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003A -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 Google Patents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003A
KR20230011003A KR1020210091499A KR20210091499A KR20230011003A KR 20230011003 A KR20230011003 A KR 20230011003A KR 1020210091499 A KR1020210091499 A KR 1020210091499A KR 20210091499 A KR20210091499 A KR 20210091499A KR 20230011003 A KR20230011003 A KR 20230011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guide
expansion
sleev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금자
임윤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원
임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원, 임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원
Priority to KR102021009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003A/ko
Publication of KR2023001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로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고정유닛들과; 상기 지주고정유닛들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연결하는 차단바를 구비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노면으로부터 천공되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굴착공에 매설되는 하부가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외경이 커지는 확장유도부와, 상부가 상기 지주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확장유도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확장유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확장되게 변형되면서 상기 굴착공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주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슬리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Fence for preventing jaywalking}
본 발명은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로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를 분리하거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안전구조물이다.
통상적으로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들과, 지주들을 연결하는 차단바와, 지주들을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주를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63386호에는 휀스 설치 위치에 하부가 쐐기형태로 제작된 말뚝을 일정 깊이 이상 지면에 박아 설치한 후, 말뚝에 본체와 수직지주를 결합도록 구성된 휀스 전도 방지용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휀스 전도방지용 구조물은 차로를 이루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됨에 따라 지면에 대한 고정상태가 헐거워져 작은 충격에도 지주가 지반으로부터 이탈되어 맞은편의 차로로 튕겨나가 2차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63406호에는 콘크리트층에 매설된 기초판 또는 콘크리트층 하방에 위치한 맨땅에 기초봉과 포스트 본체를 상호 볼트결합 하는 휀스용 포스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휀스용 포스트는 콘크리트 층에 매설된 기초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하거나 기초봉이 콘크리트층을 완전히 관통하여 기반암과 같은 맨땅에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설치공수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63386호 : 휀스 전도 방지용 구조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63406호 : 휀스용 포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면의 소재 및 상태와 무관하게 일정한 고정력을 발휘하여 지주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고정유닛들과; 상기 지주고정유닛들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연결하는 차단바를 구비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노면으로부터 천공되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굴착공에 매설되는 하부가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외경이 커지는 확장유도부와, 상부가 상기 지주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확장유도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확장유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확장되게 변형되면서 상기 굴착공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주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슬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방에 마련된 원추 형상의 슬리브확장유도콘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슬리브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의 하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주와 결합될 수 있는 지주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하단으로부터 인입된 확장홈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확장슬리브에 외력이 작용시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을 노면에 고정시키는 확장유도부 고정유닛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커지는 가이드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은 상기 가이드로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은 하부에 상기 가이드콘이 수용될수 있는 가이드콘 수용홈과,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된 작동공이 형성되고,상기 확장유도부 고정유닛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작동공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굴착공의 내주면에 박히는 스파이크부재와,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후퇴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가이드콘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가압력이 인가되는 간섭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뾰족부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스파이크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나선홈에 수용되어 상기 스파이크부재가 진퇴시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회전시키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작동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유도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뾰족부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된 굴착돌기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지주가 결합되는 확장슬리브가 노면의 굴착공에 매설된 확장유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확장유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확장되게 변형됨으로써 노면의 굴착공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노면과의 고정력을 발휘하며 지주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가 차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지주고정유닛이 노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지주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지주고정유닛이 굴착공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확장슬리브가 외력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지주고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절개사시도,
도 9는 도 8의 스파이크부재가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의 노면(1)에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가 설치되는 차로는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가 지반의 상부에 일정한 두께의 표층(2)을 이루도록 포설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1)은 표층(2)의 표면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고정유닛들과, 지주고정유닛들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는 차단유닛(10)을 포함한다.
차단유닛(10)은 지주고정유닛들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11)들과, 지주(11)들을 연결하는 차단바(16)를 구비한다.
지주(11)는 상하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의 지주본체(12)와, 지주본체(12)의 하부에 마련되는 플랜지(13)를 구비한다.
지주본체(12)는 측면에 차단바(16)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는 차단바결합부(14)가 마련된다. 차단바결합부(14)는 지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플랜지(1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랜지(13)는 지주본체(12)보다 외경이 크다. 플랜지(13)는 후술할 지주결합부(38)의 결합볼트부(39)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플랜지 볼트결합공(15)이 관통 형성된다.
차단바(16)는 지주(11)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차단바(16)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연장바(17)들과, 수평연장바(17)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연장바(18)로 이루어진다. 수평연장바(17)는 양 단부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주본체(12)들의 차단바결합부(14)에 각각 결합된다. 수직연장바(18)들은 수평연장바(17)들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나란히 설치된다.
그리고 지주고정유닛들이 설치되는 차로의 표층(2)에는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굴착공(5)이 형성된다. 굴착공(5)은 사용자가 드릴을 이용해 표층(2)을 노면(1)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굴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지주고정유닛은 노면(1)으로부터 천공되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굴착공(5)에 매설되는 하부가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외경이 커지는 확장유도부(20)와, 상부가 상기 지주(11)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확장유도부(20)에 결합되어 상기 확장유도부(20)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확장되게 변형되면서 굴착공(5)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주가 노면(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슬리브(30)를 구비한다.
확장유도부(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21)와, 연장부(21)의 하방에 마련된 원추 형상의 슬리브확장유도콘(24)을 구비한다.
연장부(21)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연장부(21)는 원통 형상이다. 슬리브확장유도콘(24)은 연장부(2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슬리브확장유도콘(24)은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최대 외경은 연장부(21)의 외경보다 크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슬리브확장유도콘(24)은 연장부(2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장부(21)와 일체로 구성된다. 슬리브확장유도콘(24) 및 연장부(21)는 확장슬리브(30)를 통해 전달 충격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금속과 같이 높은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확장슬리브(30)는 연장부(21)에 결합되는 확장부(31)와, 확장부(31)의 상부에 마련되어 지주(11)와 결합될 수 있는 지주결합부(38)를 구비한다. 확장슬리브(30)는 확장부(31)가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확장부(31)는 내부에 연장부(2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32)이 마련되도록 연장부(2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확장부(31)의 내경은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상부의 최소 외경보다 크고,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하부의 최대 외경보다 작다. 이를 통해 외력이 확장슬리브(30)에 하방으로 작용하면 확장부(31)는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커지게 변형된다. 확장부(31)는 하단으로부터 인입된 확장홈(33)이 형성된다. 확장홈(33)은 확장부(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확장홈(33)은 확장부(31)가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외주면을 따라 확장되게 변형되도록 벌어지는 것을 유도하는 소성힌지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지주결합부(38)는 확장부(31)의 상부에 마련된다. 지주결합부(38)는 지주(11)의 플랜지(13)와 볼트결합된다. 지주결합부(38)는 확장부(31)의 상부에 형성된다. 지주결합부(38)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주결합부(38)는 지주(11)의 플랜지(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복수 개의 결합볼트부(39)가 설치된다. 결합볼트부(39)는 너트(37)와 나사결합 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를 차로에 설치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드릴을 이용하여 차로의 표층(2)에 굴착공(5)을 형성한다. 이후, 작업자는 확장유도부(20)의 슬리브확장유도콘(24)이 굴착공(5)의 저면에 맞닿도록 매설하고, 확장슬리브(30)를 연장부(21)에 결합시킨다. 이때 확장슬리브(30)는 확장부(31)의 하부 삽입공간(32)에 연장부(21)가 관통 삽입되어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상부 일부가 수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망치 또는 무게추를 이용하여 확장슬리브(30)의 상부에 하방으로 충격을 가한다. 이를 통해 확장슬리브(30)는 슬리브확장유도콘(24)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커지도록 소성변형된다.
확장슬리브(30)의 확장부(31)는 굴착공(5)의 내주면과 밀착되며 확장슬리브(30)가 굴착공(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지주(11)를 플랜지(13)의 볼트결합공(15)에 결합볼트부(39)가 삽입되도록 결합시키고, 볼트결합공(15)을 관통한 결합볼트부(39)에 너트(37)를 체결시켜 지주(11)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차단바(16)를 상호 이웃하는 지주(11)들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지주(11)가 결합되는 확장슬리브(30)가 노면(1)의 굴착공(5)에 매설된 확장유도부(20)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커지게 변형됨으로써 굴착공(5)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노면(1)과의 고정력을 발휘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지주(11)를 일정한 고정력으로 고정하게 되며 지주(11)가 노면(1)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확장유도부(40)와 확장슬리브(70) 외의 구성이 제 1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확장유도부는 확장슬리브(70)에 외력이 작용시 슬리브확장유도콘(44)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리브확장유도콘(44)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확장유도부 고정유닛과, 연장부(41)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로드(42)와, 가이드로드(42)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커지는 가이드콘(43)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확장유도부(40)는 연장부(41)와 슬리브확장유도콘(44)이 상호 분할된 부재로 구성된다. 연장부(41) 및 슬리브확장유도콘(44)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확장슬리브(70)는 확장부(71)의 확장홈(73) 외의 구성이 제 1실시예의 확장슬리브(30)와 동일하다. 확장부(71)에 형성된 확장홈(73)의 하부 폭은 제 1실시예의 확장홈(33)보다 더 크다. 확장홈(73)은 상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폭이 좁아진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확장홈(73)의 형상은 확장부(31)가 외력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확장부(71)의 단부가 후술할 슬리브확장유도콘(44)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파이크부재(50)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나 이와 다르게 제 1실시예의 확장홈(33)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로드(42)는 연장부(41)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가이드로드(42)는 원기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로드(42)의 외경은 연장부(41)의 외경보다 작다.
가이드콘(43)은 가이드로드(42)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가이드콘(43)은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외경이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부(41)와 가이드로드(42)와 가이드콘(43)은 일체로 구성된 부재이다.
슬리브확장유도콘(44)은 가이드로드(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위해, 슬리브확장유도콘(44)은 내부에 가이드로드(42)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공(45)이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다.
슬리브확장유도콘(44)은 하부에 가이드콘(44)이 수용될수 있는 가이드콘 수용홈(46)이 형성된다. 가이드콘 수용홈(46)은 슬리브확장유도콘(44)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인입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콘 수용홈(46)은 상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내경이 작아진다. 가이드콘 수용홈(46)은 가이드콘(4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리브확장유도콘(44)은 측면으로부터 가이드콘 수용홈(46)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 형성된 작동공(47)이 형성된다. 작동공(47)은 가이드콘 수용홈(46)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단계적으로 커진다. 작동공(47)은 가이드콘 수용홈(46)과 인접한 일측에 후술할 탄성부재(60)가 수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48)와, 탄성부재 수용부(48)보다 내경이 작은 스파이크수용부(49)로 이루어진다.
확장유도부 고정유닛은 일측이 가이드콘 수용홈(46)에 수용되고 타측이 작동공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가이드콘(43)이 가이드콘 수용홈(46)에 수용되면 작동공을 따라 전진하여 굴착공(5)의 내주면에 박히는 스파이크부재(60)와, 스파이크부재(60)를 후퇴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구비한다.
스파이크부재(5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파이크부재(50)는 원통 형상이다. 스파이크부재(50)는 작동공(47)을 따라 굴착공(5)의 내주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가이드콘 수용홈(46)을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파이크부재(50)는 가이드콘(43)이 가이드콘 수용홈(46)에 수용되면 가이드콘(43)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가압력이 인가되는 간섭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뾰족부(53)가 타측에 형성된다.
간섭부(51)는 가이드콘(43)의 외주면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스파이크부재(50)의 일측 단부에 둥글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크부재(50)의 간섭부(51)와 뾰족부(53) 사이에는 스파이크부재(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탄성부재 지지부(55)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지지부재 지지부(55)로부터 뾰족부(53)의 첨단에 이르는 거리는 작동공(47)의 스파이크수용부(49)의 길이보다 더 길다.
탄성부재(60)는 탄성부재 수용부(48)에 설치된다. 탄성부재(60)는 외력에 의해 길이가 짧아지게 변형되면 길이가 복원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된다.
탄성부재(60)는 일측 단부가 탄성부재 지지부(55)에 맞닿고, 타측 단부가 탄성부재 수용부(48)의 전방 내측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스파이크부재(50)는 탄성부재(60)가 발휘하는 복원력에 의해 뾰족부(53)가 슬리브확장유도콘(44)으로부터 굴착공(5)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스파이크부재(50)의 간섭부(51)가 가이드콘(43)을 가압하며 가이드콘(43)이 가이드콘 수용홈(46)으로부터 이탈되게 탄성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확장유도부(40)는 사용자가 확장유도부(40)를 가이드콘(43)의 하면이 굴착공(5)의 저면에 맞닿도록 굴착공(5)에 매설한 상태에서 확장슬리브(70)를 연장부(41)에 결합하고, 망치 또는 무게추를 이용하여 확장슬리브(70)의 상부에 하방으로 충격을 가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슬리브(70)를 통해 슬리브확장유도콘(44)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슬리브확장유도콘(44)이 가이드로드(42)를 따라 가이드되며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콘(43)이 가이드콘 수용홈(46)에 수용되도록 슬리브확장유도콘(44)과 가이드콘(43)이 상호 결합된다.
가이드콘(43)이 가이드콘 수용홈(46)에 수용됨에 따라 가이드콘(43)의 외주면이 스파이크 스파이크부재(50)의 간섭부(51)를 가압하게 되면 스파이크부재(50)가 전진진한다. 스파이크부재(50)는 스파이크수용부(49)를 따라 굴착공(5)의 내주면을 향해 전진하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부(53)가 표층(2)에 박힌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슬리브확장유도콘(43)으로부터 돌출되는 스파이크부재(50)가 노면(1)에 박힘으로써 슬리브확장유도콘(43)이 굴착공(5) 내에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차단유닛(10)이 노면(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8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확장유도부(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는 회전유도부와 스파이크부재(50) 외의 구성이 제 2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파이크부재(50)는 외주면에 나선홈(56)이 형성된다. 나선홈(56)은 스파이크부재(50)의 탄성부재 지지부(55)와 뾰족부(53) 사이의 길이영역에 형성된다. 나선홈(56)은 스파이크부재(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진행되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확장유도부(40)는 스파이크부재(5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스파이크부재(5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부를 더 구비한다.
회전유도부는 스파이크부재(50)의 나선홈(56)에 수용되도록 작동공(47)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유도돌기(65)로 이루어진다. 회전유도돌기(65)는 작동공(47)의 스파이크수용부(49)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회전유도돌기(65)는 스파이크부재(50)가 후퇴된 상태에서 나선홈(56)의 전방 일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회전유도돌기(65)는 나선홈(56)에 수용되어 스파이크부재(50)가 진퇴시 스파이크부재(50)를 회전시키게 가이드한다. 스파이크부재(50)가 가이드콘(44)에 의해 가압되어 전진하면, 회전유도돌기(65)는 나선홈(56)의 나선방향을 따라 스파크부재(50)를 회전시킨다.
스파이크부재(50)의 뾰족부(53)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된 굴착돌기(57)가 형성된다. 굴착돌기(57)는 뾰족부(53)의 진행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진행되는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굴착돌기(57)는 나선홈(56)의 나선방향과 동일한 나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의 스파이크부재(50)는 굴착공(5)의 내주면을 향해 전진시 회전유도부에 의해 뾰족부(53)와 굴착돌기(57)가 회전하게 되며 드릴과 같이 표층(2)을 파고듦으로써 스파이크부재(50)가 표층(2)에 효과적으로 박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노면 5 : 굴착공
10 : 차단유닛 20, 40 : 확장유도부
30, 70 : 확장슬리브

Claims (4)

  1. 차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고정유닛들과;
    상기 지주고정유닛들에 각각 설치되는 지주들과, 상기 지주들을 연결하는 차단바를 구비하는 차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노면으로부터 천공되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굴착공에 매설되는 하부가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외경이 커지는 확장유도부와, 상부가 상기 지주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확장유도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확장유도부의 외주면을 따라 외경이 확장되게 변형되면서 상기 굴착공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지주가 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하방에 마련된 원추 형상의 슬리브확장유도콘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슬리브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의 하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주와 결합될 수 있는 지주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장부는 하단으로부터 인입된 확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확장슬리브에 외력이 작용시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을 노면에 고정시키는 확장유도부 고정유닛과,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로드와, 상기 가이드로드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커지는 가이드콘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은 상기 가이드로드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확장유도콘은 하부에 상기 가이드콘이 수용될수 있는 가이드콘 수용홈과,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관통된 작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유도부 고정유닛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공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작동공을 따라 전진하여 상기 굴착공의 내주면에 박히는 스파이크부재와,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후퇴시키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상기 가이드콘이 상기 가이드콘 수용홈에 수용되면 상기 가이드콘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가압력이 인가되는 간섭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의 뾰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도부는 상기 스파이크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파이크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나선 형상으로 연장된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부는 상기 나선홈에 수용되어 상기 스파이크부재가 진퇴시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회전시키게 가이드하도록 상기 작동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유도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뾰족부는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된 굴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1020210091499A 2021-07-13 2021-07-13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KR20230011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99A KR20230011003A (ko) 2021-07-13 2021-07-13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499A KR20230011003A (ko) 2021-07-13 2021-07-13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003A true KR20230011003A (ko) 2023-01-20

Family

ID=8510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499A KR20230011003A (ko) 2021-07-13 2021-07-13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0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22B1 (ko) * 2023-07-14 2023-11-29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06B1 (ko) 2005-10-31 2007-10-05 (주)이원캐스팅 휀스용 포스트
KR20090063386A (ko) 2007-12-14 2009-06-18 권택철 휀스 전도 방지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406B1 (ko) 2005-10-31 2007-10-05 (주)이원캐스팅 휀스용 포스트
KR20090063386A (ko) 2007-12-14 2009-06-18 권택철 휀스 전도 방지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922B1 (ko) * 2023-07-14 2023-11-29 주식회사 이에스씨솔루션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2659B1 (en) Anchor post
KR101978160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방지장치
KR101985956B1 (ko) 교차 경사면의 최대 확장성을 적용한 쐐기 지압형 앵커
KR20230011003A (ko) 무단횡단 방지용 펜스
WO2019008525A1 (en) GROUND ANCHORING DEVICE FOR ROAD SAFETY BARRIER POSITIONS
KR101648183B1 (ko)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742292B1 (ko) 지주용 지지장치
KR20130089225A (ko) 선지보 빔을 이용한 초천층 터널 공법
KR101506163B1 (ko) 자동확장 철근과 급결분사방식을 이용한 개량형 cip구조 및 이를 이용한 철골 회수공법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KR102249947B1 (ko) 회수가능한 수평파일과 굴착면의 경사도를 이용한 비개착공법
KR101241351B1 (ko) 정착력이 우수한 네일 및 그 네일을 이용한 네일링 시공 방법
KR20200082401A (ko) 수직 및 수평변이를 억제한 모노레일 지주
KR100402890B1 (ko) 락볼트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2200720B1 (ko) 도로 원형 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 시공 방법
KR100384939B1 (ko) 나사형 방호울타리 지주
CN109577245B (zh) 一种道路隔离桩及施工方法
JP7084798B2 (ja) 道路用防護柵の基礎部材及び道路用防護柵並びにその構築工法
KR101865075B1 (ko) 마이크로 파일의 파형 그라우팅 구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KR101887833B1 (ko) 어스앵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40854B1 (ko) 가드레일용 지주구조체 및, 시공방법
JPH0768687B2 (ja) 標識支柱の補修方法
IT201900018344A1 (it) Dispositivo ausiliario di rinforzo terreni e relativo metodo di rinforzo terreni mediante tale dispositivo ausiliario
EP2298999A2 (en) Crash barrier anchoring and method for anchoring of crash barriers
KR20190131339A (ko) 히치네일이 구비된 철근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