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099B1 -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099B1
KR100608099B1 KR1020040019804A KR20040019804A KR100608099B1 KR 100608099 B1 KR100608099 B1 KR 100608099B1 KR 1020040019804 A KR1020040019804 A KR 1020040019804A KR 20040019804 A KR20040019804 A KR 20040019804A KR 100608099 B1 KR100608099 B1 KR 10060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surface mounter
vertical direction
connector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615A (ko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면실장기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의 양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아암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트롤리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아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피더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연결되는 제1코넥터가 설치된 트롤리와, 베이스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링크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제1공압장치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제1링크부재에 의해 제1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승강블럭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과,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에 의해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동안에 트롤리의 제1코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제2코넥터를 코넥팅공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코넥팅수단으로 구비하여,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다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표면실장기, 피더베이스, 트롤리, 자동 교체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Apparatus for Changing Trolley of Surface Moun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분리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제1승강장치의 확대 분리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된 제1승강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승강블럭의 분리조립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승강블럭의 조립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2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2승강장치의 분리 조립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승강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프레임 10: 트롤리
11: 피더베이스 12: 피더베이스 브라켓
13: 아암 14: 인터페이스보드
15: 제1코넥터 20: 제1승강장치
21: 제1실린더 22: 제1링크
23: 제1승강블럭 30: 코넥팅장치
31: 코넥팅공압장치 32: 제2코넥터
40: 제2승강장치 41: 제2실린더
42: 제2링크 43: 제2승강블럭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feeder)가 장착되는 피더베이스(feeder base)를 소정의 높이로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피더베이스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표면실장기에서 트롤리를 도킹(docking)시키거나 피더베이스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 표면실장기에서 트롤리를 해제시켜 자동으로 트롤리를 교체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피더가 사용되며, 이러한 피더를 장착하기 위한 피더베이스가 설치되는 트롤리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롤리는 복수개의 트롤리프레임(trolley frame)의 하측에 지지부재가 설치되고 그 지지부재의 하측의 4방향에 캐스터(caster)가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의 트 롤리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아암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아암의 내측에는 피더베이스에 설치되며 피더베이스의 전단에는 인터페이스보드(interface board)가 설치되어 트롤리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도킹이되면 표면실장기의 본체에 설치된 제어부등에서 발생되는 전원이나 제어신호 등의 전기신호 등이 인터페이스보드로 전송되고, 이 전송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피더베이스에 설치된 피더에서 헤드에 설치된 노즐이 픽킹(picking)하도록 부품을 공급하게 된다.
노즐이 부품을 픽킹하도록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피더를 부품공급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피더를 부품공급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을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피더베이스가 설치되는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의 부품공급위치로 설정된 베이스프레임(base frame)에 도킹(docking)시켜 부품을 공급하거나 부품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킹을 해제시켜 트롤리를 교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트롤리를 베이스프레임쪽으로 이동시킨 후 트롤리에 설치된 피더베이스를 수직방향으로 하강시킨 후 피더베이스의 전단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보드와 표면실장기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나 제어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수동으로 연결시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게 되며, 부품의 공급이 완료되면 트롤리를 제거하기 위해 표면실장기와 트롤리 사이에 연결된 전기신호를 해제한 후 다시 피더베이스를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시켜 표면실장기에서 트롤리를 해제시켜 교체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키는 경우에 높은 위치에서 트 롤리를 표면실장기로 이동시킴에 따라 헤드가 오동작되는 경우에 트롤리와 헤드가 충돌하여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전원이나 제어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트롤리로 전송하기 위해 일일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연결함으로써 트롤리의 교체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실장기의 베이스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피더베이스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Feeder base bracket)의 양측을 지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으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킬 수 있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롤리가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 피더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표면실장기에서 발생되어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접속시켜 연결시킬 수 있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는, 표면실장기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의 양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feeder base bracket)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아암(arm)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트롤리프레임(trolley)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아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피더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보드(interface board)와 연결되는 제1코넥터(connector)가 설치된 트롤 리(trolley)와, 표면실장기의 베이스프레임(base frame)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링크(link)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제1공압장치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제1링크부재에 의해 제1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승강블럭(block)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과,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에 의해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동안에 트롤리의 제1코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제2코넥터를 코넥팅(connecting)공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코넥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분리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및 통신접속장치의 확대 분리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및 통신접속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도시 않음)의 베이스프레임(1)으로 이동되면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인 제1승강장치(20)가 트롤리(10)에 설치된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을 지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시켜 피더베이스(11)를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으로 상승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킨 후 도킹의 해제시 제1승강장치(2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하강하여 표면실장기에서 트롤리(10)를 교체시키게 된다.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에 도킹됨과 아울러 트롤리(10)의 아암(13)에 설치 된 제1코넥터(15)에 제2코넥터(31)가 결합되어 표면실장기에서 발생되는 전원 내지 제어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제2코넥터(31)를 통해 제1코넥터(15)로 전송하기 위해 제2코넥터(31)를 코넥팅수단인 코넥팅장치(20)에 의해 제1코넥터(15)와 결합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킨다.
이러한 트롤리(10)의 교체장치를 구성하는 트롤리(10), 제1승강장치(20) 및 코넥팅장치(30) 등의 구성을 순서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롤리(10)는 도 1에서와 같이 트롤리(10)는 표면실장기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도시 않음)가 장착되는 피더베이스(11)의 양측단을 각각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이 지지한다.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은 복수개의 트롤리프레임(trolley frame)(16)에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13)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복수개의 아암(13)에 결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브라켓 가이드홈(12a)이 형성되며, 브라켓 가이드홈(12a)의 위치는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에 도킹된 상태에서 헤드의 노즐(도시 않음)이 피더(도시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픽킹할 수 있는 위치를 미리 산출하여 설정된 위치이며,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일측에 발광소자가 적용되는 제1위치감지센서(12b)가 설치되어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복수개의 트롤리프레임(16)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13)은 각각 복수개의 트롤리프레임(16)의 상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샤프트(arm shaft)(17)에 결합되어 설치되어, 복수개의 아암(13)은 각각 설치 된 아암샤프트(17)에 가이드(guide)되어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13)의 외측에는 각각 롤러(Roller)(13a)가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아암(13)의 일측에 코넥터(15)가 설치된다. 코넥터(15)는 양측단에 각각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connecting guide)홈(15a)이 형성되며, 코넥터(15)는 피더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보드(14)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인터페이스보드(14)는 피더베이스(13)의 전단에 설치되며, 피더베이스(13)는 복수개의 아암(13)에 각각 설치되는 피더베이스 브라켓(12)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복수개의 아암(13)이 설치된 복수개의 트롤리프레임(16)의 하측에는 지지부재(18)가 설치되며, 작업자의 미는 힘에 의해 이동되도록 지지부재(18)의 각각의 하측에는 캐스터(caster)(19)가 설치된다. 이러한 트롤리(10)에 구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12a), 제1위치감지센서(12b), 롤러(13a) 및 제1코넥터(15)의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홈(15a)의 기능은 제1승강장치(20) 및 코넥팅장치(30)의 설명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트롤리(10)의 구성에 이어 제1승강장치(20)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2 및 도 3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20)는 베이스프레임(1)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된 제1승강장치(10)를 도시하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10)는 베이스프레임(1)의 타측에 설치된 제1승강장치(10)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개의 제1승강장치(10)는 표면실장기의 베이스프레임(1: 도 1에 도시됨) 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트롤리(10: 도 1에 도시됨)가 베이스프레임(1)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트롤리(10)에 설치된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 도 1에 도시됨)의 저면과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설치되어 트롤리(10)가 베이스프레임(1)의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면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저면을 제1승강장치(20)가 지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게 된다.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저면을 각각 지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제1승강장치(20)는 각각 제1공압장치(21), 제1링크부재(22) 및 제1승강블럭(23)으로 구성된다. 제1공압장치(21)는 제1링크부재(22)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승강블럭(23)은 제1링크부재(22)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링크부재(22)의 일측에 연결된 제1공압장치(21)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제1링크부재(22)에 의해 제1링크부재(22)의 타측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을 지지하는 제1승강블럭(2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킨다.
제1승강블럭(2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렛대로 작용하는 제1링크부재(22)는 바(bar)형상을 가지며, 제1링크부재(22)의 소정 각도로의 회전에 의해 제1승강블럭(23)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공압장치(21)는 제1실린더(cylinder)(21b)와 제1로드(Rod)부재(21c)로 구성된다.
제1공압장치(21)의 제1실린더(21b)는 베이스프레임(1)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21a)의 하측에 설치되며 제1로드부재(21c)는 베이스플레이 트(21a)를 관통해 베이스플레이트(21a)의 상측에 설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21a)의 상측에 설치된 제1로부재(21c)는 공기의 입출력단자(21d)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실린더(21b)가 수직왕복운동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며, 이 구동력이 제1로드부재(21c)로 전달되어 제1로드부재(21c)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제1로드부재(21c)의 수직왕복운동에 의해 제1링크부재(22)가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고 이 회동에 의해 승강블럭(23)이 피더베이스 브라켓(12: 도 1에 도시됨)을 지지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승강블럭(23)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승강프레임(23a)의 내측에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guide shaft)(23c)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23c)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23c)에 제1구동블럭(23b)이 부싱(23f)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 설치되며, 제1승강프레임(23a)의 소정의 위치에 힌지(hinge)(24a)나 볼트(bolt)(24b) 등으로 고정되는 가이드핀헤드(guide pin head)(24g)에 의해 지지되는 제1가이드핀(23d)이 설치된다.
제1가이드핀(23d)은 트롤리(10: 도 1에 도시됨)의 아암(13)에 설치된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이 제1구동블럭(23b)의 구동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피더베이스 브라켓(12)에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홈(12a: 도 1에 도시됨)과 결합되어 피더(도시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부품(도시 않음)을 픽킹(picking)하는 노즐(도시 않음)의 픽킹위치의 정밀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와 도킹 시키게 된다.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킬 때 픽킹위치의 정밀도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제1승강장치(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레일(guide rail)(25)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25)은 도 4b에서와 같이 제1공압장치(21)의 상측에는 설치된 카바(cover)(26)와 제1승강블럭(23)에 걸쳐 설치되어 트롤리(10)의 복수개의 아암(13: 도 1에 도시됨)에 각각 설치된 롤러(13a)가 슬라이딩(sliding)하여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일단에 설치된 제1위치감지센서(12b)를 제1승강프레임(23a)의 일측에 설치된 제2위치감지센서(27)로 감지하며, 트롤리(10)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1위치감지센서(12b)을 감지하기 위해 제2위치감지센서(27)는 수광소자가 적용되어 제1위치감지센서(12b)에서 발광된 빛의 감지여부에 따라 트롤리(10)의 이동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트롤리(10)의 피더베이스 브라켓(12)에 설치된 제1위치감지센서(12b)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건전지나 축전지(도시 않음) 등이 사용된다. 트롤(10)이 이동이 완료되면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 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제1승강프레임(23a)의 타측에 수직이동감지센서(28)가 설치된다.
수직이동감지센서(28)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적용되어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누르면 이를 감지하여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의 수직이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여부를 각각의 센서(27)(28)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표면실장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않음)에서 수신 받아 판별하게 된다.
픽킹위치의 정밀도를 유지시켜 트롤리(10: 도 1에 도시됨)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기 위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1구동블럭(23b)을 제1링크부재(22)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링크부재(22)의 일측에는 제1링크홀(2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3링크홀(22d)가 형성되며, 제3링크홀(22d)에서 내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 제2링크홀(22c)이 형성된다. 제1링크홀(22b)은 제1공압장치(21)의 제1로드부재(21c)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롤러베어링(22a)이 힌지(24a)와 너트(24c)로 결합 설치되어 제1로드부재(21c)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롤러베어링(22a)이 회전하여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며, 제3링크홀(22d)이 제1승강프레임(23a)의 타측의 저면에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제3링크홀(22d)은 제1구동블럭(23b)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캠팔로우어(cam follower)(22e)로 결합되어 설치된다.
롤러베어링(22a)이 결합되는 제1링크홀(22b)과 캠팔로우어(22e가 결합되는 제2링크홀(22c)은 각각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제1로드부재(21c)의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에 의해 롤러베어링(22a)이나 캠팔로우어(22e)가 각각 그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제1승강장치(20)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 7a 내지 도 7d에서와 같이 제1링크부재(22)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구동블럭(23b)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실린더(21b)에 의해 제1로드부재(21c)가 즉, 도 7a 및 도 7c에서와 같이 롤러베어링(22a: 도 2에 도시됨)이나 캠팔로우어(22e: 도 2에 도시됨)가 각각 제1링크홀(22b: 도 2에 도시됨)과 제2링크홀(22c: 도 2에 도시됨)의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실린더(21b)에 의해 제1로드부재(21c)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도 7b 및 도 7d에서와 같이 롤러베어링(22a)이나 캠팔로우어(22e)가 각각 제1링크홀(22b)과 제2링크홀(22c)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구동블럭(23b: 도 2에 도시됨)이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23c: 도 2에 도시됨)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피더베이스 브라켓(12: 도 1에 도시됨)게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트롤리(10: 도 1에 도시됨)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게 된다.
제1승강장치(20)에 의해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트롤리(10)의 복수개의 아암(1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코넥터(15)와 제2코넥터(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코넥팅장치(30)가 사용된다. 코넥팅장치(3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피더베이스 브라켓(12: 도 1에 도시됨)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동안에 트롤리(10: 도 1에 도시됨)에 설치된 제1코넥터(15: 도 1에 도시됨)로 제2코넥터(35)를 통해 제1코넥터(15)로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코넥팅수단인 코넥팅장치(30)는 코넥팅공압장치(32)를 통해 제2코넥터(3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코넥터(15)와 결합시킨다.
제1코넥터(15)에 제2코넥터(31)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시키는 코넥팅장치(30)는 실린더가 적용되는 코넥팅공압장치(32)가 복수개의 제1승강장치(20)의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제1코넥팅연결부재(36)로 결합되어 설치되며, 코넥팅공압장치(32)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하는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33)(34)가 설치되고,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33)(34)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결합된 제2코넥팅연결부재(37)에 제2코넥터(31)가 설치된다.
제2코넥팅연결부재(37)는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33)(34)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어 제2코넥터(31)는 코넥팅공압장치(32)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33)(34)를 통해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 제1코넥터(15)와 결합시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2코넥터(31)의 양측단에 각각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핀(35)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핀(35)은 제1코넥터(15)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홈(15a)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먼저, 제1코넥터(15)와 제2코넥터(31)가 결합되기전에 제2코넥터(31)가 수평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여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핀(35)이 복수개의 코넥팅 가이드홈(15a)으로 삽입된 후 이 후 정확하게 제1코넥터(15)와 제2코넥터(35)를 결합시켜 보다 용이하게 제1코넥터(15)와 제2코넥터(31)를 결합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도킹의 해제시 코넥팅공압장치(3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하강함과 아울러 제1실린더(21b)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하여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서 분리한 후 교체하여 교체작업을 자동으로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서 자동으로 도킹시키거나 도킹상태를 해제하여 교체시키기 위한 제1승강장치(20)의 다른 실시예인 제2승강수단인 제2승강장치(20)를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장치(40)는 제2공압장치(41), 제2링크부재(42) 및 제2승강블럭(43)으로 구성된다.
제2공압장치(41)는 제2베이스플레이트(41d)를 기준으로 그 상측에 제2실린더(41a)가 설치되며, 제2실린더(41a)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원형의 로드부재 가이드홀(41c)이 형성된 제2로드부재(41b)가 제2베이스플레이트(41d)를 관통하여 그 하측에 설치된다.
타원형으로 형성된 로드부재 가이드홀(41c)에 힌지핀(42d)에 의해 제2링크부재(42)의 일측이 회동되도록 설치하기 위해 제2링크부재(42)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2회동홀(42b)과 같은 제1회동홀(42a) 및 제3회동홀(42c)을 각각 형성하여 제2회동홀(42b)과 같이 힌지핀(42d)에 의해 로드부재 가이드홀(41c)과 제2구동블럭(43c)에 형성된 구동블럭가이드홀(43d)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로드부재 가이드홀(41c)과 결합되는 구동블럭(32c)이 설치되는 제2승강블럭(43)은 제2승강프레임(43a)의 내측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타원형의 구동블럭가이드홀(43d)이 형성된 제2구동블럭(43c)이 설치되며, 제2링크부재(42)의 회동중심축인 제2회동홀(42b)과 힌지핀(42d)으로 결합되는 회전중심축홀(43e)이 제2승강프레임(43)의 일측형성되며, 제2가이드핀(43e)이 제2승강프레임(43)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승강장치(40)를 이용하여 피더베이스 브라켓(12: 도 1에 도시됨)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먼저, 제2실린더(41a)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제2로드부재(41b)를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상승시킨다. 이 상승에 의해 제2로드부재(41b)에 형성된 로드부재 가이드홀(41c)에 제1회동홀(42a)이 결합되고, 제2회동홀(42b)이 제2승강프레임(43a)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중심축홀(43e)에 결합되며, 제3회동홀(42c)이 제2구동블럭(43c)에 형성된 구동블럭가이드홀(43d)에 각각 힌지핀(42d)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링크부재(42)가 제2회동홀(42a)을 회전중심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제2구동블럭(43c)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구동블럭(43c)에 지지된 피더베이스 브라켓(12)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트롤리(10)를 표면실장기에 자동으로 도킹시킨 후 트롤리(10)의 교체시 제2실린더(41a)를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하강시켜 표면실장기에서 트롤리(10)의 도킹상태를 해제하여 교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롤리를 제1 내지 제2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킴과 아울러 코넥팅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실장기에서 전송되는 전원이나 제어신호 등의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트롤리와 연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트롤리를 교체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위치에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로 이송한 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 도킹시키거나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 교체시킴으로써 표면실장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헤드나 노즐 등과의 충돌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트롤리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에 트롤리를 교체시 자동으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킴과 아울러 코넥팅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실장기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트롤리로 전송되도록 연결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트롤리를 교체하여 작업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위치에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로 이송한 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트롤리를 표면실장기에서 교체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트롤리를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4)

  1. 표면실장기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의 양측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아암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트롤리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아암 샤프트에 각각 설치되며 복수개의 아암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피더로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인터페이스보드와 연결되는 제1코넥터가 설치되는 트롤리;
    표면실장기의 베이스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1링크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제1공압장치의 구동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제1링크부재에 의해 제1링크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지지하는 제1승강블럭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동안에 상기 트롤리의 제1코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제2코넥터를 코넥팅공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코넥팅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트롤리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샤프트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롤러가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각각 코넥팅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코넥터가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 및
    상기 복수개의 아암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단에 인터페이스보드가 설치된 피더베이스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피더베이스를 지지함과 아울러 소정의 위치에 브라켓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단에 제1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는 발광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넥터의 양측단에 각각 복수개의 코넥팅가이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은 각각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제1실린더가 설치되며 제1실린더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제1로드부재가 베이스플레이트을 관통해 상측에 설치된 제1공압장치;
    소정의 위치에 제1가이드핀이 설치된 제1승강프레임의 내측에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에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샤프트에 제1구동블럭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제1승강블럭; 및
    상기 제1로드부재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롤러베어링이 결합 설치되어 제1로드부재의 수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롤러베어링이 회전하여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에 제1링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승강프레임의 타측의 저면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제3링크홀이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구동블럭에 설치된 캠팔로우어로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제3링크홀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링크홀이 형성된 제1링크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트롤리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샤프트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롤러가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각각 코넥팅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코넥터가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압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제1로드부재의 외측에는 카바가 설치되며, 상기 카바와 상기 제1승강블럭에는 상기 트롤리의 복수개의 아암에 각각 설치된 상기 롤러가 슬라이딩하여 이동되도록 가이드레일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바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복수개의 아암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고 전단에 인터페이스보드가 설치된 피더베이스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피더베이스를 지지함과 아울러 소정의 위치에 브라켓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단에 제1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프레임은 상기 트롤리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피더베이스 브라켓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를 감지하기 위해 일측에 설치된 제2위치감지센서와, 상기 피더베이스 브라켓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타측에 설치된 수직이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는 수광소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감지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은 제2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그 상측에 제2실린더가 설치되며, 제2실린더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원형의 로드부재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로드부재가 제2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그 하측에 설치된 제2공압장치와, 상기 로드부재 가이드홀과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제1회동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구동블럭가이드홀과 힌지로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 제2회동홀이 제2승강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중심축홀과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2승강프레임의 내측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구동블럭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구동블록이 설치되고 제2승강프레임의 일측에 회전중심축홀이 형성되는 제2승강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제2승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팅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수단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제1코넥팅연결부재로 설치되는 코넥팅공압장치;
    상기 코넥팅공압장치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제2코넥팅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코넥팅공압장치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제1 및 제2코넥팅로드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을 이동하는 제
    2코넥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넥팅공압장치는 실린더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트롤리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샤프트에 각각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일측에 롤러가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단에 각각 코넥팅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코넥터가 설치된 복수개의 아암을 트롤리에 포함하며,
    상기 제2코넥터는 상기 트롤리가 표면실장기의 내측으로 교체시 상기 제1코넥터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코넥팅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양측단에 각각 코넥팅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KR1020040019804A 2004-03-23 2004-03-23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KR10060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04A KR100608099B1 (ko) 2004-03-23 2004-03-23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04A KR100608099B1 (ko) 2004-03-23 2004-03-23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15A KR20050094615A (ko) 2005-09-28
KR100608099B1 true KR100608099B1 (ko) 2006-08-02

Family

ID=3727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804A KR100608099B1 (ko) 2004-03-23 2004-03-23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6436A (zh) * 2019-11-12 2020-02-28 浙江华企正邦自动化科技有限公司 立式贴片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000A (ja) * 1995-09-27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部の部品一括交換方法と装置及びこれの台車と移載台
KR20020054925A (ko) * 2000-12-28 2002-07-08 이중구 피더교체시스템
JP2003179387A (ja) 2001-12-11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部一括交換用カ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000A (ja) * 1995-09-27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部の部品一括交換方法と装置及びこれの台車と移載台
KR20020054925A (ko) * 2000-12-28 2002-07-08 이중구 피더교체시스템
JP2003179387A (ja) 2001-12-11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供給部一括交換用カ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6436A (zh) * 2019-11-12 2020-02-28 浙江华企正邦自动化科技有限公司 立式贴片机
CN110856436B (zh) * 2019-11-12 2020-11-10 浙江华企正邦自动化科技有限公司 立式贴片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15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14422A (zh) 一种电路板测试系统
CN107416522B (zh) 铜箔贴装机的自动上下料系统
EP0496995B1 (en) Parts assembling device
JPWO2021030647A5 (ko)
JP6535182B2 (ja) 台車装置及び作業システム
JP5094145B2 (ja) 棚装置及び製品パレットへのワーク載置方法
KR100608099B1 (ko)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KR100764984B1 (ko) 부품 경사 공급장치
JP2009231734A (ja) 表面実装機および表面実装機用の保護カバー
US6497440B2 (en) Gripper for parts having different shape in surface mount device
KR101312495B1 (ko) 인쇄회로기판 자동 클램프 바스켓 로더 및 언로더용 회전장치
CN112154070B (zh) 清扫单元及印刷装置
JP5223819B2 (ja) 基板固定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608100B1 (ko) 표면실장기의 트롤리 교체장치
JP5863957B2 (ja) 部品実装機の部品供給ユニットの取付装置
CN214140560U (zh) 一种自动放板机
JP2019067834A (ja) 部品実装装置、部品実装ライン、部品実装装置による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ラインによる部品実装方法
KR101594083B1 (ko) 전자 부품 제조 장치
KR20090028424A (ko) 부품 실장 장치의 대차 위치 결정 기구 및 대차
KR100324006B1 (ko) 간격조절기능을가지는모듈디바이스용척킹장치
CN113510722A (zh) 一种钢板搬运平衡系统的工业机器人
KR100745501B1 (ko) 피더교체시스템
WO2021014545A1 (ja) トレイ式部品供給装置
JP2011073594A (ja) 組立搬送設備
JP4913694B2 (ja) 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