결 장치
JP4473419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US5582276A (en) Rotation moderator
KR100446424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KR100368336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0151508B1 (ko) 회전댐퍼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JP3485338B2 (ja) 回転ダンパー
JP4418581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H0942168A (ja) ベーンポンプ駆動軸のオイルシール構造
JPH0442590Y2 (ko)
JP2003130112A (ja) 回転ダンパ
JP4523737B2 (ja) ダンパ装置
CN112294172B (zh) 流体阻尼装置
JPS5835891Y2 (ja) ダストシ−ル
JP4278143B2 (ja) 回転ダンパー
JPH04217838A (ja) 電動機の含油軸受装置
KR100775765B1 (ko) 회전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