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566B1 - 회전체의 제동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제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566B1
KR100407566B1 KR10-2001-0027705A KR20010027705A KR100407566B1 KR 100407566 B1 KR100407566 B1 KR 100407566B1 KR 20010027705 A KR20010027705 A KR 20010027705A KR 100407566 B1 KR100407566 B1 KR 100407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otating body
shaft
grip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479A (ko
Inventor
구라치가츠히토
다카하시시게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10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회전축의 지름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어시스트 그립 등의 회전체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제동시킴과 아울러 내구성도 우수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어시스트 그립(10)은, 지지축(52)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오일댐퍼(16)가 리테이너(14A) 및 그립본체(12)의 양방으로부터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독립되게 지지축(52)에 부착되어 있다. 또, 그립본체(12)의 회전방향의 힘만이 오일댐퍼(16)에 전달되도록 그립본체(12)의 긴 홈부(90)에 오일댐퍼(16)의 돌기부(72)를 걸어맞춰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Description

회전체의 제동구조{Brake structure of rotary element}
본 발명은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어시스트 그립(assist grip)에 이용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자동차에 장착되는 가동식(소위 요동식) 어시스트 그립으로서는, 어시스트 그립을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되돌리는 스프링 등의 탄지수단과, 이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서 격납위치로 회전하는 어시스트 그립을 제동하기 위한 댐퍼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서는 일본국 특개평9-26316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도 9에 일본국 특개평9-263166호 공보의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댐퍼가 장착된 측의 지지부를 나타내고, 이하 설명한다.
어시스트 그립(100)의 일측 지지부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내 천정부 등의 벽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102)에 그립부재(104)가 댐퍼(106)를 통해서 부착되어 있다.
댐퍼(106)는 수지제로 된 외측 원통부(108)와 이 외측 원통부(108) 내에 끼워지는 금속제로 된 축(110)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원통부(108)는 그 삽입방향 선단측의 소경부(小徑部)(112)가 베이스 부재(102)의 소경 축구멍(114)에 끼워지고, 삽입방향 기단측의 대경부(大徑部)(116)의 외주면에 형성된 널링부(118)가 베이스 부재(102)의 대경 축구멍(120)의 내벽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외측 원통부(10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축(110)은, 그 삽입방향 선단측의 소경부(122)가 그립부재(104)의 소경 축구멍(124)에 끼워지고, 삽입방향 기단측의 널링부(126)가 그립부재(104)의 대경 축구멍(128)의 내벽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축(110)의 대경부(130)의 외측면과 외측 원통부(108)의 내면(13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는 댐퍼오일이 충전되어 있으며, 대경부(130)의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실링홈(134)에 실링(seal ring)(136)이 각각 끼워져 밀폐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어시스트 그립(100)의 타측 지지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지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그 탄성력에 의해서 어시스트 그립이 항시 벽면(격납위치)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위치에서 격납위치로 복원되는 어시스트 그립(100)은, 격납위치로 복원되는 속도가 댐퍼(106)의 오일에 의한 점성저항에 의해서 억제됨으로써, 벽면에 고속으로 충돌되는 것과 같은 일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어시스트 그립은, 그립부재(104)가 제동기능을 가지는 댐퍼(106)를 통해서 베이스 부재(102)에 축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재(104)에 걸리는 힘(하중)이 당연히 댐퍼(106)에도 작용하게 됨으로써 제동이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즉, 축(110)과 외측 원통부(108)가 접하는 슬라이드 접촉부(138A,138B,138C)에서의 마찰저항이 커지는 등의 요인에 의해서 제동력이 변화되거나, 댐퍼(106) 전체가 휘어져서 오일 누출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회전축의 지름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어시스트 그립 등의 회전체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제동시킴과 아울러 내구성도 우수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적용한 어시스트 그립의 외관도
도 2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스프링 장착측 리테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를 어시스트 그립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4-4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이 차내 천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를 어시스트 그립에 조립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오일댐퍼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오일댐퍼를 지지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어시스트 그립에 있어서의 오일댐퍼 장착측 리테이너의 개략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어시스트 그립 12 - 그립본체(회전체)
14A,14B - 리테이너(기체(基體)) 16,17 - 오일댐퍼(제동체)
18 - 스프링(탄지수단) 52,53 - 지지축(축)
72 - 돌기부(걸어맞춤부/접속수단)
90 - 긴 홈부(피걸어맞춤부/접속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基體)에 고정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체를 제동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축에 부착됨과 아울러 축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제동체와, 상기 제동체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회전체의 회전방향의 힘만을 제동체에 전달하도록 제동체와 회전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체가 기체에 고정된 축 주위를 회전하면, 접속수단에 의해서 회전체에 접속되어 있는 제동체도 회전체와 함께 축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시에 제동체와 축과의 사이에서 제동력이 발생하며, 회전체는 이 제동력에 의해서 제동된다.
여기서, 제동체는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기체 및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접속수단에 의해서 회전체의 회전방향의 힘만이 전달되도록 회전체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 혹은 기체에 걸리는 하중이 축의 지름방향으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그 하중이 제동체에는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동체에 의해서 회전체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동체의 내구성도 향상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동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체의 회전방향의 힘만이 제동체에 전달되도록 제동체와 회전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기 걸어맞춤부를 제동체에서 축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로 하고,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볼록부가 지름방향으로 끼워맞춰지는 오목부로 하는 등으로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회전방향의 힘만을 전달하는 접속수단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접속수단을 상호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라는 간단한 구조로 함으로써, 제동체와 회전체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체에 고정된 축을 통해서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기 회전체를 제동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상기 기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축에 부착됨과 아울러 축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체와, 상기 제동체와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서 제동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체와 기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체가 이 회전체에 고정된 축을 통해서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축은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가 회전하면, 축에 부착됨과 아울러 접속수단에 의해서 기체에 접속되어 있는 제동체는 회전하는 축과의 사이에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회전체는 축에 작용하는 상기 제동력에 의해서 회전이 제동된다.
여기서, 제동체는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기체 및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축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접속수단에 의해서 기체에 접속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 혹은 기체에 걸리는 하중이 축의 지름방향으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그 하중이 제동체에는 미치지 않기 때문에 회전체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하중이 걸리지 않음으로써 내구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동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축의 회전에 따라서 제동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이 제동체를 기체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이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도 상기한 청구항 2와 마찬가지로 지름방향으로 끼워맞춰져서 회전방향으로만 걸리는 볼록부 및 오목부의 조합 등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축의 지름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이 제동체에 가해지는 일이 없으며, 제동체는 회전방향에 대해서만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도 제동체와 기체와의 접속을 걸어맞춤구조로 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은 상기 제동체와 상기 축과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동체가 기체에 고정된 축에 슬라이드 접촉하며, 그 마찰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마찰구조의 제동체를 채용함으로써 제동체가 저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은 상기 제동체와 상기 축과의 사이에 배치된 점성유체의 점성저항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체와 함께 제동체가 회전하면, 제동체와 축과의 사이에 배치된 점성유체의 유동에 따른 내부마찰에 의해서 점성저항이 발생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점성유체를 이용한 제동체를 채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어시스트 그립에 적용한 것이고,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선 바이저에 적용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이 도시되어 있다. 어시스트 그립(10)은 손잡이부가 되는 대략 U자 형상의 그립본체(12)와, 그립본체(12)의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차내 천정부(벽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그립본체(12)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리테이너(14A,14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리테이너(14A)에는 오일댐퍼(16)가 조립되어 있고, 도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리테이너(14B)에는 탄지수단으로서의 스프링(18)이 장착되어 있다. 이하, 이들 오일댐퍼(16)나 스프링(18) 등을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10)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리테이너(14A)측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리테이너(14A)는 수지제(POM)로 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0)의 표면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22)의 중앙에는 장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24)은 그 내경이 긴 쪽을 본체부(20)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하고 있으며, 본체부(20)와 이 본체부(20)의 이면 대략 중앙에서 돌출형성된 원통부(26)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장공(24)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A)를 벽면(28)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30)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리테이너(14A)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26)를 벽면(28)에 형성된 부착구멍(32)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공(24)에 볼트(30)를 끼우고, 이 볼트(30)의 선단측에 형성된 나사부(34)를 부착구멍(32)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홈(36)에 나사결합함에 의해서 벽면(28)에 부착된다. 볼트(30)의 머리부(38)는 상기 오목부(22)내에 수납되어 본체부(20)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부(20)의 측면(20A,20B,20C)의 대략 중앙에는 이 본체부(20)의 두께방향으로 홈(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40)에는, 본체부(20)의 표면을 덮는 수지제로 된 커버(42A)가 장착되었을 때에, 커버(42A)에 형성된 탄성변형 가능한 3개의 다리부(44)(도면에는 2개만 도시되어 있다)가 각각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커버(42A)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며, 그 크기가 본체부(20)의 표면의 크기와 같게 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20)의 각 홈(40)에 대응하는 판형상부의 단부위치 3곳에 다리부(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각 다리부(44)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2A)를 상기 리테이너(14A)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각 다리부(44)의 걸림돌기(46)를 각 홈(40)에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압입한다(화살표 A방향). 이 때, 각 다리부(44)는 그 걸림돌기(46)가 상기 홈(40)의 저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외측으로 휘어져 벌어지게 되고, 이후 각 걸림돌기(46)는 각 홈(40) 내를 따라서 본체부(20)의 이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커버(42A)가 본체부(20)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압입되면, 각 다리부(44)가 탄성력에 의해서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각 홈(40)에 끼워맞춰짐으로써 3방향에서 본체부(20)를 협지하게 된다. 동시에, 각 걸림돌기(46)는 본체부(20)의 이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커버(42A)가 본체부(20)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리테이너(14A)에 장착됨과 아울러, 본체부(20)의 표면에 겹쳐져서 오목부(22)를 포함한 본체부(20)의 표면측 전면을 덮음으로써 볼트(30)의 머리부(38)를 감춘다(도 5 참조). 또한, 이 장착상태에서는, 각 홈(40)에 끼워맞춰진 각 다리부(44)의 외면이 본체부(20)의 측면(20A,20B,20C)과 일치되게 하여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도 1 참조).
본체부(20)의 나머지 측면(20D)에는 오일댐퍼(16) 등을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4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8)는 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관통구멍(50)을 구비한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측면(48A)이 본체부(20)의 측면(20A)과 일치하고, 내측면(48B)이 본체부(20)의 길이방향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는 길이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8)의 관통구멍(50)에는 수지제로 된 지지축(52)의 대경부(大徑部)(54)가 외측면(48A)측에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축(52)은 그 대경부(54)의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기단부 근방에 소위 D커트형상(2곳에 형성되어 있다)의 플랜지(56)를 구비하고 있으며, 플랜지(56)의 외측부분, 즉 지지축(52)의 기단부분이 클립본체(12)에 축지지되는 대경 지지부(55)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56)가 지지부(58)의 일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면, 관통구멍(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대략 장원(長圓)형상의 오목부(58)에 끼워맞춰짐으로써(도 4 참조), 지지축(52)이 리테이너(14A)의 지지부(48)에 회전 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관통구멍(50)을 통과한 대경부(54)의 선단측 부위에는 오일댐퍼(16)가 끼워지고, 대경부(54)의 삽입방향 선단측에 형성된 소경부(小徑部)(60)에는 수지제(POM)로 된 캡(62)이 끼워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지지축(52)에 먼저 끼워지는 수지제(POM)로 된 오일댐퍼(16)는 대략 원통체를 이루는 케이스(64)와, 케이스(64)의 양측에 각각 끼워붙여지는 2개의 O링(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52)의 대경부(54)에 끼워지는 케이스(64)의 관통구멍(68)은 그 내경이 대경부(54)의 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어 대경부(54)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이 틈새에 댐퍼기능을 얻기 위한 오일이 충전되며, 관통구멍(68)의 양측 구멍가장자리에 형성된 둘레홈(70)에 O링(66)이 끼워짐으로써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64)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직사각형의 판형상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72)는 리테이너(14A)를 그립본체(12)에 장착하였을 때 후술하는 그립본체(12)에 형성된 긴 홈부(90)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지지축(52)의 소경부(60)에 끼워붙여지는 캡(62)은 케이스(64)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된 대략 원통체이고, 소경부(60)에 끼워지는 캡(62)의 관통구멍(72)의 내경이 소경부(60)의 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지지축(52)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캡(62)의 끼워붙임 상태에서는, 캡(62)의 외측면(62A)에 형성된 원형 오목부(76)가 지지축(52)의 선단에 형성된 원형 플랜지(78)에 걸어맞춰져서 캡(62)이 소경부(60)에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캡(62)의 내측면(62B)에 의해서 지지부(48)와의 사이에 배치된 오일댐퍼(16)의 축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고 있다.
한편, 그립본체(12)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구성으로 유니트화된 리테이너 블록이 부착되는 부착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 오목부(8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벽부(82)에는 지지축(52)의 대경 지지부(55)가 삽입됨과 아울러 이 대경 지지부(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지지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외벽부(82)와 대향하는 내벽부(86)에는 상기 지지구멍(84)과 동일한 축선(L)을 가지며 이 지지구멍(84)보다도 큰 지름으로 된 지지구멍(8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구멍(88)에 상기한 캡(62)이 끼워붙여진다.
따라서, 그립본체(12)의 일단측은 지지축(52) 및 캡(62)을 통해서 리테이너(14A)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또, 부착 오목부(80)의 저면(80A)에는, 지지구멍(84) 및 지지구멍(88)의 축선(L)상에 있어서 축선방향 거의 중앙에 배치된 긴 홈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부(90)에 오일댐퍼(16)의 케이스(64)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부(72)가 걸어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그립본체(12)가 회전하면, 오일댐퍼(16)는 그립본체(12)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리테이너(14A)에 고정된 지지축(52)의 주위를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시에 오일의 점성에 의한 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이 발생한다. 또, 그립본체(12)를 잡아당겼을 때 등에 걸리는 힘은 지지축(52) 및 캡(62)을 통해서 리테이너(14A)의 지지부(48)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오일댐퍼(16)에 지름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다.
이어서, 리테이너(14A)측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리테이너(14A)에 지지축(52)과 오일댐퍼(16)를 부착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A)를 그립본체(12)의 부착 오목부(80)에 대해서 기울인 상태에서 지지축(52)의 소경부(60)측을 그립본체(12)의 지지구멍(88)에 삽입한다. 그리고, 지지부(48) 및 오일댐퍼(16)가 부착 오목부(80)내에 수납되도록 하면서 지지축(52)의 대경 지지부(55)를 지지구멍(84)의 삽입구에 위치맞춤한다{도 6의 (C)}.
이 상태에서 대경 지지부(55)를 지지구멍(84)에 삽입한 후, 소경부(60)와 지지구멍(88)과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스(64)의 돌기부(72)를 긴 홈부(90)에 끼워넣어서 걸어맞춘다. 최후로, 캡(62)을 지지구멍(88)에 삽입하면서 지지축(52)의 소경부(60)에 끼워붙이면, 도 4로 나타낸 상태로 조립된다.
계속해서, 리테이너(14B)측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4B)측에 스프링(18)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에는 리테이너(14B)측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테이너(14B)측에도 커버(42B), 지지축(52), 캡(62) 및 도시하지 않은 볼트(30)가 구비되어 있다.
리테이너(14B) 및 커버(42B)는 상기한 리테이너(14A) 및 커버(42A)와 좌우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지지축(52)이나 캡(62)의 부착방향이 좌우 반대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테이너(14A)측과 동일한 부재 혹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위에 대해서는 상기 리테이너(14A)측에서 사용한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금속제로 된 스프링(18)은 지지축(52)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4B)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부착위치는 리테이너(14A)측에 있어서의 오일댐퍼(16)의 배치위치{지지부(48)와 캡(62)과의 사이}에 상당하나, 리테이너(14B)의 지지부(48)의 내측면(48B)에는 소정 깊이의 원형 단차부(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18)은이 원형 단차부(92)에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리테이너(14B)에 대한 부착상태에서는, 스프링(18)의 일단(18A)이 원형 단차부(92)의 저면에 형성된 작은 구멍(94)에 삽입되고, 타단(18B)이 원형 단차부(92)측에서 외측(지름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립본체(12)의 긴 홈부(90)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립본체(1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프링(18)이 감겨짐으로써 그립본체(12)를 되돌리는 방향(격납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리테이너(14B)측의 조립방법에 대해서도 리테이너(14A)측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어시스트 그립의 사용위치에서 그립본체(12)로부터 손을 놓으면, 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해서 그립본체(12)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지지축(52)과 이 지지축(52)의 주위를 회전하는 오일댐퍼(16)와의 사이에서 제동력이 발생하며, 이 제동력에 의해서 그립본체(12)의 동작 속도가 늦춰지게 된다.
또, 오일댐퍼(16)는 지지축(52)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리테이너(14A)와 그립본체(12)와의 사이에 독립되게 지지축(52)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그립본체(12)의 회전방향의 힘만이 전달되도록 그립본체(12)의 긴 홈부(90)에 오일댐퍼(16)의 돌기부(72)가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그립본체(12)에 걸리는 하중이 오일댐퍼(16)에 미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그립본체(12)를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오일댐퍼(16)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10)에서는, 지지축(52)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오일댐퍼(16)를, 리테이너(14A) 및 그립본체(12)의 양방으로부터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독립되게 지지축(52)에 부착함과 아울러, 그립본체(12)의 회전방향의 힘만이 오일댐퍼(16)에 전달되도록 그립본체(12)의 긴 홈부(90)에 오일댐퍼(16)의 돌기부(72)를 걸어맞춰서 접속하였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정상적인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일댐퍼(16)를 그립본체(12)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돌기부(72)와 긴 홈부(90)에 의한 간단한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오일댐퍼(16)의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또, 도 7 및 도 8에는 구조가 다른 오일댐퍼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일댐퍼(17)를 구성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65)는 힌지부(95)에 의해서 지름방향으로 2분할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65)의 외주면에도 그립본체(12)의 긴 홈부(90)에 걸어맞춰지는 돌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65)의 일측 분할면(65A)에는 걸림돌기(96)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분할면(65B)에는 상기 걸림돌기(96)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홈부(9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5)의 구멍부(67)에는 복수의 둘레홈(69)이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65)가 장착되는 지지축(53)의 대경부(54)에는 상기 복수의 둘레홈(69)에 대응하는 복수의 원주돌기(98)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8에 나타낸 케이스(65)의 장착상태에서는 둘레홈(69)과 원주돌기(98)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65)의 외주면에서 둘레홈(69)내로 관통된 주입구멍(99)을 통해서 스포이트(150) 등을 이용하여 오일(또는 그리스)을 주입하여 틈새 내에 충전함으로써, 소망하는 제동기능(오일댐퍼)을 얻을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오일댐퍼(17)를 채용하면, 상기한 오일댐퍼(16)의 O링(66)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상기한 변형예에서는, 그립본체(12)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지지축(52 또는 53)을 리테이너(14A)에 고정하고, 그립본체(12)에 접속된 오일댐퍼(16 또는 17)가 지지축 주위를 회전함에 의해서 그립본체(12)의 회전을 제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지지축과 오일댐퍼의 상대관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지지축을 그립본체에 고정하여 이 지지축이 리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즉, 그립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고, 지지축에 부착되어 이 지지축과의 사이에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오일댐퍼는 상기 지지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리테이너에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여도 정상적인 제동 및 내구성의 향상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동력을 얻는 댐퍼에 대해서는 오일댐퍼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축과 축 주위를 회전하는 제동체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와 같은 자동차의 어시스트 그립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선 바이저나 도어의 제동구조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회전체의 제동구조는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축의 지름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회전체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제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기체에 고정된 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체를 제동하는 회전체의 제동 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기체를 관통한 축 단부는 회전체에 축지지하고, 그 타측 축의 단부는 캡을 매개체로 회전체에 축 설치하여 상기 기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됨과 아울러 축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체와,
    상기 제동체와 상기 회전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회전체의 회전방향의 힘만을 제동체에 전달하도록 제동체와 회전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동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3. 회전체에 고정된 축을 통해서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상기 회전체를 제동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에 걸리는 지름방향의 힘을 받지 않도록 기체를 관통한 축 단부는 회전체에 축지지하고, 그 타측 축의 단부는 캡을 매개체로 회전체에 축 설치하여 상기 기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방으로부터 독립되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부착됨과 아울러 축 주위로의 회전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체와,
    상기 제동체와 상기 기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축의 회전에 따라서 제동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동체와 기체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동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은 상기 제동체와 상기 축과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은 상기 제동체와 상기 축과의 사이에 배치된 점성유체의 점성저항에 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어시스트 그립.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 선 바이저.
KR10-2001-0027705A 2000-06-01 2001-05-21 회전체의 제동구조 KR100407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4893A JP2001343018A (ja) 2000-06-01 2000-06-01 回転体の制動構造
JP2000164893 2000-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479A KR20010109479A (ko) 2001-12-10
KR100407566B1 true KR100407566B1 (ko) 2003-12-01

Family

ID=1866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705A KR100407566B1 (ko) 2000-06-01 2001-05-21 회전체의 제동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343018A (ko)
KR (1) KR100407566B1 (ko)
DE (1) DE20108894U1 (ko)
TW (1) TW539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6774B2 (ja) * 2001-05-22 2011-08-2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US7103939B2 (en) * 2003-11-03 2006-09-12 Illinois Tool Works Inc Pin-less damper assembly for an assist grip handle
DE102005024168B4 (de) * 2005-05-23 2013-05-08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Bremselement für schwenkbare Teile in einem Fahrzeuginnenraum
KR100737543B1 (ko) * 2005-12-09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선바이저 회전축의 윤활유 순환 구조
DE102008048320A1 (de) 2008-09-22 2010-04-01 Ejot Gmbh & Co. Kg Drehbewegungsdämpfer
JP6574819B2 (ja) * 2017-08-28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108894U1 (de) 2001-10-18
TW539634B (en) 2003-07-01
JP2001343018A (ja) 2001-12-14
KR20010109479A (ko) 200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681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EP1227263B1 (en) Rotary damper and assist grip device
JP2003506256A (ja)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US6045267A (en) Mounting for rotational speed sensor for wheel bearing for automobiles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US7240398B2 (en) Opening and closing damping apparatus
US5312302A (en) Auto-tensioner
JP4473419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2008080991A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JP4418581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2638602B2 (ja) 防振装置
KR100368337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100493803B1 (ko) 회전댐퍼
JP2003028028A (ja) 燃料デリバリパイプ
JP2568804Y2 (ja) 回転ダンパ
JP2000006822A (ja) ステアリングギヤボックス構造
US5037358A (en) Belt or chain tensioner for power transmitting system
JP3689874B2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
JP2024052124A (ja) 筆記具
JP2602627Y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0347111Y1 (ko) 마찰힌지장치
JPH0712559Y2 (ja) 車両用ロックシリンダ錠の取付構造
KR860000937Y1 (ko) 자동차 주행 속도계의 가요성축(Flexible Shaft) 진동방지구
JPH0276956A (ja) テンショ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