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546Y1 -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46Y1
KR200179546Y1 KR2019990026753U KR19990026753U KR200179546Y1 KR 200179546 Y1 KR200179546 Y1 KR 200179546Y1 KR 2019990026753 U KR2019990026753 U KR 2019990026753U KR 19990026753 U KR19990026753 U KR 19990026753U KR 200179546 Y1 KR200179546 Y1 KR 200179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road safety
receiving cup
road
safety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78Traffic lines consisting of preformed elements, e.g. tapes, block-type elements specially designed or arranged to make up a traffic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8Lane delineators for physically separating traffic lanes and discouraging but not preventing cro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도로안전표지병의 높이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차량에 의해 매립되거나 위치가 틀어짐으로써 휘도 저하에 따른 기능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전고정방식으로 도로안전표지병의 파손시 교체 및 수리와 이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표지병몸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부에 나선A(11)를 갖는 체결공(12)이 형성된 수용컵(1)과; 상기 수용컵(1)의 내측면과 수용된 표지병몸체(200)의 외측면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완충고정부재(2)와; 상기 수용컵(1)의 나선A(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 외측에 나선B(31A)가 형성된 제1몸체(31) 및 이의 하부측에 단부측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32)로 분리 구성된 지지축(3)과; 상기 지지축(3)의 제2몸체(32) 상부 내측에 나선홈(41)을 형성하고, 제1몸체(31)의 하부 외측에는 나선부(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몸체(31)의 상단면에는 조작홈(43)을 형성한 높이조절부(4)로 구성됨으로써 도로 상태에 따라 도로안전표지병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높낮이 차이에 따른 적정 높이 유지 및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의 균일성 및 휘도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도로에 고정되는 수용컵으로부터 도로안전표지병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상기 도로안전표지병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이로인해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 그리고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SIGNPOST FIXING DEVICE}
본 고안은 도로안전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로표지병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면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중차량에 의한 매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로의 구분을 위해 황색표지선, 중앙이중황색선, 중앙분리선, 도로변선, 제한선 등이 표시되고, 이러한 차선의 야간 식별을 위해 상기 차선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수개의 도로안전표지구가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도로안전표지구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마름모꼴 형상의 육면체로 표지구몸체(100)가 형성되고, 상기 표지구몸체(100)의 하부측에는 끝이 뾰족한 다수의 고정핀(120)이 일정 길이로 하향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표지구몸체(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다수의 광반사판(110)이 장착홈(100A)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로안전표지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로의 차선(L)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 및 고정되는 것으로, 이의 설치 및 고정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층 아스콘(T1)에 표지구몸체(100)의 하부측 고정핀(120)을 박음으로써 이루어지고, 야간에 차량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표지구몸체(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다수 설치된 광반사판(110)이 반사시킴으로써 발광에 의한 차선 표시를 운전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안전표지구는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와 각종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해서 광반사판(110)이 오염됨으로써 휘도(輝度), 발광체의 표면의 밝기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중차량에 의한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매립되거나 또는 그 위치가 틀어져 차량에서 조사된 빛의 수광 및 반사량이 극히 작아지게 됨으로써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고정핀(120) 박음에 의한 완전 고정방식으로 도로 상에 설치 및 고정되므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질이 외부충격에 약한 알루미늄 합금의 듀랄루민(duralumin)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에 의해서 쉽게 파손됨은 물론 이의 파편으로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은 도로안전표지병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 이는 내측면을 반사면(201A)으로 형성한 원반매립부(201)의 상부측에 투명의 반구형돌출부(202)를 일체로 하여 표지병몸체(200)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도로안전표지병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층 아스콘(T1)에 표지병몸체(200)의 직경 및 상기 표지병몸체(200)의 하부측에 형성된 원반매립부(201)의 높이에 상응하는 직경 및 깊이로 고정홈(210)을 형성하고, 이 고정홈(210)에 적당량의 에폭시수지(220)를 주입시킨 후, 표지병몸체(200)를 고정홈(210)에 삽입함으로써 일련의 설치 및 고정작업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도로안전표지병은 방향에 구애받음이 없이 어느 위치에서나 차량의 빛을 수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배기가스 또는 각종 먼지 및 이물질로 수광기능을 하는 투명의 반구형돌부가 오염된다 하더라도 빗물에 의해 쉽게 씻겨내려 가므로 기존의 도로안전표지구에서 발생되는 휘도 저하에 따른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역시 도로안전표지구와 마찬가지로 지반이 약한 표층 아스콘에 자체만으로 설치 및 고정되므로 중차량에 의한 영향으로 매립됨으로써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층 아스콘에 홈을 파서 에폭시수지로 완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 및 고정되므로 손상 및 파손에 따른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변형에 따른 높이조절이 불가능함으로써 적정 높이 유지 및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설치의 불균일성 및 휘도효율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좀더 부가해서 설명하면, 상기 표층 아스콘은 소모층으로 차량의 빈번한 접촉으로 마모가 발생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덧씌우기와 같은 공사를 시행하게 됨으로써 도로의 형태 변화, 즉 도로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때 도로안전표지병은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이의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차량에 의한 매립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기층 아스콘 하부측 보조기층이 연약하여 지내력이 저하될 경우 상기 보조기층으로 보조기층강화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지병몸체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부에 나선A를 갖는 체결공이 형성된 수용컵과; 상기 수용컵의 내측면과 수용된 표지병몸체의 외측면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완충고정부재와; 상기 수용컵의 나선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 외측에 나선B가 형성된 제1몸체 및 이의 하부측에 단부측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로 분리 구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제2몸체 상부 내측에 나선홈을 형성하고, 제1몸체의 하부 외측에는 나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몸체의 상단면에는 조작홈을 형성한 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용컵의 체결공 상부측으로 표지병몸체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유동방지턱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고정부재는 고무링 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의 제1몸체를 수직 관통하여 주입공을 형성하고, 제2몸체의 나선홈 중앙부에는 배출공을 형성한 주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도 1b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분해사시도.
도 1b는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a,도 2b는 종래의 도로안전표지구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고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a,도 3b는 종래의 도로안전표지병을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고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수용컵
11:나선A 12:체결공
13:유동방지턱
2:완충고정부재
20:고무링
3:지지축
31:제1몸체 32:제2몸체
31A:나선B
4:높이조절부
41:나선홈 42:외측나선부
43:조작홈
5:주입부
51:주입공 52:배출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통상의 도로안전표지병은 내측면에 반사면(201A)이 형성된 원반매입부(201)와 이의 상부측에 투명의 반구형돌출부(202)로써 표지병몸체(200)를 형성한다.
이러한 도로안전표지병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표지병몸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컵(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컵(1)은 통상의 컵과 마찬가지로 밑면부 및 측면부가 막혀지고 상부측으로 트여진 형태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표지병몸체(200)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의 직경은 상기 표지병몸체(200)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컵(1)의 밑면부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게 체결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2)의 내측면에는 나선A(11)가 형성되며, 수용컵(1)의 측면부 높이는 표지병몸체(200)의 원반매입부(201)와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컵(1)의 내측면과 표지병몸체(200)의 외측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완충고정부재(2)가 상호 밀착되게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완충고정부재(2)는 표지병몸체(20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됨은 물론 상기 표지병몸체(200)의 외측면과 수용컵(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며, 고무링(20)과 같이 신축성과 함께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수용컵(1)의 체결공(12)에는 수직봉 형태의 지지축(3)이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축(3)은 수용컵(1)의 체결공(12) 내측에 형성된 나선A(11)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 외측에 나선B(31A)가 형성된 제1몸체(31)와, 상기 제1몸체(31)의 하부측으로 하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32)로 분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의 길이는 시공시 타설로 도로의 표층 아스콘 및 기층 아스콘을 관통하여 보조기층까지 도달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3)에 의한 표지병몸체(2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높이조절부(5)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축(3)의 제2몸체(32)의 상부 내측에 나선홈(41)을 형성하고, 상단 외측에 나선B(31A)가 형성된 제1몸체(31)의 하부 외측에는 상기 나선홈(41))에 나선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31)의 상단면에는 일자 또는 십자형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제1몸체(31)를 제2몸체(32)에서 나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조작홈(4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축(3)을 통해 지내력이 저하된 보조기층 측으로 보조기층강화제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입부(5)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축(3)의 제1몸체(31) 중앙부를 수직 관통하는 식으로 주입공(51)이 형성되고, 제2몸체(32)의 나선홈(41) 하부측 중앙에는 수직 관통되게 배출공(5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컵(1)의 체결공(12) 상부측으로는 표지병몸체(200)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200A)에 삽입되는 유동방지턱(13)이 형성된다.
도 1b는 본 고안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먼저, 지지축(3)의 제2몸체(32)에 형성된 나선홈(41)에 제1몸체(31)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부(42)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지지축(3)을 도로에 박게 되는데, 이때 제2몸체(32)의 쐐기부분이 기층 아스콘(T2)를 관통하여 보조기층(T3)에 도달될 수 있게 박은 후, 지지축(3)의 제1몸체(31) 상단부 외측에 형성된 나선B(31A)를 수용컵(1)의 체결공(12)에 형성된 나선A(11)에 결합시킨다. 그 후 표지병몸체(200)의 외측에 고무링(20)으로 된 완충고정부재(2)를 끼우고, 상기 표지병몸체(200)를 수용컵(1) 내부에 억지로 끼워 넣게 되는데, 이때 표지병몸체(2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지지축(3)의 조작홈(53)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구를 이용한 회전조작으로 지지축(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몸체(31)의 나선부(42)는 제2몸체(32)의 나선홈(41)을 따라 하부로 나선이동되어 표지병몸체(200)가 수용된 수용컵(1)을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몸체(31)의 나선부(52)는 제2몸체(32)의 나선홈(51)을 따라 상부로 나선 이동되어 그 수용컵(1)을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표지병몸체(200)의 상.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지지축(3)의 제1몸체(31)에 체결된 수용컵(1)은 상기 제1몸체(31)와 함께 회전된다.
이렇게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기층 아스콘(T2) 위의 표층 아스콘(T1)에 구멍을 파서 표지병몸체(200)의 반구형돌출부(202)만 돌출되도록 타설함으로써 일련의설치 및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되고, 설치후 상기 표지병몸체(200)의 교체 및 수리시에는 표지병몸체(200)의 외측에 끼워진 고무링(20)을 빼냄으로써 상기 표지병몸체(200)를 도로에 고정된 수용컵(1)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켜 교체 및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조기층(T3)이 연약하여 지내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은 표지병몸체(200)를 수용컵(1)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지지축(3)의 제1몸체(31) 중앙부에 형성된 주입공(61)을 통해 보조기층강화제를 투입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다시 상기 주입공(61)을 거쳐 제2몸체(32)의 배출공(62)을 통해 지내력이 저하된 상기 보조기층(T3) 측으로 보조기층강화제를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로 상태에 따라 도로안전표지병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높낮이 차이에 따른 적정 높이 유지 및 설치가 가능하고, 이로인해 설치의 균일성 및 휘도 효율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도로에 고정되는 수용컵으로부터 도로안전표지병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로안전표지병의 파손으로 인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 그리고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축에 의한 마찰응력 및 지지응력으로 중차량에 의한 도로안전표지병의 매립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기능의 지속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와함께 기층 아스콘의 하부측 보조기층에 발생된 균열부위에 보조기층강화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기층의 균열확대 방지 및 지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표지병몸체(20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의 중앙부에 나선A(11)를 갖는 체결공(12)이 형성된 수용컵(1)과;
    상기 수용컵(1)의 내측면과 수용된 표지병몸체(200)의 외측면 사이에 밀착 고정되는 완충고정부재(2)와;
    상기 수용컵(1)의 나선A(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 외측에 나선B(31A)가 형성된 제1몸체(31) 및 이의 하부측에 단부측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32)로 분리 구성된 지지축(3)과;
    상기 지지축(3)의 제2몸체(32) 상부 내측에 나선홈(41)을 형성하고, 제1몸체(31)의 하부 외측에는 나선부(42)를 형성하며, 상기 제1몸체(31)의 상단면에는 조작홈(43)을 형성한 높이조절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컵(1)의 체결공(12) 상부측으로 표지병몸체(200)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200A)에 삽입되는 유동방지턱(1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고정부재(2)는 고무링(20) 임을 특징으로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의 제1몸체(31)를 수직 관통하여 주입공(51)을 형성하고, 제2몸체(32)의 나선홈(41) 중앙부에는 배출공(52)을 형성한 주입부(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19990026753U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01795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35A KR20010053745A (ko)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35A Division KR20010053745A (ko)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546Y1 true KR200179546Y1 (ko) 2000-04-15

Family

ID=19623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35A KR20010053745A (ko)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19990026753U KR200179546Y1 (ko)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35A KR20010053745A (ko) 1999-12-01 1999-12-01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537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150B1 (ko) * 2009-05-01 2010-06-15 이미향 도로 표시병
KR101726778B1 (ko) * 2016-01-14 2017-04-13 김재문 도로표지병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745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331B1 (ko) 날개측벽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20100006017U (ko) 지면고정용 돌기구를 갖는 도로표지병
KR100961621B1 (ko) 도로표지병
KR10054513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93183Y1 (ko) 도로용 오뚝이 표지병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KR100352184B1 (ko) 도로안전표지병 구조체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082341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20050034701A (ko) 회전식 원형 도로 표지병
KR101681957B1 (ko)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20070005199A (ko) 도로표지병 시공방법
KR200245960Y1 (ko) 사각 표지병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1601952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지병
KR200208822Y1 (ko) 도로안전 표지병의 고정장치
KR102088142B1 (ko) 출몰식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101082340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100524764B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