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194A - 항바이러스제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194A
KR20010034194A KR1020007007830A KR20007007830A KR20010034194A KR 20010034194 A KR20010034194 A KR 20010034194A KR 1020007007830 A KR1020007007830 A KR 1020007007830A KR 20007007830 A KR20007007830 A KR 20007007830A KR 20010034194 A KR20010034194 A KR 2001003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
cis
urea
cyclopropy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445B1 (ko
Inventor
크리스터 잘베르크
롤프 노렌
마리타 회그베르크
페르 엔젤하르트
Original Assignee
요나스 프릭
메디비르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800116A external-priority patent/SE9800116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800113A external-priority patent/SE9800113D0/xx
Application filed by 요나스 프릭, 메디비르 아베 filed Critical 요나스 프릭
Publication of KR2001003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5Amino or imino radicals, acylated by carboxylic or carbonic acids, or by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e.g. carbam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1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4Nitriles
    • C07D213/85Nitriles in position 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프로드러그는 항바이러스제 활성을 지닌다.
<화학식 1>
식 중, Rx는 시아노 또는 브롬이고, R1은 할로이고, R2는 알킬이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제 {Antivirals}
HIV 치료에서 HIV 역전사효소를 저해하는데 있어 임상적으로 관련된 활성을 나타내는 약제의 대부분은 뉴클레오시드의 유사체, 예를 들어 AZT, ddI, ddC 및 D4T이다. 이러한 뉴클레오티드의 유사체는 목적하는 만큼 특이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투여량 수준으로 투여해야 한다. 이 투여량 수준에서, 뉴클레오시드의 유사체는 다소 독성을 띠므로 그의 장기간 사용은 제한된다.
이러한 특이성 및 독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HIV 역전사효소에 대한 많은 비뉴클레오티드성 저해제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얀센(Janssen)사가 개발한 역전사효소인 TIBO는 나노몰 농도에서 HIV를 저해하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TIBO 및 비뉴클레오티드성 역전사효소 저해제인 네비라핀은 모두 환자에 대한 임상 2상 실험을 빨리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비뉴클레오시드성 저해제는 각 저해제의 통상의 투여량에 내성이 있는 생체내 HIV 돌연변이체를 금새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곧 드러났다. 네비라핀의 경우, 예를 들어 치료후 4주 만에 환자의 혈청으로부터 단리한 바이러스는 치료받지 않은 환자로부터 단리한 바이러스에 비해 약물에 대한 감응성이 100배 적었다[Drug Design & Discovery 1992 8 pp 255-263]. 임상 실험 단계에 진입한 다른 비뉴클레오시드성 RT 저해제인 머크(Merck)사의 L-697661 및 업죤(Upjohn)사의 델라버딘(delavirdine)(U-87201)의 경우에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났는데, 즉 우수한 시험관내 활성을 지닌 상기 제제를 환자에게 투여하자 내성이 있는 HIV 돌연변이체가 빠르게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네비라핀 및 델라버딘은 최근에 임상용으로 등록되었는데 내성 증가를 막기위해 특수한 병행투여 요법에 한정되어 있다.
국제 특허 출원 번호 제WO95/06034호에는 HIV 역전사효소에 대한 우수한 시험관내 활성 및 세포 배양물에서 HIV 복제에 대한 우수한 저해를 나타내는 신규 우레아계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 공개 제WO95/06034호에 공개된 화합물의 실제적인 사용은 그의 불량한 약물동태학적 성능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많은 비뉴클레오시드성 역전사효소 저해제와 같이, 국제 공개 제WO95/06034호에 공개된 화합물도 다른 항바이러스 요법에 의해 생성된 HIV 돌연변이체에 대한 느린 내성 발생 및 유리한 활성 패턴이라는 중요한 파라메타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외베르크(Oberg) 등의 포스터[1995 ICAR at Santa Fe]에는 특히 상기 언급된 국제 공개 제WO95/06034호에 이름이 개시된 하기 화학식의 라세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때, 상기 나타낸 화합물은 메톡시/아세틸기 함유 페닐 고리를 지닌 티오우레아 변형체보다 덜 흥미로운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이르러 다른 치환 형태가 이러한 상기 선행 기술의 화합물에 비해 우수한 약물동태학적 성능 및 바이러스 내성 발생 시간의 연장과 함께 개선된 내성 패턴을 나타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선행 기술의 저해제에는 없는 임상적 실용성과 비뉴클레오시드성 저해제의 우수한 특이성을 겸비한 저해제를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프로드러그가 제공된다.
식 중, R1은 할로이고, R2는 C1-C3알킬이고, Rx는 시아노 또는 브롬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HIV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HIV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법, 예를 들어 HIV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용도도 포함한다.
HIV에 의해 유발된 증상의 치료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nM의 혈장 수준을 달성하는 양으로 투여된다. 상기 투여량은 약 0.01 내지 10 mg/kg/일,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mg/kg/일의 투여율에 상응하며 조제물의 생체이용률에 따라 결정된다. 정상 성인에 대한 전형적인 투여율은 하루에 1 내지 4회 복용으로 약 0.05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g, 예를 들어 500 내지 750 mg일 것이다.
특히, 약물동태학에 대한 청구항 제1항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하위군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프로드러그는 하기 구조식 1a를 갖는다.
식 중,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특히 프로드러그 형성이 용이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다른 하위군에는 Rx가 브롬인 화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R1은 클로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이다. 적합한 R2기에는 메틸, 이소프로필, n-프로필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에틸이 포함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시클로프로필 고리는 시스 배열이고, 두가지 거울상 이성질체, 즉 1S,2S 및 1R,2R(SE 980016-7 및 SE 9800113-4에서 각각 통상의 방식과 달리 2R,lS 및 2S,1R로 표시됨)이 가능하다.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는 물리적 특성에서 미세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지만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 각각은 강력한 항레트로바이러스제이다. 예를 들어 1S,2S 및 1R,2R 거울상 이성질체는 P450계 내에서 다른 대사 패턴을 보일 수 있다. Rx가 시아노인 화합물의 1S,2S 거울상 이성질체는, 그가 P450계의 중요한 성분이 없어도 되는 유일한 것이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레트로바이러스제, 예를 들어 HIV 프로테아제 저해제인 리토나버는 P450계와 광범위하게 상호작용하여 다른 병행 투여 약물의 대사를 광범위하게 변형시키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일련의 생리적 반응을 일으킨다. 이는 특히 환자가 수십년은 아니더라도 수년 동안 많은 약제를 복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성 감염에 투여되는 약제에 있어 문제거리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적합한 프로드러그에는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식 중,
R1, R2및 R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3은 H, (CHm)nNR5R6이고, R4는 H, C1-C3알킬, (CHm)nNR5R6, (CHm)nC(=O)R5, (CHm)nOH, OR7, 할로, CF3또는 CN이거나, 또는 R3및 R4가 함께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치환기수가 0 내지 2인 5 또는 6원 융합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C1-C3알킬, C(=O)R7또는 아미노산수가 1 내지 4인 펩티드이고, R6은 H, C1-C3알킬이거나, 또는 R5및 R6이 함께 추가의 헤테로 원자수가 0 또는 1이고(이거나)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치환기수가 0 내지 2인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R7은 H, C1-C12알킬, (CHm)nNR5R6이고, X 및 그를 포함하는 고리는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3이고(이거나) S, O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3인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m은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고, n은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다.
Rx가 클로로인 화합물의 상응하는 프로드러그는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을 이룬다.
하기에서 X 함유 고리 구조는 X-고리로 언급되며, 포화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 특징을 지닌 고리를 비롯한 불포화 결합수 1 내지 3의 고리이다. 바람직한 X-고리에는 시클로헥사닐 또는 시클로헥세닐 고리가 포함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닐 고리가 포함된다. 다른 바람직한 X-고리에는 모르폴리노 고리가 포함되거나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리딜 고리가 포함된다. 또는, X-고리는 5원 고리, 예를 들어 펜테닐 또는 피롤릴을 형성할 수 있다.
R3및 R4가 결합하여 임의로 헤테로-함유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X-고리에 적합한 융합 고리계에는 나프틸, 퀴놀릴,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인돌릴 또는 벤즈이미다졸 고리계가 포함된다. R4및 R5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X-고리에 적합한 치환체 고리에는 모르폴리노 및 피페리디노 고리가 포함된다. 이러한 융합 또는 치환체 고리는 할로, 할로메틸, 아미노, 예를 들어 (CHm)nNR5R6, C(=O)NR5R6,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시, 카르복시메틸, C1-3알킬, C1-3알콕시 등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X-고리는 인접한 카르보닐 잔기와의 사이에 치환체, 예를 들어 할로, 할로메틸, 아미노, 아미노메틸, 히드록시, 히드록시메틸, 카르복시, 카르복시메틸, C1-3알킬, C1-3알콕시 등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 또는 에틸렌기가 있을 수 있다. X-고리는 카르보닐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X-고리계, R3, R4및 존재한다면 R5내지 R7로 표시되는 잔기가 약 염기성인 특징을 지닌다. X-고리, 예를 들어 피리딜 또는 벤조피리딜과 같은 염기성인 헤테로고리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선택 또는 부가적으로, R3내지 R7중 1개 이상은 염기성 치환체, 예를 들어 1급, 2급 또는 3급 아민을 포함하거나, 아미노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R3및(또는) R4기에는 NH2, N(CH2)2및 NHC1-C3알킬, 예를 들어 NHCH3또는 NHCH2CH3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R3은 특히 X-함유 고리가 페닐인 경우 카르보닐 및 그의 임의적 스페이서에 대해 메타 위치에 있거나 또는 R3은 X-함유 고리가 헤테로방향족, 예를 들어 피리드-3-일일 때 파라 위치에 있다. 일반적으로 p 및(또는) n에 대해 바람직한 값은 0으로, 즉 각 기가 없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 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 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다른 화합물에는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이로운 화합물에는
(1R,2R)-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 -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 -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 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l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다른 이로운 화합물에는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에는
(1S,2S)-N-[시스-2-(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다른 화합물에는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부티릴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아세틸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적합한 염에는 유기 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락트산, 글루콘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말산, 판토텐산, 이세티온산, 옥살산, 락토비온산 및 숙신산의 염이 포함되고, 유기 술폰산, 예를 들어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클로로벤젠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의 염이 포함되며, 무기산, 예를 들어 염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인산 및 술팜산의 염이 포함된다.
HIV 저해제를 통상적으로 계속 사용하는데 있어서, 항바이러스제 1가지 내지 3가지를 추가로 병행 투여하여 상승 작용을 제공하고 보완적인 내성 패턴을 보장하는 것이 이롭다. 이러한 추가의 항바이러스제에는 AZT, ddI, ddC, D4T, 3TC, 아바카버(abacavir), 아데포버(adefovir), 아데포버 디피복실(adefovir dipivoxil), bis-POC-PMPA, 포스카넷(foscarnet), 히드록시우레아, 획스트 바이엘(Hoechst-Bayer) HBY 097, 에파버렌쯔(efavirenz), 트로버딘(trovirdine), 네비라핀(nevirapine), 델라비리딘(delaviridine), PFA, H2G, ABT 606, DMP-450, 로비리드(loviride), 리토나버(ritonavir), 사퀴나버(saquinavir), 인디나버(indinavir), 암프레나버(amprenavir)(Vertex VX 478), 넬피나버(nelfinavir) 등을 통상적으로 그의 각각의 활성 및 생체이용률을 반영하는 몰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율은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해 약 25:1 내지 1:25일 것이다.
활성 물질을 단독으로 투여할 수도 있지만, 약제 제형의 일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형에는 상기 정의된 활성 물질과 함께 1종 이상의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다른 치료제 성분이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담체는 제형의 다른 성분과의 배합가능성 면에서 허용되는 것이어야 하며 환자에게 해로워서는 안된다.
이러한 제형에는 경구 투여, 직장 투여, 비강 투여, 국소 투여(구강 투여 및 설하 투여를 포함), 질내 투여를 포함하거나 또는 비경구 투여(피하 투여, 근육내 투여, 정맥 투여 및 피부내 투여를 포함)에 적합한 것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형은 편리하게는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어 정제 및 서방성 캅셀제로 제공될 수 있고 조제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는 상기 정의된 활성 물질을 담체와 합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활성 물질을 액체 담체 또는 미분 고체 담체 또는 둘다와 균일하게 잘 혼합한 다음, 필요하다면 생성물을 제제화하여 이러한 제형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제형은 각각 활성 물질을 미리 결정된 양으로 포함하는 낱개 단위 약제, 예를 들어 캅셀제, 카세제 또는 정제로 제공될 수 있고, 분말제 또는 과립제로 제공될 수 있고, 수성 액체 또는 비수성 액체 중 활성 물질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수중유적형 액체 에멀젼 또는 유중수적형 액체 에멀젼 및 환괴(bolus)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예를 들어 정제 및 캅셀제)에 대해, 적합한 담체라는 용어의 의미는 비히클, 예를 들어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결합제, 예를 들어 시럽, 아카시아검, 젤라틴, 소르비톨, 트라가칸쓰, 폴리비닐피롤리돈(Povidone),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수크로스 및 스타치를 포함하고, 충전제 및 담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젤라틴, 락토스, 수크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카올린, 만니톨, 디칼슘 포스페이트, 염화나트륨 및 알긴산을 포함하며,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다른 금속성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실리콘 유체, 활석 왁스, 오일 및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포함한다. 향미제, 예를 들어 박하유, 윈터그린유, 체리 향미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를 첨가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투여 형태를 만드는 것은 바람직할 수 있다.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정제를 코팅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에 편리한 담체는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 형태의 액체 제형을 포함하고, 임의로 캅셀에 싸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제형에는 아카시아검/트윈(TWEEN)/물, 트윈/물, 프로필렌 글리콜, 10 내지 20 %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식물성유(예를 들어 땅콩유, 홍화유, 올리브유 등), 식물성유/카프물(Capmul)MGM, 카프물 MCM/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물, 식물성유/글리세롤의 스테아로일 모노에스테르, 식물성유/글리세롤의 단일 불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임의로 1종 이상의 부가 성분을 압축하거나 또는 성형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기계로 자유 유동성 형태의 활성 물질, 예를 들어 분말제 또는 과립제를 압축하여 압축된 정제를 제조할 수 있고 임의로 결합제, 윤활제, 불활성 희석제, 보존제, 표면-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혼합할 수 있다. 적합한 기계로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습윤된 분말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정제를 임의로 코팅하거나 또는 정제에 새김눈을 낼 수 있고 제제화하여 서방성 또는 방출 조절형 활성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는 향미 베이스, 통상적으로 수크로스 및 아카시아검 또는 트라가칸쓰 중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로젠지가 포함되고, 불활성 베이스, 예를 들어 젤라틴 및 글리세린 중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향정이 포함되며, 적합한 액체 담체 중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양치질 약이 포함된다.
피부의 국소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연고제, 크림제, 겔제, 및 활성 물질과 제약상 활성인 담체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로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인 국소 전달계는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피 패취이다. 다른 국소 제형에는 침투 과정, 예를 들어 주사 또는 모세혈관 혈액 샘플링 전에 피부에 활성 물질을 방출시키는 방부성 면봉(antiseptic swab)이 포함된다. 이러한 면봉은 침투 과정에서 방출된 혈액 또는 혈청 중의 HIV를 중화시키므로 주사바늘 감염을 통해 HIV가 의료종사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면봉은 휘발성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중 활성 물질의 용액에 적시고 밀봉된 주머니에 팩킹시킨 무균 수술용 거즈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직장 또는 질내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비롯한 적합한 베이스를 지닌 좌제 또는 페사리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질용 제제는 활성 물질 외에 당업계에서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담체를 포함하는 탐폰, 크림제, 겔제, 페이스트, 포말제 또는 분무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담체가 고체인, 비강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입도가 예를 들어 2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이고 비흡입 방식, 즉 코 가까이에 댄 분말의 컨테이너로부터 빠른 흡입에 의해 투여되는 거친 분말을 포함한다. 담체가 투여용 액체, 예를 들어 비강 분무제 또는 비강 점적제인 적합한 제형은 활성 물질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에는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 발육 저지제, 및 제형을 목적하는 투여대상의 혈액과 등장이 되게 하는 용질을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주사 용액이 포함되고, 현탁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무균 현탁액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형은 1회 투여용 또는 수회 투여용 컨테이너, 예를 들어 밀봉 앰플 또는 바이알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무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수를 첨가만 하면되는 동결-건조(lyophilized)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종류의 무균 분말제, 과립제 및 정제로부터 즉석의 주사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화학식
(식 중,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히드록시-보호기임)의 화합물을 커티우스 전위 반응(Curtius rearrangement)시킨 다음, 화학식(식 중, R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을 결합시키고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특히 그의 시스 거울상 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화학식 3의 활성화 화합물로 아실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 중, R3, R4, X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임의로 보호되고, R8은 수소 또는 통상의 활성기이다.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 화학식 3a의 화합물로 알킬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식 중, n, R3, R4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노출된 아민, 히드록시 등의 치환체는 통상의 보호기로 보호된다.
따라서, 하기 반응식에 의해 화학식 1의 거울상 이성질체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1S,2S) 화합물의 제조에 관한 설명이다(여기서, Rx는 시아노이고, R1은 F이고 R2는 에틸이나, 같은 방법을 다른 Rx, R1및 R2변형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네번째 단계에 제시된 키랄 리간드는 예를 들어 화학식
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1R,2R 거울상 이성질체를 제조하기 위해, 그의 거울상 키랄 리간드를 사용하였다. 또는, 라세미체를 형성하기 위해 키랄 리간드를 생략할 수도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의 활성화 화합물로 아실화하여 화학식 2(여기서, p는 0임)의 프로드러그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3>
식 중, R3, R4, X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임의로 보호되고, R8은 수소 또는 통상의 활성기이다.
화학식 3의 활성화 화합물에는 결합 시약, 예를 들어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존재 하에 할로겐 산, 산 무수물, 활성 산 에스테르 또는 그의 산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활성 산 유도체에는 산 염화물, 포름산 및 아세트산 유래의 혼합된 무수물, 할로겐화 알콕시카르보닐, 예를 들어 이소부틸옥시카르보닐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되고, N-히드록시숙신아미드 유래의 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유래의 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사미드 유래의 에스테르, 2,4,5-트리클로로페놀 유래의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화학식 3의 화합물, 특히 임의 구성 아민의 적합한 임의 보호기에는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의 N-말단을 보호하거나 또는 합성 과정 동안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에 대해 아미노기를 보호하도록 의도된 기가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N 보호기는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그린(Greene)의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John Wiley & Sons, New York, 1981)]에 개시되어 있다. N-보호기에는 아실기, 예를 들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피발로일, t-부틸아세틸, 2-클로로아세틸, 2-브로모아세틸, 트리플루오르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프탈릴, o-니트로페녹시아세틸, α-클로로부티릴, 벤조일, 4-클로로벤조일, 4-브로모벤조일, 4-니트로벤조일 등이 포함되고, 술포닐기, 예를 들어 벤젠술포닐, p-톨루엔 술포닐 등이 포함되고, 카바메이트 형성기, 예를 들어 벤질옥시카르보닐, p-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2-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p-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3,4-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4-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2-니트로-4,5-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3,4,5-트리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1-(p-비페닐릴)-1-메틸에톡시카르보닐, α,α-디메틸-3,5-디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 t-부톡시카르보닐, 디이소프로필메톡시카르보닐,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 알릴옥시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4-니트로페녹시카르보닐, 플루오레닐-9-메톡시카르보닐, 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페닐티오카르보닐 등이 포함되며, 알킬기, 예를 들어 벤질, 트리페닐메틸, 벤질옥시메틸 등이 포함되고, 실릴기,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N-보호기에는 포르밀, 아세틸, 벤조일, 피발로일, t-부틸아세틸, 페닐술포닐, 벤질, t-부톡시카르보닐(BOC) 및 벤질옥시카르보닐(Cbz)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에스테르화 조건,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 포름아미드 또는 피리딘 중 예를 들어 DMAP 및 DCC로 아실화가 수행된다. 임의적인 보호기를 상기 그린의 문헌에 포괄적으로 개시된 통상의 기술, 예를 들어 촉매 존재 하의 TFA, HCl(수성)/디옥산 또는 수소첨가 반응으로 임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화학식 3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통상의 알킬화 조건 하에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요오드클로로메탄 또는 혼합된 디클로로/요오드클로로메탄과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여기서, p는 1임)을 제조할 수 있다.
식 중, n, R3, R4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노출된 아민, 히드록시 등의 치환체는 통상의 보호기로 보호된다. 그 후에,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NaI와 반응시킨 다음, 통상의 염기성 조건, 예를 들어 수소화 나트륨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 하에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시켜 상응하는 요오드 유도체로 전환시킨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여러 측면을 참고로 하기 실시예 및 도면에 예로 설명할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생물학적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화합물과 비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시간에 따른 내성 발생 속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생물학적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선행 기술의 화합물을 랫트에 경구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장 수준을 나타낸다.
도 3은 생물학적 실시예 10에 기재된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방법(surface plasmon resonance methodology)으로 분석한 결과의, 선행 기술의 화합물과 비교한 역전사효소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결합 동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제 분야, 특히 HIV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HIV를 저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벤즈알데히드
실온에서 5분에 걸쳐 3-플루오로페놀(22.4 g, 0.2 mol), 피리딘(24 ml, 0.3 mol) 및 디클로로메탄(200 ml)의 용액에 염화 프로피오닐 20 ml(0.225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은 발열반응이었다. 추가로 30분 동안 이 용액을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한 다음, 유기상을 포화 NaHCO3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MgSO4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시켰다. 3-플루오로-l-프로피오닐옥시벤젠 33.8 g(100 %)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150 ℃에서 10분 동안 AlCl333.3 g(0.25 mol)과 반응시켰다. 물로 주의하여 켄칭한 후에, 이 반응 혼합물을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에테르상을 건조하고(MgSO4) 증발시켜 재배열된 생성물 29.5 g(0.176 mol, 88%)을 얻었다. 이 중간체를 아세톤 200 ml 중에 용해시키고 K2CO3(42, 0.3 mol) 및 MeI(25 ml, 0.4 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40 ℃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아세톤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테르 중에 용해시키고 에테르상을 0.5 M NaOH 용액 및 물로 세척하였다. 건조(MgSO4) 및 증발시켜 4-플루오로-2-메톡시프로피오페논 31.2 g(0.17 mol, 3단계 동안 수율 86 %)을 얻었다.
벤젠(300 ml) 중 4-플루오로-2-메톡시프로피오페논(31.2 g, 0.171 mol), 에틸렌 글리콜(10.5 ml, 0.188 mol)의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 1 g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딘-스탁 장치(Dean-Stark apparatus)로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냉각 후에, 유기상을 1 M NaOH 용액으로 수회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및 K2CO3). 용매를 증발시키고 아세탈 약 38 g을 얻었다. 모세관 GC의 순도는 88 %였고 불순물은 원래 반응하지 않은 케톤이었다. -65 ℃에서 질소 하에 TMF(450 ml) 중 아세탈의 용액에 2.5 M n-BuLi 128 ml(0.32 mol)를 적가하였다. 온도를 약 -65 ℃로 유지하면서, THF(50 ml) 중 DMF(25 ml, 0.32 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에 도달케 하였고, GC에서 약 30분 후에 출발 물질은 남아있지 않았다. 추가로 l시간 후에, 이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용액으로 켄칭하고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건조(Na2SO4)한 다음,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머크(Merck)사에서 구입한 실리카 겔 60, 입도 0.04 내지 0.063 mm) 상 EtOAc 1 및 헥산 9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 10 g(25 %)을 얻었다.
1H NMR(CDCl3) δ0.85(t, 3H), 2.1(q, 2H), 3.8-3.95(m, 2H), 3.97(s, 3H), 4.0-4.15(m, 2H), 6.9(t, 1H), 7.7-7.8(m, 1H), 10.4(s, 1H).
<실시예 2>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스티렌
실온 및 질소 하에 TMF(250 ml) 중 브롬화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14.3 g, 40 mmol)의 현탁액에 2.5 M n-BuLi 16 ml(40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에, 얻어진 용액(용액에 가까움)에 TMF(30 ml) 중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벤즈알데히드(10 g, 39.5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헥산 및 염수의 혼합물에 부었다. 유기상을 염수로 2회, 물로 1회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킨 다음, 잔류물을 알루미늄(머크사에서 구입한 산화 알루미늄 90 acc. Brockmann)으로 충전된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형성된 산화 트리페닐포스포늄을 제거하기 위해 EtOAc 1 및 헥산 9로 용출시켰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잔류물을 얻었고 최종적으로 실리카 겔 상 EtOAc 1 및 헥산 9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모세관 GC로 결정한 바와 같이 94.5 %의 순도를 지닌 표제 화합물 6.9 g(70 %)을 얻었다.
1H NMR(250 Mhz, CDCl3) δ0.85(t, 3H), 2.1(q, 2H), 3.8(s, 3H), 3.8-3.95(m, 2H), 4.0-4.1(m, 2H), 5.55-5.65(m, 1H), 5.95-6.05(m, 1H), 6.7-6.85(m, 2H), 7.3-7.4(m, 1H).
<실시예 3>
(1S,2R)-시스-2-(6-플루오로-2-메톡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크로프로필카르복실산
일반적으로 에반스(Evans) 등의 문헌[J.Am. Chem.Soc. 1991, 113, 726-7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구리 트리플레이트(679 mg, 1.35 mmol) 및 키랄 리간드([2,2'-이소프로필리덴비스((4R)-4-tert-부틸-2-옥사졸린)](794 mg, 2.7 mmol)에 의해 촉진된 비대칭 시클로프로판화 반응을 이용해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스티렌(19.4 g, 69 mmol) 및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29 ml, 275 mmol)로부터 (lS,2R)-시스-2-[3-(1,1-에틸렌디옥시)에틸-6-플루오로(2-메톡시페닐)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의 에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다음, 에틸 에스테르 9.4 g(40.5 %)을 얻었다. 키랄 칼럼 상 HPLC에 의해 측정된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률(ee)은 99 %였다. 에스테르를 디옥산 150 ml 중 용해시키고 6 M HCl 30 m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철야 교반하고 에테르와 염수 사이에 분배(partition)시켰다. 용매를 증발시켜 조생성물 19 g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메탄올(250 ml) 및 물(75 ml) 중 용해시키고 LiOH 6 g(25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로 24시간 동안 가열하고 용매의 대부분을 증발시켰다. 잔류 혼합물을 산성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1.2 g을 얻었다.
1H-NMR (250 MHz, CDCl3) δ1.15(t, 3H), 1.59(t, 2H), 2.10-2.17(m, 1H), 2.22-2.32(m, 1H), 2.91(q, 2H), 3.80(st, 3H), 6.82(t, 1H), 7.44-7.50(m, 1H), 11.30(broad s, 1H).
<실시예 4>
(1R,2S)-시스-2-(6-플루오로-2-메톡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
실시예 3의 산에 대해 기재된 방법으로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스티렌으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키랄 리간드는 2,2'-이소프로필리덴비스[(4S)-4-tert-부틸-2-옥사졸린]이었다.
1H NMR(250 Mhz, CDCl3) δ7.48(q, 1H), 6.84(t, 1H), 3.82(s, 3H), 2.93(q, 2H), 2.29(q, 1H), 2.14(q, 1H), 1.60(m, 2H), 1.16(t, 3H).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5>
(±)N-[시스-2-(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디클로로에탄(200 ml) 중 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스티렌(32.4 g, 실시예 2) 및 브롬화 구리-디메틸 술피드 복합물(0.30 g)의 용액을 질소하에 80 ℃로 가열하였다. 디클로로에탄(600 ml) 중 에틸 디아조아세테이트(54 ml)를 7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첨가를 마친 후 가열을 중지하였다. 16 시간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시스-에스테르(6.5 g)를 얻었다.
시스-에스테르(3.7 g, 10.9 mmol)를 에탄올(20 ml) 중 용해시키고 KOH(1.8 g, 32.7 mmol)를 물(10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들을 합하고 가열하여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30 ml)을 첨가하고 용액을 헥산(20 ml)으로 2회 세척하였다. 수상을 얼음 용기에서 냉각시키고 묽은 HCl로 산성화하였다. 용액을 톨루엔으로 3회 추출하였다. 톨루엔상을 건조(MgSO4)시키고 증발시켜 (±)-시스-2-[3-(1,1-에틸렌디옥시프로필)-6-플루오로-2-메톡시페닐]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 1.9 g을 얻었다.
건조 톨루엔 중 산(120 mg, 0,39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59 ㎕, 0.43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92 ㎕, 0.43 mmol)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20 ℃로 가열하였다. 1시간 후에, 2-아미노-5-시아노프리딘(51 mg, 0.43 mmol)을 첨가하였다. 3시간 더 가열하였다. 16시간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3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묽은 HCl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증발시켜 생성물을 152 mg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디옥산 중에 용해시키고 HCl(6 N, l ml)을 첨가하였다. 2시간 후에, 혼합물을 증발시키고 디클로로메탄(25ml) 중에 용해시키고 물(10+10 ml)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증발시켜 잔류물 117 mg을 얻었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상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산으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2-메톡시페닐 중간체 생성물 37 mg을 얻었다.
-60 ℃에서 디클로로메탄 중 2-메톡시페닐 중간체(37 mg, 0.097 mmol)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194 ㎕, 0.194 mmol) 중 삼브름화 붕소의 1 M 용액을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냉각 용기에서 옮겨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묽은 NaHCO3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MeCN으로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7 mg을 얻었다.
1H-NMR(250 MHz, DMSO-d6) δ1.07-1.16(m,4H), 1.41-1.50(m, 1H), 1.91-2.01(m, 1H), 3.06-3.19(m, 3H), 6.86(dd, 1H), 7.43(d, 1H), 7.80-7.90(m, 1H), 7.97-8.08(m, 2H), 8.32(d, 1H), 9.83(s, 1H), 13.2(d, 1H).
<실시예 6>
(1R,2R)-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건조 톨루엔(15 ml) 중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산(1.47 g, 5.5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85 mL, 6.1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1.72 g, 6.1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아르곤 하에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20 ℃로 가열하였다. 15분 후에, DMF(3 ml) 중 2-아미노-5-시아노피리딘(0.99 g, 8.9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톨루엔을 증발시키고 이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10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추출하고 1 M HCl, H2O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하고(Na2SO4)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상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1:10 내지 1:1)으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2-메톡시페닐 중간체 1.6 g(66 %)을 얻었다.
-72 ℃에서 아르곤 하에 CH2Cl2(80 mL) 중 2-메톡시페닐 중간체(1.40 g, 3.66 mmol)의 용액에 CH2Cl2(11.0 mL, 11.0 mmol) 중 삼염화 붕소 1 M 용액을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빙욕에서 옮겨 1시간 15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CH2Cl2로 희석하고 NaHCO3의 수용액, H2O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Na2SO4)하고 농축시켰다. 아세토니트릴/H2O(1:1)로 침전시켜 순수한 표제 화합물 0.62 g을 얻었다. 잔류물을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 상 에틸 아세테이트/n-헥산(1:10 내지 1:1)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킨 다음, 아세토니트릴로 재결정화하여 표제 생성물 0.2 g을 얻었다. 수득량은 0.82 g(수율: 61 %)였다. 키랄 컬럼 상 HPLC로 결정된 바로는 ee는 95 %였다. [a]d 22-171.2 °(c=0.50, CH2Cl2)
1H NMR(250 Mhz, CDCl3) δ13.35(d, 1H), 10.02(br s, 1H), 9.40(br s, 1H), 8.11(s, 1H), 7.71(m, 2H), 7.00(m, 1H), 6.61(t, 1H), 3.21(m, 1H), 3.01(q, 2H), 2.03(m, 1H), 1.55(m, 1H), 1.29(m, 4H).
<실시예 7>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온에서 아르곤 하에 디클로로메탄 20 ml 및 DMF 10 ml 중 실시예 6에 기재된 화합물(1.64 g, 4.4 mmol), BOC-보호 3-아미노벤조산(1.6 g, 6.6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69 mg, 2.2 mmol)의 용액에 DCC 1.36 g(6.6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주의하여 증발시키고 용매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 잔류물을 정제하고 BOC-보호 표제 생성물 2.6 g을 얻었다. 0 ℃에서 이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75 ml에 첨가하였다. 그 후에, 0 ℃에서 1시간 동안 이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용매를 주의하여 감압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포화 탄산칼륨 사이에 분배시켰다. 유기상을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 용출제로 에틸 아세테이트/헥산(4:1)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유리 염기인 표제 화합물 1.03 g을 얻었다. 이 중간체를 에테르 중 1 M HCl 3 ml로 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0.84 g을 얻었다. HPLC 순도는 약 97 %였다.
1H-NMR 유리 아민(250 MHz, CDCl3) δ1.09(t, 3H), 1.2-1.3(m, 1H), 1.4-1.5(m, 1H), 1.95-2.00(m, 1H), 2.83(q, 2H), 3.15-3.25(m, 1H), 3.85(s, 2H), 6.90(dd, 2H), 7.09(t, 1H), 7.20-7.27(m, 1H), 7.44-7.46(m, 1H), 7.56(dd, 1H), 7.65-7.77(m, 2H), 8.13(d, 1H), 9.1(broad s, 1H), 9.6(broad s, 1H).
<실시예 8>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질소 하에 건조 톨루엔(10 ml) 중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1.2 g, 4.5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670 ㎕, 4.8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1.05 ml, 4.9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20 ℃로 가열하였다. 15분 후에, 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중 2-아미노-5-시아노피리딘(0.80 g, 6.7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이 용액을 디에틸에테르로 희석하고 1 M 염산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 및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의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1의 농도 구배로 시작하여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로 종결시킴)로 정제하여 약간 불순한 2-메톡시페닐 유도체(0.93 g)를 얻었다. 상기 기술된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하여 순수한 2-메톡시페닐 유도체(0.70 g, 41 %)를 얻었다.
-60 ℃에서 염화 메틸렌 중 2-메톡시페닐 중간체(700 mg, 1.8 mmol)의 용액에 염화 메틸렌(5.5 ml, 5.5 mmol) 중 1 M 삼염화 붕소 용액을 첨가하였다. 10분 후에, 냉각 용기에서 옮겨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염화 메틸렌으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건조(MgSO4) 및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 아세테이트 2:1, 1:1, 1:2,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8:1)의 농도구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00 mg, 74 %)을 얻었다.
[α]D 22+ 165.0 °(C = 0.5, CH2Cl2)
1H-NMR (DMSO-d6) δ1.10-1.16(m, 4H, CH3, CH2-시클로프로필), 1.45(dd, 1H,
CH2-시클로프로필), 1.96(q, 1H, CH-시클로프로필), 3.10-3.19(m, 3H, CH-시클로프로필, CH2), 6.85(t, 1H, Ar), 7.43(d, 1H, Ar), 7.86-8.07(m, 3H), 8.32(s, 1H), 9.83(s, 1H), 13.22(s, 1H, Ar-OH).
<실시예 9>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6에 기재된 화합물로 출발하고 실시예 7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염산 염인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DMSO-d6) δ0.94(t, 3H), 0.9-1.0(m, 1H), 1.3-1.4(m, 1H), 1.85-1.95(m, 1H), 2.91(q, 2H), 3.05-3.15(m, 1H), 7.4-7.5(m, 2H), 7.6-7.7(m, 1H), 7.9-8.1(m, 5H), 8.08(d, 1H), 9.85(s, 1H).
<실시예 10>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건조 톨루엔(8 ml) 중 (1S,2R)-시스-2-(6-플루오로-2-메톡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3.0 g, 11.3 mmol), 트리에틸아민(1.58 ml, 11.3 mmol)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2.44 ml, 11.3 ml)를 용해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120 ℃로 승온하고 이 온도에서 15분 더 유지하였다. 그 후에, 2-아미노-5-브로모피리딘(2.08 g, 1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 ℃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벤젠 및 1 M HCl 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증발시켰다. 실리카 겔 상 용출제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적합한 분획을 모아 (1S,2S)-N-(시스-2-(6-플루오로-2-메톡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5.0 g을 얻었다. 이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100 ml) 중 용해시키고 용액을 아르곤 하에 유지하고 -65 ℃로 냉각시켰다. 삼염화 붕소(1 M 디클로로메탄 용액 30 ml, 3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 동안 실온에 도달케 하였다. 디클로로메탄 및 포화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출제로 실리카 겔 상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9:1)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 1.96 g(41 %)을 얻었다.
분석: 이론치: C 51.2 , H 4.1, N 9.9. 실측치: C 51.5, H 3.7, N 9.5.
Mp: 198-199 ℃. [α]D 22+ 149.8 °(c= 0.50, CH2Cl2)
1H-NMR(250 MHz, CDCl3) δ1.28(t, 3H), 1.52-1.62(m, 2H), 1.94-2.05(m, lH), 2.97-3.06(m, 2H), 3.17-3.20(m, 1H), 6.60(t, 1H), 6.76(broad s, 1H), 7.57(dd, 1H), 7.67-7.72(m, 1H),7.83(broad s, 1H) 8.53(broad s, 1H), 13.32(d, 1H).
<실시예 11>
(1R,2R)-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키랄 리간드 2,2'-이소프로필리덴비스(4S)-4-tert-부틸-2-옥사졸린(Aldrich에서 시판함)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 기재된 화합물에 비대칭 시클로프로판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에, 얻어진 (1R, 2S)-시스-2-(6-플루오로-2-메톡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비슷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DMSO-d6) δ1.05-1.15(m, 1H), 1.12(t, 3H), 1.40-1.50(m, 1H), 1.90(q, 1H), 3.00-3.10(m, 1H), 3.12(q, 2H), 6.82(t, 1H), 7.18(d, 1H), 7.78(dd, 1H), 7.88(broad s, 1H), 7.95-8.05(m, 1H), 9.41(broad s, 1H), 13.20(s, 1H).
[α]D 22-153.8 °(c=0.50, CH2Cl2)
<실시예 12>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 -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온에서 아르곤 하에 디클로로메탄:DMF 1:1 20 ml 중 실시예 10의 화합물(633 mg, 1.5 mmol), BOC-보호 3-아미노벤조산(475 mg, 2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23 mg, 1 mmol)의 용액에 DCC 415 mg(2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3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주의하여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상 용매로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를 사용하여 잔류물을 정제하고 BOC-보호 표제 생성물 811 mg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디옥산(20 ml) 중에 용해시키고 6 M HC1 1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철야 교반하였다. 용매를 주의하여 감압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 및 에테르로 처리하고 HCl 염인 표제 화합물 255 mg을 얻었다. HPLC 순도는 약 93 %였다.
1H-NMR(250 MHz, CD30D) δ1.15(t, 3H), 1.3-1.4(m, 1H), 1.5-1.6(m, 1H), 2.05-2.15(m, 3H), 3.04(q, 2H), 3.23-3.27(m, 1H), 7.16(d, 1H), 7.34(t, 1H), 7.85-7.93(m, 2H), 8.05(dd, 1H), 8.19(broad d, 1H), 8.26(broad s,lH), 8.35-8.37(m, 1H), 8.42-8.46(m, 1H).
<실시예 13>
(1S,2S)-N-[시스-2-(2-(3-L-알라닐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표준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TCE-보호 3-아미노벤조산으로부터 출발 화합물인 BOC-보호 3-L-알라닐아미노벤조산을 제조하였다. 예를 들어 보단스즈키(Bodanszky)의 문헌["The Practice of Peptide Synthesis" 2nd edition, Springer] 참조. 이 화합물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실시예 10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HCl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유리 아민, CDCl3) δ1.10(t, 3H), 1.15-1.25(m, 1H), 1.4-1.5(m, 1H), 1.42(d, 2H), 1.76(broad s, 2H), 1.88-1.97(m, lH), 2.84(q, 2H), 3.1-3.2(m, 1H), 3.59-3.67(m, lH), 6.78(d, 1H), 7.09(t, 1H), 7.85-7.93(m, 2H), 8.08(d, 1H), 8.11(s, 1H), 8.29(broad s, 1H), 9.05(broad s, 1H), 9.70(broad s, 1H).
<실시예 14>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4-피리딜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와 비슷한 방식으로 실시예 10의 생성물을 이소니코틴산과 축합하여 HCl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CD3OD) δ9.26(d, 2H), 8.83(d, 2H), 8.14(m, 2H), 8.04(dd, lH), 7.39(t, lH), 7.10(d, lH), 3.38(m, lH), 3.08(m, 2H), 2.15(m, lH), 1.62(m, lH), 1.38(m, lH), 1.13(t, 3H).
<실시예 15>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와 비슷한 방식으로, 실시예 10의 생성물을 3-디메틸아미노벤조산과 축합하여 HCl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250 MHz, CD3OD) δ8.61(s, lH), 8.45(d, lH), 8.15-8.03(m, 4H), 7.92(t, lH), 734(t, lH), 7.10(d, lH), 3.48(s, 6H), 3.28(m, lH), 3.00(m, 2H), 2.11(m, lH), 1.58(m, lH), 1.38(m, lH), 1.14(t, 3H).
<실시예 16>
(1S,2S)-N-[시스-2-(2-(3-아미노메틸벤조일옥시메틸옥시)-5-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메틸벤조산을 수산화 테트라부틸암모늄 용액(MeOH 중 1 M)으로 pH 9로 처리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 용해시키고 염화요오드메탄으로 철야 처리하였다. 이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조 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메틸벤조일옥시메틸클로라이드를 얻었다. 촉매로 미량의 요오드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이 물질을 실시예 10의 나트륨 염(DMF 중 염화나트륨으로 제조함)과 반응시켰다. 반응 2시간 후에, 용액을 아세트산으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상 에틸 아세테이트/헥산(1:2)으로 용출시켜 정제하고 정제한 물질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증발시켜 고체인 표제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을 얻었다.
1H NMR(CDCl3) δ1.1(t, 3H) 1.3-1.5(m, 2H) 2.2(q, 1H) 2.9(m, 2H) 3.2(bs, 1H) 4.2(s, 2H) 5.9(q, 2H) 6.8(d, 2H) 7.0(t, 1H) 7.3-8.1(m, 9H).
<실시예 17>
(1S,2S)-N-(시스-2-(2-(3-아미노-4-메틸벤조일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의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를 3-t-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4-메틸벤조산과 축합하였다.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증발시켜 고체인 표제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을 얻었다.
1H NMR(CDCl3) δ1.1(t, 3H) 1.3-1.5(m, 2H) 1.9(q, 1H) 2.4(s, 3H) 2.9(q, 2H) 3.1(BS, 1H) 7.1(t, 1H) 7.4(d, 1H) 7.8(m, 1H) 7.9(m, 2H) 8.1(s, 1H) 8.3(s, 1H)
<실시예 18>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벤조일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의 화합물을 3-(N-에틸-t-부톡시카르보닐아미도)벤조산과 축합하고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증발시켜 고체인 표제 화합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을 얻었다.
1H NMR(CDCl3) δ1.1(t, 3H) 1.3-1.6(m, 5H) 2.9(q, 2H) 3.1(bs, 1H) 3.5(q, 2H) 7.1(t, 1H) 7.2(bs, 1H) 7.6(t, 1H) 7.7-7.8(m, 2H) 7.9(d, 1H) 8.1(s, 1H) 8.2(d, 1H) 8.4(s, 1H)
<실시예 19>
(1S,2S)-N-(시스-2-(2-퀴놀로-4-일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의 화합물을 4-퀴놀린산과 축합하고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에 용해시키고 증발시켜 고체인 표제 화합물의 아세트산 염을 얻었다.
1H NMR(CDCl3) δ1.1(t, 3H) 1.2(m, 1H) 1.5(m, 1H) 1.9(m, 1H) 2.8(q, 2H) 3.2(bs, 1H) 6.7(d, 1H) 7.2(t, 1H) 7.5(m, 1H) 7.7(t, 1H) 7.8-8.0(m, 2H) 8.2(d, 1H) 8.3(d, 1H) 8.8(d, 1H) 9.1(m, 2H) 9.2(bs, 1H)
<실시예 20>
(1S,2S)-N-(시스-2-(3-아미노메틸-2-메틸벤조일옥시)-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의 화합물을 3-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도-2-메틸벤조산과 축합하였다. 생성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증발시켜 고체인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 NMR(CDCl3) δ1.1(t, 3H) 1.1-1.3(m, 2H) 1.9(m, 1H) 2.5(s, 3H) 2.9(q, 2H) 3.1(bs, 1H) 4.2(s, 2H) 7.0-7.2(m, 2H) 7.4(d, 1H) 7.6-7.7(m, 2H) 7.8-8.0(m, 2H) 8.2(bs, 2H)
<실시예 21>
(1S,2S)-N-[시스-2-(6-플루오로-2-(4-아미노메틸페닐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MeOH 200 ml 중 4-시아노벤조산 4 g의 용액에 DCC 6.5 g을 첨가하여 4-(ter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도메틸)벤조산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70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침전된 디시클로헥실우레아를 제거하고 여과물을 감압 농축시켜 조생성물 7 g을 얻었다. 메틸 에스테르를 MeOH 500 ml 중에 용해시키고 CoCl26H2O 9.6 g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나누어서 NaBH4로 처리하였다. 5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1 M HCl(액체) 150 ml로 산성화하고 CH2Cl22x100 ml로 추출하였다. 산성 수상을 25 % NH3(액체) 100 ml으로 처리하고 CH2Cl23x100 ml로 추출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농축시켜 갈색 오일 2.64 g을 얻었다.
이 오일을 디옥산/물 혼합물(2:1)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NaOH(고체) 1.5 g으로 20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t-부탄올/물 혼합물(1:1) 40 ml를 첨가하였다.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3.7 g을 첨가하고 용액을 24시간 교반한 다음, 물을 추가하고 혼합물을 헥산 2x50 ml으로 추출하였다. 수상을 NaHSO4로 산성화(pH 약 1.5 내지 2.0)하고 에테르 3x75 ml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모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하고 증발시켜 흰색 고체인 중간체 4-(ter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도메틸)벤조산을 얻었다.
4-(tert-부틸옥시카르보닐아미도메틸)벤조산을 실시예 10의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와 축합하고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BOC-보호기를 제거하여 염산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CDC13) δ0.98(t, 3H), 1.05-1.20(m, 1H), 1.31-1.49(m, 1H), 1.69-1.90(m, 1H), 2.65(q, 2H), 3.33-3.49(m, 1H), 4.31(broad s, 2H), 7.02-7.22(m, 2H), 7.35-7.49(m, 1H), 7.50-7.68(m, 2H), 7.69-7.83(m, 2H), 8.08(d, 1H) 8.37(broad s, 1H).
<실시예 22>
(1S,2SR)-N-[시스-2-(6-플루오로-2-(N-메틸인돌-5-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i) N-메틸인돌-5-카르복실산의 제조
실온에서 인돌-5-카르복실산 0.1 g을 DMF 1 ml 중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포네이트 2 당량과 혼합하였다. 5시간 후에, 용매를 증발시키고1H-NMR을 기록하였다.
1H-NMR(250 MHz, DMSO-d6) δ2.76(s, 3H), 6.57(board s, 1H), 7.46-7.50(m, 2H), 7.75(dd, 1H), 8.23-8.29(m, 2H), 11.56(broad s, 1H).
ii) 표제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N-메틸인돌-5-카르복실산을 실시예 10의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 -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와 축합하여 염산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CDCl3) δ1.08(t, 3H), 1.15-1.25(m, 1H), 1.39-1.50(m, 1H), 1.92-2.08(m, 1H), 2.89(q, 2H), 2.90(s, 3H), 3.20-3.35(m, 1H), 6.55(broad s, 1H), 6.65(broad d, 1H), 7.11(t, 1H), 7.20-7.29(m, 2H), 7.41(dd, 1H), 7.72-7.83(m, 2H), 7.95(dd, 1H), 8.51(broad s, 1H), 9.25(broad s, 1H), 9.43(broad s, 1H).
<실시예 23>
(1S,2S)-N-[시스-2-(6-플루오로-2-(인돌-4-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인돌-4-카르복실산을 실시예 10의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 -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와 축합하여 염산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CDCl3) δ1.07(t, 3H), 1. 17-1.30(m, 1H), 1.31-1.47(m, 1H), 1.90-2.10(m, 1H), 2.89(q, 2H), 3.02-3.18(m, 1H), 6.75(broad d, 1H), 7.00-7.35(m, 4H), 7.55(dd, 1H), 7.60(d, 1H), 7.79(dd, 1H), 7.89(d, 1H), 8.10(d, 1H), 9.27(broad d, 2H).
<실시예 24>
(1S,2S)-N-[시스-2-(6-플루오로-2-(3-아미노-4-클로로페닐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3-아미노-4-클로로벤조산을 실시예 10의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와 축합하여 염산 염인 표제 생성물을 얻었다.
1H-NMR(250 MHz, 유리 아민, CDCl3) δ1.10(t, 3H), 1.17-1.30(m, 1H), 1.42-1.52(m, 1H), 1.88-2.01(m, 1H), 2.88(q, 2H), 3.19-3.31(m, 1H), 4.25(broad s, 2H), 6.80(broad d, 1H), 7.09(t, 1H), 7.35(t, 1H), 7.48-7.60(m, 2H), 7.66(d, 1H), 7.73-7.88(m, 2H), 9.25(broad s, 2H).
<실시예 25>
(1S,2S)-N-[시스-2-(6-플루오로-2-(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50 g, 0.68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68 g, 0.81 mmol), 니코틴산(0.1 g, 0.81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41 g, 0.34 mmol)의 건조 혼합물을 CH2Cl2(5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2.5 ml) 중 용해시켰다. 그 후에,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0시간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감압 건조시킨 다음, 최소량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재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투명한 용액을 실리카 상에서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68 g, 50 %)을 얻었다. 클로로포름-헥산으로 재결정화하여 분석 샘플을 얻었다.
lH NMR(CDCl3): 9.89(br s, 1H), 9.41(m, 1H), 9.33(br s, 1H), 8.86(dd, 1H), 8.46(dt, 1H), 8.18(d, 1H), 7.80(dd, 1H), 7.71(dd, 1H), 7.49(ddd, 1H), 7.13(t, 1H) 6.92(d, 1H) 3.18(m, 1H), 2.88(q, 2H), 1.99(m, 1H), 1.52(m, 1H), 1.25(m, 1H), 1.13(t, 3H).
<실시예 26>
(1R,2R)-N-[시스-2-(6-플루오로-2-(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6의 화합물(0.1 g, 0.27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067 g, 0.33 mmol) 및 니코틴산(0.037 g, 0.3 mmol)의 건조 혼합물을 티클로로메탄(2 ml) 중에 현탁시켰다. 최소량의 DMF를 적가하여 상당히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그 후에,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6 g, 0.14 mmol)을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0시간 후에, 용매를 감압 증발시키고 가공하지 않은 잔류물을 염산 수용액(pH 1 내지 2)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그 후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여 투명한 용액을 약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침전 생성물을 여과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72 g(56 %)을 얻었다.
1M NMR(CDCl3): 9.85(br s, 1H), 9.42(s, 1H), 9.35(br s, 1H), 8.86(d, 1H), 8.47(dt, 1H), 8.18(d, 1H), 7.81(dd, 1H), 7.71(dd, 1H), 7.48(dd, 1H), 7.13(t, 1H), 6.92(d, 1H), 3.19(m, 1H), 2.91(q, 2H), 1.99(m, 1H), 1.49(m, 1H), 1.24(m, 1H), 1.13(t, 3H).
<실시예 27>
(1S,2S)-N-[시스-2-(2-(3-(N-에틸,N-Boc-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37 g, 1.0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25 g, 1.2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6 g, 0.5 mmol) 및 3-(N-에틸-N-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벤조산(0.320 g, 1.2 mmol)(3-아미노벤조산을 환원성 아민화한 다음, 아미노기 보호 반응으로 제조함)을 디클로로메탄(8 ml) 및 DMF (3 ml)중에 용해시켰다. 그 후에,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8시간 후에,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재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투명한 용액을 실리카 상에서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 3:2)하여 충분히 순수한 표제 화합물(0.24 g, 39 %)을 얻었다.
1H NMR(CDCl3): 10.0(br s, 2H), 8.20(d, 1H), 8.06(d, 1H), 8.03(m, 1H), 7.77(dd, 1H), 7.70(dd, 1H), 7.48(m, 2H), 7.10(t, 1H), 6.95(d, 1H), 3.71(q, 2H), 3,14(m, 1H), 2.90(q, 2H), 1.95(q, 1H), 1.44(s, 10H), 1.2-1.09(m, 7H).
<실시예 28>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 ml)을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실시예 27의 화합물(0.120 mg, 0.1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증발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HPLC(C-18 컬럼, 아세토니트릴 중 40 % 물로 제조함)로 정제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인 표제 화합물 0.045 g(30 %)을 얻었다.
1H NMR(CDCl3): 11.08(br s, 2H), 9.83(br s, 1H), 9.36(br s, 1H), 8.23-8.08(m, 3H), 7.82-7.54(m, 4M), 7.13(t, 1H), 7.02(d, 1H), 3.42(q, 2H), 3.20(m, 1H), 2.83(q, 2H), 1.94(q, 1H), 1.46(m, 1H), 1.34(t, 3H), 1.24(m, 1H), 1.06(t, 3H).
<실시예 29>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1 g, 0.27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067 g, 0.33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6 g, 0.14 mmol) 및 3-디메틸아미노벤조산(0.054 g, 0.39 mmol)을 디클로로메탄(3 ml) 및 DMF(1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반응 생성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에,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재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 2:1)로 정제한 다음 HPLC(C-18 컬럼, 아세토니트릴 중 0.1 % TFA)를 수행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인 표제 화합물 0.1 g(58 %)을 얻었다.
1H NMR(CDCl3): 8.38-8.23(m, 3H), 7.92-7.69(m, 4H), 7.15(t, 1H), 7.05(m, 1H), 3.32(s, 6H), 3.26(m, 1H), 2.89(q, 2H), 2.02(m, 1H), 1.55-1.27(m, 2H), 1.10(t, 3H).
<실시예 30>
(1S,2S)-N-[시스-2-(2-(3-L-발리닐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a) 3-(N-Boc-L-발릴)아미노메틸벤조에이트
빌라뉴브(Villaneuve) 및 찬(Chan)의 문헌[Tetrahedron Letters 1997 vol 37 6489-6492]에 개시된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상기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질소 하에 디클로로메탄(20 ml) 중 N-tert-부톡시카르보닐-L-발린(2.17 g, 10 mmol) 및 헥사클로로아세톤(1.32 g 5 mmol)의 혼합물을 교반하고 -78 ℃로 냉각시켰다. 디클로로메탄(10 ml) 중 트리페닐포스핀(2.6 g, 10 m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디클로로메탄(10 ml) 중 메틸-3-아미노벤조에이트(1.5 g, 10 mmol)을 적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중 트리에틸아민(1 g, 10 mmol)을 적가하였다. 그 후에, 용매를 감압 증발시킨 다음, 반응이 실온에 도달케 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 아세테이트, 3:1)로 정제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 재결정화하여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 0.7 g(28 %)을 얻었다.
1H NMR(CDCl3): 8.30(br s, 1H), 8.07(d, 1H), 7.85-7.75(m, 2H), 7.37(t, 1H), 5.15(d, 1H), 4.05(m, 1H), 3.91(s, 3H), 2.26(m, 1H), 1.48(s, 9H), 1.03(dd, 6H).
b) 3-(N-Boc-L-발릴)아미노벤조산
단계 a)의 중간체(0.65 mg, 1.8 mmol)를 메탄올(6 ml) 및 물 (2 ml) 중에 현탁시켰다. 수산화리튬(0.11 g, 3.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에, 물(10 ml)을 첨가하고 부피를 반으로 줄였다. 이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내지 20 ml로 세척한 다음, 염산 수용액으로 산성화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2x20 ml)로 추출하고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켜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 0.524 g(84 %)을 얻었다.
1H NMR(CD3OD): 8.23(t, 1H), 7.84(d, 1H), 7.76(d, 1H), 7.42(t, 1H), 6.70(d, 1H), 4.00(m, 1H), 2.08(m, 1H), 1.45(a, 9H), 1.00(d, 6H).
c) (1S,2S)-N-[시스-2-(2-(3-N-Boc-L-발리닐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23 g, 0.62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53 g, 0.74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38 g, 0.3 mmol) 및 단계 b)의 중간체(0.25 g, 0.74 mmol)를 디클로로메탄(9 ml) 및 DMF(3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반응 생성물을 실온에서 19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에,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중에 재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1)로 정제하여 순수한 N-보호 표제 화합물 0.029 g(67 %)을 얻었다.
1H NMR(CD3OD): 8.56(t, 1H), 8.27(s, 1H), 7.98-7.82(m, 4H), 7.53(t, 1H), 7.23(t, 1H), 7.10(d, 1H), 3.98(d, 1H), 3.09(m, 1H), 2.90(q, 2H ), 2.06-1.93(m, 2H), 1.44(m, 1OH), 1.18-0.94(m, 1OH).
d) (1S,2S)-N-[시스-2-(2-(3-L-발리닐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단계 c)의 N-보호 화합물(0.16 g, 0.23 mmol) 및 티오페놀(0.054 g, 0.46 mmol)을 디클로로메탄(6 ml) 중에 용해시키고 0 ℃로 냉각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 도달케 하여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증발 건조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1.5)로 정제하여 TFA 염인 표제 화합물 0.150 g(90 %)을 얻었다.
1H NMR(CD3OD) 8.60(s, 1H), 8.25(d, 1H), 8.0-7.85(m, 4H), 7.53(t, 1H), 7.21(t, 1H), 7.09(d, 1H), 5.0(m, 1H), 3.12(m, 1H), 2.96-2.87(m, 2H), 2.20(m, 1H), 1.97(m, 1H), 1.46(m, 1H), 1.09-1.03(m, 10H).
<실시예 31>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에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a) 6-에틸아미노니코틴산
실시예 35의 단계 a)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6-클로로니코틴산 및 에틸아민으로부터 이 중간체를 제조하였다. 추출하기 위해, 1-부탄올로 에틸 아세테이트를 대용하였다. 재결정화(MeOH-CHCl3)하여 생성물 0.53 g(50 %)을 얻었다.
1H NMR(DMSO-d6): 12.1(br s, 1H), 8.54(d, 1H), 7.77(dd, 1H),7.15(t, 1H), 6.45(dd, 1H), 3.33(m, 2H), 1.14(t, 3H).
b)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에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1 g, 0.27 mmol), 6-에틸 아미노니코틴산(0.084 g, 0.54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27 g, 0.62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6 g, 0.13 mmol)을 DMF(3 ml) 중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19시간 후에,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재현탁시키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63 g, 45 %)을 얻었다.
1H NMR(CDCl3): 9.85(br s, 1H), 9.25(br s, 1H), 8.91(d, 1H), 8.18-8.02(m, 3H), 7.76-7.67(m, 2H), 7.65(t, 1H), 6.96(d, 1H), 6.37(d, 1H), 5.40(m, 1H), 3.37(m, 2H), 3.19(m, 1H), 2.8(q, 2H), 1.98(m, 1H), 1.49(m, 1H), 1.28(t, 3H), 1.15(m, 1H), 1.10(t, 3H).
<실시예 32>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5-브로모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5-브로모니코틴산(0.065 g, 0.33 mmol), 실시예 8의 화합물(0.1 g, 0.27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27 g, 0.62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16 g, 0.13 mmol)을 디클로로메탄(4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19시간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제거하였다. 조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1)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0.040 g, 27 %)을 얻었다.
1H NMR(CDCl3): 9.80(br s,lH), 9.30(d, 1H), 9.17(br s, 1H), 8.89(d, 1H), 8.57(dd, 1H), 8.57(dd, 1H), 7.80(dd, 1H), 7.70(dd, 1H), 7.12(t, 1H), 6.83(d, 1H), 3.25(m, 1H), 2.87(q, 2H), 2.00(q, H), 1.50(m, 1H), 1.24(m, 1H), 1.12(t, 3H)
<실시예 33>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a) 6-아미노니코틴산, 메틸 에스테르
6-아미노니코틴산(2 g, 22 mmol)을 메탄올(10 ml) 및 황산(0.5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철야 환류시키고 용매를 감압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물-EtOAc 중에 용해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알칼리성으로 만들었다. EtoAc로 추출하여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2.3 g, 70 %)를 얻었다.
1H.NMR(DMSO-d6): 8.51(dd, 1H), 7.81(dd, 1H), 6.66(br s, 2H), 6.45(dd, 1H), 3.77(s, 3H).
b) 메틸-6-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니코티네이트
단계 a)의 중간체(0.75 g, 4.9 mmol)를 THF(5 ml)중에 용해시켰다. 소듐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THF 중 5 ml, 2 M)를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THF(8 ml) 중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1.1 g, 5 mmol)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철야 방치하였다. 그 후에, 용액을 감압 증발시키고 EtOAc(40 ml) 및 0.1 M 염산(1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층을 분리시키고 수상을 EtOAc(40 ml)로 2회 추출한 다음,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약 알칼리성으로 만들고 EtOAc(20 ml)로 다시 한번 추출하였다. 유기층 부분을 모아서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1:4)로 정제하여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0.5 g, 40 %)를 얻었다.
1H NMR(CDCl3): 8.93(dd, 1H), 8.62(s, 1H), 8.26(dd, 1H), 8.06(dd, 1H), 3.91(s, 3H), 1.60(s, 9H).
c) 6-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니코틴산
단계 c)의 중간체(0.4 g, 1.6 mmol)를 메탄올(4 ml) 및 물(1.25 ml)중에 현탁시켰다. LiOH(0.1 g, 4 mmol)를 첨가하였다. 슬러리를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에, 투명한 용액을 감압 농축하고 물 중에 용해시키고 아세트산(pH는 4 내지 5임)으로 산성화하였다. EtOAc로 추출하여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0.27 g, 70 %)를 얻었다.
1H.NMR(DMSO-d6): 9.98(s, 1H), 8.74(d, 1H), 8.18(d, 1H), 8.88(d, 1H), 1.49(s, 9H).
d)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150 g, 0.41 mmol), 단계 c)의 중간체(0.17 g, 0.49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 g, 0.49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6 g, 0.49 mmol)을 DMF(2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한 다음, 50 ℃의 오일 용기에 2시간 동안 놓았다. 실리카 겔 상에서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보호 표제 화합물(0.048 g, 20 %)을 얻었다.
1H.NMR(CDCl3/CD30D): 9.02(s, 1H), 8.43(dd, 1H), 8.22(d, 1H), 8.10(d, 1H), 7.81-7.75(m, 2H), 7.15(t, 1H), 7.08(d, 1H), 3.15-3.05(m, 1H), 2.90(q, 2H), 1.96(m, 1H), 1.56(s, 9H), 1.50-1.40(m, lH), 1.25-1.09(m, 4H)
e)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단계 d)의 중간체(0.048 g, 0.08 mmol)를 디클로로메탄(2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증발시켜 표제 조화합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에테르(2 ml) 중에 용해시키고 철야 방치하였다. 형성된 흰색 침전물을 여과하여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염인 순수한 표제 화합물(0.032 g, 65 %)을 얻었다.
1H.NMR(CD30D/CDCl3): 8.71(d, 1H), 8.29(dd, 1H), 8.16(t, 1H), 8.82-7.74(m, 2H), 7.20-7.10(m, 2H), 6.96(d, 1H), 3.25(m, 1H), 2.86(m, 2H), 1.96(m, 1H), 1.52-1.43(m, 1H), 1.24-1.19(m, 1H), 1.09(t, 3H)
<실시예 34>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클로로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15 g, 0.4 mmol), 6-클로로니코틴산(0.076 g, 0.49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1 g, 0.49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24 g, 0.2 mmol)을 디클로로메탄(4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을 철야 방치하였다. 감압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1:2)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67 g, 32 %)을 얻었다.
1H.NMR(CDCl3): 9.77(br s, 1H), 9.18(br d, 2H), 8.39(dd, 1H), 8.14), 7.79(dd, 1H), 7.71(dd, 1H), 7.46(d, 1H), 7.13(t, 1H), 6.92(d, 1H), 3.25(m, 1H), 2.88(q, 2H), 2.00-1.90(m, 1H), 1.55-1.46(m, 1H), 1.25-1.22(m, 1H), 1.11(t, 3H)
<실시예 35>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디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a) 6-디메틸아미노니코틴산
130 ℃에서 6시간 동안 밀봉 압축 용기에서 6-클로로니코틴산(0.5 g, 3.17 mmol) 및 디메틸 아민(물 중 40 %, 10 ml)을 가열하였다. 그 후에,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pH를 4 내지 5로 조정하였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상기 기술된 순수한 중간체(0.1 g, 20 %)를 얻었다.
1H.NMR(CDCl3): 8.87(dd, 1H), 8.04(dd, 1H), 6.49(dd, 1H), 3.18(s, 6H).
b)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디메틸아미노피리드-3 -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8의 화합물(0.13 g, 0.3 mmol), 단계 a)의 중간체(0.05 g, 0.3 mmo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0.09 g, 0.4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0.02 g, 0.18 mmol)을 디클로로메탄(3 ml) 및 DMF(1 ml)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철야 방치하였다. 감압 증발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EtOAc-헥산,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6 g, 39 %)을 얻었다.
1H.NMR(CDCl3): 10.10(br s, 1H), 9.29(br s, 1H), 8.18(d, 1H), 8.12(dd, 1H), 7.76-7.60(m, 2H), 7.06(t, 1H), 6.95(d, 1H), 6.62(d, 1H), 3.18(m, 7H), 2.83(q, 2H), 2.10-1.99(m, 1H), 1.51-1.42(m, 1H), 1.19(m, 1H), 1.09(t, 3H).
<실시예 36>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O-4-히드록시벤조에이트
a) 4-벤질옥시벤조에이트.
DMF 150 ml 중 4-히드록시벤조산(6.9g, 50 mmole)의 용액에 포타슘 tert.-부톡시드(12.34g, 110 mmole)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브롬화 벤질(20.5g, 120 mmole)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이틀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증발시키고 1,4-디옥산 100 ml 및 물 50 ml 중 수산화나트륨(6.0g, 150 mmole)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냉각시키고 감압 증발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산성화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찬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수율: 10.2 g = 89 %.
b) 4-벤질옥시벤조일 클로라이드.
건조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4-벤질옥시벤조산(2.28g, 10 mmole)의 용액에 DMF 다섯 방울 및 티오닐 클로라이드 2.5 ml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감압 증발시켰다. 수율: 2.45 g = 100 %
c) (1S,2H)-N-[시스-2-(6-플루오로-2-0-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 [2-(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O-4-벤질옥시벤조에이트.
DMF 3 ml 중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184 mg, 0.5 mmole)의 용액에 포타슘 tert.-부톡시드(78.5 mg, 0.7 mmole)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 1 ml 중 4-벤질옥시벤조일클로라이드(185 mg, 0.75 mmole)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를 첨가하고 유기상을 물로 4회 세척하였다. 용액을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였다. 수율: 180 mg = 62 %.
1H-NMR(DMSO δ-6) 0.92(m, 4H) 1.31(m, 1H) 1.85(m, 1H) 2.82(m, 2H) 3.06(m, 1H) 5.26(s, 2H) 7.20(m, 2H) 7.38-8.12(m, 11H) 8.38(m, 1H)
d)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O-4-히드록시벤조에이트의 합성
실온에서 대기압 하에 목탄(30 mg)에 10 % 팔라듐을 사용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15 ml 및 메탄올 15 ml 중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0-4-벤질옥시벤조에이트(170 mg, 0.29 mmole)의 용액에 3회 수소를 첨가하였다. 촉매를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메탄올로 세척하고 용액을 감압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였다. 수율: 100 mg = 70 %.
1H-NMR(DMSO δ-6) 0.93(m, 4H) 1.32(m, 1H) 1.88(m,lH) 2.85(m, 2H) 3.05(m, 1H) 6.92(m, 2H) 7.38(m, 2H) 8.00(m, 4H) 8.38(m, 1H)
<실시예 37>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2-(5-시아노피리딜)]우레아-O-메틸렌-4-히드록시벤조에이트
a) 메틸-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
DMF 80 ml 중 메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6.85g, 45 mmole)의 용액에 포타슘 tert-부톡시드(5.6 g, 51 mmole)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4-메톡시벤질 클로라이드(8.3 g, 52 mmole)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상을 물로 4회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수율: 12.3 g = 100 %
1H-NMR(CDCl3) 3.82(s, 3H) 3.88(s, 3H) 5.03(s, 2H) 6.96(m, 4H) 7.36(d, 2H) 7.98(d, 2H)
b) 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산
1,4-디옥산 50 ml 중 메틸 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12.2 g, 44.8 mmole)의 용액에 수산화리튬(2.15 g, 89.6 mmole) 용액을 첨가하고 60 ℃에서 혼합물을 철야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증발시키고 5 % 아세트산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수율: 10.l g = 87 %
1H-NMR(DMSO δ-6) 3.74(s, 3H) 5.08(s, 2H) 6.92(d, 2H) 7.06(d, 2H) 7.36(d, 2H) 7.90(d, 2H)
c) 클로로메틸-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
1,4-디옥산 100 ml 중 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산(5.16 g, 20 mmole)의 용액에 40 % 수산화 테트라부틸암모늄(14.27 g, 22 mmole)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증발시키고 1,4-디옥산으로 2회 및 톨루엔으로 2회 동시증발시켰다. 건조된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60 ml 중에 용해시키고 요오드클로로메탄(35.3 g 200 mmole)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약 100 ml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물로 2회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였다. 수율: 4.48 g = 73 %
1H-NMR(CDCl3) 3.83(s, 3H) 5.06(s, 2H) 5.94(s, 2H) 7.00(m, 4H) 7.36(d, 2H) 8.05(d, 2H)
d) 요오드메틸-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
건조 아세톤 15 ml 중 클로로메틸-4-(4-메톡시벤조일옥시)벤조에이트(0. 77 g, 2.5 mmole)의 용액에 요오드화 나트륨(1.87 g, 12.5 mmole)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감압 증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5 % 소듐 티오술페이트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수율 0.86 g = 86 %
1H-NMR(CDCl3) 3.84(s, 3H) 5.05(s, 2H) 6.14(s, 2H) 6.98(m, 4H) 7.36(d, 2H) 8.00(d, 2H)
e) (1S,2S)-N-[시스-2-(6-플루오로-2-0-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2-(5-시아노피리딜)우레아-O-메틸렌-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
DMF 5 ml 중 (1S,2S)-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2-(5-시아노피리딜)]우레아(368 mg, 1 mmole)의 용액에 미네랄유(44 mg, 1.1 mmole) 중 60 % 염화 나트륨 현탁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 2 ml 중 요오드메틸-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0.84 g, 2.1 mmole)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철야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물로 4회 세척하고 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하고 감압 증발시켰다.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였다. 수율: 525 mg = 82 %
1H-NMR(CDCl3) 0.91(m, 3H) 1.32(m, 1H) 1.60(m, 1H) 2.04(m, 1H) 2.90(m, 2H) 3.20(m, 1H) 3.82(s, 3H) 5.04(s, 2H) 5.84-6.06(m, 2H) 6.91-8.18(m, 13H)
f)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2-(5-시아노피리딜)]우레아-O-메틸렌-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디클로로메탄 4 ml 중 (1S,2S)-N-[시스-2-(6-플루오로-2-O-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2-(5-시아노피리딜)우레아-O-메틸렌-4-(4-메톡시벤질옥시)벤조에이트(100 mg, 0.156 mmole)의 용액에 TFA(0.5 ml)를 첨가하고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증발시키고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하였다. 수율: 45 mg = 55 %
1H-NMR(DMSO δ-6) 0.84(m, 3H) 1.10(m, 1H) 1.48(m, 1H) 2.12(m, 1H) 2.80(m, 2H) 3.19(m, 1H) 5.85-6.02(m, 2H) 6.84(m, 2H) 7.18(m, 1H) 7.46(m, 2H) 7.74(m, 2H) 8.04(m, 2H) 8.38(m, 1H)
<실시예 39>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6-메틸아미노니코틴산(0.050 g, 0.33 mmol) 및 실시예 8의 화합물(0.1 g, 0.27 mmol)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조생성물(표제 화합물 및 반응하지 않은 출발 물질을 포함함)을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30 g(22 %)을 얻었다.
1H.NMR(CDCl3): 9.8(br s, 1H), 9.25(br s, 1H), 8.90(d, 1H), 8.20(d, 1H), 8.10(m, 1H), 7.72(m, 2H), 7.08(t, 1H), 6.9(d, 1H), 6.37(d, 1H), 3.20(m, 1H), 2.95(d, 3H), 2.85(q, 2H), 1.95(m, 1H), 1.48(m, 1H), 1.10(t, 3H).
<생물학적 실시예 1>
내성 패턴
야생형 및 쉬나지(Schinazi) 등의 문헌[International Antiviral News, vol 4 no 6, pp 95-107 (1996)]에 기재된 다른 비뉴클레오시드성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사용함으로써 발생된 공지 돌연변이체를 비롯한 다수의 HIV 균주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이 분석법은 단백질 결합의 영향을 나타내는 50 % 인간 혈청의 존재 하의 측정을 비롯한 MT-4 세포에서 XTT에 의해 수회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웨이슬로우(Weislow) 등의 문헌[J Nat Cancer Inst 1989, vol 81 no 8, 577 et seq)]]. ED50은 ㎍/ml 단위로 나타냈다. 또한, 상응하는 HIV-무함유 세포에서의 50 % 독성 유발 투여량을 ED50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 산출 치료 지수(SI)로 초기 테이타가 제공되어 있다. 문헌[1995 ICAR Santa Fe]에 기재된 선행 기술의 화합물은 상기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특히 그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문제가 되는 알려진 돌연변이주 K103N 및 Y181C뿐 아니라, L100I 및 2회 돌연변이주 LI001, Y181C에 대한 값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화합물보다 분명히 더 낮은 ED50값을 갖는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이러한 거울상 이성질체의 치료 지수는 선행 기술의 화합물보다 5배 내지 10배 더 크다. 이러한 결과는 수년 동안 약물을 복용해야하는,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내성을 지닌 HIV 바이러스로 인해 사망할 환자의 HIV를 치료하는 동안 관찰된다. 따라서, 독성 누적을 막고 동시에 적정량을 투여하여 치료력을 유지하고 다수의 내성 HIV 균주의 자연 발생을 막기 위해 높은 SI가 요구된다.
<생물학적 실시예 2>
내성 발생 시간
미량정량 플레이트의 웰당 2 x 104MT4 세포를 5 내지 10 TCID50의 HIV-1ⅢB로 감염시켰다. 시험 화합물을 농도당 8회 반복하여 대략 ED50농도로 첨가하였다. 6일간 인큐베이션한 다음, 상등액 10 ㎕의 RT 활성을 측정하였다.
1주일에 한번씩 배양물을 계속 계대배양하면서 하기 과정을 수행하였다. 미처리 감염 세포의 RT 활성의 50 %를 초과하는 것으로 보이는 시험 화합물의 농도(SIC, 출발 억제 농도)에서 생성된 바이러스를 새 MT4 세포에 계대배양하였다. 8회 반복 실험한 각각의 상등액 15 ㎕를 시험 화합물이 없는 세포(대조군) 및 시험 화합물이 있는 세포에 동일 농도 및 추가로 각각 5배 및 25배 더 높은 농도로 계대배양하였다(하기 표 2 참조).
가장 높은 무독성 농도(5 내지 40 μM)에서 바이러스 증식이 이루어진 경우, 2 내지 4개의 동등 웰을 모아 양을 증가시켜 서열 분석 및 교차 내성을 위한 물질을 얻었다.
도 1은 시간에 따른 본 발명의 화합물(실시예 8)에 대한 바이러스의 내성 증가 그래프이다. 상기 언급된 최근의 산타페 화합물에 상응하는 그래프도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당히 더 느린 내성 발생 속도를 보임이 분명하다.
<생물학적 실시예 3>
P450 대사
바쿨로바이러스에 감염된 곤충 세포를 인간 시토크롬 P450 cDNA(수퍼좀(supersome), Gentest Corp. Woburn USA)로 형질감염시켜 인간 시토크롬계 P450의 주요 이소폼을 통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대사작용을 평가하였다.
CYP1A2 + P450 환원효소, CYP2A6 + P450 환원효소, CYP2C9-Arg 144 + P450 환원효소, CYP2C19 + P450 환원효소, CYP2D6-Val 374 + P450 환원효소 및 CYP3A4 + P450 환원효소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시토크롬 P450 이소폼을 과다발현시키는 수퍼좀의 존재하에 0.5, 5 및 50 μM 농도의 시험 화합물을 2개조로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양물은 일정 농도의 시토크롬 P450(예를 들어 50 pmole)을 포함하였고 1시간에 걸쳐 인큐베이션하였다. UV HPLC 크로마토그래피로 모화합물의 소실을 측정하여 시험 화합물의 대사와 소정 이소폼의 관련성을 판단하였다.
상기 세가지 농도 배양물을 7.5분 동안 시험한 다음, 잔류 수치(%)는 CYP3A4, 1A2, 2C19 및 2A6가 실시예 7의 화합물의 대사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유사한 배열의 P450 이소폼도 선행 기술의 산타페 할로피리디닐 화합물의 대사에 관여한다.
놀랍게도, 실시예 8의 화합물에 대해서는 이성질체를 지닌 유의한 P450 대사 반응은 기록되지 않았고, 이는 이 화합물이 생체내에서 안정하며 병행 투여되는 약물의 대사를 방해할 가능성이 상당히 낮음을 시사한다.
<생물학적 실시예 4>
약물동태학
랫트에게 경구 투여된 화학식 2의 프로드러그로부터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방출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7의 화합물을 프로필렌 글리콜 비히클로 조제하여 금식한 한쌍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랫트에게 0.027 mmol/kg에 상응하는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제시된 시간 간격으로, 카니스 경정맥(canis jugularis)에 이식한 카테터로부터 혈액을 0.2 ml 모아 원심분리하고 나중의 분석을 위해 동결시켰다. 방출된 화학식 1의 약물(실시예 6)을 HPLC로 분석하였다. 각 혈장 샘플 40 내지 100 ㎕를 포함하는 분취량을 같은 부피의 아세토니트릴과 혼합하였다(10 초, Vibrofex). 샘플을 원심분리하고(2 분, 14000 RPM) 상등액 30 ㎕를 하기와 같은 HPLC계에 주입하였다.
예비 컬럼: RP-18, 7 m, 15 x 3.2 mm
컬럼: YMC 기재, 3m, 150 x 3 mm
이동상: 3 mM 아세트산 암모늄 중 60 % 아세토니트릴, pH 6.4
유속: 0.4 ml/분
검출 방식: UV, 250 nm
표 3에서, 화학식 2의 프로드러그의 경구 투여 결과, 생체내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양으로 방출됨이 분명하다.
<생물학적 실시예 5 내지 8>
i) 준비
약물동태학적 실시예에 사용된 랫트는 체중이 약 200 내지 250 g인 수컷 스프라그 돌리였다. 실험전 적어도 16시간 동안은 랫트에게 먹이를 주지 않았으나 물은 마음대로 먹게하였다. 실험 전날, 에프란(Efrane, 등록상표), 웃음 가스 및 산소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랫트를 마취시켰다. 카테터를 상기 랫트의 경정맥에 넣었다. 실험 당일, 랫트의 체중을 기록하였다. 경구 투여 또는 랫트의 경부 뒷쪽에 정맥 주입을 하기 전에 잠깐 랫트를 마취시켰다. 각 물질을 랫트 쌍들에게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 12시간 전에, 원숭이에게 먹이를 주지 않았으나 물은 마음대로 먹게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유아용 비위의 급식 튜브를 통해 전달하였다. 6시간 후에 원숭이에게 사과 1개를 주었다.
ⅱ) 복용량 제조
경구 투여를 위해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활성 성분의 적당량을 프로필렌 글리콜의 용액 또는 물중 10 % 아카시아(Acacia) 및 1 %의 트윈(Tween)의 용액에 용해시키고(시키거나) 현탁시켰다. 정맥내 투여를 위해 화합물을 DMSO 중에 용해시켰다.
ⅲ) 혈액 샘플링
실험 전, 그래프에 표시된 시간 간격 및 약물 투여 후에 혈액 샘플(통상 랫트는 0.6 ml, 원숭이는 2 ml를 채혈함)을 채혈하였다. 원숭이의 대퇴부 정맥을 EDTA-함유 튜브로 천자하였다. 혈액 샘플을 원심분리하고 감염 물질을 1 % SDS/64℃/20분로 중화하고 혈장을 -20 ℃에서 보관하였다.
iv) 생물분석
하기와 같이 혈장 샘플을 제조하였다. 혈장 40 내지 100 ㎕를 같은 부피의 아세토니트릴과 혼합하였다(10 초, Vibrofex). 샘플을 원심분리하고(2 분, 14000 RPM) 상등액 30 ㎕를 하기와 같은 HPLC계에 주입하였다.
예비 컬럼: RP-18, 7 ㎛, 15 x 3.2 mm
컬럼: YMC 기재, 3 ㎛, 150 x 3 mm
이동상: 3 mM 아세트산 암모늄 중 60 % 아세토니트릴, pH 6.4
유속: 0.4 ml/분
검출 방법: UV, 250 nm
<생물학적 실시예 5>
최근의 선행 기술의 화합물과의 비교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생체내 안정성 및 유용성을 최근의 산타페 화합물, 즉(+/-)-N-(시스-2-(6-플루오로-2-히드록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클로로피리딜-2-일)-우레아와 비교하였다(여기서, 각 화합물은 0.024 mmol/kg의 투여량으로 DMSO 비히클로 투여됨). 도 2는 시간에 따른 각 화합물의 혈장 수준의 그래프이다(각 경우에서, n은 2임). 각 그래프는 통상의 형태를 갖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최근의 선행 기술의 화합물 AUC(0 내지 4시간)의 1.5배 이상의 AUC(0 내지 4시간)를 나타낸다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즉, 이런 사실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느린 제거 속도 때문인지 또는 선행 기술의 화합물 등의 큰 조직 결합도 때문인지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상기 기재된 유도체보다 50 % 더 나타났다.
<생물학적 실시예 6>
생물적으로 동등한 프로드러그 및 모화합물
화학식 2의 여러가지 화합물(화학식 1의 화합물의 프로드러그임)을 랫트에게 투여하고 본 발명의 모화합물(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0의 화합물)의 혈장 수준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였다. 비히클은 물 중 10 % 아카시아검 및 1 % 트윈,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었다(별표). 표 4의 혈장 수준 수치는 각각의 랫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2의 프로드러그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생체내에서 임상적으로 적절한 양으로 혈장에 방출시킨다는 것은 분명하다. 절대적인 경구적인 생체이용률(상기 준비 부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맥내 투여량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함)은 실시예 37의 화합물의 경우 28 내지 33 %였고, 실시예 27의 화합물로 측정할 수 있는 동물의 경우 27 %였다.
<생물학적 실시예 7>
다른 종에서의 생체이용률
본 발명의 화학식 2의 프로드러그(실시예 12)를 랫트 및 cynomolgus 원숭이에게 동일한 투여량(0.026 mmol/kg)에서 동일한 비히클(물중 10 % 아카시아검 및 1 % 트윈)로 투여하였다. 화학식 1의 모화합물(실시예 10)의 혈장 수준을 시간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화학식 2의 프로드러그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생체내에서 임상적으로 적절한 양으로 방출시킨다는 것은 분명하다. 방출은 설치류 및 영장류 모두에서 일어났고, 영장류에서의 혈장 수준은 상당히 높았다.
실시예 28의 화합물(랫트: 아카시아/트윈, 원숭이: 프로필렌 글리콜)의 상응하는 데이타가 표 5a에 나타나 있다.
<생물학적 실시예 8>
항바이러스 활성
MT4 세포중의 세포병원성 효과의 억제를 분석하는 XTT-포르마잔 분석법으로 50 % 인간 혈청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야생형 HIVⅢB및 내성 돌연변이체에 대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HIV-1 활성을 시험하였고, 각 경우에 ED50은 μM 단위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생체내에서 달성되는 농도에서 다양한 HIV 균주에 대해 매우 활성적이었다.
<생물학적 실시예 9>
항바이러스 활성
당업계의 세포 배양물 분석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최근의 선행 기술의 화합물과 비교하는데, 여기서 인간 T 세포 라인 MT4 세포를 10 % 우태아 혈청,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보충한 RPMI 1640 배지중에 배양하고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2x104세포/웰)에 파종하고 웰당 10 내지 20 TCID50의 HIV-1ⅢB(야생형) 또는 RT Ile 100, Cys 181 또는 Asn 103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돌연변이체 바이러스로 감염시켰다.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험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고 배양물을 37 ℃에서 CO2가 풍부한 분위기 하에 인큐베이션하고 세포의 생존능을 XTT 생체 염료로 하루에 5번 내지 6번 측정하였다. 하기 나타낸 결과는 많은 측정값에 대한 평균치이다. 결과는 ED50μM로 나타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야생형 및 특히 NNRTI로 치료하는 동안 발생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돌연변이에 대해 상당히 개선된 성능을 지닌다.
<생물학적 실시예 10>
결합 동태학
표적 효소에 대한 NNRTI의 결합 및 분해 속도를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방법(여기서, 역전사효소는 칩의 표면에 고정되고 이로 인한 칩 질량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유발된 굴절률의 변화를 관찰하여 추정 저해제의 결합 및 분해를 모니터함)으로 직접 분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실시예 8)을 상기 기재된 최근의 선행 기술의 산타페 화합물과 비교하였다. 데이타를 평가하기 위해 BIA 평가 소프트웨어(버전 3.0)를 사용하여 비아코어 2000(Biacore 2000)(Biacore AB, Uppsala, Sweden)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훨씬 더 큰 효소에 대한 작은 분석 물질(NNRTI)의 결합은 10 내지 20 RU 범위의 결합 반응을 일으켰다. 러닝 완충액(running buffer) 및 샘플 사이의 벌크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샘플의 주입 동안에 얻어진 데이타를 평가하기가 어려웠다. 분해 상태 중에는 벌크 굴절률의 변화가 미미하므로 이 상태 동안 다른 물질의 결합을 평가하였다.
고정화: 효소 및 기준 단백질을 CM5 칩 상의 1급 아민에 직접 결합시켜 고정시켰다[마크그렌(Markgren) 등의 문헌, 1998]. 기준 단백질로 Fc g에 대한 항체(Biacore BR-1000-57)를 사용하였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고정시켰다. HIV 역전사효소[운게(Unge) 등의 문헌, 1990]를 3 M (NH4)2SO4로부터 나노셉트 원심분리 농축기 10K(Nanosept Centrifugal concentrators 10K(Pall Filtron, MA, U.S.A))를 이용하여 4 mM MgCl2을 함유하는 5 mM Hepes(pH 7.6)로 옮겼다. 6800 내지 9700 RU에 상응하는 양의 RT를 센서 칩에 고정시켰다. 0.5 M Tris(pH 7.6), 4 mM MgCl2, 0.5 M KCl을 주입하여 센서 표면을 실활시켰다. 33 ℃에서 상기 고정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저해제와의 상호작용: 저해제 모용액(DMSO 중 1 mg/ml)을 RT 러닝 완충액(10 mM Hepes(pH 7.6), 4 mM MgCl2, 0.25 mM 스퍼민, 40 mM KCl, 0.5% Triton X-100, 3 % DMSO, 0.5 % 우 태아 혈청) 중에 10 mM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희석된 물질 200 ml를 주입하여 RT에 결합하는 물질을 분석하였고, 유속은 20 ml/분이고 온도는 25 ℃였다. 각 물질을 주입한 다음, RT 세정 완충액 중에 10 % DMSO 120 ml을 주입하여 계를 세척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선행 기술의 화합물은 다른 상호작용 동태를 나타냄이 분명하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장 느린 속도로 분해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역전사효소에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운게(Unge T), 아홀라(Ahola H), 비카바이(Bhikhabhai R), 바크브로(Backbro K), 로브그렌(Lovgren S), 페뇨(Fenyo EM), 호니그만(Honigman A), 파넷(Panet A), 그로노비쯔(Gronowitz JS), 스트란드베르크(Strandberg B)의 문헌[Expression, purification, and crystallization of the HIV-1 reverse, transcriptase (RT). AIDS Res Hum Retroviruses 1990 Nov;6(11):1297-303].
마크그렌(Markgren P-O), 하말라이넨(Hamalainen M), 다니엘슨(Danielson UH)의 문헌[Screening of compounds interacting with HIV-1 proteinase using optical biosensor technology. Analytical Biochemistry 1998, vol 265, in press].
본 발명의 여러가지 면 및 실시태양은 구체적인 실시예, 비교 실시예 및 도면에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어떤 식으로든 이러한 실시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를 통해 확장되는 것으로 생각될 것이다.

Claims (29)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 및 프로드러그.
    <화학식 1>
    식 중,
    Rx는 시아노 또는 브롬이고, R1은 할로이고, R2는 C1-C3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플루오로인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에틸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1S,2S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를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x가 시아노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프로드러그가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인 화합물.
    <화학식 2>
    식 중,
    Rx,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3은 H, (CHm)nNR5R6이고, R4는 H, C1-C3알킬, (CHm)nNR5R6, (CHm)nC(=O)R5, (CHm)nOH, OR7, 할로, CF3또는 CN이거나, 또는 R3및 R4가 함께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치환기수가 0 내지 2인 5 또는 6원 융합 고리를 형성하고, R5는 H, C1-C3알킬, C(=O)R7또는 아미노산수가 1 내지 4인 펩티드이고, R6은 H, C1-C3알킬이거나, 또는 R5및 R6이 함께 추가의 헤테로 원자수가 0 또는 1이고(이거나)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2이고(이거나) 치환기수가 0 내지 2인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R7은 H, C1-C12알킬, (CHm)nNR5R6이고,
    X 및 그를 포함하는 고리는 불포화 결합수가 0 내지 3이고(이거나) S, O 및 N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 원자수가 0 내지 3인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m은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고, n은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는 0 또는 1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X-함유 고리가 나프틸, 피리딜, 퀴놀릴 또는 페닐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X-함유 고리가 페닐인 화합물.
  9. 제7항에 있어서, X-함유 고리가 피리드-2-일 또는 바람직하게는 피리드-3-일인 화합물.
  10. 제6항에 있어서, R3이 -NH2, -NHCH3, -NHCH2CH3또는 -N(CH3)2인 화합물.
  11. 제6항에 있어서, X-함유 고리가 특히 페닐인 경우 R3은 카르보닐기에 대해 메타 위치에 있거나, 또는 X-함유 고리가 특히 헤테로고리인 경우 R3은 카르보닐기에 대해 파라 위치에 있는 화합물.
  12. 제6항에 있어서, -(CH2)n- 및(또는) -(CH2)n-이 없는, 즉 p 및(또는) n은 0인 화합물.
  13. 제6항에 있어서, Rx가 시아노인 화합물.
  14. 제6항에 있어서, R1이 플루오로인 화합물.
  15. 제6항에 있어서, R2가 에틸인 화합물.
  16. 제6항에 있어서, 1S,2S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를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
  17. 제1항에 있어서,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및
    (1R,2R)-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18. 제17항에 있어서, (1S,2S)-N-[시스-2-(6-플루오로, 2-히드록시, 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인 화합물.
  19. 제1항에 있어서,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에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2-(3-디메틸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1R,2R)-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르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1S,2S)-N-{시스-2-[6-플루오로-3-프로피오닐-2-(6-메틸아미노피리드-3-일카로보닐옥시)페닐]시클로프로필}-N'-(5-시아노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인 화합물.
  21. 제19항에 있어서, (1S,2S)-N-[시스-2-(2-(3-아미노페닐카르보닐옥시)-6-플루오로-3-프로피오닐페닐)-시클로프로필]-N'-(5-브로모피리드-2-일)-우레아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염인 화합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그의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추가의 항레트로바이러스제 1종 내지 3종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추가의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AZT, ddI, ddC, D4T, 3TC, 아데포버(adefovir), 아데포버 디피복실(adefovir dipivoxil), 아바카버(abacavir), bis-POC-PMPA, 포스카넷(foscarnet), 히드록시우레아, 에파버렌쯔(efavirenz), 트로버딘(trovirdine), 네비라핀(nevirapine), 델라버딘(delavirdine), PFA, H2G, ABT 606, 리토나버(ritonavir), 사퀴나버(saquinavir), 인디나버(indinavir), 암프레나버(amprenavir)(Vertex VX 478), 미쯔비쉬 MKC-442 및 넬피나버(nelfinavi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용의 화합물.
  26. 제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IV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물 제조에 있어서 화합물의 용도.
  27. 필요로 하는 투여대상에게 제1항 내지 제6항에 정의된 화합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IV 감염을 억제 또는 예방하는 방법.
  28. 화학식(식 중, R1및 R2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히드록시-보호기임)의 아지드 화합물을 커티우스 전위반응(Curtius rearrangement)시킨 다음, 화학식(식 중, R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의 화합물과 결합시키고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a) 하기 화학식 3의 활성화 화합물로 아실화하는 단계, 또는
    (b) 하기 화학식 3a의 화합물로 알킬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3>
    (식 중, R3, R4, X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임의로 보호되고, R8은 수소 또는 통상의 활성기임)
    <화학식 3a>
    (식 중, n, R3, R4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나, 노출된 아민, 히드록시 등의 치환체는 통상의 보호기로 보호됨).
KR1020007007830A 1998-01-16 1999-01-15 항바이러스제 KR10056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0113-4 1998-01-16
SE9800116A SE9800116D0 (sv) 1998-01-16 1998-01-16 Antivirals I
SE9800116-7 1998-01-16
SE9800113A SE9800113D0 (sv) 1998-01-16 1998-01-16 Antivirals II
PCT/SE1999/000053 WO1999036406A1 (en) 1998-01-16 1999-01-15 Antivir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194A true KR20010034194A (ko) 2001-04-25
KR100566445B1 KR100566445B1 (ko) 2006-03-31

Family

ID=2666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830A KR100566445B1 (ko) 1998-01-16 1999-01-15 항바이러스제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6486183B1 (ko)
EP (1) EP1054867B1 (ko)
JP (1) JP4488621B2 (ko)
KR (1) KR100566445B1 (ko)
CN (2) CN1158261C (ko)
AR (1) AR016169A1 (ko)
AT (1) ATE264305T1 (ko)
AU (1) AU739766B2 (ko)
BR (1) BR9906933A (ko)
CA (1) CA2318694C (ko)
CZ (1) CZ299387B6 (ko)
DE (1) DE69916425T2 (ko)
DK (1) DK1054867T3 (ko)
EA (1) EA003327B1 (ko)
ES (1) ES2220039T3 (ko)
HK (1) HK1036280A1 (ko)
HU (1) HU228886B1 (ko)
IL (1) IL137196A0 (ko)
MY (1) MY129292A (ko)
NZ (1) NZ505543A (ko)
PL (1) PL191832B1 (ko)
PT (1) PT1054867E (ko)
SK (1) SK285779B6 (ko)
TR (1) TR200002058T2 (ko)
TW (1) TW470645B (ko)
WO (1) WO1999036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445B1 (ko) * 1998-01-16 2006-03-31 메디비르 아베 항바이러스제
WO1999051613A1 (en) * 1998-04-03 1999-10-14 Medivir Ab Prodrugs of phosphorous-containing pharmaceuticals
SE0100733D0 (sv) 2001-03-05 2001-03-05 Medivir Ab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SE0102867D0 (sv) * 2001-08-28 2001-08-28 Medivir Ab Non-nucl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EP1701942B1 (en) * 2004-01-08 2009-12-09 Medivir AB Non-nucleot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US20080241265A1 (en) * 2005-08-31 2008-10-02 Amar Lulla Pharmaceutical Combinations Containing Lamivudine, Stavudine and Nevirapine
US7302330B1 (en) * 2006-09-01 2007-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orque converter clutch dynamic control
GB0623258D0 (en) 2006-11-22 2007-01-03 Remynd Nv Thiadiazol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12013728A1 (en) * 2010-07-29 2012-02-02 Oryzon Genomics S.A. Arylcyclopropylamine based demethylase inhibitors of lsd1 and their medical use
CN104203244A (zh) 2012-03-05 2014-12-10 希普拉有限公司 包含拉米夫定、festinnvir和奈韦拉平的抗反转录病毒药物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621B1 (ko) * 1993-08-24 2002-07-27 메디비르 아베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및관련바이러스를억제하는화합물및방법
US5849769A (en) * 1994-08-24 1998-12-15 Medivir Ab N-arylalkyl-N-heteroarylurea and guandine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ing HIV infection
KR100566445B1 (ko) * 1998-01-16 2006-03-31 메디비르 아베 항바이러스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0645B (en) 2002-01-01
CN1522698A (zh) 2004-08-25
TR200002058T2 (tr) 2001-05-21
US20030119881A1 (en) 2003-06-26
NZ505543A (en) 2002-09-27
IL137196A0 (en) 2001-07-24
DK1054867T3 (da) 2004-08-09
EA003327B1 (ru) 2003-04-24
PT1054867E (pt) 2004-09-30
CA2318694C (en) 2009-10-27
HUP0100432A3 (en) 2002-12-28
KR100566445B1 (ko) 2006-03-31
HUP0100432A2 (hu) 2001-07-30
EP1054867B1 (en) 2004-04-14
US7148243B2 (en) 2006-12-12
SK285779B6 (sk) 2007-08-02
MY129292A (en) 2007-03-30
CN1292781A (zh) 2001-04-25
US6486183B1 (en) 2002-11-26
BR9906933A (pt) 2001-11-27
EA200000770A1 (ru) 2000-12-25
DE69916425D1 (de) 2004-05-19
ES2220039T3 (es) 2004-12-01
CZ299387B6 (cs) 2008-07-09
HU228886B1 (en) 2013-06-28
CN1158261C (zh) 2004-07-21
SK10332000A3 (sk) 2002-04-04
JP2002509137A (ja) 2002-03-26
PL191832B1 (pl) 2006-07-31
PL341819A1 (en) 2001-05-07
WO1999036406A1 (en) 1999-07-22
CZ20002604A3 (en) 2001-05-16
AU739766B2 (en) 2001-10-18
HK1036280A1 (en) 2001-12-28
AU2445099A (en) 1999-08-02
DE69916425T2 (de) 2005-05-19
EP1054867A1 (en) 2000-11-29
ATE264305T1 (de) 2004-04-15
JP4488621B2 (ja) 2010-06-23
AR016169A1 (es) 2001-06-20
CA2318694A1 (en) 199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058B2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拮抗薬としてのフェニルまたはピリジルアミド化合物
JP4253126B2 (ja) Ppar−ガンマ調節剤
KR101762574B1 (ko) 플라즈미노겐 액티베이터 인히비터-1 저해제
AU2007230911A1 (en) Benzimidazolyl-pyridine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CA2693552A1 (en) Pyridone compound
HUT74450A (en) Anthranilic acid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ns. contg. such compds.
AU2005286701A1 (en) Compounds for inflammation and immune-related uses
KR20070091634A (ko) 염증 치료시 cxcr2 억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융합된비사이클릭 카복스아미드 유도체
CA2264037A1 (en) Thrombin inhibitors
KR100326621B1 (ko)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및관련바이러스를억제하는화합물및방법
KR100566445B1 (ko) 항바이러스제
JP2007261945A (ja) チアゾール誘導体
CA2838703A1 (en) Indanone derivativ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r optical isomers thereof, preparation method for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 diseases
WO2002020462A1 (fr) Derives d'acide benzoique et medicaments possedant ces derniers comme principe actif
KR20090091139A (ko) 2-히드록시-1,3-디아미노프로판 유도체
MXPA00006973A (en) Antivirals
KR100832750B1 (ko) N-페닐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10081598A (ko)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