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169B1 -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 Google Patents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169B1
KR102479169B1 KR1020207029812A KR20207029812A KR102479169B1 KR 102479169 B1 KR102479169 B1 KR 102479169B1 KR 1020207029812 A KR1020207029812 A KR 1020207029812A KR 20207029812 A KR20207029812 A KR 20207029812A KR 102479169 B1 KR102479169 B1 KR 10247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ver shaft
flange
loa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056A (ko
Inventor
키미유키 모토다
Original Assignee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토다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2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6Arrangements of handles or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Abstract

[과제]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의 박스 형상 본체에 넣어 표준 타입용의 조작부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대하중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를 위해 별도 제작되고 있던 조작부 대신에 별도 제작한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의 케이스에 그대로 넣어 별체 조작부로 형성할 수 있는 조작부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작 레버(2)를 일단에 갖추고 상기 조작 레버(2)에 직교한 레버축(1)과, 상기 레버축(1)의 베어링(4)을 갖추고 그 레버축(1)의 타단측이 전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배치되는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와,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의 뒤에서 상기 레버축(1)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축(1)의 정, 역회전의 자기 복귀 기능을 가지는 상기 레버축(1)의 회전 규제부(CL)와, 상기 회전 규제부(CL)를 사이에 끼는 형태로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의 배면에 씌워 배치되고 상기 레버축(1)의 선단측이 베어링(7)을 통하여 관통하는 플랜지 부착 커버(6)와, 상기 플랜지 부착 커버(6)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축(1)의 회전이 전동되는 포텐셔미터(15)를 갖추고 유닛화하여 조작부 유닛으로 했다.

Description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본 발명은 주로 평행 링크를 이용한 관절형의 암 기구를,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신축, 승강, 회전 등의 동작을 시켜, 상기 암 기구의 선단부에 형성한 부하부에 지지시킨 짐(하중)을, 상기 부하부가 닿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하중 취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암 기구의 부하부에 적어도 승강 동작을 시키는 조작부를 유닛화한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팬터그래프 형상의 평행 링크를 이용한 관절형의 암 기구를 주체로 하는 하중 취급 장치는 간이 크레인 타입의 생력(省力) 기계로서 다방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 하중 취급 장치에서는 암 기구의 선단측 암에 설치한 짐을 지지하는 훅 등을 갖춘 부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암 기구의 동작(암의 신축 등에 의한 부하부의 수평 이동이나 승강)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설치한 것이 많고,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오퍼레이터(조작원)가 그 손바닥으로 잡을 수 있는 조작 레버를 갖춘 형식의 것이 많다.
상기 조작부의 잘 알려져 있는 예로서는, 특허문헌 1∼3 등에 개시된 조작부가 있다. 이 조작부는 조작부 본체를 이루는 대략 입방체 형상의 상자체(박스 형상 본체)의 외측 벽면에, 평면시로 대략 T 형상의 조작 레버를 그 지지축(레버축)에서 회전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를,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부하부의 상승 지령이 생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부하부의 하강 지령이 생성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측 암의 선단과 훅 등에 의한 부하부의 사이에 연결 부재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는 취급하는 짐의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은, 예를 들면, 취급하는 짐이 100kg중∼200kg중 정도의 소위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이하, 단순히 표준 타입이라고도 함)에서는, 선단측 암의 선단과 부하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부하부에 지지시키는 짐의 올리고 내림이나 그 짐을 매달고 평면 내에서 이동시키는 등의 조작을 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취급하는 짐이, 예를 들면, 500kg중 이상의 소위 대하중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이하, 단순히 대하중 타입이라고도 함)가 되면, 암 기구도 고강도이며 대형·대중량의 구조가 되어, 취급하는 짐도 외형이 대형·이형(異形)이 된다. 취급하는 짐이 대형이나 이형이 되면, 부하부에 그 짐을 지지(붙잡거나, 매다는 등)시킬 때, 이 부하부에 조작부가 인접해 있으면, 부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는 대형 짐이나 이형 짐이 방해가 되어 조작부의 조작 레버가 극히 조작하기 어렵거나, 혹은 조작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고 있었다.
이와 같이 암 기구가 대형으로 되어 취급 짐도 대형이나 이형이 되는 대하중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에서는, 표준 타입의 부하부를, 모터나 실린더 등의 구동력에 의해 짐의 지지나 개방을 행하는 파워 부하부로 바꾸고, 이 파워 부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암 기구의 선단측 암의 선단으로부터 적당히 이간시켜 위치를 잡고, 이 제어부를 어태치먼트 등의 연결 부재를 통하여 상기 파워 부하부에 결합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에서의 조작부는 암 기구의 선단측 암의 선단과 부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박스 형상 본체에 조작부의 구성 부재 모두가 배치된 형태이다. 한편, 대하중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에서는, 파워 부하부와 이 파워 부하부에 어태치먼트를 통하여 연결된 제어부가 설치되기 때문에, 짐을 지지하는 파워 부하부를 승강시키는 조작부는 표준적 타입에 사용하고 있는 박스 형상의 조작부를 그대로 전용할 수는 없어, 별도 제작한 조작부를 상기 제어부에 부설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4200304호 공보 일본 특공 평8-367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제2578142호 공보
본 발명에서는,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 박스 형상 본체에 넣어져 표준 타입용의 조작부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대하중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를 위해 별도 제작된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에 부설되어 있던 별체의 조작부 대신해 상기 제어부의 케이스에 그대로 넣어 조작부를 형성할 수 있는 조작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진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의 구성은 조작 레버를 일단에 갖추고 상기 조작 레버에 직교한 레버축과, 상기 레버축의 베어링을 갖추고 그 레버축의 타단측이 전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배치되는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의 뒤에서 상기 레버축에 고정되어 상기 레버축의 정, 역회전의 자기 복귀 기능을 가지는 레버축의 회전 규제부와, 상기 회전 규제부를 사이에 끼는 형태로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씌워져 상기 레버축의 선단측이 베어링을 통하여 관통하는 플랜지 부착 커버와, 상기 플랜지 부착 커버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축의 회전이 전도되는 포텐셔미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은,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와 플랜지 부착 커버의 2개의 플랜지를 포개어 일체화한 중복 플랜지부에, 표준 타입의 조작부를 형성하는 박스 본체, 및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가 갖추는 정면 패널 중 어디에도 그대로 나사 고정으로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 유닛에 있어서의 레버축의 회전 규제부는 상기 레버축에 고정된 스토퍼 판과, 이 스토퍼 판에 세워 설치된 작동 핀, 상기 레버축에 부착되어 상기 작동 핀으로 작동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 핀을 갖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텐셔미터에 전동되는 레버축의 회전은 상기 레버축의 선단부에 설치한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에 맞물려 포텐셔미터의 손잡이축에 설치한 종동 기어에 의한 전동 기구를 통하여 전동되도록 했다.
본 발명은 조작부 유닛의 구성 부재인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와 플랜지 부착 커버의 각각의 플랜지를 포개어 일체화한 중복 플랜지부에, 표준 타입용의 조작부를 형성하는 박스 형상 본체의 개구부를 가지는 측벽이나, 또는 구동력으로 짐의 지지와 개방을 하는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프론트 패널 중 어느 하나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을 나사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는 부착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하나의 조작부 유닛을, 표준 타입의 박스 형상 본체에 상기 부착부에서 나사 고정으로 부착하는 것만으로 조작부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프론트 패널에 상기 부착부에서 나사 고정으로 부착하는 것만으로 별체 조작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의 일례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조작부 유닛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조작부 유닛의 우측면도.
도 4는 회전 규제부의 스토퍼 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을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에 적용한 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을 암 기구의 선단측 암으로부터 떨어져서 설치한 별체 조작부에 적용한 예의 사시도.
다음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의 실시형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7에 있어서, 1은 횡방향의 조작 레버(2)를 갖추고, 상기 조작 레버(2)와 직교한 방향의 레버축이다. 상기 레버축(1)은 중량 경감을 위해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 레버(2)를 결합한 측이 테이퍼부(1a)에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1a)의 반대측은 단차부(1b)를 통하여 단차 형성부(1c)에 형성되어 있다. 3은 상기 레버축(1)과 조작 레버(2)의 결합 핀이다. 상기 조작 레버(2)는 그 전체 길이의 약 1/3 정도의 위치에서 레버축(1)에 상기 결합 핀(3)을 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레버축(1)과 조작 레버(2)가 평면시로 대략 T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버축(1)의 단차부(1b)를 포함하는 단차 형성부(1c)의 대직경 부위에는 베어링(4)을 통하여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가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는 상기 베어링(4)이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측의 플레이트부(5a)와 이 플레이트부(5a)의 외주측의 플랜지부(5b)를 갖추고 있다. 5c는 상기 베어링(4)을 플레이트부(5a)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 핀이다.
6은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의 배면측(조작 레버(2)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그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에 배면측으로부터 씌운 플랜지 부착 커버이다. 그 플랜지 부착 커버(6)는, 그 중심에, 상기 레버축(1)의 단차 형성부(1c)의 소직경 부위(1g)를 지탱하는 베어링(7)을 가지는 커버 본체부(6a)와, 그 커버 본체부(6a)의 외주측에 배치된 플랜지부(6b)를 갖춘다.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의 플랜지부(5b)(이하, 제1 플랜지부(5b)라고도 함)와, 상기 플랜지 부착 커버(6)의 플랜지부(6b)(이하, 제2 플랜지부(6b)라고도 함)는 대략 동일한 외경이고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여기에서는 원주 위에 120도 피치의 3개의 결합 나사(8)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9는 상기 제1 플랜지(5b)와 제2 플랜지(6b)를 포개어 결합하는 상기의 각 결합 나사(8)의 중간에, 대략 120도 피치로 상기 제1 플랜지(5b)와 제2 플랜지(6b)를 관통하여 설치한 부착부가 되는 부착 구멍이다.
제1 플랜지부(5b)와 제2 플랜지부(6b)가 3개의 결합 나사(8)에 의해 중복 상태로 결합된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와 플랜지 부착 커버(6)에서 대면하는 플레이트부(5a)와 커버 본체부(6a)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는, 상기 레버축(1)의 단차 형성부(1c)에 있어서의 대직경 부분이 위치 부여되고, 상기 조작 레버(2)(레버축(1))의 회전 규제부(CL)가 상기 단차 형성부(1c)에 장비되어 있다. 다음에 회전 규제부(CL)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 규제부(CL)는 레버축(1)의 단차 형성부(1c)의 대직경 부위에 부착된 스토퍼 판(10)과, 스토퍼 판(10)의 각회전을 멈추는 스토퍼 핀(11)과, 상기 레버축(1)에 장착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레버축(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당해 레버축(1)에 전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스프링력을 지지하는 스프링 핀(13)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을 스토퍼 판(10)에 밀어붙이는 스프링 누름부(14)를 갖추고 있다(도 4 참조). 또한, 도 4의 사시도에 도시된 회전 규제부(CL)는 도 1의 단면도에 도시한 회전 규제부(CL)의 상하 방향의 방향과, 상, 하가 반대로 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CL)의 스토퍼 판(10)은 도 4에 정단면의 모습을 도시했다. 스토퍼 판(10)은 정면에서 본 대략 직사각형의 기판(10a)이 레버축(1)의 단차 형성부(1c)의 키 홈(1d)에 키(10b)에 의해 고정되어 레버축(1)과 일체화되어 있다. 10c는 키(10b)의 누름 나사이다. 도 4에 도시한 스토퍼 판(10)의 하변은 레버축(1)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호 오목 형상의 가이드홈(10d)에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0d)에 들어가는 위치에 스토퍼 핀(11)이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의 플레이트부(5a)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레버축(1)과 일체로 회전하는 스토퍼 판(10)은 그 가이드홈(10d)의 양단부(10e, 10f)가 스토퍼 핀(11)에 부딪칠 때까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그 스프링의 양단측이 다리와 같은 모습이며 링 형상으로 된 비틀림부의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하, 돌출해 있는 부분을 다리 형상 돌출부(12a)라고 부른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그 링 형상부가 레버축(1)의 단차 형성부(1c)에 밖에서 끼워져 있고, 2개의 다리 형상 돌출부(12a)의 사이에, 상기 스토퍼 판(10)에 형성된 가이드홈(10d)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한 스프링 핀(13)이 끼워진 형태로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14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을 스토퍼 판(10)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 누름부이며, 대략 원호 형상의 커버체가 스토퍼 판(10)에 나사(14a)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레버축(1)(조작 레버(2))의 회전 규제부(CL)를 구성하지만,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지금 조작 레버(2)를 손으로 잡고, 레버축(1)을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스토퍼 판(10)의 가이드홈(10d)의 우측 끝(도 4에서는 부호 10e)이 스토퍼 핀(11)에 부딪칠 때까지 허용되고, 그 이상의 시계 방향의 회전은 할 수 없다.
상기의 회전 중에, 레버축(1)에 장치되어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은 그 다리 형상 돌출부(12a)가 스프링 핀(13)에 의해 레버축(1)의 회전 방향으로 밀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을 비틀어 복원력을 부여한다. 비틀림에 의해 코일 스프링(12)에 부여된 복원력은 그 코일 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해 조작 레버(2)에서 손을 떼면 레버축(1)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복귀력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레버축(1)의 반시계 방향에서도, 그 회전이 가이드홈(10d)의 좌측 끝(도 4 참조)이 스토퍼 핀(11)에 부딪칠 때까지 허용된다. 이 회전에 따라 스프링 핀(13)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의 다리 형상 돌출부(12a)를 비틀림 방향으로 밀어 축(1)은 자동 복귀한다.
15는 플랜지 부착 커버(6)의 배면에, 부착대(16)와 부착 스페이서(17)를 통하여 부착한 로터리형의 포텐셔미터이다. 부착대(16)는 부착 스페이서(17)를 구비하고 있고, 포텐셔미터(15)가 부착 비스(17a)에 의해 부착대(16)에 부착되어 있다. 16a는 상기 부착대(16)를 플랜지 부착 커버(6)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비스이다. 상기 포텐셔미터는 회전각에 정확하게 대응한 전기값(저항값 또는 전압값)을 출력하므로, 그 회전을 위해 앞에 기술한 레버축(1)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기구를 갖추고 있다.
전동 기구는 상기 포텐셔미터(15)의 손잡이축(15a)에 부착 비스(15c)에 의해 부착한 피니언 기어(15b)(종동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15b)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기어로서 상기 레버축(1)의 말단부(단차 형성부(1c)에 있어서의 소직경 부위(1g))에 부착 나사(15)에 의해 부착된 구동 기어(1e)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동 기구에 의해, 조작 레버(2)를 손으로 잡고 레버축(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규제부(CL)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정, 역의 각회전을 시키면, 그 회전이 구동 기어(1e)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15b)에 전해지고, 포텐셔미터(15)의 손잡이축(15a)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포텐셔미터(15)의 손잡이축(15a)의 시계 방향의 각회전과 반시계 방향의 각회전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는, 상기 포텐셔미터(15)가 접속되는 서보모터(도시하지 않지만 하중 취급 장치의 들어올림 구동원)의 제어 회로에 대하여,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 방향(매달고 있는 짐의 상승 방향과 강하 방향)과 각 회전 방향에서의 회전수(짐의 상승과 하강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서 이용된다. 18은 포텐셔미터(15)의 3개의 단자에 접속된 리드선을 갖춘 전기 커플러이다.
이상에 설명한 조작 레버(2)를 갖추는 레버축(1)으로부터 부착대(16), 부착 스페이서(17)를 통하여 설치한 포텐셔미터(15)까지의 구성에 의해, 조작부(C)를 유닛화한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의 일례를 형성하므로, 다음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 기술한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와 플랜지 부착 커버(6)에 있어서, 결합 비스(8)에 의해 결합 일체화된 2개의 플랜지부(5b와 6b)에는 일체화한 2개의 플랜지부(5b와 6b)를 관통하는 부착 구멍(9)이 도시한 예에서는 원주 위에 3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구멍(9)은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부착 구멍(9)은,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을, 도 6에 예시하는 팬터그래프형 암 기구에 의한 크레인형의 하중 취급 장치(Ba)의 선단측 암(A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부하부(L)와 일체를 이루는 조작부(C)의 박스 형상 본체(Bm)의 측벽(Ws)에 부착할 때의 부착부로서 기능한다. F는 짐 매달기용의 훅이다.
즉, 상기 박스 형상 본체(Bm)의 측벽(Ws)에, 플랜지 부착 커버(6)의 커버 본체(6a)보다 약간 큰 장착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부착 구멍(9)과 대응하는 위치에 측벽 나사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해 두고, 측벽(Ws)의 상기 장착 구멍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을, 포텐셔미터(15) 측에서 끼워 넣고, 2개의 일체화한 플랜지부(5b, 6b)의 부착 구멍(9)과 상기 측벽 나사 구멍에, 부착용 나사(도시 생략)를 조여 넣음으로써,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을 상기 조작부(C)의 박스 형상 본체(Bm)에 부착할 수 있다.
선단측 암(A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부하부(L)와 일체로, 박스 형상 본체(Bm)의 조작부(C)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가 설치되면, 부하부(L)의 훅(F)에 짐을 매달아 들어올릴 때, 조작자는 잘 쓰는 손으로 조작 레버(2)를 손에 잡고, 타방의 손을 짐에 거들어 당해 짐의 승강을 시킨다고 하는 조작을, 극히 자연스러운 자세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취급하는 짐이 대형이나 이형이면, 그 짐을 상기 훅(F)에 매달았을 때, 짐의 외형이 조작 레버(2)의 조작을 방해하여 원활한 짐의 승강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대형 짐용의 하중 취급 장치(Ba)에서는, 부하부(L)의 조작부(C)와 훅(F) 대신에,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대형의 붙잡기 장치나 척 장치에 의한 파워 부하부(PL)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 타입의 조작부(C)나 훅(F) 대신에 파워 부하부(PL)를 채용하면, 파워 부하부(PL)의 조작이나 제어를 위한 제어부(Cp)가 필요함과 아울러 상기 파워 부하부(PL)를 승강시키기 위한 조작부(C)를 어디에 설치할지가 과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조작 레버(2)와 포텐셔미터(15)를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5)와 플랜지 부착 커버(6)를 통하여 일체화한 형태의 조작부 유닛(CU)을 상기 파워 부하부(PL)에 인접 또는 이간하여 설치되는 제어부(Cp)의 본체가 수용된 제어 박스(케이스)(Bc)의 프론트 패널(Pf)에 부착해서 별체 조작부(Ca)를 형성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도 7은 선단측 암(A1)의 하단부에, 대형 짐을 지지시키기 위해 일례로서 에어 실린더식의 척 장치를 파워 부하부(PL)로서 설치하고, 그 파워 부하부(PL)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p)를 상기 파워 부하부(PL)에 결합한 연결 어태치먼트(At)를 통하여 설치한 예이다. 여기에서는, 제어부 본체가 수납된 케이스(Bc)의 프론트 패널(Pf)에 형성한 부착 구멍에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을 후측부(포텐셔미터(15)측)로부터 넣고, 부착 구멍(9)에 넣은 부착 나사를 상기 프론트 패널(Pf)에 조여 넣어 케이스(Bc)에 부착 별체 조작부(Ca)를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Ch는 붙잡기 척, Ai는 붙잡기 척(Ch)의 구동원인 에어 실린더, Bu는 제어부(Cp)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 버튼이다.
조작원은 상기 제어부(Cp)의 케이스(Bc)의 프론트 패널(Pf)에 배치된 파워 부하부(PL)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나 손잡이 등의 조작 버튼(Bu)을 조작하여 상기 파워 부하부(PL)에 대형 짐을 붙잡게 하거나 놓거나 하는 동작을 시킴과 아울러, 동일한 프론트 패널(Pf)에 형성한 별체 조작부(Ca)에서의 본 발명 조작부 유닛(CU)의 조작 레버(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파워 부하부(PL)의 붙잡기 척(Ch)에 붙잡게 한 대형 짐의 승강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으며, 표준 타입의 조작부의 박스 형상 본체의 측벽이나, 또는 별도 제작한 케이스에 배치되는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의 프론트 패널의 어느 쪽에도 본 발명 제어부 유닛을 부착할 수 있으므로, 1종류의 조작부 유닛으로 표준 타입의 조작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여러 형태의 파워 부하부 때문에 그것들의 제어부도 각각 다른 형태가 되기 때문에, 제어부에 설치되는 조작부도 그때마다 별도 제작되고 있던 대하중 타입용의 별체 조작부를 1종류의 본 발명 조작부 유닛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1 레버축
2 조작 레버
3 부착 핀
4 베어링
5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
6 플랜지 부착 커버
7 베어링
8 결합 비스(나사)
9 부착 구멍
CL 회전 규제부
10 스토퍼 판
11 스토퍼 핀
12 비틀림 코일 스프링
13 스프링 핀
14 스프링 누름부
15 포텐셔미터
16 부착대
17 부착 스페이서
18 전기 커넥터
Ba 하역 취급 장치
A1 선단측 암
L 부하부
C 조작부
Bm 박스 형상 본체
Ws 측벽
F 훅
Ca 별체 조작부
PL 파워 부하부
Cp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
Bc 제어부의 케이스
Pf 케이스의 프론트 패널

Claims (5)

  1.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에 직교한 레버축과, 상기 레버축을 전면으로부터 관통시킨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측에서 상기 레버축의 정, 역회전에 대하여 자기 복귀 작용을 시키는 회전 규제부, 및 상기 레버축의 회전이 전동되는 포텐셔미터를 갖추는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로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의 배면에, 상기 회전 규제부를 사이에 끼고 상기 레버축의 선단측이 관통하는 플랜지 부착 커버를 씌우고,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와 플랜지 부착 커버의 플랜지끼리를 포개어 일체화하고, 일체화한 상기 플랜지 부착 커버의 배면에 상기 포텐셔미터를 부착하고, 또한 일체화한 상기 플랜지에 나사 구멍에 의한 부착부를 설치하여 조작부 유닛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 유닛은, 일체화한 플랜지에 설치한 부착부의 상기 나사 구멍에서, 표준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를 형성하는 박스 형상 본체에 나사 고정하여 사용거나, 또는 중량 타입의 하중 취급 장치의 파워 부하부의 제어부가 갖추는 케이스의 정면 패널에, 상기 부착부의 나사 구멍에서 나사 고정하여 사용하는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에서 일체화된 상기 플랜지 부착 플레이트와 플랜지 부착 커버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회전 규제부는 상기 레버축에 고정 부착된 스토퍼 판과, 이 스토퍼 판에 세워 설치된 스프링 핀과, 상기 레버축에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 핀으로 비틀림 작용을 받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스토퍼 판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 핀을 갖추어 형성되어 있는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에서 포텐셔미터에 전동되는 상기 레버축의 회전은 상기 레버축의 선단부에 설치한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에 맞물려 상기 포텐셔미터의 손잡이축에 설치한 종동 기어에 의한 전동 기구를 통하여 전동되는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4. 삭제
  5. 삭제
KR1020207029812A 2020-02-03 2020-02-03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KR102479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03916 WO2021156911A1 (ja) 2020-02-03 2020-02-03 荷重取扱装置の操作部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56A KR20210102056A (ko) 2021-08-19
KR102479169B1 true KR102479169B1 (ko) 2022-12-20

Family

ID=7719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812A KR102479169B1 (ko) 2020-02-03 2020-02-03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07502B2 (ko)
KR (1) KR102479169B1 (ko)
CN (1) CN113498369A (ko)
WO (1) WO20211569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7590A1 (en) 2009-09-30 2011-03-31 Gianni Plicchi Interface for Actuating a Robotic Manipulator from a Remote Position for Manoeuvring Steerable Catheters in the Human Cardiovascula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376B2 (ko) 1972-06-21 1978-09-20
JPS5539520B2 (ko) * 1972-11-14 1980-10-11
US3948487A (en) 1974-04-11 1976-04-06 Kenro Motoda Control lever mechanism in lifting apparatus
JPS51115356U (ko) * 1975-03-13 1976-09-18
JPS6016977Y2 (ja) 1977-05-16 1985-05-25 元田電子工業株式会社 操作レバ−装置
JPS5593484U (ko) 1978-12-20 1980-06-28
JP2578142B2 (ja) 1987-11-30 1997-0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補助操舵装置
JPH08367B2 (ja) 1988-07-29 1996-01-10 元田電子工業株式会社 荷重取扱装置の操作レバー装置
JPH03288793A (ja) 1990-04-06 1991-12-18 Takenaka Komuten Co Ltd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2578142Y2 (ja) 1992-06-26 1998-08-06 元田電子工業株式会社 荷重取扱装置の操作グリップ
JPH06155323A (ja) * 1992-11-19 1994-06-03 Zojirushi Chain Block Kk レバ−式巻上・牽引機
JPH0745518Y2 (ja) * 1992-12-18 1995-10-18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巻上・牽引機
JPH06336396A (ja) * 1993-05-25 1994-12-06 Hitachi Ltd 手元操作方式可変速型電動巻上機
JPH079371A (ja) * 1993-06-29 1995-01-13 Motoda Electron Co Ltd 慣性制御による荷重取扱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H079372A (ja) * 1993-06-29 1995-01-13 Motoda Electron Co Ltd 協調作業ロボットとその操作制御方法
JPH0761800A (ja) * 1993-08-24 1995-03-07 Motoda Electron Co Ltd 補力装置により空中に支持された荷重を移動させるための操作方法及びそのための操作部
JP2612820B2 (ja) * 1994-05-09 1997-05-21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小形巻上・牽引機
JPH08225297A (ja) 1995-02-20 1996-09-03 Zojirushi Chain Block Kk 作業機の操作装置
JPH10338476A (ja) * 1997-06-05 1998-12-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軽量電動チェーンブロック
CA2295805C (en) * 1997-07-25 2006-05-16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ulti-function control handle
JP3567074B2 (ja) 1998-01-27 2004-09-15 Tcm株式会社 アクセルレバー装置
JP2000047745A (ja) * 1998-07-28 2000-02-18 Komatsu Ltd 制御信号発生装置
KR20010020044A (ko) 1999-08-31 2001-03-15 구자홍 프로젝션 텔레비젼
JP2002169654A (ja) * 2000-11-30 2002-06-14 Seimitsu Kogyo Kk 起倒スティック式指示装置
JP2002249298A (ja) * 2001-02-22 2002-09-03 Vital Kogyo Kk レバー式巻上機
US7401765B2 (en) * 2002-02-06 2008-07-22 Kito Corporation Winching and drawing machine
TWI317345B (en) * 2003-01-14 2009-11-21 Kito Kk Winching and drawing machine
JP4200304B2 (ja) 2003-10-08 2008-12-24 元田技研有限会社 荷重取扱装置の操作グリップ
JP4546747B2 (ja) * 2004-03-05 2010-09-15 元田技研有限会社 負荷部を擬似無慣性制御により水平面内で移動可能にしたバランサー形の荷重取扱装置
JP4494181B2 (ja) * 2004-12-07 2010-06-30 日立建機株式会社 電気式操作装置
JP4669801B2 (ja) 2006-03-14 2011-04-13 元田技研有限会社 無慣性タイプの荷重取扱装置
JP5534805B2 (ja) * 2009-12-28 2014-07-02 株式会社キトー 手動チェーンブロック
JP5889053B2 (ja) * 2012-03-13 2016-03-22 株式会社キトー 補助モータ付き手動巻上機
CN104219987B (zh) * 2012-03-23 2016-10-26 奥林巴斯株式会社 插入装置
JP5867323B2 (ja) * 2012-07-04 2016-02-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ハンドル装置
JP5900202B2 (ja) * 2012-07-10 2016-04-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操作装置
EP3011890A4 (en) * 2013-06-20 2017-03-22 Olympus Corporation Introduction device
CN103332635B (zh) * 2013-07-03 2016-03-23 中科华核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具有自锁功能的手摇提升装置
JP6028125B1 (ja) * 2015-01-09 2016-11-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操作機構および内視鏡
CN206203746U (zh) * 2016-11-18 2017-05-31 厦门理工学院 袋装货物卸货助力装置
JP6730247B2 (ja) * 2017-11-28 2020-07-2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7590A1 (en) 2009-09-30 2011-03-31 Gianni Plicchi Interface for Actuating a Robotic Manipulator from a Remote Position for Manoeuvring Steerable Catheters in the Human Cardiovascula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056A (ko) 2021-08-19
WO2021156911A1 (ja) 2021-08-12
US20230166948A1 (en) 2023-06-01
CN113498369A (zh) 2021-10-12
US11807502B2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246B2 (en) Electric clamp
CA2268959A1 (en) Robot vehicle for hot-line job
US5657964A (en) Electric power tool for driving jack
JP4902581B2 (ja) 複数の使用位置を有する制御コンソール
KR102479169B1 (ko) 하중 취급 장치의 조작부 유닛
IT8147805A1 (it) Perfezionamento degli utensili portatili azionati ad energia.
CN1836852A (zh) 多关节操作杆
US7456828B2 (en) Joystick device
JP7182776B2 (ja) 荷重取扱装置の操作部ユニット
CN111615441B (zh) 带有输入装置的Delta机器人
US11326374B2 (en) Operating arrangement for at least one motor vehicle latch
CN110405799A (zh) 一种多指灵巧机械手
CN114931439B (zh) 手术机器人及保持位姿形态的主手机械臂
US20220181094A1 (en) Switch control device
TW202136144A (zh) 載重處理裝置的操作部單元
WO2022107322A1 (ja) ボタンスイッチ、操作盤、及びボタンスイッチの取外し方法
JP2557345B2 (ja) 電動ドライバ用スイツチ機構
JP4425753B2 (ja) エンジンの操作ユニット
CN215273291U (zh) 主操作手及力反馈设备
CN106169399A (zh) 一种联锁机构、具备该联锁机构的电控设备以及断路器
CN112720441A (zh) 旋转轴模块以及机器人
TW200804703A (en) Valve drive device
CN220232950U (zh) 一种导电系统装置
US20200399807A1 (en) Sewing machine
JP7425683B2 (ja) アタッチメントペダル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