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05A -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서 집단적으로 소자를 교환하는 방법 및이의 이송랙 - Google Patents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서 집단적으로 소자를 교환하는 방법 및이의 이송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05A
KR19990063805A KR1019980702272A KR19980702272A KR19990063805A KR 19990063805 A KR19990063805 A KR 19990063805A KR 1019980702272 A KR1019980702272 A KR 1019980702272A KR 19980702272 A KR19980702272 A KR 19980702272A KR 19990063805 A KR19990063805 A KR 1999006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element supply
collectively
transfer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737B1 (ko
Inventor
스스무 다카이치
가즈히코 나리키요
다카오 나이토
간지 하타
요시노리 세키
다케시 구리바야시
히로요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쓰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6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7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집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 트랙(16)에 유지되어 운반되어 트럭에 집어넣어지고 집어내어지고 이송트랙(15)은 트럭(16)과 소자공급부(8) 사이를 통과한다. 소자공급부(8)로부터 트럭(61)으로의 후퇴 및 이송랙(15)으로부터 소자공급부(8)로의 전달이 소자공급부(8)에서 소자공급카세트(14)로 변경하기 위에 적시에 실행된다. 소자공급부에 전달된 이송랙(15)은 적재 및 적하되는 방향 및 적재 및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동위치조정수단을 소자공급부(8)에서 작동함으로써 위치된다.

Description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서 집단적으로 소자를 교환하는 방법 및 이의 이송랙
전자소자를 전자회로기판에 실장할 때 다수의 전자소자를 고속으로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전자소자, 특히, 미소한 전자소자를 고속으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보관테이프의 한쪽 방향으로 배열되고 면측이 개방된 다수의 소자보관부에 소자를 보관한후 커버링테이프를 보관테이프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된 소위 탭핑소자로서의 미소한 소자를 처리하고 각각의 소자보관부를 소자공급위치에 놓기 위하여 탭핑소자를 소자의 피치로 공급함과 동시에 커버링테이프를 벗겨내어 사용하기 위해 흡입노즐에 의해 소자공급위치에 놓여진 소자를 꺼내는 소자공급카세트가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한편, 대안적인 방법으로 큰 카세트에 작은 전자소자와 같은 여러소자를 보관하고 이 소자를 교란실에 공급함과 동시에 이 소자를 공기에 의해 교란실에 잘 배열하고 특정방향으로 지향하는 소자를 소자공급통로에 전달하고 이들을 소자를 이용하기 위해 소자공급통로의 선과 이들을 일치함과 동시에 공기에 의해 특정의 소자공급위치에 전달하는 소자공급카세트가 이용된다.
도 27은 소자공급카세트(B)를 이용하는 마운터(A)를 도시한다. 이 마운터(A)는 전자소자("b")를 인쇄기판("a")에 실장한다.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B)는 소자공급테이블("c")상의 마운터(A)에 필요한 전자소자("b")와 양적으로 전달하게 양쪽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공급테이블은 마운터(A)에 대향하는 공급위치로 이동할 때마다 필요한 형태의 전자소자("b")를 유지하는 마운터(A)와 소자공급유닛("b") 옆에 제공된 소자공급부로 역할을 한다.
도시된 소자공급카세트(B)는 탭핑소자를 이용하는 형태이다. 공기 등에 의해 소자를 배열함과 동시에 벌크카세트로부터 소자를 공급하는 형태의 소자공급카세트를 포함하고 소자공급카세트 폭(C)은 약 16mm로 설정되고 이러한 카세트의 약 60 유닛이 필요시 적절히 이용하기 위해 소자공급테이블("c")에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적절한 이용을 위해, 소자공급테이블("c")은 소자공급테이블(B)의 연속으로 배열된 약 60개의 유닛을 유닛이 배열된 방향, 즉 필요한 소자공급카세트를 소자공급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도면에서의 X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한다.
마운터(A)는 이 소자를 인쇄기판("a")에 실장하기 위해 실장공급카세트(B)로부터 공급되고 소자실장헤드("d")에 제공된 흡입노즐("e")에 의해 소자공급위치에 위치한 전자소자(b)를 흡입한다. 인쇄기판("a")은 서로 수직한 x 및 y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X-Y 테이블("f")에 위치하고 흡입노즐("e")에 의해 흡입될 때 실장위치로 이동한 전자소자("b")를 인쇄기판("a")상의 특정위치에 실장하기 위해 x, 및 y의 두 방향으로의 이동제어를 받는다.
소자공급카세트(B)의 소자가 없거나 필요한 소자의 형태를 바꾸어야할 경우, 소자공급테이블("c")에 위치한 소자공급카세트(B)가 제거되어 새로운 소자공급카세트(B)와 대치된다.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로부터 소자를 안정하게 공급하기 위해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B)를 소자공급테이블("c")에 위치시키고 소자선택에 대응하는 소자를 소자공급위치에 일정하게 정확히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B)에는 위치조정핀("p")이 제공되어 있다. 소자공급테이블("c")의 지지면에 제공된 위치조정구멍(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리므로써, 핀의 높이, 깊이 및 폭이 위치조정되고 릴설정부가 가능한 힁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도 28에 도시되어 있듯이, 소자공급테이블("c")의 부분에 제공된 물결모양의 가이드("q")에 의해 아래로부터 수용된다.
그러나, 소자공급카세트(B)가 하나씩 위치될 때, 시간과 노동이 많이 걸려서 작업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목표작업기기의 작동은 이때 정지함으로써 전자회로기판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특히, 고속목표작업기기 또는 두 개의 전자회로기판을 동시에 생성하는 목표작업기기의 경우에, 소자소비비가 높아져서 소자의 교환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이유 때문에, 도 28에 도시되어 있듯이, 소자공급테이블("c")상의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B)를 바꿀 때, 카세트를 집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수의 공급카세트(B)가 장착되고 소자공급테이블("C")에 실장되거나 해제되는 카세트변경랙("i")이 종래에 이용되어 왔다. 카세트교환랙크("i")는 연속적으로 폭방향으로 배열된 특정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장착됨과 동시에 소자공급테이블("c")로부터 실장해제하고 위치조정되어 보유되고 도 28에 도시되어 있듯이, 클램프아암("j")을 실장단계에서 소자공급테이블("c")의 부분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위치된다.
위의 구성의 경우에, 소자공급테이블("c")에 대한 랙("i")의 실장과 무관하게 카세트교환랙의 소자공급카세트(B)의 적재나 교환을 예비적으로 수행하고 작업효율이 증가할 때, 필요한 시간점에서 소자공급테이블("c")에 이미 실장된 카세트교환랙에 대해 이를 변경시킨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집단적인 교환방법에 따라, 카세트교환랙("i")을 처리할 때, 오퍼레이터는 카세트교환랙("i")에 제공된 한쌍의 좌우 운반핸들("k")에 의해 전체의 본체를 들어올려서 이를 운반하고 소자공급테이블("c")에 베이스를 실장하고 해재해야 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수의 연속적인 소자공급카세트(B)의 무게가 10kg으로 제한되고 이로 인해 연속된 10개의 소형 소자공급카세트(B)의 무게가 제한된다. 더구나, 전체 본체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 것이 쉽지않고 위치작업을 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집단적으로 처리된 연속하는 수에 해당하는 시간의 감소가 성취되지 않아서 약 30분이 걸린다. 클렘프아암("j")이 카세트교환랙("i")의 전체 본체를 통하여 효과를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외에, 카세트(B)가 장착된 카세트교환랙("i")이 무겁고 처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클램프("j")에 의한 위치조정에 의해 거칠게 되어서 정확하지 않은 위치조정에 의해 소자공급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설정될 릴의 직경이 소자공급카세트에 의해 처리될 탭핑소자의 차원적인 증가에 의해 증가하면 처리할 소자공급카세트의 전체무게와 크기가 더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자는 카세트교환랙("i")으로 처리될 수 없는데 이는 카세트를 소자공급테이블("c")에 개별적으로 위치시켜서 실장하는 종래의 방법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카세트를 짧은 시간에 확실한 만족한 위치조정으로 쉽게 교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카세트 크기에 영향을 덜 받게 함과 동시에 많은 량의 소자공급카세트을 집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자공급부 및 트럭의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태양은 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서 하나씩 소자를 공급할 때 이용하는 다수의 소자수용부재를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각각의 시간에 필요한 소자에 사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목표작업기기로 소자를 공급하는 단계;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된 특정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트랙마다 소자의 소비로 인해 소자의 대채 및 소자의 결핍을 위해 필요한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소자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의 다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트랙이 운반되어 소자수용부재를 소자공급부에서 교환하기 위해 소자공급부로부터의 이송트랙의 회수 및 소자공급부로의 이송트랙의 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운반되어 통과되고 소자공급부에 전달된 이송랙크가 적재되고 적하하는 방향 및 적재 및 적하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동위치수단에 의해 소자공급부에서 작동함으로써 위치된다.
제1태양의 변형에서,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적인 다수이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랙이 집어넣고 꺼냄과 동시에 트럭에 보관한채로 운반되고 소자공급부를 소자공부재를 소자공급부에서 교환하기 위해 공급부로부터 트럭으로의 이송랙의 회수 및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의 전달을 적시에 수행하기 위해 트럭과 소자공급부 사이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은 본 발명의 제1태양을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자공급부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수단이 장비된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이를 이용하는 동안 나머지는 소자수용부재을 교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대기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수단이 목표작업기기에 소자를 공급하는 필요한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은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집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부재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소자수용부재의 단위분할연속수의 소자수용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은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성의 결정이 모든 소자수용부재상에서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6태양은 제5태양에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으로 특성의 결정이 모든 소자수용부재에서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7태양은 본 발명의 제5태양을 따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성의 결정이 이송랙에 적하된 소자수용부재에 보관된 소자에 대응하게 이송랙에 예비적으로 보관된 소자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8태양은 본 발명의 제5태양을 따라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소자정보가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9태양은 소자가 위치되고 적하되고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의해 필요할 때마다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하나씩 소자를 공급할 때 이용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해서 배열된 소자수용부재가 장비된 소자공급부와, 소자가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적하되어 이들을 집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랙을 조합적으로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9태양의 변형에서, 이 장치는 운반된 이송랙과 이동할 수 있는 트럭과, 소자공급부와 트럭에 제공되어 이송랙의 적하에 의해 이송랙을 이들 사이에 통과하게 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은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자공급부는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 및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용된 이송랙을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10태양의 변형에서, 트럭은 수용된 랙을 보관하는 보관수단과 수용된 이송랙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1태양은 본 발명의 제10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지지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2태양은 본 발명의 제10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자공급부에서의 위치조정수단은 특정 수용위치로 이송랙의 정단부을 수용하는 정단부수용부재와, 이송랙이 적하되고 정단부수용부재에 대해 뒤로부터 이송랙에 압력을 가하여 이송랙이 적하되고 이 압력에 의한 위치조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시키는 제1압력부재, 이송랙이 적하되고 특정위치로 이송랙의 측부를 수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측면부수용부재 및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시키기 위해 반대방향으로부터 측면부수용부재에 대해 이송랙에 압력을 가하는 제2압력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3태양은 본 발명의 제12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제1압력부재는 레버부재이고 제2압력부재는 원심축이다.
본 발명의 제14태양은 본 발명의 제12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송랙은 정단부수요부재와 제1압력부재에 대하여 접합하기 위해 롤러부재로 구성된 부분을 지닌다.
본 발명의 제15태양은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소자공급부는 이송랙을 양측으로부터 특정 수용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지닌다.
본 발명의 제16태양은 본 발명의 제19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위치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송랙이 특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용된 이송랙을 지지하는 위치조정지지부와, 이송랙을 적하이송랙의 위치조정지지부로부터 승강하게 함으로써 이송랙의 적하을 안내하는 적하안내부를 지닌다.
본 발명의 제17태양은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송랙 및 이에 대하여 지지된 각각의 소자수용부재에 제공된 각각의 소자수용부재에 저장된 소자의 형태의 소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의 설치 또는 제거를 검출하는 설치 및 제거검출수단과, 이송랙이 설치 및 제거검출수단에 의해 이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교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송랙이 교환되었을 때 소자가 저장수단에 기억된 소자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8태양은 본 발명의 제17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특성을 결정하지 않은 모우드, 모든 소자수용부재를 결정하는 모우드 및 필요한 하나의 모우드만을 결정하는 모우드와 같은 모우드선택수단이 제공되고 이 결정수단은 선택된 모우드중에서 결절한다.
본 발명의 제19태양은 본 발명의 제17태양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있어서, 저장수단은 판독과 기록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0태양은 개별적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특정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되어 각각의 지지된 소자수용부재에 보관된 소자의 형태의 소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한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1태양은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고 주행휠를 지닌 주본체를 포함하고 이 주본체에는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이송랙을 적하함으로써 이송랙을 통과할 때 이송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이 안내수단에 수용된 이송랙을 보관하는 보관수단을 구비한 트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2태양은 본 발명의 제21태양에 따라서, 주행휠에서 주본체가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3태양은 본 발명의 제21태양에 따라 트럭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본체가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와의 특장한 위치적인 관계에 있는 상태로 소자공급부를 주본체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4태양은 본 발명의 제21태양에 따라서 트럭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송랙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한다.
소자수용부재의 예는 트레이 또는 소자공급카세트이고 후에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자공급카세트는 소자수용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9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의 위의 구조에 따라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는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연속하에 배열되어 있고, 소자의 교환 및 소비로 인한 결핍된 소자의 공급을 위해 필요한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함으로써 각각 필요할 때 소자에 해당하는 소자를 작동할 때, 특정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집단적인 교환을 위해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지지된 소자공급카세트가 장착된 이송랙과 함께 처리된다.
위의 경우에, 이송랙이 트럭에 넣어지고 잡아내어짐과 동시에 트럭에 운반된다. 따라서, 이송랙에 적재할 다수의 연속하는 소자공급카세트가 많고 그 카세트가 크고 무겁고 부피가 클지라도, 이송랙이 이러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함께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소자공급카세트에 장착된 이송랙은 소자공급부로부터 트럭에의 회수와 이송랙의 소자공급부로의 전달을 적시에 실행하여 소자공급카세트의 집단적인 교환을 위해 트럭과 소자공급부 사이에 통과된다. 따라서, 또한 집단적인 교환작동에서, 소자공급카세트가 장착된 이송랙크의 높이와 부피가 오퍼레이터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소자의 집단적인 교환은 집단적으로 처리할 소자공급카세트의 연속적인 수, 크기 및 무게에 제한되지 않고 쉽고 신속하게 성취될 수 있고 목표작업기기의 작업효율과 작업속도를 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에 전달된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 및 자동위치조정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위치조정이 자동성으로 인해 개별적인 차이 및 신속성이 없이 두방향으로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점에서, 작업효율이 증가하고 공급소자의 결핍으로 인한 가능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와 트럭에 제공된 안내수단은 이들 사이에 통과할 때, 이송랙의 적하를 안내한다. 따라서, 통과하는 이송랙의 적하는 히칭없이 완만하게 수행되어 이것이 작업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위의 구조에 따라, 두 개의 소자공급부에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제공된다. 하나의 소자공급부에 의해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는 동안 나머지 소자공급부가 대기상태로 되어 연속하여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목표작업기기에서의 작업에 영향을 받지 않고 소자의 집단적인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에서의 소자의 교환은 소자공급부의 이용을 교환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에서의 가능한 손실시간이 최고한으로 억압되고 소자공급카세트의 집단적인 교환 시간마진을 가지고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상기 구조에 따라, 소자를 교환할 때 집단적으로 처리할 다수의 연속하는 소자공급카세트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연속하는 수의 카세트로 된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에 공급될 소자의 교환이나 공급을 위해 카세트의 집단적인 교환은 짧은 시간에 즉시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따라서, 연속하는 수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연속하는 다수의 카세트의 단위분할 연속수로 된다. 따라서,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는 연속하는 다수의 카세트가 클지라도, 집단적인 교환작업이 일렬의 설치로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태양 내지 제4태양중 어느 한 태양에 따라 본 발명의 제5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이송랙이 소자공급부에서 교환될 때, 이것이 자동적으로 교환되고 교환후 이송랙에 적재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의 특성이 검출시에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결정의 비실행 또는 잘못으로 인한 부절적할 소자 및 목표작업이 공급된 목표생성물의 가능한 결핍이 방지되어 특성이 안정화되고 생산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6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특성의 결정이 소자공급카세트에 대해 더 실행되어서 집단적 교환하는 중 하나마다 간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 또는 6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7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이송트랙에 의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할 때 각각의 소자의 특성의 결정은 이송랙에 저장된 소자정보를 기반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소자공급카세트마다 소자소자정보를 기록할 필요가 없고 이를 저장하거나 이들을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이송랙에서 저장수단의 유사한 작동을 실행함으로써 소자정보를 의도적으로 저장하는데만 필요하다. 따라서, 이 위치조정은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정보를 판독할 때 한번 실행될 수 있고 이것은 편리하고 작동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5태양 내지 제7태양중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8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의 상기 구조에 따라서, 소자의 정보는 판독 및 기록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따라서, 처리할 소자가 변경할 때, 이 방법은 이를 처리하고 이용할 소자의 수의 정보와 소자공급때 일어나는 나머지 소자의 수는 서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9태양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10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소자공급카세트가 위치되고 적하되도록 소자공급카세트가 적재된 이송랙이 소자공급부에서의 자동위치수단에 의한 두 개의 방향에서의 각각의 차이없이 짧은 시간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더구나, 트럭이 보관수단에 의해 수용된 이송랙을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럭은 이를 운반할 때 이송트랙을 떨어지지 않게 하고 이송트랙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더구나, 이송트랙은 트럭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이것과 소자공급부 사이를 이송랙을 통과시킬 때, 이들 모두가 높이가 일치하여서 이송랙이 쉽고 부드럽게 적하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1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와 이송랙지지부 사이의 높이의 관계는 검출수단에 의해 더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자공급부와 트럭에 지지된 이송랙 사이의 높이의 관계는 서로 쉽게 일치하게 되고 이송랙이 이들 사이를 부드럽게 정확히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 및 제11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 소자공급부는 이에 수용될 이송랙의 정잔부을 위치조정수단의 정단부수용부재에 대하 접합시키므로써 특정위치에 대한 이송랙의 전달을 쉽게 성취할 수 있다. 특정위치에 대한 이송의 상태는 압력부재와 정단부수용부재 사이에 적하되는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조정함으로써 정확히 보유된다.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압력부재와 측면수용부재 사이에 이송랙을 유지시키므로써 이송랙이 측면수용부재에 의해 특정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12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3태양의 소자공급장치의 위의 구성을 기반으로, 제1압력부재는 레버부재에 의해 실행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적하작동에 어떠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용시 이송랙의 적하통로로부터 쉽게 회수될 수 있다. 원심축에 의해 제2압력부재를 실행함으로써, 이송트랙의 적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필요시 원심작동에 의해 특정의 위치에 전달되고 위치조정이 해제된다.
제12태양 및 제13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4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정단부수용부재와 제1압력부재와의 접촉하는 이송랙의 부분은 롤러부재에 의해 각각 실행된다. 이것이 적하된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이송랙이 정확히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이것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송랙의 운동은 롤러부재의 롤링에 의해 허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정단부수용부재와 제2압력부재에 의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송랙의 위치조정은 정확한 위치조정을 안정하게 성취될 수 있게 방지되지 않는다.
제9태양 내지 제14태양중 어느 하나에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5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 소자공급소자는 안내롤러에 의해 양측으로부터의 역할로 이송랙의 적하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이송랙은 심각한 레틀링없이 그리고 이송랙의 적하의 발생에 주어진 마진을 지닌 방향적인 무질서없이 쉽게 적하될 수 있고 이송랙이 특정의 위치에 전달되는 상태에서 여러 변위가 위치적으로나 자세적으로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이송랙은 특정의 위치 및 자세로 보정되는 동안 브드럽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9태양 내지 제15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6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 소자공급부는 위치조정부에 수용된 이송랙을 유지시키키어서 소정의 높이로 이송랙을 안정하게 위치시키고 이송랙을 적하할 때, 적하안내부는 위치저정지지부로부터 이송랙을 순간적으로 승강함으로써 이송랙의 적하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이송랙은 위치조정을 위해 고정지지구조에 의해 영향없이 적하되고 위치조정지지부는 초기단계에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9태양 내지 제16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7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5태양과 유사한 효과가 이송랙 또는 이에 지지된 소자공급카세트에 제공된 저장수단에 저장된 어느 소자정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8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위의 구성에 따라, 모우드 선택수단은 각각의 소자의 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모우드, 모든 소자공급카세트을 결정하는 모우드 및 필요한 하나의 모우드만을 결정하는 모우드와 같은 여러 결정모우드 사이에서 선택한다. 따라서, 소자의 특성의 가능한 낭비가능한 결정이 실질적인 상황에 따른 선택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및 제18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9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소자정보가 본 발명의 제8태양과 유사하게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따라서, 처리할 소자가 변경할지라도 장치가 이를 처리할 수 있고 이용될 소자의 수의 정보와 이 소자공급시에 따른 나머지 소자의 수의 정보는 함께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태양의 이송랙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변경을 위해 소자공급카세트의 특정수에 위치되어 지지된 소자를 집단적으로 처리할 때, 변환후의 소자의 특성의 결정은 본 발명의 제7태양과 유사하게 이송랙에 기억된 소자정보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소자공급카세트마다 소자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소자정보는 하나의 저장수단에 기억되었듯이 임의로 저장되는 것만을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위치조정은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정보를 판독할 때 한번 실행될 수 있고 작동속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제21태양의 트럭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특정의 연속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적재된 이송랙이 안내수단에 의해 넣어지고 꺼내짐과 동시에 트럭에 놓여질 수 있고 유지수단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랙크를 유지함과 동시에, 트럭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주본체에 제공된 주행휠에서 완만하게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태양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제22태양의 트럭의 위의 구성에 따라, 스토퍼수단은 주행휠의 주본체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고 특정 위치로 주본체을 안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변경부 및 소자공급부 및 변경부에서의 이송랙에 의한 소자공급부의 수의 집단적인 교환은 어떠한 문제도 없이 안정하게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태양 및 제22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23태양의 트럭의 위의 구성에 따라서, 트럭이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와의 특정의 위치적 관계에 놓일 때, 소자공급부가 연결수단에 의해 주본체와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위치적 관계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장착된 중량 이송랙이 적재된 중량 이송랙을 교환하는 작동이 히칭과 같은 문제없이 쉽고 부드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전자회로기판에 실장될 여러 미소소자를 하나씩 공급하는 소자공급카세트를 이용하는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적용될 소자 및 트럭을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특정수의 소자공급카세트의 단위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도 1은 소자공급부와 트럭에서 소자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적용되는 전자회로기판에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마운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터에 제공된 두 개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의 선택적인 공급을 수행하는 이송대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대기부의 상세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송대기부의 상세한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터 결합해서 이용되는 트럭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탠드에 위치한 이송랙의 정면도.
도 7A, 7B, 7C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스탠드상의 이송랙에 위치하여 해제하는 작동의 시퀸스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운반되어 지지된 이송랙과 도 1에 도시된 트럭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트럭과 이송랙의 저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트럭의 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이송랙을 지지하는 트럭의 지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트럭의 평면도.
도 13은 트럭상의 이송트랙에 소자공급카세트을 위치하여 지지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소자공급수단에서 결핍된 소자공급카세트을 교환할 때 카세트를 제거하는 빈트럭을 준비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5A 및 15B는 도 1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위치한 트럭에서의 이송랙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단계 및 이 단계에서 높이검출수단의 검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설명도.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의 높이조절후 빈 소자공급카세트을 적하하는 작업단계의 측면도.
도 17A 및 17B는 특정위치에 적하될 때 시점에서 빈 소자공급카세트을 보관하는 작업단계를 나타내는 위치유지작업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이송랙이 위치적으로 보관된 트럭에 의해 이송랙을 운반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소자공급부에 트럭에 의해 새로운 소자공급카세트가 적재된 이송랙을 운반하고 이를 위치시키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소자공급부에 대한 트럭상의 새로운 소자공급카세트가 작재된 이송트랙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높이조절후 이송랙을 트랙으로부터 소자공급부로 전달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2는 이송단계가 소자공급부에 전달된후 특정위치로 트럭을 이동하는 작업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3은 마운터와 소자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부분을 도시한 블록도.
도 24는 소자결정의 주흠도.
도 25는 도 24의 소자특성결정 서브루우틴의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소자특성결정 서브루우틴의 흐름도.
도 27은 선행기술의 마운터 및 소자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소자공급위치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선행기술의 방법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을 진행하기 전에 주지해야 할 것은 동일한 부분은 수반한 도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였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자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은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로 하면서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자소자가 전자소자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회로기판(1)에 실장하기 위한 목표작업기기로 역할을 하는 마운터(2)에 공급되는 경우를 기반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소자를 전자회로기판(1)의 필요한 부분에 실장하기 위해 본 마운터(2)는 전자회로기판(1)을 X-Y 테이블(3)에 수용되어 위치되고 이 테이블은 앞부분에서 서로 수직하는 X 및 Y의 두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자소자가 실장되도록 하기 위해 전자소자실장위치를 소자실장위치에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X-Y 테이블(3)의 양방향의 측은 X-Y 테이블(3)상에서의 전자소자실장처리 전의 전자회로기판(1)을 적재하고 X-Y 테이블(3)상의 전자소자가 실장된 전자회로기판(1)을 적하하는 적재메카니즘(4)과 적하메카니즘(5)이 제공되어 있다.
X-Y 테이블(3) 뒤에는 전자소자를 전자회로기판(1)에 실장하는 소자실장헤드(6)가 제공되어 있다. 소자실장헤드(6)에는 흡입노즐(7)에 의해 흡입된 턴테이블(도시되어 있지 않음)상에 다수의 흡입노즐이 제공되어 있고 각각의 전자소자는 이를 유지하여 전면부에 위치한 X-Y 테이블(3)상에 전자회로기판(1)의 소자실장위치로 한정된 특정위치에 이를 실장하기 위해 소자실장헤드(6)에 더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자공급부(8)는 두 개의 위치에 양쪽으로 제공되어 있고 하나가 소자공급작동상태에 있을 때, 나머지는 대기상태에 위치한다. 각각의 소자공급부(8)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직사각형 평면구성을 지닌 이송스탠드(9)와 이에 고정된 중공서보모우터(11)를 지닌다. 서보모우터(11)의 볼나사니축(12)과 맞물린 중공모우터축을 회전할 수 있게 구동함으로써 이송스탠드(9)가 볼나사니축(12)을 따라 양쪽으로 이동한다. 작동측상의 소자공급부(8)의 서보모우터(11)는 소자를 공급하는 반면 비작동측사의 소자공급부(8)의 서보모우터(11)는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마운터(2)에 전자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이송스탠드(9)는 도 1, 5 및 8 내지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송랙을 이용하고 위치하여 적재됨과 동시에 전자소자를 하나 하나 공급하는 필요한 다수의 종래에 공지된 소자공급카세트(도 11)가 장비되어 있다. 이송랙(15)에는 종래의 소자공급부를 지닌 Z-테이블 구조 즉, 카세트가 위치하여 적재 및 적하되도록 측방향으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를 연속적으로 지지하는 구조가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탭핑소자에 대한 소자공급카세트의 이용에 따라서, 이송랙(15)은 도 5-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박스모양의 주본체 프레임을 지닌다. 주본체 프레임(16)의 앞부분위에 적절한 높이로 조절되어 있듯이, 두 개의 위치에 깊이방향으로 제공된 지지레일(18a, 18b)에 의해 소자공급카세트(14)가 수용되어 있고 깊이 방향과 양쪽방향의 위치적인 관계는 위치조정구멍(20a)을 소자공급카세트(14)의 위치조정핀(20b)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조절된다. 더구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숨겨진 부분에 제공된 릴설정부(14b)의 깊이방향의 두 개의 부분에 물결모양의 가이드(19a, 19b)에 의해 지지되어 가능한 힁진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위치조정과 보관상태가 도 11에 도시된 클램프메카니즘(17)의 클램핑 레버(17a)를 작동시키므로써 클램프혹(17b)을 지지레일(18b)과 맞물리므로써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위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소자공급카세트의 위치조정과 유지가 해제되어, 개별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제거되게 한다. 따라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이송랙(15)에서 교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카세트(14)가 위치되어 적재 및 적하되도록 소자공급부(8)에 마운터 또는 목표작업기기에 소자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연속하는 60개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장비되어 있다.
카세트는 제거할 때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적재 및 적하되도록 이송스텐드(9)는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을 수용하여 이와 함께 전자소자가 소자공급카세트(14)로부터 마운터(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한다. 전자소자의 선택적인 공급을 위해 작동상태에서의 소자공급부(8)에서의 이송스탠드가 서보모우터(11)에 의해 양쪽으로 이동하에 필요한 전자소자를 공급할 수 있는 소자공급카세트(14)가 소자실장헤드(6)의 소자공급위치에 이동된다.
소자실장헤드(6)는 공지된 방식으로 자발적으로 소자공급카세트(14)의 작동레버(14c)를 누룰때마다 전자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소자공급카세트(14)를 작동하여 대응하는 흡입노즐(7)에 의해 이를 흡입하여 유지하고 이를 전자회로기판(1)에 실장한다. 이송랙(15)에서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유지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에 대하여 필요한 카세트는 이송스탠드(9)의 양쪽방향운동에 의해 소자공급위치에 정확히 위치되어야 하고 이송스탠드(9)상에 이송랙(15)을 정확히 위치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송랙(15)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이송스탠드(9)의 적재 및 적하통로(21)에서, 이송랙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1위치조정수단(22)과 이송랙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위치조정수단(23)이 제공되어 있다. 위치조정수단(22) 및 (23)외에, 이송랙(15)을 양쪽방향측에 안내하는 다수의 안내롤러(24a) 및 (24b)는 이송랙크의 트위스트나 히칭없이 이송랙(15)의 적재 및 적하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송랙 (15)의 지지높이가 정확하도록 크기의 조절과 위치조정이 수행되는 양호한 내마찰성의 재료로 된 레일부재(2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송랙(15)에 제공된 레일부재(26)를 수용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이송랙(15)은 레일부재(26)에서의 안내롤러(24a) 및 (24b)에 의해 양쪽 방향쪽에 안내되어 부드럽게 적재되고 적하된다.
도 3, 4 및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위치조정수단(22)은 이송된 이송랙(15)의 정단부에 제공된 위치조정롤러(31)(도 3, 10 및 11)를 특정 수용위치에 수용하는 수용블록(32)과 이송랙(15)의 숨은 부분에 제공된 위치조정롤러(34)를 경유하여 뒤로부터 수용블록(32)에 대해 이송랙(15)을 프레싱함으로써 이송랙(15)이 적재 및 적하되는 방향으로 이송랙(15)을 위치시키는 압력블록(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블록(33)은 결합레버메카니즘(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공기실린더(38)에 의해 이를 전진하고 후퇴하게 함으로써, 압력블록(33)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적재/적하통로(21)에서 돌출한 양쪽위치로 위치되어 도 10 및 도 11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되어 있듯이 적재/적하통로(21) 아래로 후퇴하는 위치조정를 수행함으로써 위치조정을 해제하고 적재/적하통로(21)에서의 이송랙(15)의 적재 및 적하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위치조정수단(23)은 적재/적하통로(21)의 측에 특정위치로 이송랙(15)을 수용하는 한쪽 수용블록(35)과 다른쪽에 이 한쪽 수용블록(35)에 대하여 이송랙(15)을 프레스하여 이 이송랙(15)을 이들 사이에 유지함으로써 이송랙(15)이 적재 및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랙(15)을 위치시키는 롤러형원심축(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심축(36)은 이에 대하여 특별히 제공된 공기실린더(41)에 의해 레버(40)를 경유하여 피벗할 수 있게 구동할 때, 도 4의 적재/적하 통로(21)의 중심에 두 개의 위치에 양쪽방향으로 제공되고 이송랙(15)의 바닥 아래면에 제공된 일치블록(42)을 프레스하도록 작동하고 이 압력을 해제함으로써 위치조정을 수행하고 위치조정을 해제한다.
안내롤러(24a) 및 (24b)는 약간의 작동으로 양쪽으로 적재되고 적하되는 이송랙(15)을 안내하고 한쪽 수영블록(35)측에 위치한 하나의 롤러가 블록밖으로 약간 이동함으로써 한쪽 수용블록(35)을 이용하여 제2위치조정수단(23)에 의해 이송랙(15)의 위치조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원심축(36)이 적재/적하통로(21)에 돌출되어 있지만 이송랙(15)의 바닥 아래면이 적재/적하통로(21)에서 적재/적하작동으로 이와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치블록(42)은 위치조정이 정확하고 내마찰성이 양호하여 위치조정이 정확하게 성취될 수 있다.
이송랙(15)이 적재 및 적하되고 이송스탠드(9)의 레일부재(26)가 이송랙(15)의 레일부재(26)와 접촉하면, 이들의 내마찰성은 이송랙(15)의 부드러운 적재 및 적하을 방해하여 레일부재(25) 및 (26)의 마찰이 초기단계에서 야기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4, 6 및 7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들과 평행하게 레일부재(25) 안쪽에 배열된 자유유동컨베이어(44)가 제공되어 있다.
자유유동컨베이어(44)에는 상면에 공기작동에 의해 돌출하고 후퇴하는 다수의 안내돌출부(44b)가 제공되어 있다. 안내돌출부(44b)가 위쪽으로 돌출할 때, 이들은 이송랙(15)의 레일부재(26)를 밀어올려 이들을 레일부재(43)에 승강시킨다. 다수의 안내돌출부(44b)의 상면에서 공기쿠션과 같은 접촉상태로 이송랙(15)을 수용함으로써 이송랙(15)이 감소한 내마찰성으로 부드럽고 조용하게 적재되고 적하될 수 있다.
이송스탠드(9)에는 이송랙(15)이 특정위치에 전달되고 이에 대하여 접촉할 때(도 3, 4, 6 및 11) 수용블록(32)에 의해 수용되기전에 즉시 이송랙(15)에 고장된 블록(45)에 대하여 접촉하고 이송랙(15)이 액츄레이터(46a)에 의해 전달될 때 충격을 완하하도록 작동하는 공기쿠션실린더가 제공되어 있다. 이송랙(15)의 숨은 부분에는 이를 적재하고 적하하는 핸들(47)이 제공되어 있다.
소자공급부(8)의 이송스탠드(9)에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작재된 이송랙(15)을 변경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트럭(61)이 이용된다.
이 트럭은 주행휠를 지닌 프레임향상의 주본체(63)를 지니고 이 주본체(63)에는 토글메카니즘(64)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이송랙지지부(65)가 제공되어 있다. 높이 조정은 이송랙지지부(65)에 유지된 이송랙(15)으로 수행되어 소자공급부(8)의 이송스탠드(9)와의 레벨조절을 수행함으로써 이송랙(15)이 히칭없이 안정하게 통과된다.
이송랙지지부(65)는 두 개의 위치에 깊이방향으로 제공된 안내로드(66)가 주본체(63)의 앞부분과 숨은 부분에 제공된 안내 파이프(67)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토글메카니즘(64)이 주본체(63)와 이송랙지지부(65) 사이에 제공되어 있고 토글메카니즘(64)은 핸들(68)에 의해 스크루축(167)을 회전함으로써 연장되거나 수축되어 이송랙(65)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핸들(68)에 의해 토글스메카니즘(64)을 연장하고 수축함으로써 이송랙(15)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송랙지지부(65)는 프레임형상을 하고 양쪽프레임(69)에 안내롤러(71)가 제공되어 있고 이 프레임은 레일부재(26) 아래에서 이송랙(15)을 수용하여 이송랙(15)의 적재 및 적하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것은 이송랙(15)의 금속혹(80)에 리터이너(72)의 버클(72a)을 연결함으로써 특정위치에 이송랙(15)을 유지시켜서 이송랙(15)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트럭(61)이 자유롭게 이동하고 이송랙(15)이 이에 운반된다. 또한, 이송랙지지부(65)는 양호한 슬라이딩수행을 하는 합성수지로 되고 이송랙(15)을 이들에 안내하는 사이드 가이드(70)를 가지어 트럭(61)이 이동할 때 이송트랙(15)의 가능한 래팅이 만족스럽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소자공급부(8)의 이송스탠드(9)에서 이송랙(15)을 변경하기 위해, 이송랙(15)을 특정위치에 안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스탠드스토퍼(73)가 주본체(63)의 부분에 제공되어 패달(7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탠드스토퍼(73)가 아래에 있을 때, 플로워면에 대해 접촉하여 주본체(63)와 플로워면 사이를 스트레치함으로써 주본체(63)가 주행휠(62)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스텐드스토퍼(73)가 상승하면, 주본체(63)와 플로워면 사이의 스트레치가 해제되어 주본체(63)가 주행휠(62)과 자유롭게 회전한다. 트럭(61)에는 회전을 위해 핸들(9)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트럭(61)과 소자공급부(8)에는 트럭(61)이 소자공급부(8)의 이송스탠드와의 특정의 위치적인 관계에 있을 때 함께 연결하는 연결브렛킷(75)과 연결로드(76)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연결로드(76)는 공기실린더(77)에 의해 전진하고 후퇴하여 연결 및 연결의 해제를 수행한다.
소자공급부(8)의 이송랙지지부(65)와 이송스탠드(9)가 이송랙(15)에 대한 지지높이가 서로 일치하지 여부가 중요한데 이러한 이유는 이들 사이의 이송랙(15)의 통과가 히칭이나 트위스트 없이 부드럽게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트럭(61)의 이송랙지지부(65)의 이송랙지지높이가 트럭(61)과 소자공급부(8) 사이의 이송스탠드(9)의 이송랙(15)의 지지높이와 같거나 크고 또는 작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 토글메카니즘(64)에 의한 이송랙지지부(65)의 높이조절이 짧은 시간에 적절히 성취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높이결정수단(78)은 이송랙지지부(65)에 제공된 슬릿판(78a)과 이 슬릿판(78a)이 3개의 단계에서 설정된 높이보다 높은가 낮은가를 검출하는 포토커플러(78b) 내지 (78d)로 구성되어 있다.
소자공급부(8)에서의 소자공급카세트(14)의 집단적인 변경을 수행하는 절차의 예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마운터(2)의 소자공급부(8)에서 소자의 공급과 더불어,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트럭(61)에 위치한 이송랙(15)에는 다수의 필요한 공급카세트가 적재되어 이 카세트가 연속소자변경을 준비하도록 개별적으로 위치하고 적재 및 적하될 수 있다. 따라서, 빈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소자공급부(8)에 동시에 공급된 소자와 같은 소자를 보관하는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되어야 한다. 이 소자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변경을 위해 새로운 소자를 보관하는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소자공급부(8)중 하나가 공급소자이면 나머지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소자공급카세트(14)가 소자공급부(8)에 적재된 이송랙(15)에서 결핍되거나 연속하는 소자공급단계에서 공급될 소자가 변경될 때 대기상태에 있을 소자공급부(8)가 대기상태에 놓이고 이 소자의 공급 또는 변경의 요건이 검출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대기상태에 있는 소자공급부(8)에 있는 이송랙(15)이 새로운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에 의해 꺼내어지거나 대치됨으로써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을 실행한다.
소자공급부(8)에서 이송랙(15)에 의한 집단적인 변경은 이송스탠드(9)에 제동되고 도 3, 4, 6 및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집단적인 변경후의 소자의 특성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주지해야할 것은 결정은 이송랙(15)에 집단적으로 처음에 적재된 소자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송랙(15)이 이송스탠드(9)에 전달되어 적재될 때, 마이크로스위치(101)가 이에 의해 프레스되어 이송랙(15)의 적재를 검출하도록 턴온된다. 이송랙(15)이 제거될 이송스탠드(9)로부터 추출될 때, 이송랙(15)으로부터의 압력이 해제되어 이송랙(15)의 제거를 검출하기 위해 턴오프된다. 이송랙(15)에 대하여 비검출상태로부터 검출상태로의 마이크로스위치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이송랙(15)의 적재의 발생이 검출될 수 있다. 비검출상태를 경유하여 검출상태로부터 다시 검출상태로 이송랙(15)의 상태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송랙(15)에 의한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의 발생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은 도 23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의해 마운터(2)와 소자공급부(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도 23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소자공급부(8)에 대해 특별히 제공된 콘솔팬넬(103)로부터의 작동신호, 높이 검출수단의 포토커플러(78b)로부터의 검출신호 및 마이크로스위치(101)로부터의 ON/OFF는 물론 여러 검출신호를 나타내는 작동상태가 입력된다. 흔히 요구시, 콘솔팬넬(103) 마운터(2)의 콘솔팬넬과 공통으로 이용될 수 있다.
더구나, 변경을 위해 소자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메모리(104)가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송랙(15)에 제공되고 이송랙(15)에 적재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에 보관된 각각의 소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의 이송랙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될 때마다 수행되면, 에러가 바람직하게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저장이 필요한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될 때마다 시간점과 같은 또다른 시간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04)는 판독 및 기록을 할 수 있는 메모리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모리(104)에 소자정보를 판독하여 기록하는 판독/기록수단(105)이 소자공급부(8)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이것이 마이크로컴퓨터(102)의 입력/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다. 소자정보는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에 저장된 소자의 수와 소자의 이태외의 수이다. 소자의 수에 관하여, 이용된는 소와 나머지수가 소자의 공급에 따라서 기록되고 이것이 소자의 결핍의 결정과 같은 또다른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주지해야할 것은 메모리(104)가 판독전용 메모리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판독/기록수단(105) 대신의 판독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여 이러한 구성과 제어가 간단해진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컴퓨터(102)가 출력측에서, 마운터(2)와 소자공급부(8)의 상태 특성 및 여러 작동을 나타내는 표시램프(100), 문자표시로 구성된 경고수단(106) 또는 소자를 결정하는 결과가 부적절할 때 콘솔팬달(103)에 경고하는 이의 적절한 결합, 공기실린더(77), 제1 및 제2위치조정수단(22, 23) 및 자유유동 컨베이어(44)에 연결되어 이들 작동을 제어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소자공급부(8)에 적재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에 남아있는 소자의 수를 관리한다. 소자결핍이 발생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표시램프(100) 또는 콘솔팬넬(103)에 의해 이를 표시하고 알람음을 발생시키므로써 필요시에 이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린다.
도 14는 대기상태에서 소자공급부(8)로부터 결핍된 소자공급부(14)가 적재된 이송랙(15)을 회수하는 절차의 초기작업을 도시한다. 도 14에서 (a)로 표시되었듯이, 빈트럭(61)이 대기상태에서 소자공급부(8)에 반대로 배열되어 이들을 보정위치관계로 하게 한다. 위의 상태에서, 공기실린더(77)는 콘솔판넬(103)상의 트럭록키이를 작동함으로써 작동하여 연결로드(76)가 도 15A에 도시되어 있듯이 연결브랫킷(75)과 맞물려서 이 위치에 트럭(61)을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위의 상태에서, 스탠드스토퍼(73)가 도 14에서 (b)에 의해 나타난 것처럼 작동하여 주본체(63)가 연결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트럭(16) 및 소자공급부(8)상의 이송랙지지부(65)의 높이조정이 토글메카니즘(64)에 의해 수행된다. 높이조절이 수행되어 표시램프(100)가 도 15B에 도시되어 있듯이, 높이검출수단(78)의 검출에 따라 그 특성을 나타내는 녹색광을 방출한다.
높이 조절이 완료될 때, 제1 및 제2자동조절위치수단(22) 및 (23)은 콘솔판넬상의 위치조정키에 의해 위치조정상태로 자동적으로 들어간후 3개의 유동 컨베이어(44)가 준비를 완료하기 위해 콘솔팬넬(103)상의 자유유동키이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 소자공급부(8)상의 이송랙(15)이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럭(61)에 통과되어 이송랙(15)을 이송랙지지부(65)에 끌어낸다. 이 단계에서 이송스탠드(9)로부터 이송랙(15)을 제거는 마이크로스위치(101)에 의해 검출된다. 이송랙(15)이 트럭(61)상의 특정위치에 위치할 때, 도 17A, 도 17B에 도시된 것처럼 절차에 따라 리테이너(72)의 버클(72a)을 금속훅(8)과 맞물리게 함으로써 트럭(61)에 유지된다.
다음, 다시 트럭록키이를 작동함으로써 트럭(61)과 소자공급부(8) 사이에서 연결로드(76)와의 연결브레킷(75)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탠드스토퍼(73)가 상승하여 이에 의해 실행된 이동방지상태를 해제한다.
다음, 트럭(61)이 도 18에 도시되어 있듯이 특정의 작업위치에 이동된다. 소자공급부(8)로부터의 트럭(61)의 이동이 높이검출수단(78)의 포토커플러(78a 내지 78d)의 비방해상태때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의해 결정되고 표시램프(100)가 켜지지 않는다. 작업위치는 결핍된 소자공급카세트(14)에서의 새롭게 보관된 소자의 작업 또는 다음에 필요한 소자를 공급하는 소자공급카세트(14)에 대해 카세트를 교환하는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이다.
트럭(61)이 제거되는 소자공급부(8)에서, 소정의 량의 필요한 소자을 수용하는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이 장비된 전에 준비되거나 새롭게 마련된 트럭(61)이 도 19에 도시되어 있듯이, 위에서 언급한 작업위치로부터 이동한다. 이들이 특정의 위치적인 관계에 있을 때, 트럭록키를 작동함으로써, 트럭(61)이 소자공급부(8)에 연결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스탠드스토퍼(73)를 작동함으로써, 트럭(61)의 이동이 방지되고 이송트랙(15)의 높이조절이 수행된다.
위의 작동이 완료될 때, 트럭(61)상의 이송랙(15)이 도 21에 도시되어 있듯이 소자공급부(8)에 통과되어 이송랙(15)을 트럭(61)으로부터 소자공급부(8)로 이동하게 하여 집단적인 변경을 수행한다. 다음, 자유유동키이 등이 콘솔팬낼(103)에서 작동하여 자유유동컨베이어(44)을 아래로 이동시킨 다음 제1 및 제2자동위치조정수단(22, 23)이 위치조정키이에 의해 작동하여 이송랙(15)을 이송스탠드(9)에 위치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102)는 도 24에 도시되어 있듯이, 흐름도에 따라 집단적으로 변경된 소자상의 소자결정처리제어를 수행한다. 이송랙(15)의 적재 또는 적하의 발생이 단계 #1에서 마이크로스위치의 ON/OFF 히스토리에 의해 결정될때만 이것은 단계 #2 및 다음 단계에서 실행한다. 단계 #2에서, 이것은 콘솔팬낼(103)상의 모우드선택키이에 의해 작동모우드의 선택을 수용한다.
선택될 작동모우드는 어떠한 결정도 수행하지 않는 작동모우드, 예를 들면, 소자의 특성, 모든 것에 대해 결정을 수행하는 작동모우드 및 필요한 것에 대한 결정을 수행하는 작동모우드이다. 결정된 하나로 결정된 소자는 예를 들면, 결핍된 소자이고 소자는 제품의 대체로 인한 변화를 받고 이러한 소자는 콘솔팬넬(103)을 작동시키므로써 입력될 수 있거나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의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정하는 작동모우드를 수행하지 않고 모든 소자공급카세트에 대한 소자특성결정을 수행하는 것은 수용될 수 있다.
단계 #3에서 선택된 작동모우드는 결정되고 프로그램 흐름이 단계 #4의 소자결정 서브루우틴에 진행한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듯이, 단계 #4의 소자결정 서브루우틴은 소자의 결정이 단계 #1에서 수행되는 경우, 단계 #2 및 다음단계의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 #13에서, 소자공급카세트(14)의 이송스탠드(9)에 위치한 이송랙(15)의 위치제어에 따라, 이송랙(15)에 제공된 메모리(14)는 판독/기록수단(105)이 소자공급부(8)에 제공된 위치조정을 받고 프로그램 흐름이 단계 #13에 진행한다.
단계 #13에서, 작동모우드에 따른 결정을 받는 소자의 소자정보, 즉, 소자가 모든 소자공급카세트(14)와 관련되었는지 의도한 소자공급카세트(14)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는 메모리(140)로부터 판독된다. 다음 단계 #14에서, 필요한 소자의 판독소자정보 및 전치리스트는 집단적 교환후 목표소자가 적절한지 여부를 서로 참조한다.
소자가 부적절할 때, 프로그램 흐름은 단계 #15로 진행하여 경고수단을 작동하게 하여 이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고 또다른 작동을 디저블하게 하는 처리와 같은 필요한 에러처리에 의해 마운터(2)와 작동할 소자공급부(8)가 실행되게 한다. 단계 #16에서 에러처리가 수행될 다음 소자가 다시 결정을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계 #12로 프로그램 흐름이 진행한다. 에러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때 다음의 소자의 재결정이 필요하지 않아서 본 서브루우틴이 완료된다.
주지해야할 것은 소자특성결정은 이송랙(15)에 의해 집단적으로 초기에 실장될 소자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정결과가 적절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02)는 또다른 작동으로 하여금 마운터(2)와 소자공급부(8)가 작동하게 한다.
주지해야할 것은 빈트럭(61)은 도 22에 도시되어 있듯이, 작업위치에 다시 이동되어 다음준비를 받는다.
위에서 설명되어 있듯이,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는 목표마운터(2)의 소자공급부(8)에 배열되고 목표마운터에 의해 필요할 때마다 전자소자에 해당하는 하나의 소자가 필요한 전자소자를 마운터(2)에 공급하도록 작동하고 소자의 변경 및 소비로 인한 결핍된 소자의 공급을 위해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된 다수의 특정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이 집단적인 변경을 위해 처리된다. 이송랙이 트럭(61)에 넣어지고 꺼내어지도록 이송랙(15)을 트럭(61)에 운반함으로써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는 이송랙(15)에 적재되는데 이것이 많고 크기가 크며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울지라도 이송랙(15)은 이러한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함께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트럭(61)과 소자공급부(8) 사이에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을 통과시키므로써, 소자공급부(8)로부터 트럭(61)로의 이송랙의 회수 및 소자공급부(8)로의 이송랙(15)의 전달이 소자공급카세트(14)의 집단적인 변경을 위해 시간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 이송랙(15)의 무게와 부피가 집단적인 변경작동시 오퍼레이터에게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다. 따라서,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이 집단적으로 처리될 소자공급카세트(14)의 연속적인 수와 크기 및 무게의 제한없이 쉽고 신속하게 성취될 수 있다.
더욱, 소자공급부(8)에 전달될 이송랙(15)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위치 및 이송랙이 제1 및 제2자동위치조정수단(22) 및 (23)을 작동함으로써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오퍼레이터의 개별적인 차이없이 두 개의 방향으로 그리고 자동화에 의해 신속하게 위치조정이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이러한 점을 증가 시키고 공급소자의 결함으로 이한 가능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더구나, 소자공급부(8) 및 트럭(61)에서 안내수단으로 제공된 안내롤러(71)는 이들 사이를 이송랙(15)을 통과시킬 때 이송랙(15)의 적재 및 적하을 안내한다. 따라서,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랙(15)의 적재 및 적하는 히칭없이 부드럽게 성취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업효율이 더 증가하게 된다.
더구나, 두 개의 소자공급부(8)에는 목표마운터(2)에 전자소자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가 적재된다. 하나의 소자공급부(8)가 소자를 목표마운터(2)에 공급할 때, 나머지 소자공급부(8)가 대기상태에 위치하여 목표마운터(2)에서의 작업에 영향를 받지 않고 전자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을 실생하여 다음의 소자의 공급의 준비가 성취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목표마운터(2)에서의 소자의 변경은 소자공급부(8)의 스위칭이용을 수행하는데만 필요하다. 따라서, 목표마운터(2)에서의 가능한 손실이 최소로 억제되고 소자공급카세트(14)의 집단적인 변경이 시간마진을 가지고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더구나, 집단적으로 처리될 소자공급카세트(14)의 연속하는 부재는 소자를 목표마운터(2)에 공급하기 위해 연속하는 다수의 카세트로 된다. 따라서, 목표마운터(2)에 공급될 전자소자의 변경과 대체를 위한 카세트의 집단적인 변경은 짧은 시간에 일시에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자를 목표마운터(2)에 공급하는 연속하는 수가 많을지라도, 연속하는 수가 소자를 목표마운터(2)에 공급하기 위해 단위 분할 연속하는 다수의 카세트가 되면, 집단적인 변경작업이 여러 설치장비로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더구나, 이송랙(15)이 위에서 설명했듯이, 이러한 변경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검출시 이송랙(15)에 적재된 소자공급카세트(14)의 소자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소자공급부(8)에서 변경될 때, 변경후의 소자의 특성이 각각의 시간에 수동적으로 결정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부적당한 소자가 공급된 목표제품의 가능한 결함, 비실행 및 결정의 잘못으로 인한 목표작업의 결함을 방지하여 이의 특성이 안정화될 수 있고 생산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특성의 결정이 모든 소자공급카세트(14)에서 실행될 때, 부절적한 소자의 공급과 같은 고장이 집단적으로 변경되어 소자중 하나 하나 마다에 대해 방지될 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모우드, 모든 소자공급카세트를 결정하는 모우드, 및 필요한 소자공급카세트만을 결정하는 모우드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소자특성의 가능한 낭비적인 결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처럼 이송랙(15)에 저장된 소자정보를 기반으로 이송랙(15)에 의해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14)의 소자을 집단적으로 변경할 때의 각각의 소자의 특성의 결정을 수행함으로써, 소자공급카세트(14)마다 소자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이를 저장하거나 또는 이들을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이송랙(15)에서의 하나의 메모리(104)와 같은 저장수단에서 유사한 작동을 실행함으로써 소자정보를 집중적으로 적정하는데만 필요하다. 따라서, 위치조정이 허여되어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14)의 소자정보를 판독할 때만 실행되고 이것은 편리하고 작동속도를 증가 시킨다.
더구나,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메모리(104)와 같은 저장수단에 소자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처리할 소자의 형태가 변경될지라도 이러한 배열은 이를 처리하고 소자공급 등으로 인한 나머지 소자의 수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주지해야할 것은 이송랙(15)에는 종래에 이용한 메모리 집적 소자공급카세트 (14)가 장비되어 있고 이와 함께 이용된다.
도 26은 제2실시예과 같은 경우의 소자결정 흐름도을 도시한다. 단계 #12a에서 목표소자공급카세트(14)의 메모리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작동은 제1실시예에서의 단계 #12에서 이송랙(15)의 메모리의 위치조정을 실행하는 작동과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선행기술의 메모리 집적소자공급카세트(14)가 있는 그대로 이용될 수 있는 장점외에, 이에 관련된 각각의 메모리의 집단적인 설정과 이송랙(15)에 의한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이 이 메모리를 이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은 이를 개별적으로 적재하고 적하함으로써 선행기술의 메모리 집적소자공급카세트(14)를 이용하는 것보다 편리하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9태양의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따라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개별적으로 위치되어 지지된 소정의 다수의 카세트가 적재된 소자공급카세트를 집단적으로 변경할 때, 이송랙이 집어넣어지거나 잡아내어짐과 동시에 트럭에 이송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이송랙에 적재된 일련의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많아지고 부피가 크고 무거울지라도 이 카세트는 이들에 영향을 받지 않고 트럭과 함께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소자공급카세트가 적재된 이송랙은 트럭과 소자공급부 사이를 통과하여 소자공급카세트의 집단적인 변경을 위해 이송랙의 소자공급부로부터 트럭으로의 회수와 이송랙의 소자공급부로의 전달을 적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집단적인 변경작동에서, 소자공급카세트가 적재된 이송랙의 무게와 부피가 오퍼레이터에게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이 집단적으로 처리될 소자공급카세트의 연속하는 수, 크기 및 무게에 제한없이 쉽고 신속하게 성취될 수 있고 이것은 목표작업기기의 작동속도와 작업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에 전달된 이송랙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 및 자동위치조절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위치조정은 자동성으로 인해 오퍼레이터의 개인적인 차이에 관계없이 안정하고 신속하게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 작업효율이 증가하고 소자를 공급할때의 결함으로 인한 가능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태양에 따라,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 제공된 안내수단은 이들 사이를 통과할 때 이송랙의 적재 및 적하을 안내한다. 따라서, 통과를 위한 이송랙의 적재 및 적하는 히칭없이 부드럽게 성취되고 이에 의해 작업효율이 더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서, 두 개의 소자공급부에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는데 필요한 연속하는 수의 소자공급카세트가 제공되어 있다. 하나의 소자공급부에 의해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는 동안 나머지 소자공급부가 대기상태로 유지되어 목표작업기기에서의 작업에 영향없이 다음 소자를 공급하는 준비를 위해 소자의 집단적인 변경의 수행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에서의 소자의 변경은 소자공급부의 스위칭이용을 수행하는데만 이용된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의 가능한 손실시간이 최소한으로 억제되고 소자공급카세트의 집단적인 변경이 시간적인 마진을 가지고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제3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 소자를 변경할때의 집단적으로 처리될 소자공급카세트의 일련의 수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는 카세트의 일련의 수로 된다. 따라서, 목표작업기기에 공급될 소자의 대체 및 변경을 위한 카세트의 집단적인 변경이 짧은 시간에 한번에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따라서, 일련의 수가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의 일련의 수중 단위분할 일련수로 된다. 따라서,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한 카세트의 일련의 수가 많을지라도 집단적인 변경작업이어서 설치시에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5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 이송랙이 소자공급부에서 변경될 때, 이것이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변경후 이송랙에 적재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에서의 소자의 특성은 검출시 자동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변경후의 소자의 특성은 각각의 시간에 수동으로 결정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부적당한 소자가 공급된 목표제품의 가능한 결핍 및 이 결정의 비실행 및 고장으로 인한 목표작업의 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6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의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서, 이러한 특성의 결정은 모든 소자공급카세트에서 더 실행되어 부적당한 소자의 공급과 같은 고장이 집단적으로 변경된 소자중 하나마다에 대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 또는 제6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7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 이송랙에 의한 다수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를 집단적으로 변경할때의 각각의 소자의 특성의 결정은 이송랙에 저장된 소자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소자공급카세트마다 소자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고 이를 저장하거나 이들을 집단적으로 처리하는 이송랙에서 저장수단에서의 유사한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소자정보를 의도적으로 저장할 필요만이 있다. 따라서, 위치조정은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의 소자정보를 판독할 때 한번 실행될 수 있고 이것은 편리하고 작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 내지 제7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8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에 따라서, 소자정보는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따라서, 처리할 소자가 변경될지라도 이 방법이 이를 처리하고 이용될 소자의 수 및 소자공급으로 인한 나머지 소자의 수의 정보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위치조정효과와 유사한 위치조정효과가 발생되고 트럭이 유지수단에 의해 수용된 이송랙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트럭은 운반시 이송랙을 떨어뜨리지 않고 이송랙을 쉽고 신속하게 이송랙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송랙이 트럭의 높이로 조절되어 이와 소자공급부 사이에 이송랙을 통과시킬 때 이들 모드는 높이가 서로 일치하여 이송랙이 쉽고 부드럽게 적재 및 적하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1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소자공급부와 이송랙지지부 사이의 높이의 관계가 검출수단에 의해 더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자공급부와 이 트럭에 지지된 이송랙 사이의 높이의 관계는 서로 쉽고 정확하게 일치하게 되어 이송랙이 이들 사이를 부드럽게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 및 제11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2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소자공급부는 이에 수용될 이송랙의 정단부가 위치조정수단의 정단수용부재에 대해 접촉하게 함으로써 특정위치에 대한 이송랙의 전달을 성취한다. 특정위치에 대한 이송랙의 전달의 상태는 제1압력부재와 정단부수용부재 사이에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조정함으로써 확실히 유지된다.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랙을 제2압력부재와 측면수용부재를 더 유지함으로써, 이송랙이 측면수용부재에 의해 특정된 위치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2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3태양의 소자공급장치에 따라, 제1압력부재는 레버부재에 의해 실행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용하지 않을 때 이송랙의 적재/적하통로로부터 쉽게 후퇴하여 적재 및 적하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원심축에 의해 제2압력부재를 실행함으로써, 이송랙의 적재 및 적하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이송랙이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필요시에 원심작동에 의해 특정위치에 전달되고 위치조정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태양 또는 제14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4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정단부수용부재와 제1압력부재와 접촉하는 이송랙의 부분은 롤러부재에 의해 각각 수행된다.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으로 이들 사이에 이송랙이 단단히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롤러부재의 롤링에 의해 허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정단부수용부재와 제2압력부재에 의해 적재되고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송랙의 위치조정은 방해가 되지 않아 정확한 위치조정이 확실하게 성취된다.
제9태양 내지 제14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5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소자공급부는 안내롤러에 의해 양축으로부터 작용으로 인한 이송랙의 적재 및 적하을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이송랙이 이송랙을 적재 및 적하시키는 작동에 주어진 마진과의 래틀링 및 방향적인 혼란이 없이 쉽게 적재 및 적하되고 이송랙이 특정위치에 전달되는 상태에서, 심각한 변위가 위치적으로 자세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이송랙은 특정위치와 자세로 보정됨과 동시에 부드럽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9태양 내지 제15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6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소자공급부는 위치조정지지부에 수용된 이송랙을 유지하여 이송랙이 특정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게 하고 이송랙을 적재하고 적하할 때, 적재/적하안내부는 위치지지부로부터 이송랙을 순간적으로 승강시키므로써 이송랙의 적재 및 적하를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이송랙이 위치조정을 위해 안정지지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적재 및 적하되고 위치조정지지부는 초기단계에서 경고를 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9태양 내지 제16태양중 어느 한 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7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 본 발명의 제5태양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가 이송랙 또는 이에 지지된 각각의 소자공급카세트에 제공된 저장수단에 저장된 소자정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8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모우드선택수단은 각각의 소자의 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모우드, 모든 소자공급카세트를 결정하는 모우드 및 필요한 하나의 소자만을 결정하는 모우드와 같은 여러 결정모우드 사이에서 선택한다. 따라서 소자의 특성의 가능한 낭비적인 결정이 실질적인 조건에 따라서 선택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태양 또는 제18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19태양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따라서, 소자정보는 본 발명의 제8태양과 유사하게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된다. 따라서, 처리할 소자가 변경될지라도 이 장치는 이를 처리할 수 있고 이용될 소자의 수와 소자공급으로 인한 나머지 소자의 수의 정보가 함께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태양의 이송랙에 따라, 변경을 위해 소자공급카세트의 특정수에 위치되어 지지된 소자를 집단적으로 처리할 때, 변경후의 소자의 특성의 결정이 본 발명의 제7태양에 유사하게 이송랙에 저장된 소자정보에 의해 실행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소자공급카세트마다 소자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소자정보를 집중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소자정보를 판독할 때 편리하고 각각의 소자에 해당하는 소자정보을 유지하는 수단이 수적으로 하나만 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1태양의 트럭에 따라서, 소자공급카세트의 특정의 일련의 수가 적재된 이송랙은 안내수단에 의해 쉽게 넣고 꺼집어낼 수 있음과 동시에 트럭에 위치하고 떨어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수단에 의해 이송랙을 유지하는 동안에 트럭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기 위해 주본체에 제공된 주행휠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22태양의 트럭에 따라서, 스토퍼수단이 필요시에 주행휠상의 주본체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고 특정위치에 주본체를 안정화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소자공급부와 변경부에서의 이송랙에 의한 소자공급카세트의 수의 집단적인 변경은 어떠한 문제없이 안정하게 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태양 또는 제22태양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제23태양의 트럭에 따라, 트럭이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와의 특정의 위치적 관계에 있을 때 소자공급부는 연결수단에 의해 주본체와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위치적인 관계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다수의 소자공급 카세트가 적재된 무거운 이송트랙을 교환하는 작동은 히칭과 같은 문제없이 쉽고 부드럽게 성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럭을 이용하는 대신 오퍼레이터가 실시예에서 설명한 위의 방식에 의해 소자공급카세트를 소자공급부에 또는 이와는 반대로 통과할 수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문제가 있을지라도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이 수반한 도면을 참고로 하며 설명했을지라도 여러 수정과 변경이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가능하다.

Claims (27)

  1.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보관하기 위해 다수의 소자공급부재을 연속적으로 배열할 때, 각각의 시간에 필요한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목표작업기기로 소자를 공급하는 단계;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된 특정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트랙마다 소자의 소비로 인해 소자의 대채 및 소자의 결핍을 위해 필요한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소자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의 다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트랙이 운반되어 소자수용부재를 소자공급부에서 교환하기 위해 소자공급부로부터의 이송트랙의 회수 및 소자공급부로의 이송트랙의 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운반되어 통과되고 소자공급부에 전달된 이송랙크가 적재되고 적하하는 방향 및 적재 및 적하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동위치수단에 의해 소자공급부에서 작동함으로써 위치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자공급부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수단이 장비된 두 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이를 이용하는 동안 나머지는 소자수용부재을 교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도록 대기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수단이 목표작업기기에 소자를 공급하는 필요한 연속수의 소자수용부재로 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집단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연속하는 다수의 소자수용부재는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소자수용부재의 단위분할연속수의 소자수용부재로 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자공급부에서의 이송랙의 변경은 자동적으로 검출되고 변경이 발생할 때 변경후의 이송랙에 적재된 각각이 소자수용부재의 소자의 특성이 자동으로 결정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특성의 결정이 모든 소자수용부재상에서 실행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특성의 결정이 이송랙에 적하된 소자수용부재에 보관된 소자에 대응하게 이송랙에 예비적으로 보관된 소자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자정보가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는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소자공급부에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단적으로 처리할 연속적인 다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랙이 집어넣고 꺼냄과 동시에 트럭에 보관한채로 운반되고 소자공급부를 소자공급부재를 소자공급부에서 교환하기 위해 공급부로부터 트럭으로의 이송랙의 회수 및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의 전달을 적시에 수행하기 위해 트럭과 소자공급부 사이를 통과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방법.
  10. 소자가 위치되고 적하되고 소자를 목표작업기기에 의해 필요할 때마다 소자에 대응하는 소자수용부재로부터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소자를 공급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하나씩 소자를 공급할 때 이용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해서 배열된 소자수용부재가 장비된 소자공급부와, 소자가 개별적으로 위치되고 적하되어 이들을 집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소자수용부재가 장착된 이송랙을 조합적으로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자공급부는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 및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용된 이송랙을 자동으로 위치시키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이 장치는 운반된 이송랙과 이동할 수 있는 트럭과, 소자공급부와 트럭에 제공되어 이송랙의 적하에 의해 이송랙을 이들 사이에 통과하게 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트럭은 수용된 랙을 보관하는 보관수단과 수용된 이송랙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지지부의 높이를 검출하는 높이검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소자공급부에서의 위치조정수단은 특정수용위치로 이송랙의 정단부을 수용하는 정단부수용부재와, 이송랙이 적하되고 정단부수용부재에 대해 뒤로부터 이송랙에 압력을 가하여 이송랙이 적하되고 이 압력에 의한 위치조정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시키는 제1압력부재, 이송랙이 적하되고 특정위치로 이송랙의 측부를 수용하기 위해 작동하는 측면부수용부재 및 이송랙이 적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랙을 위치시키기 위해 반대방향으로부터 측면부수용부재에 대해 이송랙에 압력을 가하는 제2압력부재를 구비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압력부재는 레버부재이고 제2압력부재는 원심축인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이송랙은 정단부수요부재와 제1압력부재에 대하여 접합하기 위해 롤러부재로 구성된 부분으로 구성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자공급부는 이송랙을 양측으로부터 특정수용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롤러를 지닌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19. 제10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랙이 특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용된 이송랙을 지지하는 위치조정지지부와, 이송랙을 적하이송랙의 위치조정지지부로부터 승강하게 함으로써 이송랙의 적하을 안내하는 적하안내부를 지닌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20. 제10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랙 및 이에 대하여 지지된 각각의 소자수용부재에 제공된 각각의 소자수용부재에 저장된 소자의 형태의 소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소자공급부에 대한 이송랙의 설치 또는 제거를 검출하는 설치 및 제거검출수단과, 이송랙이 설치 및 제거검출수단에 의해 이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교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송랙이 교환되었을 때 소자가 저장수단에 기억된 소자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지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한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특성을 결정하지 않은 모우드, 모든 소자수용부재를 결정하는 모우드 및 필요한 하나의 모우드만을 결정하는 모우드와 같은 모우드선택수단이 제공되고 이 결정수단은 선택된 모우드중에서 결정되는 소자공급부에서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저장수단은 판독과 기록을 할 수 있는 소자공급부에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장치.
  23. 개별적으로 위치하여 지지된 특정의 다수의 소자수용부재가 적재되고 각각의 지지된 소자수용부재에 보관된 소자의 형태의 소자정보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이송트랙.
  24. 주행휠를 지닌 주본체를 구비하고 이 주본체에는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에 이송트랙을 적재 및 적하함으로써 안내수단과 이 안내수단에 수용된 이송트랙을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제공된 소자공급부에 소자를 집단적으로 교환하는 트럭.
  25. 제24항에 있어서, 주본체가 주행휠과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한 트럭.
  26. 제24항 및 제25항에 있어서, 주본체가 목표작업기기의 소자공급부와의 특정의 위치적인 관계에 있는 상태로 소자공급부를 주본체와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한 트럭.
  27. 제24항 내지 제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트랙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트럭.
KR1019980702272A 1995-09-27 1996-09-27 부품공급부에서부품을일괄교환하는방법및그대차와이송랙 KR100308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74195A JP3552810B2 (ja) 1995-09-27 1995-09-27 部品供給部の部品一括交換方法と装置
JP95-249741 1995-09-27
PCT/JP1996/002800 WO1997012506A1 (en) 1995-09-27 1996-09-27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vely changing components at component supply section and truck and transfer rack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05A true KR19990063805A (ko) 1999-07-26
KR100308737B1 KR100308737B1 (ko) 2001-11-30

Family

ID=1719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72A KR100308737B1 (ko) 1995-09-27 1996-09-27 부품공급부에서부품을일괄교환하는방법및그대차와이송랙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494671B1 (ko)
EP (1) EP0852900B1 (ko)
JP (1) JP3552810B2 (ko)
KR (1) KR100308737B1 (ko)
CN (1) CN1154407C (ko)
DE (1) DE69620208T2 (ko)
WO (1) WO1997012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01809D0 (en) 1999-01-27 1999-03-17 Scarista Limited Highly purified ethgyl epa and other epa derivatives for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disorderes
JP4491861B2 (ja) * 1999-09-10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ライン
JP4429465B2 (ja) * 1999-12-07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供給部一括交換用カート
US6709225B1 (en) * 2000-02-18 2004-03-23 Asys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removal of minienvironment components
JP2002060055A (ja) * 2000-08-18 2002-02-26 Fujitsu Ltd 搬送台車の固定装置
KR100745501B1 (ko) * 2000-12-28 2007-08-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피더교체시스템
JP4540877B2 (ja) * 2001-04-20 2010-09-08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US6676355B1 (en) * 2001-07-20 2004-01-13 American Airlines, Inc. Apparatus and method to effectuate pre-lift positioning for a drop furnace cage
TW494910U (en) * 2001-09-12 2002-07-11 Ind Tech Res Inst Conveying and transporting vehicle for wafer box
KR100608100B1 (ko) * 2004-03-23 2006-08-02 미래산업 주식회사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KR100608099B1 (ko) * 2004-03-23 2006-08-02 미래산업 주식회사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JP4818860B2 (ja) * 2006-09-19 2011-11-16 Juki株式会社 部品実装機のパーツフィーダ位置決め装置
DE102007029308A1 (de) * 2007-06-22 2008-12-24 Bellheimer Metallwerk Gmbh Automatisches Handling von Mehrfachlagergutträgern
KR20090028424A (ko) * 2007-09-13 2009-03-18 파나소닉 주식회사 부품 실장 장치의 대차 위치 결정 기구 및 대차
JP5175860B2 (ja) 2007-11-30 2013-04-03 平田機工株式会社 移載装置
EP2334295B1 (en) 2008-09-02 2017-06-2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nicotinic acid and methods of using same
AU2010241567B2 (en) 2009-04-29 2013-10-3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EPA and a cardiovascular ag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278665B1 (en) 2009-04-29 2020-09-09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JP5351777B2 (ja) * 2010-01-08 2013-11-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JP5399275B2 (ja) * 2010-01-15 2014-01-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機
JP5440479B2 (ja) 2010-11-26 2014-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トレイフィーダにおけるトレイ交換方法
CN104137667B (zh) * 2012-02-28 2016-12-21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元件安装机
JP5845416B2 (ja) * 2012-08-22 2016-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実装基板の製造方法
JP6154138B2 (ja) * 2013-01-10 2017-06-28 Juki株式会社 ボウルフィーダアセンブリ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US9662307B2 (en) 2013-02-19 2017-05-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Compositions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 a hydroxyl compoun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283201B2 (en) 2013-03-14 2016-03-15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US10966968B2 (en) 2013-06-06 2021-04-0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Co-administration of rosiglitazone and eicosapentaeno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US10462947B2 (en) * 2013-10-31 2019-10-29 Fuji Corporation Component mounting machine
US10561631B2 (en) 2014-06-11 2020-02-18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RLP-C
JP6535182B2 (ja) * 2015-02-27 2019-06-26 平田機工株式会社 台車装置及び作業システム
US9902415B2 (en) * 2016-02-15 2018-02-27 Lam Research Corporation Universal service cart for semiconductor system maintenance
WO2018127965A1 (ja) * 2017-01-06 2018-07-12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ラインのフィーダ自動交換システム
KR102338722B1 (ko) 2017-04-05 2021-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캐필러리 교체 방법
US10538419B2 (en) * 2017-09-22 2020-01-21 Ford Motor Company Transport assembly having a cart for transferring articles
JP6853896B2 (ja) * 2017-11-06 2021-03-31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ライン
WO2019229996A1 (ja) * 2018-06-01 2019-12-05 株式会社Fuji 交換システムおよび交換装置
CN110621148B (zh) * 2019-08-16 2020-11-24 南京乾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集成系统电子元器件焊脚装置及其插接工艺
KR102334549B1 (ko) * 2021-06-30 2021-12-02 주식회사 아울 부품보관용 팔레트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709A (en) * 1983-08-01 1986-07-01 Aioi Seiki K.K. Transferring device for dies and the like
US4692755A (en) * 1985-02-22 1987-09-08 Rite-Hite Corporation Loading dock signal and control system
US4697974A (en) * 1986-01-24 1987-10-06 Trimedia Corporation Pallet-loading system
JPS6322408A (ja) * 1986-07-15 1988-01-29 Toshiba Corp 自動倉庫の入出庫部品情報管理装置
DE3633478A1 (de) * 1986-09-29 1988-03-31 Siemens Ag Bestueckungsautomat mit wechsel-bauteile-magazin
DE3836163A1 (de) * 1988-10-24 1990-04-26 Berthold Lab Prof R Aufnahmesystem fuer mehrere probengefaesse zur durchfuehrung von strahlungsmessungen
EP0391707A1 (en) * 1989-04-05 1990-10-10 Sanyo Electric Co., Ltd. Parts feeding apparatus
JP2708870B2 (ja) * 1989-04-20 1998-02-04 三洋電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H03152099A (ja) * 1989-11-07 1991-06-28 Sanyo Electric Co Ltd 部品供給システム
EP0427243A1 (en) * 1989-11-07 1991-05-15 Sanyo Electric Co., Ltd. Parts feeding system
JPH03192006A (ja) * 1989-12-21 199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装着機
US5235164A (en) 1990-09-19 1993-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rts supply device, parts supply method, parts managing system, and parts managing apparatus
US5400497A (en) * 1990-10-29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having memory equipped parts supply device
GB9104555D0 (en) * 1991-03-05 1991-04-17 Gray Andrew P 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devices
JP3063275B2 (ja) * 1991-09-12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IT1251254B (it) * 1991-11-08 1995-05-05 Pluritec Italia Metodo ed apparecchiatura di carico e scarico di pezzi per una macchina utensile, particolarmante per la lavorazione di piastre di circuiti stampati.
GB2262516B (en) * 1991-12-21 1995-03-22 Tdk Corp Electronic component feed system
US5387063A (en) * 1992-04-15 1995-02-07 American Sterilizer Company Indirect lock and lock release mechanism
US5417922A (en) * 1993-05-14 1995-05-23 Board Of Regents - University Of Nebraska Specimen carrier
JP3307024B2 (ja) * 1993-11-02 2002-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供給装置
DE4425208C2 (de) * 1994-07-16 1996-05-09 Jenoptik Technologie Gmbh Einrichtung zur Kopplung von Be- und Entladegeräten mit Halbleiterbearbeitungsmaschinen
JPH0883995A (ja) * 1994-09-09 1996-03-26 Sanyo Electric Co Ltd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US5735387A (en) * 1995-07-14 1998-04-07 Chiron Diagnostics Corporation Specimen rack handling system
DE69731151T2 (de) * 1996-01-26 2006-02-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inbaudaten, speichermittel dafür, verfahren und gerät zum komponenteeinbau mit diesem mittel
US5861563A (en) * 1997-03-20 1999-01-19 Bayer Corporation Automatic closed tube sampler
US6033175A (en) * 1998-10-13 2000-03-07 Jenoptik Aktiengesellschaft Docking mechanism for aligning, coupling and securing a movable cart to a stationary workstation
JP4429465B2 (ja) * 1999-12-07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供給部一括交換用カ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2810B2 (ja) 2004-08-11
EP0852900B1 (en) 2002-03-27
DE69620208D1 (de) 2002-05-02
DE69620208T2 (de) 2002-11-07
CN1197587A (zh) 1998-10-28
US6494671B1 (en) 2002-12-17
CN1154407C (zh) 2004-06-16
US20030068216A1 (en) 2003-04-10
JPH0993000A (ja) 1997-04-04
KR100308737B1 (ko) 2001-11-30
US20050047896A1 (en) 2005-03-03
EP0852900A1 (en) 1998-07-15
WO1997012506A1 (en) 1997-04-03
US7220092B2 (en)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805A (ko) 소자공급부 및 트럭에서 집단적으로 소자를 교환하는 방법 및이의 이송랙
US5456001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aging electronic parts on printed circuit board
JP6377752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方法
US10285315B2 (en) Board work system, including a transfer device to transfer a feeder between work machines
US10683184B2 (en) Component supplying device for a component supply tape
KR0160832B1 (ko)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의 실장방법
US10420262B2 (en) Feeder management device
EP0868117B1 (en) Device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component-mounting apparatus
US5193268A (en) Parts feeding system utilizing an unmanned conveying machine
KR100276523B1 (ko) 부품실장장치
JP6774459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
US6219897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for exchanging support blocks which support circuit boards
JP2017027996A (ja) 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部品実装方法
JPS62140499A (ja) 二つの部品供給テ−ブルを備えた電子部品実装装置
JPH0321112B2 (ko)
JPS61121397A (ja) 部品送り装置のカセツト自動交換方法
JPH0790917B2 (ja) 自動機械にテープカセットを供給する装置
CN114056911B (zh) 装载组件
WO2022019283A1 (ja) 部品搭載装置およびパレット搬送装置
JP2606682B2 (ja) 部品装着方法
JPH0615534A (ja) 電子部品自動交換装置
JP2006040968A (ja) 電子部品実装方法および装置
JP2024039645A (ja) 移送システム
JP2003332793A (ja) 部品保持具使用可否判定方法
JPH04171799A (ja) 自動部品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