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922B1 -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922B1
KR102605922B1 KR1020230091619A KR20230091619A KR102605922B1 KR 102605922 B1 KR102605922 B1 KR 102605922B1 KR 1020230091619 A KR1020230091619 A KR 1020230091619A KR 20230091619 A KR20230091619 A KR 20230091619A KR 102605922 B1 KR102605922 B1 KR 10260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face
safety bar
anchoring
outer diameter
fla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9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길게 형성되는 시선 유도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시선 유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상기 노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 및 플랜지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외경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앵커링부들을 포함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가 노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 아래쪽에 삽입된 앵커링부들을 확장시켜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되게 하는 외경 확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Line guide rod with improved road surface bonding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본 발명은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및 고무 재료 기반의 시선유도봉의 문제점, 즉 시공 후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 도로와 인도에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플라스틱 및 고무 등 고분자 재료 기반의 다양한 안전 시설물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시설물로는 도로의 중앙선과 도로의 경계를 표시하여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와 불법 U턴 등을 방지하고, 교통 안전지대에 차량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시선 유도봉과 보행자의 무단 횡단 방지를 사전에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무단 횡단 금지 펜스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2가지의 도로 안전 시설물은 주로 차량 충돌 시 차량에 파손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고분자 기반의 연질 재료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각 시설물의 상부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 향상과 위험 구간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 전조등의 빛을 재귀 반사시켜 주는 반사지가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이러한 안전 시설물들은 시공 후 도로면과 부착 성능이 떨어져서 짧은 시간에 이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들은 주로 도로상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천공한 후 마찰형 앵커볼트를 활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설치 후 차량의 충돌 및 바람 등에 의한 볼트 주변의 응력 집중 및 유동에 의해서 볼트가 쉽게 이탈되는 현상으로 쉽게 쓰러지거나 파손되는 일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뽑힌 볼트가 도로 상에 노출되어 차량에 의해 튕겨서 인근 주행 차량 및 보행자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으로 시공 후 짧은 내구연한으로 교체하게 되어 도로를 관리하는 관계부처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고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 시설물의 이탈 현상은 크게 차량에 의한 충돌, 인근 자동차의 고속 주행에 따른 풍압, 도로 인근의 강설, 강우 등 외기 환경에 의한 영향 등 다양한 형태의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기존 앵커 볼트 삽입 형태보다 도로면과의 강한 결합을 위한 도로용 접착제를 활용하여 시선 유도봉을 도로에 고정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지만 도로포장재와의 낮은 부착성으로 인하여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로는 재질에 상관없이 균열 및 열화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다수의 공극 및 유로가 존재하며 유로를 통해서 물이 흐를 수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공극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각종 도로 시설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도로를 천공하여 시공하는 경우 이러한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공극 내부의 물은 결국 마찰형 앵커볼트 지지를 위해 천공한 천공홀로 모여 지고 앵커볼트의 부식 및 마찰력 감소를 초래하여 앵커볼트의 지지를 위해 설치된 볼트 및 접착제로 지지하는 시설물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겨울철 제설 작업으로 인한 염화 칼슘이 포함된 물은 앵커볼트 및 접착제와 접촉 시 재질 물성 저하와 녹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584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제품의 구조 개선 을 통해 도로와의 결합력 개선 및 이에 따른 내구연한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는,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길게 형성되는 시선 유도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시선 유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상기 노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 및 플랜지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외경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앵커링부들을 포함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가 노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 아래쪽에 삽입된 앵커링부들을 확장시켜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되게 하는 외경 확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경 확장 수단은, 외주면이 상기 안전바의 앵커링부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앵커링부의 관통공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외경을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너트; 및 상기 각 앵커링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확장너트의 나사홈에 결합되어서 그 나사홈과의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확장너트를 앵커링부의 관통공 측으로 인입시켜 앵커링부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확장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너트는, 상기 앵커링부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의 외경 확장이 가능하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외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확장볼트를 수용시켜 그 확장볼트가 플랜지부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설치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설치홈부와 확장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바의 시선 유도부는 다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시선 유도부의 다각 구조의 외주면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격자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리브들의 교차 부위에 상대적으로 움푹 패인 교차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노면 걸림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는, 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른 부분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단차홈들을 포함하되, 상기 각 단차홈은 상기 노면 걸림리브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시공 방법은, 시선유도봉과 같은 도로 안전 시설 기구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길게 형성되는 시선 유도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시선 유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상기 노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노면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외경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앵커링부들을 포함하는 안전바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안전바에 외경 확장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시선 유도봉을 제작하여 준비하는 기구 준비 단계; 상기 플랜지부의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그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시킨 이후, 상기 안착홈의 상기 앵커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착홈보다 더 깊게 충진홈을 형성시키고, 그 충진홈에 도로용 접착제를 충진시키는 노면 작업 단계; 상기 노면에 상기 안전바를 설치하되, 상기 노면의 안착홈에 플랜지부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도로용 접착제가 충진되어 있는 노면의 충진홈에 상기 각 앵커링부를 삽입되게 하는 기구 설치 단계; 및 상기 기구 설치 단계 이후 상기 앵커링부의 외경을 확장시켜서 상기 앵커링부와 노면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외경 확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경 확장 단계는,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확장볼트의 헤드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확장볼트의 스크류부에 나사결합된 확장너트가 상기 플랜지부의 관통공을 따라 상승되어서 그 플랜지부의 외경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은, 노면에 충진홈들을 형성하여 두고 각 충진홈에 도로용 접착제를 충진시킨 다음 안전바의 각 앵커링부를 충진홈에 삽입시킨 이후, 외경 확장 수단에 의해 앵커링부의 외경을 확장시켜 안전바와 노면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로 안전 시설물 시공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마찰형 앵커 볼트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 볼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앵커볼트 탈거, 부식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더하여 안전바의 앵커링부 외경 확장에 따라 상기 충진홈을 한정하는 경계면에 대한 앵커링부의 쐐기 결합을 가능함은 물론, 충진홈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가 앵커링부와 계면 접촉되는 경계면에 집중되게 하여, 안전바와 노면 간의 결합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국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 또는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교체 등에 의한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최초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과 같은 설치상태 이후 확장볼트를 회전시켜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앵커링부가 경계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최종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해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최초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과 같은 설치상태 이후 확장볼트를 회전시켜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앵커링부가 경계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최종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은,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A)에 설치되는 것으로, 안전바(1)와 외경 확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바(1)는 다양한 재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성형 용이성 등의 이유로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전바(1)는 도로에 경계 형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노면(A)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길게 형성되는 시선 유도부(11)와, 노면(A)과의 결합을 위해 그 노면(A)에 안착되는 플랜지부(12)와, 상기 노면(A) 아래쪽으로 파고들어 앙카볼트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앵커링부(1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선 유도부(11)는 시야를 환기시킬 수 있는 반사지가 결합되거나 방향과 같은 주행정보나 보행정보 등이 표시되어 있는 부분에 해당하고, 상기 플랜지부(12)는 상기 시선 유도부(11)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시선 유도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노면(A)에 접촉된다.
상기 앵커링부(13)는 상기 시선 유도부(11) 및 플랜지부(1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노면(A)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12)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특히, 본 발명에 채용된 앵커링부(13)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변형에 의한 외경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슬릿(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시공 과정에서 상기 외경 확장 수단에 의해 외경이 확장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외경 확장 수단은,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1)가 노면(A)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A) 아래쪽에 삽입된 앵커링부(13)들을 확장시켜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되게 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앵커링부(13)의 내측 관통공에 기구를 삽입한 후 그 기구를 이용하여 앵커링부(13)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것과 같이,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은, 노면(A)에 충진홈(도 8 참조, A2)들을 형성하여 두고 각 충진홈(A2)에 도로용 접착제(C)를 충진시킨 다음 안전바(1)의 각 앵커링부(13)를 충진홈(A2)에 삽입시킨 이후, 외경 확장 수단에 의해 앵커링부(13)의 외경을 확장시켜 안전바(1)와 노면(A)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로 안전 시설물 시공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마찰형 앵커 볼트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 볼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앵커볼트 탈거, 부식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더하여 안전바(1)의 앵커링부(13) 외경 확장에 따라 상기 충진홈(A2)을 한정하는 경계면에 대한 앵커링부(13)의 쐐기 결합을 가능함은 물론, 충진홈(A2)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C)가 앵커링부(13)와 계면 접촉되는 경계면에 집중되게 하여, 안전바(1)와 노면(A) 간의 결합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결국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 또는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교체 등에 의한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외경 확장 수단은 확장너트(2)와 확장볼트(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확장너트(2)는, 외주면이 상기 안전바(1)의 앵커링부(13)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외주면의 일부분이라도 앵커링부(13)의 내경보다는 큰 외경을 가지는 것과 같이, 상기 앵커링부(13)의 관통공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13)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외경을 가진다.
상기 확장볼트(3)는, 상기 각 앵커링부(13)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확장너트(2)의 나사홈(21)에 결합되는 스크류부(31)와, 상기 스크류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바(1)의 플랜지부(12)에 걸리는 헤드부(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볼트(3)의 스크류부(31)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너트(2)의 나사홈(21)에 결합되어서 그 나사홈(21)과의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확장너트(2)를 앵커링부(13)의 관통공 측으로 인입시켜 앵커링부(13)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공지의 볼트와 너트가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A)에 설치되는 안전바(1)의 앵커링부(13)에 유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품 구성의 간소화 및 설계의 용이함의 이유로 제조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앵커링부(13)의 외경 확장에 따른 노면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확장너트(2)는, 상기 앵커링부(13)의 관통공 측에 위치한 단부에서 앵커링부(13) 외부로 노출된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앵커링부(13)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13)의 외경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1)의 플랜지부(12)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설치홈부(121)를 포함하여서, 상기 확장볼트(3)가 상기 플랜지부(12)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설치홈부(121)에 수용되게 하여, 물건이나 신체 일부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이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확장볼트(3)와 안전바(1)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하고 확장볼트(3)의 회전력이 안전바(1)에 인가된 경우에 안전바(1)의 손상이 초래되지 않도록, 상기 설치홈부(121)와 확장볼트(3)의 헤드부(32)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안전바(1)의 시선 유도부(11)는 다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다각 구조의 외주면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서, 재귀 반사 기능을 강화하여 운전자에게 더욱 명확한 식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플랜지부(12)는, 단순히 노면(A)에 안착되는 기능을 발휘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실시예와 노면(A)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교체시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구조가 채택되었다.
즉, 도 3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바(1)의 플랜지부(12)의 하면에는 구획리브(122)들과 그 구획리브(122)들의 교차부위에 형성된 교차홈부(122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획리브(122)들은 상기 플랜지부(12)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격자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교차홈부(122a)는 상기 구획리브(122)들의 교차 부위에 상대적으로 움푹 패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구획리브(122)들 사이사이의 공간 및 교차홈부(122a)에 접착제(C)가 충진될 수 있게 하여 안전바(1)와 노면(A)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2)는,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노면(A) 걸림리브(123)들을 포함하여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안전바(1)를 노면(A)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노면(A) 걸림리브(123)가 상기 안착홈(A1)을 한정하는 노면(A) 가장자리에 걸리게 하여 설치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른 부분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단차홈(124)들을 포함하되, 상기 각 단차홈(124)은 상기 노면(A) 걸림리브(123)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서, 안전바(1)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단차홈(124)의 위치를 노면(A) 걸림리브(123)들에 의해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이와 같이 작업자가 단차홈(124) 위치를 쉽게 찾아낸 상태에서 그 단차홈(124)에 해체기구(S)를 삽입한 후(도 10 참조) 들어 올리는 동작을 통해 안전바(1)를 노면(A)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제품 교체에 따른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는 시선유도봉과 같은 도로 안전 시설 기구를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A)에 설치하기 위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구 준비 단계와 노면(A) 작업 단계와 기구 설치 단계와 외경 확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구 준비 단계에서는, 시선 유도부(11)와 플랜지부(12)와 앵커링부(13)들을 포함하는 안전바(1)를 사출 성형하고 상기 안전바(1)에 외경 확장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시선 유도봉을 제작하여 준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채택된 안전바(1)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노면(A) 작업 단계에서는, ① 먼저 상기 플랜지부(12)의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도 8의 (b)와 같이 노면(A)에 상기 플랜지부(12)에 대응되는 원 크기로 그 플랜지부(12)의 외면 중 일정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까지 안착홈(A1)을 형성시키고, ② 다음으로 도 8의 (c)와 같이 상기 안착홈(A1)의 상기 앵커링부(13)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A1)보다 더 깊게 충진홈(A2)을 형성시킨 후, ③ 도 8의 (d)와 같이 그 충진홈(A2)에 도로용 접착제(C)를 충진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충진홈(A2)은 드릴을 활용하여 노면을 천공시키는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7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이완 영역(D), 즉 충진홈(A2) 주변에 다소 밀도가 작아져 공극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후술할 외경 확장 단계에 의해 상기 앵커링부(13)의 외경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도로용 접착제(C)가 상기 이완 영역의 공극 측으로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본 실시예의 노면에 대한 결합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구 설치 단계에서는, 도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면(A)에 상기 안전바(1)를 설치하되, 상기 노면(A)의 안착홈(A1)에 플랜지부(12)를 위치시키면서 상기 도로용 접착제(C)가 충진되어 있는 노면(A)의 충진홈(A2)에 상기 각 앵커링부(13)를 삽입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외경 확장 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 설치 단계 이후 상기 앵커링부(13)의 외경을 확장시켜서 상기 앵커링부(13)와 노면(A)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면(A) 결합력이 향상된 도로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은 안전바(1)의 플랜지부(12)를 노면(A)의 안착홈(A1)에 안착시키고 앵커링부(13)들을 노면(A)의 충진홈(A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외경 확장 수단을 이용하여 앵커링부(13)의 외경을 확장시켜, 충진홈(A2)을 한정하는 경계면에 대한 앵커링부(13)의 쐐기 결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충진홈(A2)에 충진되어 있는 접착제(C)가 그 경계면에 집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선 유도봉 시공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마찰형 앵커 볼트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의 앵커 볼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앵커볼트 탈거, 부식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과,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분리 또는 파손되지 않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교체 등에 의한 사후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외경 확장 단계는, 상기 안전바(1)의 플랜지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확장볼트(3)의 헤드부(32)를 회전시켜서, 상기 확장볼트(3)의 스크류부(31)에 나사결합된 확장너트(2)가 상기 플랜지부(12)의 관통공을 따라 상승되어 그 플랜지부(12)의 외경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간소한 구성과 쉬운 작업방식 채택에 따라 제조원가 뿐만 아니라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 안전바 11:시선 유도부
12:플랜지부 121:설치홈부
122:구획리브 122a:교차홈부
123:걸림리브 124:단차홈
13:앵커링부 131:변형슬릿
2:확장너트 21:나사홈
3:확장볼트 31:스크류부
32:헤드부 4:와셔
A:노면 A1:안착홈
A2:충진홈 C:접착제
D:이완 영역 S:해제기구

Claims (12)

  1.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길게 형성되는 시선 유도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으로, 그 시선 유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바닥면이 상기 노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시선 유도부 및 플랜지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면 아래쪽으로 일정 깊이까지 파고 들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외경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변형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앵커링부들을 포함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가 노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면 아래쪽에 삽입된 앵커링부들을 확장시켜서 노면 결합력이 향상되게 하는 외경 확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는, 외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노면 걸림리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는, 하면 가장자리 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른 부분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단차홈들을 포함하되, 상기 각 단차홈은 상기 노면 걸림리브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들은, 노면 걸림리브들 사이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안전바의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에 위치의 식별이 가능하고, 상기 노면 걸림리브들에서 플랜지부 하면까지의 사이 구간이 인입되는 안착홈과, 그 노면 걸림리브들에서 플랜지부 하면까지의 사이 구간 간에 해체기구 삽입을 위한 삽입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 확장 수단은,
    외주면이 상기 안전바의 앵커링부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앵커링부의 관통공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외경을 가지며,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너트; 및
    상기 각 앵커링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확장너트의 나사홈에 결합되어서 그 나사홈과의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확장너트를 앵커링부의 관통공 측으로 인입시켜 앵커링부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에 걸리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확장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너트는, 상기 앵커링부 내주면으로 인입되는 정도에 따라 그 앵커링부의 외경 확장이 가능하도록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확장볼트를 수용시켜 그 확장볼트가 플랜지부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설치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부와 확장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시선 유도부는 다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유도부의 다각 구조의 외주면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플랜지부의 하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격자공간을 형성시키는 구획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획리브들의 교차 부위에 상대적으로 움푹 패인 교차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30091619A 2023-07-14 2023-07-14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0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619A KR102605922B1 (ko) 2023-07-14 2023-07-14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619A KR102605922B1 (ko) 2023-07-14 2023-07-14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922B1 true KR102605922B1 (ko) 2023-11-29

Family

ID=8896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619A KR102605922B1 (ko) 2023-07-14 2023-07-14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920B1 (ko) * 2023-11-30 2024-04-02 제일종합안전(주) 파손 방지 및 복원력을 갖는 시선 유도봉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58A (ko) * 1995-06-28 1997-01-28 배순훈 요금 정산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2000144655A (ja) * 1998-11-12 2000-05-26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
KR20040069040A (ko) * 2003-01-28 2004-08-04 안준규 제설작업이 가능한 로드스터드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99655A (ko) * 2005-03-14 2006-09-20 김동환 도로표지시설물
KR200485787Y1 (ko) * 2017-03-23 2018-02-22 임현배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안내봉
KR20180057179A (ko) * 2016-11-22 2018-05-30 최재원 도로용 시선 유도봉
KR101873708B1 (ko) * 2018-02-01 2018-07-02 강준우 도로용 시선유도봉 어셈블리
KR102007245B1 (ko) * 2019-01-10 2019-10-21 (주)엠파이브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2034567B1 (ko) * 2019-02-21 2019-10-21 유재현 시선유도봉
KR102058449B1 (ko) 2018-02-07 2019-12-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보조수단을 구비하는 수륙양용 보트
KR102250801B1 (ko) * 2020-05-18 2021-05-11 구본삼 개선된 기능의 부착식 무단횡단 금지 휀스
KR20230011003A (ko) * 2021-07-13 2023-01-20 주식회사 거원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102508000B1 (ko) * 2022-06-16 2023-03-09 주식회사 금보산업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58A (ko) * 1995-06-28 1997-01-28 배순훈 요금 정산 기능을 가지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2000144655A (ja) * 1998-11-12 2000-05-26 Nippon Mektron Ltd 道路標識
KR20040069040A (ko) * 2003-01-28 2004-08-04 안준규 제설작업이 가능한 로드스터드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99655A (ko) * 2005-03-14 2006-09-20 김동환 도로표지시설물
KR20180057179A (ko) * 2016-11-22 2018-05-30 최재원 도로용 시선 유도봉
KR200485787Y1 (ko) * 2017-03-23 2018-02-22 임현배 유지보수가 용이한 차선 안내봉
KR101873708B1 (ko) * 2018-02-01 2018-07-02 강준우 도로용 시선유도봉 어셈블리
KR102058449B1 (ko) 2018-02-07 2019-12-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보조수단을 구비하는 수륙양용 보트
KR102007245B1 (ko) * 2019-01-10 2019-10-21 (주)엠파이브 제거가 용이한 태양광 도로표지병
KR102034567B1 (ko) * 2019-02-21 2019-10-21 유재현 시선유도봉
KR102250801B1 (ko) * 2020-05-18 2021-05-11 구본삼 개선된 기능의 부착식 무단횡단 금지 휀스
KR20230011003A (ko) * 2021-07-13 2023-01-20 주식회사 거원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102508000B1 (ko) * 2022-06-16 2023-03-09 주식회사 금보산업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920B1 (ko) * 2023-11-30 2024-04-02 제일종합안전(주) 파손 방지 및 복원력을 갖는 시선 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US3628296A (en) Breakaway sign support
KR100736862B1 (ko)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0908331B1 (ko)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US5066163A (en) Resilient sign and guidepost
US6113307A (en) Highway delineator
KR102346690B1 (ko)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WO2005111311A2 (en) Removable delineator post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KR100938613B1 (ko) 전주의 기초구조물
KR102102118B1 (ko) 지주 분리형 차선분리대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EP1741832A1 (en) Traffic-safe pillar
JP5071731B2 (ja) 構造物の表面改良工法,構造物用表面改良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63410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KR100758547B1 (ko) 도로시설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20240069103A (ko) 노면 결합력과 내구성이 향상된 도로 안전 시설 기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557104B1 (ko)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KR100998680B1 (ko)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JP3914376B2 (ja) 道路鋲
KR101012267B1 (ko) 파손이 방지되는 차선규제봉 및 차선규제봉 시공방법
KR102611725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KR101253593B1 (ko) 경계석
JP5210255B2 (ja) 柱状体用の固定具及び柱状体用の固定具を埋設するための埋設孔の形成方法
KR20050034701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