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997A - 고유전율의 유전막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유전율의 유전막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997A
KR19990075997A KR1019980010584A KR19980010584A KR19990075997A KR 19990075997 A KR19990075997 A KR 19990075997A KR 1019980010584 A KR1019980010584 A KR 1019980010584A KR 19980010584 A KR19980010584 A KR 19980010584A KR 19990075997 A KR19990075997 A KR 19990075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 treatment
subsequent heat
dielectric film
high di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737B1 (ko
Inventor
이병택
이기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737B1/ko
Priority to GB9818206A priority patent/GB2335790B/en
Priority to CNB981185118A priority patent/CN1159763C/zh
Priority to TW087114458A priority patent/TW408449B/zh
Priority to DE19841402A priority patent/DE19841402B4/de
Priority to JP28397398A priority patent/JP4925494B2/ja
Priority to US09/276,803 priority patent/US6828190B2/en
Publication of KR1999007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고유전막, 상부 전극 및 층간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 형성 후, 상기 상부 전극 형성 후 또는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고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거나, 상기 고유전막 형성후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고 상기 상부 전극 형성 후 제2 온도에서 후속열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온도는 600∼900℃이며, 제2 온도는 100∼600℃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고유전막의 유전율을 증가시키면서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유전율의 유전막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전율의 유전막(이하, "고유전막"이라 함)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예컨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한된 셀 면적 내에서 커패시터로 사용되는 면적이 점차 감소되어 산화막, 질화막 등과 같은 유전막으로 반도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커패시턴스를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커패시터의 유전막을 박막화하거나 스토리지 전극을 3차원 구조로 형성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전막으로는 스토리지 노드를 3차원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고집적 반도체 장치의 소자에 필요한 커패시턴스를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에 이용되는 유전막을 고유전막, 예컨대 BaSrTiO3(이하, "BST"라함)막으로 대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고유전막을 커패시터로 채용할 경우 후속공정동안에 고유전막과 상하부 전극 사이의 반응을 억제하고 고유전막으로부터 높은 커패시턴스를 얻기 위해 상하부 전극으로 귀금속 전극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귀금속 전극은 실리콘과 반응성이 강하기 때문에 귀금속 전극과 고유전막 사이에 배리어막(barrier layer)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고유전막을 실제의 반도체 장치에 채용할 때 상기 배리어막이 후속되는 공정동안에 산화되어 전극이 단락되거나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유전막을 커패시터에 채용할 때 배리어막의 산화를 억제하고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고유전막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종래의 후속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후속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후속 열처리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누설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누설전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고유전막, 상부 전극 및 층간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 형성 후, 상기 상부 전극 형성 후 또는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의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고유전막, 상부 전극 및 층간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하고,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후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의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또는 (Pb,La)(ZrTi)O3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전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in-situ)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에서 진행하거나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유전막 증착 후, 상부 전극 형성 후 또는 층간 절연막 형성 후에 불활성분위기의 고온에서 열처리한 후 저온에서 다시 열처리하거나, 고유전막 형성후 고온에서 열처리하고 상부 전극 형성후 저온에서 열처리하여 상기 고유전막의 유전율을 증가시키면서 배리어막의 산화를 억제하여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고유전막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커패시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 예컨대 실리콘 기판 상에 콘택홀(2)을 갖는 제1 층간 절연막(3)을 형성한다(스텝 100). 상기 콘택홀(2)은 반도체 기판(1)의 소정 부분, 예컨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콘택홀(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 전면에 포스포로스(phosphorous)와 같은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막을 증착한 후 화학기계적연마하여 상기 콘택홀(2)에 매몰되는 매몰층(5)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매몰층(5) 및 제1 층간 절연막(3)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에 금속막, 예컨대 타이타늄을 증착한 후 열처리 및 식각함으로써 상기 매몰층(5) 상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7)를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콘택홀(2)에는 매몰층(5) 및 금속 실리사이드(7)로 이루어진(7) 플러그(plug, 5, 7)가 형성된다(스텝 105).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5, 7)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배리어막(9)을 형성한다. 상기 배리어막(9)은 상기 플러그(5, 7)의 구성 물질인 실리콘과 후에 형성되는 하부전극용 제1 도전막(11)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Ti, TiN, TiAlN, TiSiN, TaN, TaALN 또는 TaSiN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배리어막(9) 상에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하부전극용 제1 도전막(11)을 형성한다(스텝 110). 상기 제1 도전막(11)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용 제1 도전막(11)의 구성 물질로 비산화성 금속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온에서 고유전막을 형성할 때 제1 도전막이 산화되지 않는 불활성인 재료이기 때문이다. 다음에, 상기 하부 전극용 제1 도전막 (11)상에 산화막으로 마스크 패턴(13)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패턴(13)을 마스크로 상기 제1 도전막(11) 및 배리어막(9)을 플라즈마 식각하여 배리어막 패턴(9a) 및 제1 도전막 패턴(11a)을 형성한다. 이로써, 배리어막 패턴(9a)와 상기 제1 도전막 패턴(11a)은 커패시터의 하부 전극이 된다(스텝 115). 이어서, 상기 마스크 패턴(13)을 제거한다. 계속하여, 상기 하부 전극(11a)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고유전막(15)을 400∼510℃의 온도조건에서 스퍼터링방법으로 400∼500Å의 두께로 형성한다(스텝 120). 상기 고유전막(15)은 (Sr,Ti)O3, (Ba,Sr)TiO3, Pb(Zr,Ti)O3또는 (Pb,La)(ZrTi)O3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전체로 형성한다.
다음에,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의 높은 커패시턴스와 낮은 누설전류를 얻기 위하여 고유전막(1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다단계의 공정으로 후속 열처리(post anneal)를 실시한다(스텝 125).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고유전막(1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1차로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산소가 100ppm이하의 질소 분위기에서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다음에, 상기 1차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1)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의 산소분위기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furnace)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의 후속 열처리를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두단계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다단계의 후속열처리를 제1 온도,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제2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등의 3 단계이상으로 수행할 수 도 있다.
다음에, 상기 고유전막(15) 상에 상부 전극용 제2 도전막(17)을 형성하여 커패시터를 완성한다(스텝 130). 상기 제2 도전막(17)은 상부 전극으로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19)을 형성한다(스텝 135). 이후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을 따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다단계 열처리 단계를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 상에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와 스텝 100∼120을 수행하여 하부 전극(11a), 고유전막(15) 등을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고유전막(15)은 (Sr,Ti)O3, (Ba,Sr)TiO3, Pb(Zr,Ti)O3또는 (Pb,La)(ZrTi)O3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전체로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고유전막(15) 상에 제1 실시예의 스텝 130과 같이 상부 전극(17)을 형성한다(스텝 140). 상기 상부 전극(17)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한다.
다음에,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의 높은 커패시턴스와 낮은 누설전류를 얻기 위하여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다단계의 공정으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스텝 145).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1차로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산소가 100ppm이하의 질소 분위기에서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다음에, 상기 1차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1)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의 후속 열처리를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두단계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다단계의 후속열처리를 제1 온도,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제2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등의 3 단계이상으로 수행할 수 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하부 전극(11a), 고유전막(15) 및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19)을 형성한다(스텝 150). 이후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을 따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서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다단계 열처리를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 상에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 및 공정 스텝 100∼120과 같이 하부 전극(11a), 고유전막(15) 등을 형성한다(스텝 120). 다음에, 상기 고유전막(15) 상에 제1 실시예의 스텝 130과 같이 상부 전극(17)을 형성한다(스텝 155). 상기 고유전막(15)은 (Sr,Ti)O3, (Ba,Sr)TiO3, Pb(Zr,Ti)O3또는 (Pb,La)(ZrTi)O3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전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17)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19)을 형성한다(스텝 160). 다음에,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패시터의 높은 커패시턴스와 낮은 누설전류를 얻기 위하여 제2 층간 절연막(19)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다단계의 공정으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스텝 165).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제2 층간 절연막(19)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1차로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산소가 100ppm이하의 질소 분위기에서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다음에, 상기 1차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산소가 포함된 분위기에서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의 후속 열처리를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두단계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다단계의 후속열처리를 제1 온도,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제2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등의 3 단계이상으로 수행할 수 도 있다. 이후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을 따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5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열처리를 고유전막을 형성한 제1 온도에서 열처리한 다음, 상부 전극을 형성한 후 제2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기판(1) 상에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 및 공정 스텝 100∼120과 같이 하부 전극(11a), 고유전막(15) 등을 형성한다(스텝 120). 다음에, 고유전막(1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을 1차로 제1 온도, 예컨대 600∼900℃에서 후속 열처리를 수행한다(스텝 170).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불활성 분위기, 예컨대 산소가 100ppm이하의 질소 분위기에서 노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다음에, 상기 고유전막(15) 상에 제1 실시예의 스텝 130과 같이 상부 전극(17)을 형성한다(스텝 175). 상기 고유전막(15)은 (Sr,Ti)O3, (Ba,Sr)TiO3, Pb(Zr,Ti)O3또는 (Pb,La)(ZrTi)O3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유전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17)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또는 Ir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전도체로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상부 전극 형성후, 1차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1)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예컨대 100∼600℃의 산소분위기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를 실시한다(스텝 180).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furnace) 또는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의 후속 열처리를 제1 온도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두단계로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다단계의 후속열처리를 제1 온도,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제2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 등의 3 단계이상으로 수행할 수 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 전극(17)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19)을 형성한다(스텝 185). 이후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인 반도체 장치 제조공정을 따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를 제조할 경우 커패시턴스 및 누설 전류 특성을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후속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은 고유전막의 일 예로 BST막을 400℃에서 400Å의 두께로 증착한 경우로써, 본 발명에 적용한 후속 열처리와 다르게 적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종래의 커패시터의 셀당 커패시턴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특히 참조부호 a는 커패시터 형성(도 6의 스텝140) 직후에, b는 산소가 포함된 분위기의 550℃ 노에서 후속 열처리 한 후, c는 산소가 포함된 분위기의 650℃의 노에서 후속 열처리한 경우이다.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커패시터를 형성한 직후에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a)는 약 5fF/셀이나 550℃의 산소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한 경우의 커패시턴스(b)는 16.5fF/셀로 증가한다. 그러나, 650℃의 산소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한 경우의 커패시턴스(c)는 배리어막이 산화되어 커패시턴스가 1fF/셀 이하로 나타나기 때문에 고유전막 커패시터의 고유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부터, 배리어막이 산화되지 않는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는 커패시턴스가 어느 정도 증가하나, 배리어막이 산화되는 고온의 후속 열처리는 배리어막의 산화 때문에 커패시턴스가 감소한다. 그러므로, 실제의 커패시터에 고유전막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배리어막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고온 열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후속 열처리 방법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고유전막의 일 예로 BST막을 450℃에서 400Å을 증착한 경우의 커패시터의 셀당 커패시턴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참조부호 a는 커패시터 형성 직후, b는 산소가 100ppm 이하의 질소분위기의 700℃의 노에서 후속 열처리를 한 경우이며, c는 b와 같이 1차로 질소분위기의 700℃ 고온의 노에서 후속 열처리한 후 다시 커패시터를 산소가 포함된 400℃ 저온의 노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한 본 발명의 경우이다.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10에 설명된 BST막의 증착온도가 도 9에 설명된 커패시터 증착온도에 비하여 높아 커패시터 형성 직후 커패시턴스(a)는 도 9의 경우보다 증가하여 7.5fF/셀의 값을 보인다. 또한, 산소가 포함되지 않은 질소 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b)는 배리어막이 산화되지 않아 21fF/셀로 큰 값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보듯이 BST막을 실제 커패시터에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배리어막의 산화가 일어나지 않는 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를 하여야 높은 커패시턴스 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참조부호 b와 같이 고온에서 커패시터를 열처리하는 경우에는 커패시턴스는 증가하지만 후의 도 11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누설전류의 값이 커서 신뢰성 있는 커패시턴스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누설 전류 증가는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BST막과 상하부 전극간의 스트레스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 미스 매칭(mismatching)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스트레스 미스 매칭을 해결하기 위하여 1차로 질소분위기에서 고온 열처리 후에 다시 저온에서 2차 열처리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자 다단계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즉, 참조부호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차로 700℃ 고온의 질소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한 후, 다시 산소가 포함된 분위기의 400℃ 저온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다단계 후속 열처리한 경우의 커패시턴스(c)는 b와 오차범위에서 비슷한 21fF/셀로 2차 후속 열처리에 의해서는 커패시턴스 변화는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누설전류 특성은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다단계 열처리한 경우에 1V기준으로 5∼6 차수(order)가 감소하는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후속 열처리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누설전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커패시터를 제작한 후 후속 열처리한 경우의 누설전류 특성이다. 특히, 참조부호 a는 700℃에서 후속 열처리한 경우이고, b는 질소분위기의 700℃ 고온의 노에서 1차로 후속 열처리하고, 다시 산소가 포함된 400℃ 저온의 노에서 2차로 후속 열처리한 본 발명의 경우이다. 누설전류는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다단계 후속 열처리한 경우(b)가 질소 분위기에서 고온으로만 후속 열처리한 경우(a)에 비하여 1V기준으로 5∼6 차수가 감소하는 우수한 효과를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의 누설전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후속 열처리한 경우의 커패시터의 누설전류 특성이며, 참조부호 a는 650℃ 고온의 질소분위기에서 후속 열처리한 경우이고, b는 650℃ 고온의 질소분위기의 노에서 1차로 후속 열처리하고, 산소가 포함된 400℃ 저온의 노에서 2차 후속 열처리한 본 발명의 경우이다.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2 층간 절연막 증착후의 후속 열처리도 커패시터 형성 직후(도 6의 스텝 140 직후)의 후속 열처리와 마찬가지로 다단계에 걸처 진행하는 경우(b)가 질소분위기에서의 후속 열처리하는 경우(a)에 비하여 누설전류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단계에 걸처 후속 열처리를 하는 방법은 고유전막 형성 직후, 상부 전극 형성 후, 상부 전극 상에 제2 층간 절연막을 증착한 후, 또는 고유전막 형성후 1차로 후속 열처리하고 상부 전극형성후 2차로 후속 열처리하는 경우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으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유전막 증착 후, 상부 전극 형성 후 또는 층간 절연막 형성 후 불활성의 고온에서 1차로 후속 열처리하고 2차로 저온에서 후속 열처리하거나, 상기 고유전막 증착후 1차로 불활성의 고온에서 후속 열처리하고 상기 상부 전극 형성후 2차로 후속 열처리하는 다단계 후속 열처리를 통하여 고유전막의 유전율을 증가시키면서 배리어막의 산화를 억제하여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1)

  1.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고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 및 고유전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의 고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및 (Pb,La)(ZrTi)O3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및 Ir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600∼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100∼6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에서 진행하거나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8.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고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및 (Pb,La)(ZrTi)O3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및 Ir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600∼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100∼6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에서 진행하거나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5.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고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전극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및 (Pb,La)(ZrTi)O3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및 Ir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600∼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100∼600℃의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각각 따로 수행하거나 인시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노에서 진행하거나 급속 진공 열처리 장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2.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 전극, 고유전막, 상부 전극 및 층간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 형성 후, 상기 상부 전극 형성 후 또는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및 (Pb,La)(ZrTi)O3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및 Ir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600∼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100∼6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7.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전극 상에 고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 및 고유전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불활성 분위기의 제1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고유전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후속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전극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전막은 (Sr,Ti)O3, (Ba,Sr)TiO3, Pb(Zr,Ti)O3및 (Pb,La)(ZrTi)O3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Pt, Ru, Ir, IrO2, RuO2, SrRuO3, CaSrRuO3, BaSrRuO3, Pt를 포함하는 합금, Ru를 포함하는 합금 및 Ir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600∼9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에서의 후속 열처리는 100∼60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1019980010584A 1998-03-26 1998-03-26 고유전율의유전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KR10028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584A KR100284737B1 (ko) 1998-03-26 1998-03-26 고유전율의유전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GB9818206A GB2335790B (en) 1998-03-26 1998-08-2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pacitor
CNB981185118A CN1159763C (zh) 1998-03-26 1998-08-28 具有高介电常数介质层的半导体器件电容器的制造方法
TW087114458A TW408449B (en) 1998-03-26 1998-09-01 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ielectric layer of high dielectric constant
DE19841402A DE19841402B4 (de) 1998-03-26 1998-09-10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densators eines Halbleiterbauelementes
JP28397398A JP4925494B2 (ja) 1998-03-26 1998-10-06 高誘電率の誘電膜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キャパシタ製造方法
US09/276,803 US6828190B2 (en) 1998-03-26 1999-03-26 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ielectric layer of high dielectric const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584A KR100284737B1 (ko) 1998-03-26 1998-03-26 고유전율의유전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997A true KR19990075997A (ko) 1999-10-15
KR100284737B1 KR100284737B1 (ko) 2001-03-15

Family

ID=1953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584A KR100284737B1 (ko) 1998-03-26 1998-03-26 고유전율의유전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8190B2 (ko)
JP (1) JP4925494B2 (ko)
KR (1) KR100284737B1 (ko)
CN (1) CN1159763C (ko)
DE (1) DE19841402B4 (ko)
GB (1) GB2335790B (ko)
TW (1) TW40844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93B1 (ko) * 1999-12-28 2002-08-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형성 방법
KR100763745B1 (ko) * 2000-02-04 2007-10-04 엘피다 메모리, 아이엔씨.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98788B1 (ko) * 2001-12-14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루테늄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US7459736B2 (en) 2004-07-28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erroelectric capacitor and ferroelectric memory with Ir-Ru alloy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92437A (ko) * 2020-01-16 2021-07-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유전체 커패시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616081B2 (en) 2021-06-04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ferroelectric thi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295B2 (ja) 1999-12-16 2002-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容量素子の製造方法
KR100360413B1 (ko) * 2000-12-19 2002-1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2단계 열처리에 의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DE10132430B4 (de) * 2001-07-04 2010-02-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Verfahren zur Bildung einer dünnen Oxidschicht mit einer verbesserten Zuverlässigkeit auf einer Halbleiteroberfläche
US6794238B2 (en) * 2001-11-07 2004-09-21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forming metallized contacts to periphery transistors
TWI229891B (en) * 2002-05-28 2005-03-21 Toshib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50681B1 (ko) * 2002-08-16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US6800530B2 (en) * 2003-01-14 2004-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iple layer hard mask for gate patterning to fabricate scaled CMOS transistors
CN109192653B (zh) * 2018-08-16 2020-12-22 华南师范大学 一种高介电氧化镧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503A (en) * 1988-03-04 1993-02-23 Kabushiki Kaisha Toshiba High dielectric capacitor having low current leakage
US5434102A (en) * 1991-02-25 1995-07-18 Symetrix Corporation Process for fabricating layered superlattice materials and making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same
US5614018A (en) * 1991-12-13 1997-03-25 Symetrix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3219856B2 (ja) * 1992-07-17 2001-10-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407204B2 (ja) * 1992-07-23 2003-05-1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強誘電体集積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3141553B2 (ja) * 1992-08-06 2001-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1994010704A1 (en) * 1992-10-23 1994-05-11 Symetrix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with layered superlattice material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2845727B2 (ja) * 1993-08-05 1999-01-1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554564A (en) * 1994-08-01 1996-09-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e-oxidizing high-dielectric-constant material electrodes
JPH0982915A (ja) * 1995-09-18 1997-03-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65484B1 (ko) 1995-11-28 1999-02-01 김광호 탄탈륨산화막 증착 형성방법 및 그 장치
KR100189982B1 (ko) * 1995-11-29 1999-06-01 윤종용 고유전체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JPH09232536A (ja) * 1996-02-27 1997-09-05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US5721171A (en) * 1996-02-29 1998-02-2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controllable surface enhanced three dimensional objects
US5716875A (en) * 1996-03-01 1998-02-10 Motorola, Inc. Method for making a ferroelectric device
JPH09321237A (ja) * 1996-05-28 1997-12-12 Toshiba Corp 強誘電体膜を有する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強誘電体膜を有する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025205A (en) * 1997-01-07 2000-02-15 Tong Yang Ce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preferred orientation-controlled platinum films using nitrogen
JP3543916B2 (ja) * 1997-12-24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強誘電体キャパシタの形成方法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の製造方法
JP3225913B2 (ja) * 1998-01-28 2001-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162744A (en) * 1998-02-28 2000-12-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capacitors having high-K oxygen containing capacitor dielectric layers, method of processing high-K oxygen containing dielectric layers, method of forming a DRAM cell having having high-K oxygen containing capacitor dielectric layer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693B1 (ko) * 1999-12-28 2002-08-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형성 방법
KR100763745B1 (ko) * 2000-02-04 2007-10-04 엘피다 메모리, 아이엔씨.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98788B1 (ko) * 2001-12-14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루테늄 전하저장전극 형성 방법
US7459736B2 (en) 2004-07-28 2008-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erroelectric capacitor and ferroelectric memory with Ir-Ru alloy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45233B2 (en) 2004-07-28 2010-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erroelectric capacitor and ferroelectric memory with Ir-Ru alloy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92437A (ko) * 2020-01-16 2021-07-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유전체 커패시터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616081B2 (en) 2021-06-04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ferroelectric thi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0784A (zh) 1999-10-06
TW408449B (en) 2000-10-11
GB2335790B (en) 2003-02-05
JPH11297964A (ja) 1999-10-29
KR100284737B1 (ko) 2001-03-15
US6828190B2 (en) 2004-12-07
GB2335790A (en) 1999-09-29
DE19841402B4 (de) 2007-12-06
JP4925494B2 (ja) 2012-04-25
US20020177273A1 (en) 2002-11-28
DE19841402A1 (de) 1999-09-30
GB9818206D0 (en) 1998-10-14
CN1159763C (zh) 200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4060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buffer layers therein which contain metal oxide stabilized by heat treatment under low temperature
JP5247059B2 (ja) 五酸化タンタル層を用いた集積回路用コンデンサ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674409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oxidation of plug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604845B1 (ko) 질소를 포함하는 씨앗층을 구비하는 금속-절연체-금속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284737B1 (ko) 고유전율의유전막을갖는반도체장치의커패시터제조방법
KR100235949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617194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itanium aluminum nitride as diffusion-inhibiting layer
KR100505397B1 (ko) 반도체메모리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KR10046877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76268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306666B1 (en) Method for fabricating ferroelectric memory device
KR10062490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US6839220B1 (en) Multi-layer barrier allowing recovery anneal for ferroelectric capacitors
KR100358063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100476374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448233B1 (ko) 텅스텐 플러그를 구비한 강유전체 캐패시터 제조방법
KR0161451B1 (ko)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09377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88465B1 (ko) 루테늄 하부전극을 갖는 강유전체 캐패시터 및 그 형성방법
KR20020053967A (ko)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10113320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0671634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90114994A (ko) 유전막 및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JP200527732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65246A (ko) 반도체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