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38Y1 - 도로 표시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시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38Y1
KR200197338Y1 KR2020000012075U KR20000012075U KR200197338Y1 KR 200197338 Y1 KR200197338 Y1 KR 200197338Y1 KR 2020000012075 U KR2020000012075 U KR 2020000012075U KR 20000012075 U KR20000012075 U KR 20000012075U KR 200197338 Y1 KR200197338 Y1 KR 200197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ottle
reflective member
operating space
display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대성
Original Assignee
노대성
이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대성, 이미라 filed Critical 노대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및 갓길차선이나 안전지대 표시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시야가 불량한 야간에도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멀리 까지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로 표시병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표출되게 매립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로 돌출 되어 사방으로 빛을 반사키고, 일정 압력이상의 힘이 상부에서 가해지면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공간의 하부 공기를 상부 외곽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복원되어 주위 먼지를 제거하는 작동부를 구성하여 표시병 주변의 먼지를 자체적으로 비산시켜 먼지가 쌓여 반사판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판이 사방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서 어느 조건에서도 밝고 선명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표시병을 밟고 지나가는 차량의 타이어 충격에 의해 반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만약 반사판이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표시병을 밟고 지나갈 때 조향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조향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도로 표시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표시병{road expression receptacle}
본 고안은 자동차가 운행되는 도로에 설치되어 야간운행이나 악천후 상황에서 차선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안전운행 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표시병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도로 표시병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및 갓길차선이나 안전지대 표시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주간은 물론 시야가 불량한 야간에도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멀리 까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도로 표시병은 사각뿔 형태의 몸체를 도로의 상부로 돌출되게 매설하고, 그 몸체의 양측 경사면에 반사판을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표시병은 설치 후 일정 기간 동안은 반사판이 선명하게 반사되지만 기간이 지날수록 운행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밟고 지나가면서 발생시킨 먼지와 흙을 비롯한 이물질이 표시병의 상부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표시병의 주변에 쌓인 이물질은 반사판을 가릴 뿐만 아니라 운행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사각뿔 형태로 돌출된 표시병을 밟고 지나갈 때 차량의 하중에 의해 반사판이 파손되어 표시병의 반사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특히 시야가 불량한 야간이나 악천후에 차량을 운행할 때 도로의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및 갓길차선이나 안전지대 표시차선 등의 식별이 불가능하여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병은 일체로 구성된 몸체가 도로의 상부로 뾰족하게 돌출된 상태로 매립되어 있어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표시병을 밟고 지나갈 때 차량의 조향장치에 순간적으로 심한 충격이 전달되어 조향장치가 손상되거나 그 충격에 의해 운전자가 핸들을 놓치게 되면 대형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있다.
또한 표시병의 돌출 높이가 도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제한되어 있고, 반사판은 몸체의 4면 중에서 일 측면에만 구비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 방향이 조금만 변하여도 선명하게 반사되지 않는 결함이 있다.
또한 표시병을 밟고 지나가는 차량의 중량에 의해 반사판이 파손되면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함으로서 도로를 드릴로 판 후 표시병 전체를 빼내어 새로운 표시병을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표시병 주변의 먼지를 자체적으로 비산시켜 먼지가 쌓여 반사판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판이 사방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서 어느 조건에서도 밝고 선명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표시병을 밟고 지나가는 차량의 타이어 충격에 의해 반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판이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표시병을 밟고 지나갈 때 조향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조향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도로 표시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표출되게 매립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작동공간의 상부에 내장되어 평상시는 수용부의 상부로 돌출 되어 빛을 사방으로 반사키고, 일정 압력이상의 힘이 상부에서 가하여 지면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실 하부 공기를 상부 외곽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복원되어 주위 먼지를 제거하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표시병이 설치된 도로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표시병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표시병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표시병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로서,
a는 반사부가 삽입된 상태이고,
b는 반사부가 돌출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로 표시병 20: 수용부
21: 몸체 22: 테두리
23: 상부 작동공간 24: 하부 작동공간
27: 하부캡 30: 작동부
31: 반사부재 32: 제1지지부재
33: 제2지지부재 34: 경음기
35: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표시병이 설치된 도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표시병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표시병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표시병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선(S)이나 주행차선(S-1)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주간은 물론 시야가 불량한 야간에도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멀리 까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병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표출되게 매립되는 수용부(20)를 구성하고, 상기 수용부(20) 작동공간의 상부에 내장되어 평상시는 수용부(20)의 상부로 돌출 되어 빛을 사방으로 반사키고, 일정 압력이상의 힘이 상부에서 가하여 지면 수용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실 하부 공기를 상부 외곽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복원되어 주위 먼지를 제거하는 작동부(3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부(20)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 몸체(21)의 상부 둘레에 외향으로 연장된 테두리(21)가 구비되고, 몸체(21) 하부의 내주면 둘레에는 나선(26)을 형성시켜 하부캡(27)을 나사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몸체(21)의 내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하부 작동공간(23)(24)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30)는, 상부가 구형으로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상부 작동공간(23)에 수용될 수 있는 외경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구형으로 폐쇄된 상부 내면에 요철(凹凸) 형으로 반사면(311)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의 일정 각도 방사상으로 구획된 위치에 리브(312a)(312b)로 감싸 내측 수직 방향에서 외측 수평 방향으로 통하도록 배기공(312)이 통공되고, 상부의 구면과 수직면의 경계선에 패킹홈(313)이 구비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하부 작동공간(24)에 수용되고 하부 작동공간(24)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5)에 걸릴 수 있는 직경으로 확장된 걸림돌기(314)가 구비되고, 걸림돌기(314)의 외주면에 패킹홈(315)이 형성된 반사부재(31)를 구성한다. 이러한 반사부재(31)는 투명체 또는 반사재질을 사용하거나 표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31)의 내경에 형합되는 직경의 외경과 반사부재(31) 내측의 높이보다 짧고 상부가 구형으로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폐쇄된 상부 가장자리의 일정 각도 방사상으로 구획된 위치에 상기 배기공(312)의 하단 리브(312b)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삽입공(321)이 수직으로 통공된 제1지지부재(32)를 구성한다. 이 지지부재(32)는 상기 반사부재(31)가 투명체인 경우 표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반사부재(31)를 통해 반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32)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반사부재(31)의 개방된 하부 내경에 형합되는 걸림돌기(331)가 외향으로 확장된 제2지지부재(33)를 구성한다.
또한 금속 경판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통기공(341)이 관통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32)(33)의 사이에 개재되는 경음기(34)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20)의 하부 작동공간(24)에 내장되어 반사부재(31)의 하부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스프링(35)을 구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반사부재(31)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된 각 배기공(312)의 하단 리브(312b)가 삽입공(321)에 모두 일치하도록 제1지지부재(32)를 삽입하여 형합시키고, 제1지지부재(32)의 하부에 경음기(34)를 개재시킨 후 제2지지부재(33)를 하부에서 삽입하여 걸림돌기(331)를 반사부재(31)의 하부 내경에 일치시켜 본드 또는 초음파에 의해 접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반사부재(31)에 경음기(34)를 개재한 제1,2지지부재(32)(33)가 조립되면 반사부재(31)의 각 패킹홈(313)(316)에 패킹(316)(317)을 끼워 만곡된 상부부터 수용부(20)의 몸체(21)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반사부재(31)의 걸림돌기(314)는 하부 작동공간(24)의 걸림턱(25)에 걸리고 그 상부는 상부 작동공간(23)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스프링(35)을 몸체(21)의 하부 작동공간(24)에 삽입하여 걸림턱(25)에 걸린 반사부재(31)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하부캡(27)에 패킹(28)을 끼워 몸체(21)의 하부 내경에 형성된 나선(26)에 체결하여 몸체(21)의 하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스프링(35)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조립이 완료된 표시병(10)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도로의 차선에 설치공을 뚫고, 이 설치공의 바닥에 타르 또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채운 후 표시병의 몸체(21)를 매립하여 설치한다. 이때 표시병 몸체(21)는 테두리(21)의 상면만 지면에 표출되도록 매립시킴으로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반사부재(31)의 반사면은 항상 도로의 지면 위로 표출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표시병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운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여 표시병을 밟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가 반사부재(31)를 직접 가압하고, 반사부재(31)는 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패킹(316)(317)에 의해 작동공간(23)(24)의 내벽과 실링된 상태로 하강하여 작동공간(23)(24)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과정에서 하부 작동공간(24) 내의 공기는 하향으로 작용하는 순간적인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제1,2지지부재(32)(33) 사이에 개재된 경음기(34)의 통기공(341)을 경유하면 금속 경판으로 된 경음기에 강한 진동음을 발생시킨 후 반사부재(31)의 상부에 통공된 배기공(312)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작동공간(23)(24)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반사부재(31) 둘레의 외곽으로 강하게 배출되어 주변에 쌓인 먼지와 이물질을 비산시킴과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서 운전자는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고 있음을 인식시킨다.
이어서 타이어(T)가 표시병(10)을 밟고 통과하게 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에 가하여진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반사부재(31)는 원래의 상태로 탄력있게 복귀되면서 반사부재(31)의 상면에 쌓인 먼지를 털어 제거한다. 이렇게 반사부재(31)가 도로의 지면위로 돌출된 표시병(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면으로 구성됨으로서 어느 방향과 각도에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표출되게 매립되는 수용부의 상부로 돌출 되어 사방으로 빛을 반사키고, 일정 압력이상의 힘이 상부에서 가해지면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공간의 하부 공기를 상부 외곽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력있게 복원되어 주위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하여 표시병 주변의 먼지를 자체적으로 비산시켜 먼지가 쌓여 반사판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판이 사방으로 반사되도록 함으로서 어느 조건에서도 밝고 선명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표시병을 밟고 지나가는 차량의 타이어 충격에 의해 반사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반사판이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경제적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타이어가 표시병을 밟고 지나갈 때 조향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조향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도로의 중앙선(S)이나 주행차선(S-1)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시야가 불량한 야간에도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멀리 까지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로 표시병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작동공간이 내부에 구비되어 도로의 표면에 상면이 표출되게 매립되는 수용부(20)와;
    상기 수용부(20)의 상부로 돌출 되어 사방으로 빛을 반사키고, 일정 압력이상의 힘이 상부에서 가해지면 수용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작동공간의 하부 공기를 상부 외곽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작동부(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병.
  2. 제 1항에 있어서 수용부(20)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 몸체(21)의 상부 둘레에 외향으로 연장된 테두리(21)가 구비되고, 몸체(21)의 하부에 하부캡(27)이 나사식으로 조립되며, 몸체(21)의 내부에는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하부 작동공간(23)(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병.
  3.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부(30)는,
    상부가 구형으로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부 내면에 요철(凹凸) 형으로 반사면(311)이 형성되며, 그 가장자리의 일정 각도 방사상으로 구획된 위치에 내측 수직 방향에서 외측 수평 방향으로 통하도록 배기공(312)이 통공되고, 하부 외주면에 하부 작동공간(24)에 수용되고 하부 작동공간(24) 상부에 걸리도록 걸림돌기(314)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작동공간(23)에 승강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반사부재(31)와;
    상기 반사부재(31)의 내면에 형합되는 외경과 반사부재(31) 내측의 높이보다 짧고 상부가 구형으로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폐쇄된 상부 가장자리의 일정 각도 방사상으로 구획된 위치에 상기 배기공(312)의 하단 리브(312b)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으로 삽입공(321)이 수직으로 통공된 제1지지부재(32)와;
    상기 제1지지부재(32)와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하부 외주면에 상기 반사부재(31)의 개방된 하부 내경에 형합되는 걸림돌기(331)가 외향으로 확장된 제2지지부재(33)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통기공(341)이 관통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32)(33)의 사이에 개재되는 경음기(34)와;
    상기 수용부(20)의 하부 작동공간(24)에 내장되어 반사부재(31)의 하부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스프링(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병.
KR2020000012075U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KR20019733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568A KR20000049757A (ko)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68A Division KR20000049757A (ko)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38Y1 true KR200197338Y1 (ko) 2000-09-15

Family

ID=196673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68A KR20000049757A (ko)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KR2020000012075U KR200197338Y1 (ko)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568A KR20000049757A (ko) 2000-04-27 2000-04-27 도로 표시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497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106B1 (ko) * 2010-12-27 2012-06-22 (주) 해치엠엠에이앤엘이디 엘이디 시선유도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1560868A (zh) * 2020-05-21 2020-08-21 周红艳 一种市政弯道处警示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83B1 (ko) * 2002-12-02 2005-01-24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도로용 표시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106B1 (ko) * 2010-12-27 2012-06-22 (주) 해치엠엠에이앤엘이디 엘이디 시선유도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1560868A (zh) * 2020-05-21 2020-08-21 周红艳 一种市政弯道处警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57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3563B2 (en) Dynamic road marker
KR10199967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200197338Y1 (ko) 도로 표시병
US3924958A (en) Highway retroreflecting marker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KR101842711B1 (ko) 도로 표지병
JP3914376B2 (ja) 道路鋲
KR101631239B1 (ko) 피스톤형 도로 표지병
KR20050024814A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20080079366A (ko) 차선 분리선용 도로 안전 표지병
KR200324449Y1 (ko) 이물질 제거 도로표지병
KR200407503Y1 (ko) 도로표지병
KR102092505B1 (ko) 안전 표지병
KR200277414Y1 (ko) 도로표지병
KR100581090B1 (ko) 도로 표지병
KR102543207B1 (ko) 후측방 인지용 라이다 범퍼 어셈블리
JP2003278732A (ja) ホイールナット用キャップ
KR200396006Y1 (ko) 도로 표지병
KR100467283B1 (ko) 도로용 표시병
KR200370448Y1 (ko) 도로 표지병
KR100692301B1 (ko) 도로표지병
KR200300005Y1 (ko) 도로표지병
JP3007844B2 (ja) 可倒式視線誘導標識柱
KR200272932Y1 (ko) 경계석용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