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642B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642B1
KR102349642B1 KR1020190167118A KR20190167118A KR102349642B1 KR 102349642 B1 KR102349642 B1 KR 102349642B1 KR 1020190167118 A KR1020190167118 A KR 1020190167118A KR 20190167118 A KR20190167118 A KR 20190167118A KR 102349642 B1 KR102349642 B1 KR 10234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ap
road sign
groov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717A (ko
Inventor
김창근
Original Assignee
김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근 filed Critical 김창근
Priority to KR102019016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642B1/ko
Priority to CN202080095391.3A priority patent/CN115038841A/zh
Priority to PCT/KR2020/015764 priority patent/WO2021118075A1/ko
Priority to US17/784,763 priority patent/US20230002982A1/en
Publication of KR2021007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및 분기선 등 도로의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차선의 이탈 내지 침범을 진동에 의한 감각 및 음향에 의한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ROAD STUD}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및 분기선 등 도로의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차선의 이탈 내지 침범을 진동에 의한 감각 및 음향에 의한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운전자가 차선, 특히 중앙선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도 표면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및 분기선 등 도로의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노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이 밟고 지나가게 되면 차량의 덜컹거림으로 인해 운전자가 차선 이탈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빛이 반사되는 반사판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전자가 야간에도 도로 표지병의 빛 반사를 통해 차선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외부로 돌출된 본체와 지면에 매설된 매설부재가 볼트 결합되고, 매설 부재가 도로에 단순히 박히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사판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반사판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단순히 시각적인 정보만을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도로표지병을 충분히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철ㆍ알루미늄 등의 열 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아스팔트 도로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절기에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도로 표지병이 가열되고 그에 따라 도로 표지병이 설치된 부위의 아스팔트가 녹아 약해지게 되는데, 이때, 차량이 도로 표지병을 밟고 지나가게 되면 차량의 하중에 의해 약해진 아스팔트에 도로 표지병이 파묻히게 되므로, 후발 운전자가 도로 표지병을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도로 표지병의 기능 상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2711호(명칭 : 도로 표지병 ; 출원일 : 2017년09월27일자)에 게재된 특허가 소개되었으며, 상기한 도로 표지병은, 스퀴커(squeaker)가 설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하부로 연장되며 지면에 박히는 앵커; 상기 스퀴커를 덮도록 상기 바디의 상면에 안착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스퀴커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연질 캡; 상기 캡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중앙 홀을 포함하고, 상기 캡의 둘레를 상기 바디의 둘레에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중앙에는 상기 앵커의 상단부가 삽입 설치되는 앵커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퀴커는 상기 앵커 설치홀의 둘레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바디의 둘레부에는 상기 스퀴커를 통과한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유동은 상기 앵커 설치홀로 유입되어 상기 스퀴커를 통과해 상기 배기홀로 배출되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 반사판이 부착된 도로 표지병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도로 표지병은 바디 상부면에 캡을 볼트 또는 나사로 조여서 고정하게 되므로, 제조가 번거로운 것은 물론, 설치 및 유지 보수가 번거롭고 난해 즉, 캡의 마모 내지 파손되어 교체를 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난해하여 도로에서 교체 작업 시의 위험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 사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도로 표지병은 빗물이나 도로 세정수가 바디와 캡 사이로 스며들어 내부를 오염시킴은 물론, 스퀴커 내부로 침투하여 스퀴커의 동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도로 표지병은 스퀴커가 바디 내측에 인입되어 있을 뿐 아니라, 지면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므로, 캡에 대한 가압이 이루어져 스퀴커가 동작하더라도 스퀴커에서 발생된 소음이 바디와 커버 및 캡 외부로 확산되는 효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도로 표지병은 앵커가 도로에 가압에 의해 박히는 고정구조로 이루어져, 차량 주행에 의해 타이어의 마찰력과 압력이 바디와 캡에 가해지면서 앵커가 박힌 도로의 구멍에서 유동하여 결국에는 도로 표지병 전체가 도로에서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 표지병과 관련된 그 밖의 선행 문헌 예는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069호(명칭 : 도로 표지병 ; 출원일 : 2012년 12월 13일)
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3666호(명칭 : 도로 표지병 ; 출원일 : 2014년 02월 0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차도의 중앙선이나 가장자리 및 분기선 등 도로의 노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시각적으로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함은 물론, 차선의 이탈 내지 침범을 진동에 의한 감각 및 음향에 의해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되, 시각적으로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빛 반사수단과 청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하게 하는 음향발생부의 유기적인 결합 구조를 제공하여, 반사수단이 장기간 사용에도 탈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음향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음향이 외부로 즉각 확산되도록 하고, 베이스에 대해 캡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베이스와 캡의 결합된 상부의 틈으로 유입되는 빗물 또는 세척수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고, 도로에 박힘 구조를 견고히 유지시키고, 도로의 설치 부위에 고정된 고정부로부터 베이스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조개선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본체 중앙에 결합부위(11a)가 관통 형성되고, 본체 내측 테두리에 안치단턱(11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의 외측 상단부가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걸림턱(11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내부면에서 본체 외측 방향으로 2~4개의 배수경로(11d)가 마련되고,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수로(11f)가 홈 형태로 마련된 베이스(11); 상단은 상기 베이스(11)의 결합부위(11a)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고, 하단은 도로의 설치부위에 형성된 홈(1)에 인서트 되어, 홈(11)에 주입된 고정수단(2)이 경화되는 것에 의해, 설치부위에 대해 베이스(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외경에 플랜지(13a)가 형성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1)의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홈에 플랜지(13a)가 끼움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캡(13); 상기 베이스(11)의 높이면에 접착 고정되어, 주변의 빛을 반사하는 빛반사부(15); 상기 빛반사부(15) 외부로부터 베이스(11)의 내부 공간(S)으로 관통된 경로에 끼움 고정되면서, 상기 빛반사부(15)을 베이스(11)의 외부면에 대해 가압 고정하는 한편, 상기 캡(13)이 눌려지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음향을 외부로 직접 발산시키는 음향발생부(16);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결합부위(11a)는 다각형 또는 '+'형의 관통공으로서, 본체 중앙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첨부 도면에 도시) 또는 하향 돌출된 부분(첨부 도면에 미도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1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단 외경에 플랜지(12c)가 형성된 관형 고정체로서, 상기 베이스(11)의 결합부위(11a)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12c) 상부면에 베이스결합부재(1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결합부재(12a)의 중앙에 베이스(11)와 고정시키는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c)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체 외경에 상기 고정수단(2)이 경화 전에 침투하는 경로인 슬릿 또는 리브(1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13b)에 빛반사수단(13c)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정부기관과 그 산하 기관 또는 지자체 또는 기업의 로고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의 본체 내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치단턱(11b)과 상기 본체 외측 상단이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이루어진 걸림턱(11c)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돔 형태로 이루어진 캡(13)의 상부 양쪽을 눌러 오므린 상태에서 플랜지(13a)를 끼움 고정하거나, 상기와 같이 끼움 고정된 캡(13)의 상부 양쪽을 누른 상태에서 들어올려 플랜지(13a)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에 대한 캡(13)의 장착과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베이스(11)에 대한 캡(13)의 장착과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작업자가 도로에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의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내부면에서 본체 외측 방향으로 2~4개의 배수경로(11d)를 마련하여, 상기 베이스(11)의 걸림턱(11c)과 캡(13) 사이로 빗물 또는 도로 세척수가 유입될 경우,신속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도로 표지병(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유입된 빗물 또는 세척수가 상기 음향발생부(16)로 침투하여 음향발생부(16)인 스퀴커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11)의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수로(11f)가 홈 형태로 마련되어, 우천 시 또는 도로 세척 시 도로에 흐르는 물이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 하부면 또는 주변에 머무르지 않고 신속히 흘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주변에 고인 빗물 또는 세척수가 도로 표지병(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가 에폭시와 같은 액상 또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이 주입된 홈(1)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2)의 경화에 의해, 상기 고정부(12)가 설치부위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베이스(11)를 설치부위에 대해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의 상부에 대해 베이스(11)의 실질적인 고정은 나사(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타이어와의 마찰 내지 압력에 의해 훼손 내지 파손되기 쉬운 베이스(1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캡(13) 역시 전술한 착탈 구조에 의해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이와 같이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도로 재포장 시에 도로 표지병(10)를 해체하여 보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에서 경제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관통공인 결합부위(11a)와 상기 고정부(12)를 구성하는 돌출부위인 베이스결합부재(12a)가 다각형 또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베이스(11)가 결합된 고정부(12)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결합부위의 마모 및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결합 유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의 외경에 고정수단(2)이 경화 전에 침투하는 경로인 슬릿 또는 리브(12b)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부위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13)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13b)에 빛반사수단(13c)을 부착 또는 인쇄 마련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의 외부 높이면에 마련된 빛반사부(15)에 더하여 야간 식별력을 포함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장기간 외부 가압을 받아 베이스(11)가 도로의 지면 내부로 들어가더라도 상기 캡(13) 상부에 마련된 빛반사수단(13c)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빛 반사 가능이 반 영구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13) 상부면에 정부기관과 그 산하 기관 또는 지자체 또는 기업의 로고를 인쇄 또는 음각/양각으로 표시함으로써,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의 설치자 또는 관리 주체를 명확히 표시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적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형적 전체 구성 및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내지 구조 및 설치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빛 반사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내지 구조 및 설치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경고 음향이 출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베이스에 캡이 끼움 결합되는 다른 구조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설치부위에 설치되는 일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이 설치부위에 설치되는 다른 예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본체 중앙에 결합부위(11a)가 관통 형성되고, 본체 내측 테두리에 안치단턱(11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의 외측 상단부가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걸림턱(11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내부면에서 본체 외측 방향으로 2~4개의 배수경로(11d)가 마련되고,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수로(11f)가 홈 형태로 마련된 베이스(11); 상단은 상기 베이스(11)의 결합부위(11a)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고, 하단은 도로의 설치부위에 형성된 홈(1)에 인서트 되어, 홈(11)에 주입된 고정수단(2)이 경화되는 것에 의해, 설치부위에 대해 베이스(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외경에 플랜지(13a)가 형성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1)의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홈에 플랜지(13a)가 끼움 고정되어, 외압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캡(13); 상기 베이스(11)의 높이면에 접착 고정되어, 주변의 빛을 반사하는 빛반사부(15); 상기 빛반사부(15) 외부로부터 베이스(11)의 내부 공간(S)으로 관통된 경로에 끼움 고정되면서, 상기 빛반사부(15)을 베이스(11)의 외부면에 대해 가압 고정하는 한편, 상기 캡(13)이 눌려지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음향을 외부로 직접 발산시키는 음향발생부(16);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베이스(11)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된 블록체로서, 외측 상단 주연부와 하단 주연부가 빛반사부(15)의 표면보다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11)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실시예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결합부위(11a)는 다각형 또는 '+'형의 관통공으로서, 본체 중앙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첨부 도면에 도시) 또는 하향 돌출된 부분(첨부 도면에 미도시)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안치단턱(11b)은 베이스(11) 본체의 내측 바닥면과 높이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결합부위(11a)가 형성되는 돌출부위와 간격을 두고 돌출된 부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공간(S)은 상기 안치단턱(11b)과 결합부위(11a)가 형성되는 돌출부위 사이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간 또는 간격을 두고 구획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걸림턱(11c)은 안치단턱(11b)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돌출부위일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단턱(11b)과 사이에 위치한 베이스(11)의 내측 높이면 상부 모서리 부분이 위치하는 면에 걸림홈(11e)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배수경로(11d)는 내측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상단 외경에 플랜지(12c)가 형성된 관형 고정체로서, 상기 베이스(11)의 결합부위(11a)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플랜지(12c) 상부면에 베이스결합부재(1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결합부재(12a)의 중앙에 베이스(11)와 고정시키는 나사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c) 하부면에 형성되는 관체 외경에 상기 고정수단(2)이 경화 전에 침투하는 경로인 슬릿 또는 리브(12b)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12)의 플랜지(12c) 하부면에 위치한 관체 내측에는 베이스(11) 고정을 위한 나사 체결시 내구성 내지 체결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너트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는 고정부(12)에 인서트 사출 성형 시 마련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13b)에 빛반사수단(17)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정부기관과 그 산하 기관 또는 지자체 또는 기업의 로고(18)가 더 표시된 것일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캡(13)은 플랜지(13a)의 외곽 테두리가 상향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11)의 걸림턱(11c)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e)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빛반사부(15)는 야간 또는 어두울 때 차량의 불빛(전조등)이 반사되어 식별이 용이하게 하는 반사 테이프, 반사 필름, 반사 시트, 반사 블록을 포함한 반사체(재귀반사체 포함)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반사 테이프를 실시예로 적용하고자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음향출력부(16)는 내측에서 가해지는 공기압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퀴커(일명 삑삑이)일 수 있다.
상기에서, 음향출력부(16)는 빛반사부(15)와 접하는 부분이 확장되어, 관통공에 인서트 되는 것에 위해 상기 빛반사부(15)를 베이스(11)의 높이면에 가압 밀착 고정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외부 높이면에 마련된 빛반사부(15)가 야간 또는 어두울 때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반사되어 식별이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캡(13) 상부의 홈(13b)을 따라 마련된 빛반사수단(17)이 추가적으로 빛을 반사하여 야간 식별력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외부 높이면에 일측 단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 음향출력부(16)는 캡(13)이 눌려짐으로 인해, 내측에서 가해지는 공기의 흐름과 공기압에 의해 음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수단(16)의 고정은 쐐기 타입으로 억지 끼움 고정 또는 나선 결합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지면에 고정되어, 차량이 주행하면서 타이어가 상기 캡(13)을 밝고지나갈 때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캡(13)이 눌려지면 베이스(11)와 캡(13) 사이의 공간(S)에서 공기의 흐름과 공기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16)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서 떨림판을 진동시켜 음향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인 경고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음향출력부(16)의 일측 단이 관통공 보다 크게 플랜지 형태로 확장되어, 상기 베이스(11) 외부 높이면에 1차적으로 접착 고정되는 빛반사부(15)를 관통하여 베이스(11)에 대해 2차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빛반사부(15)가 베이스(11) 외부면에 접착 고정되었을 때보다 고정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빛반사부(15)가 단순하게 베이스(11) 높이면에 접착 고정되었을 때보다 고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빛반사부(15)의 탈리 내지 훼손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도로 표지병(10)의 유지 보수 기간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출력수단(16)이 베이스(11) 측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상기 캡(13)이 눌려져 공기의 흐름 즉, 공기압이 발생함으로 인해, 상기 음향출력수단(16)에서 발생된 음향이 직접 외부로 전파되도록 함으로써, 경고를 목적으로 하는 음향이 명확하게 운전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시 유용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행자가 밟을 경우에도 경고음향이 출력되어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사고를 예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의 본체 내측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는 안치단턱(11b)과 상기 본체 외측 상단이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이루어진 걸림턱(11c)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돔 형태로 이루어진 캡(13)의 상부 양쪽을 눌러 오므린 상태에서 플랜지(13a)를 끼움 고정하거나, 상기와 같이 끼움 고정된 캡(13)의 상부 양쪽을 누른 상태에서 들어올려 플랜지(13a)가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탈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에 대한 캡(13)의 장착과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베이스(11)에 대한 캡(13)의 장착과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의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작업자가 도로에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의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내부면에서 본체 외측 방향으로 2~4개의 배수경로(11d)를 마련하여, 상기 베이스(11)의 걸림턱(11c)과 캡(13) 사이로 빗물 또는 도로 세척수가 유입될 경우, 신속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도로 표지병(1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유입된 빗물 또는 세척수가 상기 음향발생부(16)로 침투하여 음향발생부(16)인 스퀴커가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11)의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수로(11f)가 홈 형태로 마련되어, 우천 시 또는 도로 세척 시 도로에 흐르는 물이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 하부면 또는 주변에 머무르지 않고 신속히 흘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주변에 고인 빗물 또는 세척수가 도로 표지병(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가 에폭시와 같은 액상 또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이 주입된 홈(1)에 인서트 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2)의 경화에 의해, 상기 고정부(12)가 설치부위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베이스(11)를 설치부위에 대해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의 상부에 대해 베이스(11)의 실질적인 고정은 나사(볼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에 따른 타이어와의 마찰 내지 압력에 의해 훼손 내지 파손되기 쉬운 베이스(11)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캡(13) 역시 전술한 착탈 구조에 의해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이와 같이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도로 재포장 시에 도로 표지병(10)를 해체하여 보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에서 경제성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관통공인 결합부위(11a)와 상기 고정부(12)를 구성하는 돌출부위인 베이스결합부재(12a)가 다각형 또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베이스(11)가 결합된 고정부(12)에 대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결합부위의 마모 및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결합 유지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의 플랜지(12c) 하부면에 위치한 관체 내측에는 너트가 더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너트는 고정부(12)에 인서트 사출 성형 시 마련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2)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상기 베이스(11)의 고정을 위한 나사 체결시 체결 유지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2)의 외경에 고정수단(2)이 경화 전에 침투하는 경로인 슬릿 또는 리브(12b)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부위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13)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13b)에 빛반사수단(13c)을 부착 또는 인쇄 마련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1)의 외부 높이면에 마련된 빛반사부(15)에 더하여 야간 식별력을 포함한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장기간 외부 가압을 받아 베이스(11)가 도로의 지면 내부로 들어가더라도 상기 캡(13) 상부에 마련된 빛반사수단(13c)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빛 반사 가능이 반 영구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캡(13) 상부면에 정부기관과 그 산하 기관 또는 지자체 또는 기업의 로고(18)를 인쇄 또는 음각/양각으로 표시함으로써,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의 설치자 또는 관리 주체를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향출력수단(16)이 베이스(11)의 높이면에 1차적으로 접착 고정되는 빛반사부(15)를 관통하여 베이스(11)에 대해 2차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상기 빛반사부(15)가 베이스(11) 높이면에 접착 고정되었을 때보다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자면 첨부 도면 도 6 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즉, 차도의 설치부위에 홈(1)을 형성하고, 상기 홈(1) 내부에 에폭시와 같은 액상 또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을 주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2)에 베이스(11)를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11) 상부에 캡(13)을 고정시키는 것을 통해 사전 조립된 완제품인 도로 표지병(10) 중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부(12)를 상기 홈(1)에 인서트 시킨다.
그리하면, 상기 고정수단(2)이 고정부(12)의 외경에 형성된 슬릿 또는 리브(12b) 사이로 침투한 상태에서 경화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설치 과정을 예로 들자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즉, 차도의 설치부위에 홈(1)을 형성하고, 상기 홈(1) 내부에 에폭시와 같은 액상 또는 유동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정수단(2)을 주입하고, 상기 고정부(12)를 상기 홈(1)에 인서트 시킨다.
그리하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이 고정부(12)의 외경에 형성된 슬릿 또는 리브(12b) 사이로 침투한 상태에서 경화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고정수단(2)이 경화되기 전이나 경화된 후에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의 베이스결합부재(12a)에 베이스(11)의 결합부위(12a)를 끼운 후, 평 와셔와 나사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11)를 고정부(12)에 대해 조여 고정시킨다.
그리한 후,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3)의 상부 양쪽을 눌러 오므린 상태에서 플랜지(13a)를 끼움 고정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도로 표지병 11 : 베이스
11a : 결합부위 11b : 안착단턱
11c : 걸림턱 11d : 배수경로
11e : 걸림홈 12 : 고정부
12a : 베이스결합부재 12b : 리브
12c : 플랜지 13 : 캡
13a : 플랜지 13b : 홈
13c : 빛반사수단 15 : 빛반사부
16 : 음향출력부 S : 공간
1 : 홈(설치부위) 2 : 고정수단

Claims (5)

  1. 차량의 차선 이탈 내지 침범 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음향을 출력시켜 주위를 줄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병(10)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본체 중앙에 결합부위(11a)가 관통 형성되고, 본체 내측 테두리에 안치단턱(11b)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의 외측 상단부가 상향 돌출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걸림턱(11c)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내부면에서 본체 외측 방향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배수경로(11d)가 마련되고, 하부면에 방사상으로 배수로(11f)가 홈 형태로 마련된 베이스(11);
    외경에 슬릿 또는 리브(12b)가 형성된 하단이 먼저 도로의 설치부위에 형성된 홈(1)에 인서트 되어, 홈(11)에 사전 주입된 고정수단(2)이 슬릿 또는 리브(12b)로 침투 경화되는 것에 의해 설치부위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11)의 결합부위(11a)에 끼워져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설치부위에 대해 베이스(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외경에 플랜지(13a)가 형성된 돔 형태로 이루어져, 오므림 외압에 의해 수축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회복하면서, 상기 베이스(11)의 안치단턱(11b)과 걸림턱(11c) 사이의 홈에 플랜지(13a)가 끼워져 고정되어, 누름 외압에 의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캡(13);
    상기 베이스(11)의 높이면에 접착 고정되어, 주변의 빛을 반사하는 빛반사부(15);
    상기 빛반사부(15) 외부로부터 베이스(11)의 내부 공간(S)으로 관통된 경로에 끼움 고정되면서, 상기 빛반사부(15)을 베이스(11)의 외부면에 대해 가압 고정하는 한편, 상기 캡(13)이 눌려지면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음향을 외부로 직접 발산시키는 음향발생부(16);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를 구성하는 결합부위(11a)는 다각형 또는 '+'형의 관통공으로서, 본체 중앙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된 부분 또는 하향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홈(13b)에 빛반사수단(17)이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13)은 상부면에 정부기관과 그 산하 기관 또는 지자체 또는 기업의 로고(18)가 표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1020190167118A 2019-12-13 2019-12-13 도로 표지병 KR10234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18A KR102349642B1 (ko) 2019-12-13 2019-12-13 도로 표지병
CN202080095391.3A CN115038841A (zh) 2019-12-13 2020-11-11 突起路标
PCT/KR2020/015764 WO2021118075A1 (ko) 2019-12-13 2020-11-11 도로 표지병
US17/784,763 US20230002982A1 (en) 2019-12-13 2020-11-11 Road Stu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18A KR102349642B1 (ko) 2019-12-13 2019-12-13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17A KR20210075717A (ko) 2021-06-23
KR102349642B1 true KR102349642B1 (ko) 2022-01-11

Family

ID=7633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118A KR102349642B1 (ko) 2019-12-13 2019-12-13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02982A1 (ko)
KR (1) KR102349642B1 (ko)
CN (1) CN115038841A (ko)
WO (1) WO202111807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53Y1 (ko) * 2004-09-21 2004-12-13 박동범 도로 표지병
KR101033227B1 (ko) * 2011-01-19 2011-05-06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경적기능을 갖는 도로표지병
KR101842711B1 (ko) * 2017-09-27 2018-03-27 김창근 도로 표지병
KR101906759B1 (ko) * 2018-02-01 2018-10-10 강준우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7122B2 (ja) * 1994-07-01 1998-05-25 株式会社 ニッチ バラスト整理機
JPH08113919A (ja) * 1994-10-14 1996-05-07 Hideharu Abe 音声発生道路
US6062766A (en) * 1997-08-04 2000-05-16 Quixote Corporation Raised pavement marker
JP2000352011A (ja) * 1999-06-11 2000-12-19 Gakunan Koki Kk 視覚障害者用警告形道路ラインの施工方法
KR100515493B1 (ko) * 2003-03-11 2005-09-20 정옥성 콘크리트 볼라드
KR100545130B1 (ko) * 2003-09-04 2006-01-31 박도식 완충식 도로 표지병
CN200988948Y (zh) * 2006-11-03 2007-12-12 陈庆雄 警示装置
KR20080090644A (ko) * 2007-04-05 2008-10-09 최소희 소리를 발산하는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53Y1 (ko) * 2004-09-21 2004-12-13 박동범 도로 표지병
KR101033227B1 (ko) * 2011-01-19 2011-05-06 주식회사 경원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경적기능을 갖는 도로표지병
KR101842711B1 (ko) * 2017-09-27 2018-03-27 김창근 도로 표지병
KR101906759B1 (ko) * 2018-02-01 2018-10-10 강준우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17A (ko) 2021-06-23
US20230002982A1 (en) 2023-01-05
CN115038841A (zh) 2022-09-09
WO2021118075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101906759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US3335534A (en) Highway replaceable post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0795417B1 (ko) 도로 교통 시설물용 지주
KR102349642B1 (ko) 도로 표지병
JP3780498B2 (ja) 支柱構造体
KR10054513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0995908B1 (ko) 연결 장치가 설치된 도로 시설물
KR20030066499A (ko) 도로 표지병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100006973U (ko) 시선유도봉
KR101631239B1 (ko)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100998745B1 (ko) 보차도 경계휀스 고정구
KR200390643Y1 (ko) 볼트/너트 보호용 캡
JP2010106632A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0998680B1 (ko)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JP6359927B2 (ja) 標識柱の設置構造
KR102138605B1 (ko) 도로 표지병
KR200208819Y1 (ko) 재활용 가능한 도로표지병
KR20220145079A (ko) 도로 표지병
KR200184745Y1 (ko) 도로안내표지판용 지주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