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455A - 탄성체트랙슈 - Google Patents

탄성체트랙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455A
KR20010062455A KR1020000076854A KR20000076854A KR20010062455A KR 20010062455 A KR20010062455 A KR 20010062455A KR 1020000076854 A KR1020000076854 A KR 1020000076854A KR 20000076854 A KR20000076854 A KR 20000076854A KR 20010062455 A KR20010062455 A KR 2001006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track
core bar
sho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798B1 (ko
Inventor
가즈또시 호리
히로아끼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1006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B62D55/275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with street plate, i.e. means to prevent tread from cutting into ro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동결노면이나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원하는 접지면을 확보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체트랙슈를 제공한다.
코어바(2)에 피복접착되는 탄성체(3)의 접지면측에 홈(7a, 7b, 8a∼8d)을 설치하고 탄성체트랙슈(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3a)을 단부측(端部側)(3b, 3c)에 비하여 단차부(段差部)(3d, 3e)를 갖게 하여 턱이 내려가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탄성체트랙슈{FLEXIBLE TRACK SHOE}
본 발명은, 건설기계, 농업기계 등의 궤도장착식(軌道裝着式)차량에 적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성체(彈性體)트랙슈(track shoe)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를 들어, 불도저(bulldozer)와 같은 궤도장착식 차량에 있어서는, 트랙프레임(track frame)의 상하에 배설되는 복수의 전동륜(轉動輪)에 철제캐터필러밴드를 감아 설치하여, 기동스프로킷(drive sprocket)을 구동하므로서 그 철제 캐터필러밴드를 구동하여 차량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철제 캐터필러밴드를 장착한 차량은, 도로를 주행할 때에 포장노면(鋪裝路面)을 손상시키므로, 최근에는 무단(無端)형상의 고무벨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금속제 코어바(core bar)를 매설하여, 이 코어바를 기동스프로킷과 서로 맞물려서 구동하는 소위 고무 캐터필러밴드 방식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고무 캐터필러밴드의 경우, 무단형상의 고무벨트에 다수의 코어바가 매설된 구조이므로, 고무벨트에 균열(龜裂)과 박리(剝離)등의 파손이 발생하면, 고무 캐터필러밴드 전체를 신품으로 교환해야할 필요가 있어, 사용자측에 있어서 운전비용(running cost)이 높아짐과 동시에, 정비시간도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1개의 코어바에 탄성체를 피복접착하여 이루어진 탄성체트랙슈를 크롤러(crawler)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를 배치하므로서 무한궤도대(無限軌道帶)를 형성한 것이,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48269호, 국제공개공보 WO 99/12799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이미 제안된 탄성체트랙슈에 의하면, 그 탄성체트랙슈의 탄성체가 파손하여도 그 파손된 슈(shoe)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운전비와 정비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는, 모든 계절을 통하여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 있어, 탄성체의 접지면에 각별한 장치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이 탄성체트랙슈가 동절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동결노면(凍結路面)이나 눈이 다져진 노면(路面)에서 사용되었을 때, 충분한 접지면압(接地面壓)을 확보할 수 없어, 탄성체와 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막(水膜)에 의하여 옆으로 미끄러짐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결노면상이나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원하는 접지면압을 확보하여 미끄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이것으로 궤도장착식의 주행안정성과 견인(牽引)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는 탄성체트랙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1(b)의 A-A단면도), 도1(b)은, 동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裏面圖), 도1(c)은, 도1(a)의 B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1(d)은, 홈의 단면형상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어바 길이와 턱이 내려 간 부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3 (b)의 A-A 단면도), 도1(b)는, 동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 도4(b)는, 도4(a)의 C-C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이다.
도7(a)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7b'의 E-E 단면도), 도7(b)는, 동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 도7(c)는, 도7(a)의 D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이다.
도9(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정면도, 도9(b)는,도9(a)의 F-F 단면도이다.
도10(a)∼(f)은, 홈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a, b)은 단차부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21, 31, 41, 51, 61, 71 : 탄성체트랙슈,
2, 72 : 코어바(core bar), 2a, 2b : 코어바의 단부(端部),
3, 22, 42, 52, 73 : 탄성체, 3a : 중앙부접지면,
3b, 3c : 탄성체의 단부, 3d, 3e, 43a, 43b : 단차부(段差部),
5 : 캐터필러밴드(caterpillar band)링크,
7a, 7b, 27a, 27b : 세로홈. 8a∼8d, 23a, 23b : 가로홈,
9 : 마모 인디케이터(indicator), 23, 24, 25, 26 : 접지면,
32, 81 : 절결홈(groove), 43 : 제1탄성체,
44 : 제2탄성체, 45 : 제3탄성체,
52a 62a : 중앙부분, 52b : 단부측부분,
55 : 경사면형상, 56 : 모서리(edge)부,
75 : 철슈(iron shoe)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a)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1 (b)의 A-A단면도)가 도시되며, 도1(b)에는 이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裏面圖)가 도시되며, 도1(c)에는 도1(a)의 B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 도시되며, 도1(d)에는 홈의 단면형상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1)는, 코어바(2)에 고무 등의 탄성체(3)가 피복접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체트랙슈(1)는, 그 탄성체(3)에 형성되는 보울트 삽입구멍(4)에 삽입되는 보울트(도시하지않음)에 의하여 캐터필러밴드 링크(5)에 직접 부착된다. 이들 탄성체트랙슈(1)는, 크롤러(crawler) 진행방향으로 다수 병렬로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각 캐터필러밴드 링크(5)의 단부(端部)끼리 핀(6)에 의하여 회동(回動)가능 하도록 연결되므로서, 전체적으로 무한궤도대가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캐터필러밴드 링크(5)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로킷(sproket)에 서로 맞물리게 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무한궤도대가 회전구동되어, 궤도장착차량이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바(2)는, 차체중량이 더하여져도 변형하지 않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강(鋼), 주강(鑄鋼), 주철(鑄鐵)등의 일반적인 코어바재질 외에, 금속계복합재, 비금속계복합재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그 양 단부(2a, 2b)가 비접지면측에 소요각도로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탄성체(3)는, 고무, 우레탄, 수지(樹脂), 엘라스토머(elastomer), 비금속계 복합재 등의 비교적연질(軟質)인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바(2)를 탄성체(3)에 매설(埋設)할 경우, 예를 들어 탄성체(3)가 고무일 경우에는, 일반적인 가류(加硫)접착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이 탄성체(3)는, 무한궤도대의 폭방향 (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3a)이 양단부(3b, 3c)에 비하여 단차부(段差部)(3d, 3e)를 가지며 턱이 내려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체(3)의 비접지면측에 있어서는, 그 양단부의 형상이 코어바(2)의 굴곡형상으로 맞추어 비접지면측에 소요각도로 굴곡한 형상이 되어, 그 코어바(2)의 양단부(2a, 2b)에 있어서의 비접지면측도 탄성체(3)로 피복접착 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바(2)의 트랙슈 길이방향의 길이가 탄성체(3)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코어바(2)의 배치개소에서는 하중이 그대로 접지면에 전달되어, 트랙슈중앙부의 접지면압을 높일수 있다. 한편, 코어바(2)가 배설되어 있지 않은 단부측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체트랙슈(1)가 동결노면에서 사용되었을 때, 탄성체(3)가 단단한 노면으로부터의 압력으로 굽어져 그 부분의 면압이 거의 영(zero)이 되며, 또 눈이 있는 노면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탄성체(3)의 강성에 의하여 트랙슈전체로서의 접지면압을 내릴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동결된 노면상에서도 눈이 있는 노면상에서도 탄성체트랙슈(1)의 그립력(power of gripping)을 확보할 수 있어 미끄럼방지효과를 발휘한다.
또, 도1(b),(c)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상기 탄성체(3)는, 그 중앙부 접지면 (3a)의 중심부분이 탄성체트랙슈(1)의 폭방향의 거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이 중심부분을 제외한 부분 및 단부(3b, 3c)측의 접지면이, 폭방향의 중앙부분만이 평탄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폭방향의 양측부분은 비스듬하게 잘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탄성체트랙슈(1)에는 이면에서 보아 거의 십자형상의 접지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1(b)참조). 이와 같이 중앙부 접지면 (3a)의 중심부분이 전폭방향으로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탄성체트랙슈(1)의 가로 미끄러짐 방지를 꾀할수 있다. 또, 이 평탄면의 양측부분이 비스듬하게 잘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 탄성체트랙슈(1)가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사용되었을 때, 서로 인접하는 탄성체트랙슈(1, 1)의 절결부끼리 대향하게 되며, 이 대향공간부에 다량의 눈을 끌어 안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트랙슈(3)의 접지면에는, 다수의 홈(또는 구멍)(세로홈7a, 7b 및 가로홈 8a, 8b, 8c, 8d)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홈(7a, 7b, 8a∼8d)은 평면에서 보아 가늘고 긴 형상으로,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 또는 거의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저부(底部)의 코너부가 R형상(둥글린 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저부의 단면형상도 도1(d)에 되시되어 있듯이 R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홈의 단부도 R형상이면 더욱 좋다. 이렇게 코너부 및 저부단면을 R형상으로 하므로서 이들 코너부 또는 저부에 뒤틀림이 집중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로홈(7a, 7b) 및 가로홈(8a∼8d)은, 그들 홈의 모서리부 e(도1(d)참조)로 빙면상(氷面上)의 수막(水膜)을 긁어올려, 이 긁어올린 물을 그 모서리부에 인접배치되는 홈내에 모이도록 작용한다. 그 결과, 동결노면상의 수막이 제거되어서, 탄성체의 노면에 대한 그립력이 강해진다. 여기서, 세로홈(7a, 7b)은 무한대 (無限帶)의 가로방향(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그립력에 의하여 가로 미끄러짐방지 효과를 발휘하여, 가로홈(8a∼8d)은 무한대의 세로방향(진행방향)의 그립력에 의하여 세로 미끄러짐 방지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단차부(3d, 3e)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홈(7a)은, 가로 미끄러짐 방지효과를 고려하여 설치된 것이다. 또한, 이 단차부(3d, 3e)에 형성되는 세로홈(7a)은 트랙슈몸체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세로홈(7a, 7b) 및 가로홈(8a∼8d)의 길이는, 탄성체트랙슈(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의 홈(7b, 8b, 8c, 8d)보다도 양단부측의 홈(7a, 8a) 쪽이 길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접지면압(接地面壓)이 비교적 높은 트랙슈중앙부에서 접지면적을 확보하여, 탄성체(3)의 강성을 높일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트랙슈중앙부의 홈(7b, 8b, 8c, 8d)에서는, 이 홈을 기점으로 탄성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중앙부의 홈(본 실시예에서는 가로홈8b)에는, 그 저면에 탄성체(3)의 마모한계를 나타내는 마모인디케이터(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마모인디케이터(9)의 형성높이는, 트랙슈단부(3b, 3c)측의 접지면과 일면이 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탄성체(3)의 마모한계를 한눈에 알수 있고, 이것이 트랙슈의 교환시기의 목표가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홈(7a, 7b, 8a∼8d)의 단면형상을 거의 직사각형 또는 거의 삼각형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 홈 형상으로서는, 거의 사다리꼴형과 반원(半圓)형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홈의 제작상,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좁아지는 홈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1)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3d, 3e)의 개시점(p1, p2)을 코어바(2)의 평탄부의 양단과 일치하던가 그것보다 외측으로 설치하도록, 바꿔말하면 PQ가 성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접지면압에 미치는 영향이 큰 탄성체(3)의 턱이 내려간 부(길이Q의 부분)와, 접지면압이 높은 코어바(2)의 평탄부(길이P의 부분)에 대응하는 탄성체부분을 거의 일치시킬수 있으므로, 특히 동결노면상에서의 접지면압을 보다 높여서 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강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지면이 되는 탄성체(3)의 재질로서는, 상술한 것 이외에, 나일론 등의 단섬유(短纖維)를 매설한 고무, 강(鋼)의 소편(小片)을 매설한 고무, 세라믹을 매설한 고무, 호두껍질을 매설한 고무, 초고분자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을 매설한 고무, 규사를 매설한 고무, 저온(빙점하)에서 경화(硬化)하는 수지를 매설한 고무 또는 발포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3(a)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3(b)의 A-A단면도)가 도시되며, 도3(b)에는 동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11)는, 제1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1)에 대하여, 접지면에 단차부(3d, 3e)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이 접지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것 이외의 구성에 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다른 것이 없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도면에 동일하게 부호를 붙이는데 그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에 비하여 단차부(3d, 3e)의 구성이 결여되어 있어서, 이들 단차부(3d, 3e)를 설치하는 것에 의한 작용효과(트랙슈중앙부의 면압을 높이는 것) 및 이들 단차부(3d, 3e)에 세로홈(7a)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작용효과(동결노면상에서의 가로 미끄러짐 방지를 꾀함)의 점에서 제1실시예보다 못하지만, 그밖의 작용효과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와 거의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제3실시예)
도4(a)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가 도시되며, 도4(b)에는 도4(a)의 C-C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21)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탄성체 (22)의 접지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접지면의 형상이 제2실시예의 것과 다르며, 또 그 면적이 제2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작게 되어 있다. 또, 이 접지면에는 트랙슈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접지면(23)상에 직렬(直列)로 늘어서도록 가로홈(23a, 23b)이 형성되며, 트랙슈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접지면(24, 25, 26)에 세로홈(27a, 27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길이방향의 중앙부측의 홈(23b)보다도 양단부측의 홈(23a) 쪽이 길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지면의 면적이 작아진 만큼 접지면압이 높아지지만, 그 만큼의 탄성체(22)의 강성이 작아지는 것을 피할수 없다.
(제4실시예)
도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31)에 있어서는, 평탄한 접지면의 형상에 관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이 접지면에는, 제3실시예에서의 홈(23a, 23b, 27a, 27b)대신에, 절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절결홈(32)은, 그 설치밀도가 상기 탄성체트랙슈(31)의 길이방향의 단부측보다도 중앙부 쪽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절결홈(3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홈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결노면 또는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긁어올린 물을 모아놓는 능력이 약간떨어지므로, 접지면압이 높은 중앙부의 수막제거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이 중앙부에 있어서의 절결홈의 설치밀도을 크게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단부측에 있어서는 탄성체의 강성확보를 우선으로 하기 위하여 절결홈(32)의 설치밀도를 작게하고 있다. 또한, 이 절결홈의 종단부(終端部)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것으로 절결홈(32)을 기점(起點)으로 하는 균열의 발생을 막게 된다.
(제5실시예)
도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41)에 있어서는, 탄성체(42)가 3층 구조로 되어, 접지면측의 제1탄성체(43)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코어바(2)측에 이름에 따라서 제2탄성체(44), 제3탄성체(45)가 순차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탄성체(42)(제1탄성체43)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단차부(43a, 43b)가 설치되어 있어 길이방향의 중앙부가 턱이 내려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부의 제1탄성체(43)가 부드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결노면에 대한 점착(粘着)효과에 의하여 그립력이 발생하게 되어, 노면에 대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코어바측의 제2 탄성체 (44) 및 제3탄성체(45)가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눈이 다져진 노면에 대한 접지면압을 낮게 할수 있다.
(제6실시예)
도7(a)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도7 (b)의E-E단면도)가 도시되며, 도7 (b)에는 동 탄성체트랙슈의 이면도(裏面圖)가 도시되며, 도7 (c)에는 도7 (a)의 D화살표로 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51)에 있어서는, 탄성체(52)의 접지면이, 트랙슈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2개의 요부(凹部)(53, 54)를 경계로 하여, 중앙부분(52a)과, 단부측부분(52b)으로 분할하고 있다. 또, 상기 탄성체(52)의 단부측부분(52b)의 형상으로서, 그 접지면적이 트랙슈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짐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경사면형상(55)이 원호형상이 되는 형상이 채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체(52)의 접지면의 중앙부분(52a)의 접지면적이 작아져 있으므로, 이 중앙부분(52a)의 동결노면에 대한 잡는 힘을 좋게 할수 있어, 스파이크효과를 발휘하여 그 동결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높일수 있다. 또, 탄성체 (52)의 단부측부분(52b)의 접지면적이 트랙슈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눈이 다져진 노면에서 사용하였을 때, 서로 인접하는 탄성체트랙슈 사이에 끌어올리는 눈의 양을 늘일수 있어, 이것으로 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늘일 수가 있다. 또, 이 탄성체(5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경사면형상(55)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결노면에서 사용하였을 때에, 이 탄성체의 접지면의 모서리부(56)를 그 접지면에 대하여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유지할수 있어, 이것으로 노면에 대한 잡는 힘을 좋게 할수 있어 그 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높일수 있다.
(제7실시예)
도8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61)에 있어서는, 앞의 제6실시예에 대하여, 탄성체(62)중앙부분(62a)이 그 주변부분에 비하여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이 중앙부분(62a)의 동결노면에 대한 잡는 힘이 보다 향상하여, 스파이크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된다.
(제8 실시예)
도9(a)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탄성체트랙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9(b)에는, 도9(a)의 F-F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의 코어바(2)를,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5)에 직접 보울트를 통하여 설치한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코어바(72)에 탄성체(73)를 접착하여 이루어진 패드(pad)를, 이 패드 내에서 돌출하여 있는 4개의 보울트(74)로 철슈(iron shoe)(75)에 설치하도록 되어있음과 아울러 이 철슈(75)를 보울트(76)로 캐터필러밴드 링크(5)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방법은, 상기 각 실시예의 탄성체트랙슈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탄성체의 접지면에 홈을 형성하도록 한 실시예(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홈형상으로서 도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straight)형상의 것, 또는 도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좁아지는 형상의 것을 채용했지만, 이 홈형상으로는, 도10(c, d, e, f)에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감에 따라서 넓어지는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접지면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내구성을 계속 유지하면서, 홈내로 모으는 물의 용량을 늘일수 있으므로, 동결노면상에서의 탄성체의 그립력을 강하게 할수 있다.
또, 상술한 탄성체의 접지면에 단차부를 설치하여, 이 단차부에 홈을 설치하도록 한 실시예(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차부의 형상을 경사면형상으로 하였지만, 이 단차부의 형상은, 도11(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이 계단의 단붙이(joggling)부에 맞추어 절결홈(81)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홈(81)의 종단부를 원형으로 형성하므로서 이 절결홈(81)의 종단부에 뒤틀림(strain)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어, 이 절결홈(81)을 기점으로 하는 균열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무단형상(無端形狀)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 또는 철슈(iron shoe)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접지면측에 홈 또는 절결홈(groove)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1발명에 의하면,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탄성체의 접지면측에 홈 또는 절결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체트랙슈가 동결노면 또는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사용되었을 때, 홈 또는 절결홈의 모서리(edge)부로 빙면상(氷面)상의 수막을 긁어올림과 동시에, 이 긁어올린 물이 그 모서리부에 인접배치되는 홈 또는 그루브(groove) 내로 모이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동결노면상 또는 눈이 다져진 노면상의 수막이 제거되므로서, 탄성체의 노면에 대한 그립(grip)력이 강해져 미끄럼방지 효과를 높일수 있다. 이 결과, 궤도장착식차량의 주행안정성 및 견인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상기 제1발명에 있어서, 탄성체에 홈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홈의 길이를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도 단부측(端部側)쪽을 길게 한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접지면압이 비교적 높은 중앙부에 탄성체의 접지면적을 확보하여, 이 홈을 기점으로 탄성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상기 제1발명 또는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의 저부(底部)에, 상기 탄성체의 마모한계을 나타내는 마모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하는 것으로, 탄성체의 마모한계, 바꿔말하면 미끄럼방지 효과가 발생하는 한계를 알 수 있으므로, 트랙슈의 교환시기를 한눈에 알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마모인디케이터를 형성하는 높이는, 트랙슈의 중앙부 접지면이 단부측에 비하여 턱이 낮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단부측의 접지면과 일면이 되는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4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상기 제1발명에 있어서, 탄성체에 절결홈이 설치되는 경우, 그 절결홈의 설치밀도를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단부측보다도 중앙부 쪽을 크게 한 것이다. 이 절결홈의 경우에는, 홈에 비하여, 동결노면 또는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긁어올린 물을 모으는 능력이 약간 떨어지므로, 접지면압이 높은 중앙부의 수막제거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이 중앙부에 절결홈의 설치밀도를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제5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 또는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이 단부측에 대하여 단차부(段差部)(턱이 차이진 부)를 가지며 철(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5발명에 의하면,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이 단부측에 대하여 철(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체트랙슈가 동결노면상에서 사용되었을 경우, 가해지는 하중을 트랙슈 중앙부에 집중시키어 그 중앙부의 접지면압을 높일수가 있어, 탄성체의 노면에 대한 그립(grip)력을 높일수가 있다. 한편,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사용된 경우에는, 중앙부에서 단부에 걸쳐서 탄성체의 전면으로 접지하게 되어, 접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이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 그립력을 높일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동결노면상에서도 눈이 다져진 노면상에서도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6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상기 제5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홈 또는 절결홈을 설치한것이다. 이렇게 하면, 단차부에 설치되는 홈 또는 절결홈의 모서리부가 동결노면상에 있어서 그립작용을 나타내게 되어, 가로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제7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상기 제5발명 내지 제6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개시점을 상기 코어바의 평탄부의 양단과 일치하던가 그것보다 외측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접지면압에 미치는 영향이 큰 탄성체의 턱이 내려간 부와, 접지면압이 높은 코어바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탄성체부분을 거의 일치시킬수 있으므로, 특히 동결노면상에서의 접지면압을 보다 높게하여 그립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제8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 또는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이 단부측보다도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8발명에 의하면, 트랙슈중앙부 접지면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트랙슈중앙부의 동결노면에 대한 잡는힘을 좋게 할수 있어, 스파이크 (spike)효과를 발휘하여 그 동결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높일수 있다.
다음으로, 제9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 또는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접지면측이 부드러운 재질로, 코어바측이 단단한 재질이 되도록 적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9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의 접지면측이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결노면에 대한 점착효과(粘着效果)에 의하여 그립력이 발생하게 되어, 노면에 대하여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코어바측이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눈이 다져진 노면에 대한 접지면압을 낮게 할수 있다.
또, 제10발명에 의한 탄성체트랙슈는,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 또는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형상을, 그 접지면적이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또한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경사면(傾斜面)형상을 원호(圓弧)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10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의 접지면적이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눈이 다져진 노면에서 사용되었을 때, 서로 인접하는 탄성체트랙슈 사이에 끌어 들이는 눈의 양을 늘일 수가 있어, 이것으로 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늘일 수 있다. 또, 이 탄성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경사면형상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결노면에서 사용하였을 때, 이 탄성체 접지면의 모서리부형상을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유지할 수 있어, 이것으로 노면에 대한 잡는힘을 좋게할 수 있어 그 노면에 대한 그립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무단(無端)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caterpillar band)링크에 직접하거나 철(鐵)슈(shoe)를 통하여 코어바(core bar)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 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접지면측에 홈이나 절결홈(groove)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트랙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그 길이가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보다 단부측 쪽이 길게 되어 있는 탄성체트랙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저부(底部)에 상기 탄성체의 마모한계를 나타내는 마모 인디케이터(indicator)가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트랙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은, 그 설치밀도가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단부(端部)측보다도 중앙부쪽이 크게 되어 있는 탄성체트랙슈.
  5.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하거나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 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이 단부측에 대하여 단차부(段差部)를 가지며 철(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트랙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홈이나 절결홈이 설치되는 탄성체트랙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개시점이 상기 코어바의 평탄부 (平坦部)의 양단과 일치하든가 그것보다 외측으로 설치되는 탄성체트랙슈.
  8.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하거나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접지면이 단부측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트랙슈.
  9.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하거나 철슈을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 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접지면측이 부드러운(soft) 재료로, 코어바측이 단단한 재료로 되도록 적층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트랙슈.
  10. 무단형상으로 연결되는 캐터필러밴드 링크에 직접하거나 철슈를 통하여 코어바가 설치되어, 이 코어바에 탄성체가 피복접착되어 이루어진 탄성체 트랙슈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형상을, 그 접지면적이 상기 탄성체트랙슈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또한 그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경사면형상(傾斜面形狀)을 원호(圓弧)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체트랙슈.
KR1020000076854A 1999-12-24 2000-12-15 탄성체트랙슈 KR100799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66219 1999-12-24
JP36621999A JP2001180544A (ja) 1999-12-24 1999-12-24 弾性体履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455A true KR20010062455A (ko) 2001-07-07
KR100799798B1 KR100799798B1 (ko) 2008-01-31

Family

ID=1848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854A KR100799798B1 (ko) 1999-12-24 2000-12-15 탄성체트랙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33371B2 (ko)
JP (1) JP2001180544A (ko)
KR (1) KR100799798B1 (ko)
CN (1) CN1153713C (ko)
ES (1) ES2204213B1 (ko)
TW (1) TW48022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4899C2 (ru) * 2012-12-19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Брянский ГАУ) Эластичный трак гусениц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8769B1 (en) * 1997-09-05 2003-05-27 Komatsu Ltd. Elastic flat tread
JP2001180544A (ja) * 1999-12-24 2001-07-03 Komatsu Ltd 弾性体履板
US6984006B2 (en) * 2000-03-03 2006-01-10 Komatsu Limited Elastic flat tread
US7121636B2 (en) * 2001-09-04 2006-10-17 Ingersoll-Rand Company Endless track for paving vehicles
WO2005018957A2 (en) * 2003-08-14 2005-03-03 Ultra-Trax, Llc Improved tread and method for use
JP2005279968A (ja) * 2004-03-26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液滴吐出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20761B1 (ko) * 2006-10-12 2008-04-11 국방과학연구소 블로우아웃 방지홈을 구비하는 궤도몸체고무
EP2121420B1 (en) * 2007-01-16 2012-05-02 Polaris Industries Inc. Light weight track for a snowmobile
EP2310250B1 (de) * 2008-07-28 2011-12-07 GMT Gummi-Metall-Technik GmbH Kettenpolster für ein kettenglied
KR101146092B1 (ko) * 2009-12-11 2012-05-15 한국카모플라스트(주) 충격흡수 홈을 구성한 고무 크로라
US9199694B2 (en) * 2010-06-29 2015-12-01 Kimpex Inc. Slide bar for a track system
CA2744630C (en) 2010-06-30 2018-10-09 Camoplast Solideal Inc. Wheel of a track assembly of a tracked vehicle
US9334001B2 (en) 2010-12-14 2016-05-10 Camso Inc. Drive sprocket, drive lug configuration and track drive arrangement for an endless track vehicle
US9162718B2 (en) 2010-12-14 2015-10-20 Camso Inc. Endless track for traction of a vehicle
US8985250B1 (en) 2010-12-14 2015-03-24 Camoplast Solideal Inc. Track drive mod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KR101375499B1 (ko) * 2012-08-22 2014-03-17 배현웅 무한궤도용 고무패드
WO2016014277A1 (en) * 2014-07-22 2016-01-28 Caterpillar Inc. Crawler shoe having wear measurement features
US20150233786A1 (en) 2014-02-14 2015-08-20 Caterpillar Inc. Ultrasonic measurement device
US9434428B2 (en) * 2014-06-06 2016-09-06 Caterpillar Inc. Track pad wear indicator
US11167810B2 (en) 2015-03-04 2021-11-09 Camso Inc.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US10783723B2 (en) 2015-06-29 2020-09-22 Cams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JP6568767B2 (ja) * 2015-10-26 2019-08-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履帯シュー用芯金、弾性履帯シュー及び履帯シュー用芯金の製造方法
KR101670680B1 (ko) * 2016-05-03 2016-10-31 티알벨트랙 주식회사 마모한계 시점을 표시하는 크로라
DE102016225423A1 (de) * 2016-12-19 2018-06-21 Contitech Transportbandsysteme Gmbh Raupenkette, insbesondere Gummiraupenkette
CA3085012A1 (en) 2017-12-08 2018-12-07 Cams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f-road vehicles
US10960944B2 (en) * 2018-03-14 2021-03-30 Caterpillar Inc. Track pad geometry for hard surfaces
CN110450873B (zh) * 2019-07-29 2021-04-02 高邮市迅达重型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防滑且减少路面损伤的挖土机传动用履带
US11987303B2 (en) * 2021-03-15 2024-05-21 Caterpillar Inc. Track shoe with large cavities on ground engaging surfaces having a protruding sidewall or an oval perimeter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8244A (en) * 1964-09-02 1966-10-11 Caterpillar Tractor Co Tractor track shoe
FR1498340A (fr) * 1966-05-10 1967-10-20 Indicateur d'usure pour pneumatique
DE2105482C2 (de) * 1971-02-05 1973-11-29 Rheinstahl Schmiedetechnik Gmbh, 4640 Wattenscheid Bodenplatte fur Gleisketten von Gleiskettenfahrzeugen zum Einsatz auf weniger tragfahigen Boden
US3847451A (en) * 1972-12-04 1974-11-12 Caterpillar Tractor Co Flat track shoe with tapered end ribs
US4094557A (en) * 1976-10-18 1978-06-13 J. I. Case Company Combination low ground pressure, low turning resistance and self-cleaning track shoe
US4383718A (en) * 1981-01-29 1983-05-17 Deere & Company Low ground pressure track shoe
CA1219622A (en) * 1984-09-17 1987-03-24 Tim W. Hyciek Track shoe
JPH0235202A (ja) 1988-02-12 1990-02-05 Komatsu Ltd 油圧式掘削機の位置エネルギー回収再生装置
KR930002389Y1 (ko) * 1990-11-30 1993-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무한궤도용 슈
JPH04342679A (ja) 1991-05-17 1992-11-30 Bridgestone Corp 雪上氷上用ゴム履体
JP3146556B2 (ja) * 1991-09-05 2001-03-1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ラ
JP3146289B2 (ja) 1992-07-04 2001-03-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ラの構造
JPH0769252A (ja) 1992-12-09 1995-03-14 Fukuyama Gomme Kogyo Kk ゴムクローラ
JPH06344960A (ja) 1993-06-03 1994-12-20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
JPH06344958A (ja) 1993-06-04 1994-12-20 Honda Motor Co Ltd クローラベルト
JP2988805B2 (ja) 1993-06-04 1999-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ローラベルト
US5630657A (en) * 1993-11-20 1997-05-20 Bridgestone Corporation Crawler
JP3318724B2 (ja) * 1993-12-21 2002-08-26 福山ゴム工業株式会社 連結リンク式ゴムクローラ
US5984437A (en) * 1993-12-27 1999-11-16 Fukuyama Gomu Kogyo Kabushiki Gaisha Connecting link type rubber crawler
JP3009342B2 (ja) 1994-06-01 2000-02-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弾性体履板及び無限軌道履帯
EP0761525B1 (en) * 1994-06-01 1999-08-11 Komatsu Ltd. Elastic-bodied crawler plate and crawler band
US5482365A (en) * 1994-07-13 1996-01-09 Caterpillar Inc. Rubber grousered track shoe
JPH08104262A (ja) * 1994-09-30 1996-04-23 Komatsu Ltd 無限軌道履帯
JP2951247B2 (ja) * 1995-07-27 1999-09-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履帯シュー
US6079802A (en) * 1997-07-23 2000-06-27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rawler
US6568769B1 (en) 1997-09-05 2003-05-27 Komatsu Ltd. Elastic flat tread
JPH11139359A (ja) 1997-11-04 1999-05-25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ラ
JPH11165662A (ja) 1997-12-05 1999-06-22 Bridgestone Corp 雪上車用ゴムクロ−ラ
JPH11171059A (ja) 1997-12-14 1999-06-29 Bridgestone Corp 雪上車用ゴムクロ−ラ
JP2001180544A (ja) * 1999-12-24 2001-07-03 Komatsu Ltd 弾性体履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4899C2 (ru) * 2012-12-19 2015-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Брянский ГАУ) Эластичный трак гусениц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04213A1 (es) 2004-04-16
CN1153713C (zh) 2004-06-16
TW480229B (en) 2002-03-21
KR100799798B1 (ko) 2008-01-31
ES2204213B1 (es) 2005-02-16
CN1301653A (zh) 2001-07-04
JP2001180544A (ja) 2001-07-03
US20030034690A1 (en) 2003-02-20
US6533371B2 (en) 200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798B1 (ko) 탄성체트랙슈
US7044567B2 (en) Elastic endless crawler
EP2271543B1 (en) Cross-links for a track of a tracked vehicle
CN1339375A (zh) 橡胶履带
US20130147262A1 (en) Cross-Links for a Track of a Tracked Vehicle
JPS58156468A (ja) 無限軌道車両の履帯のシユ−プレ−ト
US7252347B2 (en) Belt over mid-rollers
WO2011127554A1 (en) Cross-links for a track of a tracked vehicle
EP1880932A1 (en) Rubberized segmented track
CA2480779A1 (en) Track for snowmobile
US7063395B2 (en) Laterally reinforced endless belt track
JP2012511459A (ja) 無限軌道履帯
US20060181150A1 (en) Outside lug driving track
CA2533344A1 (en) An outside lug driving track
JPS5830774Y2 (ja) ゴム弾性無限軌道帯
JPS5855030B2 (ja) 泥地用弾性無限軌道帯
KR200343351Y1 (ko) 휠 굴삭기용 트랙체인
JPS5871276A (ja) 泥地用弾性無限軌道帯
JPS6411513B2 (ko)
JP2001171568A (ja) 弾性体履板
JPS5873482A (ja) 弾性無限軌道帯
JP2003335274A (ja) 芯金レスの弾性クローラ
KR19990080018A (ko) 고무 스노우 체인
JPH08282212A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