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980A - 반도체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980A
KR19980023980A KR1019970010526A KR19970010526A KR19980023980A KR 19980023980 A KR19980023980 A KR 19980023980A KR 1019970010526 A KR1019970010526 A KR 1019970010526A KR 19970010526 A KR19970010526 A KR 19970010526A KR 19980023980 A KR19980023980 A KR 19980023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e
address
memory device
memory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5264B1 (ko
Inventor
요시히코 야스
히로유키 사카이
마이클 W. 예거
도날드 J. 베르헤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주식회사
죤스 그레고리 B.
램트론 인터내쇼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주식회사, 죤스 그레고리 B., 램트론 인터내쇼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이 츠토무
Publication of KR1998002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4Memory cell safety or protection circuits, e.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reading or writing; Status cells; Test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Abstract

반도체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이 동일 또는 동일정도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유연한 라이트보호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되고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여러개의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를 갖는 메모리어레이, 여러개의 블럭마다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저장하는 여러개의 기억소자 및 기억소자로의 라이트 금지/허가 정보의 설정을 실행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여러개의 블럭단위로 라이트 금지/허가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리라이트보호된 ROM부와 RAM 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 라이트 금지/허가의 설정이 복잡하므로 시스템의 폭주등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반도체 기억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적으로 리라이트가 능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의 적용해서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대표되는 휴대정보기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메모리등의 LSI(Sarge Scale Integrated Circuit)의 고성능화, 저전력화가 요구되고 있다. PDA용 메모리로서는 OS(Operating System)나 어플리케이션소프트등을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표시용 데이타, 처리에 필요한 워크메모리나 개인데이타의 보존등 리라이트가 필요한 것을 저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AM에서 전부 유지할 수 없는 대량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플래시카드(Flash memory card)등의 리라이트가능한 ROM이 사용되고 있다. 또, 전원의 온/오프에 의해 데이타가 소실되지 않도록, 또는 전원이 온일 때 이전의 상태(전원오프시의 상태)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복귀기능(resume function)을 실현하기 위해서 RAM은 전지백업되고 있다.
한편, 강유전체 메모리(Ferroelectric)는 불휘발성을 가지면서 RAM과 같은 동작속도를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휴대정보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DARM(Dynamic RAM)을 강유전체 메모리로 치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사이엔스 포럼(주) 1995년 6월 30일 발행 제 1판 「강유전체 박막메모리」 제 8장, pp. 337~345에 기재되고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강유전체 메모리를 상기 휴대정보기기의 ROM 및 전지백업을 갖는 SRAM(Static RAM)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강유전체 메모리의 일부를 ROM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폭주시 등에 의도하지 말고 ROM부의 데이타의 리라이트가 실행되지 않는 보호가 필요하다.
종래의 단일체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라이트보호로서는 실장시에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기인하는 오리라이트를 방자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데이타보호기능을 마련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 있다. 예를 들면, 히다치세사쿠쇼(주), 평성 7년 8월 발행, 제 17판 「히다치 IC메모리 데이타북3 EEPRM, 플래시메모리, EP/OTPROM, 마스크ROM」의 pp. 134~148 (HN58V1001시리즈)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 그 개요가 기재되어 있다. 이 EEPROM은 특정의 어드레스와 데이타의 조합이 3회(3바이트)입력되는 것에 의해 보호모드에 들어간다. 또, 특정의 어드레스와 데이타의 조합이 6회(6바이트)입력되는 것에 의해 이 EEPROM의 보호모드가 해제된다. 이 EEPROM의 상기 소프트웨어 데이타보호는 메모리전체에 대한 데이타라이트를 금지하는 기술이다.
ROM부와 RAM부로 분할된 1개의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1칩 마이크로컴퓨터의 예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7-114497호(미국특허출원08/295295호)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 기재되어 있다. 이 강유전체 메모리는 ROM으로서 사용되는 ROM부와 RAM으로서 이용되는 RAM부로 분할되어 있다. 데이타가 잘못해서 ROM부의 어드레스영역으로 라이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ROM부의 어드레스영역에 대해서 라이트가 실행되도록 한 경우 라이트제어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ROM부와 RAM부는 연속한 어드레스공간에 배치되고, ROM영역과 RAM영역의 경계의 어드레스정보가 경계설정 레지스트에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ROM부의 용량과 RAM부의 용량이 변경가능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1의 EEPROM의 소프트웨어 데이타보호는 메모리전체의 라이트를 금지/허가를 하는 것이다. 즉, 동일메모리를 ROM부와 RAM부로 분할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1개의 단일체메모리내의 어드레스 영역의 일부를 ROM으로서 사용하고 그 ROM부분의 리라이트보호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스템전체로서 여러개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각 메모리마다 라이트의 금지/허가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동일종류의 메모리를 ROM으로서도, RAM으로서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RAM으로서의 사용에 과제가 있다. 또, 라이트의 금지 /허가를 설정하는 여러개의 라이트사이클이 각 메모리마다 필요하고 사용상 편리하지 못하다는 과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EEPROM등의 전기적으로 라라이트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라이트사이클은 리드사이클에 비해 매우 길다. 또, 전기적으로 리라이트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액세스시간은 범용의 다이나믹RAM(DRAM)에 비해서도 늦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1의 EEPROM에서는 라이트사이클의 어드레스액세스시간은 최대15ms이고, 리드사이클의 어드레스액세스시간은 최대 250ns이다. 따라서, EEPROM을 RAM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라이트사이클의 어드레스액세스 시간이 문제로 된다.
강유전체 메모리는 고속리라이트가 가능한(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의 어드레스액세스시간이 동일 또는 동일정도의)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단, 강유전체 메모리의 어드레스액세스시간은 범용의 단일체SRAM의 그것보다 늦고, 범용의 다이나믹RAM(DRAM) 또는 의사스테이틱RAM(Pseuso Static RAM, 의사 RAM)의 그것과 거의 동일정도이다. 따라서, 강유전체 메모리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면서 RAM으로서 사용가능하다. 그래서, 강유전체 메모리의 핀배치 및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의 타이밍을 범용의 단일체 SRAML 또는 의사 SRAM의 그것과 동일로 하고, 강유전체 메모리를 종래의 시스템의 RAM, ROM과 치환하는 것을 본원 발명자들이 검토하였다.
강유전체 메모리를 RAM 및 ROM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리라이트 금지기능이 필요하다.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과 호환성이 있는 강유전체 메모리에 리라이트 금지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가 있는 것을 본원 발명자들이 명확하게 하였다. 또한, 범용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에서 리라이트 금지기능을 갖는 것은 현상으로서는 발견이 되지 않고,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에 리라이트 금지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 과제가 있다.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의 라이트사이클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가 입력되고, 그리고 칩선택/CS가 어서트(활성화)되고 그 후 라이트인에이블/WE가 어서트된다. 따라서, 라이트인에이블/WE가 어서트될 때까지는 그 라이트사이클은 리드사이클과 같이 동작한다. 즉, 메모리어레이로부터의 데이타의 리드동작이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데이타의 리드동작이 라이트인에이블/WE에 따라서 생성되는 라이트허가신호에 의해 중단된다. 강유전체 메모리의 리드사이클 및 라이트사이클의 타이밍을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과 마찬가지인 타이밍으로 하기 위해서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사이클은 상기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의 그것과 동일 타이밍동작으로 할 필요가 있다. 리라이트 금지기능도 이들 사이클과 호환성을 유지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사용상 편리한 리라이트 금지기능으로 하기 위해서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영역을 몇개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블럭단위로 리라이트 금지영역을 설정가능하게 하고 또한 리라이트영역을 불연속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좋다. 이들 설정은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의 리드사이클 또는 라이트사이클과 동일한 동작타이밍 범위에서 실행해야만 된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어드레스신호와 미리 설정된 리라이트금지블럭의 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라이트허가신호의 발생이 금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리라이트 금지블럭의 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기억회로) 및 외부어드레스신호와 리라이트 금지블럭의 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는 수단(비교 회로)등이 필요하게 되므로, 리드사이클이나 라이트사이클의 제어신호의 발생에 자연이 생긴다. 또한, 종래기술1의 전기적으로 리라이트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서는 라이트사이클이 리드사이클에 비해 매우 길기 때문에 지연이 발생해도 라이트사이클의 시간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즉, 리드사이클이나 라이트사이클의 제어신호의 발생의 지연에 관한 문제는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이 동일정도의 메모리에 리라이트 금지기능을 부가하고 RAM과 ROM을 고속인 사이클로 겸용할 때 비로소 문제로 된다.
즉, 단일체SRAM이나 의사SRAM과 마찬가지인 타이밍으로 리라이트의 보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리라이트를 금지하는 영역과 리라이트를 허가하는 영역의 판정을 고속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영역판정을 위해 사용되는 어드레스신호의 비트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검토하였다. 즉, 메모리영역을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영역판정에 필요한 어드레스신호의 비트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8개의 블럭으로 분할하면 상위 3비트의 어드레스신호만의 비교에 의해 영역의 판정이 가능하다. 또, 메모리영역을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각 블럭마다 리라이트 금지/허가의 설정이 가능하고, 또 ROM부와 RAM부의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종래기술2의 강유전체 메모리는 불연속적인 리라이트 금지영역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임의의 어드레스에 ROM영역과 RAM영역을 설정할 수 없다. 이산된 여러개의 어드레스영역을 ROM 영역 또는 RAM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없다. 또, ROM영역과 RAM 영역의 판정을 위해서는 어드레스신호의 전체 비트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판정에 시간이 걸린다. 또,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SRAM의 리드사이클 또는 라이트사이클과 동일한 동작타이밍의 범위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리라이트를 금지하는 영역과 리라이트를 허가하는 영역의 판정을 고속으로 실행하는 필요성의 인식은 종래기술2에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이 동일 또는 동일정도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유연한 라이트보호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의 단일체SRAM 또는 의사 SRAM과 호환성이 있는 메모리의 라이트보호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라이트보호를 실현하기 위한 지연시간을 최소로 하는 최적인 회로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블럭도,
도 2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핀배치도,
도 3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리드사이클의 타이밍도,
도 4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사이클의 타이밍도,
도 5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레이아웃도,
도 6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어레이의 회로도,
도 7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어레이의 동작타이밍도,
도 8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방법의 일부를 도시한 시퀀스도,
도 9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블럭보호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시퀀스도,
도 10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블럭보호의 재설정방법을 도시한 시퀀스도,
도 11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리라이트 금지영역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2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 어드레스 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13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도 12 에 대응하는 리라이트금지의 설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4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소를 도시한 도면,
도 15 는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장소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회로의 블럭도,
도 17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회로의 일부의 회로도,
도 18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 회로의 다른 일부의 회로도,
도 19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회로의 타이밍도,
도 20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전원검출회로의 회로도,
도 21 은 도 20의 전원검출회로의 타이밍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22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회로의 변형예의 회로도,
도 23 은 도 22 의 의사내부칩 인에이블 발생회로의 회로도,
도 24 는 도 22 및 도 23 의 회로도의 타이밍 파형을 도시한 도면.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반도체기억장치는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되고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여러개의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를 갖는 메모리어레이, 상기 여러개의 블럭마다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저장하는 여러개의 기억소자 및 상기 기억소자로서의 라이트 금지/허가정보의 설정을 실행하는 설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회로는 소정의 여러개의 리드사이클 후의 라이트사이클에서 라이트 금지정보를 상기 기억소자에 설정한다.
또, 상기 반도체기억장치는 전원투입후 모든 블럭영역의 라이트를 금지하는 상태로 되고, 그 후 미리 저장되어 있던 상기 라이트 금지/허가정보가 자동적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또는, 상기 반도체기억장치는 전원투입후 모든 영역의 라이트를 금지하는 상태로 되고, 그 후의 소정의 어드레스의 조합의 여러개의 리드사이클에 따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던 상기 라이트 금지/허가정보가 설정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라이트 금지/허가의 설정이 여러개의 블럭단위로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의해서 RAM부와 리라이트보호되어 있는 ROM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라이트 금지/허가의 설정수순이 복잡하므로 시스템의 폭주 등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 있다.
라이트의 금지는 라이트사이클의 전반에서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 금지영역에 있는지 없는지를 고속으로 체크하는 회로와 라이트사이클의 후반에서 라이트신호를 디스에이블하는 회로에 의해 실현한다. 라이트의 금지는 외부로부터의 라이트의 제어신호를 내부에서 디스에이블로 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라이트금지로 된 블럭영역에 대한 라이트사이클에 있어서 메모리어레이의 워드선이 선택상태로 상승되고, 비트선의 신호가 증폭될 때까지의 동작은 다른 블럭에 대한 리드사이클의 동작과 동일하도록 실행된다. 이 때문에, 워드선의 상승후에 라이트금지가 가능하게 되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라이트사이클의 고속성을 손실시키지 않고 라이트금지를 실현할 수 있다.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 금지영역에 있는지를 고속으로 체크하고 또한 라이트금지의 데이타설정을 불휘발로 하기 위해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와 래치회로를 포함한다. 그리고, 래치회로에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에 기억된 라이트 금지영역으로 하도록 1~여러개의 블럭(보호블럭)의 데이타가 전원투입후에 라이트된다. 새로 라이트 금지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라이트 금지영역으로 하도록 1~여러개의 블럭(보호블럭)의 데이타가 동일라이트 사이클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와 래치회로의 양쪽에 라이트된다.
이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구성에 의해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 금지영역에 있는지 없는지의 체크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억된 보호정보를 리드하는 일 없이 래치회로의 출력과 입력된 어드레스신호의 상위어드레스의 디코드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따라서,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보호정보와 입력된 어드레스신호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고 래치회로에 저장된 보호정보와 입력된 어드레스신호의 상위어드레스의 디코드결과를 비교하기 때문에, 어드레스액세스마다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보호정보를 리드한다는 동작이 필요없게 되므로, 그만큼 빠른 시간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경우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 금지영역에 있는지 없는지의 체크는 래치회로의 출력과 입력된 어드레스신호의 상위어드레스의 디코드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이 경우 래치회로의 출력과 전체 어드레스신호의 디코드한 디코드결과와 비교하는 경우보다 빠른 시간으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메모리어레이의 일부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보호어드레스의 신규설정을 통상의 라이트사이클과 동일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설정정보를 불휘발로 할 수 있다.
전원투입후는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불휘발성메모리의 기억정보를 래치회로에 기억시킬 필요가 생기지만, 블럭보호의 재설정 시퀀스의 일부를 이 불휘발성 메모리셀의 리드사이클로 하는 것에 의해 전원투입후에 자동적으로 래치회로에 라이트 금지영역의 어드레스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메모리(반도체 기억회로장치)에 전원전압 검출회로를 마련한다. 그것에 의해,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의 불휘발성 메모리셀의 리드사이클이 전원투입시 이 전원전압 검출회로의 출력에 응답해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도록 하고 이 불휘발성 메모리의 어드레스정보를 래치회로에 설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범용의 단일체SRAM이나 의사SRAM과 마찬가지인 고속라이트가 가능하고 또한 라이트 금지영역의 가변인 RAM/ROM 일체의 메모리(반도체 기억 회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블럭도이다. 강유전체 메모리 FMEM은 메모리어레이FMARY, 행디코더RDEC, 열디코더CDEC, I/O래치IOL, 행어드레스 래치(래치회로)RAL, 열어드레스 래치CAL 및 제어논리 및 블럭 보호 회로CLBP를 갖고 단결정실리콘과 같은 1개의 반도체기판상에 형성된다. 제어논리 및 블럭 보호회로CLBP 이외의 회로구성은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된다고 고려되므로 여기에서는 그다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제어논리 및 블럭 보호회로CLBP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메모리어레이FMARY는 2진정보의 1비트를 기억하는 메모리셀을 1024×256 = 256K(K = 1024)개 갖고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32K워드 × 8비트 구성이므로, 행어드레스는 10개, 열어드레스는 5개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핀배치도이다.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수지몰드기술에 의해 450mil의 28핀 플라스틱SOP(Small Outline Package) 등에 수지에 의해 봉지된다.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핀배치는 32K워드×8비트 구성의 256K비트 의사SRAM과 겸용이다. A0~A14는 어드레스 입력신호를 위한 외부단자이고, I/O0~I/O7은 데이타입출력을 위한 외부단자, /WE는 라이트 인에이블신호를 위한 외부단자이고, /CE는 칩 인에이블신호를 위한 외부단자, /OE는 출력인에이블신호를 위한 외부단자이고, Vcc는 전원(3V)을 위한 외부단자이며, Vss는 접지(0V)를 위한 외부단자이다. 또한, 32K워드×8비트구성의 256K비트 SRAM이라고 하는 것은 20핀의 칩 선택(/CS)신호가 칩 인에이블(/CE)신호로 되어 있을 뿐만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핀배치는 32K워드×8비트 구성의 256K비트 SRAM과 겸용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A0~A14, IO/0~I/O7, /WE, /OE의 각 기호는 각 신호명의 의미 또는 각 외부단자의 의미로서 이용된다.
칩 인에이블(/CE)는 로우(Low)레벨에서 활성으로 되고, 하이(High)레벨에서 비활성으로 된다.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의 하강시에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어드레스A0~A14를 외부에서 메모리내부로 폐치한다.
어드레스(A0~A7, A13, A14)가 행어드레스신호이고, 어드레스(A8~A12)가 열어드레스신호이다.
라이트 인에이블(/WE)는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의 전환신호이고, 그것이 로우레벨(활성레벨)일 때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라이트모드로 된다. 칩 인에이블(/CE와 라이트 인에이블(/WE) 중 먼저 상승하는 신호의 상승시에 라이트데이타는 강유전체 메모리FMEM 내부에 페치된다.
출력인에이블(/OE)는 로우레벨에서 활성으로 되고, 하이레벨에서 비활성으로 된다.
다음에 라이트 인에이블(/WE), 칩 인에이블(/CE), 출력인에이블(/OE)의 조합에 있어서의 기능을 설명한다.
[1] (/WE, /CE, /OE) = (×, H, ×)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칩비선택 모드로 되고, 각 데이타입출력단자에 결합된 각 출력버퍼의 출력단자는 고임피던스로 된다. 여기에서, ×는 H, L중의 어느 하나이고 H는 하이레벨, L 은 로우레벨이다.
[2] (/WE, /CE, /OE) = (H, L, H)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출력디스에이블 모드로 되고, 각 데이타입출력 단자의 각 출력버퍼의 출력단자는 고임피던스로 된다.
[3] (/WE, /CE, /OE) = (H, L, L)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리드 모드로 되고, 각 데이타입출력단자의 각 출력버퍼는 출력가능한 상태로 된다.
[4] (/WE, /CE, /OE) = (L, L, H)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출력라이트 모드로 되고, 각 데이타입출력단자의 각 입력버퍼는 입력가능한 상태로 된다. 각 데이타입출력단자의 각 출력버퍼의 출력단자는 고임피던스로 된다.
[5] (/WE, /CE, /OE) = (L, L, L)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라이트 모드로 되고, 각 데이타입출력단자의 각 출력버퍼 및 데이타입력 버퍼는 출력가능한 상태 및 입력가능한 상태로 된다.
《동작 타이밍》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리드사이클의 타이밍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사이클의 타이밍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사이클의 어드레스(A0~A14)가 입력되고,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고, 출력인에이블(/O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면, 리드데이타가 데이타입출력(I/O0~I/O7)로 출력된다.
리드사이클기간(tRC)는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고 나서 다음에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본 실시예의 강유전체 메모리FMEM에서는 tRC = 235ns이다. 칩 인에이블 펄스폭(tCA)는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이 규정된다. 칩 인에이블 프리챠지시간(tPC)는 다음의 액세스에 필요한 프리챠지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어드레스 셋업시간(tAS)는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에 대한 어드레스의 셋업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어드레스 홀드시간(tAH)는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에 대한 어드레스의 홀드시간으로서, 최소 시간이 규정된다. 칩 인에이블 액세스시간(tCE)는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의 하강부터 유효한 데이타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최대시간이 규정된다. 본 실시예의 강유전체 메모리FMEM에서는 tCE = 150ns이다. 칩 디스에이블 출력지연(tHZ)는 칩 인에이블(/CE)는 하이레벨로의 상승부터 유효데이타가 유지되는 시간으로서, 최소시간과 최대시간이 규정된다. 출력인에이블 액세스 시간(tOE)는 출력인에이블(/O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부터 유효한 데이타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최대시간이 규정된다. 출력디스에이블 출력지연(tOHZ)은 출력인에이블(/OE)의 하이레벨로의 상승부터 유효데이타가 유지되는 시간으로서, 최대시간이 규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사이클은 어드레스(A0~A14)가 입력되고, 라이트 인에이블(/W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고,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고, 라이트데이타가 데이타입출력(I/O0~I/O7)에 입력되면, 칩 인에이블(/CE)의 하이레벨로의 상승에 의해 입력데이타가 강유전체 메모리FMEM에 페치된다.
라이트사이클시간(tWC)는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하고 나서 다음에 칩 인에이블(/CE)가 로우레벨로 하강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본 실시예의 강유전체 메모리 FMEM에서는 tWC = 235ns이다. 라이트 인에이블 셋업시간(tWS)는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에 대한 라이트 인에이블(/W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의 셋업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라이트 인에이블 홀드시간(tWH)는 칩 인에이블(/CE)의 로우레벨로의 하강에 대한 라이트 인에이블(/WE)의 하이레벨로의 상승의 홀드시간으로서, 최소 시간이 규정된다. 입력데이타 설정시간(tDS)는 칩 인에이블(/CE)의 하이레벨로의 상승에 대한 입력데이타의 셋업시간으로서, 최소시간이 규정된다.
《레이아웃》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레이아웃도이다. 어드레스(A3~A14), 전원(Vcc), 라이트 인에이블(/WE), 출력인에이블(/OE)의 각각의 본딩 패드는 반도체칩의 상변에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A0~A2), 데이타입출력(I/O0~I/O7), 접지(Vss), 칩 인에이블(/CE)의 각각의 본딩패드는 반도체칩의 하변에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LMARY는 8개로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레이아웃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MARY0과 메모리어레이MARY1 사이에 행디코더X-Dec가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MARY2와 메모리어레이MARY3 사이에 행디코더X-Dec가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MARY4와 메모리어레이MARY5 사이에 행디코더X-Dec가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MARY6과 메모리어레이MARY7 사이에 행디코더X-Dec가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4개의 메모리어레이(MARY0, MARY1, MARY2, MARY3)과 우측의 2개의 메모리어레이(MARY4, MARY5, MARY6, MARY7)사이에는 열디코더Y-Dec가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어레이 및 기본동작》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어레이의 개념적인 회로도이다. 메모리어레이MARY는 도 4 의 각 메모리어레이 중의 2개로 분할된 1개의 일부에 대응한다.
메모리어레이MARY는 워드선WL, 워드선WL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선 PL, 워드선WL 및 플레이트선PL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비트선쌍(BL, /BL)및 워드선WL과 플레이트선PL과 비트선쌍(BL, /BL)의 교차점에 배치되는 메모리셀 MC가 매트릭스형상으로 여러개 배치되어 구성된다. 각 메모리셀MC는 1개의 워드선WL, 1개의 플레이트선PL 및 1쌍의 비트선(BL, /BL)에 결합된다.
1개의 메모리셀MC는 2개의 트랜지스터(Q1, Q2)와 2개의 강유전체 콘덴서(C1, C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메모리셀은 2T2C(2Transistors-2Capacitances)구조의 메모리셀이라 부르고 있다. 2T2C구조의 메모리셀은 2개의 강유전체 콘덴서에 대해서 배타적인 데이타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강유전체 콘덴서의 저하에 대해서 강하고 데이타의 리드가 안정화되는 특징이 있다.
도 7 은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어레이의 동작타이밍도이다. 다음에, 기본동작을 설명한다.
[1] 기본라이트동작
공통 입출력선(IO, IOB)에 부가된 라이트데이타에 의해 열디코더 Y-Dec에 의해 선택된 비트선BL, 비트선/BL가 배타논리에 하이레벨 및 로우레벨 또는 로우레벨 및 하이레벨로 각각 고정된다. 비트선BL이 하이레벨, 비트선/BL가 로우레벨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행디코더X-Dec에 의해 선택된 플레이트선PL이 로우레벨로 된다.
다음에, 행디코더X-Dec에 의해 선택된 워드선WL이 하이레벨로 되고, 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1, Q2가 도통상태로 된다. 이 때, 비트선 /BL에 접속되는 강유전체 콘덴서C2는 플레이트선PL과 비트선/BL가 로우레벨로 되어 있으므로 분극반전을 일으키지 않고 현상의 데이타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비트선BL에 접속되는 강유전체 콘덴서C1은 플레이트선PL이 로우레벨이고 비트선 BL이 하이레벨이므로, 그 방향에서 분극반전을 일으킨다. 따라서, 강유전체 콘덴서C1에 대한 데이타의 라이트가 실행된다.
다음에, 플레이트선PL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시킨다. 이 동작에 의해서 플레이트선PL과 비트선BL이 하이레벨로 되어 있으므로, 강유전체 콘덴서C1은 조금전의 분극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강유전체 콘덴서C2는 플레이트선PL이 하이레벨이고 비트선/BL가 로우레벨이므로, 그 방향에서 분극반전을 일으킨다. 이 분극반전의 방향은 강유전체 콘덴서C1과 그것과는 반대방향으로 된다. 따라서, 강유전체 콘덴서C1의 데이타와 배타논리의 데이타가 강유전체 콘덴서C2에 대해서 라이트된다. 이와 같이 상반된 방향로 라이트하는 것에 의해 리드시에 비교적 간단하게 데이타를 판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워드선WL을 로우레벨로 하고 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1, Q2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라이트시퀀스는 종료한다.
[2] 기본리드동작
강유전체 콘덴서C1은 상부(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1측)가 하이레벨, 하부(플레이트선PL측)가 로우레벨로 분극되고, 강유전체 콘덴서C2는 상부(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2측)이 로우레벨, 하부(플레이트선PL측)가 하이레벨로 분극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비트선BL과 비트선/BL가 접지전위(로우레벨)에 프리챠지된다. 프리챠지후, 비트선BL과 비트선/BL은 하이임피던스상태로 된다.
다음에, 행디코더X-Dec에 의해 선택된 플레이트선PL을 로우레벨로 한 후, 행디코더X-Dec에 의해 선택된 워드선WL을 하이레벨로 하고, 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1, Q2를 도통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강유전체 콘덴서 C1, C2는 양단자가 로우레벨로 되고 강유전체 콘덴서C1, C2는 분극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플레이트선PL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시킨다. 이 때, 강유전체 콘덴서 C1, C2에서 전하가 방출되지만, 그 방출되는 전하량은 원래 분극을 일으키고 있던 방향에 따라서 다르다. 플레이트선PL측이 하이레벨로 분극된 강유전체 콘덴서C1의 전하량은 플레이트선PL측이 하이레벨로 분극된 강유전체 콘덴서C2의 전하량보다 많다. 각각 방출된 전하는 비트선BL, 비트선/BL의 전압으로서 나타내진다. 이 경우, 강유전체 콘덴서 C1쪽이 많은 전하를 방출하므로, 비트선BL의 전압이 비트선/BL의 전압보다 높아진다.
비트선BL, 비트선/BL에 전압이 발생한 시점에서 센스앰프 제어신호SAC에 의해 센스앰프SA를 동작시키고, 비트선BL의 전압과 비트선/BL의 전압의 차를 증폭한다. 따라서, 비트선BL은 하이레벨로, 비트선/BL은 로우레벨로 되고, 각각 공통 입출력선IO, IOB에 리드된다.
이상이 리드스퀀스이지만 이 상태에서는 강유전체 콘덴서C1, C2에 축적된 데이타가 파괴된 채로 되므로 데이타를 라이트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시퀀스에서 비트선BL은 하이레벨로, 비트선/BL은 로우레벨로, 플레이트PL은 로우레벨로, N채널형 MOS트랜지스터 Q1, Q2가 도통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강유전체 콘덴서C1에 재라이트가 실행되고 있다.
다음에, 플레이트선PL을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시킨다. 이것에 의해, 강유전체 콘덴서C2의 비트선/BL측은 로우레벨로, 플레이트선PL측이 하이레벨로 되고 재라이트가 실행된다. 이 때, 강유전체 콘덴서C1은 플레이트선PL측 및 비트선BL측이 하이레벨로 되고 조금전의 분극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워드선WL을 로우레벨로 하고 N채널형 MOS트랜지스터Q1, Q2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리드시퀀스는 종료된다.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방법》
도 8~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 방법의 1 실시예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칩전체의 라이트보호의 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라이트보호를 인에이블로 시키는 시퀀스는 칩외부에서 강유전체 메모리FMEM에 7조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리드사이클을 실행하면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이 소정의 어드레스는 ($1823, $1820, $1822, $0418, $041B, $0419, $040A)이고, 이 소정의 어드레스로의 7사이클의 리드사이클의 실행으로 라이트보호의 설정이 실행된다. 또한, $는 16진 표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라이트보호를 디스에이블로 시키는 시퀀스도 칩외부에서 강유전체메모리FMEM에 7조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리드사이클을 실행하면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설정된다. 소정의 어드레스는 ($1823, $1820, $1822, $0418, $041B, $0419, $041A)이고, 이 소정의 어드레스로의 7사이클의 리드사이클의 실행으로 라이트보호의 해제가 실행된다. 라이트보호의 설정과 라이트보호의 해제는 7사이클째의 어드레스만이 다르다.
도 9는 블럭보호와 설정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소정의 어드레스 ($1823, $1820, $1822, $0418, $041B, $0419, $041A)로의 7사이클의 리드사이클의 실행후, 8사이클째의 소정의 어드레스($040F)로의 이것에로 라이트보호의 설정이 실행된다. 8사이클째의 라이트사이클의 데이타입출력(I/O0~I/O7)의 입력데이타에 의해 라이트보호될 1~여러개의 블럭이 지정되고, 그 데이타에 따라서 라이트보호되는 1~여러개의 블럭이 설정된다.
도 10에는 블럭보호의 재설정시퀀스를 도시하고 있다. 소정의 어드레스($1823, $1820, $1822, $0418, $041B, $0419, $041A)로의 7사이클의 리드사이클의 실행후, 8사이클째의 소정의 어드레스($040F)로의 리드사이클의 실행으로 라이트보호의 재설정이 실행된다. 8사이클째의 리드사이클에 의해 라이트보호 재생블럭이 설정된다. 즉, 앞의 라이트보호 설정시퀀스에 의해 메모리어레이 FMARY에 기억되어 있는 블럭보호 데이타가 래치에 리드되고 재설정된다.
강유전체 메모리FMEM은 8개의 블럭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11 은 블럭번호와 상위 3비트어드레스(A14, A13, A12)의 관계 및 블럭번호와 데이타 입출력I/O의 번호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8사이클째의 라이트사이클의 8비트의 데이타의 각각이 8개의 블럭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에 대응한다. 데이타 입출력I/O0~I/O7이 각각 블럭0~블럭7에 대응한다. 1이 라이트블럭의 설정을 나타내고, 0이 라이트블럭의 해제를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메모리 어드레스 공간을 도시하고 있다. 블럭0이 하위어드레스측이고, 블럭7이 상위어드레스측이다. 각 블럭은 4KB(킬로바이트)의 용량이다. 도 13은 블럭보호의 설정시퀀스의 8사이클째에 데이타입출력I/O에 입력된 데이타의 예를 도시한다. I/O0, I/O1, I/O7이 1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해서 도 12의 메모리 어드레스 공간의 블럭0, 블럭1, 블럭7이 라이트보호된다.
도 8~도 10의 라이트보호의 설정/해제의 시퀀스에 필요한 리드사이클 또는 라이트사이클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데이타처리장치 등에 포함되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실행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시스템 기동용의 부트프로그램의 일부에 들어가 있다. 도 14는 부트프로그램이 강유전체 메모리FMEM과는 다른 부트ROM(BROM)에 저장되는 경우의 데이타처리시스템 또는 PDA등의 휴대용데이타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15는 부트프로그램이 다른 시스템(퍼스널 컴퓨터등)에서 강유전체 메모리FMEM내에 라이트된 후, 강유전체 메모리FMEM을 본 시스템에 삽입(실장)한 경우의 데이타처리시스템 또는 PDA등의 휴대용 데이타 처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라이트보호의 전체구성》
도 16 은 본원 발명에 관한 라이트보호의 블럭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전체(전체비트)를 라이트보호할 것인지, 일부만의 블럭보호인지, 보호없음인지를 검출하는 커맨드 검출회로CDC, 커맨드 검출회로CDC의 출력에 따라서 동작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 보호하는 영역을 기억해 두는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 액세스된 어드레스를 디코드하는 어드레스 디코더ADEC,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보호되고 있는 영역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는 어드레스 비교회로ACC및 어드레스가 보호되고 있는 영역에서 보호상태에서 있는 경우에 라이트를 금지하는 라이트 보호회로WPC로 이루어진다.
커맨드 검출회로CDC는 커맨드를 검출한 경우 출력S1을 내보내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의 상태를 변경한다. 어드레스 비교회로ACC는 보호어드레스의 정보S3과 어드레스 디코더ADEC의 출력S4를 비교하고 비교결과S5를 출력한다. 라이트 보호회로WPC는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의 출력 S2에 따라 비교 결과S5가 하이레벨인 경우 라이트를 제어한다.
《커맨드 검출회로 및 동작상태 유지회로》
도 17은 커맨드 검출회로 CDC 및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의 상세블럭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맨드 검출회로CDC는 입력어드레스를 디코드하는 커맨드 어드레스 디코더CDEC,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외부사양에서 결정된 고정어드레스($1823, $1820, $1822, $0418, $041B, $0419, $041A등)을 유지하는 고정어드레스 유지회로FAHC, 커맨드 어드레스 디코더CDEC의 출력과 고정어드레스 유지회로의 출력을 비교하는 어드레스 비교회로 CMP, 커맨드 어드레스의 입력순번을 검사하는 커맨드 시퀀스 검출회로CSDC로 구성된다. 고정어 드레스와 입력어드레스를 비교해서 그들이 일치한 경우에는 어드레스 비교회로CMP는 신호SQ1, SQ2, SQ3, SQ4, SQ5, SQ6, SQ7E, SQ7D, SQ8 중의 1개를 하이레벨로 한다. 신호SQ1은 입력어드레스가 $1823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SQ2는 입력어드레스가 $1820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SQ3는 입력어드레스가 $1822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4는 입력어드레스가 $0418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5는 입력어드레스가 $041B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6은 입력어드레스가 $0419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7E는 입력어드레스가 $041A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7D는 입력어드레스가 $040A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신호 SQ8은 입력어드레스가 $040F의 경우 하이레벨로 된다.
이들 신호는 커맨드 시퀀스 검출회로CSDC의 8단의 시프트레지스터의 입력신호로 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1의 출력과 신호SRQ2가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2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2의 출력과 신호SRQ3이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3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서트SR3이 출력과 신호SRQ4가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4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4의 출력과 신호SR5가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5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5의 출력과 신호SRQ6이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6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6의 출력과 신호SR7E가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7E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6의 출력과 신호SR7D가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7D에 입력된다. 시프트레지스터SR7D의 출력과 신호SR8이 논리곱을 취하여 시프트레지스터SR8에 입력된다. 이들 시프트레지스터에 의해 입력된 어드레스의 시퀀스가 체크된다. 입력된 어드레스의 시퀀스가 모두 일치한 경우 그 시퀀스에 따라서 출력인 라이트보호 인에이블신호 SQE, 디스에이블신호SQD, 블럭보호신호SQB가 출력된다.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는 2개의 래치회로L1, L2로 구성되고, 래치L1, L2의 상태는 라이트보호 인에이블신호SQE, 디스에이블신호SQD, 블럭보호신호SQB에 의해 결정된다. 이 래치L1, L2의 상태는 다음의 커맨드가 입력될 때까지 라이트보호의 동작의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데이타를 유지한다. 현재의 동작모드는 래치L1의 출력신호WPE와 래치L2의 출력신호WPB로 나타내어진다. 출력신호WPE가 하이레벨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 전체가 라이트보호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WPB가 하이레벨의 경우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일부의 블럭이 라이트보호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원투입시는 도 20에 도시된 전원검출회로VDC로부터의 검출신호POR에 의해 래치L1이 설정되고,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보호모드는 전체 비트 보호상태로 되고 라이트를 금지한 상태로 된다.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 및 라이트 보호회로》
도 18은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HAC, 어드레스 디코더ADEC, 어드레스 비교회로ACC, 라이트 보호회로WPC등의 회로도이다. 도 18에는 상기 회로이외에 공통 입출력선IO, IOB, 센스앰프SA, 메모리셀 어레이MARY, 행디코더 X-Dec, 열디코더 Y-Dec, 메인앰프MA, 출력회로OC, 입력회로IC가 도시되어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입출력데이타는 8비트구성이므로, 공통 입출력선 IO, IOB, 메인앰프MA, 출력회로OC, 입력회로IC등은 각각 8개 있다. 또, 메모리 어레이MARY도 여러개 있고, 각 메모리어레이MARY는 여러개의 비트선쌍의 갖고, 그것에 대응해서 센스앰프SA 및 컬럼스위치YSW가 접속된다. 그러나, 도면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도 18에서는 1비트만을 도시하고 있다.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는 8개의 불휘발성 메모리(강유전체 메모리)와 8개의 래치회로PAL로 이루어져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는 칩내부에서 특수한 어드레스를 갖고 있고, 블럭보호의 커맨드 어드레스 시퀀스에서 8사이클째로 되면 신호SQB에 의해 통상의 행디코더Y-Dec에서 이 어드레스로의 전환이 실행된다. 이 8사이클째가 리드사이클인 경우(도 10의 블럭보호의 재설정 시퀀스)이 특별한 번지의 메모리셀이 액세스되고 이 메모리셀의 정보가 리드되고 공통 입출력선IO, IOB를 통해서 래치제어신호LAC의 타이밍에서 래치PAL로 정보가 복사되고 유지된다.
또, 블럭보호의 시퀀스에서 8사이클째가 라이트사이클의 경우(도 9의 블럭보호의 설정시퀀스의 경우), 데이타입출력단자(InputData)에서 통상의 라이트사이클과 동일하도록 새로운 데이타가 이 특별번지의 메모리셀에 라이트된다. 또, 이 사이클 종료시에 래치제어신호LAC에 의해 동일 데이타가 래치PAL에도 라이트된다. 라이트되는 8비트의 데이타는 각 비트가 8개의 영역(블럭)에 대응하고 있고, 1(하이레벨)의 경우에는 대응하는 블럭이 라이트보호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원투입후는 8개의 래치PAL은 하이레벨로 설정되고 전체 블럭이 라이트보호된다. 따라서, 전원투입후는 도 10에 도시한 블럭보호의 재설정시퀀스가 필요하다. 또, 8개의 불휘발성 메모리(강유전체 메모리)는 반도체 제조회사에서 출하될 때는 0으로 클리어되어 있다.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8비트의 출력S3은 3비트의 어드레스 A12-A14를 디코드하는 어드레스 디코더ADEC의 출력S4와 어드레스 비교회로 ACC에 의해 비교되고, 일치한 어드레스가 있는 경우에는 1비트의 출력결과S5가 하이레벨로 된다. 이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에 의한 비교는 디코드완료의 래치PAL의 출력신호S3과 어드레스(A12-A14)의 디코드신호의 비교이므로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다.
라이트 보호회로WPC에서는 내부 라이트신호WE0과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의 출력S2(WPE, WPB)의 커맨드 검출회로CDC의 출력S1(SQB)에서 라이트데이타의 입력을 제어하는 스위치회로SW1의 제어신호인 라이트 허가신호WE1을 생성한다. 라이트 허가신호WE1이 하이레벨의 경우 스위치회로SW1은 도통상태로 되고, 입력회로IC로부터의 입력데이타가 공통 입출력선IO, IOB에 입력된다.
라이트 제어회로WC는 칩 인에이블신호/CE와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에 따라서 내부 라이트신호WE0을 생성한다. 칩 인에이블신호/CE와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가 모두 로우레벨이고 또한 라이트금지의 판정결과F가 출력되는 타이밍보다 지연된 타이밍으로 내부라이트신호WE0이 하이레벨로 되도록 하고 있다. WPB와 어드레스 비교회로의 출력이 S5가 하이레벨에서의 경우 출력신호F가 하이레벨로 되고, 내부라이트신호WE0은 디스에이블(로우레벨)된다. 또, WPE가 하이레벨인 경우에도 내부라이트신호WE0은 디스에이블된다. 결과, 라이트 허가신호WE1은 로우레벨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메모리 FMEM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입력데이타는 스위치회로SW1에서 차단되고, 메모리FMEM의 내부는 리드동작과 동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위치회로SW1대신에 컬럼스위치YSW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서도 입력데이타는 차단될 수 있다. 즉, 라이트 허가신호WE1을 WE1'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제어신호DEC를 로우레벨로 하고 입력데이타를 메모리어레이에 입력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는 라이트가 금지되어 있도록 기능한다. 이 방법에 의해, 메모리어레이를 리드동작으로 유지하면서 라이트를 금지할 수 있고, 리드에 의한 데이타의 재라이트에 의해 데이타가 보증된다.
또한, 블럭보호의 시퀀스의 8사이클째가 라이트사이클인 경우에는 신호 SQB가 하이레벨로 되고 라이트 허가신호WE1이 하이레벨로 된다. 또, 신호SQB가 하이레벨로 되면,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불휘발성 메모리셀과 공통 입출력선IO, IOB가 접속되고 라이트할 수 있게 된다.
커맨드 검출회로CDC와 동작상태 유지회로OSHC는 도 5에 도시한 레이아웃도의 칩의 상변의 측(메모리어레이MARY0, MARY4 상)에 배치된다. 또,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 어드레스 디코더ADEC, 어드레스 비교회로ACC 및 라이트 보호회로WPC는 도 5에 도시한 레이아웃도의 칩의 하변의 측(메모리어레이MARY3, MARY7 하)에 배치된다. 또한,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불휘발성 메모리는 메모리어레이(MARY0, MARY1, MARY2, MARY3, MARY4, AMRY5, MARY6, MARY7)내에 배치된다. 이것은 통상의 메모리어레이와 행디코더 X-Dec등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래치PAL과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와 어드레스 디코더ADEC가 칩의 하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라이트보호의 어드레스영역의 액세스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최소의 지연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칩의 하측에는 데이타 입출력단자(I/O0-I/O7)이 배치되므로 메인앰프 MA 및 출력회로 OC도 칩의 하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공통 입출력선IO, IOB가 칩의 하변에 배치되므로, 래치 PAL을 칩의 하변에 배치하면 칩의 상변에 배치하는 것보다 배선수를 삭감할 수 있다. 즉, 칩의 상변에는 어드레스의 배선이 다수 배치되므로, 공통 입출력선IO, IOB를 칩의 상변으로 인출하면 그 분배선 수가 증대하게 된다. 또, 어드레스(A0, A1, A2)의 단자주변에서는 메인앰프MA 및 출력회로OC와 같은 비교적 큰 회로가 없으므로 빈 공간이 생긴다. 거기에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래치PAL과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와 어드레스 디코더ADEC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칩면적의 증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라이트 보호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도 19는 블럭보호가 설정된 블럭으로부터 라이트사이클의 실행된 경우의 도 18에 도시된 각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칩 인에이블신호/CE가 로우레벨로 되면 내부칩 인에이블신호CE0이 하이레벨로 된다. 그 결과,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의 출력S5가 유효로 된다(하이레벨로 된다.). 블럭보호상태이므로 WPB가 하이레벨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의 출력S5가 하이레벨로 되면 신호F는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한다. 그 결과, 내부라이트신호WE0이 하이레벨로 되어도 라이트 허가신호WE1은 로우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도19의 라이트 허가신호WE1, 공통 입출력선IO, IOB 및 비트선BL, BKB의 타이밍 파형의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은 신호F가 로우레벨이면 이 타이밍에서 각각 신호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행디코더X-Dec에서 선택된 워드선WL 및 플레이트선PL이 하이레벨로 되고 메모리셀MC의 내용(기억데이타)이 비트선BL, BLB에 리드된다. 센스앰프 제어신호SA가 하이레벨로 되고 비트선BL, BLB의 신호가 센스앰프SA에 의해 증폭된다. 이 때, 메모리셀MC의 내용은 파괴된다. 그러나, 센스 앰프SA에 의해서 데이타의 재라이트가 실행된다. 플레이트선PL이 하이레벨일 때, 한쪽의 강유전체 콘덴서에 재라이트가 실행되고 플레이트선PL이 로우레벨일 때 다른쪽의 강유전체 콘덴서에 재라이트가 실행된다.
라이트 허가신호WE1이 로우레벨이므로, 입력데이타는 스위치SW1에서 공통 입출력선IO, IOB에 입력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공통 입출력선IO, IOB는 메모리어레이MARY에서 리드된 레벨을 유지한다.
칩 인에이블신호/CE가 하이레벨로 되면 내부칩 인에이블신호CE0이 로우레벨로 된다. 그 결과,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의 출력S5가 무효로 된다(로우레벨로 된다). 또, 내부라이트신호WE0도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비교회로ACC의 출력S5가 로우레벨로 되면 신호F는 로우레벨로 된다.
《전원전압 검출회로》
도 20은 전원전압 검출회로의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전압 검출회로VDC는 전압검출회로VD와 펄스발생회로PG로 구성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검출회로VD는 전원전압이 소정의 전압(Threshold Voltage)보다 높은 경우 신호PD를 하이레벨로 한다. 또, 펄스발생회로PG는 인버터 회로와 지연회로(Delay) 및 논리곱회로로 구성되고, 신호PD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변화했을 때 일정폭의 펄스POR을 발생한다. 즉, 전원전압 검출 회로VDC는 전원투입을 검출하는 회로이다.
《변형예》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강유전체 메모리의 라이트 보호회로의 변형예의 회로도이다. 전원투입후 블럭라이트보호의 재설정 시퀀스를 실행하는 일없이 블럭보호 데이타를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불휘발성 메모리에서 래치PAL에 설정할 수 있는 회로이다. 즉, 블럭라이트 보호의 재설정 시퀀스의 8사이클째의 리드사이클을 전원투입후 강유전체 메모리FMEM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전원전압 검출회로VDC는 도 20과 동일한 것이다. 의사내부 칩인에이블 생성회로CEPORG는 전원투입을 알리는 펄스신호POR을 수신하고, 내부칩 인에이블신호CEO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CEPORB를 생성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신호POR이 하이레벨로 되면, 플립플롭FF가 설정되고 신호CEPORB가 로우레벨로 된다. 2개의 지연회로, 인버터회로 및 논리합회로에 의해 신호CEPORB의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변화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하강에지 검출회로가 형성되고, 이 하강에지 검출회로가 소정의 시간 지연된 펄스신호EOCB를 생성한다. 펄스신호EOCB가 로우레벨로 되면 플립플롭FF가 재설정되고 신호CEPORB가 하이레벨로 된다. 칩 인에이블신호/CE와 전압검출회로의 출력PD의 반전신호가 논리합회로에 입력되고, 논리합회로의 출력신호와 신호CEPORB가 NAND회로에 입력된다. 그것에 의해 내부칩 인에이블 신호CE0이 생성된다.
신호CEPORB는 도 22의 칩제어회로(Chip Control)에 입력되고 의사적으로 리드사이클에 필요한 제어신호(Read Cycle Controls)를 생성한다. 즉, 도 18의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리드하는데 필요한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또, 신호CERORB의 반전신호는 또 도 17의 신호 SQB와 논리합을 취하고 신호SQB'가 생성된다. 이 신호SQB'는 도 18의 신호 SQB 대신에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전원투입후 블럭라이트 보호의 재설정 시퀀스를 외부에서 실행하는 일없이 블럭라이트 보호의 재설정이 가능하므로, 강유전체 메모리FMEM의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의 금지는 라이트 인에이블신호/WE를 칩내부에서 디스에이블로 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어레이MARY가 선택되고 나서 워드선WL을 상승시키고, 비트선BL, BLB의 신호를 증폭할 때까지의 기간은 라이트 금지의 라이트 사이클에서도 리드사이클과 마찬가지로 실행된다. 이 때문에, 워드선PL의 상승후에 라이트금지의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라이트 금지영역의 라이트사이클의 고속성을 손실하는 일 없이 도 4의 타이밍 규정에서도 라이트 금지의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어드레스 유지회로PAHC를 불휘발성 메모리와 래치 PAL로 구성한 회로로 하고 있다. 새로 라이트보호하기 위한 블럭을 설정하는 경우 신규보호 데이타가 불휘발성 메모리와 래치PAL의 양쪽에 동일 라이트사이클로 라이트된다. 이것에 의해 어드레스가 라이트 금지영역에 있는지 없는지의 체크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억정보를 리드하지 않고 래치PAL의 출력과 보호블럭에 대응하는 상위어드레스의 디코드결과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행하고, 전체 어드레스의 디코드보다 빠른 시간으로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불휘발성 메모리를 메모리어레이MARY의 일부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보호어드레스의 신규설정을 통상의 라이트사이클과 동일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설정정보를 불휘발로 할 수 있다.
전원투입후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정보를 래치PAL에 넣을 필요가 생기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블럭보호의 시퀀스의 8사이클째에서 어드레스를 내부에서 전환하고, 이 불휘발성 메모리셀의 리드사이클로 하는 것에 의해 전원투입후에 자동적으로 래치PAL에 라이트 금지영역의 어드레스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범용의 단일체SRAM이나 의사SRAM과 마찬가지인 고속라이트가 가능하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가변인 RAM/ROM 일체의 메모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메모리셀은 2T2C구조가 아닌 다이나믹RAM과 마찬가지인 1T1C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1T1C구조의 메모리셀을 사용한 경우 범용DRAM과 마찬가지로 대용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라이트보호하는 블럭의 지정은 데이타입출력I/O에서 입력되는 데이타에 1대 1 대응해서 지정했지만, 데이타입출력I/O에서 입력되는 데이타를 디코드해서 대응시켜도 좋다. 이 경우, 분할블럭수가 데이타입출력I/O의 수보다 많아져도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정의 어드레스 조합으로 리드사이클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보호시퀀스를 실행했지만, 종래기술1의 EEPORM과 같이 특정의 어드레스와 데이타의 조합을 3회(3바이트)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보호모드에 들어가고, 특정의 어드레스와 데이타의 조합을 6회(6바이트)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보호모드가 해제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입력단자를 1개 증가시켜 이 단자가 소정의 상태인 경우에는 해제시퀀스 다음에 새로 블럭보호를 설정하거나 블럭보호의 재설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 EEPROM과 핀배치를 맞추면 좋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RAM부와 리라이트보호되어 있는 ROM부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 시스템의 폭주등에 의한 오설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어드레스의 신규설정을 통상의 라이트사이클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설정정보를 불휘발로 할 수 있고, 범용의 단일체SRAM이나 의사SRAM과 마찬가지인 고속라이트가 가능하고, 라이트 금지영역의 가변인 RAM/ROM 일체의 메모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7)

  1.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되고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의 어드레스 액세스시간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를 갖는 메모리어레이,
    상기 여러개의 블럭마다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저장하는 여러개의 기억소자 및
    상기 기억소자로서의 라이트 금지/허가정보의 설정을 실행하는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반도체기억장치로서,
    상기 설정수단은 소정의 여러개의 리드사이클 후의 라이트사이클로 라이트 금지정보를 상기 기억소자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의 정보를 기억하고 전원투입후는 제 1 상태로 되는 제 2 기억소자를 더 갖고,
    전원투입후 상기 제 2 기억소자의 내용에 따라서 여러개의 블럭의 전체를 라이트금지하고, 상기 기억소자의 내용에 따라서 여러개의 블럭의 전체를 라이트금지하고, 상기 기억소장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자동적으로 상기 제 2 기억소자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의 정보를 기억하고 전원투입후는 제 1 상태로 되는 제 2 기억소자를 더 갖고,
    전원투입후 상기 제 2 기억소자의 내용에 따라서 여러개의 블럭의 전체를 라이트금지하고, 그 후의 소정의 여러개의 리드사이클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억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상기 제 2 기억소장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이고, 상기 제 2 기억소자는 래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는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이고, 상기 제 2 기억소자는 래치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는 상기 메모리어레이 중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소자는 상기 메모리어레이 중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는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는 일부는 ROM이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다른 일부는 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트 커맨드신호에 있어서 액세스된 어드레스와 상기 여러개의 기억소자에 저장된 라이트 금지/허가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이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금지라고 표시한 경우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에 있어서 라이트를 금지하는 라이트 금지수단을 갖는 라이트 보호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는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일부는 ROM이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다른 일부는 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사이클과 상기 라이트사이클의 적어도 초기의 단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는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일부는 ROM이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소자의 다른 일부는 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6. 여러개의 블럭으로 분할된 여러개의 강유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어레이,
    리드사이클과 라이트사이클의 어드레스 액세스시간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리드사이클과 상기 라이트사이클의 적어도 초기의 단계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리드사이클과 상기 라이트사이클의 적어도 초기의 단계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리드사이클과 상기 라이트사이클 동안 상기 강유전체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어드레스수단 및
    상기 강유전체 메모리의 상기 블럭의 전체를 라이트보호할 것인지, 일부만의 보호인지, 보호없음인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라이트보호되는 상기 강유전체 메모리의 몇개의 블럭의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기억수단, 라이트 커맨드신호에서 액세스된 어드레스와 라이트보호되는 상기 저장된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이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가 라이트금지라고 표시한 경우 상기 액세스된 어드레스에 있어서 라이트를 금지하는 라이트 금지수단을 구비하는 라이트 보호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상기 블럭의 적어도 1개는 ROM부분이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의 상기 블럭의 다른 1개는 RAM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
KR1019970010526A 1996-09-30 1997-03-26 반도체기억장치 KR10047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23,367 1996-09-30
US08/723,367 US5818771A (en) 1996-09-30 1996-09-3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723,367 199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80A true KR19980023980A (ko) 1998-07-06
KR100475264B1 KR100475264B1 (ko) 2005-06-29

Family

ID=2490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526A KR100475264B1 (ko) 1996-09-30 1997-03-26 반도체기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818771A (ko)
JP (1) JP3955932B2 (ko)
KR (1) KR100475264B1 (ko)
TW (1) TW365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2002B2 (ja) 1996-09-24 2004-07-1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システム
JP3489708B2 (ja) * 1996-10-23 2004-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000654B2 (ja) * 1997-02-27 2007-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電子機器
FR2771839B1 (fr) * 1997-11-28 2000-01-2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Memoire non volatile programmable et effacable electriquement
JP3905204B2 (ja) * 1998-01-27 2007-04-1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544859B2 (ja) * 1998-05-11 2004-07-21 富士通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を使用した2次記憶装置
JP3749789B2 (ja) * 1998-06-08 2006-03-0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6321332B1 (en) * 1998-06-17 2001-11-20 Intel Corporation Flexible control of access to basic input/output system memory
KR100291182B1 (ko) * 1998-10-28 2001-07-12 박종섭 강유전체메모리장치
JP2000268581A (ja) * 1999-03-17 2000-09-29 Fujitsu Ltd Romデータを保持する強誘電体メモリ装置
DE19911794B4 (de) * 1999-03-17 2005-10-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icherung bei Veränderung des Speicherinhalts von Steuergeräten
JP4621314B2 (ja) * 1999-06-16 2011-01-26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
JP2001084754A (ja) * 1999-09-16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当該半導体集積回路を備えるメモリモジュール
US6292874B1 (en) * 1999-10-19 2001-09-18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Memory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homogeneous memory and restricting access of installed applications to predetermined memory ranges
US6331950B1 (en) * 1999-10-19 2001-12-18 Fujitsu Limited Write protect input implementation for a simultaneous operation flash memory device
US6850914B1 (en) * 1999-11-08 2005-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vocatio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revocation informaton upda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DE10016719A1 (de) * 2000-04-04 2001-10-11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r Speicher und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von Speicherzellen eines integrierten Speichers
JP4463378B2 (ja) * 2000-05-02 2010-05-19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FR2810152A1 (fr) * 2000-06-13 2001-12-14 St Microelectronics Sa Memoire eeprom securisee comprenant un circuit de correction d'erreur
JP3891539B2 (ja) * 2000-06-15 2007-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
US7089427B1 (en) * 2000-11-28 2006-08-08 Nintendo Co., Ltd. Security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pplication program unauthorized use
US6996721B2 (en) * 2001-03-27 2006-02-07 Micron Technology, Inc. Flash device security method utilizing a check register
US7137893B2 (en) * 2001-05-09 2006-11-21 Wms Gam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e protecting a gaming storage medium
JP4064703B2 (ja) * 2001-05-31 2008-03-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03233534A (ja) * 2002-02-07 2003-08-22 Hitachi Ltd メモリシステム
JP2003240652A (ja) * 2002-02-15 2003-08-27 Denso Corp 出力補正回路内蔵型半導体センサ及びトーションバー式トルクセンサ
US6798711B2 (en) * 2002-03-19 2004-09-28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with address management
US7330954B2 (en) * 2002-04-18 2008-02-12 Intel Corporation Storing information in one of at least two storage devices based on a storage parameter and an attribute of the storage devices
US20030233562A1 (en) * 2002-06-12 2003-12-18 Sachin Chheda Data-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KR100482998B1 (ko) * 2002-08-30 2005-04-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제어 장치
KR100492773B1 (ko) * 2002-12-02 2005-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확장 메모리 부를 구비한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KR100492774B1 (ko) * 2002-12-24 2005-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라이트 보호 영역을 구비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2004303092A (ja) * 2003-03-31 2004-10-28 Fujitsu Ltd メモリ装置、メモリアクセス制限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アクセス方法
US7523320B2 (en) * 2003-04-22 2009-04-21 Seiko Epson Corporation Fiscal data recorder with protection circuit and tamper-proof seal
KR100614639B1 (ko) * 2003-07-24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쓰기 방지 가능한 버퍼 메모리를 갖는 메모리 장치 및그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5108273A (ja) 2003-09-26 2005-04-21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178015B2 (en) * 2004-01-12 2007-0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ity measures in a partitionable computing system
KR100532510B1 (ko) * 2004-05-04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입 동작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부 영역에 기입되는데이터를 마스킹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마스킹 방법
JP4117683B2 (ja) * 2004-07-20 2008-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強誘電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WO2006011216A1 (ja) 2004-07-29 2006-02-02 Spansion Llc 不揮発性記憶装置の情報設定方法、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れらを搭載したシステム
US7212431B2 (en) * 2004-12-29 2007-05-01 Hynix Semiconductor Inc. Nonvolati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43222B2 (ja) * 2005-01-11 2011-12-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メモリカード、及びホスト機器
WO2006080063A1 (ja) 2005-01-27 2006-08-03 Spansion Llc 半導体装置、アドレス割り付け方法及びベリファイ方法
JP4667888B2 (ja) 2005-02-01 2011-04-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4688584B2 (ja) * 2005-06-21 2011-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装置
JP2007058557A (ja) * 2005-08-24 2007-03-08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20070074232A (ko) * 2006-01-09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램 영역과 롬 영역을 동시에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WO2007104092A1 (en) * 2006-03-15 2007-09-20 Stargames Corporation Pty Limited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write protection for a storage device
US7746686B2 (en) * 2006-04-21 2010-06-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artitioned random access and read only memory
US20090182977A1 (en) * 2008-01-16 2009-07-16 S. Aqua Semiconductor Llc Cascaded memory arrangement
JP2008226442A (ja) * 2008-04-17 2008-09-25 Spansion Llc 半導体記憶装置
JP2010171772A (ja) * 2009-01-23 2010-08-05 Rohm Co Ltd 携帯電話
JP2010086407A (ja) * 2008-10-01 2010-04-15 Rohm Co Ltd 電子機器
CN102171675A (zh) * 2008-10-01 2011-08-31 罗姆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JP5381895B2 (ja) * 2010-05-21 2014-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装置、保護装置および保護方法
KR20110131721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472252B2 (en) * 2013-03-15 2016-10-18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retention performance of hierarchical digit lines
JP2017045415A (ja) * 2015-08-28 2017-03-02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システム
JP6980006B2 (ja) * 2016-08-31 2021-12-15 マイクロン テクノロジー,インク. 強誘電体メモリセル
CN108389600B (zh) 2017-02-02 2021-02-26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储存装置以及参数改写方法
TWI705330B (zh) * 2017-02-02 2020-09-21 慧榮科技股份有限公司 資料儲存裝置以及參數改寫方法
CN109634892B (zh) * 2018-11-09 2022-05-1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数据保护系统及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601A (ja) * 1991-07-30 1993-02-12 Fuji Xerox Co Ltd メモリプロテクト方式
DE4205567A1 (de) * 1992-02-22 1993-08-26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zum steuern des zugriffs auf einen speicher sowie anordn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3594626B2 (ja) * 1993-03-04 2004-12-02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不揮発性メモリ装置
JP2885600B2 (ja) * 1993-03-29 1999-04-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US5363334A (en) * 1993-04-10 1994-11-08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Write protection security for memory device
US5513136A (en) * 1993-09-27 1996-04-30 Intel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blocks and circuitry for selectively protecting the blocks for memory operations
US5488587A (en) * 1993-10-20 1996-01-30 Sharp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5668760A (en) * 1996-04-23 1997-09-16 Intel Corporation Nonvolatile memory with a write protection circuit
US5802583A (en) * 1996-10-30 1998-09-01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yem and method providing selective write protection for individual blocks of memory in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55932B2 (ja) 2007-08-08
JPH10106275A (ja) 1998-04-24
KR100475264B1 (ko) 2005-06-29
TW365675B (en) 1999-08-01
US5818771A (en) 1998-10-06
US5912849A (en)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264B1 (ko) 반도체기억장치
US6731562B2 (en) Power validation for memory devices on power up
US7257667B2 (en) Status register to improve initialization of a synchronous memory
US7894289B2 (en) Memory system and method using partial ECC to achieve low power refresh and fast access to data
US7292480B2 (en) Memory card having buffer memory for storing testing instruction
KR100395732B1 (ko) 반도체 기억장치
US6456542B1 (en) Synchronous memory status register
US20060156093A1 (en) Synchronous memory interface with test code input
US58901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rasing and programming protection for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US6965540B2 (en) Memory device operable in either a high-power, full-page size mode or a low-power, reduced-page size mode
KR20070054673A (ko) 에러 동작으로부터 집적 회로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46362B1 (ko) 메모리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는메모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의 데이터 독출동작 제어방법
US6643804B1 (en) Stability test for silicon on insulator SRAM memory cells utilizing bitline precharge stress operations to stress memory cells under test
US5841695A (en) Memory system using multiple storage mechanisms to enable storage and retrieval of more than two states in a memory cell
KR100305994B1 (ko) 강유전체메모리를구비한시스템
US5847990A (en) Ram cell capable of storing 3 logic states
JP4822620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100368105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JP2002015584A (ja) 不揮発性メモリのリードプロテクト回路
US6675255B1 (en) Device initialize command for a synchronous memory
KR10048192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