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821A -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821A
KR20000076821A KR1020000012094A KR20000012094A KR20000076821A KR 20000076821 A KR20000076821 A KR 20000076821A KR 1020000012094 A KR1020000012094 A KR 1020000012094A KR 20000012094 A KR20000012094 A KR 20000012094A KR 20000076821 A KR20000076821 A KR 2000007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member
coil component
box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히데카즈
모리나가데츠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2986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7682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7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01F2017/04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helical coil made of flat wire, e.g. with smaller extension of wir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와인딩 코일과, 박스형상 코어 부재 및 커버용 코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의 2 단부에는, 2개의 인출부가 상기 와인딩 코일의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180도 떨어져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한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4개의 모서리는 제거된다. 오목부의 측벽에는 90도 간격으로 홈이 형성된다. 2개의 인출부의 일부는 홈에 수용되며, 각 인출부의 한 단부는 박스형상의 코어 부재의 실장면에 배치되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Description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Coil and Surface-Mounting-Type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각선(平角線; flat straight wire)을 에지와이즈(edgewise) 와인딩한 코일과, 이 코일을 포함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에지와이즈 와인딩 코일을 포함하는 종래의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 코일 부품(1)에서는, 한 쌍의 E형 페라이트 코어 부재(3) 사이에 코일(2)이 끼워져 있다. 코일(2)은 평각선을 동심원 형상으로 원형 형상으로 와인딩하여(또는 에지와이즈 와인딩하여) 형성된다. 코일(2)의 인출부(2a, 2b)는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코일 부품(5)에 있어서는, 코일(6)은 박스형상 페라이트 코어 부재(70)에 수용된다. 코일(6)은 평각선을 에지와이즈하여 구성된다. 페라이트 코어 부재(8)는 코일(6)의 중심부의 구멍(6c)에 삽입되고, 커버용 페라이트 코어 부재(9)가 코어 부재(8) 및 코일(6)을 커버하기 위하여 코어 부재(8) 및 코일(6)위에 놓여진다. 코일(6)의 인출부(6a, 6b)는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인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코일 부품(1)의 코일(2)의 인출부(2a, 2b)는 페라이트 코어 부재(3)의 표면을 따라서 절곡되어,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부품(5)의 코일(6)의 인출부(6a, 6b)는 페라이트 코어 부재(7)의 표면을 따라서 절곡되어,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 부품(1)의 인출부(2a, 2b) 및 종래의 코일 부품(5)의 인출부(6a, 6b)가 각각 코일(2)의 와인딩의 중심의 한쪽 및 코일(6)의 와인딩 중심의 한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2, 6)의 축방향의 길이는, 각각 인출부(2a, 2b) 및 인출부(6a, 6b)가 형성되어 있는 측이, 인출부(2a, 2b) 및 인출부(6a, 6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보다 길다. 따라서, 예를 들면 코일 부품(1)의 경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2)의 인출부(2a, 2b)를 페라이트 코어 부재(3)의 표면을 따라서 절곡하면, 코일(2)이 경사져서, 인출부(2a, 2b)의 선단부가 페라이트 코어 부재(3)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기 쉬웠다. 이 때문에, 종래의 코일 부품(1)은 실장면의 평면성이 나빠서, 부품(1)을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코일 부품(1, 5)을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 실장하는 경우, 인출부(2a, 2b)를 절곡하여 구성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 및 인출부(6a, 6b)를 절곡하여 구성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이 각각 코일 부품(1) 및 코일 부품(5)의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부품(1, 5)이 한쪽으로 당겨져서 경사진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게다가,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된 후, 코일 부품(1, 5)이 불안정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코일 부품(5)의 박스형상 페라이트 코어 부재(7), 페라이트 코어 부재(8) 및 페라이트 코어 부재(9)는 코일 부품(1)의 한쌍의 E형 페라이트 코어 부재(3)에 의해 구성된 자기 회로보다 우수한 자기 회로를 구성한다. 그러나, 코일 부품(5)의 자기 회로에 있어서도, 코일(6)의 와인딩의 중심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는 인출부(6a, 6b)가 자로를 국소적으로 방해하여, 인출부(6a, 6b)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인, 인출부(6a, 6b)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도 9에 있어서 A로 표시된 측)에 자속선(magnetic flux lines)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기 포화(magnetic saturation)가 생기기 쉬우며, 이에 따라서 인덕턴스를 효율성 높게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코일 부품(1)의 코어 부재(3)의 네 모서리의 부위 P1 및 코어 부재(7)의 네 모서리의 부위 P2가 자기 회로로서 유효하게 기능하지 못하며, 그 결과 불필요한 스페이스가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실장성이 우수하고, 인덕턴스를 효율성 높게 발생시키는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을 실장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변형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코일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다른 코일 부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코일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1, 31, 51: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2, 32, 52: 코일
12a, 12b, 32a, 32b, 52a, 52b: 인출부
13, 33, 53: 박스형상 코어 부재
14, 34, 54: 뚜껑 코어 부재
21, 41, 61: 오목부
25, 45, 65: 와인딩 종단 위치
33a: 절삭부
43: 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코일은 에지와이즈 와인딩부, 및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2개의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인출부를 포함하며, 2개의 인출부가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약 180도의 각도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독특한 구성 및 배치에 의하여, 평각선을 에지와이즈 방법으로 와인딩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하여 코일의 인출부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에지와이즈 와인딩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인출부를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가 이루는 각도와, 2개의 인출부가 이루는 각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인출부의 인출 방향이 제한되지 않으며, 어떠한 코일 인덕턴스값이라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은, 에지와이즈 와인딩부, 및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2개의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인출부를 포함하며, 2개의 인출부가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약 180도의 각도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일; 및 코일을 수용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어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제 1 코어 부재와, 제 1 코어 부재의 오목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커버용 제 2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코어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코일의 인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홈은 오목부의 측벽에 90도 간격 또는 180도 간격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코일의 2개의 인출부를, 코일의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180도 만큼 떨어져서 반대방향으로 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출부를 코어의 표면을 따라서 절곡하더라도, 인출부가 코어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지 않는다. 또한, 인출부를 절곡하여 구성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은, 코일 부품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이 경사진 상태로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 실장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된 코일 부품이 덜컹거리지 않는다. 게다가, 코일의 인출부가 코일의 와인딩의 중심의 한쪽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코어의 특정 부위에 자속선이 집중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서 자기 포화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코어가 박스형상 코어 부재 및 커버를 구성하는 다른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모서리부를 제거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서,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대략 전체가 자기 회로로서 유효하게 기능한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가 코일의 인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경우,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모서리부를 제거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11)은, 코일(12)과,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갖는 코어 부재(13), 및 코일(12)과 제 1 코어 부재(13)를 커버하기 위해 배치되어 뚜껑을 구성하는 제 2 코어 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12)은 평각선을 동심원 형상으로 대략 원형 형상으로 와인딩하여(또는 에지와이즈 와인딩하여) 형성된다. 평각선은 예를 들면 평각 동선(리본 또는 금속박)의 표면에 폴리우레탄막 또는 폴리에스테르막 등의 절연막을 형성한 것이다.
코일(12)에 있어서, 인출부(12b)가 코일(12)의 축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25)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마찬가지로, 인출부(12a)가 코일(12)의 축방향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인출부(12a)는 일단 상측 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인출부(12b)와 동일면상에서 다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즉 인출부(12a, 12b)는 에지와이즈 와인딩부(12c)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을 따라서 약 180도 떨어져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에지와이즈 와인딩 기술인 에지와이즈 절곡을 행함으로써, 인출부(12a, 12b)를 에지와이즈 와인딩부(12c)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실장면(13b)의 대략 중앙부에는, 코일(12)을 수용하기 위한 대략 직사각형의 오목부(12)가 형성된다. 오목부(21)의 대략 중앙부에는, 대략 원주형상의 코어부(22)가 형성된다. 커버용 뚜껑 코어 부재(14)는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오목부(21)를 커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코어 부재(13) 및 코어 부재(14)는 예를 들면 절연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와 뚜껑 코어 부재(14)를 형성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재료 등의 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코어 부재(13, 14)를 결합하여 폐자로(closed magnetic circuit)를 구성한다.
코일(12)의 인출부(12a, 12b)의 표면의 절연막은 미리 제거되고,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인출부(12a, 12b)에 대하여 솔더 도금 처리 또는 솔더 디핑 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인출부(12a, 12b)의 절연막의 제거 또는 인출부(12a, 12b)의 솔더 도금 처리는, 코일 부품(11)의 형성 공정에서 반드시 미리 행할 필요는 없으며, 코일 부품(11)의 형성 공정후에 행해도 된다. 다음으로, 코일(12)은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오목부(21)에 수용되며, 코어부(22)가 코일(12)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하는 구멍(12c)에 삽입된다. 코어부(22)의 삽입후, 코일(12)의 인출부(12a, 12b)는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실장면(13b)에 배치되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인출부(12a, 12b)가 외측으로 인출된 후, 커버용 뚜껑 코어 부재(14)가 코일(12)상에 놓여지며, 오목부(21)의 개구를 커버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오목부(21)에 수지(또는 접착제)(18)(도 2 참조)가 충전되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실장면(13b)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12)의 인출부(12a, 12b)는, 각각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외측벽(13a)을 따라서 절곡되어,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11)에 있어서는, 에지와이즈 와인딩부(12c)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을 따라서, 코일(12)의 인출부(12a, 12b)를 약 180도 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출부(12a, 12b)를 각각 박스형상 코어 부재(13)의 측벽(13a)을 따라서 절곡하더라도, 인출부(12a, 12b)가 실장면(13b)으로부터 떠오르지 않는다. 그 결과, 코일 부품(11)의 실장면(13b)이 정확한 수평 상태로 신뢰성있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서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의 실장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11)에 있어서, 절곡된 인출부(12a, 12b)에 의하여 구성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므로, 코일 부품(11)은 수평 상태로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 신뢰성있고 안정되게 실장되게 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11)이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 실장된 후, 코일 부품(11)이 덜컹거리지 않고 안정되게 실장된다.
게다가,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11)에 있어서, 코일(12)의 인출부(12a, 12b)가 코일(12)의 와인딩의 중심에 대하여 약 180도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코어 부재(13, 14)에 의해 구성되는 자로에 있어서 자속선이 한쪽으로 흐르지 않는다. 자속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포화 특성이 크게 향상되며, 코일 부품(11)이 인덕턴스를 높은 효율성으로 발생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31)은 코일(32)과,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갖는 제 1 코어 부재(33), 및 코일(32)과 제 1 코어 부재(33)를 커버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 2 코어 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32)은 평각선을 동심원 형상으로 대략 원형 형상으로 와인딩하여(또는 에지와이즈 와인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32)에 있어서, 인출부(32b)가 코일(32)의 축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45)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인출부(32b)는, 일단 상측 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외측 방향으로 다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된다. 마찬가지로, 인출부(32a)가 코일(32)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인출부(32a)는 일단 상측 방향으로 90도의 각도로 절곡되며, 소정의 위치에서 인출부(32b)와 동일면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다시 90도의 각도로 절곡된다. 인출부(32a, 32b)는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을 따라서 약 180도 만큼 떨어져서 반대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에지와이즈 와인딩 기술인 에지와이즈 절곡을 행함으로써, 인출부(32a, 32b)를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실장면(33b)의 대략 중앙부에는, 코일(32)을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형의 오목부(41)가 형성된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네 모서리는 제거되어 경사져 있다. 오목부(41)의 대략 중앙에는, 대략 원주형상의 코어부(42)가 형성된다. 이 코어부(42)는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오목부(41)의 측벽에는 약 90도 간격으로 홈(43)이 형성된다. 즉, 홈(43)은 각각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네 모서리를 제거하여 구성된 절삭부(또는 경사진 모서리부)(33a)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홈(43)을 약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한 것은, 코일 부품(31)의 조립시의 방향 제한성을 없애기 위함이다. 어떠한 방향으로도 코일 부품(31)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뚜껑 코어 부재(34)는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오목부(41)를 커버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코어 부재(33)와 뚜껑 코어 부재(34)는 예를 들면 절연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부재(33)와 코어 부재(34)를 형성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또는 다른 자성 재료가 사용된다. 코어 부재(33)와 코어 부재(34)는 함께 폐자로를 구성한다.
코일(32)은 코어 부재(33)에 형성된 오목부(41)에 수용되며, 코어부(42)가 코일(32)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구멍(32c)에 삽입된다. 그 후, 인출부(32a)의 일부 및 인출부(32b)의 일부가, 각각 대향하는 2개의 홈(43)에 수용되며, 인출부(32a)의 한 단부 및 인출부(32b)의 한 단부가 코어 부재(33)의 실장면(33b)에 배치되어,외측으로 인출된다. 다음으로, 코어 부재(34)가 코일(32)상에 놓여지며, 오목부(41)의 개구를 커버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오목부(41)에 수지 또는 접착제(38)(도 4 참조)가 충전되어도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 부재(33)의 실장면(33b)에 배치되어 있는 인출부(32a, 32b)는, 각각 코어 부재(33)의 대응하는 절삭부(경사진 모서리부)(33a)를 따라서 절곡되어,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표면실장형 코일 부품(31)에 있어서는,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 L을 따라서 코일(32)의 인출부(32a, 32b)를 약 180도 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하고 있다. 따라서, 인출부(32a, 32b)를 각각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절삭부(33a)를 따라서 절곡하더라도, 인출부(32a, 32b)가 실장면(32b)으로부터 떠오르지 않는다. 그 결과, 코일 부품(31)의 실장면(33b)이 정상적인 수평 상태로 신뢰성있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서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의 실장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31)에 있어서, 인출부(32a, 32b)를 절곡하여 구성되는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므로, 코일 부품(31)은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정상적인 수평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31)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된 후, 코일 부품(31)이 뷸안정하여 덜컹거리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31)에 있어서, 코일(32)의 인출부(32a, 32b)가 코일(32)의 와인딩의 중심에 대하여 약 180도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므로, 코어 부재(33, 34)에 의하여 구성되는 자로에 있어서 자속선이 한쪽으로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포화 특성이 향상되며, 코일 부품(31)이 인덕턴스를 높은 효율성으로 발생한다.
게다가, 코어 부재(33)의 모서리를 제거함으로써, 박스형상 코어 부재(33)의 대략 전체가 자기 회로로서 유효하게 기능하며, 불필요한 스페이스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인덕턴스를 더욱 효율성 좋게 발생시킬 수가 있다. 홈(4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1)의 측벽에 약 180도 간격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의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51)은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가 이루는 각도와 2개의 인출부가 이루는 각도가 다른 코일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51)은 코일(52)과,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갖는 제 1 코어 부재(53), 및 코일(52)과 제 1 코어 부재(53)를 커버하기 위하여 배치되어 뚜껑을 구성하는 제 2 코어 부재(54)를 포함한다. 코일(52)은 평각선을 에지와이즈 와인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어 부재(53) 및 코어 부재(54)는 예를 들면 절연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코일(52)에 있어서, 인출부(52b)가 코일(52)의 축방향의 상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65)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마찬가지로, 인출부(52a)가 코일(52)의 축방향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인딩 종단 위치로부터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인출부(52a)는, 일단 상측 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된 후, 인출부(52b)와 동일면 상에서 내측 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된다. 그 후, 인출부(52a)는 에지와이즈 절곡되어,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코일(52)의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65)는 서로에 대하여 약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2개의 인출부(52a, 52b)는 서로에 대하여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룬다.
대략 직사각형의 박스형상 코어 부재(53)의 실장면(53b)의 대략 중앙부에는, 코일(52)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61)가 형성된다. 오목부(61)는 원의 둘레의 약 1/4의 둘레를 갖는 대향하는 곡선 및 이 곡선의 접선에 의해 구성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오목부(61)의 적절한 위치에 뚜껑 코어 부재(54)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인덕턴스값의 편차가 감소한다. 오목부(61)의 대략 중앙에는 대략 원주 형상의 코어부(62)가 형성된다.
코일(52)은 박스형상 코어 부재(53)에 형성된 오목부(61)에 수용되며, 대략 원주 형상의 코어부(62)가 코일(52)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구멍(52c)에 삽입된다. 그리고, 코일(52)의 인출부(52a, 52b)가 박스형상 코어 부재(53)의 실장면(53b)에 배치된다. 그 후, 코어 부재(54)가 코일(52)상에 놓여지며, 오목부(61)를 커버한다. 필요에 따라서 오목부(61)에 수지 또는 접착제가 충전되어도 된다.
박스형상 코어 부재(53)의 실장면(53b)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52)의 인출부(52a, 52b)는 각각 코어 부재(53)의 측벽(53a)을 따라서 절곡되어,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으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51)은 상기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1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 1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1)에서는, 코일(12)의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25)가 이루는 각도와 인출부(12a, 12b)가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다(즉, 와인딩 종단 위치(25)와 인출부(12a, 12b)의 인출 방향이 같다). 이에 비하여, 제 3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코일 부품(51)에서는, 인출부(52a, 52b)를 인출하여 코일(52)의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65)가 향하는 방향을 인출부(52a, 52b)의 인출 방향과는 독립하여 설정하고 있다.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65)가 이루는 각도를 인출부(52a, 52b)의 인출 방향이 이루는 각도와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 이 결과,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65)가 이루는 각도(예를 들면 2개의 와인딩 종단 위치)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코일(52)의 인덕턴스를 소망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박스형상 코어 부재는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팔각형이고, 도 6에 나타낸 박스형상 코어 부재는 직사각형의 두 모서리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육각형인데, 사용자가 요구하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서 임의의 다각형 형상, 또는 대략 원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일 수용부를 다르게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수용부를 박스형상 코어 부재와 뚜껑 코어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하였으나, 2개의 박스형상 코어 부재를 서로 걸어맞추거나 서로 맞대어 내부에 코일을 수용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의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코일의 2개의 인출부를 약 180도 만큼 떨어져서 반대 방향으로 인출하고 있기 때문에, 인출부를 코어 부재의 표면을 따라서 절곡하더라도, 인출부가 코어 부재로부터 떠오르지 않는다. 이 결과, 코일 부품의 실장면이 안정되게 수평 상태로 신뢰성있게 실장되며,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다른 기판에의 실장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평각선을 에지와이즈 와인딩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에 의하여 코일의 인출부를 인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와인딩 종단 위치로부터, 인출부를, 에지와이즈 절곡에 의하여 약 180도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부를 절곡하여 구성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이 코일 부품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 부품이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 또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경우, 정상적인 수평 상태로 신뢰성있게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프린트 회로 기판 실장후의 코일 부품의 덜컹거림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의 인출부가 코일의 와인딩 중심의 한쪽에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 부품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지 않으며, 코어 부재에 국소적으로 자속선이 집중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어 부재의 자기 포화 특성이 향상되고, 인덕턴스를 효율성 높게 발생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모서리를 제거함으로써, 박스형상 코어 부재는 그 대략 전체가 자기 회로로서 유효하게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턴스를 더욱 효율성 높게 발생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스페이스도 없앨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원리를 실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드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9)

  1. 에지와이즈 와인딩부(edgewise wound portion); 및
    상기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2개의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인출부;를 포함하는 코일로서,
    상기 2개의 인출부가 상기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약 180도의 각도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2개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2개의 인출부가 이루는 각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3. 에지와이즈 와인딩부, 및 상기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2개의 위치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인출부가 상기 에지와이즈 와인딩부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따라서 약 180도의 각도만큼 떨어져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을 수용하는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상기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제 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오목부의 개구를 커버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 2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는 실질적으로 박스형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는 상기 코일의 인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오목부의 측벽에 약 90도 간격 또는 약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모서리가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 및 상기 제 2 코어 부재가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외측벽을 따라서 절곡되며, 상기 인출부는 표면 실장형 외부 전극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중의 적어도 하나는 약 90도의 각도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부위, 및 상기 제 1 부위에 대하여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는 제 2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어 부재는 폐자로(closed magnetic circuit)를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코어 부재는 박스형상이며, 상기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네 모서리가 제거되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실장면에 배치되며 또한 표면 실장용 외부 전극을 구성하기 위해 절곡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는 박스형상이며 상기 박스형상 코어 부재의 대략 전체가 자기 회로를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제 1 코어 부재, 및 상기 코일과 상기 제 1 코어 부재를 커버하는 뚜껑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코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어 부재의 오목부는 원의 둘레의 약 1/4의 둘레를 갖는 대향하는 곡선 및 이 곡선의 접선으로 구성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원주 형상의 코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실질적으로 팔각형 형상, 실질적으로 원형 형상 및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중의 한 형상을 갖는 코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KR1020000012094A 1999-03-12 2000-03-10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KR200000768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5841 1999-03-12
JP06584199A JP3204243B2 (ja) 1999-03-12 1999-03-12 表面実装型コイル部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821A true KR20000076821A (ko) 2000-12-26

Family

ID=1329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094A KR20000076821A (ko) 1999-03-12 2000-03-10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04463B1 (ko)
JP (1) JP3204243B2 (ko)
KR (1) KR20000076821A (ko)
CN (1) CN1168101C (ko)
TW (1) TW5543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04B1 (ko) * 2001-04-02 2003-06-25 주식회사 코시드 타원형 타권 핼리시스로 권선된 평각 코일을 갖는 리액터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531A (ja) * 2001-06-14 2003-03-07 Koa Corp インダクタ及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TW482319U (en) * 2001-06-18 2002-04-01 Delta Electronics Inc Surface mounted device and the base structure thereof
JP2003229311A (ja) * 2002-01-31 2003-08-15 Tdk Corp コイル封入圧粉磁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7129A (ja) * 2002-05-24 2003-12-05 Minebea Co Ltd 表面実装型コイル
JP3707460B2 (ja) * 2002-09-13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3707461B2 (ja) * 2002-09-13 2005-10-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04241536A (ja) * 2003-02-05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ス
JP2005045093A (ja) * 2003-07-24 2005-02-17 Tamura Seisakusho Co Ltd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4851062B2 (ja) * 2003-12-10 2012-01-11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の製造方法
US7009484B2 (en) * 2003-12-15 2006-03-07 Artesyn Technologies, Inc. Magnetic assembly
US9153960B2 (en) 2004-01-15 2015-10-0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ower supply equipment utilizing interchangeable tips to provide power and a data signal to electronic devices
JP4436794B2 (ja) * 2004-11-16 2010-03-24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プレート部材、このプレート部材を用いた磁性素子および磁性素子の製造方法
DE102006034261A1 (de) * 2006-07-18 2008-01-24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Koplanare Montage
JP4446487B2 (ja) * 2006-10-17 2010-04-07 新東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20100253456A1 (en) * 2007-06-15 2010-10-07 Yipeng Yan Miniature shielded magnetic component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326246B2 (en) * 2007-07-10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Super regenerative (SR)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arallel SR amplifiers tuned to distinct frequencies
US20090096565A1 (en) * 2007-10-16 2009-04-16 Comarco Wireless Technologies, Inc. Parallel gapped ferrite core
TW200941515A (en) * 2008-03-17 2009-10-01 Cyntec Co Ltd Inductor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DE102009021771A1 (de) * 2009-05-18 2010-11-25 Abb Ag Elektromagnetischer Auslöser und Schaltgerät
JP2011012700A (ja) * 2009-06-30 2011-01-20 Ckd Corp 小型電磁弁
JP4920089B2 (ja) * 2010-01-14 2012-04-18 Tdkラムダ株式会社 エッジワイズコイル及びインダクタ
DE102010015411A1 (de) 2010-04-19 2011-10-20 SUMIDA Components & Modules GmbH Induktives Bauelement mit magnetischem Kern mit zumindest teilweise der Kontur einer Wicklung angepasster Form
JP5966237B2 (ja) * 2012-05-01 2016-08-10 アルプス・グリーンデバイス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755615B2 (ja) * 2012-08-31 2015-07-29 東光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167294B2 (ja) * 2012-10-10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9870856B2 (en) * 2013-03-15 2018-01-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gnetic component assembly with filled physical gap
US20150035633A1 (en) * 2013-08-01 2015-02-05 Mag. Layers Scientific Technics Co., Ltd. Inductor mechanism
JP5940504B2 (ja) * 2013-10-11 2016-06-2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N104681267A (zh) * 2013-11-26 2015-06-03 昆山玛冀电子有限公司 晶片式电感器的制作方法
JP6388770B2 (ja) * 2014-01-21 2018-09-12 Fdk株式会社 巻線部品
JP6227516B2 (ja) * 2014-01-29 2017-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6385811B2 (ja) * 2014-01-29 2018-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6344797B2 (ja) * 2014-12-26 2018-06-2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回路基板モジュール
KR102194727B1 (ko) * 2015-04-29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CN107615414B (zh) 2015-05-29 2020-08-11 Ntn株式会社 磁性元件
JP6676405B2 (ja) * 2016-02-24 2020-04-08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JP6518552B2 (ja) * 2015-08-24 2019-05-22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2017069460A (ja) * 2015-09-30 2017-04-06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8430A (ko) * 2016-04-15 2017-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4186A (ko) * 2016-12-05 2018-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부품
JP2019169667A (ja) * 2018-03-26 2019-10-03 Ntn株式会社 磁性素子
JP6729751B2 (ja) * 2019-04-18 2020-07-22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CN114078623A (zh) * 2020-08-20 2022-02-22 Tdk株式会社 线圈部件以及搭载其的开关电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407U (ko) * 1988-10-18 1990-04-24
JPH0513016U (ja) * 1991-07-30 1993-02-19 東邦亜鉛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ー
JPH07245217A (ja) * 1994-03-03 1995-09-19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該素子用コイル
JPH07288210A (ja) * 1994-04-18 1995-10-31 Tdk Corp 表面実装用インダクタ
JPH09134832A (ja) * 1995-11-07 1997-05-20 Origin Electric Co Ltd チョーク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544A (en) * 1977-05-13 1989-06-06 Mcdougal John A Spiral windings
US4424504A (en) * 1981-06-19 1984-01-03 Tdk Electronics Co., Ltd. Ferrite core
US4555123A (en) * 1983-01-05 1985-11-26 Houston Rehrig Protective flange for wheel castor housing
US4748405A (en) * 1986-06-12 1988-05-31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urrent sensor arrangement
US4959630A (en) * 1989-08-07 1990-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frequency transformer
JP3152363B2 (ja) * 1992-03-26 2001-04-03 株式会社トーキン 面実装形チョークコイル
JP3305413B2 (ja) 1993-04-26 2002-07-22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3476230B2 (ja) 1993-10-28 2003-12-10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大電流用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れを用いた箱形ノイズフィルタ
JP3340907B2 (ja) 1996-02-27 2002-11-05 日立フェライト電子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9270334A (ja) 1996-03-29 1997-10-14 Toshiba Corp 平面型磁気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H1041152A (ja) 1996-07-19 1998-02-13 Tdk Corp 表面実装型コイル
US6114932A (en) * 1997-12-12 2000-09-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Inductive component and inductive component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6407U (ko) * 1988-10-18 1990-04-24
JPH0513016U (ja) * 1991-07-30 1993-02-19 東邦亜鉛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ー
JPH07245217A (ja) * 1994-03-03 1995-09-19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該素子用コイル
JPH07288210A (ja) * 1994-04-18 1995-10-31 Tdk Corp 表面実装用インダクタ
JPH09134832A (ja) * 1995-11-07 1997-05-20 Origin Electric Co Ltd チョークコイ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04B1 (ko) * 2001-04-02 2003-06-25 주식회사 코시드 타원형 타권 핼리시스로 권선된 평각 코일을 갖는 리액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066A (zh) 2000-09-20
TW554356B (en) 2003-09-21
JP3204243B2 (ja) 2001-09-04
JP2000260623A (ja) 2000-09-22
US6504463B1 (en) 2003-01-07
CN1168101C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6821A (ko) 코일 및 표면 실장형 코일 부품
KR101153580B1 (ko) 라인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0971479B1 (en) Line filter
JP2010153476A (ja) 縦型コイル部品
JP2006262368A (ja) ノイズフィルタ
JP3942576B2 (ja) 薄型トランス
JP2003188018A (ja) 巻線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3009883B1 (ja) チョークコイル
JP2715847B2 (ja) ラインフィルタ
KR100444232B1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H04263405A (ja) コイル巻枠
JPH10223449A (ja) コイル部品
JP3178204B2 (ja) 電子部品
JPH097844A (ja) 複合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dc−dc変換器
JP20000928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回路ブロック
JP2001006940A (ja) 表面実装トロイダルコイル。
JP3224075B2 (ja) チップインダクタ
JPS6127147Y2 (ko)
JPS61105814A (ja) 電磁装置
JPH0963864A (ja) チップコイル
JP2001217127A (ja) 表面実装型コイル
JP4301742B2 (ja) コイル部品
JP2827926B2 (ja) ラインフィルタ
JP5363774B2 (ja) 電源装置
JP2020053625A (ja) コイル装置及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20

Effective date: 2004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