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57B1 -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57B1
KR102298857B1 KR1020200020745A KR20200020745A KR102298857B1 KR 102298857 B1 KR102298857 B1 KR 102298857B1 KR 1020200020745 A KR1020200020745 A KR 1020200020745A KR 20200020745 A KR20200020745 A KR 20200020745A KR 102298857 B1 KR102298857 B1 KR 10229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ifter
bricks
workbench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080A (ko
Inventor
정인생
Original Assignee
대경기업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기업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대경기업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작업대(30)가 리프터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되고, 컨베이어(20)는 제1 컨베이어(210);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컨베이어(220);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 컨베이어(230)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230)는 작업대(30)에 형성되며,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30)와 함께 승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여 벽돌 이송 시스템에서 벽돌이 이송대차(40)로부터 컨베이어(20)로 이송됨에 따라 제3 컨베이어(230)가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와 함께 하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송대차(40)에 적재된 벽돌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벽돌 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conveyor of the conveyor lifter}
본 발명은 벽돌 이송 장치에서 벽돌이 이송대차로부터 컨베이어로 이송됨에 따라 컨베이어가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와 함께 하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송대차에 적재된 벽돌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벽돌 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성형기에서 배출되는 벽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과, 상기 성형기에서 배출되는 벽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이송대차에 적재하거나, 이송대차로부터 컨베이어로 적재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성형기에서 배출되는 벽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벽돌을 이송대차에 적재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근접하게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정지하게 되고, 이송된 벽돌은 자동 적재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성형기에서 배출되는 벽돌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벽돌을 이송대차에 적재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공급 진행 방향이 전환되어 이송된다.
예를 들면, 각종 벽돌은 성형기에서 성형된 다음 컨베이어 시스템과 이송대차에 의하여 이송되는데,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단위로 이송대차에 적재되어 소성가마로 이송되고, 소성가마에서 소성된 벽돌은 포장라인으로 운반된다. 그리고 벽돌을 이송대차에 적재시키는 작업은 핸드 로봇 장치와 같은 자동 적재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소규모의 벽돌 이송 시스템에서는 작업자에 의해 이송대차로부터 컨베이어로 적재될 수도 있다.
승강하는 컨베이어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보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1029호 계산대용 컨베이어의 승강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양측 로울러들 사이에 벨트가 설치되어 계산대의 스캐너로 물품을 공급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지지 프레임과 그 하부의 지지판 사이에는 'X'형으로 교차 결합된 다리들이 대향 설치되고, 다리들의 일측은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지지판의 상부 일측에 각각 축설되며, 다리들의 타측에 축설된 레일홈 들은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지지판의 상부 타측에 장착된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가 지지판의 상부에서 승강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등의 계산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에서 물품을 담는 바구니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높이가 높고 크게 형성된 경우 컨베이어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물품을 이송시키고, 부피가 작고 가벼운 물품이거나 바구니의 높이가 낮게 형성된 경우에는 컨베이어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물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컨베이어의 높이가 적절하게 조절됨에 따라 편리하고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컨베이어와 작업대가 동시에 이송될 수 없는 것이다.
다른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997-0042168호 계산대용 컨베이어 승장 장치가 제안 되었다, 이 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양측 로울러들 사이에 벨트가 설치되어 계산대의 스캐너로 물품을 공급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지지프레임과 그 하부의 지지판 사이에는 'X'형으로 교차 결합된 다리들이 대향 설치되고, 다리들의 일측은 지지프레임의 하부와 지지판의 상부 일측에 각각 축설되며, 다리들의 타측에 축설된 레일홈들은 지지프레임의 하부와 지지판의 상부 타측에 장착된 가이드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수단에 의하여 컨베이어가 지지판의 상부에서 승강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컨베이어가 경사 구동하여 이송 물품을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송 대상 물품의 높이에 따라 작업대와 컨베이어를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
KR 20-0191029 Y1 (2000. 08. 16) KR 10-1997-0042168 A (1997. 07. 24)
본 발명은 벽돌 이송 장치에서 벽돌이 이송대차로부터 컨베이어로 이송됨에 따라 컨베이어가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와 함께 하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송대차에 적재된 벽돌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벽돌 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작업대가 구비되어 벽돌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일측에 이송된 벽돌이 적재되는 이송대차가 설치되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벽돌을 이송대차로 옮겨서 이송시키는 벽돌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리프터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컨베이어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는 작업대가 형성되며,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와 함께 승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는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는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발판을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는 수직 가이드 레일 또는 작업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구름 접촉되는 수직이동 안내바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터는 컨베이어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리프터를 구동하여 제3 컨베이어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터는 ON/OFF 구동을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상기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리프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리프터를 구동하여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수단은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ON/OFF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터는 이송대차에 적재된 벽돌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벽돌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벽돌의 높이가 단계별로 설정되어 이송대차의 벽돌이 이송됨에 따라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벽돌의 높이가 설정된 단계의 높이에 도달하면 리프터를 구동하여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제3 컨베이어가 상기 작업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대와 함께 승강 이동하며, 작업대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 컨베이어는 제3 컨베이어 또는 작업대에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구름 접촉하는 수평이동 안내바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벽돌 이송 시스템에서 벽돌이 이송대차로부터 컨베이어로 이송됨에 따라 컨베이어가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와 함께 하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송대차에 적재된 벽돌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벽돌 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일부 확대 정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일부 확대 정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물(1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컨테이너(20)와 작업대(20)가 설치된다.
프레임 구조물(10)은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120, 121)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측으로는 이송대차(40)가 이동할 수 있게 개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수직 프레임(120, 121)에는 작업대(2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이 고정되어 있다.
컨베이어(20)는 제1 컨베이어(210), 제2 컨베이어(220) 및 제3 컨베이어(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210)는 제1 구동모터(211)가 구비되어 수평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2 컨베이어(220)는 제2 구동모터(221)가 구비되며, 제1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제1 힌지(241)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벽돌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컨베이어(230)는 제2 컨베이어(220)의 다른 일측에 제2 힌지(242)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30)와 함께 승강 이동하며, 승강 이동 할 때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컨베이어(220)와 제3 컨베이어(230)는 하나의 벨트(235)로 연결되어 제2 구동모터(221)의 동력으로 구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상승한 상태의 일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가 하강한 상태의 일부 확대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작업대(30)는 이송대차(40)의 일측에서 수직 프레임(120, 121)에 고정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에 안내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발판(30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대(30)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에 구름 접촉하는 수직이동 안내바퀴(330, 331, 332, 333)가 형성되어 리프터에 의해 승강 이동하게 된다.
수직이동 안내바퀴(310, 311)가 형성되는 위치는 선택적인 것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리프터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ON/OFF 신호로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리프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작업대(30)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게 되는 스위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이송대차(40)에 적재된 벽돌을 향하여 수직 프레임(121)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포토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컨베이어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도시되지 아니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리프터를 구동하여 작업대(30) 및 제3 컨베이어(230)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벽돌의 높이가 단계별로 설정되어 제3 컨베이어(230) 상의 벽돌이 이송됨에 따라 스위칭 수단, 즉 센서로 ON/OFF 신호를 발생시키면 리프터를 구동하여 불특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작업대(30) 및 제3 컨베이어(230)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는 체인전동장치, 공압실린더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230)를 포함한 작업대(30)는 공지된 구조의 리프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터는 공지된 구조로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과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작업대(30) 상부에는 한 쌍의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이 고정되는데, 이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의 양쪽 단부에는 안쪽으로 수평이동 안내바퀴(330, 331, 332, 333, 334)가 각각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컨베이어(230)는 양쪽의 컨베이어 프레임(231, 232) 바깥쪽에 각각 좌우 이동 가이드 레일(233, 234)이 고정되어 있다.
좌우 이동 가이드 레일(233, 234)은 컨베이어 프레임(231, 232)에 고정되는 일측면으로부터 상단부와 하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정면은 개방되는 형태로 되어 수평이동 안내바퀴(330, 331, 332, 333)에 안착됨으로써 제3 컨베이어(23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 안내바퀴(330, 331, 332, 333)가 제3 컨베이어(230)의 컨베이어 프레임(231, 232)에 고정되면서,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제3 컨베이어(230)가 작업대(30)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작업대(30)와 함께 승강 이동하며, 작업대(30)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컨베이어(230)가 각각 상승 및 하강한 상태의 일부를 확대한 정면도로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하는 작동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리프터의 구동부가 구동함에 따라 제3 컨베이어(230)가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3 컨베이어(230)가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하게 됨에 따라 이송대차(40)에 적재된 다수의 벽돌이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작업자는 편안한 자세로 이송대차(40)로 벽돌 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서 보듯이, 이송대차(40)에 벽돌이 실려 컨베이어(20)에 근접되도록 공급되면, 작업대(30)와 제3 컨베이어(230)는 상승하여 발판(300)에 올라선 작업자가 이송대차(30)에 적재된 상부의 벽돌을 제3 컨베이어(230)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컨베이어(230)는 제2 컨베이어(220)에 형성된 제2 구동모터(221)의 동력에 의해 벨트(235)가 구동하여 벽돌을 이송시키게 된다.
이송대차(30)로부터 제3 컨베이어(230)로 일정량의 벽돌이 이송되어 스위칭 수단으로 ON/OFF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에 의해 리프터 구동 신호가 출력되어 구동부가 작동함으로써 작업대(30) 및 제3 컨베이어(23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3 컨베이어(230)는 일측 단부가 제2 컨베이어(220)에 제2 힌지(242)로 고정되어 선회하게 되는데 수평유지수단에 의해, 즉, 제3 컨베이어(230)의 측면에 고정된 좌우 이동 가이드 레일(233, 234)이 작업대(30)에 고정된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승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10: 프레임 100: 상부 프레임
110: 하부 프레임 120, 121: 수직 프레임
130, 131: 수직 가이드 레일
20: 컨베이어 210: 제1 컨베이어
211: 제1 구동모터 220: 제2 컨베이어
221: 제2 구동모터 230: 제3 컨베이어
231, 232: 컨베이어 프레임 233, 234: 좌우 이동 가이드 레일
235: 벨트 241: 제1 힌지
242: 제2 힌지
30: 작업대 300: 발판
310, 311: 수직이동 안내바퀴 320, 321: 수평 가이드 레일
330, 331, 332, 333:
40: 이송대차

Claims (9)

  1. 컨베이어(20)와 함께 승강 이동하는 작업대(30)에 근접하는 이송대차(40)로부터 벽돌을 컨베이어(20)로 이송시키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는 리프터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20)는:
    제1 컨베이어(210)와;
    상기 제1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컨베이어(220)와;
    상기 제2 컨베이어(220)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 컨베이어(230)를 구비하되,
    상기 제3 컨베이어(230)는:
    상기 작업대(30)가 형성되며, 리프터에 의해 작업대(30)와 함께 승강 이동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유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유지수단은:
    제3 컨베이어(230)가,
    상기 작업대(30)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면서 작업대(30)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상기 작업대(30)와 함께 승강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컨베이어(230)는:
    제3 컨베이어(230) 또는 작업대(30)에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 레일(320, 32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구름 접촉하는 수평이동 안내바퀴(330, 331, 332, 3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0)는: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에 안내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컨베이어(20)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리프터를 구동하여 제3 컨베이어(230)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ON/OFF 구동을 위한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해 상기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리프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리프터를 구동하여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이송대차에 적재된 벽돌의 적재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벽돌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상기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벽돌의 높이가 단계별로 설정되어 이송대차의 벽돌이 이송됨에 따라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벽돌의 높이가 설정된 단계의 높이에 도달하면 리프터를 구동하여 리프터를 단계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6. 삭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에 안내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30)는:
    수직 가이드 레일(130, 131) 또는 작업대(30)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구름 접촉되는 수직이동 안내바퀴(310, 3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작업대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ON/OFF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로 되는 것을 포함하는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9. 삭제
KR1020200020745A 2020-02-20 2020-02-20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KR10229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45A KR102298857B1 (ko) 2020-02-20 2020-02-20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45A KR102298857B1 (ko) 2020-02-20 2020-02-20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80A KR20210106080A (ko) 2021-08-30
KR102298857B1 true KR102298857B1 (ko) 2021-09-07

Family

ID=7750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45A KR102298857B1 (ko) 2020-02-20 2020-02-20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492A (ja) * 2005-10-07 2007-04-19 Yoshida Sharyo Kiki Kk 荷搬出入装置
KR101712174B1 (ko) * 2016-08-17 2017-03-03 (주)빅타이거 자동 적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032A (ja) * 1995-12-21 1997-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金型交換用搬送台車
KR970042168A (ko) 1995-12-22 1997-07-24 김태구 컨베이어이송물 자동회전장치
KR200191029Y1 (ko) 2000-01-26 2000-08-16 이은재 계산대용 컨베이어의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492A (ja) * 2005-10-07 2007-04-19 Yoshida Sharyo Kiki Kk 荷搬出入装置
KR101712174B1 (ko) * 2016-08-17 2017-03-03 (주)빅타이거 자동 적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80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7217B (zh) 物品搬运设备
KR101769117B1 (ko) 자동 팔레타이저
JP6183714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052515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13830480B (zh) 物品转运装置和仓储系统
JP6061206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CN113247559A (zh) 一种重力积放链系统
JP2013052938A (ja) 仕分けシステム
CN113120627A (zh) 堆垛与托盘分离系统
KR102298857B1 (ko) 벽돌 이송 장치의 컨베이어 리프터 수평 이동 장치
CN211393087U (zh) 堆垛与托盘分离系统
JP4666216B2 (ja) 物品収納設備
KR20150087915A (ko) 물품 이송장치 및 방법
JP2006264966A (ja) リフト装置
JPS6251846B2 (ko)
CN218808796U (zh) 一种物流机器人以及物流系统
KR200407898Y1 (ko) 우편집중국의 소포우편물 이송용 팔레트 리프트 장치
JPH0754180Y2 (ja) 物品の搬送装置
JP2005280878A (ja) 物品搬送装置
JP3428911B2 (ja) 物品保管設備
JP2001158504A (ja) 自動倉庫
JPH0519212U (ja) 自動倉庫
JP2003300604A (ja) 自動倉庫
JP2001088940A (ja) 板材搬入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