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170A -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170A
KR20100094170A KR1020090013479A KR20090013479A KR20100094170A KR 20100094170 A KR20100094170 A KR 20100094170A KR 1020090013479 A KR1020090013479 A KR 1020090013479A KR 20090013479 A KR20090013479 A KR 20090013479A KR 20100094170 A KR20100094170 A KR 2010009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nut
rod
nut ancho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674B1 (ko
Inventor
김경태
김주일
백은정
Original Assignee
김경태
김주일
백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김주일, 백은정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09001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674B1/ko
Priority to JP2009252550A priority patent/JP5377233B2/ja
Publication of KR2010009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운행중인 자동차가 규정된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지 보수가 간편한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판의 중심 하부로 고정볼트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형성된 규제봉과; 몸체의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삽입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앵커봉이 형성된 너트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너트앵커를 도로에 설치하여 차선 규제봉을 설치하기 때문에 차선 규제봉의 도로 부착강도가 우수하고, 초기 시공시에 충분한 부착강도가 발현되어 시공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차선규제봉, 너트앵커, 규제봉

Description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Traffic lane guide stuff with nut-anchor}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운행중인 자동차가 규정된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유지 보수가 간편한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차선 등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불법 유턴이나 인근 차선으로부터의 합류를 방지하는 교통 안전시설물이며,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횡단보도의 표시, 보도와 차도의 분리표시, 안전지대의 표시, 버스전용차선의 표시 등 각종 경계를 표시하거나 과속으로 인한 급커브 길에서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된다.
종래의 차선 규제봉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둘레 방향으로 체결공을 형성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 중앙에 수직으 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반사띠(13)가 부착된 규제봉(1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11)의 체결공에는 고정볼트(12)가 체결됨으로써 규제봉이 도로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12)를 체결하기 전에 도로에 구멍을 뚫고 에폭시를 충전한 후 고정볼트(12)를 체결함으로써 규제봉(10)이 도로에 설치되는데 에폭시 경화시간까지 충분한 강도발현 및 정착이 안되어 자동차 주행에 의한 진동과 바람에 의한 풍력에 의해 잦은 시공불량이 발생하고, 고정볼트의 매립깊이가 부족하여 외력에 의해 규제봉이 자주 파손되며, 파손된 규제봉을 재활용할 수 없고, 재시공하기 위해서는 도로에 또다른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너트앵커를 도로에 설치하여 차선 규제봉을 설치함으로써, 차선 규제봉의 도로 부착강도가 우수하고, 초기 시공시에 충분한 부착강도가 발현되어 시공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선 규제봉은 고정판의 중심 하부로 고정볼트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형성된 규제봉과; 몸체의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삽입구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에는 앵커봉이 형성된 너트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앵커의 몸체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스플린트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너트앵커의 앵커봉 외주면에는 소정개수의 돌기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는 링 형태이고, 상기 너트앵커의 하단부에는 쐐기 형태의 엔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너트앵커를 도로에 설치하여 차선 규제봉을 설치함으로써, 차선 규제봉의 도로 부착강도가 우수하고, 초기 시공시에 충분한 부착강도가 발현되어 시공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도로에 설치하는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규제봉(100)은 도로의 상부에 표시되는 규제봉(110)과, 도로에 매설되는 너트앵커(120)로 구성된다.
도로 상부에 표시되는 규제봉(1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상에 결합되는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상측 외주연에 소정 개수의 반사띠(112)가 부착된 규제봉(110)과, 상기 고정판(111) 하부 중심에 상기 규제봉(110)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볼트(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로에 매설되는 너트앵커(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중앙에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삽입구(122)가 형성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 하부에 형성된 앵커봉(12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너트앵커(120)는 도로에 매설된 후, 상기 규제봉(110) 하부에 형성된 고정볼트(112)가 너트앵커(120)의 볼트삽입구(122)에 볼트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앵커(120)의 몸체(121) 외주면에는 수직 방사상으로 소정개수의 스플린트(123)가 돌출형성되는 데,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매설될 때 상기 스플린트(123)에 의해 너트앵커(120)가 도로의 구멍에 억지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너트앵커(120)가 단단하게 도로에 매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21) 하부의 앵커봉(124) 외주면에는 링형태의 돌기(125)를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고, 앵커봉(124) 하단부에는 쐐기 형태의 엔드(12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앵커봉(124)의 돌기(125)와 엔드(126)는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매설될 때 매설 구멍의 에폭시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서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견고하게 매설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너트앵커(120)와 규제봉(110)을 도로에 매설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규제봉(100)을 도로에 설치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 규제봉(100)을 설치할 도로에 구멍을 뚫고, 도 5에서와 같이 구멍의 먼지를 제거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구멍의 내부에 접착제로서 에폭시를 충전하며,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너트앵커(120)를 도로의 구멍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압입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너트앵커(120)의 몸체(121)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스플린트(123)에 의해 너트앵커(120)가 도로의 구멍에 억지끼 움되며 압입됨으로써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견고하게 매설되는 것이다.
또한, 도로의 구멍에 액상의 에폭시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앵커(120)가 압입된 후 시간이 경과하여 에폭시가 경화되어 굳으면, 도 3의 너트앵커(120)의 앵커봉(124) 외주면에 형성된 링 형태의 돌기(125)와, 앵커봉(124)의 단부에 형성된 쐐기 형태의 엔드(126)에 의하여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견고하게 매설된다.
상기와 같이 도로에 매설된 너트앵커(120)의 볼트삽입구(122)에 도 8과 같이 규제봉(110)의 고정볼트(112)를 볼트결합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도로에 차선규제봉(100)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규제봉(110)의 고정판(111)에 형성된 홈(114)을 이용하여 렌치 등의 공구로 규제봉(110)을 회전시켜 고정볼트(112)를 너트앵커(120)에 견고하게 볼트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100)은 도로 깊숙이 매설된 너트앵커(120)에 의해 규제봉(110)을 볼트 체결하면 되므로 시공과 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너트앵커(120)가 도로에 억지끼움되기 때문에 접착제인 에폭시가 굳기전에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규제봉(110)이 망실되더라도 새 규제봉(110)을 이미 도로에 매입되어 있는 너트앵커(120)에 볼트체결하는 것만으로도 보수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봉 설치에 전문시공업자가 필요 없이 누구나 보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 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선 규제봉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차선 규제봉을 도로에 설치하는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선규제봉
110 : 규제봉
111 : 고정판
112 : 고정볼트
113 : 반사띠
114 : 홈
120 : 너트앵커
121 : 몸체
122 : 볼트삽입구
123 : 스플린트
124 : 앵커봉
125 : 돌기
126 : 엔드

Claims (5)

  1. 고정판(111)의 중심 하부로 고정볼트(112)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111)의 상부에 형성된 규제봉(110)과;
    몸체(121)의 상부에 상기 고정볼트(112)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된 볼트삽입구(122)가 형성되고, 몸체(121)의 하부에는 앵커봉(124)이 형성된 너트앵커(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앵커(120)의 몸체(121)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스플린트(12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앵커(120)의 앵커봉(124) 외주면에는 소정개수의 돌기(125)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25)는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앵커(120)의 하단부에는 쐐기 형태의 엔드(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KR1020090013479A 2009-02-18 2009-02-18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KR101012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79A KR101012674B1 (ko) 2009-02-18 2009-02-18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JP2009252550A JP5377233B2 (ja) 2009-02-18 2009-11-04 道路施設物設置用ナットアンカー、その施工方法、および道路施設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479A KR101012674B1 (ko) 2009-02-18 2009-02-18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170A true KR20100094170A (ko) 2010-08-26
KR101012674B1 KR101012674B1 (ko) 2011-02-09

Family

ID=4275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479A KR101012674B1 (ko) 2009-02-18 2009-02-18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219B1 (ko) * 2022-11-17 2023-01-18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403B1 (ko) * 2002-03-08 2004-06-0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복사조리기용 복사버너의 복사강도조절장치
KR200373118Y1 (ko) * 2004-10-15 2005-01-15 김창수 도로 표지병
KR20070001171U (ko) * 2007-10-19 2007-11-07 박준로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0879605B1 (ko) * 2008-07-22 2009-01-21 이종술 시선유도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219B1 (ko) * 2022-11-17 2023-01-18 포에이시스템 주식회사 아스팔트 도로용 고정형 탄력봉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674B1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827B1 (en) Barrier rail retrofit device assembly
US3335534A (en) Highway replaceable post
KR100938613B1 (ko) 전주의 기초구조물
KR101012674B1 (ko) 너트앵커를 이용한 차선 규제봉
KR20120068315A (ko) 착탈식 차선 규제봉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998680B1 (ko)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KR101938680B1 (ko) 설치수단을 갖는 도로표지병
JP5377233B2 (ja) 道路施設物設置用ナットアンカー、その施工方法、および道路施設物
KR101118106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너트앵커
GB1560288A (en) Road markers
KR20070001171U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101101840B1 (ko) 도로 표지병
KR20030090583A (ko) 도로 표지병
EP2354313B1 (en) Fixing system for posts for vertical traffic sign elements and the like
KR100809657B1 (ko) 차선규제 봉
KR200458707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
KR101631676B1 (ko) 조립식 지주구조물
JP6359927B2 (ja) 標識柱の設置構造
CN215329569U (zh) 一种嵌入式中央防撞护栏
KR20050034701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KR200373199Y1 (ko) 차선규제봉
KR200378929Y1 (ko) 도로용 경계 지시구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