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219B1 -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219B1
KR102489219B1 KR1020220154182A KR20220154182A KR102489219B1 KR 102489219 B1 KR102489219 B1 KR 102489219B1 KR 1020220154182 A KR1020220154182 A KR 1020220154182A KR 20220154182 A KR20220154182 A KR 20220154182A KR 102489219 B1 KR102489219 B1 KR 10248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ylindrical body
elastic
nut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기다란 탄력봉(100)과; 상기 아스팔트 도로용(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끼어져 고정되는 앵커너트(200)와; 상기 탄력봉(100)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너트(200)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1 개의 체결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Elastic rod unit for fixing road hole}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와 같은 연약지반에 고정되는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 개의 천공홀만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유지보수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게 경계를 알려주는 탄력봉은, 아스팔트 도로등과 같은 연약지반을 천공하여 형성된 다수의 천공홀에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통상 탄력봉은 도로 바닥에 지지되는 원형테두리와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봉체로 구성되며, 원형테두리에는 3 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탄력봉을 도로에 고정하기 위하여, 3 개의 볼트구멍에 대향되는 3 개의 천공홀을 아스팔트 도로에 형성하고, 이후 천공홀에 플라스틱 칼브럭을 끼우고 볼트구멍을 관통하는 스크류를 칼브럭에 체결함으로서 탄력봉을 고정하였다.
그런데 탄력봉의 경우, 봉체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며 3 개의 체결부에 의하여 도로에 고정되는 원형테두리가 포함하기 때문에, 주행 중인 차량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격이 인가될 때 비대칭적인 힘으로 3 개의 스크류 및 칼브럭으로 인가되고, 이러한 충격이 반복되면 천공홀 내부에서 칼브럭이 헐거워지면서 탄력봉이 천공홀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탄력봉을 도로에 고정하기 위하여 3 개의 천공홀을 형성하고, 각각의 천공홀에 칼브럭을 끼운 후 스크류 고정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력봉은 3 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되는 원형테두리를 가지기 때문에 최소한 3mm 이상이 될 정도로 두꺼워야 하였고, 이에 따라 충분한 탄성을 가지지 못하여 반복적인 차량 충돌이 발생될 때 쉽게 파손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아스팔트 도로와 같은 연약지반에 형성되는 1 개의 천공홀만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이후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천공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유지보수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은,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기다란 탄력봉(100);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끼어져 고정되는 앵커너트(200); 및 상기 탄력봉(100)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너트(200)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1 개의 체결볼트(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력봉(100)은,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관통하는 1 개의 체결홀(110)과,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 헤드단(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롱로드 공구(R)가 끼어지는 공구유입홀(120)과, 상기 체결홀(110) 주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유입홀(120)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홀(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200)는, 상기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삽입되는 원통몸체(210)와, 상기 원통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원통몸체(210) 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선단턱(220)과, 상기 원통몸체(2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면(230)과, 상기 원통몸체(210)에 삽입되어 선단턱(220)에 거치되는 탄성패킹관(250)과, 상기 원통몸체(210)에 끼어져 상기 탄성패킹관(250)의 상단에 거치되는 상부와셔(260)와, 상기 상부나사면(2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패킹관(250)이 팽창되도록 상기 상부와셔(260)를 가압하는 압축너트(270)와, 상기 원통몸체(210)의 내측으로부터 압축너트(270)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것으로서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체결되는 체결나사홈(2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너트(270)는, 상기 상부나사면(230)에 상기 원통몸체(210) 상단(210a)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캡(271)과, 상기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홈(280)을 노출시키는 캡관통공(272)과, 상기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캡관통공(272)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렌치(L)가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렌치홈(27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관통공(272)의 내직경(D6)은 상기 체결나사홈(280)의 내직경(D5) 보다 크고 상기 렌치홈(273)의 내직경(D7) 보다 작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200)는, 상기 선단턱(220)과 탄성패킹관(250) 사이의 원통몸체(210)에 끼어지는 하부와셔(2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단턱(220)의 외직경(D2)은 원통몸체(10)의 외직경(D1) 보다 크고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작으며, 상기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은 상기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앵커너트(200)에 탄력봉(100) 중앙 바닥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00)를 체결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인 아스팔트 도로에 형성되는 1 개의 천공홀만으로도 탄력봉(100)을 고정할 수 있어 수백개 단위의 탄력봉(100)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일단 고정된 탄력봉(100)은 어떤 경우에도 천공홀(H)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유지보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력봉(100)을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0.5~1.5mm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충격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쉽게 휘어짐으로서 장기간이 지나나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설치되는 고정형 탄력봉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탄력봉 바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앵커너트의 사시도,
도 4는 IV-IV 선을 따른 앵커너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앵커너트의 분해단면도,
도 6은 도 5의 앵커너트에 있어서, 원통몸체, 선단턱, 하부와셔, 상부와셔, 탄성패킹관 및 캡관통공의 상대적인 직경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앵커너트가 끼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앵커너트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의 탄력봉 바닥을 관통한 체결볼트를 천공홀에 고정된 앵커너트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체결볼트가 탄력봉의 바닥을 앵커너트에 고정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체결볼트가 앵커너트에 완전히 체결되어 탄력봉이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설치되는 고정형 탄력봉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탄력봉 바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은.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기다란 탄력봉(100)과;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끼어져 고정되는 앵커너트(200)와; 탄력봉(100)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앵커너트(200)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1 개의 체결볼트(300)와; 탄력봉(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형성되어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차량으로 반사하는 재귀반사띠(400)와; 탄력봉(100)에 끼어져 아스팔트 도로(G) 바닥에 밀착되는 마감링(500);을 포함한다.
아스팔트 도로(G)는 일반 도로는 물론 교량, 터널, 댐등에도 시공되며,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의 내직경은 14~20mm, 바람직하게는 16mm 이다. 천공홀(H)은 드릴등으로 형성한다.
탄력봉(100)은, 단면이 둥근 봉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70~100m 범위의 직경을 가지며, 600~1,000 mm 내외의 높이를 가진다. 이러한 탄력봉(100)은,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관통하는 1 개의 체결홀(110)과,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체결볼트(300) 헤드단(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롱로드 공구가 끼어지는 공구유입홀(120)과, 체결홀(110) 주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공구유입홀(120)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홀(130)을 포함한다.
탄력봉(100)은 PET, LDPE, HDPE, PAN, URETHANE 등과 같은 탄성 수지로 예비성형폼을 공기와 함께 주입한 후 주형의 형상으로 확장시키는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다. 탄력봉(10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충격에도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0.5~1.5mm 두께를 가진다.
체결볼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봉(100)의 바닥 중앙에 형성된 1 개의 체결홀(110)을 관통하는 볼트단(310)과, 체결홀(110)의 상부측에 위치되는 헤드단(320)과, 볼트단(310)에 끼어져 헤드단(320)과 체결홀(110)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3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볼트(300)에 있어서, 볼트단(310)은 후술할 압축너트(270)의 캡관통공(272)을 관통하여 체결나사홈(28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탄력봉(100)을 고정한다.
재귀반사띠(400)는, 탄력봉(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서,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해당 차량으로 반사하는 재귀반사층이 형성된다.
마감링(500)은 탄력봉(100)에 끼어져 아스팔트 도로용(G) 바닥에 밀착됨으로서 탄력봉(100)의 바닥 모서리측과 아스팔트 도로용(G)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여 틈새를 보이지 않게 한다. 이러한 마감링(500)을 채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탄력봉을 디자인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앵커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IV-IV 선을 따른 앵커너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앵커너트의 분해단면도이다.
앵커너트(200)는, 아스팔트 도로용(G), 예를 들면 아스팔트 도로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삽입되는 원통몸체(210)와, 원통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원통몸체(210) 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선단턱(220)과, 원통몸체(2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면(230)과, 원통몸체(210)에 삽입되어 선단턱(220)에 거치되는 탄성패킹관(250)과, 원통몸체(210)에 끼어져 탄성패킹관(250)의 상단에 거치되는 상부와셔(260)와, 상부나사면(230)에 나사결합되어 탄성패킹관(250)이 팽창되도록 상부와셔(260)를 가압하는 압축너트(270)와, 원통몸체(210)의 내측으로부터 압축너트(270)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것으로서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체결되는 체결나사홈(280)을 포함한다.
원통몸체(210), 선단턱(220), 상부나사면(230) 및 체결나사홈(280)은 원통 모재를 NC 가공함으로써 한몸체로 제조된다.
선단턱(220)은 원통몸체(210) 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단턱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원통몸체(210)에 끼어지는 탄성패킹관(250)이 이탈되지 않게 거치된다.
상부나사면(230)은 원통몸체(210) 상부측에 형성되어 압축너트(270)가 나사결합된다. 상부나사면(230)은 정역회전되는 압축너트(270)를 압축상부와셔(260) 측으로 전후진되게 한다.
선단턱(220)과 상부나사면(230) 사이의 원통몸체(210)에는 탄성패킹관(250) 및 상부와셔(260)가 끼어진다. 원통몸체(210)에 끼어지는 탄성패킹관(250)은 선단턱(220)에 거치되고, 상부와셔(260)는 탄성패킹관(250)의 상단에 거치된다.
한편, 앵커너트(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턱(220)과 탄성패킹관(250) 사이의 원통몸체(210)에 끼어지는 하부와셔(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와셔(240)는 선단턱(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탄성패킹관(250)의 하단을 거치한다.
탄성패킹관(250)은 고무재질로 되고, 탄성패킹관(250)의 양단에 위치되는 하부와셔(240) 및 상부와셔(260)는 금속재질로 된다. 따라서 하부와셔(240)와 상부와셔(260) 사이가 좁혀질 때 고무재질로 된 탄성패킹관(250)은 압착되면서 측부로 팽창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압축너트(270)에 의하여 밀리는 상부와셔(260)가 탄성패킹관(250)을 압착하면 탄성패킹관(250)은 측방으로 팽창되면서 천공홀(H)의 내주면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부와셔(260)가 더욱 밀리게 되면서 탄성패킹관(250)을 더욱 팽창시키면, 탄성패킹관(250)은 천공홀(H) 내주면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앵커너트(200)로 반복적인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탄성패킹관(250)은 천공홀(H)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앵커너트(200)는 천공홀(H)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패킹관(250)의 외주면에는, 앵커너트(200)가 천공홀(H)에 삽입될 때 천공홀(H) 내주면과의 마찰력이 커지게 하기 위한 다수의 마찰돌기, 본 실시예에서는 5 개의 마찰돌기(251)가 형성되고, 마찰돌기(251)는 탄성패킹관(250)의 표면에서 1mm 내외의 높이를 가진다. 마찰돌기(251)는 탄성패킹관(2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형태일 수도 있고 링 형태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5 개의 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마찰돌기(251)를 채용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H)의 내직경이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보다 크더라도, 탄성패킹관(250)의 천공홀(H)에 직간접적으로 비회전되게 위치고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치(L)를 이용하여 압축너트(27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와셔(240), 상부와셔(260) 및 탄성패킹관(250)은 원통몸체(210)에 끼어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직경이 다른 하부와셔, 상부와셔 및 탄성패킹관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천공홀의 내직경이 다른 천공홀의 내직경에 비하여 현저히 클 경우, 상대적으로 큰 외직경의 하부와셔, 상부와셔 및 탄성패킹관으로 교체하여 천공홀에 끼어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너트(200)는 천공홀(H)의 직경이 다양하더라도 범용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압축너트(270)는 상부나사면(230)에 나사결합되어 탄성패킹관(250)이 팽창되도록 상부와셔(260)를 가압한다. 이러한 압축너트(2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나사면(230)에 원통몸체(210) 상단(210a)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캡(271)과,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홈(280)을 노출시키는 캡관통공(272)과,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캡관통공(272)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렌치(L)가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렌치홈(273)을 포함한다.
너트캡(271)은 원통몸체(210)의 상단(210a)과 이격되도록 상부나사면(230)에 체결됨으로써 압축너트(270)를 회전시킬 때 하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관통공(272)은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탄력봉(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볼트(300)가 체결나사홈(28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렌치홈(273)은 상부측으로 개구되며, 렌치(L)가 비회전되게 끼어질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홈이나, 드라이버 형태의 렌치가 끼어질 수 있도록 ?? 자 또는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5의 앵커너트에 있어서, 원통몸체, 선단턱, 하부와셔, 상부와셔, 탄성패킹관 및 캡관통공의 상대적인 직경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선단턱(220)의 외직경(D2)은 원통몸체(10)의 외직경(D1) 보다 크고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작으며,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은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크다. 즉,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 > 하부와셔(240)의 외직경 > 선단턱의 외직경(D2) > 원통몸체(210) 외직경(D1) 의 관계를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선단턱(220)은, 그 선단턱(220)의 외직경(D2) 보다 현저히 큰 탄성패킹관(250)을 하부와셔(240)를 매개로 하여 선단턱(220)에서 이탈되지 않게 거치시킬 수 있고, 하부와셔(240)는 천공홀(H)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패킹관(250)이 천공홀(H)에 끼어질 수 있게 된다.
원통몸체(210)와 한몸체를 이루는 선단턱(220)은 원통모재의 외주면을 절삭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원통모제(210)의 외직경(D1) 보다 현저히 큰 외직경의 선단턱(220)을 형성하고자 경우, 큰 외직경의 원통모재를 이용하여 선단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삭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많은 가공노력 및 비용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통모재(210)에 비하여 선단턱(220)의 외직경(D2)이 과도하게 크지 않는 유리하다. 그러나 탄성패킹관(250)의 회직경이 선단턱(220)의 외직경(D2)에 비하여 현저히 클 때, 탄성패킹관(250)은 선단턱(20)에서 빠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본 발명은 선단턱(220)의 외직경(D2) 보다 큰 하부와셔(240)를 채용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이 선단턱(220)의 외직경(D2) 보다 현저히 크더라도 하부와셔(240)를 매개로 하여 선단턱(20)에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은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작으므로, 탄성패킹관(250)이 천공홀(H)에 끼어지는 과정에서 금속재질의 하부와셔(240)가 천공홀(H) 내주면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압축너트(270)에 있어, 캡관통공(272)의 내직경(D6)은 체결나사홈(280)의 내직경(D5) 보다 크고 렌치홈(273)의 내직경(D7) 보다 작다. 이에 따라, 압축너트(270)는, 렌치홈(273)에 끼어진 렌치(L)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능과, 탄력봉(1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캡관통공(72)을 관통한 후 체결나사홈(28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앵커너트가 끼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앵커너트가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너트(200)를 아스팔트 도로의 천공홀(H)에 삽입하여 끼운 상태에서 렌치(L)를 렌치홈(273)에 끼운 후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너트(270)가 회전되면서 탄성패킹관(250)이 팽창되고, 팽창되는 탄성패킹관(250)의 외주면은 천공홀(H)의 내주면에 면접촉된 후 강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앵커너트(200)는 천공홀(H)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앵커너트(2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떠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천공홀(H)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2의 탄력봉 바닥을 관통한 체결볼트를 천공홀에 고정된 앵커너트에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체결볼트가 앵커너트에 완전히 체결되어 탄력봉이 고정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탄력봉(100)을 아스팔트 도로(G)에 설치하기 위하여, 탄력봉(100)의 바닥(100a)에 관통하게 설치되는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을 아스팔트 도로(G)의 천공홀(H)에 끼어 고정된 앵커너트(200)의 상부측에 위치시킨다.
이후, 탄력봉(100) 바닥 하부측으로 돌출된 볼트단(310)을 캡관통공(272)을 관통하여 체결나사홈(280)에 위치시키고, 기다란 롱로드 공구(R)를 공구유입홀(120)을 통하여 체결볼트 헤드단(320)에 끼운 후 회전시키면 볼트단(310)이 체결나사홈(280)에 나사결합됨으로서 탄력봉(100)은 앵커너트(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앵커너트(200)에 탄력봉(100) 중앙 바닥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00)를 체결시킴으로써, 연약지반인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1 개의 천공홀만으로도 탄력봉(100)을 고정할 수 있어 수백개 단위의 탄력봉(100)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일단 고정된 탄력봉(100)은 어떤 경우에도 천공홀(H)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어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유지보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력봉(100)을 블로우 성형에 의하여 0.5~1.5mm 두께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충격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쉽게 휘어짐으로서 장기간이 지나나더라도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탄력봉 110 ... 체결홀
120 ... 공구 유입홀 130 ... 배수홀
200 ... 앵커너트 210 ... 원통몸체
220 ... 선단턱 230 ... 상부나사면
240 ... 하부와셔 250 ... 탄성패킹관
251 ... 마찰돌기 260 ... 상부와셔
270 ... 압축너트 271 ... 너트캡
272 ... 캡관통공 273 ... 렌치홈
280 ... 체결나사홈 290 ... 고정볼트
300 ... 체결볼트 310 ... 볼트단
320 ... 헤드단 330 ... 와셔
400 ... 재귀반사띠 500 ... 마감링

Claims (7)

  1. 차량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유입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기다란 탄력봉(100);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끼어져 고정되는 앵커너트(200); 및
    상기 탄력봉(100)의 바닥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너트(200)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1 개의 체결볼트(300);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너트(200)는, 상기 아스팔트 도로(G)에 형성되는 천공홀(H)에 삽입되는 원통몸체(210)와, 상기 원통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원통몸체(210) 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선단턱(220)과, 상기 원통몸체(210)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나사면(230)과, 상기 원통몸체(210)에 삽입되어 선단턱(220)에 거치되는 탄성패킹관(250)과, 상기 원통몸체(210)에 끼어져 상기 탄성패킹관(250)의 상단에 거치되는 상부와셔(260)와, 상기 상부나사면(2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패킹관(250)이 팽창되도록 상기 상부와셔(260)를 가압하는 압축너트(270)와, 상기 원통몸체(210)의 내측으로부터 압축너트(270)를 관통하여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것으로서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체결되는 체결나사홈(280)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너트(270)는, 상기 상부나사면(230)에 상기 원통몸체(210) 상단(210a)과 이격되게 나사결합되는 너트캡(271)과, 상기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홈(280)을 노출시키는 캡관통공(272)과, 상기 너트캡(27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캡관통공(272)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렌치(L)가 비회전되게 끼어지는 렌치홈(273)을 포함하고,
    상기 캡관통공(272)의 내직경(D6)은 상기 체결나사홈(280)의 내직경(D5) 보다 크고 상기 렌치홈(273)의 내직경(D7)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봉(100)은,
    바닥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의 볼트단(310)이 관통하는 1 개의 체결홀(110)과,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300) 헤드단(3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롱로드 공구(R)가 끼어지는 공구유입홀(120)과,
    상기 체결홀(110) 주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공구유입홀(120)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배수홀(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너트(200)는,
    상기 선단턱(220)과 탄성패킹관(250) 사이의 원통몸체(210)에 끼어지는 하부와셔(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턱(220)의 외직경(D2)은 원통몸체(10)의 외직경(D1) 보다 크고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작으며,
    상기 탄성패킹관(250)의 외직경(D4)은 상기 하부와셔(240)의 외직경(D3)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KR1020220154182A 2022-11-17 2022-11-17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KR10248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82A KR102489219B1 (ko) 2022-11-17 2022-11-17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182A KR102489219B1 (ko) 2022-11-17 2022-11-17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219B1 true KR102489219B1 (ko) 2023-01-18

Family

ID=8510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182A KR102489219B1 (ko) 2022-11-17 2022-11-17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21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832A (ja) * 1997-11-13 1999-05-25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KR20020094351A (ko) * 2001-06-11 2002-12-18 서전훈 차선규제 봉
KR200411807Y1 (ko) * 2005-12-23 2006-03-17 여태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20060114777A (ko) * 2005-05-03 2006-11-08 김영남 앵커볼트
JP2007297897A (ja) * 2006-05-02 2007-11-15 Isamu Kurasawa 支柱構造体
KR20080112782A (ko) * 2007-06-22 2008-12-26 엘아이지건영 주식회사 차선 안내봉
KR20100094170A (ko) * 2009-02-18 2010-08-26 김경태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KR100998680B1 (ko) * 2010-07-29 2010-12-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KR101873708B1 (ko) * 2018-02-01 2018-07-02 강준우 도로용 시선유도봉 어셈블리
KR20200043044A (ko) * 2018-10-17 2020-04-27 김도란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선 규제봉
KR102280781B1 (ko) * 2020-12-08 2021-07-21 임완수 바닥고정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선유도봉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832A (ja) * 1997-11-13 1999-05-25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柱
KR20020094351A (ko) * 2001-06-11 2002-12-18 서전훈 차선규제 봉
KR20060114777A (ko) * 2005-05-03 2006-11-08 김영남 앵커볼트
KR200411807Y1 (ko) * 2005-12-23 2006-03-17 여태헌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JP2007297897A (ja) * 2006-05-02 2007-11-15 Isamu Kurasawa 支柱構造体
KR20080112782A (ko) * 2007-06-22 2008-12-26 엘아이지건영 주식회사 차선 안내봉
KR20100094170A (ko) * 2009-02-18 2010-08-26 김경태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KR100998680B1 (ko) * 2010-07-29 2010-12-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KR101873708B1 (ko) * 2018-02-01 2018-07-02 강준우 도로용 시선유도봉 어셈블리
KR20200043044A (ko) * 2018-10-17 2020-04-27 김도란 미세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차선 규제봉
KR102280781B1 (ko) * 2020-12-08 2021-07-21 임완수 바닥고정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선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JP7398767B1 (ja) 軟弱建設構造物の穿孔ホールに被固定物を固定するための多目的ボルトユニット
KR102489219B1 (ko)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2152781B1 (ko) 차선 규제봉
KR200430992Y1 (ko) 복원기능을 갖는 차선규제봉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JP3780498B2 (ja) 支柱構造体
JP3253548B2 (ja) 道路標識ポール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1631239B1 (ko)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20030066499A (ko) 도로 표지병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JP2010106632A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2002774B1 (ko)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KR20050024814A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2349642B1 (ko) 도로 표지병
JP4099370B2 (ja) 車止め支柱及び車止め支柱の設置方法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KR200252792Y1 (ko) 도로표지병
JP3290310B2 (ja) 車線分離標
KR200254160Y1 (ko) 가이드레일용 야광볼트
JP2011026838A (ja) 弾性柱状体
KR102012718B1 (ko) 도로 표지병
KR200162063Y1 (ko) 도로차선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