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239B1 -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239B1
KR101631239B1 KR1020150000513A KR20150000513A KR101631239B1 KR 101631239 B1 KR101631239 B1 KR 101631239B1 KR 1020150000513 A KR1020150000513 A KR 1020150000513A KR 20150000513 A KR20150000513 A KR 20150000513A KR 101631239 B1 KR101631239 B1 KR 10163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piston head
road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현
심관보
박길수
박종규
황상관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5000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3Self-righting, upright flexible or rockable markers, e.g. resilient flaps bending 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가속도를 높이 방향으로 변환한 후 흡수 및 분산시켜 통과차량의 하중 또는 마찰에 의한 파손 및 이탈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피스톤부가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소음현상을 절감시킬 수 있고, 반사부가 통과차량의 타이어에 접촉되지 않아 통과차량의 타이어의 하중 및 마찰에 의한 반사부의 파손 및 장비교체 현상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피스톤부 및 상부하우징의 조립 및 분해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고, 피스톤 헤드에 반사부가 설치되되 반사면이 진입차량을 향하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선형에 따른 유도 및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반사면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piston type road safety reflector}
본 발명은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구조 개선을 통해 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통과차량의 하중 및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가속도를 흡수 및 분산시켜 장비 파손율을 현저히 절감시키고, 조립성을 높여 장비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 방향 또는 진행방향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서, 주행차량의 범위를 제한함과 아울러, 도로의 중앙선, 차선경계선, 분기되는 도로의 안전지대, 횡단보도의 전방 및 과속방지 구간 등에 설치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하게 되며, 특히 야간 운전 시 차량의 전조등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의 시야를 확보시켜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종래의 도로 표지병(100)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일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10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반사부(103) 및 하우징(101)이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을 방해함과 동시에 통과 시 가해지는 하중 또는 마찰에 의하여 하우징(101)이 지면에 함몰되거나 또는 충격가속도에 의하여 하우징(101) 및 반사부(103)가 파손되는 등의 이유로 도로 상에서 가로 방향으로의 설치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도로 표지병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설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고, 특히 야간이나 우천 시 차선의 시인성 결여로 인한 차로 이탈, 도로 선형의 오인으로 인한 추락, 진행 방향의 인지 불능으로 인한 역주행 등의 사고를 유발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돌출 부위에 발생하는 충격가속도를 상쇄시키기 위한 도로 표지병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57781호(고안의 명칭 : 도로 표지병)에 개시된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의 도로 표지병(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11) 및 볼트 체결부(21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도로에 매설되는 케이스(201)와, 케이스(201)의 내부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한편, 차량의 불빛을 반사하는 반사구(203)와, 케이스(201)의 지지부 상측에서부터 지면까지 볼트(220) 체결되는 한편, 상부면을 여러 가지 색채로 도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식별을 용이하게 해 주는 덮개(205)와, 덮개(205)의 내측에 삽입되어 덮개(205)와 케이스(201)가 볼트 체결시 덮개를 압착시켜 주는 한편, 이물질이 케이스(2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철심(207)과, 케이스(201)의 도로 매설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시켜 주는 접착제(20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00)은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반사구(203)가 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통과차량의 마찰로 인한 표지병의 파손 또는 표지병에 의한 차량 타이어의 파손 현상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반사구(203)가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할지라도 반사구(203)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됨과 동시에 통과차량의 하중을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완충수단을 구비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과차량의 하중에 의하여 지면 내부로 함몰되는 종래의 문제점이 지속되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케이스(201)가 설치되는 설치홈을 도로에 형성하는 작업단계와, 설치홈으로 케이스(201)를 설치하는 작업단계와, 지면에 설치된 케이스(201)의 외측으로 접착제(209)를 몰딩한 후 경화시키는 작업단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지면으로 상향 돌출된 반사구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나, 종래기술(200)은 반사구(203)가 덮개(205)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반사구(203) 점검 및 교체 시 드라이버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다수의 볼트(220)들을 일일이 해제한 후 반사구를 교체하여야 하고, 교체 이후 다시 반사구를 덮개에 볼트 체결하여야 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반사구(203) 뿐만 아니라 덮개(205)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덮개(205)로 인한 타이어의 파손 현상과, 덮개(205) 자체가 통과 차량의 마찰에 의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200)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구(203)를 단순히 반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선형에 따른 유도 및 진행 방향을 전혀 감안하지 않고 설계된 것이기 때문에 시인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즉 1)통과차량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으며, 2)통과차량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가속도에 의한 파손율을 절감시킬 수 있고, 3)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4)선형에 따른 유도 및 진행 방향을 감안하여 시인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로 표지병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반사부가 설치되는 피스톤 헤드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피스톤부가 상부 하우징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이 피스톤부를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가속도를 높이 방향으로 변환한 후 흡수 및 분산시켜 통과차량의 하중 또는 마찰에 의한 파손 및 이탈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피스톤 플렌지를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단턱부에 대접되는 피스톤 플렌지에는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피스톤부가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무패킹에 의하여 피스톤 플렌지 및 단턱부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반사부가 피스톤 헤드의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되 반사면이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타이어에 접촉되지 않아 통과차량의 타이어의 하중 및 마찰에 의한 반사부의 파손 및 장비교체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피스톤부 및 상부하우징의 조립 및 분해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피스톤 몸체가 피스톤 플렌지와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됨으로써 반사부 및 피스톤 몸체의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피스톤 헤드에 반사부가 설치되되 반사면이 진입차량을 향하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선형에 따른 유도 및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반사면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도로에 매립되어 주행방향 및 정보를 안내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로에 매립되며, 내주면에 일측 개구부에서 대향되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을 증가시키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외주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설치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수단; 상기 피스톤부를 조립 및 분해시키기 위한 체결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상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설치 시 도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부 영역이 통과차량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상기 피스톤부의 영역을 피스톤 헤드라고 할 때 일측에 상기 피스톤 헤드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에서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헤드에 대향되는 일면의 중앙에 내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피스톤 몸체와, 상기 피스톤 헤드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에서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면의 테두리 영역이 상기 단턱부에 대접되며 일면의 중앙에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피스톤 플렌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구는 일측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면의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공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형 막대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바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내외주면을 관통하되 일측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면까지 연장되는 탄성홈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설치 시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도로면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회동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 헤드로 억지끼움 된 후 회전이 지속되면 상기 탄성홈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의 개구부가 확장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 헤드를 파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대향되는 외측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반사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반사부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대향되는 외측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반사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반사부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지지부가, 내주면에 상기 단턱부가,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복수개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원판으로 형성되되 일면의 테두리 영역에 일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수직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은 나사산들의 체결 및 해제에 따라 조립 및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 플렌지는 양면의 테두리 영역에 양면을 관통하되 측면까지 연장되는 삽입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하는 하부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되 하면까지 연장되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로 표지병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안착홈에 체결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조립 시 상기 피스톤 플렌지의 상기 삽입홈들 각각으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키들을 구비하는 회동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로 표지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플렌지의 테두리 영역에 안착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부가 설치되는 피스톤 헤드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피스톤부가 상부 하우징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탄성스프링이 피스톤부를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가속도를 높이 방향으로 변환한 후 흡수 및 분산시켜 통과차량의 하중 또는 마찰에 의한 파손 및 이탈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하우징의 내주면에 피스톤 플렌지를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단턱부에 대접되는 피스톤 플렌지에는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피스톤부가 상부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무패킹에 의하여 피스톤 플렌지 및 단턱부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부가 피스톤 헤드의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되 반사면이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타이어에 접촉되지 않아 통과차량의 타이어의 하중 및 마찰에 의한 반사부의 파손 및 장비교체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피스톤부 및 상부하우징의 조립 및 분해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 몸체가 피스톤 플렌지와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됨으로써 반사부 및 피스톤 몸체의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스톤 헤드에 반사부가 설치되되 반사면이 진입차량을 향하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선형에 따른 유도 및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반사면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57781호(고안의 명칭 : 도로 표지병)에 개시된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피스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반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이 도로에 설치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피스톤부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스톤 몸체 및 반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 표지병(1)은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로의 천공에 매립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2)과, 상부 하우징(2)의 하부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3)과,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상부 하우징(2) 내부에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5)와, 피스톤부(5)의 상부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7)와, 피스톤부(5)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부(5)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S)과, 피스톤부(5)의 피스톤 플렌지(53)의 일면에 안착되는 링 형상의 고무패킹(8)과, 상부 하우징(2)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부(5)를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여 피스톤부(5)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고정부(9)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스톤부(5)의 상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피스톤부(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도로 표지병(1)은 상부 하우징(2) 및 하부 하우징(3)이 도로의 천공에 매립되게 설치되되 피스톤부(5)의 상부 영역인 피스톤 헤드(511)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도로에 설치되고, 아울러 피스톤부(5)가 하부 하우징(3)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S)에 의하여 탄발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하중 및 마찰에 의하여 충격가속도가 발생할 때 피스톤부(5)가 하방으로 압축됨에 따라 통과차량의 타이어의 충격력을 흡수 및 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의 상부 하우징(2)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개구부에는 하부 하우징(3)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은 상부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지지부(21)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21)는 도로에 설치될 때 노면에 대접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하중에 의하여 도로 표지병(1)이 하방으로 힘을 받을 때 도로 표지병(1)을 지지하여 도로 표지병(1)이 도로 내부로 함몰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주면에 내경이 증가하는 단턱부(23)가 형성되고, 단턱부(23)는 후술되는 도 8의 피스톤부(5)의 피스톤 플렌지(53)에 대접되어 피스톤부(5)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2)은 하부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되 하부면까지 연장되는 고정부 안착홈(25)이 형성되고, 고정부 안착홈(25)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회동고정부(9) 및 하부 하우징(3)이 나사산 체결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미도시)들이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하중 발생 시 상부 하우징(2)을 지지하여 도로 표지병(1)의 함몰을 방지한다.
도 3 내지 6의 하부 하우징(3)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2)의 하부 개구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3)은 원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되 일면의 테두리에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수직부(31)가 형성되고, 수직부(31)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1)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하우징(3)의 나사산(311)은 상부 하우징(2)의 나사산(미도시)에 체결 및 해제됨으로써 상부 하우징(2) 및 하부 하우징(3)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3)은 수직부(31)가 형성되는 일면의 중앙에 중앙으로부터 원통형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지지대(33)가 형성되고, 스프링 지지대(33)는 탄성스프링(S)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탄성스프링(S)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3)은 양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35)들이 형성됨으로써 우천 또는 결로에 의하여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배수공(35)들을 통해 외부로 배수하여 도로 표지병(1)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한랭 시 침수에 의한 동결로 인한 장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의 피스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과 9의 피스톤부(5)는 상부 하우징(2)은 원판 형상의 피스톤 플렌지(53)와, 상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스톤 플렌지(53)에 체결되는 피스톤 몸체(51)로 이루어진다.
피스톤 플렌지(53)는 피스톤 몸체(51) 보다 외경이 큰 원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피스톤 몸체(51)를 향하는 일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의 중앙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533)가 돌출 형성되고, 그 대향되는 하면에는 탄성스프링(S)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스프링 지지대(53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체결부(533)는 피스톤 몸체(51)의 체결홈(512)에 체결됨으로써 피스톤 플렌지(53) 및 피스톤 몸체(51)가 조립 및 분해된다.
또한 피스톤 플렌지(53)는 피스톤 몸체(51) 및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서 하부 개구부 사이의 배치된다.
또한 피스톤 플렌지(53)는 양면을 관통하되 외측면까지 연장되는 키 삽입홈(531), (531')들이 원의 중앙을 대칭으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키 삽입홈(531), (531')들로는 회동고정부(9)의 키(93)가 삽입됨으로써 회동고정부(9)의 키(93)에 의하여 피스톤 플렌지(53)가 지지되어 피스톤 플렌지(53)의 수평 회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스톤 플렌지(53)는 하면의 제2 스프링 지지대(535)가 탄성스프링(S)의 상단부를 지지함에 따라 탄성스프링(S)에 의해 탄발 지지되고, 상부면의 테두리 영역은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 대접됨에 따라 피스톤 플렌지(53)의 상부면이 테두리영역이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 의해 지지되어 피스톤부(5)가 상부 하우징(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피스톤 몸체(51)는 상부가 반구 형상(이하 피스톤 헤드라고 함)(511)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피스톤 헤드(511)가 상부 하우징(2)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향 돌출되도록 상부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 몸체(51)는 도로에 설치 시 피스톤 헤드(511)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된다.
또한 피스톤 몸체(51)는 피스톤 헤드(511)에 대향되는 하면의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홈(512)이 형성되고, 체결홈(512)은 피스톤 플렌지(53)의 체결부(533)에 체결된다.
즉 피스톤 몸체(51) 및 피스톤 플렌지(53)는 체결홈(512) 및 체결부(533)가 나사산 체결 및 해제됨에 따라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피스톤 몸체(51)의 피스톤 헤드(511)는 대향되는 양측면에 양측면을 관통하는 반사부 안착홈(513)이 형성되고, 반사부 안착홈(513)으로는 반사부(7)가 설치된다.
또한 피스톤 헤드(511)는 일단부가 피스톤 헤드(511)의 외주면에, 타단부가 반사부 안착홈(513)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볼트 삽입공(515)이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 헤드(511)의 볼트 삽입공(515)은 반사부(7)의 볼트공(73)에 연설되어 반사부(7)는 볼트(B) 체결에 의해 피스톤 헤드(511)에 결합된다.
회동고정부(9)는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 몸체(91)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 몸체(91)의 고내주면에 결합되는 키(93)들로 이루어진다.
고정부 몸체(91)는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911)이 형성되고, 나사산(911)은 상부 하우징(2)의 하부 개구부에 형성되는 안착홈(25)의 나사산에 체결된다.
또한 키(93)들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 몸체(91)의 내주면에 수직 결합된다.
고무패킹(8)은 피스톤 몸체(51)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피스톤부(5)의 피스톤 플렌지(53)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조립 시 피스톤 헤드(511)가 하중을 받아 피스톤부(5)가 상부 하우징(2) 내부에서 압축된 후 복원될 때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 접촉되어 단턱부(23) 및 피스톤 플렌지(53)가 직접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 및 분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 하우징(2), 하부 하우징(3), 피스톤부(5), 고무패킹(8) 및 회동고정부(9)의 결합 과정을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피스톤 몸체(51), 피스톤 플렌지(53) 및 고무 패킹(8)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부 하우징(2)의 안착홈(23)의 나사산에 회동고정부(9)의 고정부 몸체(91)의 나사산(911)을 체결하여 회동고정부(9)를 상부 하우징(2)에 결합한 후 상부 하우징(2)의 하부 개구부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헤드(511)를 삽입하여 피스톤부(5)를 상부 하우징(2)에 설치한다. 이때 피스톤부(5)는 피스톤 플렌지(53)의 키 삽입홈(531), (531')들 각각으로 회동고정부(9)의 키(93)들이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로 삽입을 지속하면 피스톤 플렌지(53)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안착된 고무 패킹(8)이 단턱부(23)에 대접되게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 내부로 회동고정부(9) 및 피스톤부(5)가 설치되면, 하부 하우징(3)의 스프링 지지대(33)를 탄성스프링(S)으로 삽입한 상태로 하부 하우징(3)을 상부 하우징(2)에 체결함으로써 피스톤부(5)는 상부 하우징(2)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S)에 의해 탄발 지지된다.
도 10은 도 5의 반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반사부(7)는 반사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통과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시인성을 높임으로써 차선 방향 또는 진행방향의 정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반사부(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로 형성되되 대향되는 측면들 중 일측 측면들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피스톤 몸체(51)의 피스톤 헤드(511)의 반사부 안착홈(513)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반사부(7)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반사면(71)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반사부 안착홈(513)으로 삽입되되 반사면(71)이 피스톤 헤드(511)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게 설치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타이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이에 따라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에 의하여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7)는 반사면(71)들을 연결하는 대향되는 측면들에 양측면을 관통하는 볼트공(73)들이 형성되고, 볼트공(73)들에는 조립 시 피스톤 몸체(51)의 볼트 삽입공(515)에 연설됨으로써 볼트 체결을 통해 피스톤 몸체(51)에 결합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이 도로에 설치되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도로 표지병(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도로 표지병(1)은 상부 하우징(2) 및 하부 하우징(3)이 도로에 형성된 천공으로 매립되되 피스톤 헤드(511)가 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도록 도로에 설치된다. 이때 도로 표지병(1)은 탄성스프링(S)이 복원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피스톤 몸체(51)의 피스톤 플렌지(53)의 상면 및 고무패킹(8)은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 대접되어 단턱부(23)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 헤드(511)가 통과차량의 하중을 받게 되면, 피스톤 헤드(511)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S)은 압축되고, 탄성스프링(S)이 압축됨에 따라 피스톤 헤드(511)는 상단부가 지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하향 이동하게 됨으로써 통과차량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본연의 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사부(7)의 반사면(71)은 피스톤 헤드(511)의 외주면 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통과차량의 타이어(9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로 표지병(1)은 차량이 통과되면, 탄성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부(5)가 상향 이동하게 되고, 피스톤부(5)의 피스톤 플렌지(53) 및 고무패킹(8)은 상부 하우징(2)의 단턱부(23)에 대접되어 피스톤부(5)가 이탈되지 않고 다시 상향 돌출되게 된다. 이때 고무패킹(8)에 의하여 피스톤 플렌지(53) 및 단턱부(23)의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피스톤부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와 13의 결합공구(60)는 회동바(61), 지지브라켓(63) 및 압착부(65)로 이루어진다.
회동바(61)는 외주면에 나사산(611)이 형성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지지브라켓(63)을 관통(체결)하여 압착부(65)에 결합된다.
또한 회동바(61)는 지지브라켓(63)과 나사산 체결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회동바(6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회동바(61)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부(65)또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된다.
지지브라켓(63)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면의 중앙에 볼트홈(631)이 형성되고, 볼트홈(63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회동바(61)와 나사산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브라켓(63)은 설치 시 개구부가 도로표지병(1)의 상부 하우징(2)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도로면에 설치된다.
압착부(65)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면이 회동바(61)의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압착부(65)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부면에 하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측면까지 연장되는 탄성홈(65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압착부(65)는 내경이 피스톤 몸체(51)의 외경에 억지끼움 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결합공구(60)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결합공구(60)를 지지브라켓(63)의 하면이 지면에 대접되도록 설치한 후 회동바(61)를 회전시키면, 회동바(61)가 지지브라켓(63)의 볼트홈(631)에 체결됨에 따라 회동바(61)의 단부에 결합된 압착부(65)가 하향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압착부(65)의 하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압착부(65)의 개구부 및 피스톤 몸체(51)의 피스톤 헤드(511)가 억지끼움 됨과 동시에 탄성홈(651)에 의하여 개구부가 확장됨에 따라 피스톤 헤드(511)를 압착하여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또한 압착부(65)의 피스톤 헤드(511)의 파지가 완료되면, 회동바(61)를 역회전하면 압착부(65) 또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착부(65)에 파지된 피스톤 헤드(511) 또한 역회전하여 피스톤 몸체(51)의 체결홈(512) 및 피스톤 플렌지(53)의 체결부(533)의 체결이 해제됨으로써 도로 표지병(1) 전체를 제거하지 않고도 피스톤 몸체(51) 만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장비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피스톤 몸체 및 반사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피스톤부(7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스톤부 몸체(703)에 결합되며, 상부에 피스톤 헤드(711)가 형성된다. 이때 피스톤 헤드(511)는 다각면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경사면(712)으로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 헤드(711)는 경사면(712)과 경사면(712)에 대향되는 측면에 양면을 관통하는 반사부 안착홈(713)이 형성되고, 반사부 안착홈(713)으로는 반사부(7')가 삽입되어 볼트(B)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반사부(7')는 반사면(71')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피스톤 헤드(711)의 반사부 안착홈(713)에 설치된다.
1:도로표지병 2:상부 하우징 3:하부 하우징
5:피스톤부 7:반사부 8:고무패킹
9:회동고정부 21:지지부 23:단턱부
25:고정부 삽입홈 31:수직부 33:스프링 지지대
51:피스톤 몸체 53:피스톤 플렌지 60:체결공구
61:회동바 63:지지브라켓 65:압착부
71:반사면 91:고정부 몸체 93:키
511:피스톤 헤드 513:반사부 안착홈 531:삽입홈
533:체결부

Claims (8)

  1. 도로에 매립되어 주행방향 및 정보를 안내하는 도로 표지병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로에 매립되며, 내주면에 일측 개구부에서 대향되는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을 증가시키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외주면에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가 설치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수단;
    상기 피스톤부를 조립 및 분해시키기 위한 체결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상부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를 통과하여 설치 시 도로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부 영역이 통과차량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 운동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상기 피스톤부의 영역을 피스톤 헤드라고 할 때 일측에 상기 피스톤 헤드가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측 개구부에서 단턱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헤드에 대향되는 일면의 중앙에 내주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피스톤 몸체와, 상기 피스톤 헤드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단턱부에서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면의 테두리 영역이 상기 단턱부에 대접되며 일면의 중앙에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피스톤 플렌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구는 일측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개구부에 대향되는 일면의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공이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형 막대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바와,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내외주면을 관통하되 일측 개구부를 형성하는 하면까지 연장되는 탄성홈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설치 시 개구부가 상기 하우징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도로면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회동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 헤드로 억지끼움 된 후 회전이 지속되면 상기 탄성홈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의 개구부가 확장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 헤드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대향되는 외측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반사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반사부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대향되는 외측면에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반사부가 설치되는 반사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반사부 안착홈으로 삽입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형상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면이 상기 피스톤 헤드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반사부 안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4. 삭제
  5.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지지부가, 내주면에 상기 단턱부가, 하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복수개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원판으로 형성되되 일면의 테두리 영역에 일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는 수직부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은 나사산들의 체결 및 해제에 따라 조립 및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플렌지는 양면의 테두리 영역에 양면을 관통하되 측면까지 연장되는 삽입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하는 하부 개구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연결되되 하면까지 연장되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로 표지병은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안착홈에 체결되는 링 형상의 고정부 몸체와, 상기 고정부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 연결되어 조립 시 상기 피스톤 플렌지의 상기 삽입홈들 각각으로 삽입되는 막대 형상의 키들을 구비하는 회동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지병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플렌지의 테두리 영역에 안착되는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8. 삭제
KR1020150000513A 2015-01-05 2015-01-05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10163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13A KR101631239B1 (ko) 2015-01-05 2015-01-05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13A KR101631239B1 (ko) 2015-01-05 2015-01-05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239B1 true KR101631239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13A KR101631239B1 (ko) 2015-01-05 2015-01-05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667A (ko) * 2020-04-03 2021-10-14 김용륜 도로표지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1Y1 (ko) * 2000-04-26 2000-09-15 조영제 도로 표시병
KR200378888Y1 (ko) * 2004-12-16 2005-03-16 임호종 도로 표지병
KR20120050798A (ko) * 2010-11-11 2012-05-21 강민영 차선 표시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31Y1 (ko) * 2000-04-26 2000-09-15 조영제 도로 표시병
KR200378888Y1 (ko) * 2004-12-16 2005-03-16 임호종 도로 표지병
KR20120050798A (ko) * 2010-11-11 2012-05-21 강민영 차선 표시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667A (ko) * 2020-04-03 2021-10-14 김용륜 도로표지병
KR102397106B1 (ko) * 2020-04-03 2022-05-13 김용륜 도로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245B1 (ko)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1190546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1896030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199967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101631239B1 (ko)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JP7398767B1 (ja) 軟弱建設構造物の穿孔ホールに被固定物を固定するための多目的ボルトユニット
KR100660623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호등 설치 구조물
KR101842711B1 (ko) 도로 표지병
KR10054513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2214487B1 (ko)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KR101027802B1 (ko) 도로표지병
KR101687164B1 (ko) 도로의 안전을 위한 충격 흡수 및 복원이 우수한 포스트
KR101297227B1 (ko) 도로 표지병
KR102349642B1 (ko) 도로 표지병
KR200197338Y1 (ko) 도로 표시병
KR200360951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신호등 설치 구조물
KR102282598B1 (ko) 부분 교체형 다기능 교통 안내 시설물
KR102092505B1 (ko) 안전 표지병
KR20090123577A (ko) 도로 표지병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20090112141A (ko) 도로 표지병
KR200234515Y1 (ko) 도로표시용 표지판에 있어서 반사체의 착탈장치
KR200218348Y1 (ko) 횡단보도용 안전표시등
KR200395988Y1 (ko) 차선 표지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