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030B1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도로용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30B1
KR101896030B1 KR1020170005178A KR20170005178A KR101896030B1 KR 101896030 B1 KR101896030 B1 KR 101896030B1 KR 1020170005178 A KR1020170005178 A KR 1020170005178A KR 20170005178 A KR20170005178 A KR 20170005178A KR 101896030 B1 KR101896030 B1 KR 10189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tting
base portion
circular plat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21A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7000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3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에 결착하는 표시 몸체부가 풍압이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베이스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부에 침입한 빗물을 수월하게 배출시켜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토록 함과 동시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이나 주변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하게 함으로서 대기환경보존을 더욱 증진시키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 겸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솔라 셀과 제회로부 및 충전지를 포함한 제어회로 박스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의 본체에 합성수지 탄력봉으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앵커볼트로 지면에 고정 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본체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와; 상기 끼움 요입부에 끼워 스프링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과;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 상부면에 밀착시켜 결합하는 몸체부; 및 베이스부 바닥부 하측 요입부에 설치하는 매연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용 차선 규제봉{Regulating pole for traffic lane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에 결착하는 표시 몸체부가 풍압이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베이스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부에 침입한 빗물을 수월하게 배출시켜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토록 함과 동시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매연이나 주변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유해물질을 흡착제거하게 함으로서 대기환경보존을 더욱 증진시키도록 하는 도로 표지병 겸용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안전시설물이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상기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그리고, 야간 조명이 없는 곳에서도 차선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도로에 반사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경찰청의 "도로안전시설 실무편람" 규정상에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운전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차선이 일정한 기준의 재귀 반사명 시도를 갖도록 되어 있으나, 차선이나 중앙선 등 노면 표시에 이 기준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시인성 저하를 보완할 목적으로 도로에는 도로 표지병과 차선 규제봉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선 규제봉은 차선 준수가 필요한 커브길이나 톨게이트 진입로를 포함한 차도가 합류되거나 분리되는 지점 등에서 운전자에게 차선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알려주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방식을 통해 무리한 차선 변경 등으로 인한 충돌 및 추돌사고를 포함한 차량이 서로 엉킴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접촉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선 규제봉은 주, 야간 및 날씨의 변화에 무관하게 운전자의 눈에 잘 보이면서 강한 충격 및 주변온도가 심하게 변화되어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 내굴곡성, 내충격성 및 탄력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선 규제봉은 운전자나 보행자가 주간 및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선 규제봉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의 표면에는 형광도료로 도색된 반사시트가 다단으로 부착된다.
상기 차선 규제봉을 위한 선행기술은 여러 양태로 제시되고 있으나, 특히 솔라셀을 이용한 차선 규제봉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84777호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발광형 탄력봉은, 도로에 설치되는 차선 규제 탄력봉에 있어서, 원통 중공형의 봉 구조로 이루어지고,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빛 반사판을 장착하며, 하단에는 직경이 확대된 돌출 단턱을 장착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 단턱이 걸리는 걸림턱을 중앙 관통공의 테두리에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를 직립으로 유지시키고,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의 앵커볼트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LED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LED 소자가 상기 몸체부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조명부를 포함하여 몸체부의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발광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 내장되어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전지 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셀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야간에 상기 조명부를 발광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몸체부와 베이스(받침대)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몸체부 하단의 단턱을 베이스부 내측 환테에 끼운 상태에서 앵커볼트로 상기 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설치하여 제시하고 있으므로 풍압이나 외부충격(차량의 바퀴)이 상기 몸체부 및 베이스부에 인가될 경우 상기 몸체부의 단턱이 베이스부 내측 환테에 걸려진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몸체부의 유동에 의하여 조명부의 흔들림을 유발시켜 시인성이 약화 되고, 특히 베이스 내부의 제어회로 및 솔라셀이 기능저하 및 고장 발생 시 몸체부를 베이스부로 부터 탈리 시켜야 할 경우 앵커볼트를 풀어야 하므로 그 분리작업 시 별도의 공구에 의하여 해결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복잡한 해체작업을 유발하게 되고, 상기 앵커볼트를 푼 다음 다시 체결하게 되면 앵커볼트의 체결력이 크게 약화되어 베이스부의 고정력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그리고, 상기의 차선 규제봉은 차량이 지나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으나, 차량으로 부터 배출되는 매연이나 미세먼지에 대하여 흡착 및 포집하는 기능이 없어 대기오염을 줄이는데 전혀 일조하지 않고 있어 대기환경보존에 대한 대책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84777호
본 발명은 풍압이나 외부충격이 몸체부에 인가하더라도 몸체부의 유동성을 배제시켜 조명부의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베이스부와를 나사 결합시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하되, 몸체부의 나사부가 풍압이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유지가 가능하게 하도록 함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베이스부를 분리하여 베이스부를 통하여 도로표지병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되, 상기 몸체부의 하방이 끼워지는 요입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월하게 배출시켜 요입부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발산부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조명 발산부의 형태를 변경시켜 제공하게 함으로서 시인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 하방에 매연 포집부를 형성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포집하거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대기환경보존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솔라 셀과 제어회로부 및 충전지를 포함한 제어회로 박스가 설치되는 베이스부의 본체에 합성수지 탄력봉으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를 앵커볼트로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본체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와; 상기 끼움 요입부에 끼워 스프링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과;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 상부면에 밀착시켜 결합하는 몸체부; 및 베이스부 바닥부 하측 요입부에 설치하는 매연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풍압이나 외부충격이 몸체부에 인가하더라도 몸체부의 유동성을 배제시켜 조명부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베이스부와를 나사 결합시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하되, 몸체부의 나사부가 풍압이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유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베이스부를 분리하여 베이스부를 통하여 도로표지병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되, 상기 몸체부의 하방이 끼워지는 요입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월하게 배출시켜 요입부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발산부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조명 발산부의 형태를 변경시켜 제공하게 함으로서 시인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 하방에 매연 포집부를 형성하여 주변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포집하거나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대기환경보존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점쇄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를 이탈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솔라 셀(10)과 제어회로부 및 충전지를 포함한 제어회로 박스(2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30)의 본체(31)에 합성수지 탄력봉으로 이루어지고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빛 반사판(40A)이 형성된 몸체부(40)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30)를 앵커볼트(50)로 지면(60)에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30)의 본체(31)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32)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33)와; 상기 끼움 요입부(33)에 끼워 탄성 스프링(70)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80)과;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 상부면에 밀착시켜 결합하는 몸체부(40); 및 베이스부(30)의 바닥부(34) 하측 요입부(34')에 설치하는 매연 포집부(9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베이스부(30)는 투명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돔형의 본체(31)의 하부 둘레면에 형성한 하부 걸림환테(31')와 바닥부(34)의 상부 둘레면에 형성한 걸림환테(34")를 면접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바닥부(34)의 하부 둘레에 형성한 끼움홈(34'")에 바닥판(30-1)의 끼움돌기(30-1')를 끼워 결합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30)의 바닥부(34) 상부에는 복수의 솔라 셀(10)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솔라 셀(10)에 의하여 충전된 전압은 제어회로 박스(20) 내부의 충전기에 충전되어 동작 스위치(SW)의 공급에 따라 복수의 엘이디(L)가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점멸되게 구성하며, 상기 엘이디(L)는 레드, 그린, 엘로우 등의 색상으로 점멸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L)는 조명 발산부(32)의 내측 하단에 배치 시킨 엘이디 끼움판(32')의 끼움홈(32")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발산부(32)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원통체(32A)와 상기 원통체(32A)의 상부에 조명 투명판(32B)를 나사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조명 투명판(32B)은 평탄한 형태 또는 원추형상으로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하여 결합 사용할 수 있으며, 조명 투명판(32B)의 높이를 높게 하여 몸체부(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도로 표지병으로 사용할 경우 엘이디(L)의 불빛이 외부로 더욱 발산하게 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거나, 상기와 같이 규제봉으로 사용할 경우 원추형상의 조명 투명판(32B)인 경우 엘이디(L) 불빛이 다양한 방향으로 조사되게 하여 몸체부(40) 외부로 더욱 확산된 불빛이 비추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부(30)의 본체(31)의 둘레면에는 제어회로 박스(20)와 접속된 별도의 보조 엘이디(L')를 설치하여 몸체부(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도로 표지병으로 사용할 경우 시인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0)의 하부 둘레면에는 나사부(41)를 형성하되, 하부 테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홈(42)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0)의 본체(31)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32)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33)의 외측벽면에 상기 몸체부(40)에 형성한 나사부(41)와 대응하는 나사부(33')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40)와 베이스(30)의 본체(31)를 나사결합 시키되, 상기 끼움 요입부(33)의 밀폐판(33A)에 복수개로 형성한 끼움홈(33A')에 끼워진 탄성 스프링(70)의 상부를 회동방지 원형판(80)에 형성한 끼움홈(81)에 끼워 설치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70)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80)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두고 복수의 돔형 끼움돌기(8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40)의 하부 끼움홈(42)과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의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회동방지 돌기(83)를 돌출 형성하여 베이스부(30)의 본체(31)에 형성한 세로방향의 안내홈(31A)에 끼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방지 원형판(80)의 끼움홈(81)에 탄성 스프링(70)을 끼운 상태에서 회동방지 원형판(80)의 회동방지 돌기(83)를 베이스부(30)의 본체(31)에 형성한 세로방향의 안내홈(31A)에 끼워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 스프링(70)의 하방이 끼움 요입부(33)의 밀폐판(33A)에 복수개로 형성한 끼움홈(33A')에 끼워지게 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부(40)의 나사부(41)와 끼움 요입부(33)의 나사부(33')를 나사 결합하게 하면 몸체부(40)의 테두리 하부면이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을 눌러 탄성 스프링(70)을 압축하면서 결합하게 되고, 상기 몸체부(40)의 끼움홈(42)이 회동방지 원형판(80)의 돔형 끼움돌기(82)와 결착 되게 되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탄성 스프링(7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을 상부로 밀게 되므로 상기 몸체부(40)의 끼움홈(42)이 회동방지 원형판(80)의 돔형 끼움돌기(82)와의 결착력을 더욱 증대시킴은 물론 몸체부(40)의 나사부(41)와 끼움 요입부(33)의 나사부(33') 각각의 나사산이 더욱 밀착되어 외부충격이나 풍압이 몸체부(40)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나사부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몸체부(40)의 회동을 억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장기간 도로에 방치되더라도 몸체부(40)가 풀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 발산부(32) 내측의 엘이디(L)의 불빛이 흔들려 시인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 회로나 솔라 셀(10)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몸체부(40)의 나사부(41)를 회전시켜 베이스부(30)의 본체(31)로 부터 몸체부(40)를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몸체부(40)를 약간 눌러 탄성 스프링(70을 압축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회동방지 원형판(80)의 돔형 끼움돌기(82)로 부터 몸체부(40)의 끼움홈(42)이 이탈되면서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어 어렵게 앵커볼트(50)를 풀지 않더라도 수월하게 몸체부(40)를 분리시켜 몸체부(40) 파손 시 수월하게 교체가능 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몸체부(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베이스부(30) 만으로 도로 표지병으로 사용 가능 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40)가 이탈된 상태인 경우에는 베이스부(30)의 끼움 요입부(33)에 빗물 등이 유입되어 탄성 스프링(70)을 훼손시킬 염려가 있거나 빗물이 채워져 재차 몸체부(40)를 결합할 경우 빗물을 퍼내어 배출하게 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러운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 요입부(33)와 본체(31)의 외부 둘레면에 앵커볼트(50)가 끼워지는 결합구멍(31B)을 가지는 평탄부(31B')의 내측 지지벽 위치에 드레인 구멍(33B)을 형성하되, 상기 평탄부(31B')에 유로홈(31B")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 요입부(33) 내부로 유입된 빗물 등을 드레인 구멍(33B) - 유로홈(31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스프링(70)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요입부(33)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30)의 바닥부(34) 둘레에 다수의 공기흡입구멍(34A)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매연가스나 미세먼지를 바닥부(34)의 하측 요입부(34')에 설치한 매연 포집부(90)에 흡착시켜 주변 공기를 정화 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매연 포집부(90)는 디젤 미립자 필터 또는 활성탄소 섬유 필터 또는 활성탄소 알맹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앵커볼트(50)는 본체(31)의 결합구멍(31B)과 바닥부(34) 및 바닥판(30-1) 각각에 뚫은 결합구멍(미 도시함)을 통하여 끼워 본체(31), 바닥부(34) 및 바닥판(30-1)이 결합 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솔라 셀 20 : 제어회로 박스
30 : 베이스부 30-1 : 바닥판
30-1' : 끼움돌기 31 : 본체
31' : 걸림환테 31A : 안내홈
31B : 결합구멍 31B' : 평탄부
31B" : 유로홈 32 : 조명 발산부
32' : 끼움판 32" : 끼움홈
32A : 원통체 32B : 조명 투명판
33 : 끼움 요입부 33' : 나사부
33A : 밀폐판 33A' : 끼움홈
33B : 드레인 구멍 34 : 바닥부
34' : 요입부 34" : 걸림환테
34A : 공기흡입구멍 34'" : 끼움홈
40 : 몸체부 41 : 나사부
40A : 빛 반사판 42 : 끼움홈
50 : 앵커볼트 60 : 지면
70 : 탄성 스프링 80 : 회동방지 원형판
81 : 끼움홈 82 : 돔형 끼움돌기
83 : 회동방지 돌기 90 : 매연 포집부
L : 엘이디 L' : 보조 엘이디
SW : 동작 스위치

Claims (7)

  1. 솔라 셀(10)과 제어회로부 및 충전지를 포함한 제어회로 박스(20)가 설치되는 베이스부(30)의 본체(31)에 합성수지 탄력봉으로 이루어지고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빛 반사판(40A)이 형성된 몸체부(40)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부(30)를 앵커볼트(50)로 지면(60)에 고정 시키며, 상기 베이스부(30)의 본체(31)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32)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33)와; 상기 끼움 요입부(33)에 끼워 탄성 스프링(70)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80)과;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 상부면에 밀착시켜 결합하는 몸체부(40); 및 베이스부(30)의 바닥부(34) 하측 요입부(34')에 설치하는 매연 포집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30)는 투명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돔형의 본체(31)의 하부 둘레면에 형성한 하부 걸림환테(31')와 바닥부(34)의 상부 둘레면에 형성한 걸림환테(34")를 면접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바닥부(34)의 하부 둘레에 형성한 끼움홈(34'")에 바닥판(30-1)의 끼움돌기(30-1')를 끼워 결합구성 하며, 하부 둘레면에 나사부(41)를 가지는 상기 몸체부(40)의 하부 테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끼움홈(42)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30)의 본체(31)의 상부 내측과 중앙에 돌출시킨 조명 발산부(32) 사이에 형성한 끼움 요입부(33)의 외측벽면에 상기 몸체부(40)에 형성한 나사부(41)와 대응하는 나사부(33')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40)와 베이스(30)의 본체(31)를 나사결합 시키되, 상기 끼움 요입부(33)의 밀폐판(33A)에 복수개로 형성한 끼움홈(33A')에 끼워진 탄성 스프링(70)의 상부를 회동방지 원형판(80)에 형성한 끼움홈(81)에 끼워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70)으로 탄설 시킨 회동방지 원형판(80)의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두고 복수의 돔형 끼움돌기(8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40)의 하부 끼움홈(42)과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동방지 원형판(80)의 외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회동방지 돌기(83)를 돌출 형성하여 베이스부(30)의 본체(31)에 형성한 세로방향의 안내홈(31A)에 끼워 설치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30)의 바닥부(34) 둘레에 다수의 공기흡입구멍(34A)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매연가스나 미세먼지를 바닥부(34)의 하측 요입부(34')에 설치한 디젤 미립자 필터 또는 활성탄소 섬유 필터 또는 활성탄소 알맹이로 이루어진 매연 포집부(90)에 흡착시켜 주변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20170005178A 2017-01-12 2017-01-12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189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78A KR101896030B1 (ko) 2017-01-12 2017-01-12 도로용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178A KR101896030B1 (ko) 2017-01-12 2017-01-12 도로용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21A KR20180083121A (ko) 2018-07-20
KR101896030B1 true KR101896030B1 (ko) 2018-09-06

Family

ID=6310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178A KR101896030B1 (ko) 2017-01-12 2017-01-12 도로용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45B1 (ko) * 2020-03-22 2021-07-12 정상훈 미세먼지 제거기능 및 도로면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용 분리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397B1 (ko) * 2018-10-20 2020-07-06 정숙희 차선규제봉, 주차방지봉 및 볼라드에서 자연바람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101427B1 (ko) * 2019-06-04 2020-04-16 김윤환 도로표지병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168269B1 (ko) * 2020-03-18 2020-10-21 이수철 다목적 시선 유도봉
CN112195840A (zh) * 2020-09-29 2021-01-08 北京鸿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节能环保的道路除尘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360091B (zh) * 2020-11-16 2022-07-01 嘉兴倍创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对车辆尾气进行处理的地面砖
CN113005952A (zh) * 2021-04-01 2021-06-22 张培振 一种高速公路安全多级缓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34A (ja) * 1998-08-27 2000-02-29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式道路標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4777A (ko) * 2010-01-18 2011-07-26 (주)넥손 발광형 탄력봉
KR20120068315A (ko) * 2010-12-17 2012-06-27 안종갑 착탈식 차선 규제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4234A (ja) * 1998-08-27 2000-02-29 Sekisui Jushi Co Ltd 自発光式道路標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45B1 (ko) * 2020-03-22 2021-07-12 정상훈 미세먼지 제거기능 및 도로면 관리 기능을 갖는 도로용 분리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21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30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US7905622B2 (en) Traffic safety cone incorporating a flashing light module
KR102007245B1 (ko)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US20080088477A1 (en) Omnidirectional universal mount hazard marker
US20060204328A1 (en) Directional highway buoy
US20100098488A1 (en) Solar Powered Road Marker Light
KR200451384Y1 (ko) 솔라타입 다기능 차선규제봉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EP0330392A1 (en) Illuminated marker or warning cone
US20210198854A1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Safety marker and Improved Housing Therefor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101654046B1 (ko) 차단봉
KR100966456B1 (ko) 도로 표지병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JPH0726526A (ja) ソーラ式安全ライト、このライトを備えたガードレール及びスタンション
KR100799585B1 (ko)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KR20130088915A (ko) 차선 규제봉
KR20050024814A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120063029A (ko) 시인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충전형 차선 분리대
KR101026560B1 (ko) 펜스 구조물
KR101249035B1 (ko) 가로등 지주
JP2002275839A (ja) 内部発光保安用表示具
KR200394498Y1 (ko) 석재 볼라드
KR10127527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