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424B1 -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424B1
KR100446424B1 KR10-2001-0036692A KR20010036692A KR100446424B1 KR 100446424 B1 KR100446424 B1 KR 100446424B1 KR 20010036692 A KR20010036692 A KR 20010036692A KR 100446424 B1 KR100446424 B1 KR 10044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or
output shaft
cap
assis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833A (ko
Inventor
진보나오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0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having an inertia member, e.g. ring
    • F16F15/173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having an inertia member, e.g. ring provided within a closed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4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e.g. assembling or testing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5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Abstract

(과제) 점성유체를 작업효율 좋게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조립작업 중에 점성유체가 새는 일이 없는 회전댐퍼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바닥부(12)에 구멍(12a)이 형성되고 천정이 개구된 하우징(11)과; 플랜지(22)가 형성되며,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는 출력축(21)과; 바닥부(12)와 플랜지(22)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O링(51)과; 하우징(11)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플랜지(22)에 맞닿는 상태까지 출력축(21)이 삽입되며, 외주면이 하우징(11)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구멍(12a)과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21a)이 형성된 회전자 본체(31)와; 하우징(11)의 천정을 폐색함과 아울러 출력축(21)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캡(41)과; 캡(41)과 출력축(21)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O링(52)과; 하우징(11), 출력축(21), 회전자 본체(31), O링(51), 캡(41) 및 O링(52)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 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53)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자 본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Rotary damper and Assist grip device}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하우징 또는 회전자의 회전을 점성유체의 점성저항에 의해서 제동하는 회전댐퍼 및 이 회전댐퍼를 사용한 어시스트 그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회전댐퍼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X-X선 횡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하우징을 나타내며, 원형의 바닥부(2)와 이 바닥부(2)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이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둘레벽(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2)에는 그 중심에 후술하는 축부(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구멍(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축지지구멍(2a)에 연속한 환형상의 수용오목부(2b)가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둘레벽(3)에는 그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돌조(3a)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스토퍼(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4는 캡을 겸용하는 회전자를 나타내며, 관통구멍(5a)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둘레벽(3)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날개(5b)가 형성된 축부(5)와; 이 축부(5)의 일단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그 외측 둘레를 따라서 수용오목부(6a)가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 단면에 반지름방향으로 돌기(6b)가 형성된 플랜지(6)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6)는 하우징(1)의 천정을 폐색하는 캡으로서 기능한다.
도면부호 7은 O링을 나타내며, 수용오목부(2b)에 수용되어 바닥부(2)와 축부(5)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8은 O링을 나타내며, 수용오목부(6a)에 수용되어 둘레벽(3)과 플랜지(6)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9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를 나타내며, 하우징(1), 회전자(4)및 O링(7,8)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에 충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댐퍼는, 하우징(1)과 회전자(4)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면, 둘레벽(3)과 날개(5b)와의 간격을 통과하는 점성유체(9)의 점성저항에 의해서 하우징(1)과 회전자(4)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것이 제동된다.
또한, 이러한 회전댐퍼로서는, 예를 들면 서독 특허공개공보 제35132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회전댐퍼는, 바닥부(2)에 축지지구멍(2a)이 형성되고 또한 회전자(4)가 캡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점성유체(9)의 주입이 매우 곤란하여 조립작업의 효율이 좋지 못하고, 또한 조립작업 중에 점성유체(9)가 새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점성유체를 작업효율좋게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고, 조립작업 중에 점성유체가 새는 일 없는 회전댐퍼 및 이 회전댐퍼를 사용한 어시스트 그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의 우측 절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우징에 출력축 및 O링을 부착하고서 하우징 내에 점성유체를 주입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회전댐퍼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X-X선 횡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회전댐퍼 11 - 하우징
12 - 바닥부 12a - 구멍
12b - 수용오목부 13 - 둘레벽
13a - 돌조 13b - 환형상 벽부
21 - 출력축 21a - 관통구멍
22 - 플랜지 23 - 걸어맞춤돌조
24 - 걸어맞춤돌기 31 - 회전자 본체
32 - 걸어맞춤오목홈 33 - 홈
41 - 캡 42 - 축지지구멍
43 - 수용오목부 44 - 끼워맞춤홈
51,52 - O링 53 - 점성유체
A - 어시스트 그립 장치 61A,61B - 브래킷
62 - 부착부 62a - 부착구멍
63 - 지지편 63a - 축지지구멍
63b - 홈 71 - 비틀림 스프링
81 - 어시스트 그립 82 - 관통구멍
83 - 끼워맞춤구멍 91 - 지지축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는, 바닥부가 폐색되고 천정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천정을 폐색함과 아울러 돌출되는 상기 회전자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하우징, 회전자, 캡 및 밀봉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 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상기 회전자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자 본체로 구성한 것이다.또, 다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는, 바닥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천정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구멍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1 밀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천정을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자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2 밀봉부재와; 하우징, 회전자, 제 1 밀봉부재, 캡 및 제 2 밀봉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 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 또는 상기 회전자의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 회전자를 상기 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자 본체로 구성하고, 일측면에 상기 제 1 밀봉부재가 맞닿고 타측면에 상기 회전자 본체가 맞닿는 플랜지를 상기 출력축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출력축과 상기 회전자 본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걸어맞춤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발명은,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어시스트 그립을 탄지수단에 의해서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어시스트 그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을 갖는 회전댐퍼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회동을 제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댐퍼를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상에 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의 우측 절반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전댐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하우징에 출력축 및 O링을 부착하고서 하우징 내에 점성유체를 주입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D는 회전댐퍼를 나타내며, 바닥부(12)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며, 일부가 하우징(11)에서 돌출되는 출력축(21)과; 하우징(11) 내에 삽입되며, 출력축(21)과 함께 회전자를 구성하는 회전자 본체(31)와; 하우징(11)의 천정을 폐색하는 캡(41)과, 하우징(11)과 출력축(21)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1 밀봉부재로서의 O링(51)과; 출력축(21)과 캡(41)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2 밀봉재로서의 O링(52)과; 하우징(11), 회전자{출력축(21) 및 회전자 본체(31)}, 캡(41) 및 O링(51,52)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에 충전되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중심에 원형 구멍(1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구멍(12a)에 내측으로 연속한 원환형상(圓環形狀)의 수용오목부(12b)가 형성된 원형의 바닥부(12)와; 이 바닥부(12)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이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돌조(13a)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둘레벽(1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둘레벽(13)의 선단(상단)은 그 내주면을 따라서 둘레벽(13)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환형상 벽부(13b)로 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21)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중심에 상기 구멍(12a)의 지름과 같은 지름으로 된 관통구멍(21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21)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O링(51)의 변형된 두께를 고려한 높이에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22)의 상측의 외주면에 그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로 연장된 걸어맞춤돌조(23)가 각각 형성되고, 상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걸어맞춤돌기(24)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 본체(31)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원통형상의 것으로서, 그 내주면에 상기 걸어맞춤돌조(23)가 끼워맞춰지는 걸어맞춤오목홈(32)이 그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하단에서 상단 측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로서의 홈(33)이 그 둘레방향으로 90도 간격을 두고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캡(41)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출력축(21)의 상단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구멍(42)이 형성되고, 이 축지지구멍(42)에 내측으로 연속한 후술하는 원환형상의 O링(52)가 수용되는 수용오목부(43)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내측면에 상기 환형상 벽부(13b)가 끼워맞춰지는 원환형상의 끼워맞춤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41)의 외경은 둘레벽(13)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축지지구멍(42)은 출력축(21)의 상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그 하단측이 하측으로 넓어지도록 모따기되어 있다.
또한, 환형상 벽부(13b)와 끼워맞춤홈(44)을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환형상 벽부(13b)와 끼워맞춤홈(44)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모따기되어 있다.
계속해서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출력축(21)의 플랜지(22) 측을 O링(51) 내에 압입하여 O링(51)을 출력축(21)의 하단에 부착한다.
그리고, 출력축(21)을 O링(51)이 부착된 하단 측부터 하우징(11)내에 삽입하여 수용오목부(12b) 내에 O링(51)을 위치시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12a)과 관통구멍(21a)은 연이어 통한 상태가 되고, 하우징(11)과 출력축(21)과의 사이는 O링(51)에 의해서 밀봉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1)(충전부) 내로 소정량의 점성유체(53)를 주입한다.
그리고, 출력축(21)에 회전자 본체(31)를 끼워맞추기 위해서, 각 걸어맞춤오목홈(32)을 걸어맞춤돌조(23)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회전자 본체(31)를 하우징(11)내로 압입하면, 걸어맞춤오목홈(32)에 걸어맞춤돌조(23)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자 본체(31)를 플랜지(22)에 맞닿는 상태까지 하우징(11) 내로 압입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자 본체(31)를 출력축(21)에 끼워맞출 수 있다.
그리고, O링(52)을 출력축(21)의 상단에 압입하여 회전자 본체(31)의 상단에 O링(52)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축지지구멍(42)에 출력축(21)을 끼우면서 캡(21)으로 하우징(11)의 천정을 폐색하면, 수용오목부(43) 내로 O링(52)이 삽입되어 출력축(21)과 캡(41)과의 사이가 O링(52)에 의해서 밀봉됨과 동시에 끼워맞춤홈(44) 내로 환형상 벽부(13b)가 삽입됨으로써 끼워맞춤홈(44)의 내주면과 환형상 벽부(13b)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환형상 벽부(13b)와 캡(41)을, 예를 들면 초음파 용접에 의해서 용착함으로써 환형상 벽부(13b)와 캡(41)과의 사이가 밀봉되며, 도 1에 나타낸 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회전댐퍼(D)에 의하면, 하우징(11)의 바닥부(12)에 형성된 구멍(12a)을 O링(51)을 개재한 출력축(21)(회전자)으로 폐색한 상태에서 하우징(11) 내로 점성유체(53)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성유체(53)를 작업효율좋게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점성유체(53)를 주입한 후에는 출력축(21)에 회전자 본체(31)를 끼워맞추도록 하였기 때문에, 점성유체(53)가 새지 않도록 작업성 좋게 조립할 수 있으며,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D)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회전자 본체(31)의 외주면에 홈(33)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즉 이 홈(33)을 공기저류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부에 공기가 혼입된 경우에도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D)로 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돌조(23)와 걸어맞춤오목홈(3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출력축(21)과 회전자 본체(31)를 일체적으로 회전시켰기 때문에,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 장치의 일부를 생략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도면부호 A는 어시스트 그립 장치를 나타내며, 어시스트 그립(81)을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61A,61B)과, 어시스트 그립(81)의 회동을 제동하는 회전댐퍼(D)와, 어시스트 그립(81)을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스프링(71)과, 양단이 브래킷(61A,61B)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어시스트 그립(81)과, 브래킷(61A,61B)에 회전댐퍼(D), 비틀림 스프링(71) 및 어시스트 그립(81)을 부착하는 지지축(9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61A,61B)은 부착구멍(62a)이 형성된 부착부(62)와, 지지축(91)을 지지하는 축지지구멍(6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6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1쌍의 지지편(6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지지편(63.63)간의 간격은 회전댐퍼(D)의 높이(도 1에 나타낸 H)와 거의 같게 되어 있으며, 또 브래킷(61A)의 일측 지지편(63)의 내측에는 회전댐퍼(D)의 걸어맞춤돌기(24)가 끼워맞춰지는 홈(63b)이 축지지구멍(63a)을 통과하는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어시스트 그립(81)의 브래킷(61A,61B)을 덮는 단부에는 지지축(91)이 관통되는 관통구멍(82)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61A)을 덮는 어시시트 그립(81)의 단부에는 회전댐퍼(D)의 돌조(13a)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구멍(또는 끼워맞춤오목부)(83)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어시스트 그립(81)을 부착하는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부착나사 및 부착구멍(62a)을 이용하여 각 브래킷(61A,61B)을 도시하지 않은 피부착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걸어맞춤돌기(24)를 홈(63b)에 끼워맞추면서 회전댐퍼(D)를 브래킷(61A)의 1쌍의 지지편(63,63)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이후 어시스트 그립을 부착할 때에 돌조(13a)가 끼워맞춤구멍(83)에 끼워맞춰질 수 있도록 미리 하우징(11)을 회동시켜 위치시킨다.
그리고, 끼워맞춤구멍(83)에 돌조(13a)를 끼워맞추면서 각 브래킷(61A,61B)을 어시스트 그립(81)의 단부로 덮고, 관통구멍(82), 축지지구멍(63a), 구멍(12a), 관통구멍(21a), 축지지구멍(63a) 및 관통구멍(82)으로 지지축(91)을 끼워서 어시스트 그립(81)의 일단측을 브래킷(61A)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한다. 또, 관통구멍(82), 축지지구멍(63a), 비틀림 스프링(71), 축지지구멍(63a) 및 관통구멍(82)으로 지지축(91)을 끼워서 어시스트 그립(81)의 타단측을 브래킷(61B)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71)은 어시스트 그립(81)을 복귀위치로, 예를 들면 상측의 소정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지하는 상태로 설치한다.
계속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된 어시스트 그립(81)을 사용하기 위해서, 비틀림 스프링(71)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어시스트 그립(81)을 잡아당겨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끼워맞춤구멍(83)에 끼워맞춰져 있는 돌조(13a)를 통해서 하우징(11)이 회동되나, 홈(63b)에 끼워맞춰져 있는 걸어맞춤돌기(24)에 의해서 출력축(21)의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어시스트 그립(81)의 회동이 제동된다.
그리고, 사용후에 어시스트 그립(81)을 복귀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손을 떼면, 어시스트 그립(81)은 비틀림 스프링(71)의 탄지력에 의해서 복귀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어시스트 그립(81)이 비틀림 스프링(71)의 탄지력에 의해서 복귀위치로 복귀할 때에도 어시스트 그립(81)의 회동이 제동된다.
본 발명에 관한 어시스트 그립 장치(A)에 의하면, 회전댐퍼(D)를 지지축(91) 상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어시스트 그립(81)을 축지지하는 부분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1)의 바닥부(12)에 구멍(12a)을 형성하고 출력축(21)에 관통구멍(21a)을 형성하였으나, 구멍(12a) 및 관통구멍(21a)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출력축(21)에 걸어맞춤돌기(24)를 형성하였으나, 이 걸어맞춤돌기(24)대신에, 출력축(21)(회전자)과 지지축(91)에 이것들을 일체적으로 회전/회동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을 형성하여 출력축(21)을 캡(41)에서 돌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둘레벽(13)에 걸림수단으로서의 돌조(13a)를 형성하고, 이 돌조(13a)를 어시스트 그립(81)의 끼워맞춤구멍(83)에 걸어맞추도록 하였으나, 이 돌기(13a) 및 끼워맞춤구멍(83) 대신에, 둘레벽(13)의 외형형상을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여 어시스트 그립(81)과 일체적으로 회동시키는 걸림수단을 겸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회전자 본체(31)의 외주면에 공기저류부로서 기능하는 홈(33)을 4개 형성하였으나, 적어도 1개만 형성하여도 되고, 또 충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1)의 부분에 상기 기능을 가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자를 출력축(21)과 회전자 본체(31)로 분할하였으나, 양자를 1개의 부품으로 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출력축(21)과 회전자 본체(31)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을 걸어맞춤돌조(23)와 걸어맞춤오목홈(32)으로 구성하였으나, 다른 걸어맞춤수단, 예를 들면 출력축을 D커트 또는 I커트로 하고, 회전자 본체의 구멍 형상을 출력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하우징(11)에 구멍(12a)을 형성함과 아울러 출력축(21)에 관통구멍(21a)을 형성하고, 지지축(91)을 구멍(12a) 및 관통구멍(21a)에 끼워서 회전댐퍼(D)를 지지축(91) 상에 설치하였으나, 회전댐퍼(D)를 지지축(91)의 연장선상에 설치하여 지지축으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회전댐퍼(D)를 지지축(91)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고, 어시스트 그립(81)과 함께 회동하는 지지축(91)을 기어를 개재한 전달기구에 의해서 출력축(21)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어시스트 그립(81)의 회전을 제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댐퍼에 의하면, 하우징 내에 회전자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하우징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을 제 1 밀봉부재를 개재한 회전자로 폐색한 상태에서 점성유체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성유체가 새는 일이 없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부분 또는 회전자의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즉 이 오목부를 공기저류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부에 공기가 혼입된 경우에도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로 할 수 있다.
또, 회전자를 출력축과 회전자 본체로 분할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바닥부에 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도 이 구멍을 제 1 밀봉부재를 개재한 출력축으로 폐색한 상태에서 점성유체를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점성유체를 작업효율좋게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점성유체가 새는 일이 없도록 조립할 수 있으며, 토크의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축에 플랜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랜지에 의해서 하우징과 출력축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한 상태에서 점성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 출력축과 회전자 본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토크의 변동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회전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시스트 그립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회전댐퍼로 어시스트 그립의 회동을 제동하기 때문에, 확실한 제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회전댐퍼를 지지축 상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어시스트 그립을 축지지하는 부분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바닥부가 폐색되고 천정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의 천정을 폐색함과 아울러 돌출되는 상기 회전자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하우징, 상기 회전자, 상기 캡 및 상기 밀봉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 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자 본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바닥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천정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상기 구멍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1 밀봉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천정을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자의 일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캡과,
    상기 캡과 상기 회전자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 2 밀봉부재와,
    상기 하우징, 상기 회전자, 상기 제 1 밀봉부재, 상기 캡 및 상기 제 2 밀봉부재에 의해서 형성되는 충전부 내에 충전되는 점성유체를 구비하는 회전댐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부분 또는 상기 회전자의 부분에 적어도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자 본체로 구성하고,
    일측면에 상기 제 1 밀봉부재가 맞닿고 타측면에 상기 회전자 본체가 맞닿는 플랜지를 상기 출력축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상기 회전자 본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7.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된 어시스트 그립을 탄지수단에 의해서 복귀위치로 탄지하는 어시스트 그립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전댐퍼로 상기 어시스트 그립의 회동을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그립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댐퍼는 상기 어시스트 그립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그립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과 상기 회전자 본체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10-2001-0036692A 2000-07-05 2001-06-26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KR100446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03322 2000-07-05
JP2000203322A JP2002021902A (ja) 2000-07-05 2000-07-05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33A KR20020004833A (ko) 2002-01-16
KR100446424B1 true KR100446424B1 (ko) 2004-09-01

Family

ID=1870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692A KR100446424B1 (ko) 2000-07-05 2001-06-26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21902A (ko)
KR (1) KR100446424B1 (ko)
TW (1) TW4877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2155T3 (es) * 1999-08-05 2008-03-01 Nifco Inc. Amortiguador rotacional cilindrico de aceite.
JP5001583B2 (ja) * 2006-06-01 2012-08-15 株式会社ニフコ 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5481120B2 (ja) * 2009-07-22 2014-04-23 豊和化成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CN102770594B (zh) * 2010-02-24 2015-03-25 株式会社东芝 减震器、洗涤机以及洗涤干燥机
JP5931356B2 (ja) * 2011-06-21 2016-06-08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922446B2 (ja) * 2012-03-08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
JP6262488B2 (ja) * 2013-10-10 2018-01-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ダンパーおよびそれを備えるハンドル装置
CN111993974A (zh) * 2020-08-11 2020-11-27 胡书文 一种自适应吸收惯性力的非牛顿流体斥力回位多人把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873A (ko) * 1999-08-09 2001-06-1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632A (ja) * 1990-05-24 1992-01-31 Fuji Seiki Co Ltd ロータリーダンパ
JPH062727A (ja) * 1992-06-17 1994-01-11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JPH0725348U (ja) * 1993-10-19 1995-05-12 株式会社ニフコ 回転式ダンパー
JP2568160Y2 (ja) * 1993-12-08 1998-04-08 株式会社渡辺製作所 回転ダンパー
JP3304188B2 (ja) * 1994-02-23 2002-07-22 株式会社ニフコ 一方向回転ダンパー
JPH07317820A (ja) * 1994-05-24 1995-12-08 Nifco Inc ロータリーダンパー
DE19655100B4 (de) * 1996-07-19 2007-12-20 Kendrion Rsl Gmbh & Co. Kg Dämpfungseinrichtung für einen Haltegriff in einem Kraftfahrzeug
JP3582376B2 (ja) * 1998-10-06 2004-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873A (ko) * 1999-08-09 2001-06-1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833A (ko) 2002-01-16
TW487789B (en) 2002-05-21
JP2002021902A (ja) 2002-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965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JP4602620B2 (ja) オイル式筒形回転ダンパ
KR100446424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US6095922A (en) Rotation damper
KR20020013391A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및 이 회전체의 제동구조를 구비한어시스트 그립
KR930024551A (ko) 회전 댐퍼
KR20140041411A (ko) 댐퍼장치
JP4473419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KR960038175A (ko) 변속회전댐퍼
KR100472063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KR0151508B1 (ko) 회전댐퍼
KR20030035857A (ko) 회전댐퍼
KR20010049873A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KR100368336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JPH09144795A (ja) 回転ダンパ
KR100493803B1 (ko) 회전댐퍼
JP4523737B2 (ja) ダンパ装置
KR0158134B1 (ko) 오일 케이스의 누유방지구조
JPH0442590Y2 (ko)
JP4474666B2 (ja) トルク調整機能付き回転ダンパ
JP2827030B2 (ja) テンショナー
FR2501165A1 (fr) Bouchon de reservoir de combustible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050027013A (ko) 회전댐퍼
FR3106383A1 (fr) boîtier de transmission et son procédé de montage, et engin automoteur équipé d’un tel boîtier d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