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98Y1 -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 Google Patents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98Y1
KR200440398Y1 KR2020080003786U KR20080003786U KR200440398Y1 KR 200440398 Y1 KR200440398 Y1 KR 200440398Y1 KR 2020080003786 U KR2020080003786 U KR 2020080003786U KR 20080003786 U KR20080003786 U KR 20080003786U KR 200440398 Y1 KR200440398 Y1 KR 200440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upport belt
belt
strap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림
Original Assignee
김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림 filed Critical 김무림
Priority to KR2020080003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풍환자의 처진 어깨를 들어올려 고정시켜 줌으로써, 어깨가 탈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주는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어깨안착덮개, 어깨걸이띠, 지지띠, 손목받침띠, 체결수단

Description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SHOULDER DISLOCATED PROTECTION APPARATUS FOR PARALYTICS}
본 고안은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풍환자의 처진 어깨를 들어올려 고정시켜 줌으로써, 어깨가 탈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주는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중풍은 뇌혈관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갑작스런 반신마비, 의식장애, 연하곤란, 언어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특히, 중풍환자들은 반신마비로 인해 몸과 일체감이 없어 팔이 마비되고 아래로 처지게 되어, 어깨가 탈골되거나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거동이 매우 불편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중풍환자들을 위한 별도의 어깨 탈골 방지대가 없었기 때문에, 잦은 어깨탈골이나 부자연스러운 거동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하였고, 환자는 물론 환자의 보호자에게도 심각한 고통과 어려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풍환자의 처진 어깨를 들어올려 고정시켜 줌으로써, 어깨가 탈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주는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는 일측 어깨 부위를 감싸 착용되는 어깨안착덮개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되어 가슴 및 등 부분을 대각방향으로 감싸 착용되는 전방어깨걸이띠 및 후방어깨걸이띠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어깨걸이띠와 후방어깨걸이띠의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어깨걸이띠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되어 팔뚝의 전방 및 후방에 밀착 착용되는 전방지지띠 및 후방지지띠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띠와 후방지지띠의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후방지지띠의 단부가 팔꿈치를 감싸 전방지지띠의 단부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서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들어올려 고정시켜 주는 지지띠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의 전방어깨고정띠와 전방지지띠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팔이 받쳐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손목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는 손목받침띠와; 허리부분을 감싸 지지하고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허리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가능하게 착용되되, 옆구리부분에는 상기 전방어깨걸이띠 와 후방어깨걸이띠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체결수단이 마련된 허리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는 중풍환자의 처진 어깨를 들어올려 바른자세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중풍환자의 어깨가 탈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 주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손목받침띠만을 발췌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는 어 깨안착덮개(100), 어깨걸이띠(200), 지지띠(300), 손목받침띠(400) 및 허리고정띠(500)를 포함한다.
상기 어깨안착덮개(100)는 일측 어깨 부위를 감싸 착용되는 데, 이 어깨안착덮개(100)는 중풍환자의 어깨부분에 안착되어 어깨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후술하는 어깨걸이띠, 지지띠, 손목받침띠를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어깨안착덮개(10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땀의 배출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직물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어깨걸이띠(200), 지지띠(300), 손목받침띠(400)도 어깨안착덮개와 동일한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깨걸이띠(200)는 상기 어깨안착덮개(100)에서 연장되어 중풍환자의 가슴 및 등 부분을 대각방향으로 감싸 착용되는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로 구성된다. 즉, 어깨걸이띠(200)는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되어 그 단부가 후술하는 허리고정띠(500)의 옆구리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어깨안착덮개(200)를 어깨에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와 후방어깨걸이띠(220)는 중풍환의 가슴 및 등 부분에 대각방향으로 착용되기 때문에 하중이 분산되어 중압감이 감소되고, 장시간 어깨탈골 방지대를 착용하더라도 피로도가 감소되며, 보다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의 단부에는 체결수단(221,222)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허리고정띠(500)의 옆구리부분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는 중풍환자의 체격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전방어깨걸이띠 및 후방어깨걸이띠의 단부에 마련된 체결수단(221,222)을 허리고정띠의 허리부분에 마련된 체결수단에 결합시킴으로써 중풍환자의 몸에 딱 맞게 착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221,222)은 어깨걸이띠(210,220)를 길이조절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공지의 체결수단이면 어느것 이든 채용되어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일명: 찍찍이)로 마련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냅단추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띠(300)는 상기 어깨안착덮개(100)에서 연장되어 팔뚝의 전방 및 후방에 밀착 착용되는 전방지지띠(310) 및 후방지지띠(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의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후방지지띠(310)의 단부가 팔꿈치를 감싼 후 전방고정띠(310)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서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들어올려 바른자세로 고정시킨다.
즉, 상기 전방지지띠(310)에 의해 팔뚝의 전방이 지지되고, 후방지지띠(320)에 의해 팔뚝의 후방이 지지되어, 중풍환자의 팔을 다방면에서 밀착 지지해 줌으로 써 어깨를 효율적이고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는 체결수단(311,321)을 통해 사용자의 팔 길이 또는 환자의 어깨상태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깨를 효율적이고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311,321)은 지지띠의 길이조절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공지의 체결수단이면 어느것 이든 채용되어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일명: 찍찍이)로 마련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냅단추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의 일부분에는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부(312,3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밴드부(312,322)를 통해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가 어깨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으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어깨에 가해지는 중압감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어깨가 미세하게 유동되면서 지지될 수 있어 장기간 착용에도 어깨의 피로도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띠(310)의 중앙부분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방지지띠(320)의 일부분과 팔뚝을 감싼 후 그 단부가 전방지지띠(31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보조고정띠(3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고정띠(330)는 상기 전방지지띠(310) 및 후방지지띠(320)가 팔뚝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전방지지띠(310) 및 후방지지띠(320)를 감싸 팔뚝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띠의 단부와 전방지지띠에는 보조고정띠가 전방지지띠에 선택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벨크로 또는 스넵단추(331,332)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띠(330)는 전방지지띠(310)에서 연장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후방지지지띠(320)에서 연장 형성되어 전방지지띠(310)의 일부분과 팔뚝을 감싼 후 그 단부가 후방지지띠(320)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목받침띠(400)는 상기 어깨안착덮개(100)의 전방어깨고정띠(210)와 전방지지띠(310)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팔의 하단부가 받쳐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손목부분을 끼워 고정시킨다. 즉, 상기 손목받침띠(400)는 중풍환자의 손목부분을 지지하여 팔꿈치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띠(300)와 함께 팔의 하단부가 수평으로 바른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목받침띠(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부분을 감싼 후, 그 단부가 체결수단(410,420)을 통해 그 내측 중앙부분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팔길이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체결수단(410,420)은 벨크로(일명: 찍찍이)로 마련될 수 있고 스냅단추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허리고정띠(500)는 허리부분을 감싸 착용되어 허리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그리고 허리고정띠(500)의 단부에는 체결부재(510,520)가 마련되어 착용자의 허리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가능하게 착용된다. 또한, 상기 허리고정띠(500)는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데, 즉 허리고정띠(500)의 옆구리부분에는 체결수단(530)이 마련되어,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의 단부에 마련된 체결수단(211,221)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허리고정띠(500)의 옆구리부분에 마련되는 체결수단(530)은 허리고정띠(500)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전방어깨걸이띠 및 후방걸이띠의 단부에 마련되는 체결수단(211,221)이 상기 허리고정띠(500)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걸이띠(220)의 단부가 허리고정띠(5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허리고정띠(500)에 마련되는 체결부재(510,520,530)는 벨크로(일명: 찍찍이)로 마련될 수 있고 스냅단추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고정띠는 공지의 벨트구조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사용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의 단부가 결합되는 체결부재(530)가 옆구리부분에 위치되도록 허리고정띠(500)를 허리부분에 착용한다. 이때, 허리고정띠(500)는 체결부재(510,520)를 통해 길이를 조정하여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중풍환자의 허리사이즈에 맞게 사이즈조절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허리고정띠(500)는 허리를 중심으로 인접한 골근육을 지지시켜 착용자의 허리가 바른자세를 취하도록 자연스럽게 지지한다.
그리고, 어깨안착덮개(100)를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시키고, 전방어깨걸이띠 (210)및 후방어깨걸이띠(220)를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허리고정띠(500)의 허리부분에 마련된 체결부재(530)에 결합 고정한다. 이때, 전방어깨걸이띠(210) 및 후방어깨걸이띠(220)는 그 길이를 조정하여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어깨안착덮개(100)를 사용자의 어깨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를 팔뚝의 전방 및 후방에 밀착시키고, 후방지지띠(320)가 팔꿈치에 깜싸지게 한 후, 후방지지띠(320)의 단부를 상기 전방고정띠(310)의 단부에 결합 고정시킨다. 그러면 지지띠(300)에 의해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들어 올려져 바른자세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띠(310)와 후방지지띠(320)의 일부분에는 탄성밴드부(312,3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지지띠와 후방지지띠가 어깨를 무리하게 가압하지 않고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어깨에 가해지는 중압감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어깨가 미세하게 유동되면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착용에도 어깨의 피로도가 감소된다.
그 다음, 손목받침띠(400)가 팔목부분에 감싸지게 한 후, 사용자의 팔길이에 맞게 손목받침띠의 단부를 손목받침띠의 내측 중앙부분에 마련된 체결부재(410,420)를 통해 결합 고정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는 지지띠를 통해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들어올려 고정시켜 줌으로써 어깨가 탈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띠와 손목받침대를 통해 팔의 하단부를 바른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 주고 허리고정대를 통해 허리부분을 지지해 주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형성되는 어깨걸이띠, 지지띠 및 손목받침띠가 어깨안착덮개를 중심으로 균등한 힘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분할 형성되기 때문에 몸의 균형을 유지하여 바른 자세로 거동할 수 있게 보조해줄 뿐만 아니라 어깨 탈골 방지대가 몸에서 벗겨지지 않고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어깨걸이띠, 지지띠 및 손목받침띠가 사용자의 체격이나 팔길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어깨 탈골 방지대를 사용자의 몸에 딱 맞게 밀착 착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오른쪽 및 왼쪽 에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어깨걸이띠, 지지띠, 손목받침띠 및 허리고정띠에 마련되는 체결수단을 각 부재의 양면에 모두 마련하여 착용 자의 선택에 따라 어깨 탈골 방지대를 뒤집어 착용자의 오른쪽 및 왼쪽에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손목받침띠만을 발췌해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4)

  1. 일측 어깨 부위를 감싸 착용되는 어깨안착덮개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되어 가슴 및 등 부분을 대각방향으로 감싸 착용되는 전방어깨걸이띠 및 후방어깨걸이띠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어깨걸이띠와 후방어깨걸이띠의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는 어깨걸이띠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에서 연장되어 팔뚝의 전방 및 후방에 밀착 착용되는 전방지지띠 및 후방지지띠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지지띠와 후방지지띠의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후방지지띠의 단부가 팔꿈치를 감싸 전방지지띠의 단부에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서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들어올려 고정시켜 주는 지지띠와;
    상기 어깨안착덮개의 전방어깨고정띠와 전방지지띠 사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팔이 받쳐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손목부분이 끼워져 고정되는 손목받침띠와;
    허리부분을 감싸 지지하고 단부에는 체결수단이 마련되어 허리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가능하게 착용되되, 옆구리부분에는 상기 전방어깨걸이띠와 후방어깨걸이띠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도록 체결수단이 마련된 허리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띠와 후방지지띠의 일부분에는 중풍환자의 처진 팔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풍환자용 어깨탈골 방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띠의 중앙부분에는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보조고정띠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고정띠는 상기 전방지지띠 및 후방지지띠가 팔뚝에 밀착 고정되도록 후방지지띠의 일부분과 팔뚝을 감싼 후 그 단부가 전방지지띠에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띠는 팔목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팔받침띠의 단부는 체결수단을 통해 팔받침띠의 내측 중앙부분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KR2020080003786U 2008-03-24 2008-03-24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KR200440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786U KR200440398Y1 (ko) 2008-03-24 2008-03-24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786U KR200440398Y1 (ko) 2008-03-24 2008-03-24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98Y1 true KR200440398Y1 (ko) 2008-06-11

Family

ID=4164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786U KR200440398Y1 (ko) 2008-03-24 2008-03-24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0808B1 (en) Orthopaedic device
JP4840881B2 (ja) 腰用サポータ
US10406014B2 (en) Low-profile, postural corrective garment for therapeutic relief of low back pain and mechanical lumbar disorders
US9044324B2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US200602820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umbar support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CN111700720B (zh) 躯干矫形器
US9827133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N111110481B (zh) 用于移乘器的安全绑带、身体防护结构以及移乘器
KR200448745Y1 (ko) 자세교정용 벨트
JP2008002035A (ja) インナー
US10610400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m and shoulder support
KR102331093B1 (ko)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WO2012168883A1 (en) Strap support device for the correction and prevention of an incorrect shoulder posture
KR20140091257A (ko) 편마비 환자용 상체 지지장치
KR200440398Y1 (ko) 중풍환자용 어깨 탈골방지대
CN113226227A (zh) 姿势矫正器具
RU2142244C1 (ru) Жилет, корректирующий осанку человека
KR20230062581A (ko) 웨어러블 유아용 캐리어(Wearable child carrier)
EP2943167B1 (en) Back support
JP2001104369A (ja) 腰痛治療用ガードル
KR100934156B1 (ko) 아기 포대기
JP3987481B2 (ja) 車椅子用プロテクタ
KR102326818B1 (ko) 어깨 외전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