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690B1 -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 Google Patents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690B1
KR102346690B1 KR1020210029888A KR20210029888A KR102346690B1 KR 102346690 B1 KR102346690 B1 KR 102346690B1 KR 1020210029888 A KR1020210029888 A KR 1020210029888A KR 20210029888 A KR20210029888 A KR 20210029888A KR 102346690 B1 KR102346690 B1 KR 10234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base support
gaze guide
gaz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유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현 filed Critical 유재현
Priority to KR1020210029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차량 충돌시에도 결합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 설치되며,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접합용 몰탈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기초받침대(110); 기초받침대(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기초받침대의 몸체가 타이어에 눌리지 않는 재료이고,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충돌시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을 가진 시선 유도봉(120); 및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시선 유도봉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풀어서 시선 유도봉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캡(130);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시선유도봉의 고정장치를 앵커볼트에서 원통형 합성수지 제품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채용하므로 앵커볼트의 부식, 이탈 등으로 시선유도봉의 전도 등을 방지하여 도로미관을 쾌적하게 유지하며, 시선 유도봉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Anchor less tubular mark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시선유도봉의 고정장치를 앵커볼트에서 원통형 합성수지 제품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채용하므로 앵커볼트의 부식, 이탈 등으로 시선유도봉의 전도 등을 방지하여 도로미관을 쾌적하게 유지하며, 시선 유도봉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시선 유도봉(tubular marker) 혹은 차선 규제봉은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되는 장소에 동일 및 반대 방향 교통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위험구간을 예고하는 목적으로 시선을 유도하는 시설물이다.
상기 시선 유도봉의 설치 규정은 속도가 70km 이상인 도로의 경우 높이 75cm, 시속 60km 이하인 도로의 경우 45cm 정도로 설치한다. 또 시선 유도봉의 몸체는 타이어에 눌리지 않는 재료 및 구조로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야 한다. 또한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충돌시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시선 유도봉은 중앙 분리대의 분리대 및 안전지대 내에 도로 힁단 상으로 차도 밖의 측대 폭만큼 차선과 이격해 설치하며, 차량의 주행속도 및 설치 목적에 따라 2m~10m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시선 유도봉의 가장 큰 장점은 사고 발생 예방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중앙선 침범 방지, 불법 유턴 및 주정차 방지 등에 효과적이어서 사고 발생율을 줄여주고 야간에 운전을 할 때 많은 도움을 준다. 시선 유도봉에 있는 야광물질이 자동차 전조등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차선 구분 및 위험구간을 예고해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시선 유도봉의 재질이 부드럽게 휘는 것을 악용해 일부 운전자들이 시선 유도봉을 주차면 확보와 불법 유턴을 위해 시선유도봉을 고의로 밀고 깔아 뭉개면서 시설물을 훼손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시선 유도봉이 파손되면서 떨어져 나온 부품과 유도봉이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도시의 미관을 해치기도 한다.
상기한 종래 시선 유도봉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일반적으로 시선 유도봉은 상기와 같이 도로, 터널 등 운전자의 주의력을 요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운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의 시선유도봉은 대개 앵커볼트에 의해 노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기존 앵커볼트는 고정시 지속적인 차량 운행으로 인한 도로면 진동이 앵커 설치부분을 느슨하게 하고 설상가상으로 앵커볼트 설치용 구멍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앵커볼트가 이탈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도1)
특히 상기와 같이 이탈된 앵커볼트는 2차사고를 발생(타이어 및 차량파손과 앵커볼트의 튀겨나감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시키는 주 요인으로 지적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원통형의 시선 유도봉이 도로 상면에 설치되어 차량과 충돌시 결합력이 약화되어 시선유도봉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구조적 결합에 의해 시선유도봉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지자체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9396호(2013. 05. 2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39375호(2020. 07. 2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214487호(2021. 02. 03)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에 기초받침대와 시선 유도봉 그리고 캡 및 보강링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모든 부품을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 금속부품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종래와 같이 앵커볼트 이탈시 발생하는 2차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해소함으로서 국민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원통형의 기초받침대가 도로면에 매립되어 시선유도봉 몸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차량과 충돌시 결합력이 향상됨으로 차량충돌시 시선유도봉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차량의 접촉에 의한 전단응력 발생시 응력을 고르게 분산함으로서 시선유도봉 몸체의 꺾임 및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시선유도봉의 내구성 향상을 통해 지자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시선유도봉 몸체를 별도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도로면에 고정할 수 있는 매립형 시선유도봉 개발로 앵커볼트로 이탈로 인한 시선유도봉 전도로 기능상실 및 2차사고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도로에 매립되어 시선유도봉 몸체를 고정시키는 기초받침대 역할을 하고, 외부로부터 인발하중 발생 시 시선유도봉이 이탈 또는 전도되지 않도록 하고, 천공된 도로에 매립 되어 이탈방지를 위한 도로면과 지지력 강화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로면과의 고정을 위한 접합용 몰탈(예: 초속결 시멘트 or 우레탄폼 등)투입시 기초받침대 측면에 골고루 접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10목적은 매립형 설치공법으로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쾌적한 도로환경과 도시미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2목적은 이로 인해 시선 유도봉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에 관한 것으로, 차량 충돌시에도 결합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 설치되며,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접합용 몰탈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기초받침대; 기초받침대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기초받침대의 몸체가 타이어에 눌리지 않는 재료이고,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충돌시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을 가진 시선 유도봉; 및 기초받침대와 시선 유도봉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시선 유도봉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풀어서 시선 유도봉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캡;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에 기초받침대와 시선 유도봉 그리고 캡 및 보강링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부품을 리싸이클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함으로 제조원가를 낮추고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만들어 정부의 정책에 적극 호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앵커볼트 이탈시 발생하는 2차 안전사고 발생요인을 해소함으로서 국민안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기초받침대가 도로면에 매립되어 시선유도봉 몸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차량과 충돌시 결합력이 향상됨으로 시선유도봉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의 타이어로 인한 전단응력 발생시 응력을 고르게 분산함으로서 시선유도봉 몸체의 꺾임 및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선유도봉의 내구성 향상을 통해 지자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선유도봉 몸체를 별도의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도로면에 고정할 수 있는 매립형 시선유도봉 개발로 앵커볼트로 이탈로 인한 시선유도봉 전도로 기능상실 및 2차사고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로에 매립되어 시선유도봉 몸체를 고정시키는 기초받침대 역할을 하고, 외부로부터 인발하중 발생 시 시선유도봉이 이탈 또는 전도되지 않도록 하고, 천공된 도로에 매립 되어 이탈방지를 위한 도로면과 지지력 강화 위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도로면과의 고정을 위한 접합용 몰탈(예: 초속결 시멘트 or 우레탄폼 등)투입시 기초받침대 측면에 골고루 접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매립형 설치공법으로 차량의 충돌 및 차량의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진동에 의해 앵커볼트가 분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쾌적한 도로환경과 도시미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시선 유도봉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제품 사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요부 확대 단
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
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다른 실시예 결합상태
사시도.
도 8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다른 실시예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은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에도 결합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 설치되며,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접합용 몰탈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기초받침대(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기초받침대의 몸체가 타이어에 눌리지 않는 재료이고,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충돌시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을 가진 시선 유도봉(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시선 유도봉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풀어서 시선 유도봉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캡(130)이 구비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캡(130)의 내주면과 시선 유도봉(120)의 외주면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여 시선 유도봉을 보호하는 보강링(14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6)
그리고 상기 캡(130)의 내주면에는 보강링(140)을 안착시키는 받침턱(135)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5)
또한 본 발명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외주면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채움부(115)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보강리브(116)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강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몰탈 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한 복수개의 채움부(11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수직보강리브(116)에는 채움부(115)를 상하로 구획하면서 기초받침대(110)가 상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의 홈이 형성되게 복수개의 수평보강리브(117)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6)
또한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몰탈 또는 흙이 채워져 기초받침대의 회전 및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홈(1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6)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112)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111)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선 유도봉(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끼움홈(112)을 통과되도록 락킹편(122)이 형성되고, 걸림편(111)의 저면에 걸려려 시선 유도봉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121)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110)와 캡(130)을 상호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1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나사부(113)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되도록 캡(13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32)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캡(130)의 외주면에는 도구를 가지고 캡(130)을 기초받침대(110)에서 풀고 조일 때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지리브(1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분해 사시도로,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 및 캡(13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결합상태 사시도로,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 및 캡(130)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사용상태 단면도로,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 및 캡(130)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5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 상기 도5(a)는 걸림턱(121)이 걸림편(111)에 걸려지기 전 상태도이고, 도5(b)는 걸림턱(121)이 걸핌편(111)의 하단에 걸려져서 시선 유도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상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지면에 일정 깊이로 구멍을 뚫고 그 안에 기초받침대(11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구멍과 기초받침대(110)의 사이에는 기초받침대(110)를 도로면과의 고정을 위해 몰탈(예: 초속결 시멘트 또는 우레탄 폼 등)을 골고루 투입하여 기초받침대(110)를 구멍에서 견고히 고정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기초받침대(110)에는 수평보강리브(117)에 의해 채움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몰탈이 채움부(115)에 채워지게 되면 더욱더 견고하게 기초받침대(110)를 구멍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초받침대(110)가 지면의 구멍에 고정 설치되면 기초받침대(110)의 내주면에 시선 유도봉(120)을 삽입한다.(도5a)
이때 시선 유도봉(120)의 하단에 형성된 락킹편(122)의 위치를 끼움홈(112)에 일치시킨 후 하단으로 내린다. 이후 상기 시선 유도봉(120)을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시선 유도봉(120)의 걸림턱(121)이 기초받침대(110)의 걸림편(111) 저면에 걸려지게 된다.(도5b)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시선 유도봉(120)의 걸림턱(121)이 기초받침대(110)의 걸림편(111) 저면에 걸려지게 되면 시선 유도봉(1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시선 유도봉(120)을 빼낼 경우에는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하게 되면 간단히 시선 유도봉(120)을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초받침대(110)에 시선 유도봉(120)이 체결되면 이후 캡(130)을 시선 유도봉(120)의 상부를 통해 아래로 하강시켜 기초받침대(110)와 상호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캡(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32)는 기초받침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3)에 체결되어 시선 유도봉(120)을 수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특히 상기 캡(1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리브(131)는 캡(130)을 미끄럼 없이 원활히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도구를 지지리브(131)에 끼워 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없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로,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 및 캡(13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다른 실시예 결합상태 사시도로,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 및 캡(130)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의 다른 실시예 요부 확대 단면도로, 상기 도8(a)는 걸림턱(121)이 걸림편(111)에 걸려지기 전 상태도이고, 도8(b)는 걸림턱(121)이 걸핌편(111)의 하단에 걸려져서 시선 유도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상태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 중에서 전술한 기술과 유사한 부분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내용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기초받침대(110)에는 수평보강리브(117)가 구비된다.
즉, 각 수직보강리브(116)에 수평으로 복수개의 수평보강리브(117)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보강리브(117)는 채움부(115)를 상하로 구획하면서 기초받침대(110)가 상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홈(114)이 형성된 것으로, 이 요홈에 몰탈 또는 흙이 채워지면 기초받침대의 회전 및 이탈됨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캡(130)의 내주면과 시선 유도봉(120)의 외주면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여 시선 유도봉을 보호하는 보강링(140)이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캡(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보강링(140)을 안착시키는 받침턱(135)이 구비되어 보강링을 안전하게 받쳐줌과 아울러 외부로 쉽게 이탈됨을 방지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선 유도봉의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시선 유도봉이 훼손될 경우 기초받침대와 캡은 그대로 둔체로 시선 유도봉 만을 교체하므로 교체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기존제품 대비 내구성이 1년 미만에서 2년 이상 향상되어 수요처의 예산절감 및 시선유도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사고 예방효과가 우수하고, 쾌적한 도로환경과 도시미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110: 기초받침대
120: 시선 유도봉
130: 캡
140: 보강링

Claims (5)

  1. 앵커 없이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 및 도로훼손 방지 그리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하고, 시선유도봉의 고정장치를 앵커볼트에서 원통형 합성수지 제품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채용하므로 앵커볼트의 부식, 이탈로부터 시선유도봉의 전도를 방지하여 도로미관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100)에 관한 것으로,
    차량 충돌시에도 결합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 고정 설치되며, 지면과의 고정을 위해 접합용 몰탈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기초받침대(110); 기초받침대(11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며, 기초받침대의 몸체가 타이어에 눌리지 않는 재료이고, 상온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충돌시 차량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을 가진 시선 유도봉(120); 및 기초받침대(110)와 시선 유도봉(12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며, 평상시에는 시선 유도봉을 견고히 고정시키고, 유지 보수시에 풀어서 시선 유도봉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캡(130);이 포함되되,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외주면에는 기초받침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채움부(115)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보강리브(116); 및 보강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몰탈 또는 흙이 채워지도록 한 복수개의 채움부(115);가 포함되되,
    상기 각 수직보강리브(116)에는 채움부(115)를 상하로 구획하면서 기초받침대(110)가 상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의 홈이 형성되게 복수개의 수평보강리브(117)가 구비되고,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112)에 의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111); 및 시선 유도봉(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끼움홈(112)을 통과되도록 락킹편(122)이 형성되고, 걸림편(111)의 저면에 걸려려 시선 유도봉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걸림턱(121)이 포함되고,
    상기 기초받침대(110)와 캡(130)을 상호 선택적으로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초받침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13); 및 암나사부(113)에 선택적으로 나사 체결되도록 캡(13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숫나사부(132);가 포함되고, 상기 캡(130)의 내주면과 시선 유도봉(120)의 외주면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여 시선 유도봉을 보호하는 보강링(140)이 구비되고, 상기 캡(130)의 내주면에는 보강링(140)을 안착시키는 받침턱(135)이 구비되고, 상기 기초받침대(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몰탈 또는 흙이 채워져 기초받침대의 회전 및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요홈(1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캡(130)의 외주면에는,
    도구를 가지고 캡(130)을 기초받침대(110)에서 풀고 조일 때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지지리브(131);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KR1020210029888A 2021-03-08 2021-03-08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KR10234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88A KR102346690B1 (ko) 2021-03-08 2021-03-08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88A KR102346690B1 (ko) 2021-03-08 2021-03-08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690B1 true KR102346690B1 (ko) 2022-01-03

Family

ID=7934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88A KR102346690B1 (ko) 2021-03-08 2021-03-08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6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538B1 (ko) * 2021-12-30 2022-05-06 주식회사 에스제이프로텍 차선규제봉
KR20230125983A (ko) * 2022-02-22 2023-08-29 서상원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KR102626232B1 (ko) * 2023-04-27 2024-01-17 주식회사 디울 도로 안전봉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봉 시공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13Y1 (ko) * 2003-02-11 2003-05-16 송영란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200330045Y1 (ko) * 2003-07-18 2003-10-11 홍종일 차선표지장치
KR101043438B1 (ko) * 2009-08-07 2011-06-22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1269396B1 (ko) 2012-09-27 2013-05-29 동우산업 주식회사 교체형 시선유도봉
KR20140005151U (ko) * 2013-03-21 2014-10-01 박근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20200017103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차선 규제봉
KR102139375B1 (ko) 2019-06-19 2020-07-29 고권하 시선유도봉
KR102214487B1 (ko) 2018-09-21 2021-02-09 한국도로공사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13Y1 (ko) * 2003-02-11 2003-05-16 송영란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200330045Y1 (ko) * 2003-07-18 2003-10-11 홍종일 차선표지장치
KR101043438B1 (ko) * 2009-08-07 2011-06-22 신도산업 주식회사 분리형 차선 규제봉 어셈블리
KR101269396B1 (ko) 2012-09-27 2013-05-29 동우산업 주식회사 교체형 시선유도봉
KR20140005151U (ko) * 2013-03-21 2014-10-01 박근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KR20200017103A (ko) * 2018-08-08 2020-02-18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차선 규제봉
KR102214487B1 (ko) 2018-09-21 2021-02-09 한국도로공사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375B1 (ko) 2019-06-19 2020-07-29 고권하 시선유도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538B1 (ko) * 2021-12-30 2022-05-06 주식회사 에스제이프로텍 차선규제봉
KR20230125983A (ko) * 2022-02-22 2023-08-29 서상원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KR102611725B1 (ko) * 2022-02-22 2023-12-11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내구성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상기 시선 유도봉의 시공 방법
KR102626232B1 (ko) * 2023-04-27 2024-01-17 주식회사 디울 도로 안전봉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안전봉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690B1 (ko) 앵커 리스 시선 유도봉
US8282082B2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20130017015A1 (en)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KR102139375B1 (ko) 시선유도봉
CN108221767B (zh) 一种高速公路的缓冲装置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KR100758547B1 (ko) 도로시설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0090583A (ko) 도로 표지병
JP6872448B2 (ja) 道路標識柱
KR100809657B1 (ko) 차선규제 봉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50034701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208145Y1 (ko) 이탈방지구조가 형성된 도로 표지병
JP2019085809A (ja) 道路標識柱用緩衝材
KR200159633Y1 (ko) 방호물
KR100460283B1 (ko) 차량충돌에의한인명과차량손실을최소화시킨폐타이어를이용한도로분리구조물
KR20130128629A (ko) 오뚝이 차선 규제봉 및 이를 이용한 오뚝이 차선 규제 구조물
KR102042634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298746Y1 (ko) 맨홀 보호 덮개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Thomson et al. Roadside infrastructure for safer European roads: D06 European best practice for roadside design: guidelines for roadside infrastructure on new and existing r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