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136A -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1136A
KR20010071136A KR1020007011069A KR20007011069A KR20010071136A KR 20010071136 A KR20010071136 A KR 20010071136A KR 1020007011069 A KR1020007011069 A KR 1020007011069A KR 20007011069 A KR20007011069 A KR 20007011069A KR 20010071136 A KR20010071136 A KR 20010071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memory
display device
processing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650B1 (ko
Inventor
이토타카후미
아카이와쇼이치
Original Assignee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사마 사부로
Publication of KR2001007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0Mixing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an operation, e.g. adding, o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Abstract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라도, 투사형표시장치에 의해서 화상을 투사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투사형표시장치는,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가 있다. 이 투사형표시장치는,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출력하는 메모리 제어장치와,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투사형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휴대형 메모리 내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해야 할 화상을 나타내는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화상처리부와, 표시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광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광학장치와, 화상광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ON DISPLAY}
투사형표시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화상을 투사스크린 위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에 이용되는 일이 많다. 프레젠테이션에서는, 예컨대, 복수의 프레젠테이션 시트(sheet){「슬라이드
(slide)」라고도 한다}가 순차 전환되어져서(페이지 공급)표시된다.
종래의 투사형표시장치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프레젠테이션 시트의 전환을 사용자가 행하고 있었다. 즉, 프레젠테이션 시트의 전환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있어서 키(key) 입력함으로써 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투사형표시장치는,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하는 투사형표시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투사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처리회로(10)의 내부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메모리카드(42)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1)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1)을 이용한 경우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장식화상의 중첩처리를 실행하는 처리프로그램(PR2)의 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2)의 행 번호(L11)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 화상중첩회로(12)(도 8)로부터 출력된 중첩화상데이터(S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화상중첩회로(12)(도 8)부터 출력된 중첩 화상 데이터(SDVl)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다른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투사형표시장치에 의해서 화상을 투사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투사형표시장치로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출력하는 메모리 제어장치와,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 내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해야 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표시화상데이터를 준비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광(畵像光)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화상광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광학계(光學系)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투사형표시장치는, 메모리에 기억된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화상을 투사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처리프로그램에 따라서, 투사형표시장치의 여러가지의 제어를 실행할 수가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 회로의 슬립(sleep)상태나 스탠바이(standby)상태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의 제어는, 전력 공급 회로의 제어를 포함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장치에서는, 전원 공급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투사형표시장치의 슬립상태나 스탠바이상태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을 재생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사람의 회화(會話) 혹은 효과음을 재생할 수가 있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공급 화상데이터와,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 중 한쪽을, 상기 처리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선택 명령에 따라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메모리 내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만이 아니라, 외부의 화상공급장치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급 화상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화상데이터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위에,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식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화상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공급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화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합성명령에 따라서 합성함으로써,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나 외부공급 화상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나는 화상에 장식효과를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하는 처리 프로그램 편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제어장치는, 상기 처리 프로그램 편집부를 이용하여 편집된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록 입력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내의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처리프로그램의 불비한 곳을 고치고 싶은 경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한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 내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해야 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화상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전기광학장치에 화상광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화상광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장치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가지고,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라도,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화상을 투사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 제1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의 투사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투사형표시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나 비디오 레코더 등의 화상공급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2)와, 메모리카드(42)를 장착하기 위한 메모리슬롯(slot)(3)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카드(42)에는, 투사형표시장치(1)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처리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투사형표시장치(1)는, 메모리카드(42)가 장착되면, 메모리카드(42)에 기록된 처리프로그램을 판독출력하고, 처리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여, 스크린(104)에 화상을 투사하여 표시한다.
또한, 처리프로그램 등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메모리카드(42)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 디스크(flexible disk)나, 광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개서 가능한 여러가지의 휴대형 기록매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투사형표시장치는, 화상처리회로(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액정패널(16)과, CPU(20)와, 프레임 메모리(22)와, 리모콘 제어부(30)와, 메모리 제어장치(40)와, 스피커(50)와, 램프(101)를 포함하는 조명광학계(100)와, 투사광학계(10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처리회로(10)와, CPU(20)와, 리모콘 제어부(30)와, 메모리 제어장치(40)는, 버스(20a)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액정패널 구동회로(14)도 버스(20a)에 접속되어 있지만, 도 2에서는 그 접속을 생략하고 있다. 액정패널(16)은, 조명광학계(100)에 의해서 거의 균일하게 조명되어 있고, 액정패널(16)에 형성된 화상광은, 투사광학계(102)에 의해서 스크린(104)위에 투사된다. 또, 도 2에 있어서는, 광학계(100, 102)는 간략화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회로(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CPU(20)와, 프레임 메모리(22)와, 리모콘 제어부(30)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부에 상당한다. 또한, 액정패널(16)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광학장치에 상당한다.
화상처리회로(10)는, CPU(20)으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스크린(104)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3은, 화상처리회로(10)의 내부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화상처리회로(10)는, 영상신호 변환회로(200)와, 셀렉터(210)와,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부(220)와, 메뉴화면 표시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의 접속단자(2)에 화상공급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영상신호 변환회로(200)에는, 접속단자(2)를 거쳐서, 아날로그 화상신호(AV1)가 공급된다. 영상신호 변환회로(200)는, 입력된 아날로그 화상신호(AV1)를 AD변환하여, AD변환된 화상 데이터(ED)(이하,「외부화상 데이터」라고도 한다)를 출력한다. 또, 아날로그 화상신호(AV1)로서는,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출력된 컴퓨터 화면을 나타내는 RGB신호나, 비디오 레코더나 텔레비젼에서 출력된 동화(動畵)를 나타내는 컴포지트(composite) 화상신호등의 화상신호가 공급된다.
셀렉터(210)에는, 영상신호 변환회로(200)로부터 출력된 외부화상 데이터(ED)와, 메모리카드(42)(도 2)부터 버스(20a)를 거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MD)(이하,「메모리화상 데이터」라고도 한다)가 공급된다. 또, 메모리카드(42)에 기록된 메모리화상 데이터(MD)는, CPU(20)의 지령에 의해, 메모리 제어장치(40)에 의해서 판독출력된다. 셀렉터(210)는, CPU(20)으로부터 버스(20a)를 거쳐서 입력되는 셀렉터신호(SEL)에 따라서, 외부화상 데이터(ED)와 메모리화상 데이터(MD)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선택하여, 디지털 화상데이터(SD1)로서 출력한다. 다만, 접속단자(2)에 화상공급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또한 메모리 제어장치(40)에, 메모리 카드(42)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메모리화상 데이터(MD)가 선택된다.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부(220)는, 셀렉터(2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SD1)를,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하거나,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판독출력하기도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부(220)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기록입력처리 및 판독출력처리는,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부(220)내부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프레임 메모리(22)로부터 판독출력된 화상데이터는, 디지털화상 데이터(DV1)로서 출력된다.
메뉴화면 표시제어부(230)는,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메뉴화면 표시데이터(MN
D)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메뉴화면 표시제어부(230)에는, 기록입력·판독출력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가 입력되어 있고, 입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와 메뉴화면 표시데이터(MND)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출력한다. 메뉴화면 표시데이터(MND)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메뉴화면을 이용하는 것에의해,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조건(화질 등)등의 여러가지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뉴화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카드(42)내의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후술한다). 또, 메뉴화면 표시제어부(230)는, 버스(20a)를 거쳐서 CPU(20)에 의해서 제어되어 있다. 이 메뉴화면 표시제어부(230)와 CPU(20)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처리프로그램 편집부에 상당한다.
도 2의 액정패널 구동회로(14)는, 화상처리회로(10)로부터 공급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 또는 메뉴화면 표시데이터(MND)에 따라서, 액정패널(16)을 구동하는데 알맞은 구동신호(DS)를 출력한다. 액정패널(16)은, 입력된 구동신호(DS)에 의거하여, 각 화소를 구동하고, 조명광학계(100)로부터 사출된 조명광을 화소마다 변조한다. 이에 의해, 액정패널(16)을 투과한 광은, 패널면에 화상광을 형성한다. 액정패널(16)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광은, 투사광학계(102)에 의해 스크린(104)을 향하여 투사되며, 스크린(104)위에 화상이 표시된다.
또, 본 실시예의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지령, 예컨대, 상기의 메뉴 화면의 표시 등은, 주로 리모콘(32)을 이용하여 행하여진다. 리모콘 제어부(30)(도 2)는, 리모콘(32)으로부터의 지령을 수취하여, CPU(20)에 지령을 전한다. 또, 리모콘(32)을 대신하여, 혹은, 리모콘(32)과 함께, 투사형표시장치 본체에 버튼 등의 다른 입력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4는, 도 2의 메모리카드(42)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메모리카드(42)내의 각종 데이터는, 미리,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준비된 것이다. 도 4의 메모리카드(42)에는,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1)외에, 화상 데이터(Picture1, Picture2, Picture3,···)나, 음성 데이터(Wave1, Wave2, Wave3,···), 정형(定型)화상 데이터(Pattern1, Pattern2, Pattern3,···)등의 여러가지의 데이터(DD)가 포함되어 있다. 화상데이터(Picture1, Picture2, Picture3,···)로서는, 예컨대, 프레젠테이션 시트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정형화상 데이터로서는, 예컨대, 전면(全面) 검정의「전체」화상이나, 회사의 로고 마크의 화상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음성 데이터(Wavel, Wave2, Wave3,···)로서는, 프레젠테이션의 내용 설명 등을 녹음한 것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데이터(DD)이외의 데이터, 예컨대, 동화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메모리카드(42)내에 기억된 여러 가지의 데이터(DD)중, 화상데이터(Picturel, Picture2, Picture3, ··· )나, 정형화상 데이터(Pattern
l, Pattern2, Pattern3,···)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전술의 메모리 화상 데이터(MD)에 상당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1)의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프로그램(PR1)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텍스트 형식의 스크립트(script) 파일이 이용되고 있다. 또, 도 5의 우측에 나타내어진 부호「L1」등은, 행 번호를 나타내는 편의상의 부호이고, 실제의 스크립트 파일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행 번호(L1)의「Begin」및 행 번호(L15)의「End」는, 각각 처리프로그램(PR1)의 개시와 종료를 의미하고 있고, 실제로는, 행 번호(L1)의「Begin」과 행 번호(L15)의「End」로 둘러싸인 행 번호(L2∼L14)에 관해서 처리가 실행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1)을 이용한 경우의 투사형표시 장치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만, 스텝(S101, S102)의 처리는, 처리 프로그램(PR1)에 따라서 실행되는 처리는 아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처리순서는, 스텝(S101)의 처리 전에, 투사형표시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슬립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 관해서 나타내고 있고, 이 때, 화상은 스크린(104)위에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메모리 제어장치(40)(도 2)에 메모리카드(42)를 장착하면, 스텝(S101)에 있어서, 메모리 제어장치(40)에 메모리카드(42)가 장착된 것이 검출된다. 메모리카드(42)의 검출은, 예컨대, 메모리 제어장치(40)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메카니컬 스위치를 설치하여 놓고, 메모리 카드(42)의 장착에 의해 스위치가「ON」상태가 되도록 하여서 행하면 좋다. 혹은, 메모리 제어 장치(40)내부에 센서를 설치하여 놓고, 메모리카드(42)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면 좋다. 스텝(S101)에 있어서 메모리카드(42)가 검출되면, 스텝(S102)으로 진행한다.
스텝(S102)에서는, CPU(20)(도 2)가, 메모리 카드(42)에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PR1)(도 5)을 도시하지 않은 RAM에 전송하고, 처리프로그램(PR1)의 실행을 개시한다. 이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메모리 제어장치(40)내에 구비된 메모리카드 검출기능은 슬립 상태로 되어있지 않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 처리회로(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액정패널(16)과 램프(101)가 슬립상태로 되어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슬립상태」란, 하드웨어 회로가 통상의 동작 상태로 되어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화상처리회로
(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액정패널(16)과의 슬립상태는, 클럭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조정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클럭신호를 멈춤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또한, 램프(101)의 슬립상태는 전력공급을 중지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또, 하드웨어회로에 의해서는,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슬립상태가 되는 것도 있다. 이외로는, 광원인 램프(101)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상의 휘도를 낮게 하거나, 혹은, 투사형표시장치에 비치된 냉각팬(fan)의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S103)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도 5)의 행 번호(L2)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2)의「Power ON」 커맨드는, 투사형표시장치 전체를 스탠바이 상태로 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슬립상태로 되어있던 각부에 제어신호나 전원 등을 공급함으로써, 통상의 동작상태인 스탠바이 상태로 한다. 투사형표시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되면, 스크린(104)위에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S104)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3)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3)의 「Set Source」커맨드는, 화상처리회로(1O)(도 3)가,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소스(source)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즉, 도 3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회로(10)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화상신호(AV1)에 의거하는 외부화상 데이터(ED)와, 메모리카드(42)로부터 판독 출력된 메모리화상 데이터(MD)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입력 소스로서 설정한다. 행 번호(L3)에서는, 「Set Source」커맨드에 계속하여 메모리카드(42)를 의미하는 「CARD」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카드(42)에 기억된 메모리화상 데이터(MD)가 입력소스로서, 설정된다.
스텝(S105)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도 5)의 행 번호(L4)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4)의「Display」커맨드는, 스텝(S104)에서 설정된 입력소스인 메모리 카드(42)(도 4)내의 메모리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행 번호(L4)에서는, 「Display」커맨드에 계속하여「Picture1」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42)(도 4)내의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1」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CPU(20)에 의해서 메모리카드(42)(도 4)내에서「Picture1」이 판독 출력되고, 화상 처리 회로(10)에 의해서 프레임 메모리(22)내에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1」이 기록입력된다. 이 때, 화상처리회로(10)는 디지털화상 데이터 (DV1)로서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1」을 출력하기 때문에, 스크린(104)위에는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표시되는 것이 된다.
또한, 스텝(S105)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의 행 번호(L5)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5)의「Wait」커맨드는, 그 전의 처리{도 5에 있어서는 행 번호(L4)의 처리}가 실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전의 처리의 유지는, 「msec」단위로 지정되어 있다. 스텝(S1O5)에서는, 행 번호(L4)의 처리에 의해서 실행된 메모리 화상 데이터「Picture1」의 표시를, 행 번호(L5)로 지정된 「10000 msec」동안 유지한다. 이와 같이, 「Wait」 커맨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프레젠테이션 시트를 소정의 시간으로 자동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S106)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6)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6)의「Play」커맨드는, 스텝(S104)(행 번호L3)에서 설정된 입력소스인 메모리카드(42)(도 4)내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행 번호(L6)에서는, 「Play」커맨드에 계속하여「Wave2」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카드(42)(도 4)내의 음성 데이터「Wave2」가 재생된다. 구체적으로는, CPU에 의해서 메모리 카드(42)(도 4)내에서 음성 데이터「Wave2」가 판독출력되고, 스피커(5 0)(도 2)에 의해서 음성 데이터「Wave2」가 재생된다.
다음에, 스텝(S107)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도 5)의 행 번호(L7)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7)에서는, 「Display」커맨드에 계속되어「Picture3」이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S105)(행 번호L4)과 마찬가지로, 스크린(104)위에는, 메모리 카드(42)(도 4)내의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3」이 표시된다.
스텝(S108)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도 5)의 행 번호(L8)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8)의「Pause」커맨드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그 전(前)의 처리{도 5에 있어서는 행 번호(L7)의 처리}가 실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이 때, CPU(2O)는, 처리프로그램(PR1)의 처리를 일시정지한다. 이 일시정지상태는, 사용자가 리모콘(32)(도 2)을 이용하여, 무엇인가 입력을 행하는 것에 따라 해제되며, 해제되면 스텝(S109)으로 진행한다.
스텝(S109)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1)(도 5)의 행 번호(L9)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9)에서는, 「Set Source」커맨드에 계속하여 아날로그 화상신호(AV1)에 의거하는 외부 화상 데이터(ED)를 의미하는 「VIDEO」가 지정되어 있다. 이 때, CPU(20)는, 화상 처리 회로(10)에 공급되는 외부화상 데이터(ED)를 입력 소스로서 설정한다. 즉, 스텝(104)(행 번호L3)에 있어서 설정된 입력소스(「CARD」)를「VIDE
O」로 변경한다. 이 때, 화상처리회로(10)는 프레임 메모리(22)에 외부화상 데이터(ED)를 기록입력하기 때문에, 스크린(104)위에는 외부화상 데이터(ED)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표시되는 것이 된다. 또, 외부화상 데이터로서는, 예컨대,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의해서 촬상(撮像)된 상품샘플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스텝(S110)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l0)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l0)에서는, 「Pause」커맨드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S108) (행 번호L8)과 마찬가지로, 처리프로그램(PR1)의 처리는 일시정지된다. 리모콘(32)등으로부터의 입력이 있으면, 일시정지 상태는 해제되고, 스텝(S111)으로 진행한다.
스텝(S111)에서는, 처리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l1)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11)에서는, 「Set Source」커맨드에 계속하여 메모리카드(42)를 의미하는 「CARD」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처리회로(10)는, 재차 메모리카드(42)로부터 공급되는 메모리 화상 데이터(MD)를 입력소스로서 선택한다.
스텝(S112)에서는, 처리 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12)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12)에서는, 「Display」커맨드에 계속하여「Picture2」가 지정되어있다. 이 때, 상기의 스텝(S105)(행 번호L4)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크린(104)위에는 메모리화상 데이터「Picture2」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스텝(S112)에서는, 처리 프로그램(PR1)의 행 번호(L13)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13)에서는, 「Wait」커맨드에 계속하여「10000 msec」가 지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의 스텝(S105)(행 번호L5)과 마찬가지로 하여, 스크린(104)위에는 메모리 화상 데이터「Picture2」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10000 msec 동안 표시되는 것이 된다.
스텝(S113)에서는, 처리 프로그램(PRl)(도 5)의 행 번호(L14)의 처리가 실행된다. 행 번호(L14)의「Power OFF」커맨드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슬립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회로(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액정패널(16)과 램프(101)와의 기능이 슬립상태로 된다. 슬립상태로 되었을 때, 화상은 스크린(104)위에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내용이 실행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이용되어지고 있는 커맨드(「Power ON」,「Power OFF」, [Set Source」,「Display」,「Play」,「Pause」,「Wait」)이외의, 다른 커맨드를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의 행 번호(L2∼L14)중 전부 혹은 일부의 처리를 되풀이하여 행하는 「Repeat」커맨드를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는「Stop」커맨드나,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하는 「Restart」커맨드 등을 준비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6의 처리에서는, 스텝(S101)의 처리 전에, 투사형표시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슬립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투사형표시장치 전체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도, 도 5와 같은 처리 프로그램(PR1)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투사형표시장치가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에는, 처리프로그램(PR1)의 행 번호(L2)(스텝S103)의 처리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행 번호(2)의 처리를 무시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투사형표시장치는, 처리프로그램에 기술된 명령에 따라서, 하드웨어 회로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드웨어회로의 동작 제어에는, 하드웨어회로에 공급하는 클럭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제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드웨어회로를 슬립상태나 스탠바이 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제어만이 아니라, 입력소스의 전환 등을 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제어도 포함된다. 그 위에, 하드웨어 회로의 동작 제어에는, 하드웨어 회로를 슬립 상태나 스탠바이 상태로 하는 것 같은 전력공급회로의 제어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처리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하드웨어 회로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할 수가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과 같이, 전력 공급의 제어와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제어를 이용하여, 투사형표시장치 내의 하드웨어회로의 슬립 상태 혹은 스탠바이 상태를 실현시키고 있지만, 전력공급회로의 제어만, 혹은, 제어신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제어만에 의해서 슬립 상태나 스탠바이 상태를 실현시키더라도 좋다.
도 7은, 처리 프로그램을 편집하기 위한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도 7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 편집화면(PEM)은, 도 3에 나타내는 메뉴화면 표시 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된 메뉴화면 표시데이터(MND)에 따라서 스크린(104)위에 표시된 화상이다.
처리프로그램 편집화면(PEM)에는, 처리프로그램의 내용을 표시하는 스크립트표시영역(SW1)이 포함되어 있다. 도 7의 스크립트 표시영역(SW1)내에는, 도 5와 같은 처리프로그램(PR1)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처리 프로그램 편집화면(PEM)에는,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가능한 여러가지의 화상(Pa, Pb, Pc···)이 프리뷰(preview)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셀렉터(210)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표시 가능한 화상데이터이다. 따라서, 처리프로그램 편집화면(PEM)에는, 메모리화상 데이터(MD)와 외부화상 데이터(ED)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프리뷰 표시된다. 메모리 화상 데이터(MD)로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메모리카드(42)내에 포함되는 화상데이터(Picturel, Picture2, Picture3,···)와, 정형화상 데이터(Patternl, Pattern2, Pattern3,···)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프리뷰 표시되어 있다. 또한, 외부화상 데이터(ED)로서는, 아날로그 화상신호(AV1) (「VIDEO」)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프리뷰 표시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각 화상(Pa, Pb, Pc, ···)은, 메뉴화면표시 제어부(230)(도 3)와 CPU(20)가 협력하여 각 화상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표시된다.
처리프로그램 편집화면(PEM)에서는, 화면내에 표시되는 여러가지의 화상 (Pa, Pb, Pc,···)을 리모콘(32)을 이용하여 지정하는 것에 의해, 스크립트 표시영역(SW1)에 표시되어 있는 처리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우선, 스크립트 표시영역(SW1)내에 표시된 처리프로그램(PR1)중 편집하고 싶은 행을 리모콘(32)을 이용하여 지정한다. 도 7에서는, 행 번호(L7) (사선부)가 지정된 경우가 나타내어지고 있다. 예컨대, 행 번호(L7)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Picture3」)을, 프리뷰 표시된 화상(Pd)(화상데이터「Picture4」)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리모콘(32)의 도시하지 않은 「변경버튼」을 선택한 후에, 프리뷰 표시된 화상(Pd)을 리모콘(32)으로 지정한다. 이에 의해, 행 번호(L7)의 화상 데이터「Picture3」가 화상 데이터「Picture4」로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처리 프로그램(PR1)내의 표시해야 할 화상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모콘(32)의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처리 프로그램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처리프로그램 편집화면(PEM)에는, 표시 가능한 화상이 프리뷰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편집된 처리 프로그램은, 메모리 제어장치(40)에 의해서 메모리 카드(42)에 기록입력할 수 있고, 편집 후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메모리카드(42)에 기억된 처리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메모리카드(42)에 기억된 메모리화상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컴퓨터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고, 화상을 투사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제2실시예:
도 8은,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투사형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장치에, 화상중첩회로(12)와, 장식화상 메모리(24)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가 추가되어 있다. 또, 추가된 화상중첩회로(12)와 장식화상 메모리(24)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이외의 각부의 기능은, 도 2의 각부의 기능과 거의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회로(10)와, 액정패널 구동회로(14)와, CPU(20)와, 프레임 메모리(22)와, 리모콘 제어부(30)와, 화상중첩회로(12)와, 장식화상 메모리(24)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부에 상당한다.
장식화상 메모리(24)는, 화상처리회로(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중첩하기 위한 장식화상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이다. 여기서, 장식화상 데이터란,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을 장식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지는 화상 데이터이고, 예컨대, 마커(marker)화상이나 손가락질 화상, 링(ring)형상의 화상 등의 여러가지의 화상 데이터가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들의 장식화상 데이터는, 압축되어 장식 화상 메모리(24)에 격납되어 있다. 또한, 장식화상 메모리(24)내의 장식화상 데이터는, 비트맵 형식으로 전개되고,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로서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에 격납된다.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는, 화상중첩회로(12)에 공급되며,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와의 중첩처리에 이용된다. 장식화상 데이터의 전개처리 및 화상중첩회로(12)에의 공급처리는, CPU(20)에 의해서 실행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화상 메모리(24)에 격납된 장식화상 데이터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내에 전개되어 있지만, 장식화상 메모리(24)내에 전개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장식화상 메모리(24)에 격납된 장식화상 데이터는, 압축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다만, 압축하는 경우에는, 장식화상 메모리(24)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화상중첩회로(12)에는, 화상처리회로(10)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화상 데이터
(DV1)와, 장식화상전개 메모리(26)로부터 공급되는 장식화상전개 데이터 (SP)가 입력되어 있다. 화상중첩회로(12)는,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를 중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화상중첩회로(12)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셀렉터를 구비하고 있고, 셀렉터의 전환 동작에 의해서 중첩 처리가 실행된다. 또, 이 셀렉터의 전환 동작은, 버스(20a)를 거쳐서 CPU(20)로부터 공급되는 전환신호에 따라서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내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셀렉터의 전환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을 중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가 중첩된 중첩 화상 데이터(SDV1)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장식화상의 중첩처리를 실행하는 처리프로그램(PR2)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처리프로그램(PR2)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처리 프로그램(PR1)의 행 번호(L9)(Set Source “VIDEO”)를 대신하여, 행 번호(L9∼Ll1)의 처리가 기술되어 있다. 처리프로그램(PR2)의 행 번호(L9∼Ll1)의 처리는, 화상 중첩 회로(12)에 공급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를 중첩시키어 표시하기 위한 처리이다.
처리프로그램(PR2)의 행 번호(L9)에서는, 중첩되는 장식화상 데이터의 소스를 설정하기 위한「Superimpose Source」커맨드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 커맨드에 계속되어, 장식화상 메모리(24)를 의미하는「MEM」이 지정되어 있다. 즉, 장식 화상 메모리(24)가 장식화상의 입력소스로서 설정되어 있다. 행 번호(LlO)에서는, 장식화상의 중첩위치(범위)를 결정하는「Coordinate」커맨드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 커맨드에 계속되어 기술되어 있는 좌표값「400,160,600,200」에 의해 장식 화상의 중첩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좌표값은, 액정 패널의 표시 영역을「800×600」이라고 한 경우의 값이고, 좌표값「400,160,600,200」에 의해서, 중첩범위의 시점인 제 1의 좌표값(400, 160)과 종점인 제 2의 좌표값(600, 200)이 지정된다. 다음 행 번호(L10)에 있어서, 「Display」커맨드에 계속하여 장식화상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이터명「Dec1」이 기술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행 번호(Ll0)로 지정된 중첩위치에, 장식화상 데이터「Dec1」이 중첩되어 스크린(104)위에 중첩화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 행 번호(L11)까지의 처리가 종료하였을 때, 화상 중첩 회로(12)로부터 출력된 중첩화상데이터(S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은, 행 번호(L7)의 화상데이터「Picture3」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에, 장식 화상 데이터「Dec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중첩된 중첩화상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처리 프로그램(PR2)의 행 번호(L11)의 처리가 실행된 후에, 화상중첩회로(12)(도 8)부터 출력된 중첩화상 데이터(S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PR2)의 행 번호(L11)가 실행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행 번호(L7)의 화상 데이터 「Picture3」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에, 장식화상 데이터「Dec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중첩된 중첩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A B C···」의 문서 화상이 화상 데이터「Picture3」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고, 마커화상(도면중, 사선부)이 장식화상 데이터「Dec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식화상은, 도 9의 처리프로그램으로 지정된 위치에 중첩되어 있다. 즉, 행 번호(L10)로 지정된 제1의 좌표값(400, 160)과 제 2의 좌표값(600, 200)으로 결정되는 범위에 장식화상이 중첩되어 있다.
도 11은, 화상중첩회로(12)(도 8)부터 출력된 중첩 화상 데이터(SDVl)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다른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막대 그래프의 화상이 화상중첩회로(12)에 입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에 상당하며, 손가락질 도형의 화상이 장식화상 메모리(24)로부터 공급된 장식화상 데이터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에 상당한다. 또, 도면중, 사선이 첨부되어있는 손가락질 도형의 주변부에서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즉, 장식화상으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형(矩形)의 화상에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의 것을 표시할 수가 있다. 이것은, 사선부를 포함하는 구형의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의 사선부의 화소데이터로서, 소정의 화소 정보를 부여하여 놓는 것에 따라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선부의 특정한 화소 정보로서, 통상 이용할 수 없을 것 같은 화소 데이터{예컨대, 전(全) 비트「O」}나, 플러그(flag) 등을 부여하여 놓고, 그와 같은 화소 정보를 갖는 화소에 관해서는 중첩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임의의 형상을 갖는 장식화상을 중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처리회로(1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에, 장식효과 화상을 중첩할 수 있도록 하면, 프레젠테이션 시트 등을 효과적으로 장식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사형표시장치(1
)가 메모리슬롯(3)을 하나만 구비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모리슬롯은 복수 구비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화상데이터를 투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어느것인가 하나의 메모리에만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놓고, 다른 메모리를 입력소스로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다른 메모리에 기억된 메모리 화상데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사형표시장치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로서는, 아날로그 화상신호(AV1)에 의거하는 외부화상 데이터(ED)만 이지만,기타의 화상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2) 상기 제 1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화상처리회로(10)는, 아날로그 화상신호(AV1)에 의거하는 외부화상 데이터(ED)와, 메모리카드(42)로부터 공급된 메모리화상 데이터(MD)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선택하여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프레임 메모리(22)에 기록입력하는 화상 데이터로서는, 쌍방이 합성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9의 행 번호(L9∼Ll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perimpose」커맨드를 이용하여 중첩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또, 이 경우에는, 화상처리회로(10)에 있어서 중첩처리가 실행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첩화상 데이터(SDV1)는, 화상중첩회로
(12)(도 8)내의 도시하지 않은 셀렉터에 의해서 생성되고 있지만, 셀렉터를 대신하여, 곱셈기와 덧셈기를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곱셈기를 통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DV1)와, 곱셈기를 통한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를, 덧셈기로 합성하도록 하면 좋다. 이 때, 2개의 곱셈기의 계수 중 한쪽을 「1」, 다른 쪽을 「O」으로 함으로써, 셀렉터와 마찬가지의 중첩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곱셈기의 계수를, 예컨대, 쌍방「1/2」로 함으로써, 장식화상전개 데이터(SP)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이, 디지털화상 데이터(DV1)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화상 위에, 반투명으로 중첩되었던 것 같은 중첩화상을 얻을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처리 프로그램(PR1)의 행 번호(L2)에 있어서, 스탠바이 상태로 할 때에 램프(101)(도 2)도 점등시키고 있지만, 램프(101)는 소정의 기간의 경과 후에 점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램프(101)가 점등하였을 때에, 액정 패널(16)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가 아직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가 있다. 혹은, 램프(101)가 점등한 직후에는, 전면 검정의 전체 화상을 초기 화면으로서 강제적으로 표시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전기 광학 장치로서 액정 패널(16)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기 광학 장치로서는, 액정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미러형 광변조 장치나 CR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미러형 광변조 장치로서는, 예컨대, DMD(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TI사의 상표)를 이용할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치환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반대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되어 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치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은, 화상을 투사형 표시 가능한 여러 가지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8)

  1.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투사형표시 장치로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출력하는 메모리 제어장치와,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 내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해야 할 화상을 나타내는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화상처리부와,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광(畵像光)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광학장치와,
    상기 화상광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광학계(光學系)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투사형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의 제어는, 전력공급회로의 제어를 포함하는 투사형표시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표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급 화상데이터와,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 중 한쪽을, 상기 처리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선택명령에 따라서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식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식화상 메모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되는 화상데이터 또는 상기 외부공급화상 데이터와, 상기 장식화상 데이터를, 상기 처리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합성명령에 따라서 합성함으로써,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투사형표시장치.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부는,
    상기 처리프로그램을 편집하는 처리프로그램 편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제어장치는, 상기 처리프로그램 편집부를 이용하여 편집된 처리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록입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투사형표시장치.
  8.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한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표시방법으로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휴대형 메모리로부터 판독출력된 상기 투사형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처리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서, 상기 휴대형 메모리 내에 기억된 복수의 화상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해야 할 화상을 나타내는 표시화상 데이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표시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전기광학장치에 화상광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화상광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KR10-2000-7011069A 1999-03-17 2000-03-16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100418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73799A JP3644295B2 (ja) 1999-03-17 1999-03-17 投写型表示装置
JP11-71737 1999-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136A true KR20010071136A (ko) 2001-07-28
KR100418650B1 KR100418650B1 (ko) 2004-02-11

Family

ID=1346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069A KR100418650B1 (ko) 1999-03-17 2000-03-16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12476B1 (ko)
EP (1) EP1079365B1 (ko)
JP (1) JP3644295B2 (ko)
KR (1) KR100418650B1 (ko)
CN (1) CN1143177C (ko)
TW (1) TW478284B (ko)
WO (1) WO20000558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48B1 (ko) * 2001-11-30 2009-09-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292B2 (en) * 1999-01-06 2004-11-30 Armament Systems And Procedures, Inc. LED flashlight with clip opposite LED
AU2002951208A0 (en) * 2002-09-05 2002-09-19 Digislide International Pty Ltd A portable image projection device
US8035612B2 (en) * 2002-05-28 2011-10-11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Self-contained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US7259747B2 (en) 2001-06-05 2007-08-21 Reactrix Systems, Inc.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US8300042B2 (en) * 2001-06-05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using strobed light
JP3591487B2 (ja) * 2001-06-08 2004-11-17 ソニー株式会社 編集装置、編集方法、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WO2003081567A1 (ja) * 2002-03-27 2005-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における輝度制御方法
US7710391B2 (en) 2002-05-28 2010-05-04 Matthew Bell Processing an image utilizing a spatially varying pattern
US7348963B2 (en) * 2002-05-28 2008-03-25 Reactrix Systems, Inc.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FR2840491B1 (fr) * 2002-05-31 2004-12-03 Thales Sa Dispositif de correction electronique des distorsions optiques d'une visualisation collimatee obtenue a partir d'un afficheur matriciel
AU2002301961A1 (en) * 2002-11-13 2004-06-03 Digislide International Pty Ltd A personal device of the type having a display screen and including a personal projection means
US7576727B2 (en) * 2002-12-13 2009-08-18 Matthew Bell Interactive directed light/sound system
WO2004055776A1 (en) 2002-12-13 2004-07-01 Reactrix Systems Interactive directed light/sound system
US6783252B1 (en) * 2003-04-21 2004-08-31 Infocu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jector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6899271B2 (en) * 2003-05-05 2005-05-31 Symbol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long a line of sight
US6916098B2 (en) * 2003-05-14 2005-07-12 Infocus Corporation Preset key for a projection device
US20040263800A1 (en) * 2003-06-24 2004-12-30 Childers Winthrop D. Projector replaceable part with non-conventional operational recorder
WO2005041579A2 (en) 2003-10-24 2005-05-06 Reactrix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aptured image information in an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JP4794453B2 (ja) * 2003-10-24 2011-10-19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 67 エルエルシー インタラクティブ・ビデオ・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063795B2 (ja) * 2004-06-24 2008-03-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6030292A (ja) * 2004-07-12 2006-02-02 Plus Vision Corp 画像表示装置
US7364307B2 (en) * 2004-08-31 2008-04-29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and system for a beam projector having data manipulation capabilities
US20060087622A1 (en) * 2004-10-21 2006-04-27 Brown Stephen J Projector apparatus and methods
US20060168661A1 (en) * 2005-01-25 2006-07-27 Kisley Richard V Apparatus and method to implement data management protocols using a projector
US9128519B1 (en) 2005-04-15 2015-09-08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Method and system for state-based control of objects
US8081822B1 (en) 2005-05-31 2011-12-20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 feature of an object in an interactive video display
US8098277B1 (en) 2005-12-02 2012-01-17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reactive video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7194950A (ja) * 2006-01-19 2007-08-02 Toshiba Corp 投射型画像表示システム、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ランプ点灯制御方法
US20070171891A1 (en) * 2006-01-26 2007-07-26 Available For Licensing Cellular device with broadcast radio or TV receiver
JP2007212619A (ja) * 2006-02-08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20070222734A1 (en) * 2006-03-25 2007-09-27 Tran Bao Q Mobil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music or video content from satellite radio providers
US7827491B2 (en) * 2006-05-12 2010-11-02 Tran Bao Q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editing
CA2632346A1 (en) 2006-10-06 2008-04-10 Lalley Brothers Scientific Llc Three-dimensional internal back-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816546B1 (ko) 2006-11-30 2008-03-25 에이치비전자주식회사 투사장치를 가진 조작패널조립체
KR100816548B1 (ko) 2006-11-30 2008-03-25 에이치비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CN101241297B (zh) * 2007-02-07 2011-07-0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dlp灯管的dlp投影设备和方法
TWI420226B (zh) * 2007-08-02 2013-12-21 Delta Electronics Inc 過熱防止裝置
JP5430572B2 (ja) 2007-09-14 2014-03-05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ベンチャーズ ホールディング 67 エルエルシー ジェスチャベースの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の処理
US8159682B2 (en) 2007-11-12 2012-04-17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Lens system
JP2009212423A (ja) * 2008-03-06 2009-09-17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光量補正方法
US8259163B2 (en) 2008-03-07 2012-09-04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Display with built in 3D sensing
US8595218B2 (en) * 2008-06-12 2013-11-26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67 Llc Interactive displa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4803217B2 (ja) * 2008-07-08 2011-10-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供給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210685B2 (en) * 2008-09-04 2012-07-03 Sanyo Electric Co., Lt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20100107081A1 (en) * 2008-10-24 2010-04-29 Infocus Corporation Projection device image viewer user interface
GB2470783A (en) * 2009-06-05 2010-12-08 Data Systems T Portable image projector and projection method
JP6576117B2 (ja) * 2015-06-18 2019-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FR3072531B1 (fr) * 2017-10-13 2021-01-29 Valeo Vision Procede et systeme ajustant selectivement des pixels, dans un module optique, pour rattraper des defauts geometriques dus aux tolerances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2076A (ja) * 1985-12-26 1987-07-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ゼンテ−シヨンシステム
US4994987A (en) * 1987-11-20 1991-02-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mage access system providing easier access to images
JPH03113832A (ja) * 1989-09-27 1991-05-15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ディスクメモリ
JPH05120398A (ja) * 1991-10-24 1993-05-18 Hitachi Ltd プレゼンテーシヨン装置
US5231434A (en) * 1992-03-31 1993-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verhead projector for LCD panel
US6104396A (en) * 1992-04-17 2000-08-15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5523958A (en) * 1992-06-10 1996-06-04 Seiko Epso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JPH06231318A (ja) 1992-07-28 1994-08-19 Fuji Film Micro Device Kk メモリカード
JPH0778376A (ja) * 1993-09-09 1995-03-20 Sony Corp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ー
JP3096380B2 (ja) 1993-10-26 2000-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Icカードおよびそのicカ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CA2143874C (en) * 1994-04-25 2000-06-20 Thomas Edward Cooper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ial period use of software products: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decryption stub
JPH07306756A (ja) 1994-05-13 1995-11-21 Sony Corp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US5630659A (en) * 1994-09-28 1997-05-20 Kopin Corporation Compact high resolution light valve projector
JPH08334832A (ja) * 1995-04-07 1996-12-17 Seiko Epson Corp 映像投射システム及びその位置マーク表示制御方法
US6331856B1 (en) * 1995-11-22 2001-12-18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coprocessor providing high speed efficient 3D graphics and digital audio signal processing
US5859623A (en) * 1996-05-14 1999-01-12 Proxima Corporation Intelligent display system presentation projection arrang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JPH10134030A (ja) * 1996-05-22 1998-05-22 Fujitsu Ltd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000929B2 (ja) 1996-06-07 2000-0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を用いた画像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H10107747A (ja) 1996-09-27 1998-04-24 Toshiba Corp 情報サービス受信装置、情報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H10307678A (ja) * 1997-05-07 1998-11-17 Nec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JPH10333870A (ja) 1997-05-30 1998-12-18 Nec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4092514B2 (ja) 1997-08-15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US6041333A (en) * 1997-11-14 2000-03-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data file from a network
CN102289832B (zh) * 2000-06-09 2014-08-2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指定文件的制作和使用了该文件的图像的播放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48B1 (ko) * 2001-11-30 2009-09-1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시스템
US7791610B2 (en) 2001-11-30 2010-09-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9365B1 (en) 2014-09-17
EP1079365A4 (en) 2005-12-14
US6712476B1 (en) 2004-03-30
JP2000267187A (ja) 2000-09-29
TW478284B (en) 2002-03-01
EP1079365A1 (en) 2001-02-28
US20040135977A1 (en) 2004-07-15
JP3644295B2 (ja) 2005-04-27
KR100418650B1 (ko) 2004-02-11
US6913362B2 (en) 2005-07-05
WO2000055838A1 (fr) 2000-09-21
CN1143177C (zh) 2004-03-24
CN1296605A (zh) 200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650B1 (ko) 투사형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CN102722289B (zh) 图像供给装置、图像显示系统和图像供给装置的控制方法
JP4458155B2 (ja)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810307B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控制方法
JPH10150585A (ja) 画像合成装置
KR20050007305A (ko) 화상 감지장치, 화상 편집방법, 및 화상 편집방법을기록하는 저장매체
JPH111804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H10108123A (ja) 画像再生装置
JP2002149144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および処理装置
JP2005204109A (ja) 撮像装置及びモード切換動作プログラム
JP2000066646A (ja) 映像表示装置
JPH066807A (ja) 画像比較装置
JP4537107B2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0585721C (zh) 图像传感设备、图像编辑方法
JPH07250346A (ja) 色補正装置
JP2017198779A (ja) 投影型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237627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3359044B2 (ja) 記録再生装置
JP3095078B2 (ja) 信号記録システム
JP2001238123A (ja) 撮像装置
JP2001245247A (ja) 画像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7074537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0092353A (ja) 静止画記録再生装置
JP2007104338A (ja) 再生装置、カメラ、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09190657A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