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183B1 -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183B1
KR101648183B1 KR1020140164535A KR20140164535A KR101648183B1 KR 101648183 B1 KR101648183 B1 KR 101648183B1 KR 1020140164535 A KR1020140164535 A KR 1020140164535A KR 20140164535 A KR20140164535 A KR 20140164535A KR 101648183 B1 KR101648183 B1 KR 10164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rail
auxiliary
strut
support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752A (ko
Inventor
최재혁
손호성
임정빈
Original Assignee
(주) 유창스틸산업
주식회사 강원에스텍
임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창스틸산업, 주식회사 강원에스텍, 임정빈 filed Critical (주) 유창스틸산업
Priority to KR102014016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지주를 사용하여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을 증가시킨 가드레일 구조물 및 기존 가드레일 지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은, 도로의 일측에 상기 도로를 따라 설치되거나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상기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각각이 설치된 도로의 뒤쪽 사면에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되고,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조 지주;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보조 지주 각각은,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연결되는 주 브라켓; 상기 보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지주의 단면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주 브라켓 및 보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주가 받는 최대 하중이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으로 작용하다.

Description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Guard rail structure having auxiliary bra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행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레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이 설치되는 가드레일 지주의 뒤쪽 사면에 보조 지주를 설치하여 보조 지주가 가드레일 지주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 지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증가시킨 가드레일 구조물과 그 설치방법, 및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드레일 구조물은 도로변에 설치되며,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주행도로를 이탈하여 2차적인 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는 도로 시설물이다.
가드레일 구조물이 충분한 강도를 갖지 못한 경우, 차량이 가드레일 구조물을 타고 넘거나 관통하여 추락하는 등 심각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가드레일 구조물의 충돌 하중은 횡방향 부재(레일)와 횡방향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가 분담하여 저항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지중에 매입되는 가드레일 지주의 경우 설치되는 지반의 상태 및 노측 사면(경사)의 상태에 따라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전체 가드레일 구조물의 충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가드레일 지주(10)는 도 1과 같이 도로(1) 쪽에서 차량 충돌시 횡방향 하중(F)에 저항하며 이때의 가드레일 지주(10)의 거동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뉘다.
먼저, 도 2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0)가 휨에 의해 항복(파괴)하는 경우로서 가드레일 지주(10)가 설치된 지반이 충분한 저항 능력을 발휘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휨 모멘트가 최대인 깊이를 중심(B)으로 가드레일 지주(10)의 휨이 발생한다. 다음으로는 도 3과 같이 가드레일 지주(10)의 변형은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일정 깊이를 회전 중심(R)으로 가드레일 지주(10)가 회전하는 현상으로 지반이 약한 경우에 발생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첫번째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드레일 지주(10)의 설치 깊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가드레일 지주(10)와 지반이 접촉하는 단면적을 증가시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가드레일 지주(10)가 회전하여 지반을 파괴하는 경우에, 설치 깊이를 충분히 증가시켜 도 2와 같은 가드레일 지주(10)의 휨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가드레일 지주(10)가 휘는 지점(B)이 깊어질수록 가드레일 지주(10)가 지지할 수 있는 횡방향 하중이 감소하므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에 추가로 보강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사면 유실 등이 발생하여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지반의 토사가 제거된 경우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강 지주(12)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 4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0) 내부에 보강 지주(12)를 삽입하여 가드레일 지주(10)의 휨 강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서, 도 3과 같이 가드레일 지주(1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지지력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며, 지반의 지지력이 강하여 가드레일 지주(10)가 휨에 의한 저항능력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에 추가로 보강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사면 유실 등이 발생하여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지반의 토사가 제거된 경우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번째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토압판(14)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 5와 같이 토압판(14)을 이용하여 가드레일 지주(10)와 지반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드레일 지주(10)가 지반에 작용하는 힘을 넓게 분산시켜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의 경우 소정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토압판(14)의 폭이 충분히 넓어야 하며 이 경우 토압판(14)의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토압판(14)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반이 약한 경우 토압판(14)의 두께 및 깊이를 많이 증가시켜야 하므로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에 추가로 보강하는 경우 시공이 어려우며, 사면 유실 등이 발생하여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지반의 토사가 제거된 경우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네번째로, 가드레일 지주(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사면 보강에 주로 사용하는 어스 앵커(16)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확실한 지지력을 보장할 수 있으나, 천공 및 그라우팅을 위한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며, 근입장이 길어질 경우 도로 포장층으로 근입되어 차량 충돌시 도로 포장층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에 추가로 보강하는 경우 장비 진입 및 시공 공간의 협소 등으로 인해 시공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이 편리하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도로 일측의 사면측에 소정의 깊이로 보조 지주를 설치하고 가드레일 지주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보조 지주가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을 작용하도록 하여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레일 구조물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 상기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
상기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및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각각이 설치된 도로의 뒤쪽 사면에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되고,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 각각을 지지하는 복수의 보조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조 지주 각각은,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연결되는 주 브라켓;
상기 보조 지주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지주의 단면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구비한 보조 브라켓; 및
상기 주 브라켓 및 보조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지주가 받는 최대 하중이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주 브라켓 또는 보조 브라켓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거나 강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 일측의 지반에 가드레일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연결부재의 주 브라켓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재의 보조 브라켓의 관통 구멍을 통해 보조 지주를 항타하여 박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상기 도로의 뒤쪽 사면에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되고,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구조물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 일측에 기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에서 가드레일의 연결 볼트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연결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연결부재의 주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브라켓의 관통 구멍을 통해 보조 지주를 항타하여 박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상기 도로의 뒤쪽 사면에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되고, 상기 가드레일 지주와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구조물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을 이용하면, 보조 지주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하중이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을 충분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주의 매입 깊이나 보조 지주의 직경 등을 조절하면 필요한 지지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하는 경우, 종래의 가드레일 지주에 보조 지주를 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강 공사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 공사시 기존의 가드레일 구조물이나 도로 포장층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가드레일 지주가 사면에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나, 사면의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도 충분한 지지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드레일 지주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가드레일 지주가 휨 항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지반이 파괴되어 가드레일 지주가 회전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내부 보강 지주를 사용하여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토압판을 사용하여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어스 앵커를 사용하여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의 측면도;
도 9는 도 7의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에서 연결부재의 주 브라켓을 가드레일 지주에 받쳐 놓은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에서 보조 지주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사면에서 이격된 가드레일 지주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사면의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연결위치가 다른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6은 기존의 가드레일 구조물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의 보조 지주를 설치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기존의 가드레일 지주의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연결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100)은 가드레일(101),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110), 및 복수의 보조 지주(120)를 포함한다.
가드레일(101)은 충돌하는 차량과 접촉하여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W자 빔과 트리 빔(thrie) 등이 사용된다. 가드레일(10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드레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110)는 가드레일(101)을 지지하여 충돌하는 차량에 대해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각 가드레일 지주(110)는 도로(1)의 일측의 지반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며, 원형 파이프, H형 빔, 사각 파이프 등이 사용된다.
복수의 보조 지주(120)는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1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110) 각각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보조 지주(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가드레일 지주(110)에 대해 적어도 한 개의 보조 지주(120)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지주(120)는 가드레일 지주(110)가 설치된 도로(1)의 사면(3)에 가드레일 지주(110)와 평행하거나 경사지게 소정 깊이로 설치된다. 보조 지주(120)는 가드레일 지주(110)와 동일하게 원형 파이프, H형 빔, 사각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드레일 구조물(100)에 차량이 충돌하여 하중(F)이 가해지면, 가드레일(101)을 지지하는 가드레일 지주(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아래의 일정 깊이를 기준으로 휘거나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드레일 지주(110)가 설치된 지반이 파괴된다. 도 2, 도 3 및 도 8에서는 가드레일 지주(110)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의 범위를 점선(L)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점선(L)은 가드레일 지주(110)에 의한 지반의 파괴선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지주(120)가 가드레일 지주(110)에 충분한 지지력을 주기 위해서는 보조 지주(120)는 가드레일 지주(110)에 의한 지반의 파괴 범위를 벗어난 곳, 즉 도 8에서 파괴선(L)을 벗어난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보조 지주(120)는 가드레일 지주(110)에 충분한 지지력을 주기 위해 가드레일 지주(110)가 설치된 도로(1)의 뒤쪽 사면(3)에 가드레일 지주(110)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와 중첩되지 않도록 가드레일 지주(1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보조 지주(120)의 매입 깊이나 직경, 매입방향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가드레일 지주(110)에 필요한 지지력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보조 지주(120)와 가드레일 지주(110)는 연결부재(130)로 연결되어 있어 가드레일 지주(110)에 작용하는 하중이 보조 지주(120)로 전달하게 되며, 연결부재(130)는 사각 파이프, 원형 파이프, 강봉 등 다양한 부재 및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30)의 일단에는 주 브라켓(140)이 마련되며, 보조 지주(12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30)의 타단에는 보조 브라켓(150)이 마련된다.
주 브라켓(140)은 고정판(141)과 상기 고정판(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45)로 구성된다. 고정판(141)은 연결부재(13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가드레일 지주(110)의 후면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고정판(141)의 일면에는 연결부재(13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부(143)가 마련되고, 가드레일 지주(110)를 마주하는 면의 양측에는 결합부재(145)를 결합할 수 있는 고정 구멍(미도시)이 마련된다. 연결부재(130)의 일단(131)에는 힌지부(143)와의 결합을 위하여 힌지구멍(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판(141)의 힌지부(143)에 연결부재(130)의 일단(131)을 삽입하고, 힌지축(133)을 삽입하면 고정판(141)이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결합부재(145)는 가드레일 지주(110)의 전면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고정판(141)의 2개의 고정 구멍(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결합부재(145)로 U-볼트를 사용하며, 2개의 너트(144)로 U-볼트(145)와 고정판(141)을 결합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부재(145)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결합부재(145)를 고정판(141)과 유사한 형태로 얇은 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후, 2개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판(141)의 고정 구멍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판(141)과 결합부재(145)는 가드레일 지주(110)에 대해 미끌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주 브라켓(140)이 가드레일 지주(110)에 결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45)인 U-볼트로 체결하지 않고, 주 브라켓(140)이 가드레일 지주(110)를 단순히 받치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보조 브라켓(150)은 보조 지주(1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의 관통공(151)을 갖는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지주(120)가 원형 파이프일 때, 보조 브라켓(150)은 보조 지주(120)가 삽입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보조 지주(120)가 사각 파이프이거나 H 빔인 경우에는 보조 브라켓(150)의 관통 구멍(151)은 보조 지주(120)의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보조 지주(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짧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브라켓(150)과 보조 지주(120)는 억지끼움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9에는 보조 브라켓(150)이 링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보조 브라켓(150)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30)와 연결되는 힌지부(153)가 마련된다. 연결부재(130)의 타단(132)에는 보조 브라켓(150)의 힌지부(153)와의 결합을 위하여 힌지 구멍(미도시)이 마련된다. 따라서, 보조 브라켓(150)의 힌지부(153)에 연결부재(130)의 타단(132)을 삽입하고, 힌지 구멍에 힌지축(133)을 삽입하면 보조 브라켓(150)이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도 9에서는 보조 브라켓(150)은 보조 지주(120)를 삽입하고 항타하여 설치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보조 브라켓(15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브라켓(150)은 상술한 주 브라켓(140)과 동일하게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보조 브라켓(150)을 도 9와 같이 일체형으로 한 경우에는 작업하기 어려운 도로의 사면에 작업자가 접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주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150)이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주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150)은 연결부재(13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고정된 형태, 즉 강결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주 브라켓(140)과 보조 브라켓(15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부재(130)에 결합하면, 다양한 사면 경사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100)은 보조 지주(120)가 받는 최대 하중이 가드레일 지주(110)에 반력으로 작용하므로, 가드레일 지주(110)의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100)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와 보조 지주(120)의 다양한 설치관계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에서 보조 지주를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사면에서 이격된 가드레일 지주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사면의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지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연결위치가 다른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상에서는 보조 지주(120)가 가드레일 지주(110)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보조 지주(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지주(120)를 경사면(3)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하면 평지에 보조 지주(120)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지지력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보조 지주(120)를 경사지게 설치하면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보다 지반 파괴 범위를 널게 할 수 있으므로 지지력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지주(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가 사면(3)에서 일정 거리(d)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가 사면(3)과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는 주 브라켓(140)이 지면(1)에 접촉하거나 근접한 위치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주 브라켓(140)이 지면(1)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에 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외의 다른 구성이나 설치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지주(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가 설치된 지반 부근(5)의 토사가 유실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주 브라켓(140)이 노출된 지면(5)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에 고정된다는 점이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외의 다른 구성이나 설치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지주(120)는 보강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 지주(110)와 연결부재(130)의 결합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가드레일 지주(110)에 작용하는 보조 지주(120)의 반력 작용점이 높아지게 되므로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대해 도 7, 도 8,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로 일측의 지면(1)에 가드레일 지주(110)를 설치한다(S1310). 가드레일 지주(110)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드레일 지주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레일 지주(110)를 항타하여 지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가드레일 지주(110)에 연결부재(130)의 주 브라켓(140)을 결합한다(S1320). 이때, 연결부재(130)에 연결된 주 브라켓(140)의 고정판(141)을 가드레일 지주(110)의 후면에 대고, 결합부재(145)인 U-볼트를 가드레일 지주(110)의 전면에서 가드레일 지주(1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한 후, U-볼트(145)의 양단을 고정판(141)의 고정 구멍에 삽입한 후 너트(144)로 고정하면, 주 브라켓(140)이 가드레일 지주(11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주 브라켓(140)에 연결된 연결부재(130)를 사면(3)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150)의 관통 구멍(151)에 보조 지주(120)를 항타하여 사면(3)에 박는다(S1330). 그러면, 보조 지주(120)가 연결부재(130)의 보조 브라켓(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면(3)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보조 브라켓(150)에 보조 지주(120)를 항타하여 설치하면, 보조 지주(120)에 별도의 결합부재를 고정하여 연결부재(130)에 나사 결합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면에서 작업자가 연결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끝으로, 이상과 같이 설치된 복수의 가드레일 지주(110)에 가드레일(101)을 결합하면, 가드레일 구조물(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이 기준 지지력에 미달되어 가드레일 지주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가드레일 지주를 보강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드레일 지주를 새로 설치하는 대신,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의 일측에 적어도 한 개의 보조 지주를 설치한다. 이하,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 구조물에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하여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방법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로 일측의 지반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가드레일 구조물의 가드레일 지주(10)에서 가드레일(11)의 연결 볼트(15)를 분리한다(S1410).
이어서, 상기 연결 볼트(15)를 이용하여 상기 가드레일 지주(10)에 연결부재(130)의 주 브라켓(140)을 결합한다(S1420). 이때, 주 브라켓(140)은 연결 볼트(15)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결 볼트(15)를 주 브라켓(140)의 고정 구멍에 삽입한 후, 너트로 체결하면 연결부재(130)가 가드레일 지주(10)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주 브라켓(140)에 연결된 연결부재(130)를 사면(3)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브라켓(150)의 관통 구멍(151)에 보조 지주(120)를 항타하여 사면(3)에 박는다(S1430). 그러면, 보조 지주(120)가 연결부재(130)의 보조 브라켓(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면(3)에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조 지주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 지주에 시공하면,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기존 가드레일 지주나 도로 포장층에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도로(지면) 3; 사면
10,110; 가드레일 지주 11,101; 가드레일
12; 보강 지주 14; 토압판
120; 보조 지주 130; 연결부재
140; 주 브라켓 141; 고정판
145; 결합부재 150; 보조 브라켓
151; 관통 구멍 153; 힌지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도로 일측의 지반에 가드레일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연결부재의 주 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재의 보조 브라켓의 관통 구멍을 통해 보조 지주를 항타하여 박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가 설치된 상기 도로의 뒤쪽 사면에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의해 파괴되는 지반 범위를 벗어난 곳에 경사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상기 보조 지주를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주 브라켓의 고정판을 가드레일 지주의 후면에 대고 결합부재인 U-볼트를 가드레일 지주의 전면에서 가드레일 지주의 외주를 감싸도록 한 후, U-볼트의 양단을 고정판의 고정 구멍에 삽입한 후 너트를 고정하여 주 브라켓이 가드레일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가드레일 지주의 후방 사면에 설치되되, 항타에 의해 상기 보조 브라켓이 연결되는 상부 부분을 제외한 하부 부분이 지중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연결된 주 브라켓, 상기 보조 지주에 연결된 보조 브라켓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주 브라켓은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연결부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가드레일 지주의 후면에 접촉하여 지지하고,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는 연결부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를 마주하는 면의 양측에는 결합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고정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는 힌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판의 힌지부에 연결부재의 일단을 삽입하고 힌지축을 삽입하여 고정판이 연결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가드레일 지주의 전면에서 가드레일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설치되며, 고정판의 2개의 고정 구멍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의 일측에는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는 보조 브라켓의 힌지부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 구멍이 마련되며, 보조 브라켓의 힌지부에 연결부재의 타단을 삽입하고, 힌지 구멍에 힌지축을 삽입하여 보조 브라켓이 연결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가드레일 지주에 반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주 브라켓과 보조 브라켓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다양한 사면 경사에 대해 적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구조물의 설치방법.
  4. 삭제
KR1020140164535A 2014-11-24 2014-11-24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64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535A KR101648183B1 (ko) 2014-11-24 2014-11-24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535A KR101648183B1 (ko) 2014-11-24 2014-11-24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52A KR20160061752A (ko) 2016-06-01
KR101648183B1 true KR101648183B1 (ko) 2016-08-12

Family

ID=5613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535A KR101648183B1 (ko) 2014-11-24 2014-11-24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43Y1 (ko) 2016-09-20 2017-08-16 주식회사 포유텍 윙 포스트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용 보강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39B1 (ko) 2016-07-05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701782B1 (ko) * 2016-07-18 2017-02-02 윤강 지주의 지지력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KR101707140B1 (ko) 2016-08-18 2017-02-15 정도산업 주식회사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2216085B1 (ko) 2019-05-24 2021-02-16 케이아이산업개발(주) 가드레일 보강장치
KR102120997B1 (ko) * 2019-07-16 2020-06-09 주식회사 웰콘 지주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466232B1 (ko) * 2021-02-03 2022-11-11 주식회사 새로운길 위치 조절식 지지력 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892Y1 (ko) * 1993-02-15 1995-11-23 남선희 난간용 지주에 있어서의 연결부재의 구조
KR100367121B1 (ko) * 2000-11-10 2003-01-09 (주)광산엠.티.시 다목적 써레장착구
KR101395136B1 (ko) * 2011-11-11 2014-05-15 재 술 나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71974A (ko) * 2011-12-21 2013-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 검출기의 위치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243Y1 (ko) 2016-09-20 2017-08-16 주식회사 포유텍 윙 포스트를 이용한 차량방호울타리용 보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752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183B1 (ko) 보조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707140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640859B1 (ko) 가드레일 지주의 지지력 보강 구조
JP4936232B2 (ja) 雪崩・落石等防護体
KR101451555B1 (ko) 회동방지기능을 갖는 가드레일포스트
KR101707139B1 (ko) 가드레일 지지력 보강장치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AU2018295529A1 (en) Device for anchoring safety road barrier poles to the ground
KR102242411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지지력 보강장치
KR101557735B1 (ko) 가드레일 지주 보강용 지중 앵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283689B1 (ko) 교통안전시설물의 지주보강구조
JP2011007033A (ja) 防護柵用支柱
JP2015148148A (ja) 既設の地覆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取替え用の橋梁用防護柵支柱
KR101334279B1 (ko) 보강브라켓이 구비된 차량 방호책
KR101181365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KR102120997B1 (ko) 지주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EP3918133A1 (en) Road restraint system with elements for anchorage of the poles to improve performance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253579B1 (ko) 가드레일 지주 보강 구조체
KR102055189B1 (ko)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JPH11350433A (ja) 落下物抑止用杭
KR101825387B1 (ko) 연성토용 지주 및 상기 지주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11157715A (ja) 防護柵
KR102466232B1 (ko) 위치 조절식 지지력 보강장치
KR102631602B1 (ko) 곡선타입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 지주 지지력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3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4

Effective date: 20160713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4

Effective date: 201607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