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568B1 -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568B1
KR100658568B1 KR1020060089298A KR20060089298A KR100658568B1 KR 100658568 B1 KR100658568 B1 KR 100658568B1 KR 1020060089298 A KR1020060089298 A KR 1020060089298A KR 20060089298 A KR20060089298 A KR 20060089298A KR 100658568 B1 KR100658568 B1 KR 10065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l
road
blo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안내표지판의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하부에 수직으로 천공된 한쌍의 장공(3)과, 상기 양측 장공(3)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4)를 구비하고, 도로의 측면에서 토사(1)의 유입을 차단하는 벽체(2); 상기 벽체(2)의 하단에서 도로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의 전단부터 벽체(2)까지 양측에 요형홈(7)을 구비한 삽입홈(6)이 형성된 하부판(5); 상부에 도로안내판(11)이 장착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플랜지(12)가 전방측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지주(10); 상부 전방측에 절단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2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주(1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중앙까지 원통형의 삽입부(22)가 형성된 지지블럭(20); 상기 지주(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단부(21)에 맞춰지는 커버블럭(30); 배면 양측에서 돌출된 단부(43)가 예리한 한쌍의 삽입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삽입부(41)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44)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20)의 배면에 볼트결합되는 진입부재(40); 일측 단부가 상기 돌기(4)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돌기(44)에 결속되어,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스프링(50)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재(60); 를 포함하므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하부구조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차량에 탑승한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주 파손시 발생하는 복구비용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로안내표지판, 지주, 충격흡수

Description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Sign post of roadway absorbing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배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토사 2:벽체
3:장공 4,44:돌기
5:하부판 6:삽입홈
7:요형홈 10:지주
11:도로안내판 12:플랜지
13:나사홀 14:나사
20:지지블럭 21:절단부
22:삽입부 23:플랜지
30:커버블럭 31:원통홈
40:진입부재 41:삽입부
42:플랜지 43:단부
45:나사 50:스프링
60:완충부재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하부구조를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지주 파손시 발생하는 복구비용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국도나 일반도로 등의 차도에는 지리적 정보 안내 또는 교통안내 등을 하기 위한 안내표지판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어서 주행하는 차량들이 주행 목적지를 확인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도로 안내 표지판은 그 하중이 무거워 강성의 원형빔을 지주로 채용하여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등에 앵커볼트로 고정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차량의 파손과 함께 지주도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하다.
그러나, 교통 표지판 지주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은 지주의 무게와 높이 등으로 인하여 도로에 크레인을 설치하여야만 작업을 할 수 있어서 교통 체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하부구조를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차량에 탑승한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주 파손시 발생하는 복구비용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하부에 수직으로 천공된 한쌍의 장공과, 상기 양측 장공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도로의 측면에서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는 벽체;
상기 벽체의 하단에서 도로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의 전단부터 벽체까지 양측에 요형홈을 구비한 삽입홈이 형성된 하부판;
상부에 도로안내판이 장착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플랜지가 전방측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지주;
상부 전방측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중앙까지 원통형의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 블럭;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단부에 맞춰지는 커버블럭;
배면 양측에서 돌출된 단부가 예리한 한쌍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삽입부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의 배면에 볼트결합되는 진입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돌기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돌기에 결속되어, 진입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진입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배면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는, 도로의 측면에서 토사(1)의 유입을 차단하는 벽체(2)와, 상기 벽체(2)의 하단에서 도로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판(5)과, 상기 하부판(5)의 중앙에 배치되는 봉형상의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일정위치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지지블럭(20)과, 상기 지지블럭(20)의 상 부 일측을 덮는 커버블럭(30)과, 상기 지지블럭(20)의 배면에 장착되어 함께 전후로 이동하며 차량의 충돌시 삽입부(41)가 벽체(2)를 통과하여 토사(1)내로 진입하는 진입부재(40)와, 상기 벽체(2)와 진입부재(4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50)과, 상기 스프링(50)의 양쪽에 개재되는 완충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2)는 토사(1)가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부재로서, 중앙하부의 양쪽으로 천공된 한쌍의 수직한 장공(3)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장공(3)들 사이에는 다수의 돌기(4)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돌기(4)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스프링(50)의 일단부와 결속된다.
상기 하부판(5)은 벽체(2)의 하단에서 도로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재로서, 전단부의 중앙에서부터 벽체(2)부분까지 편평한 삽입홈(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6)의 양측에는 좌우측으로 움푹한 요형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10)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상부에는 도로측으로 돌출된 도로안내판(11)이 장착되어 있고, 하부에는 반원형의 플랜지(12)가 전방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블럭(20)은 상부 전방측에 직육면체 형상의 절단부(2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2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20)의 상부면에서 중앙부까지에는 원통형의 삽입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반원형의 플랜지(12)는 절단부(21)의 상부면에 얹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12)에 천공된 다수의 나사홀(13)을 통해 나 사(14)로 고정된다.
상기 커버블럭(30)은 상기 절단부(21)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결합시 상기 지주(10)의 하단부를 감싸면서 지지블럭(20)과 함께 육면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커버블럭(30)이 지주(10)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지주(10)를 감싸며 접촉될 수 있도록 원통홈(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블럭(3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1차적인 완충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것은 지주(10)와 지지블럭(20)의 결합시 결합되는 부위를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입부재(40)는 양측으로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랜지(42)에 천공된 나사홀을 통하여 다수의 나사(45)로 지지블럭(20)의 배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배면 양측에는 단부(43)가 예리한 한쌍의 삽입부(41)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부(41)는 수직한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삽입부(41) 사이에는 다수의 돌기(44)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스프링(50)의 타단부와 결속되어 상기 벽체(2)의 돌기(4)와 함께 스프링(50)을 일정위치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50)은 일측 단부가 상기 돌기(4)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돌기(44)에 결속되어,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완충부재(60)는 상기 스프링(50)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스프링(50)과 함께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도로안내판(11)의 지주(10)는 도 4와 도 5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차량이 지지블럭(20)을 충돌하게 되면 먼저 커버블럭(30)이 1차적인 완충작용을 하고, 상기 지지블럭(20)이 진입부재(40)와 함께 하부판(5)의 삽입홈(6)을 따라 후방으로 밀리면서 2차적인 완충작용을 하며, 상기 진입부재(40)의 삽입부(41)가 벽체(2)의 장공(3)을 통하여 토사(1)내로 진입하면서 3차적인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41)의 예리한 단부(43)는 토사(1)내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커버블럭(30), 스프링(50) 및 완충부재(60)에 의하여 충격의 일부가 흡수되면서 벽체(2) 뒤의 토사(1)에 의하여 차량 충격의 대부분이 흡수되므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뿐만 아니라 지주(10)의 파손도 경감된다.
또한, 상기 충돌 후 차량이 제거되면 매우 심한 충돌이 아닌 경우 스프링(50)과 완충부재(60)에 의하여 지주(10)는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에 의하면,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하부구조가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차량에 탑승한 인명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지주 파손시 발생하는 복구비용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앙하부에 수직으로 천공된 한쌍의 장공(3)과, 상기 양측 장공(3)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4)를 구비하고, 도로의 측면에서 토사(1)의 유입을 차단하는 벽체(2);
    상기 벽체(2)의 하단에서 도로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의 전단부터 벽체(2)까지 양측에 요형홈(7)을 구비한 삽입홈(6)이 형성된 하부판(5);
    상부에 도로안내판(11)이 장착되고, 하부에 반원형의 플랜지(12)가 전방측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지주(10);
    상부 전방측에 절단부(21)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플랜지(2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주(10)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상부에서 중앙까지 원통형의 삽입부(22)가 형성된 지지블럭(20);
    상기 지주(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절단부(21)에 맞춰지는 커버블럭(30);
    배면 양측에서 돌출된 단부(43)가 예리한 한쌍의 삽입부(41)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삽입부(41) 사이에 장착된 수직방향의 다수의 돌기(44)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20)의 배면에 볼트결합되는 진입부재(40);
    일측 단부가 상기 돌기(4)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돌기(44)에 결속되어,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0); 및
    상기 스프링(50)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진입부재(40)를 탄성지지하는 완충 부재(60); 를 포함하는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KR1020060089298A 2006-09-14 2006-09-14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KR10065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8A KR100658568B1 (ko) 2006-09-14 2006-09-14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98A KR100658568B1 (ko) 2006-09-14 2006-09-14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568B1 true KR100658568B1 (ko) 2006-12-19

Family

ID=378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98A KR100658568B1 (ko) 2006-09-14 2006-09-14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5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127Y1 (ko) 2009-02-11 2011-10-13 주식회사 가람유시티(Uct) 도로용 지주의 고정 구조
KR101778299B1 (ko) * 2010-12-14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CN109137778A (zh) * 2018-08-31 2019-01-04 安徽指南针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防撞交通指示牌
CN109505447A (zh) * 2017-07-27 2019-03-22 杭州曼京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撞击力的电力电网电线杆
US11021843B2 (en) 2018-12-18 2021-06-0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Energy absorbing post having sliding rail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127Y1 (ko) 2009-02-11 2011-10-13 주식회사 가람유시티(Uct) 도로용 지주의 고정 구조
KR101778299B1 (ko) * 2010-12-14 2017-09-14 주식회사 포스코 희생부재를 구비한 교량의 방호울타리 연결장치
CN109505447A (zh) * 2017-07-27 2019-03-22 杭州曼京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撞击力的电力电网电线杆
CN109137778A (zh) * 2018-08-31 2019-01-04 安徽指南针交通设施工程有限公司 一种防撞交通指示牌
US11021843B2 (en) 2018-12-18 2021-06-0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Energy absorbing post having sliding rail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568B1 (ko) 도로안내표지판 지주의 충격흡수구조
KR100553458B1 (ko) 충격흡수용 도로 중앙분리대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542365B1 (ko)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250343B1 (ko) 차량 방호책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603511B1 (ko) 도로 터널입구 충격흡수시설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022863B1 (ko)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KR100837202B1 (ko) 차량 충돌대비 충격 흡수장치
KR101800416B1 (ko) 지지력과 전도안정성이 강화된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KR20140113143A (ko) 충격완화장치
KR200336654Y1 (ko) 급커브 도로의 중앙선 침범방지용 중앙 분리대 구조
KR100995335B1 (ko) 펜스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435121Y1 (ko) 충격흡수대
KR100878761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지중배전의 지상기기함 보호장치
KR200336614Y1 (ko) 도로용 가드레일 구조
CN213805080U (zh) 一种带保护装置的京式护栏
KR20038280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완충용 중앙분리대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KR101420213B1 (ko) 충격 흡수 장치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535235B1 (ko)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을 통한 이중 충격흡수 고강도 빔 가드레일
CN219260823U (zh) 一种多用途市政道路隔离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