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536A - 반도체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536A
KR20010050536A KR1020000055156A KR20000055156A KR20010050536A KR 20010050536 A KR20010050536 A KR 20010050536A KR 1020000055156 A KR1020000055156 A KR 1020000055156A KR 20000055156 A KR20000055156 A KR 20000055156A KR 20010050536 A KR20010050536 A KR 2001005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internal
circuit
resistanc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204B1 (ko
Inventor
이또우야스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5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칩의 점유 면적을 작게 하면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산 증폭기(1), 인버터 IV1, 링오실레이터(2), 차지 펌프(3), 캐패시터 C1, C2로 이루어지는 용량 분압 회로(4), 저항 R1, R2로 이루어지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 저항 R1, R2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및 용량 분압 회로(4)과 제1 저항 분압 회로(5)의 각 분압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 SW2를 포함한다.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 시에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를 오프하여,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용량 분압 회로(4)만으로 승압 전압 Vpp의 전압 검지를 행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DRAM 등의 반도체 장치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내부 전압을 발생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예를 들면, DRAM) 내부에서 복수의 전압 레벨의 전압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반도체 장치의 내부에서 승압 혹은 강압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도 12는 이 종류의 종래의 승압 회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2의 회로는 연산 증폭기(1),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에 접속된 저항 분압 회로(5), 연산 증폭기(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인버터 IV1, 인버터 IV1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링오실레이터(2), 링오실레이터(2)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는 차지 펌프(3), 및 차지 펌프(3)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캐피시터 Cpp를 포함한다.
저항 분압 회로(5)는 차지 펌프(3)에서 승압된 승압 전압 Vpp를 분압한다. 연산 증폭기(1)는 저항 분압 회로(5)의 분압 전압 TAP와 기준 전압 VBGR을 비교하고, 전자의 전압 레벨쪽이 높으면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고, 후자의 전압 레벨쪽이 높으면 마이너스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인버터 IV1의 출력 OSCE는 분압 전압 TAP〉기준 전압 VBGR일 때 로우 레벨이 되며, 분압 전압 TAP〈기준 전압 VBGR일 때 하이 레벨이 된다.
또, 기준 전압 VBGR은 온도 특성을 갖지 못한 도시되지 않은 대역 갭 기준 회로의 출력 전압으로 예를 들면 VBGR=1.25V로 설정된다.
도 13은 도 12의 승압 회로에서 승압된 승압 전압 Vpp, 분압 전압 TAP 및 인버터 IV1의 출력 OSCE의 각 전압 파형도이다. 이하, 도 13의 전압 파형도에 기초하여 도 12의 승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승압 전압 Vpp가 안정 상태에서부터 저하하고, 분압 전압 TAP가 기준 전압 VBGR보다도 낮아지면, 인버터 IV1의 출력이 로우 레벨에서부터 하이 레벨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링오실레이터(2)가 발진 동작을 개시하고, 그에 따라서 차지 펌프(3)도 승압 동작을 개시한다.
승압 전압 Vpp가 높아지면 곧 분압 전압 TAP가 기준 전압 VBGR보다도 커져서, 인버터 IV1의 출력이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정지하고, 그에 따라 차지 펌프(3)도 승압 동작을 정지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승압 전압 Vpp는 식 1로 나타내는 전압치가 된다.
Vpp={1+(R2/R1)}×VBGR (1)
도 14는 도 12의 연산 증폭기(1)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4의 연산 증폭기(1)는 전류 미러를 구성하는 PMOS 트랜지스터 Q1, Q2, 입력 신호의 논리에 따라서 온·오프하는 NMOS 트랜지스터 Q3, Q4, 연산 증폭기(1)를 인에이블 상태(활성 상태)로 하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NMOS 트랜지스터 Q5, 및 연산 증폭기(1)의 출력을 유효하게 하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NMOS 트랜지스터 Q6을 포함한다.
도 14의 트랜지스터 Q3의 게이트 전압이 트랜지스터 Q4의 게이트 전압보다도 높으면 트랜지스터 Q3이 온이 되고, 그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이 되어 VOUT는 플러스 전원 전압 Vcc와 대략 같아진다. 반대로, 트랜지스터 Q4의 게이트 전압이 트랜지스터 Q3의 게이트 전압보다도 낮으면 트랜지스터 Q4가 온이 되고, Vout는 접지 전압과 대략 같아진다.
최근의 DRAM이나 FRAM 등은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 메모리의 동작 상태 시와 대기 상태 시에 승압 회로의 제어를 전환하고, 동작 상태 시에만 승압 회로를 동작시킨다. 그런데, 승압 회로에서 승압된 승압 전압은 메모리 내부의 수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승압 회로의 부하는 꽤 무거워진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을 위해서, 동작 상태 시에만 승압 회로를 동작시키도록 하면, 승압 전압이 원하는 전압에 달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그래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상태 시의 전압 제어 회로(21a)와 대기 시의 전압 제어 회로(21b)를 포함하는 승압 회로가 제안되고 있다. 전압 제어 회로(21a, 21b)의 회로 구성은 거의 동일하지만, 전압 제어 회로(21b) 내의 연산 증폭기(1s)는 저소비 전력형이고 또한 전압 제어 회로(21b) 내의 저항 R1H, R2H는 전압 제어 회로(21a) 내의 저항 R1L, R2L의 저항치보다도 크다.
도 15의 연산 증폭기(1a)는, 동작 상태 시를 나타내는 신호 active가 하이 레벨일 때만 동작하고, 연산 증폭기(1b)는 대기 시를 나타내는 신호 standby가 하이 레벨일 때만 동작한다.
그러나, 도 15의 승압 회로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대기 상태 시에는 반도체 장치 내의 대부분의 회로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승압 회로의 구동 능력을 가능한 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연산 증폭기(1s)의 소비 전류를 적게 함과 함께, 저항 분압 회로(5)를 구성하는 저항 R1H, R2H의 저항치를 가능한 한 크게 하여 관통 전류를 적게 할 필요가 있다.
연산 증폭기(1s)의 소비 전류를 적게 하는 것은 종래 알려진 기술로,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추가함으로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그런데, 저항 분압 회로를 구성하는 저항 R1H, R2H를 고저항으로 하면, 그에 따라 저항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대하고 저항 배선의 부유 용량도 증대한다. 그 결과, RC 지연량이 커지며 전압의 피드백 제어가 둔해진다.
이상에서는, 승압 회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강압 회로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긴다.
도 16은 종래의 강압 회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의 강압 회로는 연산 증폭기(1), PMOS 트랜지스터 Q8, 저항 분압 회로(5)를 구성하는 저항 R1, R2로 구성된다.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저항 분압 회로(5)의 분압 전압 TAP이 기준 전압 VBGR보다도 낮아진다. 그에 따라서,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낮아지며 트랜지스터 Q8은 오프 된다. 이에 따라, 강압 전압 Vout을 높게 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17은 동작 상태 시의 전압 제어 회로와 대기 시의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강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7의 회로는 동작 상태 시에는 스위치를 온 하고 대기 시에는 스위치를 온 한다.
도 17의 강압 회로도, 도 12의 승압 회로와 마찬가지로, 저항 분압 회로(5)를 포함하기 때문에, 대기 시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고자 하면, 칩의 점유 면적이 증가함과 함께, 배선 지연도 증대하고 제조 비용도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칩의 점유 면적이 작아도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저항 분압 회로, 및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 간으로부터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용량 분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기간 중은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만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제1 저항 분압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에 의해 내부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상태에 의해 제1 및 제2 스위치 수단을 전환하기 때문에,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이 동작 중에는 추종성이 우수하도록 내부 전압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제1 차동 증폭기에 입력되는 전압을 전환하기 때문에, 한 개의 차동 증폭기로 내부 전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차동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제2 차동 증폭기를 설치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만 제1 차동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제1 차동 증폭기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차동 증폭기를 저소비 전력형의 회로에서 구성하기 때문에, 제2 차동 증폭기에 항상 전원 전압을 공급하여도, 전체로서의 소비 전력은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저항 분압 회로를 설치하기 때문에, 비교 수단의 입력 단자가 부유 상태가 되지는 않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저항 분압 회로의 저항비를 대략 같게 하기 때문에, 양자의 분압 출력 전압이 대략 같아지며 또한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의 임피던스는 제2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의 임피던스보다도 작기 때문에, 제2 저항 분압 회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량 분압 회로 내의 각 캐패시터 소자를 공핍형으로 하기 때문에, PN 접합에 의한 누설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스위치 수단을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임계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저항 분압 회로,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 간으로부터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용량 분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제1 저항 분압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에 의해 내부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복수의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과 접지 간을 용량 결합시켜, 상기 용량 결합에 의해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개시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전압이 생성되어 있는 동안만 상기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동안은 제1 분압 전압을 출력시키지 않고, 제2 분압 출력에 의해 내부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복수의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과 접지 간을 용량 결합시켜, 상기 용량 결합에 의해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제1 분압 전압을 대략 접지 레벨로 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도,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동안은 제1 분압 전압을 출력시키지 않고, 제2 분압 출력에 의해 내부 전압을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
도 3은 연산 증폭기(6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승압 회로의 승압 전압 Vpp와,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과, 전원 제어 회로(6)의 출력 전압 SOSCE와, 인버터의 출력 전압 OSCE와의 전압 파형도.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
도 6은 승압 회로 내의 용량 분압 회로 주변의 회로도.
도 7은 캐패시터 C1'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를 CMOS 구조로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제1 저항 분압 회로에 병렬로 용량 분압 회로를 접속한 강압 회로의 회로도.
도 10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연산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회로(6)를 포함하는 강압 회로의 회로도.
도 11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제2 저항 분압 회로를 추가한 강압 회로의 회로도.
도 12는 종래의 승압 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승압 회로에서 승압된 승압 전압 Vpp, 분압 전압 TAP 및 인버터 IV1의 출력 OSCE의 각 전압 파형도.
도 14는 도 12의 연산 증폭기의 등가 회로도.
도 15는 동작 상태 시의 전압 제어 회로와, 대기 시의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승압 회로의 회로도.
도 16은 종래의 강압 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17은 동작 상태 시의 전압 제어 회로와 대기 시의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강압 회로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1 : 연산 증폭기
2 : 링오실레이터
3 : 차지 펌프
4 : 용량 분압 회로
5 : 제1 저항 분압 회로
6 : 전원 제어 회로
7 : 제2 저항 분압 회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일례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 혹은 전원 전압을 강압하는 강압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승압 전압이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하여 얻어진 내부 전압, 그리고 강압 전압이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강압하여 얻어진 내부 전압을 의미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승압 회로의 대기 상태 시에서의 소비 전력을 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에서는, 도 12와 공통된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승압 회로는 도 12와 마찬가지로, 연산 증폭기(제1 차동 증폭기 ; 1), 인버터 IV1, 링오실레이터(2), 및 차지 펌프(3)를 포함한다. 이 외, 도 1의 승압 회로는 승압 전압 Vpp와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캐패시터 C1, C2로 이루어지는 용량 분압 회로(4), 승압 전압 Vpp와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 R2로 이루어지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 저항 R1, R2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제1 스위치 수단) SW1, 및 용량 분압 회로(4) 및 제1 저항 분압 회로(5)의 각 분압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제2 스위치 수단) SW2를 갖는다.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의 게이트 단자에는 모두 인버터 IV1의 출력 OSCE가 입력된다. 연산 증폭기(1)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링오실레이터(2)와 차지 펌프(3)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에 대응한다.
다음에, 도 1의 승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과 마이너스측 입력 단자의 전압 VBGR은 동일 전압이 된다.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을 넘으면,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플러스 전압이 되며, 인버터 IV1의 출력 OSCE는 로우 레벨이 된다. 따라서,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정지하고, 그에 따라서 차지 펌프(3)는 승압 동작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승압 전압 Vpp의 공급을 받는 도시되지 않는 부하 회로 내의 트랜지스터의 PN 접합 용량으로부터의 누설에 의해 승압 전압 Vpp는 서서히 저하한다.
곧,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은 기준 전압 VBGR보다도 낮아져서,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이 낮아져서 인버터 IV1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 된다. 이에 따라,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개시하고, 그에 따라 차지 펌프(3)도 승압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인버터 IV1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면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온하고,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은 저항 R1, R2의 접속점 TAPR과 동일 전위가 된다. 이와 같이,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은 저항 R1, R2에 의해 승압 전압 Vpp의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을 넘으면,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은 기준 전압 VBGR보다도 커지며 인버터 IV1의 출력 OSCE는 로우 레벨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정지하고, 차지 펌프(3)도 승압 동작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오프하고, 저항 R1, R 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승압 전압 Vpp의 전압 검지는 캐패시터 C1, C2에만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 즉 승압 전압 Vpp의 하강 시에는 캐패시터 C1, C2에 의해 승압 전압 Vpp의 전압 검지가 행해진다. 그리고,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을 하회하면, 인버터 IV1의 출력이 다시 하이 레벨이 되며 차지 펌프(3)는 승압 동작을 재개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를 구성하는 저항 R1, R2 간에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을 설치함과 함께,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에 용량 분압 회로(4)를 접속하고,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 시에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용량 분압 회로(4)만으로 승압 전압 Vpp의 전압 검지를 행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더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한 것이다.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과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의 승압 회로는,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회로(6)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전원 제어 회로(6)는 연산 증폭기(제2 차동 증폭기 ; 61)와,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인버터 IV2를 갖는다. 연산 증폭기(61)는 연산 증폭기(1)에 비하여 동작 속도는 느리지만, 동작 전류가 작아 저소비 전력형의 회로에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61)는 연산 증폭기(1)와 마찬가지로 용량 분압 회로(4)의 분압 전압 TAPC와 기준 전압 VBGR을 비교한다. 다만, 연산 증폭기(1)와 달리 연산 증폭기(61)의 전원 단자에는 항상 전원 전압 Vcc가 공급된다.
도 3은 연산 증폭기(6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4의 연산 증폭기(1)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2의 연산 증폭기(6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3, Q4와 트랜지스터 Q5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Q7을 갖는다. 이 트랜지스터 Q7의 게이트 전압 BIAS를 제어함으로써, 트랜지스터 Q1 ∼ Q4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어 소비 전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승압 회로의 승압 전압 Vpp,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 전원 제어 회로(6)의 출력 전압 SOSCE, 인버터 IV1의 출력 전압 OSCE의 전압 파형도이다.
이하, 도 4의 전압 파형도에 기초하여 도 2의 승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과 기준 전압 VBGR은 동 전위가 된다.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을 넘으면,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높아지며 인버터 IV1의 출력 전압 OSCE는 로우 레벨이 된다. 이에 따라,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정지하고, 차지 펌프(3)도 승압 동작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는 모두 오프하고, 승압 전압 Vpp의 전압 검지는 용량 분압 회로(4)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전압도 하이 레벨이 되며, 인버터 IV2의 출력 전압은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는 전압은 공급되지 않게 되며, 연산 증폭기(1)는 중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뿐만아니라 연산 증폭기(1) 내부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소비 전력을 보다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승압 전압 Vpp가 원하는 전압보다 낮아지면, 전원 제어 회로(6) 내의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전압이 낮아져서, 인버터 IV2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연산 증폭기(1)는 동작을 재개한다. 이 상태에서는 연산 증폭기(1)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링오실레이터(2)는 발진 동작을 개시하고, 그에 따라 차지 펌프(3)는 승압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동시에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온하고,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은 제1 저항 분압 회로(5)의 분압 전압 TAPR와 대략 같은 전압이 된다. 이와 같이,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는 동안은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전류가 흐름과 함께, 연산 증폭기(1)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어, 연산 증폭기(1)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의해 승압 전압 Vpp의 전압 제어를 행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지 않은 동안은 승압 전압 Vpp의 전압 제어를 행하는 연산 증폭기(1)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 보다도 더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며,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전압이 부정이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승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5에서는 도 2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의 승압 회로는 도 2의 회로에 제2 저항 분압 회로(7)를 새롭게 추가한 것이다. 제2 저항 분압 회로(7)는 승압 전압 Vpp와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 R2'를 갖는다.
도 2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의 경우, 차지 펌프(3)가 승압 동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오프되고,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는 캐패시터 C1, C2의 접속점에만 접속된다. 이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는 완전히 부유 상태가 된다.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캐패시터 C1, C2의 용량비에 따른 전압이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에 입력되지만, 실제에서는 노드 TAPC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2의 드레인단의 PN 접합으로부터의 누설에 의해 서서히 전압이 저하하고, 차지 펌프(3)의 동작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로서 대기 상태에서의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캐패시터 C1, C2에 병렬로 저항 R1', R2'를 추가하면, 대기 상태일 때,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전압은 부유 상태가 되지 않게 된다.
저항 R1', R2'의 저항비는 저항 R1, R2의 저항비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된다. 다만, 저항 R1', R2'의 저항치를 저항 R1, R2의 저항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자의 저항치가 후자의 100배이면, 대기 상태 시에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를, 동작 상태 시에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의 100분의 1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용량 분압 회로(4)에 병렬로 제2 저항 분압 회로(7)를 새롭게 설치하기 위해서, 차지 펌프(3)의 비동작 시에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가 부유 상태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스측 입력 단자의 레벨이 변동하지 않게 되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용량 분압 회로(4)를 갖기 때문에, 승압 전압 Vpp가 어떠한 원인으로 급변해도 추종성 좋게 전압 변동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가능해지며 승압 전압 Vpp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5의 제2 저항 분압 회로(7)를 도 1의 회로에 설치해도 된다. 이에 따라, 도 1의 회로에서도 차지 펌프(3)의 비동작 시에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가 부유 상태가 되지 않게 되며 소비 전력을 보다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공핍형의 캐패시터를 설치함으로써 캐패시터의 접속점이 부유 상태가 되어도, 트랜지스터의 PN 접합에 의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승압 회로 내의 용량 분압 회로(4) 주변의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량 분압 회로(4)는 승압 전압 Vpp와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2개의 공핍형의 캐패시터 C1', C2'를 갖는다.
도 7은 캐패시터 C1'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D와 소스 단자 S를 접지 전압으로 함으로써, 드레인 단자와 기판 간의 PN 접합에 의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7의 캐패시터 C2'는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소스 단자를 전원 전압으로 함으로써, PN 접합에 의한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도 6의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를 CMOS 구조로 한 것이다. CMOS 구조로 함으로써,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제1 저항 분압 회로(5)의 저항비에 따른 전압이나 용량 분압 회로(4)의 용량비에 따른 전압을 정확하게 연산 증폭기(1)에 전달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승압 회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강압 회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9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제1 저항 분압 회로(5)에 병렬로 용량 분압 회로(4)를 접속한 강압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의 강압 회로는 연산 증폭기(1), PMOS 트랜지스터 Q8, 강압 전압 Vout과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캐패시터 C1, C2로 이루어지는 용량 분압 회로(4), 강압 전압 Vout과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 R2로 이루어지는 제1 저항 분압 회로(5), 저항 R1, R2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제1 스위치 수단) SW1, 및 용량 분압 회로(4) 및 제1 저항 분압 회로(5)의 각 분압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스위치(제2 스위치 수단) SW2를 갖는다.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의 게이트 단자에는 모두 연산 증폭기(1)의 출력 OSCE가 입력된다.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저항 분압 회로(5)의 분압 전압 TAPR이 기준 전압 VBGR보다도 낮아진다. 그에 따라서,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낮아지며 트랜지스터 Q8은 온한다. 이에 따라, 강압 전압 Vout을 높게 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오프되고, 저항 R1, R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강압 전압 Vout의 전압 검지는 캐패시터 C1, C2에만 의해 행해지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용량 분압 회로(4)를 갖기 때문에, 강압 전압 Vout이 어떠한 원인으로 급변해도 추종성이 우수하도록 전압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보다도 높아지면 저항 분압 회로(5)의 분압 전압 TAPR이 기준 전압 VBGR보다도 높아진다. 그에 따라,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높아지며, 트랜지스터 Q8은 오프된다. 이에 따라, 강압 전압 Vout을 낮게 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도 10의 강압 회로는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회로(6)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0에서는 도 9과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원 제어 회로(6)는 연산 증폭기(제2 차동 증폭기 ; 61)와,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 인버터 IV2를 갖는다. 연산 증폭기(61)는 연산 증폭기(1)에 비하여 동작 속도는 느리지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전류가 적어서 저소비 전력형의 회로로 구성되고 있다. 또한, 연산 증폭기(61)는 연산 증폭기(1)와 마찬가지로, 용량 분압 회로(4)의 분압 전압 TAPC와 기준 전압 VBCR을 비교한다. 다만, 연산 증폭기(1)와 달리 연산 증폭기(61)의 전원 단자에는 항상 전원 전압 Vcc가 공급된다.
도 10에서 정상 상태에서는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 TAPC의 전압과 기준 전압 VBGR은 동일 전위가 된다.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을 넘으면, 연산 증폭기(1)의 출력 전압은 높아지며 트랜지스터 Q8이 오프되고 강압 동작이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는 모두 온되고 강압 전압 Vout의 전압 검지는 저항 분압 회로(5)와 용량 분압 회로(4)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전압도 하이 레벨이 되며 인버터 IV2의 출력 전압은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는 전압은 공급되지 않게 되며, 연산 증폭기(1)는 중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연산 증폭기(1) 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보다 낮아지면 전원 제어 회로(6) 내의 연산 증폭기(61)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며, 인버터 IV2의 출력이 하이 레벨이 되기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전원 단자에 전압이 공급되어 연산 증폭기(1)는 동작을 재개한다. 이 상태에서는 연산 증폭기(1)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8이 온되고 강압 전압 Vout을 높게 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동시에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오프되고 강압 전압 Vout의 전압 검지는 용량 분압 회로(4)에 의해 행해진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압 동작을 행하는 경우는 연산 증폭기(1)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 9의 실시 형태보다도 더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강압 회로는 도 10의 회로에 제2 저항 분압 회로(7)를 새롭게 추가한 것이다. 제2 저항 분압 회로(7)는 강압 전압 Vout과 접지 전압 간에 직렬 접속된 저항 R1', R2'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경우, 강압 전압 Vout이 원하는 전압보다도 낮아지면, 트랜지스터 스위치 SW1, SW2가 모두 오프되고,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는 캐패시터 C1, C2의 접속점에만 접속된다. 이 때문에,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는 완전히 부유 상태가 된다,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캐패시터 C1, C2의 용량비에 따른 전압이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에 입력되지만, 실제로는 노드 TAPC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 스위치 SW2의 드레인단의 PN 접합으로부터의 누설에 의해, 서서히 전압이 저하하고, 트랜지스터 Q8은 온한다. 이에 따라, 강압 전압 Vout을 높게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행하는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로서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버린다.
한편, 도 11과 같이, 캐패시터 C1, C2에 병렬로 저항 R1', R2'를 추가하면,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전압은 부유 상태가 되지 않게 된다.
저항 R1', R2'의 저항비는 저항 R1, R2의 저항비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저항 R1', R2'의 저항치를 저항 R1, R2의 저항치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자의 저항치가 후자의 100배이면, 대기 상태 시에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를 동작 상태 특히 저항 R1, R2에 흐르는 전류의 100분의 1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용량 분압 회로(4)에 병렬로 제2 저항 분압 회로(7)를 새롭게 설치하기 때문에, 강압 전압을 높게 하는 동작 시에 연산 증폭기(1)의 플러스측 입력 단자가 부유 상태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스측 입력 단자의 레벨이 변동하지 않게 되며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도 9와 마찬가지로 용량 분압 회로(4)를 갖기 때문에, 강압 전압 Vout이 어떠한 원인으로 급변해도 추종성이 우수하도록 전압 변동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9 ∼ 도 11의 강압 회로는 링오실레이터(2)와 차지 펌프(3) 대신에 PMOS 트랜지스터 Q8을 갖는 것 외에는, 도 1 등에 도시한 승압 회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강압 회로에서도 칩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이 동작하지 않은 대기 상태 시는 저항 분압 회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용량 분압 회로에 의해 내부 전압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대기 상태 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용량 분압 회로는 전압의 추종성에 있어서 우수하기 때문에, 내부 전압이 급변해도 바로 내부 전압을 원래로 되돌리는 것과 같은 피드백 제어를 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저항 분압 회로, 및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비교 수단
    을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 사이로부터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용량 분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는,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에 전류를 흘리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된 제2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소정의 제1 전압을 넘은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제1 전압과는 다른 소정의 제2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제1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가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고 또한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제1 전압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제2 전압을 넘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에 전류가 흐르도록 상기 제1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고 또한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키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는,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기간 중은 상기 제1 분압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제2 분압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른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제2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동 증폭기는,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제1 분압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제2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의 전원 단자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1 차동 증폭기보다도 저소비 전력형의 회로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3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저항 분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와, 상기 제2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를 대략 같게 하고, 또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저항 소자 각각의 임피던스를 상기 제2 저항 분압 회로 내의 저항 소자 각각의 임피던스보다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승압 회로 내의 각 캐패시터 소자는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수단은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10.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는 내부 전압 생성 수단,
    복수의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각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저항 분압 회로, 및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제어하는 비교 수단
    을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간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패시터 소자 사이로부터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용량 분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의 비동작 기간 중에는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에 전류를 흘리는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제1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된 제2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제1 소정의 전압을 넘은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제1 소정 전압과는 다른 제2 소정의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 내의 각 저항 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제1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1 저항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와 상기 용량 분압 회로의 분압 출력 단자가 차단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을 전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12.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복수의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과 접지 간을 용량 결합시켜, 상기 용량 결합에 의해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은 기준 전압과 상기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이 행하고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개시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전압이 생성되어 있는 동안만 상기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제1 소정의 전압을 넘은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제1 소정 전압과는 다른 제2 소정의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분압 전압의 출력을 대략 접지 레벨로 하고,
    상기 대략 접지 레벨이 된 제1 분압 전압과 상기 용량 결합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제1 소정 전압 이하인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제2 소정 전압을 넘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분압 전압을 상기 저항비로 분압한 전압으로 하고,
    상기 저항비로 분압한 전압이 된 제1 분압 전압과 상기 용량 결합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저항비로 분압한 전압이 된 제1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 동작을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제어 방법.
  14.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내부 전압을 복수의 저항 소자의 저항비로 분압한 제1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내부 전압과 접지 간을 용량 결합시켜서, 상기 용량 결합에 의해 제2 분압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생성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상기 제1 분압 전압을 대략 접지 레벨로 하고,
    상기 기준 전압과 상기 제2 분압 전압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전압 생성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한 내부 전압이 소정의 제1 전압을 넘은 경우 또는 상기 전원 전압을 강압한 내부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제1 전압과는 다른 소정의 제2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분압 전압의 출력을 상기 대략 접지 레벨로 하고,
    상기 대략 접지 레벨이 된 제1 분압 전압과 상기 용량 결합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압 제어 방법.
KR10-2000-0055156A 1999-09-20 2000-09-20 반도체 장치 KR10042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66144 1999-09-20
JP26614499A JP3773718B2 (ja) 1999-09-20 1999-09-20 半導体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36A true KR20010050536A (ko) 2001-06-15
KR100427204B1 KR100427204B1 (ko) 2004-04-17

Family

ID=1742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156A KR100427204B1 (ko) 1999-09-20 2000-09-20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59612B1 (ko)
JP (1) JP3773718B2 (ko)
KR (1) KR100427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186A (zh) * 2019-06-14 2019-09-20 思力科(深圳)电子科技有限公司 低漏电流充电泵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6153B2 (en) * 2000-05-04 2002-09-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gulated power supply including a charge pump with sampled feedback
JP3726041B2 (ja) 2001-07-24 2005-12-1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昇圧回路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687597B2 (ja) * 2001-11-30 2005-08-2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6717458B1 (en) * 2001-12-03 2004-04-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C-DC charge pump voltage converter-regulator circuit
US7002381B1 (en) * 2001-12-11 2006-02-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Switched-capacitor controller to control the rise times of on-chip generated high voltages
US6693473B2 (en) * 2002-03-19 2004-02-17 Infineon Technologies Ag Delay lock loop having a variable voltage regulator
JP2004236432A (ja) 2003-01-30 2004-08-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WO2004075202A1 (ja) * 2003-02-24 2004-09-02 Fujitsu Limited 電圧検出回路、半導体装置、及び電圧検出回路の制御方法
US7081776B2 (en) 2003-02-24 2006-07-25 Spansion Llc Voltage detection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voltage detection circuit
EP1492218B1 (en) * 2003-06-24 2006-03-29 STMicroelectronics S.r.l. Low-consumption regulator for a charge pump voltage generator
CN1307720C (zh) * 2003-06-27 2007-03-28 富士通株式会社 半导体集成电路
KR100564575B1 (ko) * 2003-09-23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제어 부스팅 장치, 부하량에 따라 자동적으로부스팅을 결정하고 커패시터 수가 적은 부스팅 파워시스템 및 그 방법
US7061308B2 (en) * 2003-10-01 2006-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oltage divider for integrated circuits
ITMI20031924A1 (it) * 2003-10-07 2005-04-08 Atmel Corp Convertitore da digitale ad analogico ad alta precisione con consumo di energia ottimizzato.
KR100521385B1 (ko) * 2003-12-15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전압 발생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129771B1 (en) * 2003-12-23 2006-10-31 Transmeta Corporation Servo loop for well bias voltage source
US7012461B1 (en) 2003-12-23 2006-03-14 Transmeta Corporation Stabilization component for a substrate potential regulation circuit
US7649402B1 (en) 2003-12-23 2010-01-19 Tien-Min Chen Feedback-controlled body-bias voltage source
JP4263650B2 (ja) * 2004-03-31 2009-05-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昇圧回路
KR100680503B1 (ko) * 2004-11-08 2007-0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전압 발생기
US7621463B2 (en) * 2005-01-12 2009-11-24 Flodesign, Inc. Fluid nozzle system using self-propelling toroidal vortices for long-range jet impact
US7737765B2 (en) * 2005-03-14 2010-06-15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Fast start charge pump for voltage regulators
US7362084B2 (en) * 2005-03-14 2008-04-22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Fast voltage regulators for charge pumps
US7233192B2 (en) * 2005-04-06 2007-06-19 Saifun Semiconductors Ltd On/off charge pump
KR100821570B1 (ko) 2005-11-29 2008-04-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발생 장치
US20070126494A1 (en) * 2005-12-06 2007-06-07 Sandisk Corporation Charge pump having shunt diode for improved operating efficiency
US7362143B2 (en) * 2005-12-09 2008-04-22 Analog Devices, Inc. Circui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upply voltage and providing an indication when the supply voltag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US7372320B2 (en) * 2005-12-16 2008-05-13 Sandisk Corporation Voltage regulation with active supplemental current for output stabilization
US20070139099A1 (en) * 2005-12-16 2007-06-21 Sandisk Corporation Charge pump regulation control for improved power efficiency
JP4843472B2 (ja) * 2006-03-13 2011-12-21 株式会社東芝 電圧発生回路
US20070229149A1 (en) * 2006-03-30 2007-10-04 Sandisk Corporation Voltage regulator having high voltage protection
JP4895694B2 (ja) * 2006-06-08 2012-03-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源回路
JP2008005374A (ja) * 2006-06-26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ストリーム対応マルチプレクサ及びデマルチプレクサシステム
US7554311B2 (en) * 2006-07-31 2009-06-30 Sandisk Corporation Hybrid charge pump regulation
US7368979B2 (en) 2006-09-19 2008-05-06 Sandisk Corporation Implementation of output floating scheme for hv charge pumps
KR100842744B1 (ko) * 2006-11-20 2008-07-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조절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압펌핑장치
WO2008083292A1 (en) 2007-01-01 2008-07-10 Sandisk Corporation Generation of analog voltage using self-biased capacitive feedback stage
US7902907B2 (en) * 2007-12-12 2011-03-08 Micron Technology, Inc. Compensation capacitor network for divided diffused resistors for a voltage divider
CN101952955B (zh) * 2007-12-14 2014-03-05 富士电机株式会社 集成电路和半导体器件
US7880531B2 (en) * 2008-01-23 2011-02-01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able voltage regulation
JP2010124590A (ja) * 2008-11-19 2010-06-03 Seiko Instruments Inc 昇圧回路
KR101511160B1 (ko) * 2009-01-06 201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지 펌프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압 변환 장치
JP2010278277A (ja) * 2009-05-29 2010-12-09 Elpida Memory Inc 内部電源回路、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87670B2 (ja) * 2010-11-01 2012-12-05 株式会社東芝 電圧発生回路
KR20120121590A (ko) * 2011-04-27 2012-11-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내부전압 생성회로
JP5597655B2 (ja) * 2012-01-30 2014-10-01 株式会社東芝 電圧発生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US8830776B1 (en) * 2013-03-15 2014-09-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Negative charge pump regulation
KR101985953B1 (ko) * 2013-06-17 2019-06-0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펌핑 회로
CN103389771B (zh) * 2013-07-26 2016-08-1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低功耗电压调节电路
US20150145591A1 (en) * 2013-11-22 2015-05-28 Atmel Corporation Charge pump with reduced current consumption
US8917136B1 (en) * 2014-01-10 2014-12-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harge pump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CN104122920B (zh) * 2014-03-18 2016-01-20 西安电子科技大学 可配置片上低压差线性稳压器
US9577626B2 (en) 2014-08-07 2017-02-21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switches
US9467124B2 (en) * 2014-09-30 2016-10-11 Skyworks Solutions, Inc. Voltage generator with charge pump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CN104467405A (zh) * 2014-12-30 2015-03-25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电荷泵电路和存储器
JP2016208460A (ja) * 2015-04-28 2016-12-08 株式会社東芝 昇圧回路および固体撮像装置
CN105119485B (zh) * 2015-09-06 2018-04-03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荷泵电路
JP6577348B2 (ja) 2015-11-26 2019-09-18 ローム株式会社 同期整流型dc/dcコンバータ
CN105515370B (zh) * 2016-01-27 2018-06-29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电荷泵电路及存储器
JP6594797B2 (ja) * 2016-02-26 2019-10-23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CN107294376B (zh) 2016-03-30 2020-08-07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电荷泵稳压器及存储器、物联网设备
JP6817053B2 (ja) * 2016-12-13 2021-01-2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及び昇圧回路
GB2558237A (en) * 2016-12-22 2018-07-11 Nordic Semiconductor Asa Voltage dividers
DE102016125757A1 (de) * 2016-12-28 2018-06-28 Infineon Technologies Ag Ladungspump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dungspumpenanordnung
CN107993689A (zh) * 2017-12-13 2018-05-04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降低功耗的分压检测电路
US10804797B1 (en) * 2019-02-25 2020-10-13 Inphi Corporation High-speed linear charge pump circuits for clock data recovery
US10872674B1 (en) * 2019-12-20 2020-12-22 Micron Technology, Inc. Regulation of voltage generation systems
CN112187041B (zh) * 2020-09-08 2022-05-2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电荷泵电路的待机电压调节方法
JP7431766B2 (ja) 2021-02-25 2024-02-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分圧回路、負帰還回路、及び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CN113515159B (zh) * 2021-04-23 2022-11-01 恒烁半导体(合肥)股份有限公司 一种自适应低功耗高压保持系统及应用
US11530947B1 (en) * 2021-07-08 2022-12-20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Linear regulation of SPAD shutoff volta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0422B2 (ja) * 1993-02-10 1996-05-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icチップ内蔵用の降圧回路
JP3071600B2 (ja) * 1993-02-26 2000-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292417B2 (ja) * 1994-02-15 2002-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510335B2 (ja) * 1994-07-18 2004-03-29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内部電源電圧発生回路、内部高電圧発生回路、中間電圧発生回路、定電流源、および基準電圧発生回路
US5818289A (en) * 1996-07-18 1998-10-06 Micron Technology, Inc. Clocking scheme and charge transfer switch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charge pump or other circuit
US5796296A (en) * 1996-10-07 1998-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bined resistance-capacitance ladder voltage divider circuit
TW404063B (en) * 1997-02-27 2000-09-01 Toshiba Corp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pparatus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6107862A (en) * 1997-02-28 2000-08-22 Seiko Instruments Inc. Charge pump circuit
US5835420A (en) * 1997-06-27 1998-11-10 Aplus Flash Technology, Inc. Node-precise voltage regulation for a MOS memory system
JP3497708B2 (ja) 1997-10-09 2004-02-1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KR19990069223A (ko) * 1998-02-05 1999-09-06 윤종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발생 회로
US6066943A (en) * 1998-10-08 2000-05-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pacitive-summing switch-mode power conversion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6186A (zh) * 2019-06-14 2019-09-20 思力科(深圳)电子科技有限公司 低漏电流充电泵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95234A (ja) 2001-04-06
US6259612B1 (en) 2001-07-10
JP3773718B2 (ja) 2006-05-10
KR100427204B1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204B1 (ko) 반도체 장치
KR100285184B1 (ko) 승압 회로 및 반도체 기억 장치
US10503189B1 (en) Voltage regulator and dynamic bleeder current circuit
KR100483298B1 (ko) 차지 펌프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의 동작방법
US6075404A (en) Substrate bias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4559643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及びチャージ・ポンプ回路
US8018214B2 (en) Regulator with soft-start using current source
US6912159B2 (en) Boosting circuit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980011440A (ko) 반도체 기판용 전하 펌프
JP5566568B2 (ja) 電源電圧発生回路
KR100218078B1 (ko) 외부전원전압의 변동이나 환경온도의 변화에 대한 출력전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기판전위발생회로
US7642760B2 (en) Power supply circuit
JP3293577B2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昇圧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3652950B2 (ja) 電圧変換回路及び電圧変換回路の制御回路
US527879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5114291A (ja) 基準電圧発生回路
US5604671A (en) Charge pump circuit for boosting voltage
US20010046165A1 (en) Low-consumption charge pump for a nonvolatile memory
US20090168556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generating back-bias voltage with variable driving force
JP3920467B2 (ja) 半導体装置
KR20030058272A (ko) 파워-업 신호 발생 장치
JPH09312095A (ja) 半導体集積回路
KR20180076192A (ko) 차지 펌프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전압 발생 장치
KR100265609B1 (ko) 주기변환형 고전압 발생장치
JPH05336736A (ja) 半導体集積回路の内部電圧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