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840B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40B1
KR101101840B1 KR1020080109647A KR20080109647A KR101101840B1 KR 101101840 B1 KR101101840 B1 KR 101101840B1 KR 1020080109647 A KR1020080109647 A KR 1020080109647A KR 20080109647 A KR20080109647 A KR 20080109647A KR 101101840 B1 KR101101840 B1 KR 10110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ad
anchor bolt
insertion portion
road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654A (ko
Inventor
김영동
Original Assignee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종합안전(주) filed Critical 제일종합안전(주)
Priority to KR102008010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상태로 사출·성형되고, 저면 내부가 빈 상태에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 수직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다각형의 헤드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 및; 내부가 관통되고 외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가 본체부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한 도로 표지병을 구성함으로써, 본체부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도로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자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하고,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구에 의해 회전하지 않고, 긴밀하게 삽입·고정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 저면의 빈 내부는 충진재로 충진하거나, 본체부 저면을 마감판으로 막아 사용하여, 본체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앵커볼트가 삽입된 삽입부 상부는 덮개부로 막아 마감하여 도로 표지병의 외면을 마감한다.
도로, 중앙선, 차선, 도로 표지병, 천공, 도로용 에폭시 접착제

Description

도로 표지병 { road stud }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에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상태로 사출·성형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 및; 상기 본체부 하부로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도로 표지병을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하여 본체부 및 고정구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 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구를 긴밀하게 삽입·고정하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을 따라 설치되는 도로 표지병은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도로 표지병의 반사체가 불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구획선을 뚜렷이 식별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역할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제작되어, 포장된 도로의 구획차선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데, 통상적으로는 외측면에 반사체를 구비한 몸체에 하부로 볼트 등의 고정부로 형성됨으로써, 포장된 도로 면의 구획차선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천공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고정부를 박아 고정하되,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를 구멍 및 몸체 저면에 도포하여 도로 면과 도로 표지병을 일체로 접착·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몸체를 합성수지재 등으로 단순히 사출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주행하는 자동차 등의 무거운 중량체에 도로 표지병이 깔리게 될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해 몸체가 파손되어 지속적으로 보수를 해야됨은 물론, 그로 인한 자원의 낭비 및 유지·보수비용의 과도한 지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료비의 절감 및 경량화를 위해 본체 저면이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강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도로와 접하는 면의 표면장력이 약하기 때문에 도로로 침하하는 현상이 일어나, 그 위를 지나는 자동차의 주행 충격으로 인해 도로 표지병의 본체가 파손되거나, 침하로 인해 야간주행 시 빛의 반사율이 낮아져 정확한 유도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부의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사출구조로 성형하여 본체부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구를 형성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삽입·고정하는 동시에 본체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도로 표지병을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에,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상태로 사출·성형되고, 저면 내부가 빈 상태에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 수직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다각형의 헤드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 및; 내부가 관통되고 외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가 본체부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한 도로 표지병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 저면의 빈 내부는 충진재로 충진하거나, 본체부 저면을 마감판으로 막아 사용하며, 앵커볼트가 삽입된 삽입부 상부는 덮개부로 막아 마감한다.
이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로 보강철판이 매입되고,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본체부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도로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자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하고,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구가 도로 표지병이 회전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삽입·고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내부를 충진하거나 개방된 저면을 막아 본체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앵커볼트 상부를 덮개부로 마감하여 도로 표지병의 외면을 마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에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상태로 사출·성형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 및; 상기 본체부 하부로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도로 표지병을 구성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하여 본체부 및 고정구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 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구를 긴밀하게 삽입·고정하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내부로 보강철판이 일체로 매입된 상태로 사 출·성형되고, 저면 내부가 빈 상태에서 보강리브가 형성되며, 내부 중앙 수직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다각형의 헤드를 가지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수직 입설되는 앵커볼트 및; 내부가 관통되고 외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된 한 쌍의 고정구가 본체부 하부로 돌출된 앵커볼트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한 도로 표지병을 구성함으로써, 본체부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도로 표지병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자원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하고,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구가 도로 표지병이 회전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삽입·고정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 저면의 빈 내부는 충진재로 충진하거나, 본체부 저면을 마감판으로 막아 사용하여, 본체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앵커볼트가 삽입된 삽입부 상부는 덮개부로 막아 마감하여 도로 표지병의 외면을 마감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을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은, 크게 도로 상부로 노출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앵커볼트(20) 및 상기 앵커볼트(20)를 감싸는 고정구(30)로 구성되는데, 이들 각 구성요소를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본체부(10)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에, 측면으로는 반사체(19)가 연결되고, 그 저면 내부가 비어 개방되며, 내부 중앙으로는 내부가 관통된 기둥형상의 삽입부(11)가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1)는 후에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0) 상부면은 삽입부(11)를 따라 일정 폭으로 홈이 파인 볼트 수용홈(11a)이 형성됨으로써, 이에 삽입되는 앵커볼트(20)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하고, 삽입부(11)의 하단은 후에 연결되는 너트(33) 형태로 홈이 파인 너트 수용홈(11b)을 형성함으로써, 이에 연결되는 너트(33)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빈 내부로는 격자형태로 구성된 기둥형태의 보강리브(16)가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내부가 빈 본체부(10)가 상기 보강리브(16)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6)의 하단은 일정간격마다 홈이 파인 끼움홈(17)이 형성되며, 본체부(10)의 개방된 저면과 동일한 크기의 판 형태에 삽입부(11) 및 보강리브(16) 최하단과 동일한 위치로 홈이 파인 마감판(18)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감판(18)으로 본체부(10) 저면을 막아 삽입부(11) 및 끼움홈(17)에 마감판(18)을 끼움·고정하는 방법으로 막음으로써, 본체부(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부(10) 저면과 도로의 접촉면적을 넓혀,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게 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마감판(18)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부(10)의 빈 내부로는 각종 충진재로 충진할 수도 있는데, 고무 혹은 합성수지 재질의 충진재를 각 보강리브(16) 사이로 충진해 마감함으로써, 본체부(10) 내부를 채워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높은 표면장력을 가지게 해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본체부(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되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다이캐스팅하여 형성되며, 그 내부로 보강철판(13)이 매입되어,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이러한 보강철판(13)을 매입하는 방법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이 볼트 수용홈(11a) 형태로 절곡되고 삽입부(11) 크기로 관통된 판 형태에, 절곡된 부분 양측으로 한 쌍의 고정공(14)이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전면이 일정간격마다 관통된 충진공(15)을 형성한 보강철판(13)을 금형틀(미도시) 내부로 구비한 다음, 상기 금형틀에 합성수지 용융액을 고압으로 충진하여, 본체부(10)를 사출·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철판(13)은 각 고정공(14)으로 금형틀이 삽입·고정됨으로써, 합성수지 용융액의 충진 시 보강철판(13)이 회전하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작을 정확히 하며, 보강철판(13)의 각 충진공(15)으로 합성수지 용융액이 골고루 충진되어, 본체부(10) 내부로 보강철판(13)이 확실하게 밀착하여 매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부(10)의 삽입부(11)로는 다각형의 헤드를 가지는 앵커볼트(20)가 삽입되어 관통하며, 이렇게 관통하여 본체부(10) 하부로 노출된 앵커볼트(20)는 다수개의 고정구(30)로 다단으로 감싸 고정하게 된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30)는 내부가 관통된 일정길이의 원기둥 형태를 가지고, 그 외측면으로는 반구형태로 돌출된 고정돌기(3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타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양측면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31)는 동일한 길이로 고정구(3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고정구(30)가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는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구(30)의 하부로는 일정크기로 홈이 파인 유입홈(32)이 형성됨으로써, 후에 상기 유입홈(32)을 통해 도로 접착제 또는 도로용 에폭시 접착제 등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구(30)는 앵커볼트(20)를 다단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부로 구비되는 상단고정구(30a)와 하부로 구비되는 하단고정구(30b)로 각각 형성되는데, 먼저, 상단고정구(30a)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구(30a) 상부면을 따라 연결된 판 형태의 받침틀(34)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틀(34)은 상부고정구(30a)와 연결되는 날개힘살(34′)이 더 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며, 이러한 받침틀(34) 상부로는 다각형상에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33)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하단고정구(30b)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35)이 형성됨으로써, 후에 연결되는 앵커볼트(20)가 이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도로 표지병(1)의 각 구성요소인 본체부(10)와 앵커볼트(20) 및 고정구(30)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도6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반사체(19)가 연결된 본체부(10)의 삽입부(11) 내부로 앵커볼트(20)를 삽입·관통시켜 앵커볼트(20)의 헤드가 볼트 수용홈(11a)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앵커볼트(20)를 본체부(10) 하부로 구비된 상단고정구(30a) 및 하단고정구(30b)에 차례로 연결·고정한다.
상기 본체부(10) 하부로 구비되는 고정구(30)를 살펴보면, 먼저, 상단고정구(30a)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33)가 너트 수용홈(11b) 내부로 삽입·고정되고, 이에 연속하여 하단고정구(30b)가 접하는데, 삽입부(11)를 관통한 앵커볼트(20)는 상단고정구(30a)의 너트(33)에 체결되면서 상단고정구(30a)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하며, 상단고정구(30a)를 통과한 앵커볼트(20)의 단부는 곧바 로 하단고정구(30b) 내부로 삽입되면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고정구(30b)의 나사산(35)에 앵커볼트(20)가 체결됨으로써, 본체부(10)의 볼트수용홈(11a) 내부로 헤드가 삽입된 앵커볼트(20)는 고정구(30)의 너트(33) 및 나사산(35)에 체결·고정되어, 도1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 하부로 앵커볼트(20)가 돌출되고, 상기 앵커볼트(20)는 고정구(30)에 의해 다단으로 감싸인 도로 표지병(1)을 구성한다.
또한, 도1 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로 표지병(1)은 본체부(10)의 볼트 수용홈(11a) 내부로 앵커볼트(20)의 헤드가 삽입되는데, 앵커볼트(20) 헤드의 크기보다 더 넓게 홈이 파여 각종 체결도구로 앵커볼트(20)를 체결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볼트 수용홈(11a)의 상부로 이에 맞는 크기를 가지는 덮개부(12)를 끼움·고정함으로써, 본체부(10)의 상부면을 마감하여, 볼트 수용홈(11a)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 표지병(1)의 외면을 매끄럽게 마감한다.
이때, 도6 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 저면의 개방된 부분은 보강리브(16)의 끼움홈(17)으로 마감판(18)을 끼움·고정하여 막거나, 각 보강리브(16) 사이로 각종 충진재를 충진해 마감함으로써, 본체부(10) 저면과 도로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을 따라 설치되는데, 이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포장된 도로 면의 중앙선이나 구획차선 등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을 설치할 하나의 구멍을 천공하는데, 이때, 상기 구멍은 고정구(30)의 단면 직경과 길이보다 큰 구멍을 형성하며, 이렇게 형성된 구멍에 도로 표지병(1)의 고정구(30)를 삽입하면서 구멍과 도로 표지병(1)의 저면으로 도로 접착제 또는 도로용 에폭시 접착제 등을 도포한 다음, 상기 도로 표지병(1)의 반사체(19)가 설치되는 면이 중앙선 또는 구획차선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위치시켜 도로의 구멍 내로 도로 표지병(1)의 고정구(30)를 삽입해, 접착제가 굳어지도록 함으로써, 도로 표지병(1)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도로 표지병(1)은 구멍 내로 접착제를 채움으로써, 구멍 내의 접착제가 각 고정구(30)의 유입홈(32)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앵커볼트(20)의 외측면과 각 고정공(30) 내면 사이로 접착제가 채워져 앵커볼트(20)와 고정공(30)을 일체로 접착·고정하게 되고, 이렇게 접착제가 굳어지면, 각 고정구(30) 외측면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1)에 의해 고정구(30)가 둘레 및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형태로 형성되어, 도로 표지병(1)이 회전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도로에 긴밀하게 설치된 본 발명인 도로 표지병(1)은 그 내부가 비어 원가를 절감하고, 경량화되며, 보강철판(13) 및 보강리브(16)에 의해 높은 강성 및 내구성을 가지는 동시에, 본체부(10) 저면을 마감판(18) 또는 충진재로 충진해 마감하여 접촉면적을 넓혀, 차량 등의 무거운 무게를 가지는 중량체에 다수회 충격을 받더라도 본체부(10) 및 고정구(30)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이 도로로 골고루 전달되어 안정성을 향상시켜,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도로 표지병(1)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복합적으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상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하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일부 절취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하부 단면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상부 조립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하부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로 표지병 10: 본체부 11: 삽입부
11a: 볼트 수용홈 11b: 너트 수용홈 12: 덮개부
13: 보강철판 14: 고정공 15: 충진공
16: 보강리브 17: 끼움홈 18: 마감판
19: 반사체 20: 앵커볼트 30: 고정구
31: 고정돌기 32: 유입홈 33: 너트
34: 받침틀 34′: 날개힘살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도로에 설치되는 표지병에 있어서,
    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개방된 형태인 저면 내부로 격자형태를 가지는 기둥형태의 보강리브(16)가 상·하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측면으로는 반사체(19)가 연결되며, 내부가 관통된 기둥형상의 삽입부(11)가 내부 중앙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내부로는 중앙이 삽입부(11) 크기로 관통된 판 형태에 양측으로 한 쌍의 고정공(14)이 형성되고 전면이 관통된 충진공(15)을 적어도 하나 형성한 보강 철판(13)이 일체로 매입되어 사출·성형 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보강리브(16)의 하단으로 일정간격마다 홈이 파인 끼움홈(17)을 형성하고, 본체부(10)의 개방된 저면을 막는 판 형태에 삽입부(11) 및 끼움홈(17)에 끼움·고정되는 마감판(18)이 더 구비되어, 본체부(10) 저면과 도로의 접촉면적을 넓혀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며,
    상기 삽입부(11)에 삽입·관통되는 앵커볼트(20) 및;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에 그 외측면으로 반구형태로 돌출된 고정돌기(31)가 요철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로 홈이 파인 유입홈(32)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날개 힘살(34′)의 상부면을 따라서는 받침틀(34)과 너트(33)가 일체로 구비된 상부 고정구(30a)와,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태에 그 외측면으로 반구형태로 돌출된 고정돌기(31)가 요철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로 홈이 파인 유입홈(32)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며,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35)이 형성된 하단 고정구(30b)가 구비되어,
    이들 상.하단 고정구(30a),(30b)로 본체부(10) 하부로 노출된 상기 앵커볼트(20)를 다단으로 감싸 고정하여 본체부(1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30)로 구성된 도로 표지병(1)을 구성함으로써,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도로 바닥에 긴밀하게 삽입·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7. 삭제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삽입부(11)는 상부를 따라 일정 폭으로 홈이 파인 볼트 수용홈(11a)과, 하단으로 홈이 파여 너트(33)를 삽입·고정하는 너트 수용홈(11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볼트 수용홈(11a)의 상부를 막는 덮개부(12)를 더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의 헤드 및 상단 고정구의 너트가 삽입되도록 한 다음, 앵커볼트가 삽입된 볼트 수용홈에 덮개부를 끼움·고정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KR1020080109647A 2008-11-06 2008-11-06 도로 표지병 KR10110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47A KR101101840B1 (ko) 2008-11-06 2008-11-06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647A KR101101840B1 (ko) 2008-11-06 2008-11-06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654A KR20100050654A (ko) 2010-05-14
KR101101840B1 true KR101101840B1 (ko) 2012-01-05

Family

ID=4227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647A KR101101840B1 (ko) 2008-11-06 2008-11-06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34B1 (ko) 2019-03-26 2019-11-08 이성수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416Y1 (ko) * 2018-04-19 2019-01-28 대구시설공단 차선표지병
KR102567040B1 (ko) * 2022-10-06 2023-08-16 고권하 교차로용 도로 표지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63B1 (ko) * 2003-06-30 2005-03-14 제일종합안전(주) 도로 표지병
US20050078538A1 (en) * 2003-09-30 2005-04-14 Rainer Hoehler Selective address-range refresh
KR100736862B1 (ko) * 2005-06-21 2007-07-10 제일종합안전(주)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63B1 (ko) * 2003-06-30 2005-03-14 제일종합안전(주) 도로 표지병
US20050078538A1 (en) * 2003-09-30 2005-04-14 Rainer Hoehler Selective address-range refresh
KR100736862B1 (ko) * 2005-06-21 2007-07-10 제일종합안전(주)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34B1 (ko) 2019-03-26 2019-11-08 이성수 완충기능을 구비한 도로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654A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862B1 (ko) 반사체의 교체가 용이한 도로표지병
KR101101840B1 (ko) 도로 표지병
RU2689082C1 (ru) Шип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й ш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шипа
KR102152781B1 (ko) 차선 규제봉
KR101160581B1 (ko) 원통형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2605922B1 (ko) 노면 결합력이 향상된 시선 유도봉 및 이의 시공 방법
US3512317A (en) Pump box construction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KR100998680B1 (ko) 도로 시설물 설치용 너트 앵커
KR101388253B1 (ko) 도로 시설물의 기초 시공 방법
JP5227138B2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1118106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너트앵커
KR200400355Y1 (ko) 주차 안내 블럭
KR100561748B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JP5377233B2 (ja) 道路施設物設置用ナットアンカー、その施工方法、および道路施設物
KR100517654B1 (ko) 차막이 경계블럭과 그 설치방법
KR101297227B1 (ko) 도로 표지병
KR200223964Y1 (ko) 도로 표지병
KR20040026347A (ko) 기둥형 보강체가 삽입된 가드레일
KR200458707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
KR200327757Y1 (ko) 도로 표지병
KR200313313Y1 (ko)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KR101101845B1 (ko) 차선규제 봉
KR200347873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