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598A -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 Google Patents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598A
KR20010081598A KR1020000007487A KR20000007487A KR20010081598A KR 20010081598 A KR20010081598 A KR 20010081598A KR 1020000007487 A KR1020000007487 A KR 1020000007487A KR 20000007487 A KR20000007487 A KR 20000007487A KR 20010081598 A KR20010081598 A KR 2001008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iminomethylphenyl
phenyl
pyridine
nmr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교
장혜경
이태희
문광율
이상구
윤경희
권오환
강명균
박두희
이선화
이승학
김은경
황광연
허용석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0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598A/ko
Priority to EP01901571A priority patent/EP1254136A4/en
Priority to US10/181,975 priority patent/US20030065176A1/en
Priority to KR1020027009662A priority patent/KR20020070385A/ko
Priority to JP2001561005A priority patent/JP2003523356A/ja
Priority to PCT/KR2001/000013 priority patent/WO2001055146A1/en
Priority to AU2001227122A priority patent/AU2001227122A1/en
Priority to UY26564A priority patent/UY26564A1/es
Publication of KR2001008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59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3/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rings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13/02Mono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 C07C13/08Mono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a five-membered ring
    • C07C13/12Monocyclic hydrocarbons or acyclic hydrocarbon derivatives thereof with a five-membered ring with a cyclopenten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7/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 C07C257/1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 C07C257/18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having carbon atoms of amid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9/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59/12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N-hydroxyamidines
    • C07C259/18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an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and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N-hydroxyamidines having carbon atoms of hydroxamidin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립신, 트롬빈 등의 유사한 효소들에 대해 탁월한 선택성을 보일 뿐아니라 경구흡수도 가능한 하기 화학식 1의 FXa 억제제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혈전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A, M, Q, P, X, Y, Z 및 n 은 명세서에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Selective FXa inhibitors having a phenylamidine moiety}
본 발명은 FXa 억제제로 사용가능한 하기 화학식 1의 페닐아미딘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각종 혈전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액응고 과정에는 여러가지 복잡한 효소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응고의 마지막 단계는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인데, 이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가 FXa 이다. 반응 결과 생성된 트롬빈은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고, 섬유소원을 섬유소로 바꾸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섬유소는 중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물질로 바뀌고, 활성화된 혈액인자 XIII 에 의해 교차결합되어 불용성 응혈이 된다. 트롬빈은 또한 혈액응고 과정에 참여하는 혈액인자 V와 VIII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혈액응고 반응을 더욱 가속화시킨다.따라서, 트롬빈의 억제제는 효과적인 항응혈제로 작용하는 동시에, 혈소판 활성을 억제하고, 섬유소 생성 및 안정화를 막을 수 있으므로, 오래전부터 트롬빈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신규물질을 개발함으로써 혈액응고를 예방하고 각종 혈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 왔다. 한편, 트롬빈 억제제를 이용한 임상시험에서 여러 억제제들이 혈중 트롬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만, 트롬빈의 생성반응 자체는 억제하지 못하여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트롬빈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억제제가 투여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출혈부작용이 다수 보고되었다.
반면, FXa 억제제는 트롬빈 생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FXa의 활성을 차단하기 때문에 혈전증 및 이와 관련한 질환을 치료, 예방할 목적으로 꾸준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동물실험을 통해 트롬빈 억제제가 지니고 있던 한계점, 즉 트롬빈 생성 억제능 미비, 출혈부작용 등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에 대한 과학적 증명의 내용은 실로 다양하다. 가장 중요한 예로서, 진드기나 거머리 등 피를 먹고사는 동물에서 진드기 항응혈 단백질(Tick Anticoagulant Protein; TAP), 안티스타신(antistasin) 등의 FXa 억제 단백질을 발견하였고, 이들은 실제로 몇가지 동물모델 실험을 통하여 항응혈제로서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FXa의 활성부위를 화학적으로 차단한 단백질(DEGR-Xa)을 사용한 심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및 견치 동맥 혈전증(canine arterial thrombosis) 모델 동물실험에서도 위와 같은 접근방법은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
인체 FXa는 인체 인자 X로부터 활성화되는데, 인체 인자 X는 13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경쇄(light-chain)와 30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중쇄(heavy-chain)가 하나의 디설파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단백질이다. 경쇄는 단백질 발현 후γ-카복실화된 11개의 글루탐산과 β-하이드록실화된 아스파트산 하나를 가지고 있다. 중쇄는 약 15% 정도의 아미노산이 글리코실화되어 있으며, 촉매도메인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인자 X에서 FXa로의 활성화 과정은 내부 또는 외부경로에 의해 이루어진다. 내부경로(intrinsic pathway)라 함은 혈액응고 과정에 필요한 모든 것이 혈액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여기에 관여하는 물질로는 세린 프로테아제 단백질인 인자 IX와 인자 XI, 비효소 공인자(non-enzymatic co-factor)인 인자 VIII 등이 있다. 인자 XI에서 인자 XIa로의 활성화로 부터 시작되며, 인자 XIa는 인자 IX를 인자 IXa로 변환시키고, 생성된 인자 IXa는 인자 VIII와 포스포리피드 표면상에서 결합하여 테나제 복합체(tenase complex)를 생성하는데, 이 복합체가 인자 X을 FXa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경로(extrinsic pathway)는 인자 VII과 결합하여 이를 활성화시키는 조직인자가 혈액 외부로부터 유래된 것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인자 VIIa-조직인자 복합체가 인자 X를 FXa로 직접 변환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FXa는 포스포리피드 표면상에서 공인자 Va와 결합하여 프로트롬비나제 복합체를 이루고, 이 복합체가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시키게 된다.
계산상으로 FXa 한 분자가 138 분자의 트롬빈을 생성시키며 혈중 프로트롬빈의 농도가 FXa에 비해 약 10배 이상 높기 때문에 트롬빈 억제제를 사용하면 FXa 억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의 약물이 요구된다. 또한, FXa 억제제는생리적으로 혈전형성에 필요한 혈중 트롬빈농도를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출혈부작용이 감소되어 안전성 측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여러가지 이유로, 트롬빈 억제제 뿐만 아니라 FXa 억제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세계적인 연구기관들에 의해 FXa 억제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효과적인 FXa 억제제로서 개발된 비스아미딘계 화합물로는 다이이치사가 연구한 DX-9065a(EP 0540051-A1), 야마노우치사의 YM-60828(J. Med. Chem.1999,42, 2752-2759), 벌렉스사의 ZK-80719(WO 97/29067), ZK-807369(WO 97/21437)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들은 비스아미딘계 화합물로서 공통적으로 카복실산을 가지고 있으며, 경구흡수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노아미딘계 화합물로는 듀폰-머크사의 SK-549(J.Med.Chem.1999,42, 2760-2773)와 론-폴랭-로러사의 RPR-130737(WO 96/40679) 등이 있다. 이들은 트롬빈, 트립신 등 유사효소들에 대한 선택성이 뛰어나고, FXa 억제제로서의 효과는 훌륭하나, 경구흡수 여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서 만유제약주식회사(특허번호: P10-1467, JP)에 의해 개발된 것이 있으나, 본 발명과는 달리 비페닐과 링커가 연결된 위치가 메타포지션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FXa 억제활성이 뛰어나고 궁극적으로 트립신과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우수한 새로운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해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성이 높은 신규의 FXa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FXa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혈전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성이 높은 FXa 억제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신규한 페닐아미딘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또는 파라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O)(CH2)m- (m = 0,1,2,3), -CONR(CH2)n-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0개 이하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그룹으로 정의하며, 두개 이상 치환된 경우 상호 독립적이고, n = 0,1,2,3 이다), -(CH2)m(C=O)-, -(CH2)mCONR-, -(CH2)mO(CH2)m-, -(CH2)mNR(CH2)m-, -(CH2)mN(COR)(CH2)m-, -(CH2)mNR(C=O)-, -(CH2)mN(CO2R)(CH2)m-, -NH(C=O)NH-, -NR(C=O)(CH2)n-, -NRCO2(CH2)n- 및 -NR(SO2)(CH2)n- 중에서 선택되며,
Q 는 페닐, 피리딘, 피롤, 푸란, 티오펜, 옥사졸, 이소옥사졸, 이미다졸, 1,2-디아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리다진(=1,2-디아진), 피리미딘, 피라진(=1,4-디아진), 나프탈렌, 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피리딘, 피롤, 푸란, 티오펜, 옥사졸, 이소옥사졸, 이미다졸, 1,2-디아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리다진(=1,2-디아진), 피리미딘, 피라진(=1,4-디아진), 1,2,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테트라졸 및 1,3,5-트리아진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N, -OR, -CO2R, -COR, -CONR2, -NR2, -NR[(C=O)R] -N[(C=O)R]2, -R, -OCF3, -SO2NR2, -SONR2, -S(=O)R, -SO2R,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1,2)-이미다졸린-2-일, N-메틸-(1,2)-이미다졸린-2-일 및 -NHC(=NH)R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또는 파라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ONR(CH2)n-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0개 이하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그룹으로 정의하며, 두개 이상 치환된 경우 상호 독립적이고, n = 0,1,2,3 이다), -(CH2)mCONR- (m = 0,1,2,3), -(CH2)mO(CH2)m-, -(CH2)mNR(C=O)-, -NH(C=O)NH-, -NR(C=O)(CH2)n- 및 -NR(SO2)(CH2)n- 중에서 선택되며,
Q 는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H, -F, -CN, -R, -SO2NR2, -SO2R,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및 (1,2)-이미다졸린-2-일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H2)mCONR- (m = 0, 1; R = H) 및 -(CH2)mO(CH2)m- (m = 1) 중에서 선택되고; Q 는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F, -CN, -SO2NR2, -SO2Me 및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중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아세트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메틸설폰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5-(2-아미노설포닐페닐)-피리딘-2-일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N-메틸피리디늄-3-일)-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2-피리딜)-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4-(2-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및
4-(2-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그 구조내에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개개의 에난티오머 또는 부분입체이성체로 존재할 수 있고, 라세미체를 포함한 이들의 혼합물로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상기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일반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전구물질인 화합물[2]로 부터 몇가지 단위조작 과정을 통하여 합성되며, 여기서는 여러 가능한 경로를 일반화시켜서 표시하였다. 예를들어, 프라임화된(예: M') 작용그룹은 상응하는 작용그룹(예: M)으로 변환될 수 있는 일반화된 작용그룹의 표시이다. 여기에는 보호기를 비롯하여, 원하는 작용그룹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경우가 포함되는데, 예컨데 니트로(NO2) 그룹은 NH2, NHR, NH(C=O)R 등의 작용그룹의 전구형태로 볼 수 있고, 브롬(Br)이나 요오드(I)는 카복실산 유도체(예: CO2H, CONH2, CN 등)의 전구형태로 볼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은 화학식 1 화합물의 합성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화합물[2]로부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단위조작 과정(니트릴에서 아미딘 그룹으로의 변환을 포함한 작용그룹들의 변환)을 거쳐야 하며, 화합물[2]는 카복실산 유도체[3]을 변환시켜 얻을 수 있다.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화합물[3]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즉, 메타 또는 파라 브로모 벤조니트릴을 메타 또는 파라 시아노페닐리튬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다시 할로징크 화합물로 변환시키거나, 틴화합물로 쉽게 변환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메탈로화합물을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화합물[4]와 스틸레(Stille) 또는 스즈끼(Suzuki) 커플링시키면 카복실산 유도체[3]을 얻을 수 있다.
상기식에서, OTf 는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를 나타낸다.
카복실산 유도체[3]을 변환시키면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가지 화합물[5, 6, 7, 8, 9, 10] 등을 합성할 수 있고, 이들에 적절한 그룹을 도입 시킴으로써 화합물[2]를 얻게된다. 각각의 반응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스테르[3a,c]를 가수분해하여 카복실산[3b,d]를 얻고, 이를 티오닐클로라이드(SOCl2)나 이소부틸클로로포름메이트로 활성화시킨 다음 소듐보로하이드리드 존재하에 환원시켜 화합물[5]를 얻는다. 화합물[5]를 티오닐클로라이드 (SOCl2)/리튬클로라이드(LiCl)와 함께 반응시키면 화합물[6]을 얻게 된다. 아민계화합물[7]은 화합물[5]를 미쯔노부반응(프탈이미드, 트리페닐포스핀, 디에틸아조카복실레이트)시켜 프탈이미드 중간체(구조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얻고, 이를 다시 히드라진으로 처리함으로써 얻는다. 탄소수가 한 개 늘어난 카복실산[8]은 화합물 [3b,d]를 티오닐클로라이드(SOCl2)로 처리하여 활성화된 산클로라이드 중간체를 얻은 다음, 이를 디아조메탄으로 처리하여 디아조케톤 중간체를 얻고, 마지막으로 디아조케톤 중간체를 실버벤조에이트 촉매 존재하에 재배열반응시켜 얻는다. 화합물[9]는 카복실산[3b,d]를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diphenylphosphoryl azide)/트리에틸아민과 함께 가열하여 얻어진 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10]을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또한, 상기 중간체로서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10]는 직접 아민과 반응하여 링커가 우레아인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화합물[3,5,6,7,8,9,10]을 반응시켜 하기 표 1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2]를 얻는 과정은 실로 단순하다. 즉, 카복실산[3b,d] 또는 탄소수가 늘어난 카복실산[8]을 아민과 반응시켜(EDC/HOBt/Et3N) 화합물[2a-d 또는 2m-p]를 얻을 수 있고, 화합물[5,6]을 적당한 알킬할라이드로 알킬화 반응시키면 에테르 화합물[2e-h,2w]을 얻을 수 있으며, 아민계 화합물[7,9] 등을 카복실산과 아미드화 반응시키면 아미드화합물[2i-l,2u-v]를 얻을 수 있고, 중간체 이소시아네이트[10]을 직접 아민과 반응시켜 우레아 화합물[2q-t]을 얻을 수도 있다.
화합물[2]로부터 3단계의 반응(1st: H2S/피리딘-Et3N, 2nd: CH3I & 가열, 3rd: NH4OAc & 가열)을 거친다음 최종적으로 HPLC를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FXa 억제제를 합성하고 분리, 정제한다. 이들은 정제과정중에 주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을 함유하는 염으로 얻어지는데, 이들의 유리형태(free form)를 하기 표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화합물 1w-1dd의 합성에 대해서는 실시예에 상세히 기술되어있다.
상기 설명된 제조방법에서, 아미노 그룹의 커플링 반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커플링 시약으로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3-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산 클로라이드(BOP-Cl),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DPPA), 이소부틸클로로포르메이트,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등을 언급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에 비해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뛰어날 뿐아니라 경구투여에 의해서도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FXa 억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혈전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체중 1kg 당 0.001mg 내지 10mg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 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 고정 오일은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은 주사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및 결합제 중에서 선택된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의 커다란 특징중의 하나는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경구형 제제로 제형화하여 경구투여하는 경우에도 약효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쥐를 실험동물로 하여 약물동력학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경우 약물 농도가 혈중에서 오랫동안 유지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입증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트롬빈 억제제와 달리 경구용 제제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더욱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으로 투여하여 목적하는 항응혈 효과 및 혈전용해 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화학식 1의 활성화합물은 혈전 용해제 및 혈소판활성 억제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는 혈전용해제로는 티피에이(t-PA), 유로키나아제(Urokinase),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등을 들 수 있고, 혈소판활성 억제제로는 아스피린, 티클로피딘(Ticlopidin), 클로피드로겔(Clopidro- gel), 7E3 단일항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혈전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함유 제제는 상술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혈전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제제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자주 사용되는 시약은 아래와 같이 약어로 기술하고자 한다.
DMF : 디메틸포름아미드
THF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EA : 트리에틸아민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DC :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OBt :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DIBAL: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리드
MeOH : 메탄올
DEAD : 디에틸 아조디카복실레이트
NMM : N-메틸모폴린
TFA :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ATU :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제조예 1: 메틸 2-(4-시아노페닐)-벤조에이트의 합성
파라브로모벤조니트릴(4.16g, 1.2당량)을 질소 대기하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25㎖)-무수 디에틸에테르(5㎖)에 녹이고 -100℃로 유지한 다음, n-부틸리튬/헥산 용액(10.9㎖, 2.2M, 1.05당량)을 플라스크의 벽면을 통하여 약 2분 동안 가하였다(오렌지-노랑색). 3분 후 무수 디브로모징크(ZnBr2, 5.15g, 1.2당량)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에 녹인 용액을 서서히 가하고 약 15분간 교반하였다(옅은 노랑색의 투명한 용액으로 바뀜, 용액 A). 한편, 용액 A가 만들어지는 동안, Pd(dba)2(329mg, 3몰%)와 트리페닐포스핀(300mg, 6몰%)을 질소기압하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10㎖)에서 20분간 교반하여 촉매를 만들고, 여기에 2-요오도벤조산 메틸에스테르(5.0g, 19.1mmol, 1당량)-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15㎖) 용액을 가하였다. 여기에 용액 A를 더블팁 니들을 이용하여 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40분간 가열환류시켰다. 용액을 농축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 200㎖)에 녹였다. 1N-염산(100㎖x2), 물(100㎖)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무수 황산나트륨), 감압-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7-8% 에틸아세테이트/헥산)로 분리하고 얻어진 고체를 헥산으로 여러 번 추출한 다음, 헥산층을 농축시켜 표제화합물을 4.18g(수율 92%)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93 (dd, J = 7.3, 1.4 Hz, 1H), 7.68 (d, J = 8.3 Hz, 2H), 7.57 (dt, J = 7.8, 1.4 Hz, 1H), 7.48 (dt, J = 7.3, 1.4 Hz, 1H), 7.40 (d, J = 8.7 Hz, 2H), 7.31 (dd, J = 7.8, 1.0 Hz, 1H), 3.67 (s, 3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메틸 2-(3-시아노페닐)-벤조에이트(수율 90%)
1H-NMR (500 MHz, CDCl3) δ 7.93 (dd, J = 7.8, 1.4 Hz, 1H), 7.64-7.45 (m, 6H), 7.30 (dd, J = 7.8, 1.0 Hz, 1H), 3.68 (s, 3H)
제조예 2: 2-(4-시아노페닐)-벤조산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조산 메틸에스테르(4.16g)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50㎖)-메탄올(25㎖)에 녹이고, 1N-수산화나트륨 용액(40㎖)을 가하였다. 5시간동안 교반한 후 다시 1N-수산화나트륨 용액(10㎖)을 가하고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약 45℃로 가열하였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화-농축-추출을 통하여 일차 정제하고, 디클로로메탄/헥산(1:9)으로 두 번 트리튜레이션하여 회색분말의 표제화합물 3.498g을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8.04 (dd, J = 7.8, 1.0 Hz, 1H), 7.67 (d, J = 7.8 Hz, 2H), 7.61 (dt, J = 7.8, 1.4 Hz, 1H), 7.50 (dt, J = 7.8, 1.4 Hz, 1H), 7.41 (d, J = 7.8 Hz, 2H), 7.31 (d, J = 7.8 Hz, 1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3-시아노페닐)-벤조산
1H-NMR (500 MHz, CDCl3) δ 8.05 (dd, J = 7.8, 0.9 Hz, 1H), 7.65-7.47 (m, 6H), 7.30 (d, J = 7.8 Hz, 1H)
제조예 3: 3-트리부틸틴-벤조니트릴의 합성
3-브로모벤조니트릴(9.10g, 50mmol)을 질소 기압하에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60㎖)과 무수 디에틸에테르(12㎖)에 녹이고 -100℃(액체질소/에테르)로 유지한 다음, 22.7㎖의 n-부틸리튬(2.2몰 헥산 용액, 22.7㎖)을 천천히 가하였다. 약 5분후 트리부틸틴클로라이드(14.24㎖, 1.05당량)를 가하고 서서히 온도를 0oC로 올리면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약 25㎖의 부피가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헥산(200㎖)에 녹였다. 물로 2회 세척하고(100㎖x2),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였다. 수득된 화합물을 2%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옅은 노랑색의 액체상 표제화합물을 17.67g(수율 90%)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71 (dd, J = 0.9, 1.0 Hz, 1H), 7.66 (m, 1H), 7.56 (m, 1H), 7.38 (t, J = 7.4 Hz, 1H), 1.51 (m, 6H), 1.32 (m, 6H), 1.06 (m, 6H), 0.88 (t, J = 7.4 Hz, 9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2-트리부틸틴-벤조니트릴
1H-NMR (500 MHz, CDCl3) δ 7.64 (d, J = 7.8 Hz, 1H), 7.54 (d, J = 7.4 Hz, 1H), 7.48 (m, 1H), 7.36 (m, 1H), 1.56 (m, 6H), 1.34 (m, 6H), 1.22 (m, 6H), 0.88 (m, 9H)
4-트리부틸틴-벤조니트릴
4-t-부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 트리부틸주석
제조예 4: 2-t-부틸아미노설포닐-벤젠보론산의 합성
2-t-부틸아미노설포닐-벤젠보론산은 WO 98/28269 (또는 JMC1999,42, 2752 -2759)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고,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2-t-부틸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벤젠보론산
2-t-부틸아미노설포닐-5-메틸-벤젠보론산
1H-NMR (500 MHz, CDCl3) δ 8.30 (br s, 2H), 7.70 (d, J = 8.7 Hz, 1H),7.30 (m, 2H), 6.77 (s, 1H), 2.35 (s, 3H), 1.09 (s, 9H)
제조예 5: 2-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의 합성
2-옥소-사이클로펜탄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2.18g, 1.0당량)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에 녹이고, 수소화나트륨(560mg, 1.0당량)을 가하였다. 20분간 교반하여, 교반이 어려운 고체덩어리가 생성되면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20㎖)을 가하고, 여기에 N-페닐트리플릭이미드(5.0g)를 가하였다. 1.5 시간 후에 반응물을 농축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에 대해 5%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무색 액체상의 표제화합물을 3.638g(수율 90%)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4.25 (q, J = 6.9 Hz, 2H), 2.78-2.66 (m, 4H), 2.01 (m, 2H), 1.31 (t, J = 6.9 Hz, 3H)
제조예 6: 2-(4-시아노페닐)-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의 합성
2-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747mg, 1.0당량), 파라-트리부틸틴-벤조니트릴(1.27g, 80% 순도로 계산), 리튬클로라이드(329mg, 3.0당량)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90mg, 3몰%)을디옥산(8㎖)에 녹이고, 질소기압하에 24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한 후, 5%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무색 액체상의 표제화합물을 515mg(수율 82%)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61 (d, J = 8.3 Hz, 2H), 7.40 (d, J = 8.3 Hz, 2H), 4.08 (q, J = 7.4 Hz, 2H), 2.84 (m, 4H), 2.01 (m, 2H), 1.11 (t, J = 7.4 Hz, 3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3-시아노페닐)-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제조예 7: 메틸 2-(3-시아노페닐)-피리딘-3-카복실레이트의 합성
2-클로로-니코틴산 메틸에스테르(1.16g, 6.73mmol), LiCl(856mg, 3당량) 및 Pd(PPh3)4(233mg, 3mol%)에 디옥산(20㎖)을 가하고 3-트리부틸틴-벤조니트릴(2.64g, 1.0당량)을 질소하에서 가하고 12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30㎖)으로 묽힌 후 에틸아세테이트(30㎖x3)로 추출, 건조,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1.51g(수율 94%)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8.82 (dd, J = 5.0, 1.8 Hz, 1H), 8.21 (dd, J = 7.8, 1.4 Hz, 1H), 7.85 (s, 1H), 7.74-7.69 (m, 2H), 7.54 (m, 1H), 7.42 (m, 1H), 3.75 (s, 3H)
2-클로로-니코틴산 메틸에스테르 [1H-NMR (500 MHz, CDCl3) δ 8.49 (dd, J = 5.0, 1.9 Hz, 1H), 8.14 (dd, J = 7.4, 1.9 Hz, 1H), 7.30 (dd, J = 7.8, 4.6 Hz, 1H), 3.94 (s, 3H)]
제조예 8: 2-(4-시아노페닐)-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의 합성
2-(4-시아노페닐)-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에틸에스테르(993mg, 4.12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16㎖)-메탄올(8㎖)에 녹이고, 1N-수산화나트륨 용액 (8㎖)을 가하였다. 하룻밤 교반한 후, 통상적인 방법(중화-농축-추출-건조-감압농축)으로 일차 정제하고, 헥산으로 트리튜레이션하여 노랑색 분말상의 표제화합물을 818mg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DMSO-d6) δ 7.79 (d, J = 8.3 Hz, 2H), 7.52 (d, J = 8.3 Hz, 2H), 2.84 (m, 2H), 2.74 (m, 2H), 1.93 (m,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2-(3-시아노페닐)-1-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
1H-NMR (500 MHz, DMSO-d6) δ 12.35 (br, 1H), 7.81 (s, 1H), 7.75 (d, J = 7.8 Hz, 1H), 7.68 (dd, J = 8.3, 1.4 Hz, 1H), 7.54 (t, J = 7.8 Hz, 1H), 2.85 (m, 2H), 2.74 (m, 2H), 1.92 (m, 2H)
2-(3-시아노페닐)-피리딘-3-카복실산
1H-NMR (500 MHz, DMSO-d6) δ 8.80 (dd, J = 5.1, 1.9 Hz, 1H), 8.23 (dd, J = 8.3, 1.9 Hz, 1H), 7.96 (s, 1H), 7.91 (m, 1H), 7.86 (m, 1H), 7.66 (t, J = 7.8 Hz, 1H), 7.57 (dd, J = 7.8, 4.6 Hz, 1H)
제조예 9: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아닐린의 합성
공지의 방법(J. Med. Chem.1999,42, 2752-2759)에 따라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8.14 (dd, J = 7.8, 1.4 Hz, 1H), 7.51 (m, 1H), 7.42 (m, 1H), 7.32 (d, J = 8.9 Hz, 2H), 7.29 (m, 1H), 6.74 (d, J = 8.7 Hz, 2H), 3.81 (br s, 2H), 3.70 (s, 1H), 0.98 (s, 9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이때, 아미노 그룹이나카복실산이 t-부톡시카보닐 또는 에스테르로 보호되어 있는 경우 통상적인 방법(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에 의한 처리 또는 가수분해)으로 탈보호기화하여 다음 반응을 진행시켰다. 설포닐아미드의 N-t-부틸 그룹은 통상적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처리로는 제거되지 않으므로, 10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장시간(12-20 시간) 처리하여 제거하였다.
2-아미노-5-(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피리딘
1H-NMR (500 MHz, CDCl3) δ 8.16 (d, J = 7.8 Hz, 1H), 8.07 (d, J = 2.3 Hz, 1H), 7.70 (dd, J = 8.3, 2.3 Hz, 1H), 7.56 (t, J = 7.3 Hz, 1H), 7.47 (t, J = 7.8 Hz, 1H), 7.28 (d, J = 7.4 Hz, 1H), 6.56 (d, J = 8.2 Hz, 1H), 4.56 (br s, 2H), 3.74 (s, 1H), 1.04 (s, 9H)
3-(4-t-부톡시카보닐아미노페닐)-피리딘
1H-NMR (500 MHz, CDCl3) δ 8.81 (d, J = 1.8 Hz, 1H), 8.55 (dd, J = 4.6, 1.4 Hz, 1H), 7.83 (dt, J = 8.3, 1.8 Hz, 1H), 7.52 (d, J = 8.7 Hz, 2H), 7.47 (d, J = 8.7 Hz, 2H), 7.33 (dd, J = 7.8, 5.1 Hz, 1H), 6.58 (s, 1H), 1.53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아닐린
1H-NMR (500 MHz, CDCl3) δ 8.01(d, J = 7.8 Hz, 1H), 7.31 (d, J = 8.3 Hz, 2H), 7.21 (d, J = 9.6 Hz, 1H), 7.09 (s, 1H), 6.74 (d, J = 8.3 Hz, 2H), 3.79 (br s, 2H), 3.66 (s, 1H), 2.40 (s, 3H), 0.98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아닐린
1H-NMR (500 MHz, CDCl3) δ 8.14 (dd, J = 9.2, 6.0 Hz, 1H), 7.31 (d, J = 8.3 Hz, 2H), 7.08 (m, 1H), 6.99 (dd, J = 9.2, 2.8 Hz, 1H), 6.74 (d, J = 8.7 Hz, 2H), 3.85 (br s, 2H), 3.68 (s, 1H), 0.98 (s, 9H)
메틸 4-(2-t-부틸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벤조에이트
1H-NMR (500 MHz, CDCl3) δ 8.10 (d, J = 8.3 Hz, 2H), 8.05 (d, J = 8.3 Hz, 1H), 7.57 (d, J = 8.3 Hz, 2H), 7.29 (d, J = 7.8 Hz, 1H), 7.09 (s, 1H), 3.95 (s, 3H), 3.48 (s, 1H), 2.43 (s, 3H), 1.02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벤조산
1H-NMR (500 MHz, CDCl3) δ 8.08 (d, J = 8.3 Hz, 1H), 7.99 (d, J = 8.3 Hz, 2H), 7.47 (d, J = 8.3 Hz, 2H), 7.30 (d, J = 8.3 Hz, 1H), 7.05 (s, 1H),5.86 (s, 1H), 2.43 (s, 3H), 1.17 (s, 9H)
4-(2-시아노페닐)-아닐린
1H-NMR (500 MHz, CDCl3) δ 7.70 (d, J = 7.8 Hz, 1H), 7.58 (m, 1H), 7.46 (d, J = 7.8, 1H), 7.38 (d, J = 8.3 Hz, 2H), 7.34 (t, J = 7.4 Hz, 1H), 6.76 (d, J = 8.7 Hz, 2H), 3.47 (br s, 2H)
메틸 4-(2-t-부틸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1H-NMR (500 MHz, CDCl3) δ 8.19 (dd, J = 9.2, 5.5 Hz, 1H), 8.12 (d, J = 8.3 Hz, 2H), 7.58 (d, J = 8.3 Hz, 2H), 7.16 (m, 1H), 7.01 (dd, J = 8.7, 2.3 Hz, 1H), 3.95 (s, 3H), 3.48 (s, 1H), 1.02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벤조산
1H-NMR (500 MHz, CDCl3) δ 8.23 (dd, J = 9.2, 5.5 Hz, 1H), 7.99 (d, J = 8.3 Hz, 2H), 7.45 (d, J = 8.3 Hz, 2H), 7.19 (m, 1H), 6.97 (dd, J = 8.7, 2.8 Hz, 1H), 6.25 (s, 1H), 1.21 (s, 9H)
N-t-부톡시카보닐 4-(2-시아노페닐)-아닐린
1H-NMR (500 MHz, CDCl3) δ 7.74 (d, J = 7.8 Hz, 1H), 7.61 (m, 1H), 7.49-7.47 (m, 5H), 7.40 (m, 1H), 6.61 (s, 1H), 1.53 (s, 9H)
메틸 4-(2-시아노페닐)-벤조에이트
1H-NMR (500 MHz, CDCl3) δ 8.16 (d, J = 8.3 Hz, 2H), 7.79 (d, J = 7.8 Hz, 1H), 7.67 (m, 1H), 7.63 (d, J = 8.7 Hz, 2H), 7.53 (d, J = 7.3 Hz, 1H), 7.49 (m, 1H), 3.95 (s, 3H)
4-(2-시아노페닐)-벤조산
1H-NMR (500 MHz, DMSO-d6) δ 8.08 (d, J = 8.3 Hz, 2H), 7.99 (d, J = 7.8 Hz, 1H), 7.82 (m, 1H), 7.71 (d, J = 8.3 Hz, 2H), 7.68 (d, J = 7.8 Hz, 1H), 7.63 (m, 1H)
2-(3-시아노페닐)-아닐린 (분해생성물)
1H-NMR (500 MHz, CDCl3) δ 7.77 (t, J = 1.4 Hz, 1H), 7.72 (m, 1H), 7.63 (m, 1H), 7.54 (dd, J = 7.8, 7.4 Hz, 1H), 7.20 (m, 1H), 7.07 (m, 1H), 6.84 (m, 1H), 6.78 (d, J = 7.8 Hz, 1H), 3.69 (br, 2H)
제조예 10: 2-(3-시아노페닐)-벤질알콜의 합성
2-(3-시아노페닐)-벤조산(351mg, 1.57mmol)을 CH2Cl2(6㎖)에 녹이고 SOCl2(0.45㎖)를 가한 후 3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농축시킨 후 THF(10㎖)에 녹여 소듐보로하이드리드(75mg)의 메탄올(7㎖)용액(-78℃에서 메탄올을 소듐보로하이드리드에 가해서 5분 정도 교반)에 가하였다. 천천히 반응 온도를 상온으로 올려 1시간 더 교반하였다. 1N HCl로 중화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Mg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표제화합물을 314mg(수율 95%)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70 (pseudo t, J = 1.8, 1.4 Hz, 1H), 7.67-7.64 (m, 2H), 7.57-7.52 (m, 2H), 7.46-7.37 (m, 2H), 7.24 (dd, J = 7.8, 0.9 Hz, 1H), 4.56 (s,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4-시아노페닐)-벤질알콜
1H-NMR (500 MHz, CDCl3) δ 7.72 (d, J = 8.3 Hz, 2H), 7.58-7.39 (m, 5H), 7.26 (m, 2H), 4.57 (s, 2H)
제조예 11: 2-(4-시아노페닐)-벤질아민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질알콜을 미쯔노부 반응시켜 N-2-(4-시아노페닐)-벤질 프탈이미드{1H-NMR (500 MHz, CDCl3) δ 7.81 (m, 2H), 7.73-7.69 (m, 4H), 7.56 (d, J = 8.7 Hz, 2H), 7.35-7.30 (m, 3H), 7.18 (m, 1H), 4.78 (s, 2H)}를 합성하였다. 이를 하이드라진으로 탈프탈이미드화 반응시켜 아민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여기서 수득된 아민 유도체는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2-(3-시아노페닐)-벤질아민도 합성하였다.
제조예 12: 2-(4-시아노페닐)-벤질클로라이드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질알콜을 티오닐클로라이드/리튬클로라이드 조건에서 가열하여 합성하였으며, 더 이상 정제하지 않고 바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유사한 방법에 따라 2-(3-시아노페닐)-벤질클로라이드도 합성하였다.
제조예 13: 메틸 2-(3-시아노페닐)-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
2-(3-시아노페닐)-벤조산(400mg, 1.79mmol)을 CH2Cl2(5㎖)에 녹이고 SOCl2(1㎖)를 가하여 3시간동안 환류시켰다. 여기에 CH2N2용액(에테르)을 가하여 2-(3-시아노페닐)-벤조일디아조메탄을 얻었다. 이 중간체를 메탄올에 녹이고, 여기에 TEA(5㎖) 및 실버벤조에이트(61mg, 15mol%)를 가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로 여과,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이고 0.5N HCl로 세척하여 건조,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338mg(수율 75%)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66 (m, 1H), 7.61 (m, 1H), 7.58-7.51 (m, 2H), 7.40-7.34 (m, 3H), 7.20 (d, 1H), 3.63 (s, 3H)
제조예 14: 2-(3-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산의 합성
제조예 13에서 수득한 에스테르를 THF(8㎖)에 녹이고 1.0N NaOH(2.7㎖, 2.0당량)를 가한 다음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0N HCl로 중화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건조, 농축시켜 표제화합물을 291mg(수율 93%)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66 (m, 1H), 7.62 (s, 1H), 7.58-7.50 (m, 2H), 7.41-7.35 (m, 3H), 7.23 (d, J = 7.4 Hz, 1H), 3.57 (s,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2-(4-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산
1H-NMR (500 MHz, CDCl3) δ 7.70 (d, J = 7.8 Hz, 2H), 7.44 (d, J = 8.3 Hz, 2H), 7.41-7.36 (m, 3H), 7.24 (d, J = 7.4 Hz, 1H), 3.58 (s, 2H)
제조예 15: 우레아 형성반응(커티어스 재배열반응 후 아민처리: Curtius rearrangement followed by amine treatment)
N-{2-(4-시아노페닐)-페닐}-N'-(4-시아노페닐)우레아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조산(223mg, 1.0mmol)을 딘-스탁 장치를 하고 벤젠(30㎖)에서 가열하여 탈수시켰다. 벤젠(15㎖)을 증류하여 버리고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226㎖, 1.05당량)와 트리에틸아민(167㎖, 1.2당량)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4-아미노벤조니트릴(142mg, 1.2당량)을 가한 다음 하룻밤 동안 가열-환류시켰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농축시킨 후, 얻어진 고체를 클로로포름에서 트리튜레이션하여 흰색 분말의 표제화합물을 259mg(수율 77%)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DMSO-d6) δ 9.39 (s, 1H), 7.95 (d, J = 7.8 Hz, 2H), 7.84 (m, 1H), 7.70(d, J = 8.3 Hz, 2H), 7.62(d, J = 7.8 Hz, 2H), 7.55 (d, J = 8.7 Hz, 2H), 7.42 (m, 1H), 7.30-7.22 (m,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N-{2-(3-시아노페닐)-페닐}-N'-(3-시아노페닐)우레아
1H-NMR (500 MHz, CDCl3) δ 7.93 (d, J = 8.3 Hz, 1H), 7.67 (m, 1H), 7.60(m, 5H), 7.42 (m, 1H), 7.33 (m, 1H), 7.29-7.20 (m, 4H), 6.65 (s, 1H)
N-{2-(3-시아노페닐)-페닐}-N'-(4-시아노페닐)우레아
MS : 339 [M+H]
N-{2-(4-시아노페닐)-페닐}-N'-(3-시아노페닐)우레아
1H-NMR (500 MHz, DMSO-d6) δ 9.20 (d, J = 4.6 Hz, 1H), 7.97 (br s, 1H), 7.95 (d, J = 7.8 Hz, 2H), 7.92 (s, 1H), 7.85 (t, J = 7.3 Hz, 1H), 7.62 (d, J = 8.3 Hz, 2H), 7.55 (m, 1H), 7.47-7.39 (m, 3H), 7.30-7.21 (m, 2H)
제조예 16: 4-시아노벤질 2-(4-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조산(200mg, 0.896mmol), 4-아미노메틸벤조니트릴·HCl (166 mg, 1.1당량), EDC(238mg, 1.3당량) 및 HOBT(157mg, 1.3당량)를 DMF(5㎖)에 녹인 후 0℃에서 DIPEA(0.47㎖, 3.0당량)를 가하고 상온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농축시키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267mg(수율 88%)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64 (d, J = 8.3 Hz, 3H), 7.58-7.46 (m, 6H), 7.36 (d, J = 7.4 Hz, 1H), 7.16 (d, J = 7.8 Hz, 2H), 5.75 (m, 1H), 4.43 (d, J= 6.0 Hz,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3-시아노벤질 2-(4-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69 (d, J = 8.3 Hz, 2H), 7.63-7.33 (m, 9H), 7.24 (m, 1H), 5.85 (m, 1H), 4.41 (d, J = 6.0 Hz, 2H)
3-시아노벤질 2-(3-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67-7.59 (m, 4H), 7.56-7.52 (m, 2H), 7.48 (pseudo t, J = 7.8, 7.4 Hz, 2H), 7.41 (t, J = 7.8 Hz, 1H), 7.33 (dd, J = 7.8, 1.4 Hz, 2H), 7.26 (s, 1H), 5.78 (m, 1H), 4.43 (d, J = 6.4 Hz, 2H)
4-시아노벤질 2-(3-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67-7.42 (m, 9H), 7.34 (dd, J = 7.8, 1.0 Hz, 1H), 7.17 (d, J = 7.8 Hz, 2H), 5.81 (m, 1H), 4.46 (d, J = 6.4 Hz, 2H)
3-시아노페닐 2-(3-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76 (s, 1H), 7.67 (d, J = 6.9 Hz, 1H), 7.60 (s, 1H), 7.56-7.51 (m, 3H), 7.49-7.38 (m, 5H), 7.29 (m, 1H), 7.02 (br s, 1H), 3.67 (s, 2H)
4-시아노페닐 2-(4-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70 (d, J = 8.3 Hz, 2H), 7.58 (d, J = 8.7 Hz, 2H), 7.50 (d, J = 8.7 Hz, 2H), 7.48-7.40 (m, 5H), 7.30 (d, J = 7.8 Hz, 1H), 7.13 (br s, 1H), 3.68 (s, 2H)
3-시아노페닐 2-(4-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4-시아노페닐 2-(3-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2-(4-시아노페닐)-벤질 4-시아노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77-7.70 (m, 6H), 7.49-7.39 (m, 5H), 7.26 (m, 1H), 6.21 (br, 1H), 4.60 (d, J = 6.0 Hz, 2H)
2-(4-시아노페닐)-벤질 3-시아노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94 (s, 1H), 7.90 (m, 1H), 7.78 (m, 1H), 7.72 (d, J = 8.7 Hz, 2H), 7.56 (t, J = 7.8 Hz, 1H), 7.50-7.39 (m, 5H), 7.27 (m, 1H), 6.20 (br, 1H), 4.60 (d, J = 5.5 Hz, 2H)
2-(3-시아노페닐)-벤질 3-시아노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96 (s, 1H), 7.90 (d, J = 7.8 Hz, 1H), 7.77 (d, J = 7.8 Hz, 1H), 7.67 (d, J = 7.4 Hz, 1H), 7.62 (s, 1H), 7.61-7.54 (m, 3H), 7.49-7.38 (m, 3H), 7.26 (m, 1H), 6.21 (br, 1H), 4.58 (d, J = 5.5 Hz, 2H)
2-(3-시아노페닐)-벤질 4-시아노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7.76 (d, J = 8.7 Hz, 2H), 7.71 (d, J = 8.3 hz, 2H), 7.66 (d, J = 7.4 Hz, 1H), 7.62 (s, 1H), 7.60-7.53 (m, 2H), 7.49-7.38 (m, 3H), 7.25 (m, 1H), 6.22 (br, 1H), 4.58 (d, J = 5.5 Hz, 2H)
제조예 17: 4-시아노벤질 2-(4-시아노페닐)-벤질에테르의 합성
2-(4-시아노페닐)-벤질알콜(130mg, 0.624mmol)과 4-시아노벤질클로라이드 (100mg, 1.05당량)를 DMF(5㎖)에 녹이고 0℃에서 NaH(광유에 60% 농도로 분산, 40mg, 1.5당량)를 가하였다. 반응물을 1시간 정도 교반한 후 감압농축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건조 및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186mg(수율 92%)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7.70 (d, J = 8.3 Hz, 2H), 7.62 (d, J = 8.3 Hz, 2H), 7.55 (m, 1H), 7.49 (d, J = 8.3 Hz, 2H), 7.46-7.40 (m, 2H), 7.38 (d, J = 8.7 Hz, 2H), 7.27 (m, 1H), 4.51 (s, 2H), 4.43 (s,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3-시아노벤질 2-(4-시아노페닐)-벤질에테르
1H-NMR (500 MHz, CDCl3) δ 7.69 (d, J = 8.3 Hz, 2H), 7.58-7.54 (m, 3H), 7.49-7.41 (m, 6H), 7.27 (m, 1H), 4.48 (s, 2H), 4.42 (s, 2H)
4-시아노벤질 2-(3-시아노페닐)-벤질에테르
1H-NMR (500 MHz, CDCl3) δ 7.71-7.38 (m, 11H), 7.26 (m, 1H), 4.52 (s, 2H), 4.40 (s, 2H)
3-시아노벤질 2-(3-시아노페닐)-벤질에테르
1H-NMR (500 MHz, CDCl3) δ 7.68-7.42 (m, 11H), 7.27 (d, J = 7.8 Hz, 1H), 4.49 (s, 2H), 4.41 (s, 2H)
제조예 18: 4-(2-피리딜)-페닐 2-(3-시아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의 합성
2-(3-시아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실산(80mg, 0.375mmol)을 1,2-에틸렌디클로라이드(4㎖)에 녹인 후 SOCl2(0.28㎖, 10당량)를 가하고 2.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물을 농축시킨 후 남은 농축물을 CH2Cl2(10㎖)에 녹이고, 0℃에서 DIPEA (0.65㎖, 10당량) 및 4-(2-피리딜)-아닐린(53mg, 0.314mmol)을 가하였다. 12시간 정도 교반한 후 감압 농축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건조, 농축시켰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에틸아세테이트, 3:1)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을 59mg(수율 51%)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8.64 (m, 1H), 7.91 (d, J = 8.3 Hz, 2H), 7.74-7.63 (m, 4H), 7.59 (d, J = 7.8 Hz, 1H), 7.46-7.41 (m, 3H), 7.19 (m, 1H), 7.07 (br s, 1H), 2.97 (m, 2H), 2.91 (m, 2H), 2.11 (m,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4-(3-피리딜)-페닐 2-(3-시아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78 (d, J = 1.9 Hz, 1H), 8.55 (dd, J = 5.0, 1.4 Hz, 1H), 7.82 (m, 1H), 7.65 (m, 2H), 7.60 (d, J = 7.8 Hz, 1H), 7.50-7.42 (m, 5H), 7.33 (m, 1H), 7.13 (br s, 1H), 2.97 (m, 2H), 2.90 (m, 2H), 2.11 (m, 2H)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시아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14 (dd, J = 7.8, 1.4 Hz, 1H), 7.67 (s, 1H), 7.64 (d, J = 7.8 Hz, 1H), 7.60 (m, 1H), 7.55-7.51 (m, 1H), 7.48-7.44 (m, 2H), 7.41 (s, 4H), 7.27 (dd, J = 7.4, 1.4 Hz, 1H), 7.11 (br s, 1H), 3.57 (s, 1H), 2.97 (m, 2H), 2.91 (m, 2H), 2.11 (m, 2H), 1.00 (s, 9H)
5-(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피리딘-2-일 2-(3-시아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47 (d, J = 2.3 Hz, 1H), 8.14 (d, J = 7.8 Hz, 1H), 7.79-7.54 (m, 6H), 7.44 (m, 2H), 7.32 (m, 1H), 6.76 (d, J = 8.3 Hz, 1H), 3.78 (s, 1H), 2.73 (m, 2H), 2.48 (m, 2H), 1.93 (m, 2H), 1.12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14 (d, J = 7.8 Hz, 1H), 7.78 (d, J = 7.4 Hz, 1H), 7.70 (d, J = 8.3 Hz, 2H), 7.61-7.59 (m, 3H), 7.56-7.53 (m, 2H), 7.48-7.39 (m, 6H), 7.28 (d, J = 7.3 Hz, 1H), 7.18 (s, 1H), 3.54 (s, 1H), 1.01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13 (dd, J = 7.8, 1.4 Hz, 1H), 7.78 (m, 2H), 7.72 (d, J = 7.8 Hz, 1H), 7.65 (d, J = 7.8 Hz, 1H), 7.61-7.50 (m, 4H), 7.47-7.39 (m, 6H), 7.28 (dd, J = 7.3, 0.9 Hz, 1H), 7.22 (s, 1H), 3.56 (s, 1H), 1.00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시아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82 (dd, J = 4.6, 1.4 Hz, 1H), 8.11-8.06 (m, 3H), 7.96 (d, J = 8.3 Hz, 1H), 7.69 (d, J = 7.8 Hz, 1H), 7.58-7.42 (m, 9H), 7.28 (d, J = 7.8 Hz, 1H), 3.59 (s, 1H), 1.00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페닐 2-(3-시아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83 (dd, J = 5.0, 1.8 Hz, 1H), 8.08 (dd, J = 7.8, 1.9 Hz, 1H), 8.06 (s, 1H), 7.97 (d, J = 8.3 Hz, 2H), 7.69 (d, J = 7.8 Hz, 1H), 7.55-7.51 (m, 2H), 7.48-7.40 (m, 5H), 7.25 (m, 1H), 7.08 (s, 1H), 3.57 (s, 1H), 2.41 (s, 3H), 1.00 (s, 9H)
4-(2-t-부틸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페닐 2-(3-시아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84 (dd, J = 4.6, 1.4 Hz, 1H), 8.14 (dd, J = 8.7, 5.5 Hz, 1H), 8.09 (m, 2H), 7.99 (d, J = 7.8 Hz, 1H), 7.71 (d, J = 7.8 Hz, 1H), 7.55 (m, 1H), 7.48 (dd, J = 7.8, 5.1 Hz, 1H), 7.44 (s, 4H), 7.38 (s, 1H), 7.15 (m, 1H), 7.00 (dd, J = 8.7, 2.3 Hz, 1H), 3.60 (s, 1H), 1.01 (s, 9H)
2-(3-시아노페닐)-페닐 페닐아세트아미드
1H-NMR (500 MHz, CDCl3) δ 8.28 (d, J = 8.3 Hz, 1H), 7.57 (dd, J = 7.8, 1.4 Hz, 1H), 7.40-7.05 (m, 11H), 6.89 (br s, 1H), 3.63 (s, 2H)
제조예 19: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의 합성
4-(2-t-부틸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시아노페닐)-벤즈아미드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여 표제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CDCl3) δ 8.73 (s, 1H), 8.08 (d, J = 8.3 Hz, 1H), 7.68 (d, J = 7.3 Hz, 1H), 7.65 (d, J = 8.3 Hz, 2H), 7.56 (d, J = 8.3 Hz, 2H), 7.53-7.34 (m, 9H), 7.26 (d, J = 7.3 Hz, 1H), 4.89 (s, 2H)
상기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설폰아미드에 치환된 t-부틸기를 제거하였다(NMR 보고는 생략함).
실시예 1: 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LB 33116)의 합성
3-시아노페닐 2-(3-시아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146mg, 0.433mmol)를 포화 H2S 용액(Pyr:TEA, 4:1) 10㎖에 녹인 후 상온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여 0.5N HCl로 세척해주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얻어진 화합물에 아세토니트릴(15㎖)과 메틸요오다이드(1.1㎖, 20당량)를 가한 후 1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다시 농축시킨 후 MeOH(10㎖)와 무수 NH4OAc(166mg, 2.5당량)를 가하고 다시 1시간동안 환류시켰다.농축시킨 후 RP-HPLC(Microsorb C18, 232nm, 15㎖/분, 10% AcCN to 25% in H2O containing 0.1% TFA)로 정제하고 동결건조시켜 표제화합물(81mg, 수율 31%)을 수득하였다.
1H-NMR (500 MHz, DMSO-d6) δ 10.48 (s, 1H), 9.34 (s, 2H), 9.28 (s, 2H), 9.25 (s, 2H), 9.16 (s, 2H), 8.10 (s, 1H), 7.87 (s, 1H), 7.82 (pseudo t, J = 9.2, 8.8 Hz, 2H), 7.75 (d, J = 8.3 Hz, 1H), 7.67 (t, J = 7.8 Hz, 1H), 7.54 (t, J = 7.8 Hz, 1H), 7.46-7.36 (m, 5H), 3.70 (s, 2H)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기 화합물들을 합성하였다.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098)
1H-NMR (500 MHz, DMSO-d6) δ 10.59 (s, 1H), 9.33 (br s, 2H), 9.17 (br s, 3H), 8.97 (br s, 2H), 7.89 (d, J = 8.3 Hz, 2H), 7.79-7.74 (Abq, J = 8.7 Hz, 4H), 7.66 (d, J = 8.3 Hz, 2H), 7.46-7.36 (m, 4H), 7.29 (d, J = 6.9 Hz, 1H), 3.71 (s, 2H)
MS : 372 [m + H]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7)
1H-NMR (500 MHz, DMSO-d6) δ 10.52 (s, 1H), 9.32 (s, 2H), 9.23 (s, 2H), 9.16 (s, 2H), 9.01 (s, 2H), 7.86 (s, 1H), 7.82-7.72 (m, 6H), 7.66 (t, J = 7.8 Hz, 1H), 7.47-7.34 (m, 4H), 3.72 (s, 2H)
MS : 372 [m + H]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099)
1H-NMR (500 MHz, DMSO-d6) δ 9.36 (s, 2H), 9.31 (s, 2H), 9.14 (s, 2H), 9.08 (s, 2H), 7.90 (d, J = 8.3 Hz, 2H), 7.73-7.57 (m, 7H), 7.48 (m, 2H), 7.34 (m, 1H), 4.54 (s, 2H), 4.52 (s, 2H)
MS : 359 [m + H]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0)
1H-NMR (500 MHz, DMSO-d6) δ 9.36 (br s, 2H), 9.28 (br s, 2H), 9.17 (br s, 2H), 9.07 (br s, 2H), 7.90 (d, J = 8.7 Hz, 2H), 7.78 (d, J = 8.3 Hz, 2H),7.67 (d, J = 8.3 Hz, 2H), 7.61 (m, 1H), 7.51 (d, J = 8.3 Hz, 2H), 7.47 (m, 2H), 7.73 (m, 1H), 4.57 (s, 2H), 4.52 (s, 2H)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4)
1H-NMR (500 MHz, DMSO-d6) δ 9.36 (s, 4H), 9.29 (s, 2H), 9.27 (s, 2H), 7.86-7.84 (m, 2H), 7.78 (m, 3H), 7.68 (m, 1H), 7.61 (m, 1H), 7.51-7.46 (m, 4H), 7.42 (m, 1H), 4.57 (s, 2H), 4.50 (s, 2H)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5)
1H-NMR (500 MHz, DMSO-d6) δ 9.36 (s, 2H), 9.34 (s, 2H), 9.29 (s, 2H), 9.26 (s, 2H), 7.84 (m, 2H), 7.79 (d, J = 8.3 Hz, 1H), 7.80 (m, 2H), 7.68-7.56 (m, 4H), 7.47 (m, 2H), 7.41 (m, 1H), 4.53 (s, 2H), 4.50 (s, 2H)
MS : 359 [m + H]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1)
1H-NMR (500 MHz, DMSO-d6) δ 9.35 (s, 2H), 9.33 (s, 1H), 9.26 (s, 2H), 9.15 (s, 2H), 9.02 (s, 2H), 8.12 (s, 1H), 7.95 (d, J = 8.3 Hz, 2H), 7.90 (s, 1H), 7.81 (d, J = 7.8 Hz, 1H), 7.68 (d, J = 8.3 Hz, 2H), 7.60 (d, J = 8.8 Hz, 1H), 7.48 (m, 1H), 7.33-7.24 (m, 3H)
MS : 373 [m + H]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2)
1H-NMR (500 MHz, DMSO-d6) δ 9.57 (s, 1H), 9.35 (s, 2H), 9.20 (s, 2H), 9.11 (s, 2H), 8.88 (s, 2H), 8.27 (s, 1H), 7.94 (d, J = 8.3 Hz, 2H), 7.79 (d, J = 8.3 Hz, 1H), 7.75 (d, J = 8.7 Hz, 2H), 7.69 (d, J = 8.3 Hz, 2H), 7.59 (d, J = 8.7 Hz, 2H), 7.43 (m, 1H), 7.32-7.26 (m, 2H)
MS : 373 [m + H]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5)
1H-NMR (500 MHz, DMSO-d6) δ 9.63 (s, 1H), 9.35 (s, 4H), 9.11 (s, 2H), 9.01 (s, 2H), 8.27 (s, 1H), 7.93 (s, 1H), 7.88-7.68 (m, 6H), 7.59 (d, J = 8.8Hz, 2H), 7.45-7.38 (m, 2H), 7.26 (m, 1H)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6)
1H-NMR (500 MHz, DMSO-d6) δ 9.42 (s, 1H), 9.37 (s, 4H), 9.27 (s, 2H), 9.20 (s, 2H), 8.16 (s, 1H), 7.92 (s, 1H), 7.89-7.84 (m, 3H), 7.79 (d, J = 7.8 Hz, 1H), 7.73-7.66 (m, 2H), 7.49 (pseudo t, J = 7.8, 8.3 Hz, 1H), 7.43-7.37 (m, 2H), 7.33 (d, J = 7.8 Hz, 1H), 7.25 (pseudo t, J = 7.8, 7.3 Hz, 1H)
MS : 373 [M + H]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3)
1H-NMR (500 MHz, DMSO-d6) δ 9.34 (br s, 2H), 9.31 (br s, 2H), 9.12 (br s, 2H), 9.10 (br s, 2H), 9.01 (t, J = 6.0 Hz, 1H), 7.81 (d, J = 8.2 Hz, 2H), 7.68 (m, 2H), 7.63-7.58 (m, 4H), 7.53 (m, 2H), 7.45 (d, J = 7.4 Hz, 2H), 4.40 (d, J = 6.0 Hz, 2H)
MS : 372 [m + H]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4)
1H-NMR (500 MHz, DMSO-d6) δ 9.34 (s, 2H), 9.27 (s, 2H), 9.19 (s, 2H), 9.14 (s, 2H), 9.07 (t, J = 6.0 Hz, 1H), 7.83 (d, J = 8.3 Hz, 2H), 7.75 (d, J = 8.3 Hz, 2H), 7.59-7.51 (m, 5H), 7.45 (d, J = 7.8 Hz, 2H), 4.40 (d, J = 6.0 Hz, 2H)
MS : 372 [m + H]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2)
1H-NMR (500 MHz, DMSO-d6) δ 9.36 (s, 2H), 9.26 (s, 2H), 9.12 (s, 2H), 9.07 (s, 2H), 9.02 (t, J = 6.0 Hz, 1H), 7.87 (s, 1H), 7.79 (d, J = 7.8 Hz, 1H), 7.75 (d, J = 8.3 Hz, 2H), 7.65-7.51 (m, 6H), 7.41 (d, J = 8.3 Hz, 2H), 4.39 (d, J = 6.0 Hz, 2H)
MS : 372 [m + H]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3)
1H-NMR (500 MHz, DMSO-d6) δ 9.35 (s, 2H), 9.32 (s, 2H), 9.27 (s, 2H),9.22 (s, 2H), 8.98 (t, J = 6.0 Hz, 1H), 7.85 (s, 1H), 7.77 (d, J = 7.4 Hz, 1H), 7.68 (m, 2H), 7.63-7.48 (m, 7H), 7.44 (d, J = 7.4 Hz, 1H), 4.38 (d, J = 6.0 Hz, 2H)
MS : 372 [m + H]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8)
1H-NMR (500 MHz, DMSO-d6) δ 9.49 (s, 2H), 9.43 (s, 4H), 9.39 (s, 2H), 9.28 (t, J = 5.5 Hz, 1H), 8.04 (d, J = 8.3 Hz, 2H), 7.94-7.90 (m, 4H), 7.71 (d, J = 8.3 Hz, 2H), 7.51 (d, J = 7.3 Hz, 1H), 7.46-7.38 (m, 2H), 7.29 (d, J = 7.8 Hz, 1H), 4.46 (d, J = 5.5 Hz, 2H)
MS : 372 [m + H]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7)
1H-NMR (500 MHz, DMSO-d6) δ 9.43 (s, 2H), 9.40 (s, 2H), 9.38 (s, 2H), 9.37 (s, 2H), 9.19 (t, J = 5.5 Hz, 1H), 8.29 (s, 1H), 8.18 (d, J = 7.8 Hz, 1H), 7.96-7.92 (m, 3H), 7.74-7.71 (m, 3H), 7.52 (d, J = 7.4 Hz, 1H), 7.44-7.39 (m, 2H), 7.29 (dd, J = 7.8, 1.4 Hz, 1H), 4.46 (d, J = 5.5 Hz, 1H)
MS : 372 [m + H]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10)
1H-NMR (500 MHz, DMSO-d6) δ 9.43 (s, 2H), 9.42 (s, 2H), 9.38 (s, 2H), 9.37 (s, 2H), 9.24 (t, J = 5.5 Hz, 1H), 8.02 (d, J = 8.3 Hz, 2H), 7.91-7.81 (m, 5H), 7.70 (pseudo t, J = 7.4, 7.8 Hz, 1H), 7.50 (d, J = 7.8 Hz, 1H), 7.45-7.39 (m, 2H), 7.35 (d, J = 7.4 Hz, 1H), 4.49 (d, J = 5.5 Hz, 2H)
MS : 372 [m + H]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09)
1H-NMR (500 MHz, DMSO-d6) δ 9.51 (s, 2H), 9.47 (s, 2H), 9.41 (s, 2H), 9.39 (s, 2H), 9.17 (t, J = 5.5 Hz, 1H), 8.27 (s, 1H), 8.15 (d, J = 7.3 Hz, 1H), 7.95 (d, J = 6.9 Hz, 1H), 7.88-7.82 (m, 3H), 7.73-7.70 (m, 2H), 7.52 (d, J = 7.3 Hz, 1H), 7.44-7.34 (m, 3H), 4.49 (d, J = 5.5 Hz, 2H)
MS : 372 [m + H]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아세트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LB 33119)
1H-NMR (500 MHz, DMSO-d6) δ 9.55 (s, 1H), 9.33 (s, 2H), 9.22 (s, 2H), 7.81 (m, 2H), 7.64 (d, J = 7.8 Hz, 1H), 7.55 (pseudo t, J = 7.8, 8.3 Hz, 1H), 7.51 (d, J = 7.8 Hz, 1H), 7.45-7.40 (m, 2H), 7.34 (m, 1H), 7.28 (m, 2H), 7.23 (m, 1H), 7.15 (d, J = 7.3 Hz, 2H), 3.49 (s, 2H)
MS : 330 [m + H]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메틸설폰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20)
1H-NMR (500 MHz, DMSO-d6) δ 9.31 (s, 2H), 9.18 (s, 2H), 9.11 (s, 1H), 7.89 (s, 1H), 7.82 (d, J = 7.4 Hz, 2H), 7.68 (m, 1H), 7.45-7.03 (m, 9H), 4.22 (s, 2H)
MS : 366 [m + H]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77)
1H-NMR (500 MHz, DMSO-d6) δ 10.63 (s, 1H), 9.34 (s, 2H), 9.01 (s, 2H), 8.02 (d, J = 6.9 Hz, 1H), 7.86 (d, J = 8.3 Hz, 2H), 7.70-7.51 (m, 9H), 7.33(d, J = 8.7 Hz. 2H), 7.29 (m, 2H)
MS : 471 [m + H]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78)
1H-NMR (500 MHz, DMSO-d6) δ 10.48 (s, 1H), 9.39 (s, 2H), 9.08 (s, 2H), 8.02 (d, J = 8.3 Hz, 1H), 7.92 (s, 1H), 7.79-7.75 (m, 2H), 7.69-7.55 (m, 9H), 7.32-7.27 (m, 5H)
MS : 471 [m + H]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79)
1H-NMR (500 MHz, DMSO-d6) δ 10.00 (s, 1H), 9.33 (s, 2H), 9.01 (s, 2H), 8.02 (d, J = 7.8 Hz, 1H), 7.80 (s, 1H), 7.77 (d, J = 7.4 Hz, 1H), 7.68 (d, J = 7.8 Hz, 1H), 7.62-7.53 (m, 5H), 7.32-7.24 (m, 5H), 2.92 (m, 4H), 2.06 (m, 2H)
MS : 461 [m + H]
5-(2-아미노설포닐페닐)-피리딘-2-일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86)
1H-NMR (500 MHz, DMSO-d6) δ 10.41 (s, 1H), 9.33 (s, 2H), 9.07 (s, 2H), 8.26 (d, J = 2.3 Hz, 1H), 8.05 (m, 2H), 7.80-7.74 (m, 3H), 7.70-7.56 (m, 4H), 7.39 (s, 2H), 7.35 (d, J = 7.4 Hz, 1H), 2.92 (m, 4H), 2.03 (m, 2H)
MS : 462 [m + H]
4-(N-메틸피리디늄-3-일)-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96)
1H-NMR (500 MHz, DMSO-d6) δ 10.17 (s, 1H), 9.35 (s, 1H), 9.32 (s, 2H), 9.23 (s, 2H), 8.91 (d, J = 6.0 Hz, 1H), 8.83 (d, J = 8.7 Hz, 1H), 8.16 (m, 1H), 7.85-7.68 (m, 7H), 7.54 (m, 1H), 4.39 (s, 3H), 2.92 (m, 4H), 2.05 (m, 2H)
MS : 383 [m + H]
4-(2-피리딜)-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97)
1H-NMR (500 MHz, DMSO-d6) δ 10.05 (s, 1H), 9.31 (s, 2H), 8.99 (s, 2H), 8.64 (d, J = 4.6 Hz, 1H), 8.02 (d, J = 8.8 Hz, 2H), 7.90 (m, 2H), 7.79 (s,1H), 7.75-7.66 (m, 4H), 7.56 (m, 1H), 7.34 (m, 1H), 2.93 (m, 4H), 2.05 (m, 2H)
MS : 397 [m + H]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187)
1H-NMR (500 MHz, DMSO-d6) δ 10.65 (s, 1H), 9.40 (s, 2H), 9.04 (s, 2H), 8.84 (m, 1H), 8.16 (d, J = 1.4 Hz, 1H), 8.12 (d, J = 7.8 Hz, 1H), 8.03 (d, J = 8.3 Hz, 1H), 7.99 (d, J = 7.8 Hz, 1H), 7.82 (d, J = 7.8 Hz, 1H), 7.70 (m, 1H), 7.64-7.54 (m, 5H), 7.34 (m, 2H), 7.29 (d, J = 7.4 Hz, 1H), 7.25 (s, 2H)
MS : 472 [m + H]
4-(2-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211)
1H-NMR (500 MHz, DMSO-d6) δ 10.67 (s, 1H), 9.40 (s, 2H), 9.09 (s, 2H), 8.84 (m, 1H), 8.16 (s, 1H), 8.12 (dd, J = 7.4, 1.4 Hz, 1H), 8.07 (m, 1H), 7.98 (d, J = 7.8 Hz, 1H), 7.82 (d, J = 7.8 Hz, 1H), 7.69 (t, J = 7.8 Hz, 1H), 7.62 (m, 1H), 7.58 (d, J = 8.3 Hz, 2H), 7.42 (m, 1H), 7.37 (d, J = 8.3 Hz, 2H), 7.32 (s, 2H), 7.15 (m, 1H)
MS : 490 [m + H]
4-(2-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LB 33212)
1H-NMR (500 MHz, DMSO-d6) δ 10.63 (s, 1H), 9.40 (s, 2H), 9.05 (s, 2H), 8.84 (d, J = 5.1 Hz, 1H), 8.16 (s, 1H), 8.12 (d, J = 7.8 Hz, 1H), 7.99 (d, J = 7.8 Hz, 1H), 7.90 (d, J = 8.3 Hz, 1H), 7.82 (d, J = 7.4 Hz, 1H), 7.69 (t, J = 7.8 Hz, 1H), 7.62 (m, 1H), 7.55 (d, J = 8.3 Hz, 2H), 7.34 (m, 3H), 7.14 (s, 2H), 7.10 (s, 1H), 2.38 (s, 3H)
MS : 486 [m + H]
실험예: FXa 억제제의 생물학적 활성분석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의 FXa 억제효과는 문헌(참조: Methods in Enzymology, Vol.80, p341-361; Biochemistry,27,p2144-2151,1988)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해리상수 Ki 값을 결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식에서
[E] 는 억제제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효소의 농도를 나타내고,
[I] 는 효소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억제제의 농도를 나타내며,
[EI] 는 효소와 억제제 결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해리상수 Ki는 효소와 FXa 억제제 화합물의 해리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해리상수 값이 작을수록 효소에 대한 억제제의 결합성이 큰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억제활성이 큰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해리상수는 FXa의 작용을 받아 가수분해되면 발색성을 나타내는 특정 기질과 반응시키고 그 발색정도를 분광도법에 따라 시간의 함수로 측정함으로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FXa의 기질로서 FXa의 작용을 받아 가수분해되면 발색하는 물질 크로모자임 X(Chromozyme X : Nle-Gly-Arg-4-NA)를 사용하였다. 크로모자임 X가 FXa에 의해 가수분해되면 노란색의 파라-니트로아닐린(p-NA)이 생성된다. 따라서, 생성되는 파라-니트로아닐린의 양을 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로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FXa 억제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흡광도의 변화로부터 효소의 활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곧바로 FXa 억제제의 효소활성 억제능력과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트롬빈 대비 FXa 억제에 대한 선택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FXa 억제활성을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트롬빈에 대한 화학식 1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Ki 값으로 측정한 다음 트롬빈/FXa의 비율을 구하였다. 이 때, 트롬빈에 대한 실험방법은 FXa과 동일하게 하되, 단 기질로는 크로모자임 TH(Chromozyme TH : Tosyl-Gly-Pro-Arg-4-니트로아닐리드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트립신 대비 FXa 억제에 대한 선택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FXa 억제 할성을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트립신에 대한 화학식 1 화합물의 억제효과를 Ki 값으로 측정한 다음 트립신/FXa의 비율을 구하였다. 이 때, 트립신에 대한 실험방법은 FXa과 동일하게 하되, 단 기질로는 N-벤조일-발린-글리신-알지닌 파라-니트로아닐리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N-benzoyl- Val- Gly-Arg-p-nitroanilide hydrochloride)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FXa의 제조
재료 및 방법 (materials and methods):
시트레이트화된 플라스마(Citrated plasma)는 충청남도 적십자 혈액원(대전 소재)에서 구입하였고, FXa 분리-정제에 사용하는 시약은 모두 시약등급의 것을 사용하였다.
FXa 의 분리-정제:
인자 X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은 기존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였다(참조: S. Paul Bajaj 및 Jens J. Birktoft: Methods in Enzymology, Vol 222, 100-107). 이 방법을 인자 IX를 분리-정제하는데 적용하였으며, 약간 변형시켜 인자 X을 분리-정제하는데 사용하였다. 수득된 인자 X를 Russel's viper venom(1/40 w/w) - 20mM 트리스-HCl(pH = 7.5) - 150mM NaCl - 10mM CaCl2용액으로 37℃에서 30분간 부드럽게 흔들어 주면서 활성화시키고, 1M EGTA로 반응을 종결시켜 최종농도가 12.5mM 되게하였다. p-아미노벤즈아미딘-세파로오스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에 의해 활성화된 FXa를 분리-정제하였다. 분리-정제된 FXa는 80% 암모늄설페이트-0.1% BSA 현탁액 상태로 -70℃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2: FXa 억제능 분석
재료 (material):
FXa 분석에 필요한 크로모제닉 기질(chromogenic substrate)인 크로모자임 X (chromozyme X : Nle-Gly-Arg-4-NA)는 뵈링거 맨하임(Boehringer Mannheim)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기질을 10mM DDW 용액으로 만들고, 사용하기 직전에 150mM NaCl - 100mM 트리스-HCl(pH = 7.8) - 0.1% PEG 8000 용액으로 희석하여 0.25mM이 되도록 하였다.
FXa 억제제의 억제활성:
하기 설명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FXa 활성에 대한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웰(well)에 150mM NaCl 및 0.1% PEG 8000(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약 8,000)이 함유되어 있는 0.1M 트리스 완충용액(pH 7.8)을 90㎕씩 가하였다. 기질용액으로는 크로모자임 X를 이차증류수(DDW)에 10mM 농도로 용해시킨 후 상기 완충용액으로 희석시켜 0.25mM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0.25mM 기질용액 70㎕를 각 웰(well)에 더하였다. 억제제 용액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로 10mM 되게 용해시킨 후 상기완충용액으로 희석시켜 0.1mM, 0.01mM, 0.001mM 농도로 만든 것을 0 에서 20㎕ 사이의 양으로 취한 후 트리스 완충용액으로 전체 부피가 20㎕로 되도록 조절하여 각 웰에 가하였다.
실온에서 반응 용액이 들어있는 웰에 상기 트리스 완충용액에 80nM 농도로 용해시킨 FXa 20㎕를 각각 가하여 효소가수분해 반응을 시작하였다. 효소를 가한 순간부터 2분 동안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파라-니트로아닐리드의 양을 381nm 에서 흡광도의 변화로 모니터하여, 반응시간 대 흡광도의 연속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Spectra-Max 340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 Co., USA). 여러 종류의 억제제 농도에 대해 위의 실험을 수행하여 연속 스펙트럼을 얻었다.
각 스펙트럼에서 반응시간 10분 이내의 기울기로 부터 초기속도 Vi을 구한 후, 억제제 농도 대비 초기속도의 역수(1/Vi)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그래프 위의 점들을 만족하는 1차식을 계산해낸 후 그 식의 x 절편으로 부터 효소 반응식을 사용하여 Ki 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이 계산에 사용된 Km 값은 0.4uM이며, 이는 일정한 효소농도에서 기질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한 것이다.
실험예 3: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혈액응고에 미치는 영향은 하기 실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aPTT의 측정:
동물이나 사람에서 채혈한 후, 3.8% 시트르산나트륨 용액으로 희석(1:10)시켜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45㎕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용액(농도 5uM) 5㎕와 Platelin LS(Organon Teknika) 50㎕를 넣은 뒤, 37℃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25mM CaCl250㎕를 첨가하여 혈장응고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혈장응고 시간은 340nm에서의 흡광도가 0.1이 되는 시점으로 정하였다.
PT의 측정:
혈장 45㎕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용액(농도 5uM) 5㎕를 넣은 뒤, 37℃에서 3분간 반응시키고, Simplastin(Organon Teknika) 100㎕를 첨가하여 혈장응고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때, 혈장응고 시간은 340nm에서의 흡광도가 0.1이 되는 시점으로 정하였다.
동물모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혈전형성에 대한 억제능력을 동물모델에서 측정하였다. 사용한 동물은 엘지화학 기술연구원 실험동물실에서 온도 20-22℃, 12시간 간격의 명암 조건에서 시판 표준사료를 사용하여 사육된, 체중 250-300g의 웅성 흰쥐(Sprague Dawley)이며, 실험군당 3-4 마리를 사용하였다. 먼저 쥐에 체중 kg당 1.3g 용량으로 우레탄(urethane)을 복강주사하여 마취하였다. 실시예의 화합물을 왼쪽 대퇴정맥(left femoral vein)을 통하여 연속주입하면서 쥐의 복부를 절개하여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을 노출시킨 다음, 왼쪽 신정맥 아래부위에서 혈관을 주위 조직과 분리하였다. 파라필름으로(25 x 8mm) 혈관을 가볍게 감싸둔 다음 내장을 복강내에 원위치시키고 지혈용포셉으로 복강 절개부를 임시적으로 봉해두었다.실시예의 화합물을 연속주입한 15분 후에 하대정맥을 다시 노출시켜 35% FeCl3용액을 적신 여과지(직경 6mm)를 파라필름으로 감싸둔 혈관위에 조용히 올려두고 다시 파라필름으로 혈관과 여과지를 감싸두었다. 실시예의 화합물을 계속적으로 주입하면서 여과지 적용 15분 후에 여과지를 분리하였다. 추가 45분간 실시예의 화합물을 연속주입한 후에 하대정맥을 적출하여 생성된 혈전을 취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4: 경구투여시 흡수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경구투여시 흡수효과는 다음과 같은 실험 방법에 따라 혈중약물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웅성 쥐와 개를 각각 18시간씩 절식시킨 후 실험하였다. 적당한 용해보조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화합물의 1%(10mg/㎖) 용액을 조제한 후 경구로 투여하였다. 정해진 시간간격에 따라서 혈액을 채취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액상추출하고, 다시 묽은 염산 용액으로 역추출하여,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라피법(HPLC)으로 혈중약물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5: 트롬빈과 트립신에 대한 선택성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
하기 설명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트롬빈 활성에 대한 억제 능력을 측정하였다.
1.5㎖ 큐벳에 150mM NaCl 및 0.1% PEG 8000(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약8,000)이 함유되어 있는 0.1M 트리스 완충용액(pH 7.8)을 1160㎕씩 가하였다. 기질용액으로는 크로모자임 TH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10mM 농도로 용해시킨 후 상기 완충용액으로 희석시켜 0.1mM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0.1mM 기질용액 225㎕를 큐벳에 더하였다. 억제제 용액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로 10㎎/㎖되게 용해시킨 후 상기 완충용액으로 희석시켜 0.1㎎/㎖, 0.01㎎/㎖, 0.001㎎/㎖ 농도로 만든 것을 0 내지 10㎕의 양이 되게 취한 후 트리스 완충용액으로 전체 부피가 100㎕이 되도록 하여 큐벳에 가하였다.
실온에서 반응 용액이 들어있는 큐벳에 상기 트리스 완충용액에 0.1mg/㎖ 농도로 용해시킨 트롬빈(human thrombin) 15㎕를 각각 가하여 효소가수분해 반응을 시작하였다. 효소를 가한 순간부터 2분 동안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파라-니트로아닐리드의 양을 381nm 에서 흡광도의 변화로 모니터하여, 반응시간 대 흡광도의 연속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 여러 종류의 억제제 농도에 대해 위의 실험을 수행하여 연속 스펙트럼을 얻었다.
각 스펙트럼에서 반응시간 초기 30초 이내의 기울기로 부터 초기속도 Vi을 구한 후, 억제제 농도 대비 초기속도의 역수(1/Vi)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그래프 위의 점들을 만족하는 1차식을 계산해낸 후 그 식의 x 절편으로 부터 효소 반응식을 사용하여 Ki 를 계산해 낼 수 있다. 이 계산에 사용된 Km 값은 5.2uM이며, 이는 일정한 효소농도에서 기질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한 것이다.
속도 상수 Ks는 상기 Ki를 구할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용액을 동일한 농도로사용하였으나, 실험 방법이 다음과 같이 상이하였다. 즉, 1.5㎖ 용량 큐벳에 완충용액을 1160㎕ 넣고, 여기에 0.1㎎/㎖ 트롬빈(human thrombin) 용액 15㎕ 및 억제제 용액 100㎕를 가하여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후 0.1mM 기질용액 225㎕를 가하면서 2분 동안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모니터하였다. 얻어진 연속 스펙트럼에서 직선을 나타내는 부분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Vs로 나타내었다. 이 실험을 여러 억제제 농도에서 실행하여 각 억제제 농도에서의 Vs값을 구하고 억제제 농도에 대한 1/Vs의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그래프 위의 점들을 만족시키는 1차식을 얻어낸 후 그 x절편으로 부터 효소 반응식을 이용하여 Ks값을 결정하였다.
트립신에 대한 선택성:
트립신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억제활성도 상기 FXa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 바에 따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기질로는 엔-벤조일-발린-글리신-알지닌 파라-니트로아닐리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N-benzoyl-Val-Gly-Arg-p-nitroanilide hydrochloride)의 20uM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억제제는 0 내지 120uM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농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트립신은 0.1N HCl에 용해시킨 것을 실험 직전에 상기 트리스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45㎍/㎖로 만든 후 40㎕를 사용하였다. 트롬빈에 대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반응용액의 총 부피는 0.2㎖로 하였고 그밖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며, Ki 계산에 사용된 Km 값도 동일한 방법으로 정하였는데, 그 값은 20.2uM이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따라 FXa, 트롬빈 및 트립신에 대해 측정된 본 발명에 따른 억제제의 각 효소활성 능력을 Ki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또한 FXa에 대한 선택성은 트롬빈/FXa, 트립신/FXa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억제제의 FXa, 트롬빈, 트립신에 대한 저해능력 및 선택성
화합물번호 FXa에 대한 저해능력 Ki(uM) 트롬빈에 대한 저해능력 Ki(uM) 트립신에 대한 저해능력 Ki(nM) 선택성(트롬빈/FXa) 선택성(트립신/FXa)
331163309833117330993310033114331053310133102331153310633103331043311233113331083310733110331093311933120331773317833179331863319633197331873321133212 3.74.41.72.29.60.600.443.9262.20.7394234.61.1845.15.20.764411116.5nM3.5nM2nM21nM12nM1.8nM3nM8nM 9.61491.40.743.456.11.11.84.720900162.87.811177.038601225142.591214 250130210150 18465702500666208500040001750 651083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페닐아미딘 유도체,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
    [화학식 1]
    상기식에서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또는 파라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O)(CH2)m- (m = 0,1,2,3), -CONR(CH2)n-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0개 이하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그룹으로 정의하며, 두개 이상 치환된 경우 상호 독립적이고, n = 0,1,2,3 이다), -(CH2)m(C=O)-, -(CH2)mCONR-, -(CH2)mO(CH2)m-, -(CH2)mNR(CH2)m-, -(CH2)mN(COR)(CH2)m-, -(CH2)mNR(C=O)-, -(CH2)mN(CO2R)(CH2)m-, -NH(C=O)NH-, -NR(C=O)(CH2)n-, -NRCO2(CH2)n- 및 -NR(SO2)(CH2)n- 중에서 선택되며,
    Q 는 페닐, 피리딘, 피롤, 푸란, 티오펜, 옥사졸, 이소옥사졸, 이미다졸,1,2-디아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리다진(=1,2-디아진), 피리미딘, 피라진(=1,4-디아진), 나프탈렌, 퀴놀린, 이소퀴놀린, 벤조푸란 및 벤조티오펜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피리딘, 피롤, 푸란, 티오펜, 옥사졸, 이소옥사졸, 이미다졸, 1,2-디아졸, 티아졸, 이소티아졸, 피리다진(=1,2-디아진), 피리미딘, 피라진(=1,4-디아진), 1,2,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테트라졸 및 1,3,5-트리아진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H, -F, -Cl, -Br, -I, -CN, -OR, -CO2R, -COR, -CONR2, -NR2, -NR[(C=O)R] -N[(C=O)R]2, -R, -OCF3, -SO2NR2, -SONR2, -S(=O)R, -SO2R,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1,2)-이미다졸린-2-일, N-메틸-(1,2)-이미다졸린-2-일 및 -NHC(=NH)R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또는 파라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ONR(CH2)n- (R 은 수소 또는 탄소수 10개 이하의 선형, 가지형 또는 고리형 알킬그룹으로 정의하며, 두개 이상 치환된 경우 상호 독립적이고, n = 0,1,2,3 이다), -(CH2)mCONR- (m = 0,1,2,3), -(CH2)mO(CH2)m-, -(CH2)mNR(C=O)-, -NH(C=O)NH-, -NR(C=O)(CH2)n- 및 -NR(SO2)(CH2)n- 중에서 선택되며,
    Q 는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H, -F, -CN, -R, -SO2NR2, -SO2R,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및 (1,2)-이미다졸린-2-일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미딘의 위치는 메타 위치이고; A 는 -CH=CH-CH=CH-, -N=CH-CH=CH- 및 -CH2-CH2-CH2- 중에서 선택되며, M 은 링커(linker)로서 -(CH2)mCONR- (m = 0, 1; R = H) 및 -(CH2)mO(CH2)m- (m = 1) 중에서 선택되고; Q 는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고; P 는 수소이거나, 페닐 및 피리딘 중에서 선택되며; X, Y 및 Z 는 독립적으로 -F, -CN, -SO2NR2, -SO2Me 및 아미노이미노메틸[-C(=NH)NH2] 중에서 선택되고, 치환체 X 의 갯수인 n은 0, 1, 2 또는 3이며, 단, P 가 수소일 경우 Y 및 Z 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아세트아미드;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에테르;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N-(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N'-[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우레아;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질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4-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질 3-아미노이미노메틸벤즈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아세트아미드;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페닐 페닐메틸설폰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4-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5-(2-아미노설포닐페닐)-피리딘-2-일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N-메틸피리디늄-3-일)-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2-피리딜)-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사이클로펜텐-1-카복사미드;
    4-(2-아미노설포닐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4-(2-아미노설포닐-5-플루오로-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및
    4-(2-아미노설포닐-5-메틸-페닐)-페닐 2-(3-아미노이미노메틸페닐)-피리딘-3-카복사미드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5.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제1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프로드럭,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이성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혈전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경구투여형으로 제형화된 조성물.
KR1020000007487A 2000-01-29 2000-02-17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KR20010081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87A KR20010081598A (ko) 2000-02-17 2000-02-17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EP01901571A EP1254136A4 (en) 2000-01-29 2001-01-04 ARYLAMIDINES AND DERIVATIVES AS FACTOR XA INHIBITORS AND THEIR PRO-PHARMAKA
US10/181,975 US20030065176A1 (en) 2000-01-29 2001-01-04 Factor xa inhibitors with aryl-amidines and derivatives, and prodrugs thereof
KR1020027009662A KR20020070385A (ko) 2000-01-29 2001-01-04 아릴-아미딘을 가진 팩터 Xa 억제제와 그의 유도체, 및그의 프로드럭
JP2001561005A JP2003523356A (ja) 2000-01-29 2001-01-04 アリール−アミジンを持つXa因子阻害剤とその誘導体、及びそれらのプロドラッグ
PCT/KR2001/000013 WO2001055146A1 (en) 2000-01-29 2001-01-04 FACTOR Xa INHIBITORS WITH ARYL-AMIDINES AND DERIVATIVES, AND PRODRUGS THEREOF
AU2001227122A AU2001227122A1 (en) 2000-01-29 2001-01-04 Factor xa inhibitors with aryl-amidines and derivatives, and prodrugs thereof
UY26564A UY26564A1 (es) 2000-01-29 2001-01-29 Inhibidores del factor xa con aril - amidinas y sus derivados, y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que contienen los mism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87A KR20010081598A (ko) 2000-02-17 2000-02-17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598A true KR20010081598A (ko) 2001-08-29

Family

ID=1964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87A KR20010081598A (ko) 2000-01-29 2000-02-17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15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5403B2 (en) Thrombin inhibitors
AU636239B2 (en) Sulfonamide derivatives
AU749555B2 (en) Peptide-containing alpha-ketoamide cysteine and serine protease inhibitors
CA2294126A1 (en) Antithrombotic agents
JPH11501910A (ja) アリールスルホニルアミノヒドロキサム酸誘導体
JP2003509412A (ja) Xa因子阻害剤
NO309810B1 (no) Arylsulfonylaminobenzenderivater og farmasøytisk sammensetning omfattende samme
US20030065176A1 (en) Factor xa inhibitors with aryl-amidines and derivatives, and prodrugs thereof
JP2001508796A (ja) トロンビン阻害薬
JP2001521504A (ja) メタロプロテイナーゼ阻害薬、それら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および薬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AU2004279412B2 (en) Thioether-substituted benzamides as inhibitors of Factor Xa
US6326386B1 (en) Benzamide derivatives as thrombin inhibitors
EP0430459B1 (en) Tetrahydronaphthale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thereof
JP4209659B2 (ja) アミジノ誘導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抗血液凝固剤および血栓症治療剤
US6727266B2 (en) Substituted tryptophan derivatives
KR0173035B1 (ko)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20010081598A (ko) 페닐아미딘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CA2279927A1 (en)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 prodrugs
KR20010081600A (ko) 선택적 FXa 억제활성을 갖는 알라닌 유도체
US5981584A (en)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 prodrugs
KR20010076973A (ko) 피롤 골격을 가진 선택적 FXa 억제제
KR20010081202A (ko) 사이클로프로필 골격을 갖는 선택적 FXa 억제제
KR100377557B1 (ko) 아실 구아니딘 작용기를 갖는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EP1312602A1 (en) Amidino derivatives, and anticoagulants and thrombosis therapeutic agents containing them
KR19980075901A (ko) 경구투여가 가능한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