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331B1 -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331B1
KR100908331B1 KR1020080091168A KR20080091168A KR100908331B1 KR 100908331 B1 KR100908331 B1 KR 100908331B1 KR 1020080091168 A KR1020080091168 A KR 1020080091168A KR 20080091168 A KR20080091168 A KR 20080091168A KR 100908331 B1 KR100908331 B1 KR 10090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de wall
wing side
lower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필노
Original Assignee
트윈클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377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83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트윈클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윈클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331B1/ko
Priority to PCT/KR2009/005290 priority patent/WO201003296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인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하여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도로층에 매설되는 하부몸체를 저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날개측벽의 내부공간에 도로층의 일부가 일체형이 되게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도로표지병이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압에도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일체형의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도로층(R1)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로노면표시단계(S1)와, 코어 천공단계(S2),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와, 표지병 삽입단계(S4)에 따라 설치된다.
도로표지병, 날개측벽, 제설, 도로층, 반사알.

Description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A road maker having sid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교통 안전시설물의 하나인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하여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도로층에 매설되는 하부몸체를 내부공간을 가지는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도로층의 일부가 포함되어 일체형이 되게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도로표지병이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압에도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에는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중앙선, 차선 경계선 또는 안전지대 구획선 등이 그려지며, 이러한 차선들에는 일방향으로 진행해야 할 차량이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조작 미숙으로 인하여 반대편 차선으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게 도로표지병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병은 이미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안 전운행을 유도하는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사체 또는 발광체를 일측에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도로표지병(100a)의 일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로의 표면 하측, 즉 도로층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되는 지주(120)와, 상기 지주(120)와 일체로 결합하여 도로 노면(R)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하게 돌출되고 빛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체(111)를 구비한 사각형상의 상부몸체(11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체(111)은 자체 발광하는 발광체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라면 종래에 알려진 도로표지병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체(111)가 장착된 도로표지병(100a)의 경우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반사체를 통해 반사되고 이 빛을 운전자가 인지하여 차선을 구분하게 되며, 발광체(미도시.)가 장착된 도로표지병의 경우는 태양광을 발광체에 충전을 하였다가 어두워지면 발광체 자체에서 빛을 발생함으로써, 운전자가 그 빛을 통해 차선을 구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표지병(100a)은 차선 상의 도로 노면(R)에서 지주(120)를 도로층의 홈(101)에 매설하여 상기 지주(12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구조상 외부 충격 즉, 차량 통과 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원활하게 분산하지 못하여 도로표지병 자체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된 도로표지병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도로층 내측에서 일체로 매설된 지주(120)를 분리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과다한 작업시간 및 비용을 감수하여야 하며 상기 보수작업에 따른 교통 정체를 더욱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사체(111)는 플라스틱 재귀반사판으로 운행 차량의 충격으로 인한 반사체의 파손이 잦으며, 먼지/ 매연/ 오물 등의 부착으로 인한 반사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또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표지병(100b)을 보여주는 것으로, 외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노면(R)상의 구획차선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멍(101)을 형성시켜 원통형의 기둥체인 지주(120)를 박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로면에 맞닿는 도로표지병(100b)의 저면에는 접착제 시트(140)를 피복하여 도로 노면(R)에 부착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로 노면(R)상에 파쇄기(breaker)나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101)을 낸 후에, 앵커볼트(140)를 이용하여 장착하게 됨으로써 도로표지병(100b)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140)는 상기 도로표지병(100b)과 지주(120)와 시트(140)를 관통하여 삽입 설치함으로써 단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표지병(100b) 또한 도로 노면(R)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커 중량의 차량이 계속하여 반복적으로 밟고 지나감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손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별도의 앵커볼트(140)라는 고정부재가 필요해 시공공정이 길어지고 인력 및 비용의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도 1과 도 2에 제시된 종래의 도로표지병(100a, 100b)은 겨울철의 경우 도로에 눈이 쌓이게 되면 제설차량에 의해 도로 위의 눈을 치우게 되는데, 도로 를 진행하면서 눈을 긁어 모으는 제설차량의 특성상 제설칼날(도1, 130)에 의해 눈과 함께 돌출 장착된 도로표지병까지 쓸어가게 되어 상기 도로표지병을 파손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도로표지병(100a, 100b)의 경우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와 함께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해 장시간의 압력을 상부에서 받게 될 경우 도로 노면(R)의 하부, 즉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어 묻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개선한 종래의 도로표지병(100c)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 기술에 따른 도로표지병(100c)은 원형으로 높이가 낮은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데, 완만하게 만곡시킨 몸체(110)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113)에 반사알(111a)이 구비되고 저면에 접착제 수지(140a)가 채워지는 홈부(130)을 형성해, 상기 홈부(130)에 채워지는 상기 접착제 수지(140a)에 의해 몸체(110)가 도로 노면(R)상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표지병(100c)은 저면 측이 도로 노면(R) 상과 접착제 수지(140a)에 의한 결합구조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주행중인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상기 접착제 수지(140a)가 균열되어 위치가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이 균열된 접착제 수지(140a)에 의한 결합관계는 비 또는 눈이 상기 균열된 부위에 침투하게 되고 이는 도로표지병(100c)의 몸체(110)와 도로 노면(R) 사이를 이완시켜 위치 이탈의 확률을 더욱 높이게 된다.
한편,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종래의 또다른 도로표지병(100d)은 발 광체 또는 반사체(111b)가 구비된 상부몸체(1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기둥형상의 하부몸체(150)를 일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50)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102)을 도로 노면(R)의 일측에 하부 도로층을 포함하여 천공하고, 상기 구멍(102)에 충전된 접착제 수지(104a)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15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표지병(100d)은 도로에 매설되는 하부몸체(150)가 크기 때문에 외압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도로표지병(100d)을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은, 먼저 (a)와 같이, 도로 노면(R)상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천공기의 드릴 크기에 따라 드릴 천공홈(10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드릴 천공홈(103)은 상기 하부몸체(150)가 포함될 수 있는 반경을 가지고 상기 천공기의 드릴 커터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드릴 커터의 회전 반경에 따라 내부에 도로 노면 하부의 도로층(R1)을 포함한 상태로 원주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릴 천공홈(103)에 그대로 하부몸체(150)를 매설할 수 없으며, (b)에서와 같이 상기 도로층(R1)을 드릴 또는 파쇄기(breaker, 160)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몸체(150)가 매설될 수 있게 파쇄하는 공정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도로층(R1)을 파쇄하면 (c)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50)가 매설될 수 있는 크기의 홈(102)이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홈(102)에 접착제 수지(도4a, 140a)를 충전한 다음 상기 하부몸체(150)을 매설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따른 도로표지병(100d)은 상기 하부몸체(150)를 매설 설치하기 위해 동일 크기의 홈(102)을 형성해야 하는데, 크기가 크기 때문에 도로 노면(R)의 파손이 심하고 설치 시공방법이 어려워 인력 및 설치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홈(102)에 접착제 수지(140a)를 충전한 다음 상부에서 하부몸체(150)를 가압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상기 접착제 수지(140a)의 경화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수지 경화 시간동안 진동 및 외압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150)가 정위치에 수평으로 위치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 노면 상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도로표지병이 차량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압에도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로층에 매설되는 하부몸체가 상기 도로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는 날개측벽으로 구성되고, 접착제 수지에 의해 상기 도로층과 날개측벽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공정에 따른 인력 감소 및 시공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일체형의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을 가지도록 구성 되어, 내측에 상기 도로층(R1)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이 상기 도로 노면(R)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날개측벽이 상기 도로층(R1) 일측에 상기 날개측벽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드릴 천공홈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드릴 천공홈에 의해 감싸지는 도로층(R1)이 포함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날개측벽은 에폭시 수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도로 노면(R) 및 도로층(R1)과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는 상면을 완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으로, 양측에 요홈부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외주면 단부는 하부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이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를 가지도록 저면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리브의 단부는 상기 안착턱부의 저면과 동일선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반사알은, 상기 요홈부의 내면에 형성된 홀에 끼워져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반사알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산 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설치하기 위해,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일측에 구비된 상부몸체와, 내부공간을 가지는 날개측벽으로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가져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몸체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병이 설치될 위치를 상기 도로 노면(R)상에 일정 간격(d)을 가지도록 표시점(S11)으로 표시하는 도로노면표시단계(S1)와; 상기 도로 노면(R)상의 표시점(S11)에 상기 날개측벽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동일 형상으로 천공기를 이용하여 드릴 천공홈을 천공하는 코어 천공단계(S2)와; 상기 드릴 천공홈과 상부몸체의 저면이 안착되는 도로 노면(R)상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resin)를 충전시키는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와;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충전된 천공홈에 도로표지병의 하부몸체를 구성하는 날개측벽을 위치시키고 삽입하는 표지병 삽입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이 도로 노면(R)에 안착되면서, 상기 하부몸체의 날개측벽이 상기 도로 노면(R) 하부의 도로층(R1)을 포함하여 일체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코어 천공단계(S2) 다음에 분사노즐이 형성된 에어 콤프레셔 또는 압축수분사장치를 이용해 상기 코어 천공단계에서 발생된 부산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는 코어 청소단계(S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때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상면을 완 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으로, 양측에 요홈부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의 외주면 단부는 하부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이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저면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를 가지도록 저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첫째, 하부몸체를 구성하는 날개측벽의 내부공간에 도로층이 포함되어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도로 노면 상에 이웃하는 도로표지병과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도로층의 일부가 하부몸체의 내부공간에 포함됨으로써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외압에도 도로표지병이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천공기의 드릴에 의해 날개측벽과 동일 형상을 가지는 원주 형상의 드릴 천공홈을 형성한 다음, 내부에 위치되는 도로층을 파쇄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어 시공공정이 단순화되고 시공공정 중 도로노면을 어지럽히지 않고도 손쉽게 도로표지병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시공공정의 단순화에 의한 도로표지병 설치 인력 감소 및 공사비용의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노면상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7(a)(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분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1)은,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로 연장되어 도로 노면(R)의 하부 도로층(R1)에 매설되는 하부몸체(20)로 구성되는데, 상기 도로표지병(1)이 설치되는 도로 노면(R)의 도로층(R1)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포함되어 도로표지병(1)이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도로층(R1)이 일체로 포함되게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도로 노면 상에 이웃하는 도로표지병과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외압에도 도로표지병이 도로층 내부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도로표지병(1)을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 도로표지병이 위치되는 지점의 도로층(R1)을 파쇄하는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와 인력감소 및 설치의 편이성을 증대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1)은, 보다 상세하게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와 일체형의 하부몸체(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0)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20)는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20a)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날개측벽(20a)은 원기둥의 측면으로 내측 내부공간에 상기 도로층(R1)의 일부가 포함되어 도로 노면상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로 노면(R)상에 천공기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 드릴 천공홈(3)에 상기 날개측벽(20a)이 삽입되어 매설된다.
다시 말하면, 도로 노면상의 일측에 설치됨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병(1)의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 즉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 상면은 도로 노면(R)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상기 도로층(R1) 일측에 상기 날개측벽(20a)과 동일 형상으로 천공기에 의해 형성된 드릴 천공홈(3)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상기 드릴 천공홈(3)에 의해 감싸지는 도로층(R1)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위치되는 드릴 천공홈(3)에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충전 도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은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에 의해 상기 도로 노면(R) 및 도로층(R1)과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도로표지병(1)의 상부몸체(10)는 재차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양한 도로표지병의 구조에 따라 일측에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몸체(1)는, 차량의 충격에 견딜 수 있고 제설차량의 제설칼날에도 도로 노면(R)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면을 완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양측, 즉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마주보는 위치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요홈부(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11)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알(11)에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어 차량 운전자는 도로표지병(1)을 식별하고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7(a)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1)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주면 단부가 하부몸체(2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원반형상을 가지면서 그 저면(13a)이 도로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1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 즉 도로 노면(R)에 안착되는 부위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홈부(15b)를 가지는 저면 리브(1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로표지병(1)이 도로 노면(R)상에 설치될 때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상기 저면리브(15)가 형성하는 홈부(15b)에 수납되어 경화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10)가 도로 노면(R)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리브(15)의 단부(15a)는 상기 안착턱부(13)의 저면(13a)과 동일선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노면 상의 드릴 천공홈(3)에 끼워져 매설될 때 도로표지병(1)이 도로노면(R)과 간격을 가지지 않고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게 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14)과 안착턱부(13)의 저면(13a)은 상기 저면리브(15)의 돌출된 형상에 따른 높이차 만큼의 간격(b)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드릴 천공홈(3)은 상기 하부몸체(20)의 길이(a)를 포함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진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0)의 요홈부(12)에 구비된 반사알(11)은 바람직하게 도 7(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형성된 홈(12a)에 끼워져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사알(11)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상기 홈(12a)에 몸체가 끼워짐으로서 전면부가 상기 요홈부(12)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반사알(11)의 전면은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마주보는 위치에 놓여 불빛을 반사시키고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한다.
또다른 실시예로, 도 7(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알(11)은 몸체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11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2)의 홈(12a)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b)에 나사산 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1)은, 하부몸체(20)를 구성하는 날개측벽(20a)의 내측, 즉 내부공간(21)에 도로 노면(R)의 도로층(R1)이 포함되도록 설치되어 외부 충격이나 외압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고 도로표지병으로서의 기능을 100%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고, 도 10(a)(b)는 도 9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을 보여주는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 기술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1)은, 매설되는 위치의 도로층(R1)을 파쇄하지 않고 이를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은 크게 도로노면표시단계(S1)와, 코어 천공단계(S2),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와, 표지병 삽입단계(S4)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일측에 구비된 상부몸체(10)와, 내부공간(21)을 가지는 날개측벽(20a)으로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가져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20)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0)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1)의 시 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로노면표시단계(S1)는,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도로표지병(1)이 설치될 위치를 상기 도로 노면(R)상에 일정 간격(d)을 가지도록 표시점(S11)으로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도로 노면(R)상에 선을 그리고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선을 그리는데 상기 표시선을 따라 도로표지병(1)이 매설될 위치, 즉 천공(穿孔)될 드릴 천공홈(3)을 표시(S11)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로표지병(1)이 매설될 위치는 일정 간격(d),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을 가지도록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도로표지병(1)의 효율과 운전자의 시야를 고려하여 3∼5m의 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코어 천공단계(S2)는, 상기 도로 노면(R)상의 표시점(S11)에 상기 날개측벽(20a)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동일 형상으로 천공기(50)를 이용하여 드릴 천공홈(3)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천공기(50)는 도로 노면(R)에 드릴 천공홈(3)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단부에 커터(51a)가 구비된 드릴(5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천공기(50)의 드릴(51) 커터(51a)에 의해 도로표지병(1)의 날개측벽(20a)이 포함될 수 있도록 최소한으로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드릴 천공홈(3) 또한 설치되는 도로표지병(1)의 하부몸체(20), 즉 날개측벽(20a)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상기 날개측벽(20a)의 길이(도7a, a)와 두께(도8, c)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대개, 지름 120mm 그리고 깊이 20mm의 천공 드릴홈(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코어 천공단계(S2)에서 형성된 드릴 천공홈(3)은 도 10(b)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날개측벽(20a)의 형상과 동일하게 반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드릴 천공홈(3)과 상부몸체(10)의 저면에는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에 따라, 안착되는 드릴 천공홈(3)과 도로 노면(R)상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resin, 2)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에 따라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충전된 드릴 천공홈(3)에, 도 10(b)의 (e)(f)와 같이, 상기 도로표지병(1)의 하부몸체(20)를 구성하는 날개측벽(20a)을 위치시키고 삽입하는 표지병 삽입단계(S4)가 이어진다.
이때, 상기 충전된 수지(2)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하부몸체(20)의 위치를 재확인하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여 위치고정시켜야 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되는 수지(2)는 에폭시 수지 중 콘크리트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 접착제는 개환반응에 의하여 경화하기 때문에 경화시에 휘발분이 발생하지 않고, 유동성이 우수한 상태로부터 고화되고 경화수축도 작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물은 강고하고 안정된 결합으로 가교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계적 특성, 열적 특성,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특성 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을 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눌러 고정시킬 때,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리브(15)와 안착턱부(13)의 저면(13a)에 충 분히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위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도로 노면(R)과 밀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도로표지병(1)이 수평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상기 도로표지병(1)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이 도로 노면(R)에 안착되면서,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상기 도로 노면(R) 하부의 도로층(R1)을 내부공간(21)에 포함하여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도로표지병(1)은 날개측벽(20a)이 도로층(R1)의 일부분이 되어 어떠한 외압과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파손이 거의 없게 된다.
한편, 상기에 기술된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코어 천공단계(S2) 다음에 분사노즐(61)이 형성된 에어 콤프레셔 또는 압축수 분사장치(60)를 이용해 상기 코어 천공단계에서 발생된 부산물을 제거하여 도로 노면(R)을 깨끗하게 하는 코어 청소단계(S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천공단계(S2)는 도로(R)를 절삭하고 구멍을 뚫는 것으로 천공기(50)를 사용할 때 내구성을 보호하고 작업능률의 개선을 위해 물을 사용한다.
이때, 도로층을 구성하는 아스팔트의 구조를 이루는 부산물이 도로 노면(R)상에 일부 토출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환경을 더럽게 하고 도로표지병(1)의 설치에 방해를 주기 때문에 상기 단계 다음에 동시에 코어 청소단계(S5)가 필요에 따라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어 청소단계(S5)는 재차 도 10(b)의 (b)와 같이, 분사노즐(61)이 형성된 에어 콤프레셔 또는 압축수분사장치(60)를 이용하는데, 상기 분사노 즐(61)에서 뿜어져 나오는 고압의 공기 또는 압축수를 이용하여 도로(R)의 천공된 부분에서 발생된 토출된 부산물을 제거하고 드릴 천공홈(3)의 내부를 깨끗하게 한다.
상기에 기술한 시공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병(1)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은 도로 노면(R)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상기 도로층(R1) 일측에 상기 날개측벽(20a)과 동일 형상으로 천공기에 의해 형성된 드릴 천공홈(3)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상기 드릴 천공홈(3)에 의해 감싸지는 도로층(R1)이 포함된다.
그리고, 에폭시 수지 접착제(2)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은 상기 도로 노면(R) 및 도로층(R1)과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1)의 상기 상부몸체(10)는 상면을 완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으로, 양측에 요홈부(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11)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주면 단부는 하부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13a)이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14)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를 가지도록 저면리브(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 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표지병과 이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노면상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7(a)(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사시도 부분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공정도.
도 10(a)(b)는 도 9에 따른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을 보여주는 단계별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2 : 에폭시 수지 접착제
3 : 천공홈 10 : 상부몸체
11 : 반사알 12 : 요홈부
20 : 하부몸체 20a : 날개측벽
21 : 내부공간 R : 도로 노면
R1 : 도로층

Claims (8)

  1.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구비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와 일체형의 하부몸체(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20)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0)는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으로 날개측벽(20a)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상기 도로층(R1)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가지되;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이 상기 도로 노면(R)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상기 도로층(R1) 일측에 상기 날개측벽(20a)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드릴 천공홈(3)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공간(21)에 상기 드릴 천공홈(3)에 의해 감싸지는 도로층(R1)이 포함되어,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과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은 에폭시 수지 접착제(2)에 의해 상기 도로 노면(R) 및 도로층(R1)과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몸체(10)는 상면을 완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으로 양측에 요홈부(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11)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주면 단부는 하부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13a)이 도로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14)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15b)를 가지도록 저면리브(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리브(15)의 단부(15a)는 상기 안착턱부(13)의 저면(13a)과 동일선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알(11)은,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형성된 홀(12a)에 끼워져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알(11)은, 외주면에 나사산(11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2)의 홀(12a)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b)에 나사산 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6.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범위를 제한 및 안내하기 위한 발광체 또는 반사체가 일측에 구비된 상부몸체(10)와, 내부공간(21)을 가지는 날개측벽(20a)으로 저면이 개구된 원기둥 형상을 가져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20)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0)가 도로 노면(R)의 하부를 구성하는 도로층(R1)에 매설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표지병(1)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병이 설치될 위치를 상기 도로 노면(R)상에 일정 간격(d)을 가지도록 표시점(S11)으로 표시하는 도로노면표시단계(S1)와;
    상기 도로 노면(R)상의 표시점(S11)에 상기 날개측벽(20a)이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동일 형상으로 천공기(50)를 이용하여 드릴 천공홈(3)을 천공하는 코어 천공단계(S2)와;
    상기 드릴 천공홈(3)과 상부몸체(10)의 저면이 안착되는 도로 노면(R)상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resin, 2)를 충전시키는 접착제 수지 도포단계(S3)와;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충전된 드릴 천공홈(3)에 도로표지병(1)의 하부몸체(20)를 구성하는 날개측벽(20a)을 위치시키고 삽입하는 표지병 삽입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이 도로 노면(R)에 안착되면서, 상기 하부몸체(20)의 날개측벽(20a)이 상기 도로 노면(R) 하부의 도로층(R1)을 포함하여 일체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천공단계(S2) 다음에 분사노즐이 형성된 에어 콤프레셔 또는 압축수분사장치를 이용해 상기 코어 천공단계에서 발생된 부산물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는 코어 청소단계(S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는 상면을 완만하게 만곡시킨 반구형상으로, 양측에 요홈부(1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12)의 내면에 반사체로서 다수개의 반사알(11)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10)의 외주면 단부는 하부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저면(13a)이 노면(R)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턱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저면(14)에는 상기 에폭시 수지 접착제(2)가 수납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를 가지도록 저면리브(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의 시공방법.
KR1020080091168A 2008-09-17 2008-09-17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68A KR100908331B1 (ko) 2008-09-17 2008-09-17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09/005290 WO2010032967A2 (ko) 2008-09-17 2009-09-17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168A KR100908331B1 (ko) 2008-09-17 2008-09-17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331B1 true KR100908331B1 (ko) 2009-07-17

Family

ID=4133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168A KR100908331B1 (ko) 2008-09-17 2008-09-17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331B1 (ko)
WO (1) WO2010032967A2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02B1 (ko) * 2010-01-22 2012-09-20 김길호 도로표지병
KR200472360Y1 (ko) * 2013-08-06 2014-04-24 박준현 도로 표지병
KR20180056909A (ko) * 2016-11-21 2018-05-30 (주)건화건설 도로표지병
KR102073514B1 (ko) * 2019-04-26 2020-03-02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KR102085729B1 (ko) * 2019-07-05 2020-03-06 유지씨 주식회사 도로 표지병 및 도로 표지병 시공방법
KR102207109B1 (ko)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10040606A (ko) 2019-10-04 2021-04-14 한우용 도로표지병
KR20210109987A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해건 노면표지용 led 조명시설
KR20230049797A (ko) * 2021-10-06 2023-04-14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624A (en) * 1983-09-09 1985-12-10 Walker Floyd E Snow plowable pavement marker
JPH05346009A (ja) * 1990-10-23 1993-12-2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隆起した舗道標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554Y1 (ko) * 1998-09-17 2002-08-24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7624A (en) * 1983-09-09 1985-12-10 Walker Floyd E Snow plowable pavement marker
JPH05346009A (ja) * 1990-10-23 1993-12-2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隆起した舗道標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02B1 (ko) * 2010-01-22 2012-09-20 김길호 도로표지병
KR200472360Y1 (ko) * 2013-08-06 2014-04-24 박준현 도로 표지병
KR20180056909A (ko) * 2016-11-21 2018-05-30 (주)건화건설 도로표지병
KR102073514B1 (ko) * 2019-04-26 2020-03-02 (주)대명솔루션 태양광매립등 및 태양광매립등이 매입된 보도블럭
KR102085729B1 (ko) * 2019-07-05 2020-03-06 유지씨 주식회사 도로 표지병 및 도로 표지병 시공방법
KR20210040606A (ko) 2019-10-04 2021-04-14 한우용 도로표지병
KR102207109B1 (ko)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10109987A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해건 노면표지용 led 조명시설
KR20230049797A (ko) * 2021-10-06 2023-04-14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KR102557104B1 (ko) * 2021-10-06 2023-07-21 박정현 도로표지병 및 시선유도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2967A3 (ko) 2010-07-15
WO2010032967A2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331B1 (ko)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4662B1 (ko) 도로 표지병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US20210180275A1 (en) Reflective road marker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429835Y1 (ko) 쿠션형 도로표지병
KR20050034701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KR200330045Y1 (ko) 차선표지장치
KR200304306Y1 (ko) 도로표지병
KR20220163557A (ko) 매립식 표지병 케이스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US20040218976A1 (en) Flexible raised pavement marker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401523Y1 (ko) 도로용 표지병 구조
KR100497137B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KR200208133Y1 (ko) 완충구조를 갖는 도로 표지병
KR200206754Y1 (ko) 도로용 안전유도구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300010Y1 (ko) 도로표지병
KR20030003469A (ko) 도로표지병
KR200350736Y1 (ko) 전 반사식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