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74B1 -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 Google Patents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74B1
KR102002774B1 KR1020180140809A KR20180140809A KR102002774B1 KR 102002774 B1 KR102002774 B1 KR 102002774B1 KR 1020180140809 A KR1020180140809 A KR 1020180140809A KR 20180140809 A KR20180140809 A KR 20180140809A KR 102002774 B1 KR102002774 B1 KR 102002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pport
adhesive
support part
ke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삼
구경모
Original Assignee
구경모
구본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모, 구본삼 filed Critical 구경모
Priority to KR1020180140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1/00Adhesive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r installing surface markings or signals in the paving, e.g. grooving for striping or for producing rumble strips, forming marker-receiving re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5Glued to surface, e.g.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시공 방법은 도로 시설물이 부착될 도로 노면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 지정단계,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가 삽입 부착되도록 도로 노면을 절삭하는 부착면 연삭 단계, 상기 부착면을 청소하거나 요철을 생성시키는 부착면 마감 단계, 상기 부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 및 상기 부착면에 도로 시설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면 연삭 단계는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 및 키 돌출부가 노면에 수용되도록 지지부 수용홈 연삭 단계 및 키 돌출부 수용홈 연삭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키 돌출부가 수용되는 상기 키 돌출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 수용홈 깊이보다 6mm 내지 10mm 더 깊게 상기 지지부 수용홈 둘레를 따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Construction method of road facilities}
본 발명은 부착식 시선 유도봉 및 도로 표지병과 같은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노면을 천공하지 않고 부착되기 때문에 도로의 파손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손된 경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간편한 도로 시설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 유도봉 내지 도로 표지병과 같은 도로 시설물은 중앙분리대와 같이 중앙선을 분리시키거나 차선의 침입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야간에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시선 유도봉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 시에 일부만 파손되어도, 전체를 도로에서 분리하여 교체해야만 했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로에 견고하게 결합 되어 있던 시선 유도봉을 도로에서 분리한 뒤 다시 그 위치에 결합해야만 했기 때문에, 시선 유도봉을 교체할 경우, 기존에 시선 유도봉이 결합되어 있던 위치와 약간씩 어긋나게 장착되어, 결합위치가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 도로에 시선 유도봉을 도로면에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719 내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돌출부 및 차량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에 설치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돌출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돌출부의 요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고정돌기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상기 너트, 및 상기 받침대의 바닥패널과 체결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볼트가 중심축을 관통하도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패킹 및 일측 단부에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구가 탈장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반사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된 탄성유도공이 형성되는 차선 지시봉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도로의 노면을 천공하여 지주나 앙카 등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도로가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도로 파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1568661호의 부착식 시선 유도봉은 도로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노면과 접착제에 의한 부착 기능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또한, 유도봉과 지지부를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유지나 보수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상기 특허는 현장 적용 시 지지부의 저면과 도로 사이에 접착 기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되고 상기 지지부와 도로 도면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도봉과 지지부의 분리 또는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의 확인이나 유지 보수가 빨리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도로 표지병은 설치된 이후에 노면상에서 다양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서 변색 또는 반사판의 반사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외에 노출되어 있어서 각종 오염물질에 오염되기 쉬워 오염물질에 의해 반사판이 가려질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등에 의한 외부충격을 받아 본체 또는 반사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손상이 발생한 경우 하나 하나 확인하고 보수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용 지주 내지 볼트를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 표지병의 경우에는 고정용 지주를 축으로 도로 표지병이 회전하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거나, 고정용지주가 빠져 도로 표지병이 노면상에 이탈되면 고정용 지주가 타이어를 관통하는 등의 2차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용 지주를 이용하여 도로 표지병을 설치하려면 노면에 고정용 지주가 삽입되는 홀을 천공해야 하는 등의 복잡한 설치방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도로 파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1568970호의 부착식 도로 표지병은 도로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노면과 접착제에 의한 부착 기능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또한, 보호용 덮개부, 표시부 및 지지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여 유지나 보수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상기 특허는 현장 적용 시 지지부의 저면과 도로 사이에 접착 기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되고 상기 지지부와 도로 도면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덮개부 내지 표시부와 지지부가 분리 또는 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의 확인이나 유지 보수가 빨리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1565661호(2015.11.12. 공고) 등록특허 제10-1568970호(2015.11.1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부착 시 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로 노면과의 부착 강도를 증가시키고 이를 위한 접착제의 성능을 개선하며, 통신기능 또는 알람 기능을 이용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도로 시설물의 시공 방법 및 이를 통한 도로 시설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가 도로 노면에 부착 설치되고 표시부와 상기 지지부가 분리 가능한 도로 시설물은,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연결되며 저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덮어 상기 표시부와 지지부를 고정 및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도로 노면과 부착되고, 복수의 돌출부는 리브, 돌기, 스팟 및 격자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저면의 둘레를 따라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를 갖는 키 돌출부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도로 노면이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돌출부의 두께 및 높이는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박리 방지제, 프로세스 오일, 점도 조절제 및 개질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질제는 유지에서 지방산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계면 활성제, 아로마틱 오일, 파라핀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접착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목초액,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이온 교환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겨울철 염화칼슘에 의한 아스팔트 탈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이온 또는 칼슘이온과의 결합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 덮개부 및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거나 알람하는 제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점멸 또는 지속적 발광을 통해 정보 또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체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소자 또는 도로 노면의 압전 소자를 통해 발생한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깊이 및 두께가 작아지고, 상기 키 돌출부의 표면에 소정 크기 이하의 요철, 스크래치 및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상기 표시부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표시부의 손상 없이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표시부는 자성체에 의한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은 도로 시설물이 부착될 도로 노면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 지정단계,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가 삽입 부착되도록 도로 노면을 절삭하는 부착면 연삭 단계, 상기 부착면을 청소하거나 요철을 생성시키는 부착면 마감 단계, 상기 부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 및 상기 부착면에 도로 시설물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착면 연삭 단계는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 및 키 돌출부가 노면에 수용되도록 지지부 수용홈 연삭 단계 및 키 돌출부 수용홈 연삭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키 돌출부가 수용되는 상기 키 돌출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 수용홈 깊이보다 6mm 내지 10mm 더 깊게 상기 지지부 수용홈 둘레를 따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면 연삭 단계는 상기 도로 시설물의 규격, 크기, 도로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연삭 하려는 도로 노면의 깊이, 너비, 폭 및 개수를 결정하는 부착면 분석 및 연삭기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연삭기를 선택하여 적절하게 도로 노면을 연삭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레이드 및 톱날을 규격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은 견고한 부착을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부착면 연삭단계에 관한 제 1 상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중 부착면 연삭단계에 관한 제 2 상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시선 유도봉에 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시선 유도봉이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시선 유도봉의 설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도로 표지병에 관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도로 표지병에 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도로 표지병의 설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따라 연삭되는 도로 노면의 부분 단면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시선 유도봉 및 도로 표지병의 시공과정에 관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시선 유도봉(1)은 지지부(300)가 도로 노면에 부착 설치되고 유도봉(100)과 상기 지지부(300)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기존의 시선 유도봉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로에 설치된 이후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시선 유도봉은 일부분의 충격에 의해 전체 시선 유도봉의 파손이 발생하여 전체를 교환하거나 수선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일부분의 교체 내지 수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상기 유도봉(100)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300)와 유도봉(100)이 손상 없이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부(300)와 유도봉(100)은 자성체(미도시) 의한 결합 또는 요철부에 의한 끼움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시선 유도봉(1)은 반사체 또는 발광체인 표시부(110)가 기둥 형상의 유도봉(100)에 마련되고, 상기 유도봉(100) 하부에 연결되며 저면에 복수의 돌출부(310)를 갖는 지지부(300) 및 상기 지지부(300)의 상면을 덮어 상기 유도봉(100)과 지지부(300)를 고정시키는 덮개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는 필요 시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봉(100)과 지지부(300)의 체결을 보완하거나 연결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모양, 크기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유도봉(100)과 지지부(300)가 체결된 후 상기 유도봉(100)의 상부에서 지지부(300)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300) 상면을 덮기 위해 분리 조립 내지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봉(100)과 지지부(300)를 체결하고 이후 상기 덮개부(200)가 상부에서 끼워지면서 완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0)는 일반적으로 반사판 등이 사용되어 차량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발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체가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시선 유도봉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발광체의 색채 또는 점멸 신호, 점멸 간격 등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알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체는 점멸 또는 지속적 발광을 통해 정보 또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체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소자 또는 도로 노면의 압전 소자를 통해 발생한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300)는 볼트(앵커)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종래 시선 유도봉과 달리 복수의 돌출부(310)가 마련되고 도로 노면과 부착되어 고정되는 접착식이다.
즉, 시선 유도봉의 지지부(300)를 도로 노면에 마련된 부착공간 즉, 지지부 수용부(390)에 수용시키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천공 과정이나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가 생략된다.
부착을 위한 상기 접착제는 다양한 재료,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310)가 상기 지지부(300) 저면에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저면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31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지지부 저면과 도로 노면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접착제는 성분이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이종 물질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모든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건축용 또는 토목용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 우레탄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접착 강도, 발포율을 가지며 고 인장 강도, 고 발포성 및 친수성에 대한 성질과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점도는 500 내지 2,000 (CPS, 섭씨 25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형분 비율은 85 내지 95 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박리 방지제, 프로세스 오일, 점도 조절제 및 개질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질제는 유지에서 지방산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계면 활성제, 아로마틱 오일, 파라핀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목초액,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이온 교환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겨울철 염화칼슘에 의한 아스팔트 탈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이온 또는 칼슘이온과의 결합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의 성능을 개선하는 개질제로서 폐 비닐에 의한 용해물, 폐 타이어의 분말 또는 플라이 애쉬, 고로 슬러그 등 재활용 가능한 물질이 첨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볼트 체결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한 시선 유도봉의 경우 도로 노면을 세 군데 이상 천공하여 10 내지 15 센티미터의 나사 또는 볼트를 고정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인 도로의 경우 아스팔트 부분의 두께가 대략 8센티미터, 방수층은 2 내지 3 밀리미터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나사 또는 볼트가 방수층 및 구조층을 손상 시키게 되므로 지하로의 수분 유입등의 문제점과 도로의 파손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돌출부(310)가 마련된 지지부(300) 저면은 도로 노면에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 도로 노면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지지부 수용부(390)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 상기 지지부 저면이 수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일체 도로의 천공 없이 일정부분인 지지부(300)가 수용되는 부분(360, 390)을 방수층(20)의 파괴 없이 아스팔트 표면 부분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만을 만들어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종래 지지부 돌출부(310)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마련된 키 돌출부(350)의 수용공간을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로 마련한다. 바람직하게는 깊이 8mm, 두께 6mm로 마련하며 전체를 1 내지 2mm 연마한 후 열융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1)은 분리형 및 접착형으로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회전과 이탈을 방지하고 상시 깨끗한 도로 환경을 유지하며, 시설물의 이탈이 없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노면을 천공하지 않고 접착제만을 사용하므로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와 함께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도로의 교통 체증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시공방법이다.
또한, 견고한 부착식이므로 교량 난간, 경계석 등 다양한 용도, 환경에 사용이 가능하며 측면에 시공이 가능하여 제한 없이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시설물 이탈 후 재설치, 수선에 대한 비용도 절감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10)는 복수로 마련되되 리브, 돌기, 스팟 및 격자의 형태로 마련되며 그 크기, 개수, 위치 등은 작업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부(300)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저면이 도로 노면과 부착되는 경우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상기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를 갖는 키 돌출부(350)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기 키 돌출부(350)는 상기 지지부 저면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키 돌출부(350)가 도로 노면에 수용되도록 작업 중에 상기 도로 노면의 절삭 내지 그라인딩 시 별도의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시선 유도봉의 지지부 저면에 키 돌출부(350)를 마련하여 시공한 결과, 종래 접착식 시선 유도봉에 비해 월등한 부착력과 견고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 수명도 연장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래 실험 결과는 총 시험체 100개를 테스트 베드에 설치한 후 외부 충격에 의해 지지부가 이탈되는 경우를 확인 한 것으로서 아래 표와 같이 키 돌출부(350)가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이 더 견고하게 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접착제의 사용량, 환경, 접착 시간, 외부 충격량 등이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므로 아래 결과는 참고용이다.
비고(100개) 종래 부착식 시선 유도봉 키 돌출부가 마련된 시선 유도봉
유지(하절기) 80 95
유지(동절기) 85 9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 돌출부(3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 내지 키 돌출부(350)가 수용되는 지지부 수용부(390) 내지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의 높이 내지 너비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 돌출부(350)의 높이는 6 내지 10mm로 마련되되 8mm인 경우 가장 우수한 부착성능을 얻었으며, 상기 키 돌출부(350)의 너비(두께)는 4 내지 8mm로 마련되되, 6mm인 경우 가장 우수한 부착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키 돌출부(350)의 두께 및 높이는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300)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예컨대, 방수층(20)의 존재 유무, 위치, 깊이 등의 요인과,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여부 및 두께 등의 요인 및 주변 상황이나 상기 시선 유도봉의 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기 키 돌출부(350)의 크기 내지 너비 등은 변경되거나 선택될 수 있으며,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키 돌출부(350)는 상기 지지부(300) 저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깊이 및 두께가 작아지고, 상기 키 돌출부의 표면에 소정 크기 이하의 요철, 스크래치 및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키 돌출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나아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중심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그 높이 역시 작아지는 형태 또는 중심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직경과 높이가 커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을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은 볼트, 나사 등의 체결이 없으므로 일체의 방수층(20) 파괴 없이 도로 노면 상에 장착이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봉(100), 덮개부(200) 및 지지부(300)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미도시)가 감지한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거나 알람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선 유도봉이 설치되고 이후 유지 내지 보수 등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시선 유도봉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이 이탈되거나 손상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에 의한 신호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는 두 개 이상의 구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이격 여부를 별도의 감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싱 결과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하거나 알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 내지 제어부는 상기 시선 유도봉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시선 유도봉을 그룹화 내지 유닛, 모듈화 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 내지 제어부의 전원은 주변 도로에 마련된 압전 소자에 의한 발생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선 유도봉의 표면에 태양관 패널을 이용하여 이를 통한 태양광 발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선 유도봉의 설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1) 도로 표면의 부착 부분을 연삭하고 (2) 부착면을 청소 (3) 접착제를 도포 및 (4) 시선 유도봉의 조립 및 설치 과정에 따라 시공된다.
도로 표면의 부착 부분을 연삭하여 지지부 수용부(390)를 만들고, 본 발명에 따른 키 돌출부(350)를 수용하는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을 추가로 연삭하는 것이다. 이때 연삭을 위하여 별도의 그라인더 및 도구가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면을 연삭한 후 접착에 따른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을 청소하고 필요 시 돌출부나 스크래치, 요철 등을 추가로 생성시켜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접착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시선 유도봉의 지지부(300) 저면에 도포하거나 필요 시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도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에 따라 상기 시선 유도봉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00)와 유도봉(100)을 체결하고 덮개부(200)를 덮어서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300)를 먼저 도로 노면에 부착하고 유도봉(100)을 체결할 수도 있으며 선택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시설물 중 도로 표지병(1)은 지지부(300)가 도로 노면에 부착 설치되고 표시부(110), 덮개부(200)와 상기 지지부(300)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기존의 도로 표지병이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도로 노면에 설치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로에 설치된 이후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도로 표지병은 일부분의 충격에 의해 전체 도로 표지병의 파손이 발생하여 전체를 교환하거나 수선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일부분의 교체 내지 수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상기 도로 표지병(1)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300)와 표시부(110) 또는 덮개부(200)가 손상 없이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부(300)와 표시부(110), 덮개부(200)는 자성에 의한 결합 또는 요철부에 의한 끼움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도로 표지병(1)은 반사체 또는 발광체인 표시부(110)가 상기 지지부 상면 내지 측면에 마련되고, 저면에 복수의 돌출부(310)를 갖는 지지부(300) 및 상기 지지부(300)의 상면을 덮어 상기 표시부(110)와 지지부(300)를 고정시키며 보호하는 덮개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는 필요 시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0)와 지지부(300)의 체결을 보완하거나 연결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모양, 크기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 내지 합성 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투명하게 제작됨으로써 상기 표시부(110)의 기능을 유지하며 상기 도로 표지병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표시부(110)과 지지부(300)가 체결된 후 상기 표시부(110)의 상부에서 지지부(300)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300) 상면을 덮기 위해 분리 조립 내지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0)는 일반적으로 반사판 등이 사용되어 차량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발광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체가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광원을 사용하여 상기 도로 표지병의 위치를 알려주거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발광체의 색채 또는 점멸 신호, 점멸 간격 등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알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체는 점멸 또는 지속적 발광을 통해 정보 또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체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소자 또는 도로 노면의 압전 소자를 통해 발생한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300)는 볼트(앵커)나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종래 도로 표지병과 달리 복수의 돌출부(310)가 마련되고 도로 노면과 부착되어 고정되는 접착식이다.
즉, 도로 표지병의 지지부(300)를 도로 노면에 마련된 부착공간 즉, 지지부 수용부(390)에 수용시키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천공 과정이나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가 생략된다.
부착을 위한 상기 접착제는 다양한 재료,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돌출부(310)가 상기 지지부(300) 저면에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저면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310)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지지부 저면과 도로 노면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접착제는 성분이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이종 물질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모든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건축용 또는 토목용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 우레탄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접착 강도, 발포율을 가지며 고 인장 강도, 고 발포성 및 친수성에 대한 성질과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 또한, 점도는 500 내지 2,000 (CPS, 섭씨 25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고형분 비율은 85 내지 95 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는 박리 방지제, 프로세스 오일, 점도 조절제 및 개질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질제는 유지에서 지방산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계면 활성제, 아로마틱 오일, 파라핀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목초액,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이온 교환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겨울철 염화칼슘에 의한 아스팔트 탈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이온 또는 칼슘이온과의 결합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의 성능을 개선하는 개질제로서 폐 비닐에 의한 용해물, 폐 타이어의 분말 또는 플라이 애쉬, 고로 슬러그 등 재활용 가능한 물질이 첨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볼트 체결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한 도로 표지병의 경우 도로 노면을 천공하여 10 내지 15 센티미터의 나사 또는 볼트를 고정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인 도로의 경우 아스팔트 부분의 두께가 대략 8센티미터, 방수층은 2 내지 3 밀리미터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나사 또는 볼트가 방수층 및 구조층을 손상 시키게 되므로 지하로의 수분 유입등의 문제점과 도로의 파손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돌출부(310)가 마련된 지지부(300) 저면은 도로 노면에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 도로 노면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지지부 수용부(390)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 상기 지지부 저면이 수용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일체 도로의 천공 없이 일정부분인 지지부(300)가 수용되는 부분(360, 390)을 방수층(20)의 파괴 없이 아스팔트 표면 부분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만을 만들어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종래 지지부 돌출부(310)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마련된 키 돌출부(350)의 수용공간을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로 마련한다. 바람직하게는 깊이 8mm, 두께 6mm로 마련하며 전체를 1 내지 2mm 연마한 후 열융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1)은 분리형 및 접착형으로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회전과 이탈을 방지하고 상시 깨끗한 도로 환경을 유지하며, 시설물의 이탈이 없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노면을 천공하지 않고 접착제만을 사용하므로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와 함께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도로의 교통 체증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시공방법이다.
또한, 견고한 부착식이므로 교량 난간, 경계석 등 다양한 용도, 환경에 사용이 가능하며 측면에 시공이 가능하여 제한 없이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시설물 이탈 후 재설치, 수선에 대한 비용도 절감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10)는 복수로 마련되되 리브, 돌기, 스팟 및 격자의 형태로 마련되며 그 크기, 개수, 위치 등은 작업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부(300)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 저면이 도로 노면과 부착되는 경우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상기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를 갖는 키 돌출부(350)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상기 키 돌출부(350)는 상기 지지부 저면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키 돌출부(350)가 도로 노면에 수용되도록 작업 중에 상기 도로 노면의 절삭 내지 그라인딩 시 별도의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식 도로 표지병의 지지부 저면에 키 돌출부(350)를 마련하여 시공한 결과, 종래 접착식 도로 표지병에 비해 월등한 부착력과 견고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용 수명도 연장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래 실험 결과는 총 시험체 100개를 테스트 베드에 설치한 후 외부 충격에 의해 지지부가 이탈되는 경우를 확인 한 것으로서 아래 표와 같이 키 돌출부(350)가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이 더 견고하게 부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접착제의 사용량, 환경, 접착 시간, 외부 충격량 등이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므로 아래 결과는 참고용이다.
비고(100개) 종래 부착식 도로 표지병 키 돌출부가 마련된 도로 표지병
유지(하절기) 83 97
유지(동절기) 86 9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 돌출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0) 내지 키 돌출부(350)가 수용되는 지지부 수용부(390) 내지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의 높이 내지 너비에 맞게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 돌출부(350)의 높이는 6 내지 10mm로 마련되되 8mm인 경우 가장 우수한 부착성능을 얻었으며, 상기 키 돌출부(350)의 너비(두께)는 4 내지 8mm로 마련되되, 6mm인 경우 가장 우수한 부착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키 돌출부(350)의 두께 및 높이는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300)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예컨대, 방수층(20)의 존재 유무, 위치, 깊이 등의 요인과,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여부 및 두께 등의 요인 및 주변 상황이나 상기 도로 표지병의 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기 키 돌출부(350)의 크기 내지 너비 등은 변경되거나 선택될 수 있으며,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키 돌출부(350)는 상기 지지부(300) 저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깊이 및 두께가 작아지고, 상기 키 돌출부의 표면에 소정 크기 이하의 요철, 스크래치 및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키 돌출부(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나아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중심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고 그 높이 역시 작아지는 형태 또는 중심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직경과 높이가 커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투명한 덮개부(200)가 마련되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차단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 및 체결이 용이하고 이탈 시 별도의 센싱을 통해 알람 내지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 및 보수를 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0)는 도로 표지병 전체를 덮어 씌우는 형태로 마련되거나 필요에 따라 표시부(110)만을 보호하거나 또는 지지부(300)만을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은 볼트, 나사 등의 체결이 없으므로 일체의 방수층(20) 파괴 없이 도로 노면 상에 장착이 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110), 덮개부(200) 및 지지부(300)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부(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미도시)가 감지한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거나 알람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도로 표지병이 설치되고 이후 유지 내지 보수 등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도로 표지병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이 이탈되거나 손상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에 의한 신호를 통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센서부는 두 개 이상의 구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이격 여부를 별도의 감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싱 결과를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하거나 알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 내지 제어부는 상기 도로 표지병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도로 표지병을 그룹화 내지 유닛, 모듈화 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 내지 제어부의 전원은 주변 도로에 마련된 압전 소자에 의한 발생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로 표지병의 표면에 태양관 패널을 이용하여 이를 통한 태양광 발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설치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1) 도로 표면의 부착 부분을 연삭하고 (2) 부착면을 청소 (3) 접착제를 도포 및 (4) 도로 표지병의 조립 및 설치 과정에 따라 시공된다.
이때, 도로 표면의 부착 부분을 연삭하여 지지부 수용부(390)를 만들고, 본 발명에 따른 키 돌출부(350)를 수용하는 키 돌출부 수용공간(360)을 추가로 연삭하는 것이다. 이때 연삭을 위하여 별도의 그라인더 및 도구가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면을 연삭한 후 접착에 따른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을 청소하고 필요 시 돌출부나 스크래치, 요철 등을 추가로 생성시켜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접착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로 표지병의 지지부(300) 저면에 도포하거나 필요 시 상기 지지부 수용부(390)에도 동시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다음, 조립에 따라 상기 도로 표지병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00)와 표시부(110)을 체결하고 덮개부(200)를 덮어서 형태를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300)를 먼저 도로 노면에 부착하고 표시부(110)을 체결할 수도 있으며 선택하여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구조의 부착식 도로 시설물 및 시공방법은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1: 시선 유도봉 10: 아스팔트(콘크리트)
20: 방수층 30: 구조물(구조층)
100: 유도봉 110: 표시부
200: 덮개부 300: 지지부
310: 돌출부 350: 키 돌출부
360: 키 돌출부 수용공간 390: 지지부 수용부

Claims (9)

  1. 지지부가 도로 노면에 부착 설치되고 표시부와 상기 지지부가 분리 가능한 도로 시설물에 있어서,
    반사체 또는 발광체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연결되며 저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갖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덮어 상기 표시부와 지지부를 고정 및 보호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도로 노면과 부착되고, 복수의 돌출부는 리브, 돌기, 스팟 및 격자의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저면의 둘레를 따라 4 내지 8 mm의 두께 및 6 내지 10 mm의 높이를 갖는 키 돌출부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와 도로 노면이 견고하게 부착되며,
    상기 접착제는 박리 방지제, 프로세스 오일, 점도 조절제 및 개질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질제는 유지에서 지방산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계면 활성제, 아로마틱 오일, 파라핀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접착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목초액,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이온 교환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겨울철 염화칼슘에 의한 아스팔트 탈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이온 또는 칼슘이온과의 결합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돌출부의 두께 및 높이는 설치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 분리 체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덮개부 및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부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신호를 관리자에게 송신하거나 알람하는 제어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점멸 또는 지속적 발광을 통해 정보 또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발광체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소자 또는 도로 노면의 압전 소자를 통해 발생한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 저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깊이 및 두께가 작아지고, 상기 키 돌출부의 표면에 소정 크기 이하의 요철, 스크래치 및 돌기를 마련함으로써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7.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상기 표시부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표시부의 손상 없이 분리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표시부는 자성체에 의한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
  8. 제 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로 시설물이 부착될 도로 노면의 위치를 정하는 위치 지정단계;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가 삽입 부착되도록 도로 노면을 절삭하는 부착면 연삭 단계;
    상기 부착면을 청소하거나 요철을 생성시키는 부착면 마감 단계;
    상기 부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단계; 및
    상기 부착면에 도로 시설물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면 연삭 단계는 상기 도로 시설물의 지지부 및 키 돌출부가 노면에 수용되도록 지지부 수용홈 연삭 단계; 및 키 돌출부 수용홈 연삭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상기 키 돌출부가 수용되는 상기 키 돌출부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 수용홈 깊이보다 6mm 내지 10mm 더 깊게 상기 지지부 수용홈 둘레를 따라 마련하며,
    상기 접착제는 박리 방지제, 프로세스 오일, 점도 조절제 및 개질제를 포함하며, 상기 개질제는 유지에서 지방산을 추출하고 남은 부산물인 유지 찌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계면 활성제, 아로마틱 오일, 파라핀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접착제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목초액, 활성탄, 제올라이트 및 이온 교환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겨울철 염화칼슘에 의한 아스팔트 탈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염소이온 또는 칼슘이온과의 결합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 연삭 단계는 상기 도로 시설물의 규격, 크기, 도로 환경 요인을 분석하여 연삭 하려는 도로 노면의 깊이, 너비, 폭 및 개수를 결정하는 부착면 분석 및 연삭기 선택단계; 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연삭기를 선택하여 적절하게 도로 노면을 연삭하기 위해 사용되는 블레이드 및 톱날을 규격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KR1020180140809A 2018-11-15 2018-11-15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KR102002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09A KR102002774B1 (ko) 2018-11-15 2018-11-15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09A KR102002774B1 (ko) 2018-11-15 2018-11-15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774B1 true KR102002774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09A KR102002774B1 (ko) 2018-11-15 2018-11-15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69B1 (ko) * 2020-11-18 2021-06-24 주식회사 세이션 부착식 카스토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895Y1 (ko) * 1981-06-09 1982-09-09 김유환 도로안전 표지병
KR200219084Y1 (ko) * 2000-10-19 2001-04-02 주식회사거승 차선규제봉
JP2001123419A (ja) * 1999-10-22 2001-05-08 Tokuden Cosmo Kk 道路標識装置及び道路標識転倒検知システム
KR200269717Y1 (ko) * 1999-03-26 2002-03-25 최규열 차선규제봉
KR20120063637A (ko) * 2010-12-08 2012-06-18 (주)한도공영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안전봉
KR101565661B1 (ko) 2013-12-04 2015-11-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하이드로나프토[1,2-b]퓨란 유도체 및 이의 합성방법
KR101568661B1 (ko) *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재영비즈 부착식 시선 유도봉
KR101568970B1 (ko)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재영비즈 부착식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895Y1 (ko) * 1981-06-09 1982-09-09 김유환 도로안전 표지병
KR200269717Y1 (ko) * 1999-03-26 2002-03-25 최규열 차선규제봉
JP2001123419A (ja) * 1999-10-22 2001-05-08 Tokuden Cosmo Kk 道路標識装置及び道路標識転倒検知システム
KR200219084Y1 (ko) * 2000-10-19 2001-04-02 주식회사거승 차선규제봉
KR20120063637A (ko) * 2010-12-08 2012-06-18 (주)한도공영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안전봉
KR101565661B1 (ko) 2013-12-04 2015-11-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디하이드로나프토[1,2-b]퓨란 유도체 및 이의 합성방법
KR101568661B1 (ko) *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재영비즈 부착식 시선 유도봉
KR101568970B1 (ko) 2015-03-12 2015-11-12 주식회사재영비즈 부착식 도로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569B1 (ko) * 2020-11-18 2021-06-24 주식회사 세이션 부착식 카스토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772B1 (ko) 개선된 구조의 부착식 시선 유도봉
KR101568970B1 (ko) 부착식 도로표지병
KR102002774B1 (ko) 부착식 도로 시설물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설물
KR102002773B1 (ko) 개선된 구조의 부착식 도로 표지병
KR101190546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2250801B1 (ko) 개선된 기능의 부착식 무단횡단 금지 휀스
KR102034567B1 (ko) 시선유도봉
KR101568661B1 (ko) 부착식 시선 유도봉
KR102268569B1 (ko) 부착식 카스토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6411B1 (ko) 시선 유도봉
KR102412446B1 (ko) 교체보수가 용이한 볼라드 커버구조
JP2004295069A (ja) 屋外標識灯装置の取付け方法
KR20120071726A (ko) 도로용 경계석
CN109267506B (zh) 金属与树脂溶合形成的盲导标示及安装方法
KR101941235B1 (ko) 노면표지용 시트를 이용한 매립형 노면표지 시공방법
JP2010106632A (ja) 道路用標示体の設置方法
KR100939536B1 (ko) 차선 표시구
KR20090045456A (ko) 도로표지병
EP1348811A2 (en) Traffic sign and road paving devices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McGee Maintenance of signs and sign supports: a guide for local highway and street maintenance personnel.
KR200297991Y1 (ko) 중앙선 분리 반사 표시구를 일체로 한 중앙선 분리 차선규제 표시봉
KR101681957B1 (ko) 곡선구간 경계석 고정구
CN211228213U (zh) 一种公路养护工人工作警示器
AU2015100691A4 (en) Delineator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