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794A - 충격흡수용 볼라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794A
KR20100003794A KR1020080063790A KR20080063790A KR20100003794A KR 20100003794 A KR20100003794 A KR 20100003794A KR 1020080063790 A KR1020080063790 A KR 1020080063790A KR 20080063790 A KR20080063790 A KR 20080063790A KR 20100003794 A KR20100003794 A KR 2010000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aluminum
bollard
shock absorbing
pill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익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08006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794A/ko
Publication of KR2010000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충격흡수용 볼라드는, 도로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앵커와 앵커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의해 직립 상태로 고정된 발포 알루미늄 기둥과,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외측에 삽입 고정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기둥의 상단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은 앵커에 일측이 연결되어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따라 배열되는 와이어로프의 타측을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조여 팽팽하게 긴장시킴으로써 하단이 도로상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이 발명은 와이어로프로 볼라드가 지지되어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넘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내피는 많은 기공과 크랙을 형성한 발포 알루미늄과 외피는 충격흡수에 강하고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시 보호를 위한 우레탄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우레탄 고무로 구성된 충격흡수부재의 외형을 미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울퉁불퉁 하게 구성하고, 덮개를 지역의 특산품이나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경관미를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볼라드, 발포 알루미늄, 우레탄 고무, 와이어로프

Description

충격흡수용 볼라드{A bollard of impact absorption}
이 발명은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볼라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로 볼라드가 지지되어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넘어지는 구조로 구성되며, 내피는 많은 기공과 크랙을 형성한 발포알루미늄과 외피는 충격흡수에 강하고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시 보호를 위한 우레탄 고무를 사용한 충격흡수용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차도를 운행하는 차량이 보도를 향하여 무분별하게 난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거나, 또는 특정 구간으로의 차량 진입을 제어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 등을 안내하는 안내표지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특정 도로의 진입 차도에 설치된다.
종래의 볼라드는 대리석,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류를 일체로 형성하여 대략 원형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포스트를 지면에 매설한 후 모르타르 시공 등을 통하여 지면과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볼라드는 차량의 충격 등에 의 하여 변형, 파손되어 오히려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훼손을 억제할 수 있는 볼라드가 또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충격흡수용 볼라드에 있어서 차량 충돌과 같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완충 스프링만으로는 차량 충돌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기능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볼라드는 대리석,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류 등의 딱딱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보행자의 조그마한 부주위로 부딪치게 되면 보행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대리석의 경우에는 그 높이가 너무 낮아서 차량 운전자의 눈에 쉽게 보이지 않아서 부딪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볼라드는 거리의 경관 측면에서 가로수나 그 지역과 어울림 없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므로 미관성이 결여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로 볼라드가 지지되어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넘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내피는 많은 기공과 크랙을 형성한 발포 알루미늄과 외피는 충격흡수에 강하고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시 보호를 위한 우레탄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성과 경관적인 측면인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용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충격흡수용 볼라드는, 도로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앵커와 앵커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의해 직립 상태로 고정된 발포 알루미늄 기둥과,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외측에 삽입 고정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기둥의 상단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은 앵커에 일측이 연결되어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따라 배열되는 와이어로프의 타측을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조여 팽팽하게 긴장시킴으로써 하단이 도로상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임부재는 고리형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충격흡수부재는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의 덮개는 지역의 특산품이나 지역의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와이어로프로 볼라드가 지지되어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넘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내피는 많은 기공과 크랙을 형성한 발포 알루미늄과 외피는 충격흡수에 강하고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시 보호를 위한 우레탄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우레탄 고무로 구성된 충격흡수부재의 외형을 미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울퉁불퉁 하게 구성하고, 덮개를 지역의 특산품이나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경관미를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충돌로 인해 변형된 발포 알루미늄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효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볼라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볼라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볼라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볼라드(100)는 도로상의 콘크리트 바닥면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로상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리형 앵커(150)에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을 고정하되, 고리형 앵 커(15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60)를 고리형 볼트(120)를 이용하여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의 일측에 고정한 후 조임으로써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을 직립 상태로 고정하며,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의 외측에 속이 빈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재(130)를 삽입하고 상단을 덮개(140)로 마감처리 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충격흡수부재(130)는 외부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미관성을 갖도록 울퉁불퉁한 형태 등을 갖는다. 또한, 충격흡수부재(130)의 외측에는 야간 운전자 등을 위한 반사용 필름이나 형광물질 계통의 반사띠(170)가 부착된다. 그리고, 덮개(140)는 일반적으로 둥근 반원형 형태로 구성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지역의 특산품이나 지역의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함으로써, 볼라드의 경관미를 살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의 충격흡수용 볼라드(100)는 그 하단이 매립되는 일반적인 볼라드의 고정방식과 달리, 그 하단이 도로상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앵커(150)에 와이어로프(160)를 연결하여 조임으로써 고정된다. 이렇듯, 종래에는 볼라드의 하단이 매립되어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는 완전고정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볼라드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볼라드가 뽑히지 않고 파손만 되어 그 충격량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해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실시예의 충격흡수용 볼라드(100)는 상기와 같이 그 하단이 도로상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앵커(150)에 와이어로프(160)를 연결하여 조임으로써 고정되고, 또한 그 내부에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에는 중앙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 고, 이러한 관통구멍을 따라 와이어로프(160)가 설치된다. 즉, 와이어로프(160)는 관통구멍을 따라 설치되어, 일단은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의 상단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도로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앵커(150)에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로프(160)는 고리형 볼트(120)를 회전시켜 조임에 따라 팽팽하게 긴장된 형태로 앵커(1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차량이 충돌하여 충격흡수용 볼라드(100)에 일정 충격력이 가해지면, 와이어로프(160)가 끊어지거나 앵커(150)가 뽑히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볼라드(100)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의 충격 흡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충돌할 경우, 1차적으로 충격흡수부재(130)와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에서 충격을 흡수한다. 그런데, 그 충격력이 클 경우에는,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을 지지하고 있는 와이어로프(160)가 끊어지거나 앵커(150)가 뽑히면서 충격흡수용 볼라드(100)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넘어가게 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시스템이다.
이 실시예의 발포 알루미늄 기둥(110)은 재활용이 가능한 알루미늄에 기포가 형성되어 있는 발포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충격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즉, 이 실시예의 충격흡수용 볼라드(100)는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돌에너지가 발포 알루미늄으로 전해져 인체에 부과되는 반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충격흡수용 볼라드(100)는 그 외피를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된 충격흡수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보행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돌시 보행자의 보 호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충격흡수용 볼라드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볼라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격흡수용 볼라드의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충격흡수용 볼라드 110 : 발포 알루미늄 기둥
120 : 고리형 볼트 130 : 충격흡수부재
140 : 덮개 150 : 고리형 앵커
160 : 와이어로프 170 : 반사띠

Claims (4)

  1. 도로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앵커와 상기 앵커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의해 직립 상태로 고정된 발포 알루미늄 기둥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외측에 삽입 고정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기둥의 상단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은 상기 앵커에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따라 배열되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측을 상기 발포 알루미늄 기둥의 상단에 결합되는 조임부재로 조여 팽팽하게 긴장시킴으로써 하단이 도로상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볼라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고리형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볼라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볼라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지역의 특산품이나 지역의 특성을 알릴 수 있는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볼라드.
KR1020080063790A 2008-07-02 2008-07-02 충격흡수용 볼라드 KR20100003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90A KR20100003794A (ko) 2008-07-02 2008-07-02 충격흡수용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90A KR20100003794A (ko) 2008-07-02 2008-07-02 충격흡수용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94A true KR20100003794A (ko) 2010-01-12

Family

ID=4181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90A KR20100003794A (ko) 2008-07-02 2008-07-02 충격흡수용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40B1 (ko) * 2010-02-01 2012-03-13 한일건설주식회사 볼라드
KR20160099233A (ko) * 2015-02-12 2016-08-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루미네이션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40B1 (ko) * 2010-02-01 2012-03-13 한일건설주식회사 볼라드
KR20160099233A (ko) * 2015-02-12 2016-08-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루미네이션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2987B2 (en) Energy Absorbing Buffer
KR100872200B1 (ko) 도로용 울타리
KR20110003169U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KR10185049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충격흡수 조립식 볼라드
KR20090059948A (ko) 탄성 스프링 볼라드
KR100804095B1 (ko) 슬림 타입 탄력 볼라드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KR200414622Y1 (ko) 도로 경계 표시봉
KR100810574B1 (ko) 시선 유도봉
KR101449876B1 (ko) 볼라드
KR100733970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책
KR20100000603U (ko) 차량진입방지대
KR101179235B1 (ko) 충격 완화장치
KR102137138B1 (ko) 충격흡수용 볼라드장치
KR101223748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20100092567A (ko) (볼라드) 차량진입 방지대
KR100535236B1 (ko) 차량진입방지대
KR200201598Y1 (ko) 차량 충격흡수대
KR101018861B1 (ko) 차량방호용 충격흡수 장치
JP2003301425A (ja) 視線誘導標識柱と反射体部材
JP7458954B2 (ja) 車止め
KR20130128629A (ko) 오뚝이 차선 규제봉 및 이를 이용한 오뚝이 차선 규제 구조물
KR102186454B1 (ko) 가드 펜스
JPH101919A (ja) 弾性基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