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549B1 - 부품보관용 팔레트 - Google Patents

부품보관용 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549B1
KR102334549B1 KR1020210085364A KR20210085364A KR102334549B1 KR 102334549 B1 KR102334549 B1 KR 102334549B1 KR 1020210085364 A KR1020210085364 A KR 1020210085364A KR 20210085364 A KR20210085364 A KR 20210085364A KR 102334549 B1 KR102334549 B1 KR 10233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ase
horizontal frame
c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훈
임장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울
Priority to KR102021008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가 삽입고정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를 지지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부품이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은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1공간과 후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이스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제1공간은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부의 제1-1공간과 하부의 제1-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1공간은 상기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에 배치되는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2공간은 제2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종의 부품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레트의 이동에도 쉽게 케이스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작업자가 케이스의 각 구역에 보관된 부품의 소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보관용 팔레트{Pallet for loading parts}
본 발명은 부품보관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생산 현장이나 물품 보관 창고 등에서 각종 물품의 보관과 운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는 이동용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팔레트를 들 수 있다.
최근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제품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 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부품의 형상이 다양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조립 현장에서는 부품 공급 방법에 대해서 자동화와 분업화가 촉진되고 있으며,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컨베이어시스템이다.
특히, 자동차나 에어컨 또는 냉장고 등과 같은 비교적 사이즈가 큰 제품이나 이들 제품 또는 그 보다 큰 제품에 소요되는 부품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품 본체가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게 하면서 일정 구간마다 고유의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자들이 위치하여 이동하는 제품 본체를 따라가면서 특정 부품만을 전문적으로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자신의 일측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을 조립부품용 박스에 담아 놓고 작업자가 해당 부품을 1개씩 손으로 취출하여 조립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에 가까이 조립할 부품을 적재시키게 되면 작업자의 주변 환경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들이 담긴 조립부품용 박스를 작업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이나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보관용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종의 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작업자가 적재된 부품의 접근이 쉬운 부품보관용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가 삽입고정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를 지지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1공간과 후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이스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제1공간은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부의 제1-1공간과 하부의 제1-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1공간은 상기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에 배치되는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2공간은 제2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베이스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상기 케이스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파워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2공간을 가로로 구분하는 제3가로프레임에 의해 상부의 제2-1공간과 하부의 제2-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1공간은 상기 제2-1공간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1세로프레임에 의해 좌측의 제2-11공간과 우측의 제2-1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2공간은 상기 제2-2공간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2세로프레임에 의해 좌측의 제2-21공간과 우측의 제2-2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가로프레임은 상기 제2-11공간과 제2-21공간을 구분하는 제3-1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12공간과 제2-22공간을 구분하는 제3-2가로프레임;을 포함되고, 상기 제3-1가로프레임 및 제3-2가로프레임 각각은 제2힌지를 통해 상기 중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1가로프레임 및 제3-2가로프레임 각각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기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기는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수평상태의 상기 제3-1가로프레임과 제3-2가로프레임을 상기 제2힌지를 기준으로 90도 상방회전시키거나 90도 상방회전된 상기 제3가로프레임을 90도 하방회전시키고, 상기 제2-11공간 및 제2-12공간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케이스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1공간 및 제2-22공간 각각에는 상기 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능한 면이 상기 제1베이스의 전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능한 면이 상기 제1베이스의 전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1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1가이드삽입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삽입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종의 부품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1베이스를 들어올리는 파워베이스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팔레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케이스의 각 구역에 보관된 부품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됨으로써, 팔레트의 이동에도 쉽게 케이스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작업자가 케이스의 각 구역에 보관된 부품의 소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케이스는 팅딩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팔레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케이스에 보관된 부품을 꺼내기 위하여 팔레트의 하면으로 이동 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 작업자의 동선이 짧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평프레임과 함몰부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조절부 작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3각조절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의 일측의 부분도이다.
도 10은 제2-21 및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케이스가 슬라이딩 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종의 부품의 보관이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며, 작업자가 적재된 부품의 접근이 쉬운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팔레트는 조립공장 내에서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자동차 등의 제품의 본체에 일정 구간마다 고유의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자들이 위치하여 이동하는 제품 본체를 따라가면서 부품을 전문적으로 조립함에 있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종의 부품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의 프레임(110)을 도시한 것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의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는 제1베이스(120), 제2베이스(170), 상기 제2베이스(170)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120)는 복수 개의 프레임(110)이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190)가 삽입고정되는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121)은 상기 제1베이스(120)의 중심면(A)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1공간(121a)과 후측의 제2공간(121b)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공간(121a)은 제1가로프레임(115)에 의해 상부의 제1-1공간(121a-1)과 하부의 제1-2공간(121a-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1공간(121a-1)은 상기 제1가로프레임(115)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120)의 중심면(A)에 배치되는 중앙프레임(119)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2공간(121a-2)은 제2가로프레임(116)에 의해 상기 중앙프레임(119)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제1-1공간(121a-1)은 상기 제1-1공간(121a-1)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1-1세로프레임(111)에 의해 좌측의 제1-11공간(121a-11)과 우측의 제1-12공간(121a-1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2공간(121a-2)은 상기 제1-2공간(121a-2)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1-2세로프레임(112)에 의해 좌측의 제1-21공간(121a-21)과 우측의 제1-22공간(121a-22)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가로프레임(115)은 상기 제1-11공간(121a-11)과 제1-21공간(121a-21)을 구분하는 제1-1가로프레임(115a) 및 상기 제1-12공간(121a-12)과 제1-22공간(121a-22)을 구분하는 제1-2가로프레임(115b)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가로프레임(116)은 상기 제1-21공간(121a-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상기 제1-22공간(121a-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2가로프레임(116b)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가로프레임(115)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는 0도 내지 30도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로프레임(116)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는 0도 내지 30도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로프레임(115) 및 제2가로프레임(116)은 각조절부(140)에 의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평프레임(119c)과 함몰부(150)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조절부(140)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는 각조절부(140)가 고정된 모습을 도 6의 (b)는 각조절부(140)가 해제된 모습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조절부(14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3각조절부(140c)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각조절부(140) 각각은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제2-2가로프레임(116b) 각각이 상기 중앙프레임(119)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0도 내지 30도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조절부(140)는 상기 고정부(144)가 안착 가능한 복수 개의 거치부(118-2)가 일측면에 마련되는 각조절프레임(118)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각조절부(140)는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의 일측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범위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조절부(140a), 상기 제1-2가로프레임(115b)의 일측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범위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2가로프레임(115b)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각조절부(140b),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의 일측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범위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3각조절부(140c) 및 상기 제2-2가로프레임(116b)의 일측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범위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2가로프레임(116b)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4각조절부(140d)로 구성된다.
상기 각조절프레임(118)은 상기 제1-11공간(121a-11)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10) 중 상기 제1베이스(120)의 일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제1각조절부(140a)의 이동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제1각조절프레임(118a), 상기 제1-12공간(121a-12)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10) 중 상기 제1베이스(120)의 타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제2각조절부(140b)의 이동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제2각조절프레임(118b), 상기 제1-21공간(121a-21)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10) 중 상기 제1베이스(120)의 일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제3각조절부(140c)의 이동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제3각조절프레임(118c) 및 상기 제1-22공간(121a-22)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110) 중 상기 제1베이스(120)의 타모서리에 배치되되, 상기 제4각조절부(140d)의 이동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제4각조절프레임(118d)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프레임(111)과 제1-2세로프레임(11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상기 제1각조절부(140a), 제2각조절부(140b), 제3각조벌부 및 제4각조절부(140d)의 일부분이 삽입가능한 복수 개의 통공(12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각조절부(140a), 제2각조절부(140b), 제3각조절부(140c), 제4각조절부(140d) 각각은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제2-2가로프레임(116b) 각각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41)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통공(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각조절부(140a), 제2각조절부(140b), 제3각조절부(140c), 제4각조절부(140d) 각각은 일부분이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제2-2가로프레임(116b)의 내부공간(121)을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부재(141)를 관통하는 막대형상의 몸체(142), 상기 몸체(142)의 타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손잡이(143) 및 상기 몸체(142)와 손잡이(143) 사이에 형성되는 직육면체형상의 고정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42)는 몸체(142)의 어느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재(142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141)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되, 상기 탄성부재(141)의 일측은 결합부재(142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42)를 일측으로 당기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재(14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142)의 일부분은 원위치로 회복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통공(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각조절부(140)와 연결된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제2-2가로프레임(1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위치가 고정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42)가 일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각조절부(140)와 연결된 상기 제1-1가로프레임(115a),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제2-2가로프레임(11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제1각조절프레임(118a), 제2각조절프레임(118b), 제3각조절프레임(118c) 및 제4각조절프레임(118d) 각각은 상기 본체가 통과가능한 개통부(122)를 중앙에 두고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각조절프레임본체(118-1)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18-2)는 상기 각조절프레임(118)의 일측면을 따라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 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통부(122)의 폭은 손잡이(143)의 외경보다 좁으면서 상기 고정부(144)의 세로길이(B1)보다는 넓고 상기 고정부(144)의 가로길이(B2)보다는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제1-1가로프레임(115a)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조절부(140a)만을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원리로 제1-2가로프레임(115b),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제2-2가로프레임(116b)의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프레임(119)은 상기 제1베이스(12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1중앙프레임(119a), 상기 두 개의 제1중앙프레임(119a) 사이에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세로로 배치되는 세 개의 제2중앙프레임(119b), 상기 제2중앙프레임(119b)을 서로 연결하되, 각각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제1베이스(120)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복수 개의 원통형상의 수평프레임(119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 제2-2가로프레임(116b) 일측면에는 상기 수평프레임(119c)이 삽입가능하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150)는 함몰된 깊이의 중앙까지는 일정한 너비로 함몰되다가 함몰된 깊이의 중앙에서부터 단면이 반원형상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19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함몰부(150)에 삽입되면 상기 함몰부(150)의 중앙을 지나면서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 또는 제2-2가로프레임(116b)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함몰부(150)의 반원형상에 맞닿아 함몰부(15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제2-2가로프레임(116b)은 제3각조절부(140c)와 제4각조절부(140d)에 의해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제2-2가로프레임(116b)이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 및 제2-2가로프레임(116b)에 구비되는 함몰부(150)에 수평프레임(119c)을 삽입시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하면서 고정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제1-21공간(121a-21)에 구비되는 제2-1가로프레임(116a)가 최하단의 수평프레임(119c)과 결합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30도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제1-21공간(121a-21)에 구비되는 제2-1가로프레임(116a)가 중간의 수평프레임(119c)과 결합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15도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의 (c)는 제1-21공간(121a-21)에 구비되는 제2-1가로프레임(116a)가 최상단의 수평프레임(119c)과 결합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0도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2가로프레임(116b)도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과 동일한 원리로 그 높이를 조절될 수 있고,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0도 내지 30도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1가로프레임(116a)과 제2-2가로프레임(116b)의 배치되는 높이 및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작업 환경 및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케이스(190)의 위치와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동선을 최대한 짧게 하고, 부품을 케이스(190) 내부에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90)는 내부에 부품이 보관되는 보관공간(121)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90)의 보관공간(121)은 내부에 보관 및 수납되는 부품의 크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스(190)는 상기 제1공간(121a)과 제2공간(121b)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이스(120)의 프레임(11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170)는 상기 제1베이스(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120)를 지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팔레트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120)와 제2베이스(170) 사이에는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베이스(120)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상기 케이스(190)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파워베이스(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베이스(16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치환하여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장치로, 종래 이용되는 통상의 파워베이스(160)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베이스(1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워베이스(160)는 수동 또는 전기적 신호를 사용한 전동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워베이스(160)가 제1베이스(120)를 들어올릴 수 있어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팔레트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케이스(190)의 각 구역에 보관된 부품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의 일측을 도시한 부분도로서, 도 9의 (a)는 제3-1가로프레임(117a)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평상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b)는 제3-1가로프레임(117a)이 90도 틸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공간(121b)은 상기 제2공간(121b)을 가로로 구분하는 제3가로프레임(117)에 의해 상부의 제2-1공간(121b-1)과 하부의 제2-2공간(121b-2)으로 구분되고,상기 제2-1공간(121b-1)은 상기 제2-1공간(121b-1)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1세로프레임(113)에 의해 좌측의 제2-11공간(121b-11)과 우측의 제2-12공간(121b-1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2공간(121b-2)은 상기 제2-2공간(121b-2)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2세로프레임(114)에 의해 좌측의 제2-21공간(121b-21)과 우측의 제2-22공간(121b-22)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3가로프레임(117)은 상기 제2-11공간(121b-11)과 제2-21공간(121b-21)을 구분하는 제3-1가로프레임(117a) 및 상기 제2-12공간(121b-12)과 제2-22공간(121b-22)을 구분하는 제3-2가로프레임(117b)을 포함하고, 상기 제3-1가로프레임(117a) 및 제3-2가로프레임(117b) 각각은 상기 중앙프레임(119)에 힌지(12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1가로프레임(117a) 및 제3-2가로프레임(117b) 각각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기(130)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기(130)는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수평상태의 상기 제3-1가로프레임(117a)과 제3-2가로프레임(117b)을 상기 힌지(123)를 기준으로 90도 상방회전시키거나 90도 상방회전된 상기 제3가로프레임(117)을 90도 하방회전시키고, 상기 제2-11공간(121b-11) 및 제2-12공간(121b-12)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케이스(19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은 제2-21 및 제2-22공간(121b-22)에 구비되는 케이스(190)가 슬라이딩 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21공간(121b-21) 및 제2-22공간(121b-22) 각각에는 상기 케이스(19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21공간(121b-21)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90)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190)의 뚜껑이 상기 제1베이스(120)의 전측을 향하고 있다.
상기 제2-22공간(121b-22)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90)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190)의 뚜껑이 상기 제1베이스(120)의 전측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21공간(121b-21)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90)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190)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1공간(121b-21)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1가이드레일(123)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123)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1가이드삽입레일(192,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2공간(121b-22)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190)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190)가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2공간(121b-22)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삽입레일(193,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3)과 제1가이드삽입레일(192, 미도시)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삽입레일(193, 미도시)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부품보관용 팔레트(100)는 부품이 보관된 상기 케이스(190)가 공간(121)에 삽입된 채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인운송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무인운송부(200)는 QR코드, 광학카메라를 통해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복수 개의 무인운송부(20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 통신하면서 이동경로 및 이동속도가 제어하는 내부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š, 무인운송부(200)는 상기 제2베이스(170)의 하측에서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의 이송을 위해 상기 팔레트를 상측으로 일정 범위에서 들어올릴 수 있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무인운송부(200)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품보관용 팔레트(100)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스(19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다종의 부품들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19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프레임(110)들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구비됨으로써, 팔레트의 이동에도 쉽게 케이스(190)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작업자가 케이스(190)의 각 구역에 보관된 부품의 소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팔레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케이스(190)는 팅딩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팔레트의 하면에 구비되는 케이스(190)에 보관된 부품을 꺼내기 위하여 팔레트의 하면으로 이동 할 필요가 없어 작업 시 작업자의 동선이 짧아져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부품보관용 팔레트
110 : 프레임
120 : 제1베이스
130 : 완충기
140 : 각조절부
150 : 함몰부
160 : 파워베이스
170 : 제2베이스
180 : 바퀴
190 : 케이스
200 : 무인운송부

Claims (5)

  1. 복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가 삽입고정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1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베이스를 지지하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1공간과 후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공간과 제2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베이스의 프레임과 결합하고,
    상기 제1공간은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부의 제1-1공간과 하부의 제1-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1공간은 상기 제1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1베이스의 중심면에 배치되는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1-2공간은 제2가로프레임에 의해 상기 중앙프레임을 향해 하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2공간을 가로로 구분하는 제3가로프레임에 의해 상부의 제2-1공간과 하부의 제2-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1공간은 상기 제2-1공간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1세로프레임에 의해 좌측의 제2-11공간과 우측의 제2-1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2공간은 상기 제2-2공간을 세로로 구분하는 제2-2세로프레임에 의해 좌측의 제2-21공간과 우측의 제2-22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가로프레임은,
    상기 제2-11공간과 제2-21공간을 구분하는 제3-1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12공간과 제2-22공간을 구분하는 제3-2가로프레임;을 포함되고,
    상기 제3-1가로프레임 및 제3-2가로프레임 각각은 제2힌지를 통해 상기 중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1가로프레임 및 제3-2가로프레임 각각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기가 설치되고,
    상기 완충기는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수평상태의 상기 제3-1가로프레임과 제3-2가로프레임을 상기 제2힌지를 기준으로 90도 상방회전시키거나 90도 상방회전된 상기 제3가로프레임을 90도 하방회전시키고,
    상기 제2-11공간 및 제2-12공간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부품보관용 팔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신장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제1베이스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상기 케이스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파워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부품보관용 팔레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21공간 및 제2-22공간 각각에는 상기 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는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능한 면이 상기 제1베이스의 전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 완료되면 상기 케이스의 개구 가능한 면이 상기 제1베이스의 전측을 향하고 있는 부품보관용 팔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1공간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1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1가이드삽입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케이스가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2-22공간에 구비되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제2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가이드삽입레일이 형성되는 부품보관용 팔레트.
KR1020210085364A 2021-06-30 2021-06-30 부품보관용 팔레트 KR10233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64A KR102334549B1 (ko) 2021-06-30 2021-06-30 부품보관용 팔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64A KR102334549B1 (ko) 2021-06-30 2021-06-30 부품보관용 팔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549B1 true KR102334549B1 (ko) 2021-12-02

Family

ID=7886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64A KR102334549B1 (ko) 2021-06-30 2021-06-30 부품보관용 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737B1 (ko) * 1995-09-27 2001-11-30 모리시타 요이찌 부품공급부에서부품을일괄교환하는방법및그대차와이송랙
KR200431994Y1 (ko) * 2006-09-08 2006-11-27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KR101339254B1 (ko) * 2012-06-11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조립 라인용 양면형 키트 대차
KR101922673B1 (ko) * 2018-08-28 2018-11-27 이윤성 지진을 대비한 안전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737B1 (ko) * 1995-09-27 2001-11-30 모리시타 요이찌 부품공급부에서부품을일괄교환하는방법및그대차와이송랙
KR200431994Y1 (ko) * 2006-09-08 2006-11-27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KR101339254B1 (ko) * 2012-06-11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조립 라인용 양면형 키트 대차
KR101922673B1 (ko) * 2018-08-28 2018-11-27 이윤성 지진을 대비한 안전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3612B (zh) 用於運送儲存倉的機器人
KR102401184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KR102441880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KR102401195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US20160176633A1 (en) Automated warehous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KR101292299B1 (ko) 이동 판매차
US3635173A (en) Self-leveling dispenser
CN111232871B (zh) 一种立体仓储自动起重机防晃动装置
KR102334549B1 (ko) 부품보관용 팔레트
CN113002928B (zh) 单元化容器、收容盘控制器和货物装箱方法
KR101827337B1 (ko) 자동차 도아프레임 팔레트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KR200482780Y1 (ko) 박스 적재장치
US20220204263A1 (en) Bi-Directional Shuttle
CN209834104U (zh) 一种装箱机系统
JP6841250B2 (ja) 自動倉庫
CN111392312A (zh) 一种基于爬升机器人的层高调节式仓储货架及其控制方法
KR101010705B1 (ko) 상자형 파렛트
KR102676121B1 (ko) 차량용 휠체어 적재장치
KR102536843B1 (ko) 부품을 이송하기 위한 팔레트대차
KR102298857B1 (ko)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CN220577294U (zh) 一种物流台车的分层装置
JP3108573U (ja) 運搬台車装置
CN219905610U (zh) 一种货架辅助上料装置及货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