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57B1 -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 Google Patents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57B1
KR101681957B1 KR1020140170562A KR20140170562A KR101681957B1 KR 101681957 B1 KR101681957 B1 KR 101681957B1 KR 1020140170562 A KR1020140170562 A KR 1020140170562A KR 20140170562 A KR20140170562 A KR 20140170562A KR 101681957 B1 KR101681957 B1 KR 10168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ide plate
rear side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330A (ko
Inventor
박선화
Original Assignee
박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화 filed Critical 박선화
Priority to KR102014017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57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의 파손을 불러일으키는 홀을 상기 경계석에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 배치되는 경계석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차량 등의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Curved boundary stone fixtures}
본 발명은 경계석의 파손을 불러일으키는 홀을 상기 경계석에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 배치되는 경계석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차량 등의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인도가 만나는 경계구역에는 보행자를 보호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경계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도로공사시 경계석과 경계석의 결착을 강화하여 경계석이 어긋나지 않으며 동시에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고 시공 및 유지관리가 편리한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436390호로 제안되었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경계석들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경계석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계석 고정장치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6287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436390호와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62877호의 경우 경계석에 설치하는 과정 중에 상기 경계석에 각각 형성되는 홀로 인해 상기 홀 주변의 경계석 표면에 크랙 등이 발생되어 경계석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곡선배치되는 경계석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436390호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신안 제20-04628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경계석의 파손을 불러일으키는 홀을 상기 경계석에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곡선구간에 배치되는 경계석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차량 등의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타측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타측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와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구를 수평관통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수평관통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고정판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의 후측방향으로 전후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측판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측판부의 후면과 상기 후측판부의 전면에 각각 보호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측판부의 전면에 상기 전측판부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측판부에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끼움구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끼움돌기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판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표시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판은 형광판 또는 빛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경계석의 파손을 불러일으키는 홀을 상기 경계석에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곡선구간에 배치되는 경계석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전측판부로 차량 등의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전측판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면서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전측판부의 후면과 후측판부의 전면에 보호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3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4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제 6실시예의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의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좌우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전측판부의 전면에 일예의 표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표시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전측판부의 후면과 후측판부의 전면에 보호층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판부(10), 후측판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전측판부(10)는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5)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7)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과 상기 후측판부(20)의 전면에는 상기 전측판부(10)와 상기 후측판부(20)를 상기 경계석(5, 7)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보호층(15)이 각각 상기 전측판부(10) 및 상기 후측판부(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층(15)이 상기 전측판부(10)의 일단부와 타단부 및 상기 후측판부(2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보다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상기 보호층(15)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전측판부(10)의 일단부와 타단부 및 상기 후측판부(20)의 일단부와 타단부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전측판부(10)의 일단부와 타단부 및 상기 후측판부(2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후측판부(20)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후측판부(20)의 전면에도 상기 경계석(5,7)의 후면과 접하는 상기 판부재가 상기 후측판부(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부(10)와 상기 후측판부(20)는 금속, 강화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전측판부(10)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20)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는 일측돌출부재(110)와 타측돌출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돌출부재(110)는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타측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돌출부재(120)는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일측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부(10)의 상기 일측돌출부재(110)와 상기 전측판부(10)의 상기 타측돌출부재(120)로 차량 등의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전측판부(10)의 상기 일측돌출부재(110)와 상기 전측판부(10)의 상기 타측돌출부재(120)가 외부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면서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후측판부(20)는 일측경사판(210)과 타측경사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판(21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판(22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의 중심부와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에 각각 관통구(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관통구(3)를 수평관통하는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축(310)과; 상기 고정축(310)과 나사결합되는 너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부(10)의 중심부와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에 상기 관통구(3)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는 상기 일측돌출부재(110)와 상기 타측돌출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부(20)는 일측경사판(210)과 타측경사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경사판(21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경사판(22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3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는 제 1일측경사판(130)과 제 1타측경사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경사판(13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타측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경사판(14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일측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부(20)는 제 2일측경사판(230)과 제 2타측경사판(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경사판(23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경사판(24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4실시예의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곡선구간에 배치된 경계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는 상기 제 1일측경사판(130)과 상기 제 1타측경사판(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경사판(13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타측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경사판(14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일측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부(20)는 제 2일측경사판(230)과 제 2타측경사판(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경사판(23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20)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5)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경사판(240)은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20)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7)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실시예의 상기 제 2일측경사판(230) 및 상기 제 2타측경사판(240)에 차량바퀴가 부딪힌경우 차량바퀴에 펑크가 나면서 훼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측판부(20)가 상기 제 4실시예처럼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에 상기 관통구(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축(330)과 상기 너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의 시공시간을 단축시켜 시공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개 또는 1개 이상의 상기 고정축(330)의 전측이 상기 전측판부(10)의 후면 중심부에 용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연결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33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후면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측판부(20)의 관통구(3)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에 상기 관통구(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0)는 크게, 고정판(340), 고정대(350) 및 상기 너트(320)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상태인 상기 고정판(34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후면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20)의 중심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350)는 상기 고정판(340)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340)의 후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전후연장형성되어 상기 후측판부(20)의 관통구(3)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350)의 상부외면과 하부외면에는 상기 너트(32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제 6실시예의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의 설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5, 7)의 후측방향에 일정높이로 토사(9)가 충진된 경우 작업자는 망치 등의 타격도구를 이용하여 제 6실시예의 상기 후측판부(20)와 상기 고정부(30)를 타격하여 상기 토사(9)내에 상기 후측판부(20)와 상기 고정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망치 등의 타격도구로 상기 고정축(330)을 타격할 시 상기 고정축(330)으로의 타격력 전달이 용이하지 않게 되나, 망치 등의 타격도구로 상기 고정판(340)과 고정대(350)을 타격할 시 상기 고정판(340)과 고정대(350)로의 타격력 전달이 용이할 수 있어 상기 토사(9)내에 상기 후측판부(20)와 상기 고정부(30)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350)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고정대(350)로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타격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350)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대(350)의 후측에서 상기 후측판부(20)가 정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후측판부(20)의 관통구(3)는 상기 고정대(35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전측판부와 후측판부가 좌우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3)의 내경크기는 상기 고정축(310)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와 상기 후측판부(20)가 상기 관통구(3)의 내경크기만큼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19는 전측판부의 전면에 일예의 표시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1 및 도 22는 표시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에는 상기 전측판부(10)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형광스티커, 형광테이프, 빛반사스티커, 빛반사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에 도포되는 형광페인트, 빛반사페인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40)의 원활한 교체보수를 위해 상기 전측판부(10)의 일측과 상기 전측판부(10)의 타측에 끼움구(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끼움구(4)에 끼움고정되는 고무 재질 등의 탄성력을 가진 끼움돌기(410)와 상기 끼움돌기(410)의 전측에 형성되는 표시판(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판(420)은 상기 전측판부(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에 구비되는 1개의 상기 표시판(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1개의 상기 표시판(420)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각각 상기 끼움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판(420)은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 일측과 상기 전측판부(10)의 전면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1개 이상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판(420)은 운전자 혹은 보행자가 야간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광판 또는 빛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계석(5,7)의 파손을 불러일으키는 홀을 상기 경계석(5,7)에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곡선구간에 배치되는 상기 경계석(5,7) 사이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전측판부(10)로 차량 등의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전측판부(10)가 외부충격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면서 외부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전측판부, 20; 후측판부,
30; 고정부, 40; 표시부.

Claims (12)

  1.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2.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일측돌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방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타측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3.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타측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방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4.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1타측경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일측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일측경사판이 형성되고,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는 상기 후측판부의 타측에서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방향으로 경사형성되는 제 2타측경사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5. 도로의 곡선구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판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과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의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판부와;
    상기 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전면에 밀착고정시키고, 상기 후측판부를 어느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밀착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측에 상기 고정판의 전측에서 상기 고정판의 후측방향으로 전후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측판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와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구를 수평관통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측판부의 중심부에서 상기 후측판부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수평관통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과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판부의 후면과 상기 후측판부의 전면에 각각 보호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판부의 전면에 상기 전측판부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판부에 끼움구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끼움구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끼움돌기의 전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측판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표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은 형광판 또는 빛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12. 삭제
KR1020140170562A 2014-12-02 2014-12-02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KR10168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62A KR101681957B1 (ko) 2014-12-02 2014-12-02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562A KR101681957B1 (ko) 2014-12-02 2014-12-02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30A KR20160066330A (ko) 2016-06-10
KR101681957B1 true KR101681957B1 (ko) 2016-12-07

Family

ID=5619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562A KR101681957B1 (ko) 2014-12-02 2014-12-02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9544B (zh) * 2021-05-21 2022-05-27 浙江中桓建设有限公司 一种乡村公路压顶修边施工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95Y1 (ko) * 2001-12-28 2002-04-13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방음벽용 지주구조
KR101397171B1 (ko) * 2013-04-01 2014-05-19 임동욱 경계석 이탈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390B1 (ko) 2000-11-30 2004-06-25 주식회사 대한건설엔지니어링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0045733A (ko) * 2003-05-09 2003-06-11 강흥식 가드레일용 안전 캡
KR200462877Y1 (ko) 2012-08-31 2012-10-09 유현 경계석 고정장치
KR101569480B1 (ko) * 2013-02-07 2015-11-16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95Y1 (ko) * 2001-12-28 2002-04-13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방음벽용 지주구조
KR101397171B1 (ko) * 2013-04-01 2014-05-19 임동욱 경계석 이탈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30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83B1 (en) Breakaway post slipbase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20180057179A (ko) 도로용 시선 유도봉
US8734047B2 (en) Traffic control marker with mesh base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1681957B1 (ko)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JP6204760B2 (ja) 透光性遮音壁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KR200391860Y1 (ko) 가드레일용 차광판 고정브래킷
KR100436390B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JP3914376B2 (ja) 道路鋲
KR200352001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179546Y1 (ko) 도로안전표지병의 고정장치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101219422B1 (ko) 안전 유도 경계석
KR100845116B1 (ko) 공기층이 형성된 반사체
KR200370448Y1 (ko) 도로 표지병
JP6872448B2 (ja) 道路標識柱
KR200347873Y1 (ko) 도로 표지병
KR20220145079A (ko) 도로 표지병
KR101774987B1 (ko)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