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798A - 차선 표시블록 - Google Patents

차선 표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798A
KR20120050798A KR1020100112229A KR20100112229A KR20120050798A KR 20120050798 A KR20120050798 A KR 20120050798A KR 1020100112229 A KR1020100112229 A KR 1020100112229A KR 20100112229 A KR20100112229 A KR 20100112229A KR 20120050798 A KR20120050798 A KR 2012005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permanent magnet
lower cover
exposed portion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711B1 (ko
Inventor
강민영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영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영,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영
Priority to KR102010011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7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1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displaceable vertically under load, e.g. in combination with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에 매설되어서 차선을 표시하는 차선 표시블록에 관한 것으로,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2)의 내부로 차선을 표시하는 노출부(4)를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차량의 타이어(T)에 노출부(4)가 밟히면 즉시로 수용부(2)의 안으로 하강하여 차량 하중 작용을 완충하여 수용부(2)의 지중 매설상태를 보전하여 주고 동시에 차량으로 가해지는 노면 충격을 감쇠시키고자 상기 노출부(4)를 탄력 지지하는 구성으로 된 차선 표시블록으로서, 상기 노출부(4)를 같은 종류의 극으로 마주 보게 배치되는 한쪽 영구자석(46)과 반대쪽 영구자석(62) 사이의 척력으로 탄력 지지가 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선 표시블록{traffic lane marking block}
본 발명은 차선을 따라 도로에 배열되어서 차량의 주행로를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차선 표시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 표시는 광 반사율이 좋은 페인트를 노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이것은 세월이 지나면서 훼손이 잘 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도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차선 표시블록은 도로의 중앙선, 또는 주행선이나 갓길선, 안전지대 구획선 등을 따라 도로에 매설되고 상면 일부만 외부로 노출되어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나타내게 되는 것으로 세월에 따른 훼손이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차선 표시블록의 내부에 전광장치를 배치하여 야간에도 눈에 잘 띄는 구조로 실시되고 있으며 더 나가 태양광 충전 셀을 통해 전광장치의 전원을 자체 조달하는 방식으로도 실시되고 있다.
차선 표시블록의 일반적 구조를 살펴보면, 노면으로 드러나는 노출부와 지중으로 매입되는 매설부로 이루어지고, 노출부는 차량의 불빛을 굴절 반사시켜 눈에 잘 띄게 하는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고, 매설부는 측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서 지면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차선 표시블록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은 운행중인 차량의 타이어에 밟혔을 때 하중의 작용과 반작용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밟힘 현상이 반복되면 차선 표시블록이 지상으로 빠져나와 노상으로 흩어지거나 파손되는 한편, 차선 표시블록을 밟고 지나가는 차량에는 심한 노면 반탄력이 가해져서 순간적으로 차량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고 유발요인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 특허문헌 1은 지면과 평활하게 수용부를 매설하고 그 안에 반사부재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되 스프링으로 지지하여, 차량의 타이어에 반사부재가 밟히면 수용부의 안으로 하강하면서 차량에 의한 하중의 작용 반작용을 완충 소멸함과 동시에 차량으로 가해지는 노면 충격이 감쇄되게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도 스프링으로 지지시킨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상술한 특허문헌과는 다르게, M자형으로 꺾인 탄력대를 차량의 주행방향에 맞춰 배열하고, 탄력대의 앞뒤 끝 부분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으로 놓이게 배치하여 차량에 밟히면 M자형의 탄력대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완충작용을 나타내게 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선 표시블록 중에는 차량의 타이어에 밟힐 때에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이나 탄력대를 통한 완충작용을 이용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0-0049757호 한국 등록특허 10-0403521호 한국 공개특허 10-2005-0034487호 한국 등록특허 10-0467283호
상기 특허문헌 1~3과 같이 스프링으로 노출부를 지지하여 차량의 타이어로 밟히면 수용부로 하강하면서 완충작용을 나타내게 한 구조는 스프링의 설치로 인하여 수용부는 상당한 높이를 갖추기 때문에 지중으로 깊게 매설되어야 한다.
아스팔트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두께가 20cm 범위임을 감안하면 스프링이 설치되는 수용부의 높이는 간단하게 아스팔트 포장두께를 초과한다.
차선 표시블록을 도로에 배치하는 공사는, 먼저 도로 면에 코어 비트로 구멍을 뚫은 다음 차선 표시블록을 구멍에 끼우고 속결제를 주변에 도포하여 고착시키는 방법으로 하는데, 아스팔트 층의 밑으로 부설된 자갈층은 코어 비트에 무리를 주기 때문에 아스팔트 포장두께보다 차선 표시블록의 높이가 크면 불합리하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수용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은 무수히 신축을 반복하면 취성 변형을 일으켜 노출부의 복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구조적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에 노출부를 출몰 가능하게 배치하여 차량의 타이어에 밟힐 때에 받는 하중과 차량으로 가해지는 노면의 반탄력이 완충 되는 구조의 차선 표시블록에 있어서, 수용부의 높이를 최소로 설정할 수 있고 완충작용 효과가 변할 수 없는 구조로 된 차선 표시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와 그 안으로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는 노출부, 그리고 수용부의 밑부분으로 부착되는 하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출부와 하커버 사이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한쪽 영구자석과 반대쪽 영구자석을 같은 종류의 극으로 부착 배치하여 척력이 형성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는 상측 테두리에 내향 플랜지를 형성하고, 노출부는 가장자리에 상기 내향 플랜지와 접촉되는 외향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서 노출부가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 수용부의 내주 면에는 노출부의 승강 시에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를 돌출 형성하는 한편, 대응하는 노출부의 외주 면에는 상기 가이드에 일치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노출부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일이 없이 승 하강 작동되는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수용부의 가이드는 그 밑면으로 부착되는 하커버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의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하커버는 연장부에 일치하는 부위에 홈 또는 구멍형태의 피 관통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척력의 작용을 억제하여 하커버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노출부의 한쪽 영구자석과 하커버의 반대쪽 영구자석은 중심에 단독으로 배치하거나 또는 2개를 쌍으로 혹은 3개를 델타 배열로 하거나 4개를 정사각 배열로 할 수 있다.
수용부와 노출부, 그리고 하커버가 조립된 외관을 정사각통체나 정육각통체, 혹은 정팔각통체로 하면 수용부의 내측에 가이드를 형성하지 않아도 노출부의 회전을 막을 수 있는 한편으로, 척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하커버를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의 내측에서 노출부가 영구자석 사이의 척력작용으로 부상하여 돌출됨으로써 도로의 차선 표시를 나타내는 것이고,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에 밟히면 노출부는 별 저항 없이 수용부의 안으로 하강했다가 상측으로 가해진 차량의 하중이 소멸하는 즉시로 영구자석의 척력이 작용하여 원래의 돌출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상기 노출부의 승 하강이 무수히 반복되어도 물성변화가 일어날 부분이 없어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출몰작동이 보장된다.
게다가 스프링에 의존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수용부의 높이를 7~10cm 범위로 축소 제작할 수 있어서 아스팔트 도로의 매설작업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절단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로서 노출부의 돌출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노출부가 수용부 안으로 하강 위치한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구성을 도 1에 대응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노출부와 하커버의 중심에 하나의 영구자석을 부착 배열한 예로서, 도 4에 관련된 실시 예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용부(2)와 노출부(4), 그리고 상기 수용부(2)의 밑면으로 부착 조립되는 하커버(6)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2)는 지중에 매설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은 굴곡진 형상으로 하여 매설 후 지중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수용부(2)의 상측은 내향 플랜지(20)로 형성되고, 그 반대쪽이 되는 하부는 오픈 되어 있다.
노출부(4)는 상기 수용부(2)의 안쪽으로 수납되어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이것은 상면에 솔라 셀(40)이 배치되어 있고 그 주변에는 안쪽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도시 생략)로 점멸되는 반사판(42)이 적당한 수량으로 배열되어 있다.
반사판(42)의 안쪽에서 점멸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솔라 셀(40)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를 전원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충전회로는 이미 공지된 여러 종류의 회로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노출부(4)는 솔라 셀(40)과 반사판(42) 외에 적어도 외향 플랜지(44)를 더 구비한다. 외향 플랜지(44)는 조립 시에 수용부(2)의 내향 플랜지(22)에 걸려져 접촉하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향 플랜지(20)의 밑면은 노출부(4)에서 반사판(42)이 배열되는 경사부에 일치하는 경사면(22)으로 형성하여 노출부(4)가 돌출되었을 때 틈새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노출부(4)는 밑면에 한쪽 영구자석(46)을 구비하고 바깥 가장자리에 가이드 홈(48)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2)의 하부는 하커버(6)로 폐쇄된다. 하커버(6)는 프레스를 이용한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턱(60)을 구비할 수 있다.
하커버(6)에서 상기 노출부(4)의 밑면에 설치된 한쪽 영구자석(46)과 대응하는 부위에는 반대쪽 영구자석(62)이 배열되어 있으며, 한쪽 영구자석(48)과 반대쪽 영구자석(62)은 같은 종류의 극성으로 배치된다. 또 하커버(6)에는 노출부(4)의 가이드 홈(48)으로 끼워지는 가이드 포스트(64)가 설치된다.
수용부(2)와 노출부(4), 그리고 하커버(6)를 하나로 조립하면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의 내부에서 노출부(4)의 가이드 홈(48)으로 하커버(6)의 가이드 포스트(64)가 관통되어서 위치 고정됨과 동시에 노출부(4)의 한쪽 영구자석(48)과 하커버(6)의 다른쪽 영구자석(62)은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이들 영구자석(48)(62)은 같은 종류의 극성으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그 사이로 척력(P)이 발생하기 때문에, 노출부(4)는 외향 플랜지(44)가 수용부(2)의 내향 플랜지(20)에 맞닿을 때까지 부상하여 솔라 셀(40)과 반사판(42)을 외부로 노출하고 있게 된다. 또, 척력을 일으키는 반발 자계는 노출부(4)가 하커버(6)에 대하여 45도 수평 회전되도록 작용하지만, 상기 노출부(4)는 가이드 홈(48)이 하커버(6)의 가이드 포스트(64)에 관통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수평 회전이 억제된 채 승 하강만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내부에 노출부(4)를 수납한 수용부(2)는 도로에 시설될 때 상단 가장자리가 노면과 거의 평면을 이루도록 매설되는 것이며, 매설 후에도 노출부(4)는 내부의 척력(P) 작용으로 수용부(2)에서 돌출하고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노면에는 반사판(42)에 의한 도로 표시가 나타나 차량을 인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T)에 노출부(4)가 밟히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노출부(4)는 수용부(2)의 안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완충작용을 나타내어 주행하는 차량으로 노면 충격이 전파되지 않는 것이다.
또, 노출부(4)는 타이어(T)에 밟혀 하강하게 될 때 그 하측은 여전히 척력(P)으로 받쳐져 있어서 하강하여도 하커버(6)와 충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노출부(4)가 차량의 타이어(T)에 밟히더라도 금속성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또 타이어(T)에서 벗어나게 되는 즉시로 척력(P)의 작용이 가해져 다시 상방으로 돌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2)의 내부에서 노출부(4)가 상하로 승강하는 작용을 무수히 반복하더라도 복귀력의 근원은 비접촉 지지력을 일으키는 척력(P)의 작용이기 때문에 부품의 변형이나 기계적 물성의 변화가 생길 염려는 없다.
그러므로 장기간에 걸쳐 고장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차량의 타이어(T)에 밟히더라도 그 하중을 확실하게 완충하는 것이므로 수용부(2)가 지면으로 빠져나오는 일도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술한 도 1의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수용부(2)의 안쪽 면으로 가이드(24)가 복수 배열된 구조에 있다.
노출부(4)는 이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바깥쪽 면의 대응부위마다 수용부(2)의 가이드(24)가 관통 위치하는 가이드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가이드 홈(48)으로 가이드(24)를 일치시킨 채로 조립하면 노출부(4)는 수용부(2)의 내부에서 회전이 불가하고 승 하강만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 수용부(2)의 밑면으로 하커버(6)를 조합할 때 척력(P)에 의해 하커버(6)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에는, 수용부(2)의 안쪽 면에 형성되는 가이드(22)의 하단으로 하커버(6)의 두께에 상당하는 연장부(26)를 더 형성하고, 또한 하커버(6)의 대응하는 부위에는 홈 또는 구멍 형태의 피 관통부(66)를 형성한 구조로 하면, 상기 가이드(22)의 연장부(26)를 하커버(6)의 피 관통부(66)에 끼워 고정해 놓고 조립할 수 있어서 작업이 한층 간편하게 된다.
이 경우 하커버(6)는 몇 개의 세트 스크루(68)를 이용하여 수용부(2)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노출부(4)와 하커버(6) 사이의 마주보는 면으로 부착되는 한쪽 영구자석(46)과 다른쪽 영구자석(62)은 도시한 바와 같이 4개를 정사각형 배열로 부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를 델타 배열로 부착할 수 있고, 또는 2개를 쌍으로, 혹은 도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부에 하나만 부착하여 놓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이 실시 예는 수용부(2)에서 외향 플랜지(20)를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하여 그 안쪽에 암나사부(28a)를 형성하고, 또 수용부(2)의 상단 바깥 면에는 숫나사부28b)를 형성하여 상호 일체로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노출부(4)의 가이드 홈(48)을 수용부(2)의 안쪽 가이드(24)에 따라 관통시켜 수납한 다음, 수용부(2)의 상측에 외향플랜지(28)를 나사 부착하는 방식으로 하여도 소망하는 차선 표시블록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 예에서는 수용부(2)를 바닥 달린 통체로 형성하고 그 밑면에 반대쪽 영구자석(30)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커버(6)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부(2)와 노출부(4), 그리고 하커버(6)는 이 실시 예에서 원통형의 외관으로 되어 있으나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정사각통체라도 무방하고 정육각통체나 정팔각통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외관을 정사각통체나 정육각통체, 혹은 정팔각통체로 하였을 때는 수용부(2)에 가이드(24), 또는 하커버(6)에 가이드 포스트(62)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출부(4)가 내부에서 반발 자계에 의해 45도 수평회전하게 되는 일이 없고, 또 하커버(6)의 조립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2: 수용부 20: 외향 플랜지
22: 경사면 24: 가이드
26: 연장부 28a: 암나사부
28b: 숫나사부 4: 노출부
40: 솔라셀 42: 반사판
44: 외향 플랜지 46: 한쪽 영구자석
48: 가이드 홈 6: 하커버
60: 턱 62: 반대쪽 영구자석
64: 가이드 포스트 66: 피 관통부
68: 세트 스크루

Claims (6)

  1.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부를 수납하여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차선 표시를 나타내는 구성을 갖춘 차선 표시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의 내측에서 노출부(4)의 가이드 홈(48)으로 하커버(6)의 가이드 포스트(64)를 관통 위치시켜 조립하고, 상기 노출부(4)와 하커버(6)의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한쪽 영구자석(46)과 반대쪽 영구자석(62)을 같은 종류의 극으로 부착하여 그 사이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출부(4)가 수용부(2)의 상측으로 항상 돌출 위치하고 있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선 표시블록.
  2.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부를 수납하여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차선 표시를 나타내는 구성을 갖춘 차선 표시블록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의 안쪽 면에 설치된 가이드(24)를 노출부(4)의 가이드 홈(48)으로 관통 위치시켜 조립함과 아울러 상기 노출부(4)와 하커버(6)의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한쪽 영구자석(46)과 반대쪽 영구자석(62)을 같은 종류의 극으로 부착하여 그 사이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출부(4)가 수용부(2)의 상측으로 항상 돌출 위치하고 있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선 표시블록.
  3.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부를 수납하여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차선 표시를 나타내는 구성을 갖춘 차선 표시블록에 있어서,
    바닥 달린 통체로 형성되고 그 밑면에 반대쪽 영구자석(30)이 배열된 수용부(2)의 내부에 노출부(4)를 수납하여 그 밑면의 한쪽 영구자석(46)이 상기 반대쪽 영구자석(30)과 마주 보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2)의 상단으로 외향플랜지(20)를 결합하여 일체화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선 표시블록.
  4. 지중으로 매설되는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부를 수납하여 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차선 표시를 나타내는 구성을 갖춘 차선 표시블록에 있어서,
    정사각통체, 또는 정육각통체, 혹은 정팔각통체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된 수용부(2)의 안으로 동일한 형상의 노출부(4)를 수납하여 조립함과 아울러 상기 노출부(4)의 밑면에 한쪽 영구자석(46)을 부착하고, 상기 수용부(2)의 하측을 폐쇄하는 동일형상의 판으로 된 하커버(6)에 상기 한쪽 영구자석(46)과 마주 보는 위치로 반대쪽 영구자석(62)을 부착하되, 상기 한쪽 영구자석(46)과 반대쪽 영구자석(62)을 같은 종류의 극으로 배치하여 그 사이로 척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노출부(4)가 수용부(2)의 상측으로 항상 돌출 위치하고 있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선 표시블록.
  5. 청구항 1, 2, 3,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4)의 한쪽 영구자석(46)과 하커버(6)의 반대쪽 영구자석(62)은 중심에 하나만 배치된 구성이 특징인 차선 표시블록.
  6. 청구항 1, 2, 3,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4)의 한쪽 영구자석(46)과 하커버(6)의 반대쪽 영구자석(62)은 2개를 쌍으로, 또는 3개를 델타배열로, 혹은 4개를 정사각 배열로 부착한 구성이 특징인 차선 표시블록.
KR1020100112229A 2010-11-11 2010-11-11 차선 표시블록 KR10120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9A KR101203711B1 (ko) 2010-11-11 2010-11-11 차선 표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229A KR101203711B1 (ko) 2010-11-11 2010-11-11 차선 표시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98A true KR20120050798A (ko) 2012-05-21
KR101203711B1 KR101203711B1 (ko) 2012-11-21

Family

ID=46268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229A KR101203711B1 (ko) 2010-11-11 2010-11-11 차선 표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7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39B1 (ko) * 2015-01-05 2016-06-16 도로교통공단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CN109140317A (zh) * 2018-08-14 2019-01-04 柴睿琪 一种防盗型led埋地灯结构
CN111032960A (zh) * 2017-08-31 2020-04-17 诸五秀 使用磁铁的发电及旋转体路标
WO2024041983A1 (en) * 2022-08-24 2024-02-29 Signify Holding B.V. Systems and methods for trim retainment using repelling magne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7193A (en) * 2013-08-15 2015-02-18 Joseph Anthony Griffiths Insert for reflective road mar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521B1 (ko) 2001-03-12 2003-10-30 조영제 도로 표시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239B1 (ko) * 2015-01-05 2016-06-16 도로교통공단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CN111032960A (zh) * 2017-08-31 2020-04-17 诸五秀 使用磁铁的发电及旋转体路标
CN109140317A (zh) * 2018-08-14 2019-01-04 柴睿琪 一种防盗型led埋地灯结构
CN109140317B (zh) * 2018-08-14 2020-11-17 嘉兴超凡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防盗型led埋地灯结构
WO2024041983A1 (en) * 2022-08-24 2024-02-29 Signify Holding B.V. Systems and methods for trim retainment using repelling magn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711B1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711B1 (ko) 차선 표시블록
KR100992851B1 (ko) 솔라 엘이디 델리네이터
KR101074214B1 (ko) 볼라드
ATE510966T1 (de) Verkehrsleitpfostenausrichtungssystem
KR10199967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102194044B1 (ko) 방향 안내 표지판 및 그 시공방법
JP3634602B2 (ja) 自発光式道路鋲
KR100658568B1 (ko)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KR101451373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시장치
JP2017043950A (ja) 縁石体付き溝蓋
CN210627499U (zh) 一种新型伸缩式路面交通信号灯及设有该信号灯的道路
KR101965562B1 (ko) 도로표지병
KR100776670B1 (ko) 탄성복원력을 구비한 볼라드
US3860213A (en) One-piece support
KR101870141B1 (ko) 안전 유도형 태양광 보도 블럭
KR102015106B1 (ko) 매립형 유도등
KR101027648B1 (ko) 도로공사용 안전표시 드럼
KR102080925B1 (ko) 횡단보도에 장착되는 도로표지병
KR100961714B1 (ko) 과속방지장치
KR101420062B1 (ko) 볼라드
KR100397618B1 (ko)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CN212112760U (zh) 一种伸缩式路面信号灯及设有该信号灯的道路
KR102408038B1 (ko) 축광체를 이용한 안전유도등
KR200369387Y1 (ko) 도로용 비탈면 보호시설
RU192178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орожный столб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