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35B1 -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 Google Patents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35B1
KR0173035B1 KR1019950043955A KR19950043955A KR0173035B1 KR 0173035 B1 KR0173035 B1 KR 0173035B1 KR 1019950043955 A KR1019950043955 A KR 1019950043955A KR 19950043955 A KR19950043955 A KR 19950043955A KR 0173035 B1 KR0173035 B1 KR 017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ionyl
naphthalene
phenyl
sulfonylamino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052A (ko
Inventor
오영수
김상수
황상열
윤미경
황승률
홍성원
이구
신유승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5004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35B1/ko
Publication of KR97002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7/0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 C07C257/10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 C07C257/18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the doubly-bound oxygen atom of a carboxyl group being replaced by a doubly-bound nitrogen atom,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further bound to an oxygen atom, e.g. imino-ethers, amidines with replacement of the other oxygen atom of the carboxyl group by nitrogen atoms, e.g. amidines having carbon atoms of amid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30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45Sulfon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at least one of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e.g. N-acylaminosulfonamides

Abstract

본 발명은 트롬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신규의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또는 각종 혈전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2-나프틸을 나타내며, R2는 저급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R3은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본 발명은 트롬빈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신규의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또는 각종 혈전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2-나프틸을 나타내며, R2는 저급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R3은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혈액응고에는 여러가지 복잡한 효소반응이 관여하고 있는데, 그 마지막 단계는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포함한다. 이 반응에서 생성된 트롬빈은 혈소판을 활성화시키며, 섬유소원을 섬유소로 바꾸는 등 혈액응고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섬유소는 중합반응에 의해 고분자물질로 바뀌고, 활성화된 혈액인자 XIII에 의해 교차결합되어 불용성 응혈이 된다. 트롬빈은 또한 혈액인자 V와 VIII를 활성화시키고, 이들은 피이드백에 의해 혈액응고반응을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트롬빈 억제제는 효과적인 항응혈제로 작용하여 혈소판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섬유소의 생성 및 안정화를 막을 수 있다.
트롬빈은 트립신과 유사한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트롬빈 억제제는 트립신에 대한 억제효과도 높은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다. 인체내, 특히 혈액내에는 트립신과 유사한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데, 예를들어 혈전용해에 관계하는 플라즈민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세린계 단백질 분해효소의 원형인 트립신을 상대적으로 덜 억제하고 트롬빈에 대해 선택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트롬빈 억제제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개선된 트롬빈 억제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광범하게 이루어 졌으며, 그 결과 아릴술포닐알기닌계 화합물인 하기 구조식 (A)의 아가트로반(Argatroban)(미합중국 특허 제 4258192 호 및 4201863 호)이 개발되었다.
이 화합물은 트립신 대비 트롬빈을 250배 가량 더 잘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참조: Biochemistry 1984, 23, 85-90), 매우 복잡한 합성과정을 거쳐서 수득되며, 1990년에 일본에서 상품화되었다.
그후에, 벤즈아미딘계 아릴술포닐 화합물인 다음 구조식 (B)의 NAPAP가 개발되었다.
이 화합물은 합성이 용이한 효과적인 트롬빈 억제제임에도 불구하고 트립신 대비 트롬빈 억제효과가 50배 정도 밖에 안되어 바람직하지 못하였다(참조: J. Biol. Chem. 1991, 266, 20085-20093).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합성이 비교적 용이하고 트립신 대비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현저히 향상된 트롬빈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오랫동안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이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높은 트롬빈 억제제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또는 각종 혈전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용매화물 및 이성체가 제공된다.
상기식에서, R1은 2-나프틸을 나타내며, R2는 저급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R3은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치환기를 정의하는데 사용된 용어 저급알킬은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t-부틸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펜틸을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환형 알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중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2-나프틸이고, R2는 C1-C4알킬 또는 C3-C5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며, R3은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C4알킬, 또는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3-C5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고,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미노 그룹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에는 다음과 같은 물질이 있다.
1.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2.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3.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4.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5.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6.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7.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8.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9.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10.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11.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12.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13.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14.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15.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16.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17.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18.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19.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20.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21.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22.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23.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24.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25.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의 화합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 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을 가질 수 있으며, 라세미체, 라세미 화합물, 부분입체이성체 혼합물 및 개개 부분입체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체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일반식 (III)의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도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응도식에서 R1, R2, R3, R4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도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일반식 (II)의 메틸머캅토 화합물을 친핵체인 일반식 (III)의 아민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용매의 예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기용매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알콜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반응에서 반응량,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을 포함한 반응조건은 특정의 반응물질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온도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0℃ 내지 50℃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5시간이 소요되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한다.
본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 예를들면 크로마토그라피, 재결정화 등의 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반응도식 1에서 일반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중간체로 사용된 일반식 (II)의 메틸머캅토 화합물은 다음 반응도식 2 및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도식 2 및 3에서, R1, R2, R3, R4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아미노 보호그룹을 나타낸다.
반응도식 2는 C-말단에 먼저 아민 그룹을 커플링한 후에 N-말단 부위를 도입하는 것이고, 반응도식 3은 N-말단에 술폰아미드 부위를 형성시킨 후에 C-말단에 아민 그룹을 커플링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반응도식 2에 따르면 일반식 [1]의 화합물에 R2및 R3가 치환된 아민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일반식 [2]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화합물 [2]의 N-말단의 아미노 보호그룹을 제거하여 일반식 [3]의 화합물을 수득하고, 이 화합물 [3]의 N-말단 부위에 설폰아미도 그룹을 도입시켜 일반식 [4]의 니트릴 화합물을 수득한 후, 이 니트릴 화합물 [4]를 피리딘 및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서 황화수소로 포화시켜 일반식 [5]의 티오아미드 화합물을 생성시키고, 이 티오아미드 화합물을 요오드화메탄, 디메틸술페이트((CH3)SO4) 또는 메틸트리플레이트(CH3OTf)와 같은 메틸화제로 메틸화하여 일반식 (II)의 메틸머캅토 화합물을 수득한다.
반응도식 3에 따르면 구조식 [7]의 화합물을 일반식 [6]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합물 [7]의 N-말단에 설폰아미도 그룹을 도입시키고, 생성된 일반식 [8]의 화합물을 R2및 R3가 치환된 아민 화합물과 커플링시켜 C-말단에 아민 그룹을 도입시킴으로써 일반식 [4]의 화합물을 수득한 후에 반응도식 [2]에서와 동일하게 반응을 수행하여 일반식 (II)의 메틸머캅토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반응도식 2 및 3에서 커플링반응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본 분야에서의 공지의 커플링 시약에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3-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EDC),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산클로라이드(BOP-Cl),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DPPA) 등이 포함되나, 단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도식 2 및 3에 사용된 카르복실산 [1] 및 [7]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들면 산할라이드 및 그밖의 다른 활성화 에스테르 유도체로 전환시켜 커플링 반응에 사용함으로써 반응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카복실산의 활성화 에스테르 유도체는 특히 아민과의 커플링반응에 의해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거나, 알콜과의 커플링 반응에 의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반응성 유도체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통성적인 유도체들이 포함되는데, 예를들어 산할라이드에는 산클로라이드가 포함되고, 활성화 에스테르에는 메톡시카보닐클로라이드, 이소부틸옥시카보닐클로라이드 등의 알콕시카보닐할라이드와 커플링 시약으로 부터 유도된 카복실산의 무수물,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유도된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유도된 에스테르, N-하이드록시-5-노르보넨-2',3'-디카복시이미드-유도된 에스테르, 2,4,5-트리클로로페놀-유도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되나, 단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들에 비해 트롬빈에 대한 선택성이 월등히 높은 트롬빈 억제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혈액응고예방 또는 각종 혈전증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응고 예방 및 혈전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인 목적으로 투여시에, 단일용량 또는 분리용량으로 숙주에게 투여될 총 일일용량은 일반적으로 체중 1kg 당 0.001mg 내지 10mg이고, 특정 환자에 대한 특이 용량수준은 사용될 특정 화합물, 체중, 성,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및 경구용 제제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들면 멸균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수성 용매에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NaCl 용액이 있으며, 멸균고정오일은 통성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매질로서 사용한다.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은 주사용 제제에 사용한다.
경구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또한 장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유용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일반식 (I)의 활성화합물을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실험결과 쥐 및 개와 같은 포유류에 대해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임상적으로 투여하여 목적하는 항응혈효과 및 혈전용해효과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활성화합물 (I)은 혈전용해제 및 혈소판활성 억제제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는 혈전용해제에는 t-PA, 유로키나제(urokinase), 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혈소판활성억제제에는 아스피린, 티클로피딘(ticlopidin), 클로피드로겔(clopidrogel), 7E3 단일항체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혈전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제는 상술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혈전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한 제제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염산염 1.0g(8.2 밀리몰)을 물 12㎖ 및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8.2㎖에 용해시킨 후 1,4-디옥산 20㎖를 가하였다.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2.2g(9.8 밀리몰)을 0℃에서 가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상승시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0㎖에 용해시킨 후, 0℃에서 60% 수소화나트륨(NaH) 0.25g(6.4 밀리몰)을 서서히 가하고 요오드화메탄(CH3I) 1.1㎖를 적가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잔류하는 수소화나트륨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감압하에 농축시킨 후,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6/4, 부피비)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라피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1.0g(수율 65%)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1.45(d, 9H), 2.95(s, 3H), 3.78(s, 3H), 3.92(s, 1H), 4.00(s, 1H)
MS(FAB, m/e) : 204(M+1)
[제조예 2]
[{[(S)-2-(t-부톡시카보닐아미노)-3-(4-시아노페닐)-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S)-2-(t-부톡시카보닐아미노)-3-(4-시아노페닐)-프로피온산 0.5g(1.7 2 밀리몰)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0℃로 냉각시킨 후, 여기에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메틸카보디이미드 염산염(EDC) 0.39g 및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HOBT) 0.28g을 가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별도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0.35g(1.72 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 2㎖에 용해시켜 -10℃로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2㎖를 가하여 5분 동안 교반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온으로 올려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화합물과 n-메틸모포린 1㎖를 상기에서 수득된 용액에 가하고, 상온으로 서서히 상승시킨 후에 3.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의 차례로 세척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3/7, 부피비)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라피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58g(수율 90%)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1.40(m, 9H), 3.08(s, 3H), 2.95-3.25(m, 2H), 3.78(s, 3H), 3.89-4.35(m, 2H), 4.95(m, 1H), 5.52(d, 1H), 7.35(m, 2H), 7.60(m, 2H)
MS(FAB, m/e) : 376(M+1)
[제조예 3]
[1-[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화합물 0.57g(1.52 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 2㎖에 용해시키고 -10℃로 냉각시킨 후, 여기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2㎖를 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온으로 상승시켜 30분 동안 교반한 후에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진공펌프로 건조시킨 다음 DMF 10㎖를 가하고 0℃로 냉각시킨 후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를 가하였다. 이 반응용액을 상온으로 상승시켜 약 5분 동안 교반한 후에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0.41g(1.82 밀리몰)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결시키고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로 2회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 부피비)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라피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55g(수율 78%)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2.88(s, 3H), 2.80-3.20(m, 2H), 3.80(d, 3H), 4.12(d, 2H), 4.58(m, 1H), 6.40(d, 1H), 7.20-8.40(m, 11H)
MS(FAB, m/e) : 466(M+1)
[실시예 1]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3에서 수득한 화합물 0.55g(1.18 밀리몰)을 피리딘 10㎖에 용해시켜 가지 달린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트리에틸아민 0.45㎖를 가하였다. 플라스크의 한쪽 가지를 통해서는 황화수소(H2S) 가스를 용액내로 서서히 도입시키고 다른 한쪽 가지를 통해서는 가스가 흘러나오도록 장치하였다. 약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황화수소 가스를 포화시켰다. 이때 용액의 색깔은 무색에서 녹색으로 변하고 점점 진한 갈색으로 변화되었다. 플라스크를 고무마개로 막고 3일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진공펌프로 건조시켰다. 수득된 황색고체에 아세톤 10㎖와 요오드화메탄(CH3I) 0.55㎖를 함께 가하여 30분 동안 가열하에 환류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다시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진공펌프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무수 메탄올 5㎖에 용해시켜 교반하고, 여기에 80% 하이드라진 하이드레이트(H2NNH2·H2O) 0.11㎖(1.77 밀리몰)를 10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나누어 가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반응용액을 농축시키고 HPLC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25g(수율 4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2.95(s, 3H), 2.70-3.20(m, 2H), 3.54(s, 3H), 3.80(d, 2H), 4.55(m, 1H), 7.20-8.30(m, 11H)
MS(FAB, m/e) : 498(M+1)
[실시예 2]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160mg(0.32 밀리몰)을 메탄올:물(3:1) 혼합용액 4㎖에 용해시켰다. 여기에 수산화리튬 하이드레이트(LiOH·H2O) 0.016g(0.38 밀리몰)을 0℃에서 서서히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반응용액을 농축시키고 HPLC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50mg(수율 32%)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2.20-2.60(m, 2H), 2.48(s, 3H), 2.78(s, 3H), 2.32(m, 2H), 4.12(m, 1H), 6.80-7.80(m, 11H)
MS(FAB, m/e) : 484(M+1)
[실시예 3]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L)-알라닌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L)-(N-t-부톡시카보닐-N-메틸)-알라닌 메틸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중간체 메틸에스테르 1.43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 화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64g(수율 48%)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69, 0.88(d, d, 3H), 2.79, 2.95(s, s, 3H), 2.80, 3.06(m, m, 2H), 3.48, 3.57(s, s, 3H), 4.29(m, 1H), 4.55(m, 1H), 7.30-8.30(m, 11H)
MS(FAB, m/e) : 514(M+1)
[실시예 4]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의 합성]
실시예 3에서 수득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6g(수율 41%)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64, 0.95(d, d, 3H), 2.76, 2.92(s, s, 3H), 2.83, 3.09(m, m, 2H), 4.37(m, 1H), 4.54(m, 1H), 7.30-8.40(m, 11H)
MS(FAB, m/e) : 498(M+1)
[실시예 5]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D)-알라닌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D)-(N-t-부톡시카보닐-N-메틸)-알라닌 메틸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중간체 (R)-2-{[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0.78g을 수득하였다. 여기에서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58g(수율 70%)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89, 1.21(d, d, 3H), 2.46, 2.94(s, s, 3H), 2.80, 3.08(m, m, 2H), 3.49, 3.78(s, s, 3H), 4.29(m, 1H), 4.59(m, 1H), 7.30-8.40(m, 11H)
MS(FAB, m/e) : 512(M+1)
[실시예 6]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의 합성]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 0.03g(0.059 밀리몰)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1g(수율 3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90, 1.18(d, d, 3H), 2.44, 2.92(s, s, 3H), 2.82, 3.08(m, m, 2H), 4.33(m, 1H), 4.62(m, 1H), 7.30-8.40(m, 11H)
MS(FAB, m/e) : 498(M+1)
[실시예 7]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D)-발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D)-(N-t-부톡시카보닐-N-메틸)-발린 메틸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R)-2-{[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0.19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11g(수율 55%)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59, 0.70(d, d, 3H), 0.89, 0.98(d, d, 3H), 2.09, 2.21(m, m, 1H), 2.75, 3.06(s, s, 3H), 3.40, 3.68(s, s, 3H), 4.34, 4.38(d, d, 1H), 4.63, 4.70(m, m, 1H), 7.20-8.40(m, 11H)
MS(FAB, m/e) : 540(M++1)
[실시예 8]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의 합성]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4g(수율 40%)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57, 0.63(d, d, 3H), 0.92, 0.99(d, d, 3H), 2.09, 2.18(m, m, 1H), 2.74, 3.08(s, s, 3H), 4.18, 4.36(d, d, 1H), 4.64, 4.70(m, m, 1H), 7.20-8.40(m, 11H)
MS(FAB, m/e) : 526(M+1)
[실시예 9]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3-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3-(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3-{[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0.69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 화합물 0.55g(수율 74%)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1, 7.97, 7.68, 7.48(d, m, m, m, 11H), 4.62, 4.51(m, m, 1H), 3.62, 3.55(s, s, 3H), 3.05, 2.85(m, m, 4H), 2.80, 2.45(s, s, 3H), 2.38, 1.91(m, m, 2H)
MS(FAB, m/e) : 514(M++1)
[실시예 10]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의 합성]
실시예 9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17g(수율 32%)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1, 7.98, 7.78-7.37(d, m, m, 11H), 4.65, 4.52(m, m, 1H), 3.20-2.85(m, 4H), 2.80, 2.45(s, s, 3H), 2.38, 1.91(m, m, 2H)
MS(FAB, m/e) : 498(M++1)
[실시예 11]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4-아미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4-(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4-{[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0.51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40g(수율 74%)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2(s, 1H), 7.98(m, 3H), 7.78-7.36(m, 7H), 4.55(m, 1H), 3.72, 3.60(s, s, 3H), 3.10, 2.81(m, m, 4H), 2.79, 2.55(s, s, 3H), 2.22(m, 1H), 1.89(m, 1H), 1.63, 1.42(m, m, 1H), 1.18(m, 1H)
MS(FAB, m/e) : 526(M++1)
[실시예 12]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의 합성]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12g(수율 3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2(m, 1H), 7.98(m, 3H), 7.78-7.35(m, 7H), 4.55(m, 1H), 3.05, 2.81(m, m, 4H), 2.79, 2.50(s, s, 3H), 2.18(m, 1H), 1.89(m, 1H), 1.58, 1.35(m, m, 1H), 1.16(m, 1H)
MS(FAB, m/e) : 512(M++1)
[제조예 4]
[N-t-부톡시카보닐-N-사이클로프로필-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사이클로프로필아민 1.34g(23.49 밀리몰)을 DMF 15㎖ 및 트리에틸아민 3㎖와 혼합하여 반응용기에 넣었다. 적가여두(dropping funnel)에 메틸브로모아세테이트 2.2㎖(23.49 밀리몰) 및 DMF 5㎖를 가하였다. 반응용기를 0℃로 냉각시킨 후에 적가여두에 있는 용액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모두 적가된 후에 반응혼합물을 상온으로 상승시켜 3.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물 10㎖와 3N 수산화나트륨 8㎖를 가하였다. 여기에 1,4-디옥산 10㎖를 가하고, 이어서, 부틸옥시카보닐 안하이드라이드 6.1g(27.95 밀리몰)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이를 포화 중탄산나트륨,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칼럼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에틸아세테이트/헥산(6/4, 부피비))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3g(수율 4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3.95(m, 2H), 3.72(m, 3H), 2.75, 2.52(bs, bs, 1H), 1.45, 1.47(s, s, 9H), 0.80-0.45(m, 4H)
MS(FAB, m/e) : 230(M++1)
[실시예 13]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중간체 {[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0.30g을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25g(수율 77%)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24(s, 1H), 7.93(m, 3H), 7.65(m, 3H), 7.42(d, 2H), 7.35(d, 2H), 5.02(m, 1H), 3.92(d, 1H), 3.64(d, 1H), 3.60(s, 3H), 3.19(dd, 1H), 2.80(m, 2H), 0.95, 0.85, 0.61(m, m, m, 4H)
MS(FAB, m/e) : 524(M++1)
[실시예 14]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7g(수율 29%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24(s, 1H), 7.93(m, 3H), 7,42(d, 2H), 7.35(d, 2H), 5.02(m, 1H), 3.95(d, 1H), 3.54(d, 1H), 3.20(dd, 1H), 2.80(m, 2H), 0.95, 0.85, 0.61(m, m, m, 4H)
MS(FAB, m/e) : 510(M++1)
[실시예 15]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사이클로프로필아민 대신에 부틸아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N-t-부톡시카보닐-N-부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합성하고,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0.31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19g(수율 58%)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0-7.32(m, 11H), 4.32-4.09(m, 3H), 3.55(s, 3H), 3.57-2.50(m, 4H), 1.26-0.50(m, 7H)
MS(FAB, m/e) : 540(M++1)
[실시예 16]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12g(수율 67%)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0-7.10(m, 11H), 4.31-4.10(m, 3H), 3.52-2.55(m, 4H), 1.25-0.50(m, 7H)
MS(FAB, m/e) : 526(M+1)
[실시예 17]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4에서 사이클로프로필아민 대신에 사이클로펜틸아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N-t-부톡시카보닐-N-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를 합성하고,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0.23g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12g(수율 50%)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5-7.35(m, 11H), 4.66, 4.33(m, m, 1H), 4.15(m, 1H), 3.75, 3.53(m, m, 1H), 3.61(s, 3H), 3.40-2.80(m, 3H), 1.90-0.60(m, 8H)
MS(FAB, m/e) : 552(M++1)
[실시예 18]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의 합성]
실시예 17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4g(수율 3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5-7.35(m, 1H), 4.65, 4.32(m, m, 1H), 4.15(m, 1H), 3.75, 3.52(m, m, 1H), 3.41, 3.28-3.10, 2.80(m, m, m, 3H), 1.90-0.60(m, 8H)
MS(FAB, m/e) : 538(M++1)
[제조예 5]
[1-(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시클로로이신(cycloleucine) 3g(23.2 밀리몰)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3.2㎖ 및 증류수 7㎖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1,4-디옥산 30㎖를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에 0℃에서 디-t-부틸디카보네이트 6.1g(27.8 밀리몰)을 가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상승시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잔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수득된 백색 고체를 디메틸포름아미드(DMF) 30㎖에 용해시킨 후에 탄산칼륨 4.8g(34.8 밀리몰)을 가하고 요오드화메탄(CH3I) 14.4㎖(232 밀리몰)를 적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잔류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20㎖에 용해시킨 후에 0℃에서 60% 수소화나트륨(NaH) 0.46g(11.4 밀리몰)을 서서히 가하고 요오드화메탄(CH3I) 1.8㎖(28.4 밀리몰)을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잔류하는 수소화나트륨을 제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킨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여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3/7, 부피비)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라피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2.0g(수율 34%)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1.35(s, 9H), 1.62(m, 4H), 1.78(m, 2H), 2.18(m, 2H), 2.90(s, 3H), 3.62(s, 3H)
MS(FAB, m/e) : 258(M+1)
[실시예 19]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5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1-{[3-(4-아미노하이드라조노-메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0.28 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간체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56g(수율 53%)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52(m, 1H), 0.89(m, 1H), 1.29(m, 2H), 1.52(m, 1H), 1.76(m, 2H), 2.05(m, 1H), 2.75, 3.00(m, m, 2H), 2.88(s, 3H), 3.50(s, 3H), 4.48(m, 1H), 6.38(m, 1H), 7.30-8.40(m, 11H)
MS(FAB, m/e) : 552(M+1)
[실시예 20]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의 합성]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1g(수율 17%)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0.42(m, 1H), 0.74(m, 1H), 1.25(m, 2H), 1.50(m, 1H), 1.78(m, 2H), 2.05(m, 1H), 2.75, 3.08(m, m, 2H), 2.98(s, 3H), 4.58(m. 1H), 7.40-8.40(m, 11H)
MS(FAB, m/e) : 538(M+1)
[제조예 6]
[2-(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의 합성]
2-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10㎖(67.49 밀리몰)를 에탄올 100㎖와 함께 반응용기에 넣었다. 여기에 메틸아민 염산염 4.69g(68.13 밀리몰)을 가하고 물 10㎖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반응용기에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4.3g (68.43 밀리몰)을 가하고 pH6 정도로 조정한 후에 30 내지 40℃에서 12시간 이상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0℃로 냉각시킨 후에 6N 염산으로 약 pH2 로 조정하고 디에틸에테르로 3회 세척하였다. 수층을 다시 약 pH10으로 조정하고 1,4-디옥산을 수층과 동일한 양으로 가하였다. 여기에 부틸옥시카보닐 안하이드라이드 1당량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이상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감압하에서 휘발성물질을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이를 포화 중탄산나트륨, 묽은 염산 및 포화 염수로 차례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에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칼럼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에틸아세테이트/헥산(1/1, 부피비))에 의해 분리 및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5.82g(수율 32%)을 수득하였다.
1H NMR(CDCl3, ppm) : δ 4.55(m, 1H), 4.10(m, 2H), 2.79(s, 3H), 2.73(s, 1H), 2.00-1.40(m, 6H), 1.45(s, 9H), 1.24(t, 3H)
MS(FAB, m/e) : 272(M++1)
[실시예 21]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6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2-{[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0.48g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중간체 화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36g(수율 71%)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9-7.25(m, 11H), 4.78-4.40(m, 2H), 4.05(m, 2H), 3.05(m, 1H), 2.90-2.65(m, 3H), 2.50-2.40(m, 2H), 2.05, 1.90-1.30, 0.85(m, m, m, 6H), 1.28-1.15(m, 3H)
MS(FAB, m/e) : 566(M++1)
[실시예 22]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의 합성]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86g(수율 25%)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9-7.20(m, 11H), 4.78-4.50(m, m, 2H), 3.05(m, 1H), 2.90-2.40(m, 5H), 2.10, 1.90-1.20, 0.75(m, m, m, 6H)
MS(FAB, m/e) : 538(M++1)
[실시예 23]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L)-발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L)-(N-t-부톡시카보닐-N-메틸)-발린 메틸에스테르를 합성하고, 이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S)-2-{[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0.13g을 수득하였다. 이 중간체 화합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09g(수율 69%)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0, 7.95, 7.75-7.20(m, m, m, 11H), 4.75-4.25(m, 2H), 4.65, 3.39(m, m, 3H), 3.15-2.65(m, 4H), 2.22, 2.15(s, s, 1H), 2.08, 1.90(m, m, 1H), 1.00-0.55, 0.20(m, m, 6H)
MS(FAB, m/e) : 540(M++1)
[실시예 24]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제조예 1에서 글리신 메틸에스테르 대신에 (D)-피페콜린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을 수행하고, 생성된 화합물을 제조예 2 및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중간체 1-[3-(4-시아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0.18g을 수득하였다.
이 중간체 화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정제된 표제화합물 0.16g(수율 84%)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2, 7.95, 7.78-7.35(s, m, m, 11H), 4.71, 4.52(m, m, 1H), 3.97, 3.80(d, d, 1H), 3.73, 3.43(s, s, 3H), 3.10, 2.83, 2.39(m, m, m, 3H), 2.05(m, 1H), 1.65-1.00, 0.30(m, m, 6H)
MS(FAB, m/e) : 538(M++1)
[실시예 25]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의 합성]
실시예 24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정제된 표제화합물 0.03g(수율 19%)을 수득하였다.
1H NMR(CD3OD, ppm) : δ 8.35, 8.00, 7.75-7.30(m, m, m, 11H), 4.50, 4.20(m, m, 1H), 3.89(m, 1H), 3.10, 2.82, 2.45(m, m, m, 3H), 2.10(m, 1H), 1.65-1.00, 0.25(m, m, 6H)
MS(FAB, m/e) : 524(M++1)
[실험예]
[트롬빈 억제제의 억제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인 트롬빈 억제제의 효소억제효과는 효소와 반응하여 색을 생성하는 기질, 즉 트롬빈에 의해 가수분해되면 노란색을 나타내는 파라-니트로아닐리드 유도체(크로모자임 TH)를 기질로 사용하여 생성된 파라-니트로아닐린의 양을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해리상수 Ki를 계산함으로써 결정하였다.
[E] : 억제제와 결합하지 않은 효소의 농도
[I] : 효소와 결합하지 않은 억제제의 농도
[EI] : 효소와 억제제 결합물의 농도
여기에서 해리상수 Ki는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이 값이 작을수록 효소에 대한 억제제의 결합성이 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트롬빈에 대한 억제제의 효소활성 억제능력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1.5㎖ 큐벳에 150mM NaCl, 0.1% PEG 8000(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량 약 8000)이 포함된 0.1M 트리스 완충용액(pH7.8) 1160㎕ 씩을 가한 후, 여기에 색소생성기질인 크로모자임 TH(Chromozym TH:Tosyl-Gly-Pro-Arg-4-nitroanilide acetate) 0.1mM 용액 225㎕를 가하였다. 크로모자임 TH는 10mM의 농도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로 용해시킨 것을 상기 완충용액으로 0.1mM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트롬빈 억제제는 디메틸설폭사이드로 10mg/㎖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에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조성의 트리스 완충용액으로 희석하여 0.1mg/㎖, 0.01mg/㎖, 0.001mg/㎖, 0.0001mg/㎖ 의 농도로 만든 것을 억제제의 양이 0 내지 10.0㎍ 범위가 되도록 취한 후에 상기의 트리스 완충용액을 가하여 전체의 부피가 100㎕가 되도록 하여 각각의 큐벳에 가하였다.
실온에서 반응용액이 들어있는 큐벳에 상기의 트리스 완충용액에 0.1mg/㎖의 농도로 용해시킨 소트롬빈 용액 15㎕를 가하여 효소 가수분해반응을 시작하였다. 효소를 가한 순간부터 2분 동안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파라-니트로아닐린의 양을 381nm 에서 흡광도의 변화로 모니터하여 반응시간 대 흡광도의 연속 스펙트럼을 도시하였다. 여러 종류의 억제제 농도에서 상기의 실험을 반복해서 수행하여 연속 스펙트럼을 얻었다.
각 스펙트럼에서 반응시간 초기 30초 이내의 기울기로 부터 초기속도 Vi를 구한 후, 억제제 농도 대비 초기속도의 역수(1/Vi)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그래프 위의 점들을 만족하는 1차식을 계산해낸 후 그 식의 x 절편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효소반응식 (Michaelis-Menten equation)을 사용하여 Ki를 계산하였다.
미카엘리스-멘텐 반응식(Michaelis-Menten equation)
이 계산에서 사용된 Km 값은 8.3μM 이며, 그 값은 일정한 효소농도에서 기질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었다. 트롬빈에 대해 측정된 각 억제제의 효소활성저해능력을 Ki 값으로 표 1에 나타내었다.

Claims (9)

  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입체이성체 :
    상기식에서, R1은 2-나프틸을 나타내며, R2는 저급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R3은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2-나프틸이고, R2는 C1-C4알킬 또는 C3-C5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며, R3은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1-C4알킬, 또는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C3-C5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또는 메톡시카보닐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고,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아미노 그룹을 나타내는 일반식 (I)의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입체이성체.
  3. 제2항에 있어서,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아세트산,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R)-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메틸에스테르, 3-{[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4-{[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부티르산,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아세트산,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부틸-아미노}-아세트산,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메틸에스테르, {[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사이클로펜틸-아미노}-아세트산,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 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사이클로펜탄카르복실산, (S)-2-{[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메틸-아미노}-3-메틸-부티르산 메틸에스테르,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 및 1-[3-(4-아미드라조노-페닐)-(S)-2-(나프탈렌-2-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피페리딘-(R)-2-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입체이성체.
  4.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하기 일반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은 2-나프틸을 나타내며, R2는 저급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을 나타내고, R3은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저급알킬, 또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이거나, R2및 R3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는 카복실 그룹 또는 알콕시카보닐 그룹에 의해 치환된 피페리딘을 형성하며,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저급알킬 또는 아미노를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반응을 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용매가 메탄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일반식 (II)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5]의 화합물을 요오드화메탄과 반응시켜 메틸기를 도입시킴으로써 제조된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제4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8. 제7항에 있어서, 일반식 [5]의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 [4]의 화합물을 피리딘 용매 및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서 황화수소를 포화시킴으로써 제조된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제4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9. 유효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3항중의 어느 한항에 따르는 화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롬빈 억제제 조성물.
KR1019950043955A 1995-11-27 1995-11-27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017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55A KR0173035B1 (ko) 1995-11-27 1995-11-27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955A KR0173035B1 (ko) 1995-11-27 1995-11-27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052A KR970027052A (ko) 1997-06-24
KR0173035B1 true KR0173035B1 (ko) 1999-03-30

Family

ID=1943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955A KR0173035B1 (ko) 1995-11-27 1995-11-27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254A (ko) * 1997-04-17 1998-11-16 성재갑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9980075899A (ko) * 1997-04-03 1998-11-16 성재갑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9990074598A (ko) * 1998-03-12 1999-10-05 성재갑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벤즈아미딘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KR100377558B1 (ko) * 1999-02-12 2003-03-2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피페리딘 작용기를 갖는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373373B1 (ko) * 1997-04-03 2003-05-1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선택적트롬빈억제제
KR100373374B1 (ko) * 1997-08-26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트롬빈 억제제의 제조방법, 이를 위한 신규한 중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6632B1 (ko) * 1998-06-12 2004-04-03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트롬빈억제제의새로운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899A (ko) * 1997-04-03 1998-11-16 성재갑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373373B1 (ko) * 1997-04-03 2003-05-1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선택적트롬빈억제제
KR19980077254A (ko) * 1997-04-17 1998-11-16 성재갑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373374B1 (ko) * 1997-08-26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트롬빈 억제제의 제조방법, 이를 위한 신규한 중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74598A (ko) * 1998-03-12 1999-10-05 성재갑 고체상 반응을 이용한 벤즈아미딘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KR100406632B1 (ko) * 1998-06-12 2004-04-03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트롬빈억제제의새로운제조방법
KR100377558B1 (ko) * 1999-02-12 2003-03-26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피페리딘 작용기를 갖는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05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7535A (en) Selective thrombin inhibitors
KR20000047461A (ko) 트롬빈 억제제
CA2310331A1 (en) Biphenylamidine derivatives
KR0173035B1 (ko)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EP0858262A1 (en) Thrombin inhibitors
AU776171B2 (en) Alpha-amino-beta-sulfonyl hydroxamic acid compounds
US5977114A (en) Selective thrombin inhibitors
KR0153490B1 (ko)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245806B1 (ko) 경구투여가 가능한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RU2142939C1 (ru) Избирательно действующие ингибиторы тромбин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их основе
KR100377557B1 (ko) 아실 구아니딘 작용기를 갖는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377558B1 (ko) 피페리딘 작용기를 갖는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00405650B1 (ko) 경구흡수가 뛰어난 펩티드성 트롬빈 억제제
KR100242263B1 (ko) 트롬빈 억제제로 유용한 프로피온아미드 또는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유도체
KR100242264B1 (ko) N-알킬-n-알콕시아민 구조를 갖는 신규한 트롬빈 억제제
KR100242266B1 (ko) 캄포 구조를 갖는 신규한 트롬빈 억제제
KR100361827B1 (ko) 트롬빈 억제제로서 유용한 헤테로사이클릭알라닌 유도체
KR100373373B1 (ko) 선택적트롬빈억제제
KR100441635B1 (ko) 경구투여가가능한선택적트롬빈억제제
KR0163671B1 (ko) N-아릴술포닐-알파-프로파길글리신아미드 유도체
KR19980082478A (ko) 경구투여가 가능한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20010002891A (ko)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그룹을 갖는 트롬빈 억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76024A (ko) 경구투여가 가능한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9980077254A (ko)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KR19980082479A (ko) 경구투여가 가능한 선택적 트롬빈 억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