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508A -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508A
KR19980030508A KR1019960049954A KR19960049954A KR19980030508A KR 19980030508 A KR19980030508 A KR 19980030508A KR 1019960049954 A KR1019960049954 A KR 1019960049954A KR 19960049954 A KR19960049954 A KR 19960049954A KR 19980030508 A KR19980030508 A KR 1998003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forming
isolation region
recessed portion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6097B1 (ko
Inventor
전영권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6004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097B1/ko
Priority to DE19717358A priority patent/DE19717358B4/de
Priority to US08/855,363 priority patent/US6852606B1/en
Priority to JP09242482A priority patent/JP3114062B2/ja
Publication of KR1998003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097B1/ko
Priority to US10/463,797 priority patent/US6979876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0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 H01L21/76205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in a region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e.g. in a recess, groove, tub or trench region
    • H01L21/76208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a local oxidation of silicon, e.g. LOCOS, SWAMI, SILO in a region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e.g. in a recess, groove, tub or trench region using auxiliary pillars in the recessed region, e.g. to form LOCOS over extended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29Concurrent filling of a plurality of trenches having a different trench shape or dimension, e.g. rectangular and V-shaped trenches, wide and narrow trenches, shallow and deep tr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집적화 격리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을 한번의 감광막 공정으로 제1격리영역에 하나의 제1함몰부와 제2격리영역에 복수개의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격리영역의 상기 제1함몰부 중앙에 제1함몰부보다 더 깊은 제3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 제3함몰부에 절연성 물질 또는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집적화 소자의 격리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따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상에 화학기상증착(CVD)법을 이용하여 제1절연층(2)을 형성한다.
이때 제1절연층(2)은 1μm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 반응성 이온식각(Reactive ion etching:RIE)법을 이용하여 기판(1)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제1절연층(2)을 패터닝하여 접속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을 포함한 전면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0.1μm의 두께를 갖는 제2절연층(3)을 형성한다.
이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절연층(3)을 에치백(etch back)하여 접속홀의 양측에 측벽(sidewall spacer)(3a)을 형성한 후 제1절연층(2) 및 측벽(3a)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1)을 소정깊이로 식각한다.
이때 식각되는 기판(1)의 폭은 0.1μm이고 식각깊이는 0.5μm이다.
다음,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절연층(2)과 측벽(3a)을 제거하여 기판(1)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기판(1)의 식각 및 제1절연층(2)과 측벽(3a) 제거에 따른 기판(1)의 손상(damage)를 회복하기 위해 기판(1)을 표면처리하고 기판(1)전면에 200Å의 두께를 갖는 산화막(4)을 열성장시킨다.
이어 상기 열성장된 산화막(4)상에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3000Å의 두께를 갖는 제3절연층(5)을 형성한 후 제3절연층(5)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그리고 노광 및 현상공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패턴(6)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패턴(6)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1)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3절연층(5)을 반응성 이온식각법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기판(1)내에 각각 이온주입 에너지를 달리한 삼중 보론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소자 격리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보론이온의 주입양은 3×E12 ions/cm2이고 이온주입 에너지는 각각 130, 180 그리고 260KeV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격리영역의 기판을 식각하므로 기판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모서리가 급격하여 전계집중에 의한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격리영역이 큰 패턴을 형성할 경우 식각되는 기판의 폭이 커지므로 격리영역 표면의 평탄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자 격리영역의 폭에 관계없이 평탄성이 우수한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폭이 다른 제1, 제2격리영역을 한번의 포토레지스트 공정으로 형성하여 공정을 간략화하는데에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도.
도 3은 도 2의 A-A'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g는 도 2의 A-A'와 B-B'에 따른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도.
도 7은 도 6의 A-A'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B'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f는 도 6의 A-A'와 B-B'에 따른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50:반도체 기판31, 51:제1절연층
32, 53:제1격리영역32a, 53a:제1함몰부
33, 54:제2격리영역33a, 54a:제2함몰부
34, 55:보호막34a,55a:측벽
35, 56:제3함몰부36, 52:제2절연층
57:제3절연층
본 발명의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을 한번의 감광막 공정으로 제1격리영역에 하나의 제1함몰부와 제2격리영역에 복수개의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격리영역의 상기 제1함몰부 중앙에 제1함몰부보다 더 깊은 제3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 제3함몰부에 절연성 물질 또는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서로 다른 폭의 격리영역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보다 깊은 함몰부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상에 따른 구조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는 도 2의 A-A'와 B-B'에 따른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여기서, 격리영역의 폭이 크고 작음은 소자의 특성 및 설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다.
먼저, 도 2는 소자간의 격리를 위한 격리영역의 폭이 서로 다를 경우에 있어서 소자 격리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격리영역(32)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격리영역(33)의 기판이 소정깊이로 식각되어 격리영역에 절연막(36)이 기판 표면과 평탄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격리영역(32)에서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반도체 기판에 깊게 식각되는 함몰부를 갖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격리영역(33)에서는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반도체 기판에 섬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f는 소자간의 격리를 위한 격리영역의 폭에 따른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A-A'와 B-B'에 따른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격리영역(32)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격리영역(33)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30)상에 제1절연층(31)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절연층(31)상에 포토레지스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도포한다.
그리고 노광 및 현상공정을 통해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패턴(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패턴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30)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1절연층(31)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격리영역(32)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격리영역(33)을 형성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격리영역(32)에는 기판(30)이 모두 노출되도록 격리영역 폭으로 제1절연층(31)을 제거하고,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격리영역(33)에서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섬모양으로 남도록 제1절연층(31)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2격리영역(33)에서 제1절연층(31)이 제거되는 폭은 최소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격리영역(32)의 폭보다 좁도록 한다.
이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1절연층(31)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제2격리영역(32)(33)의 노출된 반도체 기판(30)을 일정 깊이로 식각하여 제1, 제2함몰부(32a)(33a)를 형성한다.
즉, 단면상으로 제1격리영역(32)에는 하나의 제1함몰부(32a)만 형성되지만 제2격리영역(33)에서는 복수개의 제2함몰부(33a)가 형성된다.
이때, 제1절연층(31)은 실리콘 질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중 하나이며, 제1, 제2격리영역(32)(33)은 동시에 패터닝된다.
한편, 제1, 제2함몰부(32a)(33a)를 형성하기 위해 기판(30)을 반응성 이온식각(Reactive Ion Etching:RIE) 또는 화학적 건식식각(Chemical Dry Etching:CDE)법을 이용하여 식각한다.
그리고 제2함몰부(33a)는 제1함몰부(32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 후 제1절연층(31)과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채널 스톱(Channel Stop)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층(31)을 포함한 기판(30)상에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CVD)법을 이용하여 보호막(34)을 형성한다.
이때, 보호막(34)의 물질로서는 실리콘 질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중 어느 하나이며 보호막(34)의 두께는 제2함몰부(33a) 및 제1절연층(31) 사이사이에 매립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34) 두께 이상으로 상기 보호막(34)을 에치백(Etchback)하여 제1함몰부(32a)에 보호막 측벽(34a)을 형성하고, 제2함몰부(33a)에 매립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공정은 제2함몰부(33a)가 제1함몰부(32a)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함몰부(32a)에 형성된 보호막 측벽(34a)에 의해 기판(30)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어 있고, 반면에 제2함몰부(33a)는 보호막(34)에 의해 매립되어 있다.
이어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 측벽(34a)을 마스크로 하여 제1함몰부(32a)의 노출된 기판(30)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제3함몰부(3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절연층(31)과 보호막(34)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채널스톱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고, 제1함몰부(32a)의 보호막 측벽(34a) 및 제2함몰부(33a)의 보호막(34)을 제거한다.
이어,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학 기계적 연마법(Chemical Mechanical Polishing:CMP)을 이용하여 제2함몰부(33a)가 형성된 제2격리영역(33)의 제1절연층(31) 및 섬모양의 기판(30)을 소정깊이로 디싱(Dishing)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층(31)을 마스크로 하여 채널스톱 이온 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함몰부(32a)(33a)(35)을 포함한 기판(30) 전면에 제2절연층(36)을 형성한 후, 에치백하여 제1, 제2, 제3함몰부(32a)(33a)(35)가 매립되도록 하고, 상기 제1절연층(31)을 제거하므로써 소자간의 격리를 위한 격리막을 형성한다.
이때, 제2절연층(36)의 형성 두께는 제1, 제2, 제3함몰부(32a)(33a)(35)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두께 이상으로 증착한 후, 에치백하며, 제2절연층(36)은 산화막을 사용한다.
여기서, 에치백하는 방법으로 화학 기계적 연마법이 적용하여 제2절연층(36)을 에치백하여 평탄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CMP법은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연마입자와 플루오르화 암모늄, 또는 암모니아수 등의 연마액을 사용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B-B'선상에 따른 구조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e는 도 6의 A-A'와 B-B'에 따른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여기서 격리영역의 폭이 크고 작음은 소자의 특성 및 설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다.
먼저, 도 6는 소자간의 격리를 위한 격리영역의 폭이 서로 다를 경우에 있어서 소자 격리막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와 도 8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격리영역(53)과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격리영역(54)의 기판이 소정깊이로 식각되어 격리영역에 절연막(57)이 기판 표면과 둥글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격리영역(53)에서는 반도체 기판 표면에 대해서 둥글며, 깊게 식각되는 함몰부를 갖고,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격리영역(54)에서는 기판 표면에 아령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어, 도 9a 내지 도 9e는 소자간의 격리를 위한 격리영역의 폭에 따른 격리막 형성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A-A'와 B-B'에 따른 공정을 동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53)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격리영역(54)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반도체 기판(50)상에 제1절연층(51)과 제2절연층(52)을 차례로 형성하여 산화방지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제2절연층(52)상에 포토레지스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형성한다.
그리고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를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패턴(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을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53)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54)의 제1, 제2절연층(51)(52)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53)에는 기판(50)이 모두 노출되도록 격리영역 폭으로 제1, 제2절연층(51)(52)을 제거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54)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섬모양으로 남도록 제1, 제2절연층(51)(52)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54)에서 제1, 제2절연층(51)(52)이 제거되는 폭은 최소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53)의 폭보다 좁도록 한다.
한편, 제1절연층(51)은 패드 산화막을 사용하고, 제2절연층(52)은 실리콘 질화막을 사용한다. 그리고 제1, 제2절연층(51)(52)을 산화방지 마스크층이라 하며, 패드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의 적층막 대신에 실리콘 질화막과 실리콘 산화막의 적층막을 적용할 수 있다.
이어, 제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절연층(51)과 제2절연층(5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제2격리영역(53)(54)의 노출된 기판(50)을 일정깊이로 식각하여 제1, 제2함몰부(53a)(54a)을 형성한다.
즉, 단면상으로 제1격리영역(53)에는 하나의 제1함몰부(53a)가 형성되지만, 제2격리영역(54)에서는 복수개의 제2함몰부(54a)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제2함몰부(53a)(54a)는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제1, 제2함몰부(53a)(54a)를 형성하기 위해 기판(50)을 반응성 이온식각(RIE) 또는 화학적 건식식각(CDE)법을 이용하여 식각한다.
그리고 제2함몰부(54a)는 제1함몰부(53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고, 이후 포토레지스트와 제1, 제2절연층(51)(5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채널스톱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고 제2절연층(52)을 포함한 기판(50)상에 화학기상증착(CVD)법을 이용하여 보호막(55)을 형성한다. 이때, 보호막(55)의 물질로서는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며, 보호막(55)의 두께는 제2함몰부(54a) 및 제1, 제2절연층(51)(52) 사이사이에 매립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막(55) 두께 이상으로 상기 보호막(55)을 에치백(Etch back)하여 제1함몰부(53a)에 보호막 측벽(55a)을 형성하고, 제2함몰부(54a)에 매립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은 공정을 제2함몰부(54a)가 제1함몰부(53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고 형성되므로 제1함몰부(53a)에 형성된 보호막 측벽(55a)에 의해 기판(50)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어 있고, 반면에 제2함몰부(54a)는 보호막(55)에 의해 매립되어 있다.
이어서,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 측벽(55a)을 마스크로 하여 제1함몰부(53a)의 노출된 기판(50)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제3함몰부(56)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절연층(51)(52)과 보호막(55)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채널스톱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고, 제1함몰부(53a)의 보호막 측벽(55a) 및 제2함몰부(54a)의 보호막(55)을 제거한다.
이어, 도 9f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제2절연층(51)(52)을 마스크로 하여 제1, 제2, 제3함몰부(53a)(54a)(56)에 800℃ 이상의 산화성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3000∼5000Å 두께의 제3절연층(57)을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열산화막의 버즈 빅(Bird's beak)에 의하여 제3절연층(57)과 제1절연층(51)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남아 있는 제1, 제2절연층(51)(52)을 제거한다.
이때, 제3절연층(57)은 산화막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 제2격리영역에 있어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격리막을 형성하므로 소자의 절연특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제1, 제2격리영역 형성시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한 한번의 감광막 공정으로 형성하므로 공정을 간략화한다.

Claims (21)

  1.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을 한번의 감광막 공정으로 제1격리영역에 하나의 제1함몰부와 제2격리영역에 복수개의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격리영역의 상기 제1함몰부 중앙에 제1함몰부보다 더 깊은 제3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 제3함몰부에 절연성 물질 또는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2.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격리영역에 하나의 제1함몰부와 제2격리영역에 복수개의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절연층상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1함몰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제2함몰부는 제2절연층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제1함몰부의 측벽을 마스크로 하여 제1격리영역의 기판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제3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절연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2격리영역의 제1절연층 및 섬모양의 기판을 디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 제3함몰부에 제3절연층을 매립하고 상기 제1, 제2절연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몰부는 제1함몰부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기판을 반응성 이온식각 또는 화학적 건식식각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제3절연층의 두께는 제1, 제2, 제3함몰부의 반지름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제2절연층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에 화학 기계적 연마법을 이용하여 디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기계적 연마법은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연마입자와 플루오르화 암모늄 또는 암모니아수 등의 연마액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함몰부는 상기 제1함몰부의 중앙에 제1함몰부보다 더 깊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층은 실리콘 질화물과 실리콘 산화물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은 동시에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은 실리콘 질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층의 두께는 상기 제2함몰부 및 제1절연층 사이사이에 매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4.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과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에 있어서,
    기판상에 제1,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절연층을 선택적으로 패터닝하여 제1, 제2격리영역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격리영역에 하나의 제1함몰부와 제2격리영역에 복수개의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절연층상에 제3절연층을 형성하여 제1함몰부에 측벽을 형성하고 제2함몰부에는 제3절연층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제1함몰부의 측벽을 마스크로 하여 제1격리영역의 기판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제3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절연층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 제3함몰부에 제4절연층을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제2절연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은 산화막과 질화막 또는 질화막과 산화막을 적층으로 하여 산화방지 마스크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제2함몰부를 형성하지 않는 공정이 적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제2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기판을 반응성 이온식각 또는 화학적 건식식각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함몰부는 제1함몰부 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제4절연층 열처리시 온도는 800℃이고, 형성두께는 3000∼5000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20. 서로 다른 폭의 격리영역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제1격리영역은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제2격리영역보다 깊은 함몰부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격리영역은 기판 표면으로부터 제1깊이로 식각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중앙부분에 제1깊이보다 더 깊은 제2깊이로 식각되는 제2영역으로 구성되고, 제2격리영역은 일정간격을 갖고 상기 제1깊이로 식각되는 제3영역들과 상기 제3영역들 사이에 상기 제1깊이보다 더 낮은 제3깊이로 식각되는 제4영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19960049954A 1996-10-30 1996-10-30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KR10023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954A KR100236097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DE19717358A DE19717358B4 (de) 1996-10-30 1997-04-24 Verfahren zur Bildung einer Isolationsschicht einer Halbleitereinrichtung
US08/855,363 US6852606B1 (en) 1996-10-30 1997-05-13 Method for forming isolation layer of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JP09242482A JP3114062B2 (ja) 1996-10-30 1997-09-08 半導体装置の隔離膜形成方法
US10/463,797 US6979876B2 (en) 1996-10-30 2003-06-18 Method for forming isolation layer of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954A KR100236097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508A true KR19980030508A (ko) 1998-07-25
KR100236097B1 KR100236097B1 (ko) 1999-12-15

Family

ID=1947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954A KR100236097B1 (ko) 1996-10-30 1996-10-30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852606B1 (ko)
JP (1) JP3114062B2 (ko)
KR (1) KR100236097B1 (ko)
DE (1) DE1971735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5435B1 (en) * 1998-11-03 2006-05-16 Mosel Vitelic Inc Shallow trench isolation method for a semiconductor wafer
KR100719366B1 (ko) 2005-06-15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렌치 소자분리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4133A (en) * 1981-06-10 1982-12-14 Hitachi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4472240A (en) * 1981-08-21 1984-09-18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4491486A (en) * 1981-09-17 1985-01-0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S5848437A (ja) * 1981-09-17 1983-03-2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390393A (en) * 1981-11-12 1983-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forming an isolation trench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JPS59124141A (ja) * 1982-12-28 1984-07-1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492008A (en) * 1983-08-04 1985-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making high performance lateral bipolar transistors
US4609934A (en) * 1984-04-06 1986-09-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rooves of different depths for improved device isolation
NL8701717A (nl) * 1987-07-21 1989-02-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halfgeleiderinrichting met een geplanariseerde opbouw.
JPS6467945A (en) * 1987-09-08 1989-03-1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ing layer formed on buried dielectric and manufacture thereof
US5298450A (en) * 1987-12-10 1994-03-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simultaneously fabricating isolation structures for bipolar and CMOS circuits
US4962064A (en) * 1988-05-12 1990-10-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planarization of topologies i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JPH01287951A (ja) * 1988-05-16 1989-11-2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876214A (en) * 1988-06-02 1989-10-24 Tektronix, Inc. Method for fabricating an isolation region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4994406A (en) * 1989-11-03 1991-02-19 Motorola Inc.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eep and shallow isolation structures
US5065217A (en) * 1990-06-27 1991-11-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cess for simultaneously fabricating isolation structures for bipolar and CMOS circuits
FR2667440A1 (fr) * 1990-09-28 1992-04-03 Philips Nv Procede pour realiser des motifs d'alignement de masques.
US5112772A (en) * 1991-09-27 1992-05-12 Motorola, Inc. Method of fabricating a trench structure
JPH05152429A (ja) * 1991-11-28 1993-06-1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372968A (en) * 1993-09-27 1994-12-1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Planarized local oxidation by trench-around technology
US5536675A (en) * 1993-12-30 1996-07-16 Intel Corporation Isolation structure formation for semiconductor circuit fabrication
US5371036A (en) * 1994-05-11 1994-12-0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Locos technology with narrow silicon trench
JP3329640B2 (ja) * 1995-10-10 2002-09-30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899727A (en) * 1996-05-02 1999-05-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isolation region bounded by a trench and covered with an oxide to improve planarization
JPH09312330A (ja) * 1996-05-21 1997-12-02 Oki Electric Ind Co Ltd 素子間分離領域の形成方法
US5747377A (en) * 1996-09-06 1998-05-05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Process for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US5893744A (en) * 1997-01-28 1999-04-13 Advanced Micro Devices Method of forming a zero layer mark for alignment in integrated circuit manufacturing process employing shallow trench isolation
US5817567A (en) * 1997-04-07 1998-10-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hallow trench isolation method
US5895253A (en) * 1997-08-22 1999-04-20 Micron Technology, Inc. Trench isolation for CMO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52606B1 (en) 2005-02-08
DE19717358B4 (de) 2006-07-27
JPH10135318A (ja) 1998-05-22
US6979876B2 (en) 2005-12-27
US20030219958A1 (en) 2003-11-27
KR100236097B1 (ko) 1999-12-15
JP3114062B2 (ja) 2000-12-04
DE19717358A1 (de) 199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730B1 (ko)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US5930644A (en) Method of form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using oxide slope etching
KR100297734B1 (ko)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JP4037597B2 (ja) トレンチ素子分離方法
KR19980080648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171929B1 (en) Shallow trench isolator via non-critical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19980030508A (ko) 반도체 장치의 격리막 형성방법
KR100287181B1 (ko) 트렌치소자분리영역을갖는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KR0165343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US6991993B2 (en) Method of fabricating trench isolation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KR100750047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의 형성 방법
KR101004805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477924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100515366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056197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84854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0172760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 절연막 제조 방법
KR0161888B1 (ko) 반도체장치의 소자격리방법
KR1005876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79713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00003489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9980014189A (ko) 반도체장치의 소자분리방법
KR20040005512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KR20040036798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JPH1050818A (ja) 半導体素子の隔離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