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797B1 -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 Google Patents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797B1
KR102257797B1 KR1020197001493A KR20197001493A KR102257797B1 KR 102257797 B1 KR102257797 B1 KR 102257797B1 KR 1020197001493 A KR1020197001493 A KR 1020197001493A KR 20197001493 A KR20197001493 A KR 20197001493A KR 102257797 B1 KR102257797 B1 KR 10225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uxiliary
spine
wearing tool
butt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825A (ko
Inventor
켄지 사카타
아키노리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비르고 웨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비르고 웨이브 filed Critical 유피아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7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자세교정 효과 및 전굴 보조 효과 모두를 달성하는 보조 슈트(10)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착용 감이 제공되며, 일상 활동에 제한이 적은,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20)가 제공된다. 척추부재는 착용자의 등부위에서 둔부까지 뻗어 있고, 착용자의 등부위를 따라 굴신되고,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판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폭이 다른 판상부재를 포함한다. 판상부재는 길이방향 중앙부의 위쪽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보다 더 좁은 척추부재의 일부, 또는 상기 척추부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위쪽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등부위 견갑골 근처의 폭이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 폭이 더 좁은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자세를 교정하고, 짐을 나르거나 올리고 내리고 할 때 전굴(前屈)운동을 보조하는 보조 슈트 및 상기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의 상체의 나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착용구(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및 짐을 나르거나 올리고 내리고 할 때 전굴운동을 보조하는 착용구(예를 들어, 특허 문헌 2-4 참조)가 기존에 제안되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No. 2001-218779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공보 No. 2002-161414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공보 No. 2011-188896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개공보 No. 2013-144858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착용구는 등 지지부, 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를 포함하고, 좌우 어깨 벨트는 교차되면서 등 지지부의 하부를 통해 뻗은 다음 서로 결합되며 상기 등 지지부의 하부의 2개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결합된 허리 벨트도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자세교정 착용구이다. 자세교정 효과를 높이기 위한 좌우 2개의 판상 피스가 등 지지부의 포켓에 삽입된다.
특허 문헌 2는 착용자의 등 전체를 덮고 있는 백 패드(back pad)를 포함하고 대퇴부의 뒷면으로 뻗어 있는 상체 지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백 패드의 상단부는 어깨 벨트로 상체에 고정된다. 백 패드의 하단부는 좌우 부분으로 분리되며, 상기 좌우 부분은 각각 좌우 대퇴부에 고정된다. 이 장치는 백 패드에 포함된 탄성 원주형 지지부의 반발력을 이용해 전굴운동시 상체를 들어올리게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허 문헌 3,4는 착용자의 전굴운동을 보조하기 위해 신체의 등에서 대퇴부까지 뻗어 있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보조도구를 제안하였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착용구는 상체에만 장착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고 일상 활동에 대한 자극이나 거부감이 훨씬 적다. 그러나, 등 지지부에 삽입되는 2 개의 판상 피스(plate-like pieces)는 착용자의 등에서 허리까지 뻗을 정도로 충분히 길기만 하다. 따라서, 이 도구는 새우등과 같은 나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지만 착용자의 전굴운동을 보조하는 효과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할 수 없다.
대조적으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상체 지지장치는 전굴운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상기 장치는 착용자에게 착용감이 불편하고 백 패드가 착용자의 등 전체를 덮고 있으며 상기 백 패드가 대퇴부의 뒷면까지 뻗어 있음에 따라 신체를 비트는 동작, 신체를 기울이는 동작, 의자에 앉는 동작과 같은 일상 활동에 거부감이 더 크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3 및 4에 개시된 보조 도구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백 패드를 이용한 종래 기술에 비해 착용감은 좋다. 그러나, 특허 문헌 3 및 4에 개시된 보조 도구는 탄성부재가 신체의 등에서 대퇴부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의자에 앉는 동작과 같이 착용자의 일상 활동에 대한 거부감을 여전히 줄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자세교정 효과와 전굴운동 보조 효과 모두를 달성하고, 착용감이 더 좋고, 일상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보조 슈트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등부위 상부에서 둔부까지 뻗어 있는 수직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등부위를 따라 굴신되고, 굴신방향으로 탄성이 있으며, 판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다른 폭들을 갖는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착용자에 장착되는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로서, 상기 판상부재는 상기 척추부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위쪽에 있고, 상기 척추부재에 있는 부위의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 폭이 더 좁은 척추부재내 부위의 일부; 또는 상기 척추부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위쪽에 있고, 착용자의 등부위 견갑골 근처의 폭이 척추부재에 있는 부위의 나머지 부분들에 비해 폭이 더 좁은 척추부재내 부위의 일부를 포함하는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세교정 효과와 전굴운동의 보조 효과 모두를 달성하고, 착용감이 더 좋으며, 일상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더 적은 보조 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보조 슈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배면도)이다.
도 2는 보조 슈트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배면도)이다.
도 3은 보조 슈트의 척추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자가 착용한 보조 슈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배면도, 측면도)이다.
도 5는 착용자가 전굴운동을 할 때 보조 슈트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측면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전굴운동을 할 때의 보조 슈트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측면도)이다.
도 7은 측방향으로 분리된 부분을 갖춘 척추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측방향으로 분리된 부분을 갖춘 척추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돌출부를 구비한 척추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측방향으로 분리된 부분과 돌출부를 모두 갖춘 척추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돌출부가 그루브를 갖춘 척추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돌출부가 그루브를 갖춘 척추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보조 슈트>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를 포함한 보조 슈트를 설명한다.
도 1의 보조 슈트(10)는 착용자의 등부위에 장착되는 등부위 착용구(11)를 포함한다. 등부위 착용구(11)는 착용자의 등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5)를 포함한다. 등부위 착용구(11)는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직물 소재, 편물 소재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부위 착용구(11)는 직물 소재와 신축성 벨트형 부재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5)는 각각 벨트, 버클, 및 표면 체결장치와 같은 결합부재와 함께 길이 조절가능하고 등부위 착용구(11)와 착용자 간에 접촉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등부위 착용구(11)는 착용자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대퇴부로 뻗어 있는 세장형 척추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척추부재(20)는 착용자의 등 부위를 따라 굴신되고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척추부재(20)와 등부위 착용구(11)는 서로 밀착되고 함께 움직인다. 이는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게 하고 착용자의 전굴운동을 보조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보조 슈트(10)는 도 1의 보조 슈트의 구성요소 이외에 착용자의 둔부에 장착되는 둔부 착용구(12)와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장착되는 대퇴부 착용구(13)를 포함한다. 둔부 착용구(12)는 등부위 착용구(11) 및 대퇴부 착용구(13)에 연결된다. 등부위 착용구(11)와 마찬가지로, 둔부 착용구(12)와 대퇴부 착용구(13)는 각각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진 직물 소재, 편물 소재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착용구는 각각 직물 소재와 신축성 벨트형 부재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퇴부 착용구(13)는 착용자의 좌우의 대퇴부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을 가진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주위에서 조임으로써 대퇴부에 고정된다. 상기 대퇴부 착용구(13)는 각각 결합수단을 갖는 벨트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둔부 착용구(12)는 등부위 착용구(11)보다 신축성이 더 큰 부재로 형성된다. 신축성이 큰 부재로 형성된 둔부 착용구(12)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고정된 대퇴부 착용구(13)와 연결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전굴운동을 할 때, 둔부 착용구(12)가 신장 및 수축하여 착용자가 전굴운동시 상체를 올리도록 돕는다.
둔부 착용구(12)는 등부위 착용구(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가능하게 함으로써 둔부 착용구(12)를 형성하는 부재의 신축성의 조절이 용이해진다.
둔부 착용구(12)의 하단은 좌우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좌우 부분은 좌우 대퇴부 착용구(1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척추부재>
도 3을 참조로, 보조 슈트(10)의 척추부재(20)를 설명한다.
본 구성예에서 척추부재(20)는 착용자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둔부로 뻗어 있는 수직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등부위를 따라 굴신되며,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척추부재(20)를 형성하는 부재는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 및 수지 재료 등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부재는 이들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척추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폭이 다른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구성예에서, 척추부재의 길이방향 중앙부보다 위에 위치한 척추부재 부분, 예를 들면, 착용자의 등부위 견갑골 근처의 부분은 나머지 부분들보다 폭이 더 협소하다. 이에 의해 척추부재의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상체의 비틀림 동작을 가능한 한 많이 간섭하지 않도록 척추부재(20)가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슈트 장착>
 도 4는 도 2를 참조로 기술된 보조 슈트(1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보조 슈트(10)가 장착된 상태는 상기 슈트가 둔부 착용구(12)와 대퇴부 착용구(13)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간결히 하기 위해, 도 4의 측면도는 척추부재(20)가 등부위 착용구(11)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척추부재(20)는 등부위 착용구(11)에 밀착되어, 상기 등부위 착용구(11)와 척추부재(20)가 함께 움직인다. 이는 다른 도면에도 적용된다.
도 4의 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슈트(10)의 등부위 착용구(11)는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5)와 함께 착용자(1)의 등부위에 고정된다. 둔부 착용구(12)는 등부위 착용구(11)와 연결되어 착용자(1)의 대퇴부에 고정된 대퇴부 착용구(13)와 연결된다. 또한, 도 4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부재(20)는 착용자(1)의 등부위를 따라 휘어지며, 등부위 착용구(11)는 착용자(1)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둔부까지 뻗어 있는 부위와 밀착된다. 상기 척추부재(20)를 포함한 등부위 착용구(11)를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5)와 함께 착용자(1)의 등부위에 고정시킴으로써 새우등과 같이 착용자(1)의 나쁜 자세가 교정될 수 있다.
둔부 착용구(12)는 등부위 착용구(11)에 연결되어 착용자(1)의 좌우 대퇴부에 고정된 대퇴부 착용구(13)와 연결된다. 대퇴부 착용구(13)는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착용자의 무릎 부위의 상하부를 주위에서 조이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둔부 착용구(12)를 편 상태에서 대퇴부 착용구(13)를 착용자(1)의 대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착용자(1)가 직립 상태에서 미리 둔부 착용구(12)를 편 상태로 유지시켜 둠으로써 착용자(1)가 전굴운동을 할 때 둔부 착용구(12)의 신축력이 높아질 수 있다 .
도 4의 구성에 따르면, 대퇴부 착용구(13)는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형성된다. 그러나, 대퇴부 착용구(13)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벨트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의 무릎 부위의 상하부를 벨트형 부재로 조임으로써 고정된다.
<보조 슈트의 동작>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보조 슈트(10)의 착용자(1)가 전굴운동을 할 때 보조 슈트(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슈트(10)를 장착한 착용자(1)가 전굴운동을 할 때 등부위 착용구(11)는 어깨 벨트(14) 및 허리 벨트(15)와 함께 착용자(1)의 등부위에 고정되고, 따라서 착용자(1)의 전굴운동과 함께 움직인다. 이 때, 착용자(1)의 상체는 착용자(1)의 허리 부위에서 전방으로 굴신되기 때문에, 착용자(1)의 등부위 착용구(11)에 밀착된 척추부재(20)도 또한 착용자(1) 전굴방향을 향해 강제로 굴신된다.
이 경우, 척추부재(20)는 착용자(1)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둔부까지의 부위를 내내 등부위 착용구(11)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력이 굴신방향으로 척추부재(20)에 작용하며, 착용자(1)의 둔부는 기점으로 제공된다. 둔부로부터 시작해 척추부재(20)에 작용하는 이 탄성력은 척추부재(20)와 밀착된 등부위 착용구(11)의 어깨 벨트(14)에 작용하는 힘을 생성하여 앞으로 숙인 착용자(1)가 상체를 올리게 보조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착용자(1)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둔부까지 부위와 밀착된 척추부재(20)는 자세교정 효과와 전굴 보조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척추부재(20)는 착용자(1)의 대퇴부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의자에 앉는 동작과 같이 착용자의 일상 활동에 거부감이 적다.
도 6은 도 2의 보조 슈트(10)을 장착한 착용자(1)가 전굴운동을 할 때 보조 슈트(10)의 동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보조 슈트(10)는 도 1의 보조 슈트의 구성요소 이외에 착용자의 둔부 착용구(12)와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장착된 대퇴부 착용구(13)를 포함한다. 이 둔부 착용구(12)와 대퇴부 착용구(13)를 구비함으로써,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전굴운동 보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둔부 착용구(12)는 착용자(1)의 대퇴부에 고정된 대퇴부 착용구(13)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1)가 전굴운동을 할 때, 둔부 착용구(12)는 대퇴부 착용구(13)를 기점으로 편 상태가 된다. 둔부 착용구(12)가 펴지면, 대퇴부 착용구(13)를 기점으로 둔부 착용구(12)를 수축시키는 힘이 등부위 착용구(11)에 작용하고, 상기 등부위 작용구에는 둔부 착용구(12)가 결합된다. 그 결과, 대퇴부 착용구(13)를 기점으로 하는 둔부 착용구(12)의 신축력이 등부위 착용구(11)의 어깨 벨ㅌ(14)에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켜 앞으로 숙인 착용자(1)가 상체를 올리게 보조한다. 또한, 도 4를 참조로 기술된 바와 같이, 둔부 착용구(12)를 편 상태에서 대퇴부 착용구(13)를 착용자(1)의 대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보조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둔부 착용구(12)는 신축성이 높은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의자에 앉는 동작과 같은 착용자(1) 일상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적다.
도 6의 구성예에 따르면, 대퇴부 착용구(13)는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자의 무릎 부분의 상하부를 주위에서 조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착용자가 전굴운동을 때 대퇴부 착용구(13)가 위로 이동되기 어려워져, 이로써 전굴운동의 보조 효과를 높인다.
등부위 착용구(11)와 대퇴부 착용구(13)에 연결된 둔부 착용구(12)의 신축력에 의해 도 5의 단지 척추부재(20)만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전굴운동 보조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신축성이 높은 대퇴부 착용구(13)는 종래 기술의 탄성부재에 비해 착용자(1) 일상 활동에 대한 거부감이 현격히 낮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슈트는 착용자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대퇴부까지 부위와 밀착되어 있는 척추부재와 함께 착용자의 자세교정 효과 및 전굴운동 보조 효과 모두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둔부 착용구와 대퇴부 착용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대퇴부 착용구에 연결된 둔부 착용구의 신축력에 의해 전굴운동 보조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 다른 척추부재의 구성>
도 3은 척추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폭이 다른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앙부 위에 위치한 척추부재의 일부, 예를 들면, 착용자(1)의 등부위 견갑골 근처의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폭이 더 좁은 구성을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길이방향으로 척추부재(20)의 일부분이 착용자(1)의 척추에 해당하는 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7은 척추부재(20)가 길이방향으로 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부분(30)을 갖는 척추부재(2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측방향으로 분리된 척추부재(20)를 가짐으로써 착용자는 척추부재(20)를 비틀기 쉬어 진다. 이로써 도 2의 구성에 비해 착용자(1)의 상체의 비틀림 동작과 간섭이 덜한 척추부재(2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척추부재(20)는 척추에 해당하는 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척추부재(20)의 탄성력에 있어 힘이 악화될 우려를 할 필요가 없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부분(30)은 착용자(1)의 둔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머지 부분보다 폭이 더 넓도록 착용자(1)의 등부위 상단부에서 둔부까지 뻗어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척추부재(20)가 착용자(1)의 둔부에서 상기 착용자(1)의 척추와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착용감이 더 좋은 보조 슈트를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부재(20)는 착용자(1)의 척추에 해당하는 축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40)를 구비함으로써 척추부재(20)의 폭을 작게 하면서 척추부재(20)의 탄성력이 높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0)가 좌우 측 각각에 필요하지만, 좌우 측 각각에 복수의 돌출부(4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부재(20)는 상기 척추부재(20)를 측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부분(30)과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4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착용감이 더 좋고, 전굴운동에 대한 보조 효과가 더 높은 보조 슈트를 제공할 수 있다.
척추부재(20)의 돌출부(40)는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0)를 교차하고 착용자(1)의 척추 부위 측면에서 외부로 개방된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하며, 착용자(1)의 척추 부위 측면으로부터 척추부재(20)와 밀착되는 제 2 척추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 및 도 10의 구성중 대응하는 하나에 더하여, 돌출부(40)가 외부로 개방된 복수의 그루브(50)를 갖는 제 2 척추부재(60)를 포함하는 척추부재(20)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도 3, 도 7 및 도 10을 참조로 기술된 척추부재(20)의 구성예 각각에 따르면, 척추부재(20)는 판상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척추부재(20)를 형성하는 부재의 탄성력이 착용자(1)의 근력에 비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착용자가 전굴운동 자체를 하기 어려움을 느낄 수 있어 착용감이 나빠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척추부재(20)를 형성하는 부재의 탄성력이 너무 약한 경우, 전굴운동의 보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도 11 및 도 12의 척추부재(20)는 상기와 같은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척추부재의 구성예를 제안한 것이다. 즉, 척추부재(20)의 돌출부(40)는 상기 돌출부(40)를 교차하고 착용자(1)의 등부위 쪽에서 외부로 개방된 복수의 그루브(50)를 갖는다. 이로써 착용자(1)는 전굴운동을 하기 쉬워진다.
돌출부(40)가 그루브(50)를 구비하게 함으로써 척추부재(20)의 탄성력이 약해진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척추부재(20)는 굴신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 제 2 척추부재(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척추부재는 착용자(1)의 등부위 측에서 척추부재와 밀착된다. 이 같은 복수의 척추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착용자(1)의 근력에 따라 척추부재의 탄성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척추부재(60)는 도 11 및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판상 척추부재의 일부를 관통해 펀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1: 착용자
10: 보조 슈트
11: 등부위 착용구
12: 둔부 착용구
13: 대퇴부 착용구
14: 어깨 벨트
15: 허리 벨트
20: 척추부재

Claims (6)

  1. 평면 상에 수직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판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와 일단부와의 사이의 일부분에 있어서, 좌우의 폭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축의 양측에 있어서 하나의 면 상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높이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길이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하였을 때, 그 상하방향에 있어서 일부분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른 축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좌우로 분리되어 있는 부분의 각각에 형성된, 척추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좌우로 분리되어 있는 부분의 간격은 상부보다 하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척추부재.
  4. 착용자의 등부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등부위 착용구, 상기 등부위 착용구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둔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둔부 착용구, 상기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대퇴부 착용구, 상기 둔부 착용구와 연결되어 상기 등부위 착용구를 상기 착용자의 등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어깨 벨트 및 허리 벨트, 및 상기 등부위 착용구와 밀착하여 설치되는 척추부재를 구비하는, 보조 슈트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착용구는, 상기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에 고정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원통형 또는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척추부재는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척추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슈트.
  5. 삭제
  6. 삭제
KR1020197001493A 2016-07-20 2017-07-20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KR1022577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2209A JP6273323B2 (ja) 2016-07-20 2016-07-20 アシストスーツ
JPJP-P-2016-142209 2016-07-20
PCT/JP2017/026265 WO2018016579A1 (ja) 2016-07-20 2017-07-20 アシストスーツ用の背骨部材およびアシストスー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25A KR20190027825A (ko) 2019-03-15
KR102257797B1 true KR102257797B1 (ko) 2021-05-28

Family

ID=6099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493A KR102257797B1 (ko) 2016-07-20 2017-07-20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88828A4 (ko)
JP (1) JP6273323B2 (ko)
KR (1) KR102257797B1 (ko)
CN (1) CN109561978B (ko)
SG (1) SG11201900430VA (ko)
WO (1) WO2018016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4798B1 (ja) * 2017-09-27 2018-05-30 株式会社富樫縫製 アシストスーツ
JP6503115B1 (ja) * 2018-05-29 2019-04-17 株式会社富樫縫製 アシストスーツ
WO2019065658A1 (ja) * 2017-09-27 2019-04-04 株式会社富樫縫製 アシストスーツ
JP6538926B1 (ja) * 2018-05-10 2019-07-03 安島 節子 筋力補助具
JP7395245B2 (ja) * 2018-07-23 2023-12-11 清水建設株式会社 安全機能付きアシストスーツ
JP6650973B2 (ja) * 2018-07-31 2020-02-19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アシストスーツ
JP7316820B2 (ja) * 2019-03-29 2023-07-28 株式会社 Mtg 姿勢補正具
JP7012976B2 (ja) * 2019-07-03 2022-01-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背中支持部材及びサポータースーツ
JP7464242B2 (ja) * 2019-08-27 2024-04-09 モリト株式会社 姿勢矯正用サポータ
JP3224682U (ja) * 2019-09-05 2020-01-16 徳永 正昭 姿勢矯正猫背防止具
KR102245252B1 (ko) * 2019-09-16 2021-04-28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JP6884195B2 (ja) * 2019-11-29 2021-06-09 ユーピーアール株式会社 アシストスーツ
KR102238157B1 (ko) * 2020-02-14 2021-04-09 김찬 척추 교정장치
KR102139734B1 (ko) * 2020-03-24 2020-07-30 주식회사이지무브 이지 파워 슈트
CN111820495A (zh) * 2020-07-21 2020-10-27 黄河科技学院 柔性腰部助力绑带
WO2022191342A1 (ko) * 2021-03-09 2022-09-15 김찬 척추 교정장치
KR102245254B1 (ko) * 2021-03-15 2021-04-27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KR102245253B1 (ko) * 2021-03-15 2021-04-27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근육 보조 의류
EP4368154A1 (de) * 2022-11-14 2024-05-15 Antonio Sassu Rückenorthese
WO2024121926A1 (ja) * 2022-12-06 2024-06-13 株式会社菊池製作所 作業支援スー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241Y1 (ko) 2005-02-14 2005-05-03 류실근 자세 교정 보조구
JP2006255365A (ja) 2005-03-16 2006-09-28 Shozo Hanano 身体用コルセット
JP2012040152A (ja) 2010-08-18 2012-03-01 Shonai Yasuda 脊柱補装具
JP2013144858A (ja) * 2012-01-16 2013-07-25 Hokkaido Research Organization 前屈作業補助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40507A (en) * 1953-04-02 1955-11-16 Randall Henry Hale Improvements in orthopraxis appliances
JPS5930097B2 (ja) * 1976-11-20 1984-07-25 正和 大沢 医療用コルセツト
JPH0648621U (ja) * 1992-12-10 1994-07-05 株式会社コジット 背中の矯正具
US5599286A (en) * 1993-12-22 1997-02-04 Centre De Recherche De L'hopital Ste-Justine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US5619747A (en) * 1995-10-18 1997-04-15 Boisclair; Carole Protective brace for figure skaters
JP2001218779A (ja) * 1999-11-30 2001-08-14 Kyoto Seni Kogyo:Kk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JP3102373U (ja) * 2003-12-19 2004-07-02 生研薬品株式会社 姿勢矯正具
JP3110653U (ja) * 2005-02-24 2005-06-30 株式会社京都繊維工業 上半身用の姿勢矯正装着具
JP2006305290A (ja) * 2005-03-29 2006-11-09 Bc Seisakusho:Kk 姿勢矯正具及びこれに使用するフック及びバックサポート
DE102006043846A1 (de) * 2006-03-14 2007-09-20 Claudia Zours Wirbelsäulenorthesen
EP2200545B1 (en) * 2007-10-17 2013-09-18 Orthomerica Products, Inc. Adjustable posterior spinal orthosis
ITVR20120005A1 (it) * 2012-01-11 2013-07-12 Dainese Spa Dispositivo di protezione personale ed indumento incorporante tale dispositivo.
CN202751476U (zh) * 2012-09-10 2013-02-27 青岛市市立医院 腰背防护支具
JP5210449B1 (ja) * 2012-11-06 2013-06-12 勲 河野 腰曲がり矯正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241Y1 (ko) 2005-02-14 2005-05-03 류실근 자세 교정 보조구
JP2006255365A (ja) 2005-03-16 2006-09-28 Shozo Hanano 身体用コルセット
JP2012040152A (ja) 2010-08-18 2012-03-01 Shonai Yasuda 脊柱補装具
JP2013144858A (ja) * 2012-01-16 2013-07-25 Hokkaido Research Organization 前屈作業補助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0237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900430VA (en) 2019-02-27
JP2018011693A (ja) 2018-01-25
KR20190027825A (ko) 2019-03-15
CN109561978B (zh) 2021-10-19
EP3488828A4 (en) 2020-05-13
JP6273323B2 (ja) 2018-01-31
WO2018016579A1 (ja) 2018-01-25
EP3488828A1 (en) 2019-05-29
CN109561978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97B1 (ko) 보조 슈트용 척추부재 및 보조 슈트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JP6349055B2 (ja) 運動用タイツ
WO2009144877A1 (ja) 骨盤帯
JP6376633B1 (ja) 仙骨押圧具および仙骨押圧ユニット
KR101989880B1 (ko) 유아용 캐리어
JP2013144858A (ja) 前屈作業補助用具
JP7333513B2 (ja) 体幹装具
JP6446529B1 (ja) アシストスーツ
JP2019090132A (ja) 腰用サポーター
JP6412630B2 (ja) アシストスーツ用の背骨部材
JP3178202U (ja) 膝関節痛・腰痛用の緩和ベルト
JP4472577B2 (ja) スパッツ
JP6334647B2 (ja) 運動用タイツ
JP6412621B1 (ja) アシスト機能付き衣類
JP7455311B2 (ja) アシストスーツの腰部装着部
JP7069050B2 (ja) 上半身部用衣類
JP5693758B1 (ja) 臀部保護ベルト及び臀部保護ベルト付き衣類
JP7123461B1 (ja) 骨盤ベルト
JP5659723B2 (ja) 体幹矯正具
KR20230138767A (ko) 탈부착식 무동력 근력보조 슈트
KR20230138763A (ko) 무동력 근력보조 슈트
KR200440398Y1 (ko)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JP2024044952A (ja) 弾性材一体コルセット
JP2023069572A (ja) 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