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994Y1 - 부품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부품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994Y1
KR200431994Y1 KR2020060024241U KR20060024241U KR200431994Y1 KR 200431994 Y1 KR200431994 Y1 KR 200431994Y1 KR 2020060024241 U KR2020060024241 U KR 2020060024241U KR 20060024241 U KR20060024241 U KR 20060024241U KR 200431994 Y1 KR200431994 Y1 KR 200431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late
cart
bottom pla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석
임방훈
임효연
Original Assignee
임용석
임방훈
임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석, 임방훈, 임효연 filed Critical 임용석
Priority to KR2020060024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9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부품들의 운반 및 보관에 사용되는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부품 운반용 카트는, 다수의 이동용 바퀴(W)가 결합된 바닥판(21)과; 바닥판(21)직상에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판(22)과; 바닥판(21)과 상판(22) 각각의 네 모서리부에 관통 결합하는 두 쌍의 포스트(23)와; 후방측 두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동시에 수평 상태에서 후방단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방단부를 상향 회동이 가능토록 후방측 두 포스트에 각각 결합된 다수의 선반프레임(24) 등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부품 운반용 카트는, 각 단의 선반프레임에 확보된 적치 공간을 부품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운반시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카트, 파레트, 선반, 부품 운반

Description

부품 운반용 카트{Cart for carrying various parts}
도 1은 종래 부품 운반용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 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 카트의 부분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바닥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조립식 바닥판의 사시도이고,
(나)는 평판형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바닥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포스트의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선반프레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선반프레임을 보인 것으로,
(가)는 정면 구조도이고,
(나)는 측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 실시예 카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카트를 구성하는 실시예 후방 포스트에 레일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바닥판 22. 상판 21A. 가로부재
21B. 세로부재 21C. 판재 23. 포스트
23A. 연결부재 23A1. 하부지지판 23A2. 하부소켓
23A3. 적층캡 23B. 직립부재 23C. 적층부재
23C1. 상부지지판 23C2. 상부소켓 23C3. 적층로드
24. 선반프레임 24A. 경첩 24A1,24A2. 경첩부재
24B. 레일부재 24C. 구획부재 24C1. 이동부재
24C2. 가이드부재 24D. 유동방지부재 24D1. 수직부
24D2. 수평부 25. 지지바 26. 지지부재
B. 판재 H. 포스트 결합공 H1. 중공
S. 정지부재 W. 바퀴
본 고안은, 전자 제품이나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운반시 부품의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배치된 각 부품 적치 공간을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부품을 효율적으로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부품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생산 현장이나 물품 보관 창고 등에서 각종 물품의 보관과 운반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는 이동용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파레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파레트는, 바닥에 놓여지는 하단 받침대의 위에 물품이 놓여지는 상단 받침대가 결합된 2단 구조의 받침대로서, 상·하단 받침대 사이로 운반기구를 넣어 들어올린 후 운반을 하게 되는 바, 주로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파레트에 적재되는 물품은 육면체형, 기둥형 등과 같이 여러층으로 적층 적재하기 쉬운 형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적층 적재하기가 어려운 물품은 박스에 넣은 상태에서 파레트에 적재되거나, 파레트의 상단 받침대에 박스가 일체로 결합된 파레트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산업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레트는, 그 자체가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지게차 등과 같은 별도의 운반 수단이 필요로 되며, 운반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부품의 크기가 작거나, 서로 평행한 상면과 저면을 가지고 있지 못한 형상을 가진 부품의 경우에는 별도의 박스 등에 부품들을 넣은 후 파레트를 이용하여야만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공장 내에서 부품들을 그때 그때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는, 저면에 다수의 바퀴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부품 운반용 카트(cart)가 사용되고 있는 바, 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부품 운반용 카트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이동용 바퀴(W)들이 결합된 사각 판상의 바닥판(11)과; 바닥판(11) 상면 모서리부에 각각 직립하며, 상단부에 적층컵(C)이 구비된 다수의 포스트(12)와; 바닥판(11) 상면 테두리부와 포스트(12)들에 결합되어 측벽의 역할을 하는 금속망(13) 등으로 구성되며, 바닥판(11)의 저면에는 적층바(B)가 하향 돌출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포스트(12)와 적층바(B)는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바닥판(11)에 관통 결합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카트는, 금속망(13)에 둘러싸인 바닥판(11) 상면 직상의 공간이 부품 적재 공간이 되는데, 이 공간에 다수의 부품을 적재하게 되고, 그 부품들이 대량일 경우에는 다수의 카트를 적층하게 되는데, 카트의 적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 상기 적층바(B)와 적층컵(C)이다.
즉, 하단 카트의 각 적층컵(C) 내부 바닥면에 각 적층바(B)의 하단면이 놓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카트는, 박스에 넣어진 부품이나 표면 스크래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부품들에 적당한 구조로서, 부품들이 적재된 상태에서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카트 운반이나, 적재시 부품들간의 유동 및 접촉에 의해 필연적으로 표면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카트는 한대당 하나의 적재 공간만이 있기 때문에 한 종류의 부품만을 운반해야 하는 바, 부품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운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적재 공간을 다수로 분리할 수 있는 카트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적재 공간만을 다수로 분리할 뿐, 분리된 적재 공간에는 다수의 부품들이 함께 적재되기 때문에 운반시 부품들의 유동에 의한 표면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전자 제품의 경우 그 부품의 수가 많으며, 그 크기도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표면 스크래치가 발생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운반시 부품들이 서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함은 물론, 가능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면서도 다량의 부품을 함께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마땅한 구조의 카트가 없는 실정이다.
물론, 다단의 선반을 갖춘 카트가 있기는 하나, 각 선반의 위치가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부품들을 함께 운반 및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운반시 각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다.
본 고안은, 각종 부품을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각종 파레트나 카트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동시에 분리 운반은 문론, 운반시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의 크기에 따라 각 부품별 적치 공간을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부품 운반용 카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수평 상태에서 그 직상부에서만 회동이 가능한 선반프레임과, 선반프레임 내에서 결합 위치의 조절이 자유로운 구획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부품 운반용 카트는, 부품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면서 다수의 부품을 운반 또는 보관할 수도 있도록 하여 주며, 부품의 크기에 따라 적치 공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반을 위한 이동시 적치된 부품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카트는, 저면에 다수의 이동용 바퀴가 결합되며 사각 형상의 판체 또는 보드의 외형을 이루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직립 결합된 두 쌍의 포스트와;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에 후방단부의 양 측이 1:1 대응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선반프레임과; 각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 모서리부가 관통 결합되는 상판 등으로 구성되는 바, 각각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은, 적절한 강도를 가진 한장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조립할 수 있는 동시에 분해 가능토록 함으로써 보관이 용이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만드는 것도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평면도 상에서, 상대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수 배 이상 상대적으로 긴 사각 형상의 다수 가로부재와, 다수의 세로부재로 구성하고, 가로 및 세로부재들이 서로 직교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저면에 다수의 이용용 바퀴가 결합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포스트는, 그 상·하단부가 상기 상판과 바닥판 각각의 네 모서리부에 구비된 각 포스트 결합공에 각각 관통 결합되는데, 바닥판의 저면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포스트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연결부재와, 바닥판의 포스트 결합공 상단 개방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연결부재와 나사 결합하는 직립부재와, 직립부재의 상단면에 결합되어 상판을 관통하는 적층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바닥판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되는 판상의 하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의 저면에 고정 결합된 하향 개방형의 적층캡과, 하부지지판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포스트 결합공 내로 삽입되며 내주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된 원통형 하부소켓으로 구성되고, 직립부재는, 원형 관체, 봉 등과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며 단면 칫수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스틱 또는 바형으로써, 직립부재의 하단부 외주면이 연결부재의 하부소켓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적층부재는, 상기 직립부재의 상단면에 결합되어 상판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되는 상부지지판과, 상부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판의 포스트 결합공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소켓과, 상부소켓의 내주면에 하단부 외주면이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상판의 상면 위로 돌출되는 적층로드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카트를 적층시 상단 카트의 적층캡이 하단 카트의 적층 로드 상단면에 올려지게 되며, 이러한 적층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부 재의 적층캡은 하향 개방되는 상향 볼록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선반프레임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후방단부 양 측이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에 각각 분리 가능한 동시에 포스트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토록 다수가 다단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각 선반프레임은, 후방단부 양 측에 경첩이 각각 결합되는 바, 각 경첩을 구성하는 일측 경첩부재는 선반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 경첩부재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타측 경첩부재는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후방측 포스트에 관통 결합되며, 타측 경첩부재는 그 외면으로부터 포스트가 관통하는 통공측으로 관통 결합하는 볼트 등의 정지부재에 의해 포스트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두 경첩부재는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180°까지만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선반프레임은, 전방측 포스트가 아닌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에만 결합되는 바, 상기와 같이 두 경첩부재를 180°까지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선반프레임 후방단부 양 측에 각각 구비된 경첩부재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후방측 포스트 외주면의 적절한 곳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반프레임은 경첩의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단부를 수평면 직상 방향에서는 회동시킬 수 있으나, 수평면 직하 방향으로는 회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두 경첩부재의 회동 각도를 180°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선반프레임이 수평면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선반프레임의 전방단부를 수평면 직상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선반프레임에 제품의 적치 또는 인출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판은, 바퀴를 제외하고는 바닥판과 동일한 구조로서, 바닥판과 함께 두 쌍의 포스트를 안정적으로 직립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두 쌍의 포스트 중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는 바닥판과 선반프레임의 후방측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이루나, 전방측 한 쌍의 포스트는 바닥판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직립 구조를 가질 수 없는 바, 네 포스트 모두의 상단부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포스트들이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부품 운반용 카트의 사시도를, 도 3에 부분 측면도를, 도 4에 바닥판의 사시도를, 도 5에 바닥판의 단면도를, 도 6에 포스트의 분해도를, 도 7에 선반프레임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도 8에 선반프레임의 구조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품 운반용 카트는,
저면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된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과 평행하도록 바닥판(21)의 직상에 위치하는 상판(22)과;
상기 바닥판(21)과 상판(22)의 네 모서리부에 상·하단부가 각각 관통 결합 하여 직립한 두 쌍의 포스트(23)와;
상기 두 쌍의 포스트(23) 중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및 전방단부가 수평 방향 직상에서 회동 가능토록 후방단부의 양 측이 한 쌍의 후방측 포스트에 1:1 대응하여 각각 결합되며, 바닥판(21)과 상판(22) 사이에서 다단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선반프레임(2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카트의 각 구성 요소를 좀더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판(21)과 상판(22)은, 한장의 판재(21C)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양한 크기로의 조립 등을 위하여, 폭보다 길이가 수배 이상 상대적으로 긴 사각 평면 형상을 하는 다수의 가로부재(21A)와, 가로부재(21A)와 적층 직교하여 결합되며 가로부재(21A)와 같이 폭보다 길이가 수배 이상 상대적으로 긴 사각 평면 형상의 세로부재(21B) 다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각각(21)(22)의 네 모서리부에는 두 쌍의 포스트(23)를 관통 결합시키기 위한 포스트 결합공(H)이 관통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바닥판(21)과 상판(22)을 조립식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부품들의 하중에 의해 적재 보관이나 이송 중 바닥판(21)과 상판(22)이 뒤틀릴 수도 있다.
따라서, 조립식의 경우 바닥판(21)과 상판(22)의 조립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이 필수적일 수도 있는 바, 이는 이미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 예를 들어, 금속 보강판을 덧대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포스트(23)는, 연결부재(23A)와, 직립부재(23B) 및 적층부재(23C)로 구성되 는데, 연결부재(23A)는, 바닥판(21)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 결합되는 하부지지판(23A1)과, 하부지지판(23A1)의 상면에 직립 결합되어 바닥판(21)의 포스트 결합공(H) 내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소켓(23A2) 및 하부지지판(23A1)의 저면에 결합된 적층캡(23A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직립부재(23B)는, 포스트(23)의 몸체로서 그 하단부가 상기 하부소켓(23A2)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단면 칫수에 비하여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로드, 바, 파이프 등의 스틱 형상을 한다.
또한, 적층부재(23C)는, 상기 직립부재(23)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상판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 결합되는 상부지지판(23C1)과, 상부지지판(23C1)의 상면에 직립 결합되어 상판(22)의 포스트 결합공(H) 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소켓(23C2) 및 상부소켓(23C2)의 내주면에 하단부 외주면이 나사 결합하는 적층로드(23C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소켓(23A2)과 상부소켓(23C2)은 각각 바닥판(21) 및 상판(22)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하부소켓(23C2)(23A2)의 내주면에 적층로드(23C3) 및 직립부재(23B)의 외주면이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적층로드(23C3)와 직립부재(23B)의 각 내주면에 상·하부소켓(23C2)(23A2)의 외주면이 결합되는 반대 구조로 만들 수도 있으며, 나사 결합 외에도, 다양한 결합 구조가 있으나, 조임력과 결합 안정성 및 분해 조립 등의 측면에서는 나사 결합식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트의 이동시 바닥과 접촉하지 않도록 연결부재(23A)의 적층캡(23A3) 하단면이 바닥판(21)의 저면에 결합된 바퀴(W)의 하단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카트들을 적층시 상단 카트의 바퀴(W)가 하단 카트의 상판(22) 상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판(22) 상면 위로 돌출되는 적층로드(23C3)의 길이를 바퀴(W)의 전체 높이보다 길게 하여야 한다.
선반프레임(24)은, 바닥판(21)의 직상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각 프레임으로써, 각 선반프레임(24)의 후방단부 외면 양 측에는 경첩(24A)이 각각 결합되고, 이 경첩(24A)을 매개로 하여 후방측 한 쌍의 포스트(23) 외주면에 이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경첩(24A)은, 결합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대하여 타측이 회동 가능한 한 쌍의 경첩부재(24A1)(24A2)로 구성되는 바, 일측 경첩부재(24A1)는 선반프레임(24)에 결합되고, 타측 경첩부재(24A2)는 포스트(23)에 관통된 상태에서 포스트(2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핀이나 볼트 등의 정지부재(S)에 의해 타측 경첩부재(24A2)는 포스트(23)의 외주면 임의의 곳에 일시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첩(24A)은 두 경첩부재(24A1)(24A2)가 서로 적층 중첩될 수 있으나, 중첩된 상태에서 180°까지만 즉, 두 경첩부재(24A1)(24A2)의 접촉면이 하나의 수평면을 이룰 수 있는 정도만큼만 회동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첩(24A)에 의해 그 후방단부가 포스트(23)에 결합된 선반프레임(24)의 전방단부가 수평면 직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면서 수평면 직상으로만 회동 가능토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선반프레임(24)은, 각종 부품을 적치하기 위한 것인 바, 예를 들어, "ㄴ"자형 단면을 가진 앵글(angle) 등으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판재를 결합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앵글로만 제작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선반프레임(24)은, 판재 대신에, 선반프레임(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내부에 서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 이상의 바형 레일부재(24B)를 설치하고, 각 레일부재(24B)를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한 다수의 구획부재(24C)를 레일부재(24B)에 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획부재(24C)는, 한 본이 다수 레일부재(24B)와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장척일 수도 있으면, 각 레일부재(24B)별로 결합되는 단척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바형 레일부재(24B)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한 다수의 구획부재(23C)가 결합되는 구조 역시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는 바, 그 하나를 예로 들면, 우선, 레일부재(24B)의 내부에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상향 개방형의 중공(H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각 구획부재(24C)는, 레일부재(24B)의 중공(H1)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24C1)와, 이동부재(24C1)에 볼트 등의 정지부재(S)로 연결되며 레일부재(24B)의 외면에 적층되는 가이드부재(24C2)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동부재(24C1)를 레일부재(24B)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정지부재(S)로서 그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부품 적치 공간이 되는 가이드부재(24C2)들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4C1)는 레일부재(24B)를 따라 이동 가능하면 되는 바, 레일부재(24B)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재(24C2)를 이동부재(24C1)와 한 몸체로 구성하고, 가이드부재(24C2)와 한 몸체로 이루어진 이동부재(24C1)에 정지부재(S)를 결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각종 부품들이 적치되는 각 선반프레임(24)의 상·하 위치는 조절이 가능하나 부품의 크기에 따라 매번 그 위치를 조절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르며, 바닥에 단턱 등이 있는 경우 이동 중 카트가 흔들리면서 선반프레임(24)에 적치된 부품들 역시 유동되면서 표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품의 크기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동방지부재(24D)를, 각 선반프레임(24)에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향 개방된 "ㄷ"자형 유동방지부재(24D)의 양 측 수직부(24D1)를 선반프레임(24)의 길이 방향 양 단에 각각 분리 및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시킴으로써, 양 측 수직부(24D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부(24D2)가 자신(24D)이 결합된 선반프레임(24)의 저면 직하에 위치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유동방지부재(24D)의 수평부(24D2)가, 자신(24D)이 결합된 선반프레임 저면의 직하에 위치함으로써, 직하단 선반프레임에 적치된 부품들의 상면을 누르도록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이송 중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부품의 크기에 따라 선반프레임(24)에 결합된 수직부(24D1)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조절함으로써, 수평부(24D2)의 상·하 위치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동방지부재(24D)의 구조 역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직하단 선반프레임이 아닌 유동방지부재(24D)가 결합된 선반프레임 자체에 적치된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 부품을 적치하거나 인출할 때마다 유동방지부재(24D)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카트를 구성하는 각 선반프레임(24)은 수평면 직상에서만 회동이 가능한 바, 유동방지부재(24D)의 수평부(24D2)를 선반프레임(24)의 저면 직하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수평부(24D2)가 직하단 선반프레임에 적치된 부품들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임의의 선반프레임에 부품을 적재할 때는 그 직상단 선반프레임의 전방단부를 들어 올린 상태이며, 부품을 모두 적치한 후에는 직상단 선반프레임을 수평 상태로 내리게 되는 바, 직상단 선반프레임에 결합된 유동방지부재의 수평부가 직하단 선반프레임에 적치된 부품들을 자동적으로 누르게 되며, 직상단 선반프레임을 들어 올리게 되면 임의의 선반프레임에 적치된 부품들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첩(24A)을 중심으로 전방단부가 수평면 직상에서 회동 가능한 경우, 선반프레임(24)은 경첩(24A)의 강성에 의해 수평하게 유지되는 바, 경첩(24A)에 무리한 하중이 부여됨으로써 경첩(24A)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면서 선반프레임(24)의 전방단부가 수평면 직하로 내려오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선반프레임(24)의 좌·우 양 단부 저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쌍을 이루는 바형 지지바(25)의 각 양 단부 즉, 각 전·후방단부를, 선 반프레임(24)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전·후방 포스트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토록 관통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의 지지바(25)를 선반프레임(24)과 별도로 결합시키는 경우, 선반프레임(24)의 높이 조절시 지지바(25)와 선반프레임(24)을 각각 개별적으로 위치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바, 지지바(25)와 선반프레임(24)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지바(25)의 후방단부 상면을, 포스트(23)에 관통 결합되는 경첩(24A)의 타측 경첩부재(24A2) 저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에 의해 타측 경첩부재(24A2)에 결합된 지지바(25)는, 선반프레임(24) 이동시 선반프레임(24) 및 이에 결합된 경첩(24A)과 함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일측 경첩부재(24A1)에 결합된 선반프레임(24)의 회동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판 상면 테두리부와 상판 저면 테두리부 사이에 측벽용 판재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의 전·후·좌·우 또는 전방을 제외한 양 측면과 후면을 판재(B)로 막을 수도 있다.
그 외에, 상기 각 선반프레임(24)의 측면과 지지바(25)에 가스 스프링과 같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지지부재(26)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전방부가 들려 올려진 선반프레임(24)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선반프레임(24)의 전방부가 자유 낙하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씨디(LCD) 또는 피디에프(PDF) 패널 등과 같이 판체를 세워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프레임(24) 사이에 위치한 후방측 두 포스트(23)에 다수의 구획부재(24C)가 결합된 레일부재(24B)를 결합함으로써, 세워진 판체의 후방단부가 인접한 두 구획부재(24C)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바, 판체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품 운반용 카트는, 부품 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구성된 다수의 선반프레임에 각각 확보되는 적치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반시 부품들의 유동을 손쉽게 방지하여 주는 장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부품 운반시 발생하는 부품 표면의 스크래치를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부품이 실리는 바닥판에 다수의 이동용 바퀴가 결합된 부품 운반용 카트에 있어서,
    저면에 다수의 바퀴(W)가 결합된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직상에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판(22)과;
    상기 바닥판(21)과 상판(22) 각각의 네 모서리부 포스트 관통공(H)을 통하여 상·하단부가 바닥판(21)과 상판(22)에 각각 관통 결합하는 두 쌍의 포스트(23)와;
    상기 네 포스트(23) 중 후방측 두 포스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동시에, 수평 상태에서 그 직상으로만 전방단부의 회동이 가능토록 후방단부 양 측만이 후방측 두 포스트에 각각 결합되며, 바닥판(21)과 상판(22) 사이에서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선반프레임(2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1)과 상판(22)은, 한장의 판재(21C) 또는 사각 평면 형상의 다수 가로부재(21A)와 세로부재(21B)가 직교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3)는, 바닥판(21)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 결합되는 하부지지판(23A1)과, 하부지지판(23A1)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소켓(23A2)과, 하부지지판(23A1)의 저면에 결합된 적층캡(23A3)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3A)와;
    상기 하부소켓(23A2)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하는 스틱형 직립부재(23)와;
    상기 직립부재(23)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상판(22)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 결합되는 상부지지판(23C)과, 상부지지판(23C)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소켓(23C2)과, 상부소켓(23C2)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상판(22)의 상면 직상으로 돌출되는 적층로드(23C3)로 이루어진 적층부재(23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프레임(24)의 후방단부 외면 양 측에는 경첩(24A)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경첩(24A)은 선반프레임(24)에 고정 결합된 일측 경첩부재(24A1)와,
    상기 포스트(23)에 관통된 상태에서 포스트(23)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 경첩부재(24A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지부재(S)에 의해 포스트(23) 외주면 상에 고정 가능한 타측 경첩부재(24A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24)의 내부에는, 서로 평행하며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바형 레일부재(24B)가 부가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 레일부재(24B)에는, 각 레일부재(24B)를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한 다수의 구획부재(24C)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프레임(24)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유동방지부재(24D)가 부가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24D)는, 선반프레임(24)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분리 및 상·하 이동 가능토록 각각 수직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부(24D1)와, 두 수직부(24D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부(24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프레임(24)의 좌·우 양 단부 각 저면에는, 전·후방단부가 전·후 한 쌍의 포스트(23)에 의해 각각 관통되는 지지바(25)가, 전·후 두 포스트(23) 외주면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토록 부가적으로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운반용 카트.
KR2020060024241U 2006-09-08 2006-09-08 부품 운반용 카트 KR200431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241U KR200431994Y1 (ko) 2006-09-08 2006-09-08 부품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241U KR200431994Y1 (ko) 2006-09-08 2006-09-08 부품 운반용 카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701A Division KR100829160B1 (ko) 2006-09-08 2006-09-08 부품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994Y1 true KR200431994Y1 (ko) 2006-11-27

Family

ID=4178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241U KR200431994Y1 (ko) 2006-09-08 2006-09-08 부품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99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79B1 (ko) 2007-04-09 2007-11-05 주식회사 현준정밀 텔레비전 단자커버 적재함
KR100829160B1 (ko) 2006-09-08 2008-05-20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CN105383530A (zh) * 2015-12-22 2016-03-09 重庆创力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汽车座椅转运装置
CN105501271A (zh) * 2015-12-22 2016-04-20 重庆创力工贸有限公司 一种带保护板的汽车座椅转运装置
CN108216331A (zh) * 2018-01-25 2018-06-29 宁波丰沃涡轮增压系统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调节托盘高度的放置推车
KR20210081792A (ko) * 2019-12-24 2021-07-02 상진에이알피(주) 조립식 파레트
KR102334549B1 (ko) * 2021-06-30 2021-12-02 주식회사 아울 부품보관용 팔레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60B1 (ko) 2006-09-08 2008-05-20 임용석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773479B1 (ko) 2007-04-09 2007-11-05 주식회사 현준정밀 텔레비전 단자커버 적재함
CN105383530A (zh) * 2015-12-22 2016-03-09 重庆创力工贸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功能的汽车座椅转运装置
CN105501271A (zh) * 2015-12-22 2016-04-20 重庆创力工贸有限公司 一种带保护板的汽车座椅转运装置
CN108216331A (zh) * 2018-01-25 2018-06-29 宁波丰沃涡轮增压系统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调节托盘高度的放置推车
KR20210081792A (ko) * 2019-12-24 2021-07-02 상진에이알피(주) 조립식 파레트
KR102287662B1 (ko) * 2019-12-24 2021-08-10 상진에이알피(주) 조립식 파레트
KR102334549B1 (ko) * 2021-06-30 2021-12-02 주식회사 아울 부품보관용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994Y1 (ko) 부품 운반용 카트
KR100829160B1 (ko) 부품 운반용 카트
US5593046A (en) Collapsible housing frame
US2497453A (en) Knockdown box construction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US20070227406A1 (en) Pallet table
KR100694203B1 (ko) 선반 기능을 가진 조립식 파레트 겸용 박스
KR101665254B1 (ko) 다용도 조립식 진열대
JP2002145368A (ja) 通い箱
JP2010105691A (ja) 折り畳み式ラック
JP2009203032A (ja) ラック
JPH0624444A (ja) パレット容器
JP6753172B2 (ja) 折り畳み式ラック
CN101090848A (zh) 用于装运和储存物料的可折叠、可堆放的支撑装置
JP5596988B2 (ja) 貨物車両用荷台ラック
US20090139942A1 (en) Support for washing and storage of casks
US3150617A (en) Interlocking joint
JP2001171664A (ja) 輸送用コンテナ
JP3896346B2 (ja) コンテナ
KR20060055709A (ko) 적층식 팔레트
JP2002284013A (ja) 搬送用台車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JP3180951U (ja) ラック
JPH09328126A (ja) パレットの段積み用付属装置及びラック要素の構築方法
KR200281020Y1 (ko) 접철식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