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803B1 - 회전댐퍼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803B1
KR100493803B1 KR10-2002-0014686A KR20020014686A KR100493803B1 KR 100493803 B1 KR100493803 B1 KR 100493803B1 KR 20020014686 A KR20020014686 A KR 20020014686A KR 100493803 B1 KR100493803 B1 KR 10049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ry damper
rotating shaft
attachm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914A (ko
Inventor
고이즈미가즈요시
하야시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8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부착나사 및 부착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피부착부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피부착부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회전댐퍼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회전축(22)과 플랜지부(25)로 이루어지는 회전자(21)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25)가 하우징(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회전축(22)이 하우징(11)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댐퍼(D)에 있어서, 하우징(11)에서 회전축(22)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며, 오목부 형성부(72)의 걸림면(72b)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편(13)을 형성함과 아울러, 걸어맞춤편(13)과는 독립되게 하우징(11)에서 돌출되며, 이 걸어맞춤편(13)과의 사이에 오목부 형성부(72)를 끼워서 지지하는 돌출부(14,15)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회전댐퍼{ROTARY DAMPER}
본 발명은 래크 혹은 기어와 맞물리는 피구동기어의 회전을 제동하는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댐퍼는, 부착구멍을 가지는 부착편을 하우징에 형성하고, 이 부착구멍에 끼워지는 부착나사를 피부착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피부착부에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댐퍼는 부착나사를 이용하여 피부착부에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착부에 회전댐퍼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부착나사가 필요함과 아울러 드라이버 등의 부착공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착나사 및 부착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피부착부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피부착부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과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자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가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회전축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며, 피부착부의 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편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편과는 독립되게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어맞춤편과의 사이에 상기 피부착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편의 양측에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축이 돌출된 상기 하우징의 면의 외주연에 상기 회전축이 돌출되지 않은 상기 하우징의 면측으로 넓어지는 가이드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돌출부를 그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걸어맞춤편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각 부품의 우측 반분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우측면도는 좌측면도와 같다.
도면에 있어서, 회전댐퍼(D)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회전축(22)이 하우징(11)에서 돌출되는 회전자(21)와; 하우징(11) 내에 수용되며, 회전자(21)가 하우징(11) 내에서 회전할 때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유체(31)와; 하우징(11)과 회전자(21)의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서의 O링(41)과; 회전축(22)에 부착되는 피구동기어(5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1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 본체(12)와, 이 하우징 본체(12)의 수용 오목부(12b)를 막도록 장착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캡(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12)에는 원환형상의 외주벽(12a)으로 둘러싸인 원형의 수용 오목부(12b)와; 이 수용 오목부(12b)의 중심에 위치하며, 회전자(21)의 회전축(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원주형상의 보스(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2)의 외측에는, 하우징 본체(12)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보스(12c)의 돌출방향{회전축(22)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고 다시 하우징 본체(12c)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후술하는 피부착부로서의 오목부 형성부(72)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13,13)과; 이 걸어맞춤편(13, 13)과는 독립되게 하우징 본체(12)에 있어서의 걸어맞춤편(13,13)의 양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어맞춤편(13)과의 사이에 오목부 형성부(72)를 끼워서 지지하는 돌출부(14,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편(13)의 선단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면(13a)으로 되어 있다.
또, 캡(16)은 하우징 본체(12)와 같은 외경을 가지며, 이 캡(16)에는, 하우징 본체(12)의 외주벽(12a)이 끼워맞춰지는 원환형상의 오목부(16a)와; 이 오목부 (16a)의 중심에 위치하며, 회전축(22)이 돌출되는 원형의 축지지구멍(16b)과; 이 축지지구멍(16b)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가지고서 상기 오목부(16a)와 같은 측으로 개방되며, O링(41)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16)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22)이 돌출되는 면(面)의 외주연이 하우징 본체(12)측{하우징(11) 전체로서 생각하면, 상기 회전축(22)이 돌출되지 않은 하우징(11)의 면측}으로 넓어지는 가이드면(16d)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자(21)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의 하단 외측둘레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2)은 플랜지부(25)가 외측둘레에 연이어 형성된 대경부(23)와; 이 대경부(23)에 이것과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연이어 형성되며, 단면이 I커트형상을 이루는 소경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경부(23)에는 하우징 본체(12)의 보스(12c)가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원주형상의 오목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대경부(23)에 있어서의 캡(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그 단면이 I커트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소경부(24)의 선단에는 I커트면 측으로 약간 돌출되는 걸어맞춤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피구동기어(51)에는 상기 회전자(21)의 대경부(23)와 소경부(24)가 끼워맞춰지는 I커트형상의 구멍(52)과; 이 구멍(52)에 삽입된 소경부(24)의 걸어맞춤부(24a)가 걸어맞춰지는 걸림부(53)와; 이 구멍(52)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가지며, 캡(16)의 일부를 맞붙지 않게 수용하는 오목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회전댐퍼(D)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 본체(12)의 수용 오목부(12b) 내로 소정량의 점성유체(31)를 주입한다.
이어서, 회전자(21)의 오목부(23a) 내로 하우징 본체(12)의 보스(12c)를 끼워맞추면서 플랜지부(25)를 수용 오목부(12b)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회전축(22)에 O링(41)을 끼운다. 이 때, O링(41)이 플랜지부(25)와 맞닿도록 한다.
이어서, 캡(16)의 축지지구멍(16b)으로 회전축(22)을 끼워 통과시키면서 오목부(16a) 내에 외주벽(12a)을 끼워맞춘다. 이와 같이 하면, O링(41)이 수용 오목부(16c) 내로 수용되면서 회전축(22)에 압접되기 때문에, 캡(16)과 회전축(22)의 사이가 O링(41)에 의해서 밀봉된다. 따라서, 점성유체(31)가 새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12)에 캡(16)을 부착한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12)의 외주벽(12a)과 캡(16)의 오목부(16a)의 부분을 용착하여 밀봉한다.
그리고, 캡(16)에서 돌출된 회전축(22)의 부분을 피구동기어(51)의 구멍(52)에 끼워맞추면서 걸림부(53)에 걸어맞춤부(24a)를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축(22)에 피구동기어(51)가 부착됨으로써, 회전댐퍼(D)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 화장 패널(71)에는 소형물을 넣어두는 도어 포켓부(81)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피부착부로서의 오목부 형성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 형성부(72)의 측면에는 회전댐퍼(D)의 하우징(11){즉, 하우징 본체(12)와 캡(16)}이 끼워맞춰지는 원형의 부착구멍(73)과; 이 부착구멍(73)의 내주연에서 직경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되며, 폭은 걸어맞춤편(13)과 같고 길이는 걸어맞춤편(13)보다도 짧은 장방형상의 걸림구멍(74,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 형성부(72)의 두께는 걸어맞춤편(13)과 돌출부(14,15)간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도어 포켓부(81)는 오목부 형성부(72)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측면에 상기 오목부 형성부(72)에 부착된 회전댐퍼(D)의 피구동기어(51)와 맞물리는 원호형상의 래크(82)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회전댐퍼(D)의 부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 형성부(72)의 부착구멍(73)에 캡(16)을 대응시킴과 아울러 걸림구멍(74,74)에 걸어맞춤편(13,13)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회전댐퍼(D)를 압압하면, 걸어맞춤편(13)에 가이드면(1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이드면(13a)에 의해서 걸어맞춤편(13)이 내측으로 휘어져 좁혀짐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편(13)을 걸림구멍(74)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캡(16)에 가이드면(16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가이드면(16d)에 의해서 캡(16)이 안내됨으로써, 캡(16)을 부착구멍(73) 내로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회전댐퍼(D)를 더 압압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4,15)는 오목부 형성부(72)의 맞닿음면(외측면)(72a)에 맞닿고, 걸어맞춤편(13)은 그 선단이 오목부 형성부(72) 내로 돌출됨과 동시에 자신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오목부 형성부(72)의 걸림면(내측면)(72b)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돌출부(14,15)가 오목부 형성부(72)의 맞닿음면(72a)에 맞닿음과 아울러 걸어맞춤편(13)이 오목부 형성부(72)의 걸림면(72b)에 걸어맞춰지면, 걸어맞춤편(13)과 돌출부(14,15)와의 사이에 오목부 형성부(72)가 끼워져 지지(유지)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회전댐퍼(D)의 부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회전댐퍼(D)를 오목부 형성부(72)에 부착하면, 피구동기어(51)와 래크(82)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계속해서, 회전댐퍼(D)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댐퍼(D)를 오목부 형성부(72)에 부착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항시 개방방향으로 탄지되는 폐쇄상태의 도어 포켓(81)을 도시하지 않은 로크기구를 해제하여 개방시키면, 피구동기어(51)와 래크(82)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전댐퍼(D)에 의해서 도어 포켓(81)의 개방동작이 제동됨으로써 도어 포켓(81)이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 본체(12)에 형성된 걸어맞춤편(13)과 돌출부(14,15)에 의해서 오목부 형성부(72)를 끼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부착나사 및 부착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터치로 회전댐퍼(D)를 오목부 형성부(72)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13)의 양측에 돌출부(14,15)를 독립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오목부 형성부(72)에 대해서 3점에서 지지하게 됨으로써 회전댐퍼(D)를 요동되지 않게 오목부 형성부(72)에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오목부 형성부(72)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걸어맞춤편(13)에 그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댐퍼(D)가 오목부 형성부(72)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 캡(16){하우징(11)}에 가이드면(16d)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캡(16)을 부착구멍(73)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4,15)는 그 선단측으로 갈수록 걸어맞춤편(13)에 근접하도록, 즉 걸어맞춤편(13)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4,15)를 경사지게 하면, 오목부 형성부(72)의 두께에 변동이 있다 하더라도, 이 오목부 형성부(72)의 두께의 변동을 걸어맞춤편(13)과 돌출부(14,15)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댐퍼(D)를 오목부 형성부(72)에 요동되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편(13)을 하우징 본체(12)에 형성하였으나, 걸어맞춤편을 캡(16)에 형성하여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4)와 돌출부(15)의 형상을 다르게 하였으나,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 자동차의 도어 포켓부(81)에 회전댐퍼(D)를 적용시킨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자동차의 컵 홀더, 프린터의 급지부, 음향기기의 도어부분 등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형성한 걸어맞춤편과 돌출편에 의해서 피부착부를 끼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부착나사 및 부착공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터치로 회전댐퍼를 피부착부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의 양측에 돌출부를 독립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피부착부에 대해서 3점에서 지지하게 됨으로써 회전댐퍼를 요동되지 않게 피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착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걸어맞춤편에 그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회전댐퍼가 피부착부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 하우징에 가이드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을 부착구멍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그 선단측으로 갈수록 걸어맞춤편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하였기 때문에, 피부착부의 두께에 변동이 있다 하더라도, 이 피부착부의 두께의 변동을 걸어맞춤편과 돌출부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댐퍼를 피부착부에 요동되지 않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분해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배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각 부품을 조립한 회전댐퍼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댐퍼의 피부착부에 대한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회전댐퍼 11 - 하우징
12 - 하우징 본체 12a - 외주벽
12b - 수용 오목부 12c - 보스
13 - 걸어맞춤편 13a - 가이드면
14,15 - 돌출부 16 - 캡
16a - 오목부 16b - 축지지구멍
16c - 수용 오목부 16d - 가이드면
21 - 회전자 22 - 회전축
23 - 대경부(大徑部) 23a - 오목부
24 - 소경부(小徑部) 24a - 걸어맞춤부
25 - 플랜지부 31 - 점성유체
41 - O링(밀봉부재) 51 - 피구동기어
52 - 구멍 53 - 걸림부
54 - 오목부 71 - 도어 화장 패널
72 - 오목부 형성부(피부착부) 72a - 맞닿음면
72b - 걸림면(걸림부) 73 - 부착구멍
74 - 걸림구멍 81 - 도어 포켓부
82 - 래크

Claims (4)

  1. 회전축과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회전자의 상기 플랜지부가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회전축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며, 피부착부의 걸림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편을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편과는 독립되게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되며, 상기 걸어맞춤편과의 사이에 상기 피부착부를 끼워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걸어맞춤편의 양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돌출된 상기 하우징의 면의 외주연에, 상기 회전축이 돌출되지 않은 상기 하우징의 면측으로 넓어지는 가이드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그 선단측으로 갈수록 상기 걸어맞춤편에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10-2002-0014686A 2001-04-27 2002-03-19 회전댐퍼 KR100493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0723 2001-04-27
JP2001130723A JP2002327785A (ja) 2001-04-27 2001-04-27 回転ダン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914A KR20020083914A (ko) 2002-11-04
KR100493803B1 true KR100493803B1 (ko) 2005-06-13

Family

ID=1897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686A KR100493803B1 (ko) 2001-04-27 2002-03-19 회전댐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327785A (ko)
KR (1) KR100493803B1 (ko)
TW (1) TW5057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69845B (en) 2004-07-14 2007-01-01 Nifco Inc Rotary damper
JP6570337B2 (ja) * 2014-07-17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ダン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232A (ja) * 1991-08-23 1993-03-02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303Y2 (ja) * 1992-07-10 1997-03-19 株式会社ニフコ 回転ダンパー装置
JP2873909B2 (ja) * 1994-03-10 1999-03-24 株式会社ニフコ 板の止め具
JPH09308057A (ja) * 1996-05-15 1997-11-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クランプ
JP2996962B1 (ja) * 1998-10-14 2000-01-11 北川工業株式会社 固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232A (ja) * 1991-08-23 1993-03-02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5751B (en) 2002-10-11
KR20020083914A (ko) 2002-11-04
JP2002327785A (ja) 200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2873B1 (en) Oil cylindrical rotational damper
EP1227263B1 (en) Rotary damper and assist grip device
JP2544628B2 (ja) 回転ダンパ−
JP3421484B2 (ja) 回転ダンパー
EP2003364B1 (en) A rotary damper having a unidirectional clutch
JP2002052970A (ja) 回転体の制動構造、及びその回転体の制動構造を備えた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40058060A (ko) 힌지장치
KR20050061091A (ko) 개방형 트레이
JP3087811U (ja) 回転ダンパ
KR100493803B1 (ko) 회전댐퍼
US5582276A (en) Rotation moderator
JP2002021901A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2006523811A (ja) ダンパ
KR100407566B1 (ko) 회전체의 제동구조
KR100472063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장치
KR100534174B1 (ko) 합성수지제 부시
KR100368337B1 (ko) 오일식 원통형 회전댐퍼
JP3103885U (ja) ヒンジ固定装置
JP2003130112A (ja) 回転ダンパ
JPH0752982Y2 (ja) 回転ダンパー装置
KR100457547B1 (ko) 플랜지 타입 파이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힌지장치
JP2002048126A (ja) 連結機構
KR19980070774A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2022044320A (ja) ヒンジ構造および樹脂ワッシャ
JPH04425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