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967A -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 - Google Patents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967A
KR20010030967A KR1020007003718A KR20007003718A KR20010030967A KR 20010030967 A KR20010030967 A KR 20010030967A KR 1020007003718 A KR1020007003718 A KR 1020007003718A KR 20007003718 A KR20007003718 A KR 20007003718A KR 20010030967 A KR20010030967 A KR 2001003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ilm unit
unit
len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3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미카미
오사무 노구찌
노부유키 카메야마
토시히데 나가사카
아키라 후카노
Original Assignee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네유키 가코우,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무네유키 가코우
Publication of KR2001003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 G03C2003/006Film with lens-disposabl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렌즈부착 필름유닛의 정면에는 촬영렌즈용 보호커버(13)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커버는 촬영렌즈 전면의 OFF 위치로 오면, 셔터 버튼(4)을 잠그는 셔터로크기능과 연동하고 있다. 또, 보호커버가 OFF 위치로 이동하면 플래시 충전 스위치(6)를 끄는 플래시 방지기구와 연동하고 있다. 플래시 방지기구는 보호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은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보호커버가 촬영렌즈에서 회피하면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보호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영역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 정면영역이 수평방향에서 직선을 이루고 있다. 보호커버는 노광을 마친 사진필름을 꺼내기위해 설치된 밑뚜껑(12)의 개폐를 방해하는 길이를 가진다. 보호커버 전면에 붙은 제 1 라벨과 보호커버가 슬라이드하는 정면영역을 피해 필름유닛에 감겨져 있는 제 2 라벨에 의해 필름유닛을 외장 ·방진함과 동시에, 유닛하우징의 보강을 하고 있다.

Description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LENS-CARRYING FILM UNIT HAVING PROTECTIVE COVER}
누구라도 간단히 촬영을 즐길 수 있도록 간단한 노광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노광되지 않은 필름 카트릿지가 제조시에 장진되어, 귀찮은 필름 장진과 되감기조작을 필요없게 한 렌즈부착 필름유닛은 잘 알려져 있다. 아래에서, 렌즈부착 필름유닛을 필름유닛이라 한다.
휴대성 향상을 위해 필름유닛은 보다 작게 콤팩트화되어 왔다. 또 최근에는 135 타입의 사진필름 카트릿지보다도 소형인 IX 240 필름 카트릿지를 장진한 필름유닛이 제조, 판매되고 있다. 이 필름유닛은 소형 카트릿지를 장진한 만큼, 135타입의 사진필름 카트릿지를 장진한 필름유닛보다 한층 더 소형화를 꾀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소형 필름유닛은 휴대성이 뛰어나지만, 항상 노출되어 있는 촬영렌즈에 더러움이 부착되기 쉽다. 또, 촬영자가 무심코 촬영렌즈에 손을 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커버를 채용할 것이 요망된다.
실개소 60-60736호 공보에서는, 카메라 본체의 그립쪽에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 위치와 이것을 노출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보호커버를 설치한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이 보호커버에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보호커버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개구부가 플래시 발광부 앞에 위치하여 이것을 카메라외부에 노출시킨다. 또, 보호커버가 개방위치로 오면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켜진다.
이 공보에 기재한 카메라에서는 보호커버를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자동적으로 꺼지므로, 전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보호커버를 개방위치로 이동하면, 반드시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켜지기 때문에 플래시촬영을 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 필름 유닛은 손에 딱 맞는 크기이므로, 부주의하게 셔터버튼을 눌러서, 쓸데없는 셔터개방을 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대개의 카메라에서는 셔터버튼의 조작을 전기적인 스위치로 검출하고 있으므로 이 스위치의 검출신호를 렌즈보호 커버가 닫혀있을 때에 무효로 하는 회로와 시퀀스를 추가하여 설치하면, 외형형상의 변경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낮은 비용으로 개방 방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필름유닛은 기계적인 셔터버튼이므로 이러한 전기적인 개방 방지수단을 채용하기는 어렵다.
촬영렌즈용 보호커버로는 카메라를 정면에서 보아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이의 횡슬라이드가 콤팩트 카메라에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필름유닛에는 촬영을 마친 사진필름을 감은 카트릿지를 꺼내기 위한 밑뚜껑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필름유닛의 정면 하단까지 도달하는 슬라이드식 보호커버를 설치하면 밑뚜껑이 열리지 않게 된다.
또, 카메라에서는 통상적으로, 복수부재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하우징의 결합보강, 불필요한 구멍 등의 가리개, 및 장식을 목적으로 하기 위한 장식커버를 채용하고 있는 데에 반해, 필름유닛에서는 비용에서 또, 휴대성에서도 이러한 장식커버를 부착할 수 없다. 게다가 소형화 및 재료비 절감을 위해 수지제의 유닛 하우징의 두께도 얇게 되어 있다. 필름유닛에서는 하우징 구성하는 부품끼리의 결합을 탄력있는 후크와 홀의 계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유닛하우징의 두께가 얇아지면 유닛 하우징의 부품끼리의 결합이 저하된다. 이것은 다시 커버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생기는 강(剛)성 저하에 의해 낙하로 필름유닛에 큰 부하가 걸렸을 때에 유닛 하우징에 뒤틀림과 탄성변형이 생기기 쉽고 이 결과, 그들의 스냅고정이 해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종래의 필름유닛은 두꺼운 종이상자에 수납되든지 두꺼운 종이시트에 싸여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두꺼운 종이상자와 시트를 이용하면 필름유닛에 촬영렌즈 전면을 슬라이드하는 보호커버를 설계할 수 없다.
그런데, 필름유닛의 몸체 두께는 촬영렌즈 주변에서는 촬영렌즈의 촛점거리에 의존하고, 카트릿지실 쪽에서는 카트릿지의 직경에 의존한다. 이때문에 종래의 필름유닛에서는 카트릿지실 전면을 그립부로 하고, 그 외의 필름유닛 전면을 그립부보다도 더 파서 얇아지도록 하고 있다. 보호커버를 슬라이드식으로 하는 경우 촬영렌즈의 전면에서 카트릿지실 전면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지만 카트릿지실 전면이 그립부로 돌출 혹은 만곡된 종래의 필름 유닛에서는 보호커버를 슬라이드식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고 만약에 설치했다고 하더라도 몸체의 두께가 크게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커버를 닫으면 필름유닛의 플래시장치가 꺼지지만, 보호커버의 개방위치에서는 플래시촬영을 할 지를 촬영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보호커버 부착 필름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싼 값으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보호커버를 닫으면 셔터 개방이 저지되도록 한 보호커버 부착 필름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광을 마친 필름 카트릿지를 꺼내기 위한 밑뚜껑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고 필름 유닛의 전면을 슬라이드하는 보호커버를 설치한 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커버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스냅고정에 의한 유닛 하우징 부재끼리의 결합 강화를 도모한 보호커버 부착 필름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히 설치되고, 부드럽게 이동하는 슬라이드식의 보호커버를 필름유닛의 몸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설계한 필름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 위치와 촬영렌즈를 노출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보호커버가 개방되고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켜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필름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호커버를 닫고 플래시 충전 스위치를 끈 상태에서 도 1의 필름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 1도의 필름유닛의 분해도.
도 4는 제 1도의 필름유닛 전방 커버의 구분 분해도.
도 5는 보호커버와 연동하는 셔터 로크기구의 분해도.
도 6는 보호커버와 연동하는 플래시 방지기구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보호커버와 연동하는 셔터로크기구를 구비한 필름유닛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유닛 하우징의 일부가 라벨로 덮여 있는 필름 유닛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필름유닛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필름유닛 저면도.
도 11은 도 8의 필름유닛 배면도.
도 12는 라벨을 부착하기 전 도 8의 필름유닛의 전방 커버 부분 분해도.
도 13은 도 8의 필름유닛 라벨부착 공정 설명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필름유닛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필름유닛 수평 단면도.
본 발명은 플래시유닛을 내장한 필름유닛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위치와 촬영렌즈를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쉬운 보호커버, 플래시유닛의 메인 콘덴서로의 충전을 개시하는 ON 위치와 메인 콘덴서로의 충전을 끊는 Off 위치간에수동 조작가능한 플래시 충전스위치,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위치일 때에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보호커버가 개방위치일 때에 플래시 충전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조작을 허용함과 동시에 플래시 충전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 때에 보호커버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연동하여 플래시 충전 스위치를 Off 위치로 이동시키는 플래시 방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커버가 폐쇄위치일 때에 플래시 방지 수단이 플래시 충전 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므로 불필요한 충전 조작에 의한 전지 낭비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래시 방지 수단은 보호 커버가 개방위치일 때에만 플래시 충전 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조작을 허용하는 것이기때문에 플래시를 발광시키지 않는 촬영도 선택할 수 있다. 더우기,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때에 보호커버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플래시 방지 수단이 플래시 충전 스위치를 강제로 Off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플래시 충전 스위치 끄는 것을 잊어버려서 생기는 전기낭비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필름 유닛은 누름 조작에 의해 탄성 변위하는 셔터버튼, 이 셔터버튼의 변위가 전달되는 것에 의해 작동하는 셔터기구,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 위치와 촬영렌즈를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쉬운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에 상기 셔터 버튼의 변위가 셔터기구로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는 셔터 로크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유닛에는 셔터버튼과 함께 변위하여 셔터 버튼의 변위를 셔터기구로 전달하는 누름로드가 설치되어 있고, 필름 유닛 전면에는 이 누름로드에 대면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 로크 수단은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있는데, 로크부재는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누름로드의 변위를 저지하는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커버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누름로드의 변위를 허용하는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셔터기구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누름로드를 사이에 두고 개방되는 셔터기구와 누름로드의 플라스틱 성형에 필요한 개구부를 이용하여 싼 값으로 간단한 구성의 셔터 로크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촬영렌즈를 사이에 두고 수평 방향 양측으로 카트릿지 실과 필름롤 실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릿지 실의 저면에 밑뚜껑을 구비한 필름유닛으로서, 상기 밑뚜껑은 필름유닛 정면 하단을 조금 넘어 정면부까지 도달한 것으로 촬영렌즈를 개폐하는 보호커버를 구비하고, 이 보호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하단에 닿지 않는 길이이고 이것에 의해 상기 밑뚜껑에 닿지 않고 촬영렌즈 전면과 카트릿지 실 전면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렌즈를 외부에 노출하는 외부 개구를 가지는 전방 커버, 후방 커버가 적어도 두개의 부품으로 유닛 하우징이 구성된 필름 유닛에서 상기 전방 커버의 전면에 상기 렌즈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이것을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쉬운 보호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커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 1라벨과 유닛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의 합치부위를 교차하여 점착되는 제 2라벨을 구비한 것이다. 보호커버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서 라벨 부재를 두개로 나눔과 동시에 그 한쪽의 라벨로 유닛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끼리의 합치부위를 덮었기때문에 유닛하우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촬영렌즈를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 양측에 카트릿지 실과 필름 롤실을 구비한 필름 유닛에서, 필름 유닛 정면에 보호커버가 촬영렌즈 전면과 카트릿지 실 전면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필름 유닛 정면은 적어도 보호 커버의 슬라이드 정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이 되는 면형상을 가지도록 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호커버의 슬라이드 면이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직선을 이루므로 보호커버의 설치가 간단함과 동시에 조작이 부드러워진다. 또, 보호커버를 설치함과 동시에 필름 유닛의 두께 증가를 최소한으로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필름유닛(2)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필름 감는 노브(3), 셔터버튼(4), 플래시 발광부(5), 플래시 충전 스위치(6), 촬영렌즈(7), 파인더 대물창(8), 충전 상태 표시부(9) 및 촬영 매수 표시창(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촬영을 마친 필름을 꺼내기 위한 밑뚜껑(12)이 필름(2)의 도면중 좌측 저면에 설치되어 있고, 밑뚜껑(12)은 필름유닛(2)의 좌측 전면(11) 하부까지 도달하고 있다.
필름유닛(2)의 전면에는 촬영렌즈(7)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3)가 수평방향 내지는 필름유닛의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호커버(13)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상단과 하단에 후크를 가진다. 이들 후크는 파인더 대물창(8)의 위쪽과 촬영렌즈(7)의 아랫쪽에 수평방향으로 긴 슬라이드 홈(13a, 13b)에 계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호커버(13)는 파인더 대물창(8)과 촬영렌즈(7)를 막는 도 2에 도시한 폐쇄위치와 이들을 노출하는 도 1에 도시한 개방위치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된다. 이 보호커버(13)는 필름유닛(2)의 저면까지 도달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밑뚜껑(12)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다.
충전상태 표시부(9)는 라이트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플래시 충전 스위치(6)가 켜지면 도 1에 도시하는 것 같이 돌출하고, 플래시 충전 스위치(6)를 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유닛(2)내로 회피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필름유닛(2)은 본체의 기부(15), 노광유닛(16), 사진필름 카트릿지(17), 플래시 유닛(18), 전방커버(19), 후방커버(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후방커버(20)와 전방커버(19)가 필름유닛(2)의 유닛 하우징을 구성하고 본체기부(15), 노광유닛(16), 사진필름 카트릿지(17), 플래시 유닛(18)을 덮고 있다.
본체기부(15)에는 카트리지 용기(22)를 수납하기 위한 카트릿지 실(23), 카트릿지 용기(22)에서 끄집어낸 노광되지 않은 사진필름(24)을 필름롤(24a)의 형태로 수납하기 위한 필름 롤실(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실(23,25)의 배면 측은 개방되어 있고, 사진 필름 카트릿지(17)를 장진한 후에 후방커버(20)로 빛이 차단된다. 또, 카트릿지 실(23)과 필름 롤실(25)의 밑도 개방되어 있어서, 사진필름 카트릿지(17)를 장진한 후에 후방커버(20)에 일체로 설치한 밑뚜껑(12), 밑뚜껑(26)에 의해 각각 차단된다.
사진필름 카트릿지(17)는 카트릿지 용기(22)의 필름 송출구에 도어 부재(22a)를 끼워 넣은 주지의 IX 240 필름 카트릿지이고, 도어 부재(22a)를 열고, 카트릿지 용기(22)의 스풀(21)을 필름 감는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사진필름(24)이 필름 송출구를 통해 카트리지 용기(22)의 외부로 보내진다.
카트릿지 실(23) 위에는 필름 감는 노브(3)가 배치되어 있다. 필름 감는 노브(3)에는 카트릿지 실(23)에 장진된 카트릿지 용기(22)의 스풀(21)에 계합하는 축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의해 필름 감는 노브(3)를 필름 감는 방향 즉 도 3의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스풀(21)이 세로로 움직이며 회전하고 촬영할 때마다 한장씩 사진 필름(24)을 카트릿지 용기(22)내로 되감는다.
또, 필름 감는 노브(3)의 아래에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노광을 마친 사진 필름(24)이 완전히 카트릿지 용기(22)로 되감겼을때에 도 부재(22a)를 닫기 위한 도어 폐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릿지 실(23)과 필름 롤실(25) 사이의 본체 기부(15)에는 노광개구(27)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광개구(27)의 전면에는 노광유닛(16)이 설치된다. 노광유닛(16)의 우측 옆에는, 플래시 유닛(18)이 설치된다. 플래시 유닛(18)은, 회로기판(28)에 플래시 발광부(5). 메인콘덴서(29), 전지(30)등의 플래시회로 소자를 설치한 조립유닛 부품이다. 노광유닛(16)은 노광실을 구성하는 기부에 셔터챠지 기구, 셔터기구, 필름 감기 방지 기구. 필름카운터 기구등의 노광에 필요한 부재, 파인더 광학을 일체로 설치한 조립유닛 부품이다. 또, 이 발광 유닛(16)에는 충전상태 표시부(9)가 승강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노광기구는 주지의 스프로켓, 셔터 구동 레버, 고정레버, 셔터 블레이드,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로켓은 사진필름(24)의 퍼포레이션에 계합되어 있고, 사진필름(24)이 카트리지 용기(22)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서 회전한다. 셔터구동레버는 스프로켓에 연동하여 스프링의 부세에 저항하여 챠지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고, 고정레버에 의해 챠지 위치로 유지된다. 또, 고정레버는 1장분의 길이로만 사진필름(24)이 이동되었을 때의 스프로켓의 회전을 검출하고, 스프로켓의 회전과 필름 감는 노브(3)의 회전을 저지한다. 그리고, 셔터버튼(4)이 눌려졌을때에 셔터구동레버의 챠지위치 유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스프로켓의 회전저지와 필름 감는 노브(3) 회전저지를 해제한다. 개방된 셔터구동레버는 셔터 블레이드를 가격하고 이에따라, 셔터 블레이드가 요동하여 발광이 행해진다.
셔터버튼(4)은 도 4에 도시한바와같이 전방커버(19)의 밑면에 탄성이 자유롭게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버튼(4)의 하부에는,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름 로드(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로드(33)는 고정레버에 셔터버튼(4)의 하강운동을 전달한다. 누름로드(33)는, 전방커버(19)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4)에서 일부가 노출되어, 개구부(34)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이 개구부(34)는 본래 누름로드(33)를 전방커버(19)와 함께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할때에 사용하는 슬라이드 코어용 개구이다.
셔터로크부재(35)가 전방커버(19)와 보호커버(1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로크 부재(35)는 단부(37)가 상기 개구부(34)의 근방에 설치한 축(38)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부에는 로크핀(39)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핀(39)은 개구부(34)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캠슬록이 셔터로크부재(35)의 중앙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캠핀(41)은 보호커버(13)의 내면에 형성된 캠슬롯(40)에 계합되어 있다.
캠슬롯(40)은 약간 낮은 부분(40a)과 약간 높은 부분(40b)으로 이루어진다. 보호커버(13)가 폐쇄 위치로 슬라이드되면 캠핀(41)이 낮은부분(40a)에서 높은부분(40b)로 이동하므로 셔터 로크부재(35)가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핀(39)이 누름로드(33)와 정지돌기(42)의 사이에 들어간다. 정지돌기(42)는 개구부(34)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로크핀(39)이 누름로드(33)와 정지돌기(42)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셔터버튼(4)을 눌렀을때에 로크핀(39)의 변형을 막고, 누름로드(33)를 확실히 고정한다. 로크핀(39)이 누름로드(33)와 정지돌기(42)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한 셔터버튼(4)은 잠겨 있고, 아래로 누를 수 없다. 보호커버(13)가 개방위치로 슬라이드되면 캠핀(41)이 높은 부분(40b)에서 낮은부분(40a)으로 이동하므로 셔터로크부재(35)가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핀(39)은 개구부(34)의 도피부(34)로 내려간다. 로크핀(39)이 누름로드(33)에서 멀어지므로 셔터버튼(4)은 잠금 해제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로기판(28)과 전방커버 본체(19a) 사이에는 스위치 지지판(43)과 스위치판(44)이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판(44)에는 플래쉬 충전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지지체(43)는 스위치판(44)을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플래시 충전 스위치(6)가 ON 위치에 도달하면 스위치판(44)에 설치한 클릭돌기(46)가 스위치 지지판(43)에 설치한 위쪽 홈(47)에 클릭고정되고, 플래시 충전스위치(6)이 Off위치에 도달되면 클릭돌기(46)가 아랫쪽 홈(48)에 정확히 고정된다.
플래시 충전 스위치(6)와 함께 스위치판(44)이 ON위치로 이동하면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안쪽에 설치한 돌기(49)가 회로기판(28)에 설치한 스위치 접편(50)을 누르고 플래시 회로를 닫는다. 플래시 회로가 닫히면 전지(30)에서의 전력으로 메인 콘덴서(29)가 충전되기 시작한다. 스위치판(44)이 오프위치로 이동하면 스위치 접편(50)이 플래쉬 회로에서 떨어지고, 플래쉬 회로는 충전을 정지한다.
또, 스위치판(44)에는 충전상태 표시부(9)에 설치한 고정돌기(9a)에 계합하는 개구(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에 의해 충전상태 표시부(9)는 스위치판(44)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플래시 충전 스위치(6)와 스위치판(44)이 ON위치로 이동하면 충전상태 표시부(9)가 필름유닛(2)에서 돌출하여 회로기판(28)에 설치한 충전 완료 표시램프(28a)의 빛을 필름유닛(2)의 외부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더우기, 스위치판(44)에는 스위치판(44)을 보호커버(13)에 연계시키기 위한 연계부(55)가 설치되어 있다. 보호커버(13)의 배면쪽에 돌출편(54)이 설치되어 있고, 돌출편(54)은 보호커버(13)의 도 6에서 우측에 돌출하고 있다. 돌출편(54)은 보호커버(13)가 폐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연계부(55)의 경사면(56)에 직접 접하고 스위치판(44)을 Off 위치로 누른다. 그리고, 보호커버(13)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연계부(55)의 수평면(57)을 위쪽에서 눌러서 스위치판(44) 나아가서는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ON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즉, 보호커버(13)가 열려있는 동안만 플래시 충전스위치(6)의 ON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 59는 보호커버(13)의 무리한 조작의 경우에 돌출편(54)이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판을 가리키고, 보호판(59)은 전방커버(19)의 안쪽면에 돌출편(54)의 이동로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필름유닛(2)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촬영렌즈(7) 및 파인더 대물창(8)이 보호커버(13)로 차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캠돌기(41)가 캠슬롯(40)의 높은 부분(40b)으로 계합되고, 셔터로크부재(35)를 로크위치로 이동시키고 있다. 로크위치에서는 로크핀(39)이 누름로드(33)에 직접 접해있고, 셔터버튼(4)을 부주의하게 눌러도 누름로드(33)가 셔터구동레버에 작용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 돌출편(54)이 수평면(57)을 위쪽에서 누르고 있기 때문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ON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필름유닛(2)을 사용할때에는, 보호커버(13)를 개방위치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촬영렌즈(7)와 파인더 대물창(10)이 노출됨과 동시에 그 보호커버(13)의 이동중에 캠핀(41)이 캠슬롯(40)의 높은부분(40b)에서 낮은부분(40a)로 이동한다. 이에따라 셔터로크부재(35)가 로크해제위치로 이동하여 로크핀(39)이 도피부(34a)로 도피하고, 누름로드(33)의 변위가 허용된다. 또한, 보호커버(13)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돌출편(54)이 연계부(55)에서 떨어졌기때문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ON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에따라 촬영자는 플래시 촬영을 원하는지에 따라서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을 ON오프 조작할 수 있다.
플래시 충전 스위치(6)를 ON위치로 이동시키면 회로기판(28)의 스위치 접편(50)이 켜져서 메인 콘덴서(29)로의 충전이 개시된다. 또,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ON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충전상태 표시부(9)가 돌출한다. 메인 콘덴서(29)로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 표시 램프(28a)가 점등하고, 그 빛을 충전상태 표시부(9)가 외부로 표시한다.
필름 감는 노브(3)를 도 3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면, 카트릿지 용기(22)에 사진필름(24)이 감기고 이 필름이송에 의해 스프로켓이 회전한다. 스프로켓에 연동하여 셔터 구동 레버가 챠지 위치로 이동한다. 사진필름(24) 한장분이 이송되면 고정레버가 스프로켓의 회전과 필름 감는 노브(3)의 회전을 저지함과 동시에 셔터구동레버를 챠지위치로 유지된다.
촬영은 셔터버튼(4)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셔터버튼(4)이 아랫쪽을 향해 탄성 변형하고 이때의 변위에 의해 누름로드(33)가 도 5에 도시하는 고정레버의 일부(60)를 누른다. 이에따라 고정레버가 셔터구동레버를 챠지 위치에서 해제한다. 해제되면 셔터구동레버는 스프링의 부세방향으로 이동하여 셔터 브레이드를 가격하므로 노광이 이루어진다. 셔터 구동 레버를 개방한 후에 고정레버는 스프로켓과 필름 감는 노브(3)의 회전 저지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의해 촬영자는 다음의 촬영을 위해 사진필름(24)을 감을 수 있게 된다.
촬영 가능한 최후의 한장을 다 촬영한 후에는 고정레버의 동작이 저지되기 때문에 사진필름(23)의 끝까지 감을 수 있다. 사진필름(23)의 전부가 카트리지 용기(22)에 수납되면 이때의 필름 감는 노브(3)를 검사하여 도어 폐쇄기구가 카트릿지 용기(22)의 도어 부재(22a)를 닫는다.
사용이 끝난 필름 유닛은 현상소에 제출한다. 현상소에서는 밑뚜껑(12)을 열어 노광을 마친 사진필름 카트릿지(17)를 꺼낸다. 도어부재(22a)가 닫혀 있으므로 밝은 곳에서 사진필름 카트릿지(17)를 꺼낼 수 있다. 그 후 종래와 같이 현상 및 프린트처리를 한다. 현상을 마친 필름은 원래의 카트릿지 용기(22)에 수납한 상태로 프린트 사진과 함께 촬영자에게 반환된다.
정지돌기(42)는 생략할 수 있고 셔터로크부재(35)의 로크핀(39)만으로 누름로드(33)가 고정레버 누르는 것을 저지할 수도 있다. 셔터로크부재(35)를 전방커버(19)와는 다른 부재로 형성하고 있지만, 셔터로크부재(35)는 전방커버(19)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셔터로크부재(35)가 캠슬롯(40)과 연동하여 탄성변형하여 개구부(34)의 내부로 돌입하는 것에 의해 로크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또, 축(38)을 전방커버(19)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보호커버(13)를 플래시 충전 스위치(6)와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기구는 도 6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호커버(13)가 닫혀있는 동안은 플래시 충전 스위치(6)의 ON조작을 저지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필름유닛(2)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61)가 전방커버 본체(19a)의 전면에 힌지(6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힌지(60)의 회전축을 수평방향으로 길고, 보호커버(61)는 폐쇄위치와 개방위치에서 요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셔터로크부재(64)는 보호커버(61)의 안쪽면에 형성된 돌기이고, 보호커버(61)를 닫으면 돌기(64)가 누름로드(33)와 정지돌기(42)의 사이에 삽입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로크부재(64) 자체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61)를 플래시 충전 스위치(6)와 연동시키기위한 연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필름유닛(2)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필름유닛 본체에는 외장용 라벨부재(77a,77b)가 점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도 1에서 도 6의 도시한 제 1실시예와 같은 것으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 실시예에 필수 요건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에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라벨(77a)은 보호커버(13)의 전면에 또, 제 2라벨(77b)은 보호커버(13)의 이동영역 즉 촬영렌즈(7)와 파인더 대물창(8)이 설치된 정면부분을 차단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름유닛(2)의 중간부를 감싼 형태로 점착되어 있다.
이들 후방커버(20)와 전방커버(19)는 탄력있는 후크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전방커버(19)와 후방커버(20)의 합치부위에 걸쳐 제 2 라벨(77b)이 점착되어 있으며 제 2 라벨(77b)로 결합을 강화하고 있다. 또, 커버끼리(19),(20)를 결합하는 후크위치를 덮듯이 제 2 라벨(77b)을 점착하면, 서로간의 결합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후방커버(20)의 윗면에 설치된 후크(81a)와 전방커버(19)의 윗면에 설치된 구멍(80a) 후크의 위치,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커버(20)ㅡ이 저면에 설치된 구멍(81a),(81c)과 전방커버(19)의 저면에 설치된 후크(80a),(80b)의 후크결합 위치가 각각 제 2 라벨(77b)로 덮여 있다.
제 2 라벨(77b)에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유닛(2)의 충전상태표시부(9), 사진매수표지부(10), 및 파인더접안창(79)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 및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제 1라벨(77a)의 점착면은 보호커버(13)의 전면과 또 제 2라벨(77b)의 점착면은 전방커버(19)의 전면(19b)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커버(20)에 일체로 설치한 밑뚜껑(12),(26)은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각각의 밑뚜껑(12),(26)에 일체로 설치한 탄성을 지닌 후크로 전방커버(19)에 개폐가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이들 밑뚜껑(12),(26)의 일부도 제 2 라벨(77b)에 의해 덮여 보강되고, 이에 의해 수송중과 휴대중에 필름유닛이 낙하해도 밑뚜껑(12),(26)이 열리지 않게 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도 제 1실시예와 같은 셔터로크기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 셔터로크부재(35)와 보호커버(13)를 연동시키기위한 캠슬롯(91)은 보호커버(13)를 관통하는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커버(13)에는 캠슬롯(91)이외에 플라스틱 성형시와 조립시에 필요하지만 촬영을 위해 외부에 노출되어있을 필요가 없는 개구(92),(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라벨(77a)은 보호커버(13)에 설치된 이들 개구(91)~(93)를 숨겨주므로, 외관장식 외에 먼지와 이물질 등이 개구(91),(93)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또, 전방커버(19)에도 조립시에 필요한 구멍과 검사용의 구멍(94),(95)을 감추고 있다. 더우기 셔터로크부재(35) 및 개구부(34)는 보호커버(13)가 열려있는 지에 관계없이 보호커버(13)로 항상 감춰져 있다.
라벨부재(77a),(77b)는 필름유닛(2)이 조립되어 검사공정을 거치고나서 점착된다. 라벨점착 스테이션에서는 필름유닛(2)은 정면을 위로 하여 세트된다.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라벨시트(100)에서 라벨부재(77a),(77b)는 뚫려진다. 라벨시트(100)는 라벨부재(77b)의 전개형상의 세로길이에 맞춘 폭을 갖고 있고, 도 13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점착 스테이션에 위치가 정해진 필름 유닛(2)을 향해 그 세로 방향을 따라 꺼내어 진다. 제 1라벨(77a)과 제 2 라벨(77b)은 일단 흡인드럼에 옮겨지고나서, 우선 필름유닛(2) 정면에 동시에 부착된다. 이 시점에서 제 1 라벨(77a)은 보호커버(13)에 부착되고 그 후 필름유닛(2)을 회전시켜서 제 2 라벨(77b)의 남은 부분을 필름유닛(2) 둘레에 감아서 점착한다. 라벨부재(77a),(77b)가 점착된 필름유닛(2)은 외관 검사후에 출하된다.
노출할 필요가 없는 캠슬롯(91)과 구멍(92)~(95)이 라벨부재(77)에 의해 막히기때문에 보기에 좋고 방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구나, 제 2 라벨(77b)을 전방커버(19)와 후방커버(20)의 합치부위에 대해 나아가는 방향으로 부착하고 있으므로 커버(19), (20)끼리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 2 라벨(77b)로 밑뚜껑(12),(26)의 일부도 봉인하고나서 수송중의 낙하 등에 의한 강한 충격으로 밑뚜껑(12),(26)이 열려서 필름이 빛을 쬐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라벨부재(77a),(77b)를 동시에 부착하도록 했으므로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필름유닛(2)은 촬영렌즈(7) 및 파인더대물창(8)이 보호커버(13)으로 차단된 상태로 출하된다. 또, 이 폐쇄상태로는 로크부재(35)가 잠금위치로 이동하여 셔터개방에 필요한 누름로드(33)의 변위를 저지하므로 쓸데없는 셔터개방을 방지한다.
도 14에서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아래에서는 이 실시예의 필수적인 요건만 설명한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셔터버튼(4)은 얇은 한장의 판 (4a)의 단부에 형성되고 또 다른쪽 단부가 노광유닛(16)의 윗면에 후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따라 셔터 개방에 필요한 양만큼 탄력적으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셔터버튼(4)의 하부에는 누름로드(3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판(44)은 플래시 충전 스위치(6)와 연결부(4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44a)는 충전상태 표시부(9)의 전방에 설치한 핀(9a)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시 충전 스위치(6)가 ON 위치로 조작되면 스위치판(44)이 함께 이동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상태 표시부(9)를 필름유닛(2) 밖으로 돌출시킨다. 도시에 회로기판(28)의 플래쉬회로가 충전개시한다. 또, 플래시 충전 스위치(6)가 OFF 위치로 조작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상태 표시부(9)가 하강하여 플래시 회로는 충전을 정지한다.
전방커버(19)의 전면은 도 17에 수평단면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적어도 렌즈개구(7b)를 설치한 중앙전면(19c)에서 카트릿지 실(23) 전방을 덮는 왼쪽 전면 11까지 사이에서 필름유닛(2)에 세로방향으로 일직선이 되어 있다. 즉, 전방커버(19)의 전면을 보호커버(13)가 슬라이드한 범위에서 세로방향으로 직선이 되도록 한 것에 의해 보호커버(13)가 전방커버(19)의 전면을 부드럽고 안정되게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필름유닛(2)의 세로방향 혹은 수평방향을 따라서 파인더 대물창(8)의 윗쪽 및 촬영렌즈(7)의 아랫쪽으로 슬라이드 홈(13a,13b)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 홈(13a,13b)은 보호커버(13)를 가이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호커버(13)가 전방커버(19)에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전방커버(19)의 중앙커버(19c) 및 왼쪽전면(11)은 평면형상이어도 좋고, 수직방향으로 만곡된 볼록한 형상이어도 좋다.
필름 롤 실(25)의 전방을 덮는 전방커버(19)의 우측전면(19d)은 상기 면(19c,11)보다도 일단 후방으로 꺼져 있다. 전방커버(19)의 우측전면(19d)과 중앙전면(19c) 사이의 사면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6)가 배치되어 있다. 필름유닛(2)의 카트릿지 실(23) 부분의 최소 두께는 수납되는 카트릿지 용기(22)의 직경에 의존한다. 촬영렌즈(7)의 광축(7a)에 따른 필름유닛(2)의 최소 두께는 쵤영렌즈(7) 의 촛점거리에 의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포커스의 촬영렌즈(7)이고, 후방커버(20)에서 렌즈의 단부까지 거리가 후방커버(20)에서 카트릿지 실(23)의 전면 외벽(23a)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또는 작아지는 촛점거리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방커버(19)의 중앙 전면(19c)에서 좌측전면(11)까지의 보호커버(13)의 활주면을 수평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카트릿지 실(23) 부분의 두께와 중앙에 촬영렌즈(7) 부분의 두께가 같아지므로 필름유닛 전체 두께를 거의 늘리지 않고 슬라이드 식으로 보호커버(13)를 설치할 수 있다. 최근의 기술수준에서 보면, 필름유닛(2)의 두께는 30mm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촬영렌즈(7)의 촛점거리를 27mm이하 바람직하게는 25mm이하로 하는 것으로 필름유닛(2)을 슬라이드 식 보호커버(13)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박형 필름유닛의 필적하는 두께로 할 수 있다. 또, IX 240 필름 카트릿지(17)를 이용하는 것으로 카트릿지 실(23) 부분의 두께 즉, 후방커버(20)에서 전방커버(19)의 좌측전면(11)까지의 두께를 25mm까지 줄일 수 있으므로 촬영렌즈(7)의 촛점거리를 25mm이하 바람직하게는 24mm로 하는 것으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7mm 에서 25mm의 촛점거리를 갖는 촬영렌즈(7)는 사진앵글이 육안의 앵글과 대개 같으므로 촬영사진 전체를 프린트하는 표준 프린트에 적합하다. 이에 대해 24mm이하의 촛점 거리를 갖는 촬영렌즈(7)는 사진앵글이 육안보다 넓으므로 촬영사진을 파노라마 사이즈로 트리밍하여 프린트하는 파노라마 프린트에 적합하다. 촛점거리를 짧게 하는 만큼 촬영렌즈(7)를 후방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필름유닛(2)을 박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닛 하우징이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의 두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유닛 하우징이 3개의 부품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필름유닛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X 240 타입의 사진필름 카트릿지를 이용한 필름유닛과 135타입의 사진 필름 카트릿지를 이용한 필름 유닛에 이용할 수 있다. 또, 135 타입의 사진필름을 수납하지만 종래의 카트릿지 용기보다도 직경이 작은 특수한 사진필름 카트릿지를 이용한 필름 유닛에도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플래시 유닛을 내장한 렌즈 부착 필름유닛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위치와 촬영렌즈를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용이 쉬운 보호커버 ;
    플래시 유닛의 메인 콘덴서로의 충전을 개시하는 ON위치와 메인 콘덴서로의 충전을 끊는 OFF 위치 사이로 수동조작 가능한 플래시 충전 스위치 ;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위치일때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또, 상기 보호커버가 개방위치일때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의 ON 위치로의 조작을 허용함과 동시에 플래시 충전 스위치가 ON 위치에 있을때에 보호커버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연동하여 플래시 충전 스위치를 OFF위치로 이동시키는 플래시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촬영렌즈의 수평방향 한쪽편에 배치된 개방위치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플래시 충전 스위치는 촬영렌즈의 수평방향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로우며 상기 플래시 방지 수단은 보호커버가 폐쇄위치로 이동할때에 보호커버를 플래시 충전 스위치로 연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3. 촬영렌즈를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 양측에 카트릿지 실과 필름 롤실을 구비하고 ;
    상기 카트릿지 실의 저면에 밑뚜껑을 구비하며, 이 밑뚜껑은 필름유닛 정면 하단을 조금 지나서 정면부까지 도달하고, 상기 필름유닛 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하단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갖고 촬영렌즈 정면과 카트릿지 실 정면 사이를 상기 밑뚜껑과 닿지 않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4. 누름조작에 의해 탄성 변위하는 셔터버튼 ;
    이 셔터버튼 변위가 전달됨에 의해 작동하는 셔터기구, 촬영렌즈를 덮는 폐쇄위치와 촬영렌즈를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쉬운 보호커버 ;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위치일때에 상기 셔터버튼의 변위가 셔터기구기에 전달되는 것을 저지하는 셔터로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셔터버튼과 함께 변위하여 셔터버튼의 변위를 셔터기구에 전달하는 누름로드가 더 설치되어 있고, 필름유닛 전면에는 이 누름로드에 대면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버튼 수단은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이 로크부재는 상기 보호커버가 폐쇄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누름로드의 변위를 저지하는 로크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보호커버가 개방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누름로드의 변위를 허용하는 로크해제위치로 이동하여 셔터기구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셔터 로크 수단은 상기 보호커버의 슬라이드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로크부재를 로크위치와 로크해제위치 사이로 이동시키는 캠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필름유닛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긴 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개방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이 보호커버의 배면에 상기 로크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8. 촬영렌즈를 외부에 노출하는 렌즈 개구를 가지는 전방커버와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의 부품으로 유닛하우징이 구성된 필름유닛에서 상기 전방커버의 전면에 상기 렌즈 개구를 덮는 폐쇄위치와 이것을 노출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쉬운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커버의 전면에 점착되는 제 1라벨과 유닛 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의 합치부위를 교차하여 점착되는 제 2라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 라벨은 제조시 동시에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유닛하우징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후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 2라벨은 후크 결합부분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제 2라벨은 슬라이드 보호커버 이동을 빼고 유닛하우징의 중간부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 양측에 카트릿지 실과 필름 롤실을 구비하고, 이 카트릿지 실의 저면에 밑뚜껑이 설치되며, 이 밑뚜껑이 상기 제 2라벨에 의해 부분적으로 봉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밑뚜껑은 필름유닛 정면 하단을 조금 지나서 정면부까지 도달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하단에 이르지 않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뚜껑과 닿지 않고, 카트릿지 실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4. 촬영렌즈를 사이에 두고 수평방향 양측으로 카트릿지 실과 필름 롤실을 구비한 필름유닛에서 필름유닛의 정면을 보호커버가 촬영렌즈 전면과 카트릿지 실 전면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필름유닛 정면은 적어도 보호커버 슬라이드 영역에서 수평 방향으로 직선이 되는 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 촛점 거리를 27mm이하, 바람직하게는 25mm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 실은 IX 240 타입의 사진필름 카트릿지 용기를 수납하고 상기 필름 롤실은 IX 240 타입의 사진필름 카트릿지의 사진필름을 롤상태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 실 저면에 밑뚜껑을 구비하고, 이 밑뚜껑은 필름유닛 정면 하단을 조금 지나서 정면부까지 도달하고, 상기 보호커버는 필름유닛의 정면 하단에 이르지 않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밑뚜껑과 닿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부착 필름유닛.
KR1020007003718A 1997-10-06 1998-10-01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 KR20010030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2660 1997-10-06
JP27266097 1997-10-06
JP9/272661 1997-10-06
JP27266197 1997-10-06
JP9/347784 1997-12-17
JP34778497 1997-12-17
JP9/359055 1997-12-26
JP35905597 1997-12-26
PCT/JP1998/004425 WO1999018477A1 (fr) 1997-10-06 1998-10-01 Unite de film de support de lentille dotee d'un couvercle de pro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967A true KR20010030967A (ko) 2001-04-16

Family

ID=2747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3718A KR20010030967A (ko) 1997-10-06 1998-10-01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424803B1 (ko)
EP (4) EP1406118B1 (ko)
KR (1) KR20010030967A (ko)
CN (3) CN1288495C (ko)
DE (3) DE69830347T2 (ko)
TW (1) TW494273B (ko)
WO (1) WO19990184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0B1 (ko) * 2007-10-30 2010-08-0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KR101036440B1 (ko) * 2008-09-08 2011-05-24 박병관 양승기용 물레판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4070B (en) 1997-12-17 1999-07-11 Fuji Photo Film Kk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flash device
JP2002162679A (ja) * 2000-03-28 2002-06-07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US6714727B1 (en) 2003-04-14 2004-03-30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capable of having alternatively positioned mode indicator
US7803109B2 (en) * 2004-04-16 2010-09-28 Ricardo Alexander Gomez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distal lens of endoscopes
TWI270737B (en) * 2005-03-14 2007-01-11 Benq Corp Electrical device with translatable lens cover
JP4449880B2 (ja) * 2005-10-12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7574002B2 (en) * 2005-11-17 2009-08-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Mechanical key l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JP5084334B2 (ja) * 2007-04-13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007944A (ja) * 2009-06-24 2011-01-13 Sony Corp 蓋体の開閉機構及び撮像装置
US9304377B2 (en) * 2012-07-02 2016-04-05 Agricam Ab Self-cleaning camera housings, self-cleaning camera modules, and monitoring systems comprising self-cleaning camera modules
CN110303788B (zh) * 2019-07-17 2021-07-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喷墨打印方法、装置以及设备
CN210469486U (zh) * 2019-09-20 2020-05-05 北京海益同展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设备用工作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4802A (en) * 1946-06-13 1950-03-29 Skoda Works Nat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evice for sticking on labels
US3810227A (en) * 1971-06-08 1974-05-07 Minolta Camera Kk Shutter release locking device for camera
DE3113576A1 (de) * 1981-04-03 1982-10-21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ilterpatrone oder filmkassette und/oder zugeordnete kamera
US4451130A (en) * 1982-06-04 1984-05-29 W. Haking Enterprises Limited Disc camera with handle grip cover
JPS59123846A (ja) 1982-12-29 1984-07-17 Hitachi Koki Co Ltd 電子写真装置用2成分現像剤
JPS59123846U (ja) 1983-02-07 1984-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保護カバ−付カメラ
JPS6060733A (ja) 1983-09-13 1985-04-08 Nitto Electric Ind Co Ltd リングと薄板の貼り合せ装置
JPS6060737A (ja) 1983-09-14 1985-04-08 Hitachi Micro Comput Eng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S6060737U (ja) 1983-10-03 1985-04-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トフオ−カスカメラの保護カバ−
US4557574A (en) 1983-10-03 1985-12-10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with protective cover
JPS61103130A (ja) 1984-10-26 1986-05-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レンズ保護カバ−付カメラ
JPS6222641A (ja) 1985-07-22 1987-01-30 喜多 喜代司 組み立て式眼内レンズ
JPS6222641U (ko) 1985-07-24 1987-02-10
FR2632748B1 (fr) 1988-06-14 1994-04-29 Alsthom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s et de commande
JPH0239245U (ko) 1988-09-07 1990-03-15
JPH04119353A (ja) * 1990-09-10 1992-04-20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US5608478A (en) * 1994-06-16 1997-03-04 Fuji Photo Optical Co., Ltd. Camera with lock-controlling lens barrier
DE9410522U1 (de) * 1994-06-29 1995-11-02 Zweckform Etikettiertechnik Etikett mit integrierter Codierung
JP3636806B2 (ja) 1996-02-01 2005-04-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0029104A (ja) * 1998-07-10 2000-01-28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内蔵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70B1 (ko) * 2007-10-30 2010-08-0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카메라 렌즈 보호장치
KR101036440B1 (ko) * 2008-09-08 2011-05-24 박병관 양승기용 물레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18477A1 (fr) 1999-04-15
CN1288495C (zh) 2006-12-06
CN1296769C (zh) 2007-01-24
EP1408367A3 (en) 2004-04-21
DE69824197D1 (de) 2004-07-01
DE69837115D1 (de) 2007-03-29
TW494273B (en) 2002-07-11
US6424803B1 (en) 2002-07-23
DE69824197T2 (de) 2004-09-30
DE69837115T2 (de) 2007-06-06
EP1406118B1 (en) 2005-05-25
DE69830347D1 (de) 2005-06-30
US6574431B2 (en) 2003-06-03
EP1510856A1 (en) 2005-03-02
CN1612040A (zh) 2005-05-04
EP1408367A2 (en) 2004-04-14
DE69830347T2 (de) 2005-10-20
EP1406118A1 (en) 2004-04-07
CN1612041A (zh) 2005-05-04
EP1408367B1 (en) 2007-02-14
EP1024396A4 (en) 2000-11-29
EP1024396A1 (en) 2000-08-02
CN1632690A (zh) 2005-06-29
EP1024396B1 (en) 2004-05-26
US20020154906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967A (ko) 보호커버를 구비한 렌즈부착 필름유닛
JPH05210204A (ja) レンズ付フィルムユニット
US5666573A (en) Camera with rewritable memory
US5713046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JP381855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824399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3911112B2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H1118397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215597A (ja) 防水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311821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940966B2 (ja) カメラ
JPH1138490A (ja) カメラ
JP2000171945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311820A (ja) カメラ
JP2002182282A (ja) カメラ
JP2001133831A (ja) 絞り切替装置
JPH1114291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212152A (ja) カメラ
JP2000347283A (ja) カメラ
JP2001337420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3091038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2001242514A (ja) フイルムカートリッジの装填検知装置
JPH11231377A (ja) カメラ
JPH086141A (ja) データ写し込み装置
JP200129020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