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818B1 - 어깨 외전 보조기 - Google Patents

어깨 외전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818B1
KR102326818B1 KR1020210035643A KR20210035643A KR102326818B1 KR 102326818 B1 KR102326818 B1 KR 102326818B1 KR 1020210035643 A KR1020210035643 A KR 1020210035643A KR 20210035643 A KR20210035643 A KR 20210035643A KR 102326818 B1 KR102326818 B1 KR 102326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houlder
arm
buckle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갈원국
심우섭
조민
김태환
채수정
안동영
이우승
양희승
Original Assignee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filed Critical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Priority to KR1020210035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37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 A61F5/3715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 A61F5/3723Restraining devices for the body or for body parts, e.g. slings; Restraining shirts for attaching the limbs to other parts of the body for the arms
    • A61F5/3753Abduction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Abstract

어깨 외전 보조기가 개시되며, 상기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 환측 어깨의 팔을 감싸는 팔보호대; 및 상기 필로우를 신체에 결착시키고, 상기 팔보호대를 상기 필로우에 결착시키는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로우는, 상기 필로우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을 향하는 외면이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하측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 제1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Description

어깨 외전 보조기{ABDUCTION BRACE FOR SHOULDER}
본원은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깨관절 부상시에는 부상정도에 따라 석고로 깁스를 하거나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어깨 고정대나 어깨끈으로 팔을 매달아 무게로 인한 팔의 처짐 현상이나 어깨 관절의 아탈구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팔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팔이 몸에 밀착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장기간 고정하게 되면 어깨관절이 굳어지는 관절구축이 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어깨의 외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어깨 외전 보조기에 대한 필요가 있어왔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562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깨의 외전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어깨 외전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 환측 어깨의 팔을 감싸는 팔보호대; 및 상기 필로우를 신체에 결착시키고, 상기 팔보호대를 상기 필로우에 결착시키는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로우는, 상기 필로우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을 향하는 외면이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하측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 제1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필로우의 경사면이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게하는 제1 경사각을 가지므로, 필로우의 경사면에 환측 어깨의 팔이 지지되며 환측 어깨는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외전 각도로 갖는 자세를 가지고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d) 각각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필로우의 정면도, 평면도, 후면도 및 외측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후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f) 각각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외측면도, 전단부의 개략
끈과 외측 D링 부재가 결합된 전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후단부의 개략적인 확대도, 내측면도, 끈과 외측 D링 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전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후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제1 벨트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7의 (a) 내지 (c) 각각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제2 벨트 부재의 개략적인 개념도, 제2 벨트 부재의 일단부의 개략적인 개념도 및 제2 벨트 부재의 타단부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의 팔보호대를 단독으로 착용한 착용자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전방, 전단, 후방, 후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전단,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후단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어깨 외전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외전 보조기(이하 '본 어깨 외전 보조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를 포함한다. 필로우(1)는 신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의 환측 어깨까 신체의 일측 어깨(오른쪽 어깨 또는 왼쪽 어깨)라 하면, 본 어깨 외전 보조기의 착용시, 필로우(1)는 신체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허리 또는 골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팔을 감싸는 팔보호대(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팔보호대(2)는 환측 어깨의 팔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보호대(2)는 팔의 아래팔 부분 또는 팔꿈치 부분을 감쌀수 있다. 이에 따라, 여기서 팔이라 함은 팔의 아래팔 부분 또는 팔꿈치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이를 테면, 팔 보호대는 내부에 팔의 감싸지는 부분이 수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도 5의 (d)를 비교하여 보면, 팔 보호대(2)는 겹치는 한 쌍의 보호부(2a, 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한 쌍의 보호부(2a, 2b)는 하단 및 후단이 제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 보호대(2)는 전단 및 상단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한 쌍의 보호부(2a, 2b) 중 하나에는 끈(291)이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끈(291)이 결합되는 D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보호부(2a, 2b) 중 다른 하나에는 후술할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는 후술할 제2 벨트 부재(3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도,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다른 하나(이를 테면, 외측 D링 부재(29))는 끈(291)과 체결될 수 있다. 끈(291)과 D링 부재(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의 결합에 의해 한 쌍의 보호부(2a, 2b)의 전단의 상단은 서로 탈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목부위를 개방하거나 닫아놓을 수 있다. 또한, 끈(291)의 버클(29)에 대한 체결된 지점의 조절을 통해 한 쌍의 보호부(2a, 2b)의 연결된 부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후단부의 하부는 개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보호대(2)의 착용시 팔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개방)될 수 있다. 또한, 팔보호대(2)의 소재는 통풍 기능이 강화된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팔보호대(2)는 착용자의 팔 사이즈에 따라 복수 개의 타입일 수 있다. 착용자는 복수의 타입 중 본인의 팔 사이즈에 맞는 타입을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를 신체에 결착시키고, 팔보호대(2)를 필로우(1)에 결착시키는 결착부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착부는 후술할 제1 벨트 부재(31), 제1 벨크로부(32), 제2 벨크로부(33), 제2 벨트 부재(#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착부에 의해 필로우(1)는 신체에 결착될 수 있고, 팔보호대(2)는 필로우(1)에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보호대(2)에 의해 팔보호대(2)에 감싸진 팔이 필로우(2)에 지지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팔 아래의 안정적인 고정과 어깨벌림의 외전 각도가 형성되어 보존적 치료 및 수술후 안정상태가 취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필로우(1)는 신체를 향하는 방향인 내측을 향하는 내면에 신체와 맞물리는 함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본 어깨 외전 보조기 착용시, 필로우(1)는 신체의 허리 또는 골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함몰부(11)는 신체의 허리 또는 골반의 일측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본 어깨 외전 보조기 착용시, 필로우(1)는 신체와 맞물려 있을 수 있어, 필로우(1)의 전후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필로우(1)와 신체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고, 필로우(1)의 안정적 배치 상태 유지 및 안정적 팔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및 (c)를 참조하면, 필로우(1)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을 향하는 외면은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하측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다. 또한, 외면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다시 말해, 동일한) 제1 경사각(a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외면은 하측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갖되, 제1 경사각(a1)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동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는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는 제1 미리 설정된 각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면의 제1 경사각(a1)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같은 각도일 수 있는데, 이를 테면,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는 30도 이상이 바람직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30도를 가짐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외면의 제1 경사각(a1)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서, 30도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30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측 어깨의 팔이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외전 각도로 가질 수 있고, 외전 각도를 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로우(1)에 의하면, 어깨 관절의 30도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30도의 외전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필로우(1)의 외면(경사면)은, 환측 어깨의 외회전 각도가 제2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외면에 후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 제2 경사각(a2)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면은 후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갖되, 제2 경사각(a2)은 제2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동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어깨 외전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는 환측 어깨의 외회전 각도는 제2 미리 설정된 각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외면의 제2 경사각(a2)은 제2 미리 설정된 각도와 같은 각도일 수 있는데, 이를 테면, 환측 어깨의 외회전 각도는 15도를 가짐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외면의 제2 경사각(a2)은 제2 미리 설정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서, 1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측 어깨의 팔이 제2 미리 설정된 각도를 외회전 각도로 가질 수 있고, 외회전 각도를 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필로우(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전측 버클(12) 및 후측 버클(13) 각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를 참조하면, 결착부는 일단이 전측 버클(12)에 체결되고 타단이 후측 버클(13)에 체결되며, 필로우(1)와 신체를 사이에 두고 전측 버클(12)로부터 후측 버클(13)로 연장 구비되는 제1 벨트 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벨트 부재(31)는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전측 버클(12) 및 후측 버클(13) 각각과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는 맞물림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부재(31)에는 길이 조절용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벨트 부재(3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제1 벨트 부재(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허리 둘레(또는, 골반 둘레) 사이즈, 필요 등에 맞게 필로우(1)의 장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벨트 부재(31)는 허리 지지 끈 역할을 할 수 있다. 길이 조절용 버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벨트 부재(31)는 가위, 칼 등에 의해 커팅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벨트 부재(31)의 길이 조절 후 필요 없는 부분은 절단하여 제거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d)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결착부는 필로우(1)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벨크로부(32) 및 팔보호대(2)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벨크로부와 벨크로 결합되는 제2 벨크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도 2,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벨크로부(33)가 제1 벨크로부(32)와 벨크로 결합되는 것에 따라, 팔보호대(2)는 필로우(1)에 대하여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1 벨크로부(32)와 제2 벨크로부(33)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필로우(1)와 팔보호대(2)간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벨크로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2 벨크로부(33)는 필로우(1)의 상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의 어디든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2 벨크로부(33)는 팔보호대(2)의 중간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보호대(2)의 중간부에 대한 지지력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착부는 팔보호대(2)를 신체에 결착시키는 제2 벨트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2 벨트 부재(34)는 일단이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팔보호대(2)의 후단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에는 D링 부재(전술한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가 구비될 수 있고, 팔보호대(2)의 후단부에는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 부재(34)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는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의 D링 부재 및 팔보호대(2)의 후단부의 버클 각각과 결합되는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벨트 부재(34)의 일단돠 D링 부재의 결합, 버클에 의한 버클 결합에 의해 제2 벨트 부재(34)는 일단이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팔보호대(2)의 후단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2 벨트 부재(34)의 일단과 D링 부재의 체결은 2 벨트 부재(34)의 일단이 D링 부재에 여러 번 꼬여지거나, 묶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팔 보호대(2)의 전술한 끈(291) 및 제2 벨트 부재(34)의 일단이 벨크로 결합하고, 팔보호대(2)의 후단부에 버클이 구비되며, 제2 벨트 부재(34)의 타단은 팔보호대(2)의 후단부의 버클과 버클 결합되는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 결합과 버클 결합에 의해, 제2 벨트 부재(34)는 일단이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팔보호대(2)의 후단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벨트 부재(34)는 본 어깨 보조기의 착용시,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로부터 건측 어깨의 상측을 지나 팔보호대(2)의 후단부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팔보호대(2)는 건측 어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필로우(2)의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제2 벨트 부재(34)의 방향을 전환하는 D링 부재(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벨트 부재(34)는 팔보호대(2)의 전단부의 상부로부터 필로우(1)의 상면을 내외측 방향으로 가로질러 D링 부재(19)를 통과하여 건측 어깨의 상측을 지나 팔보호대(2)의 후단부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벨트 부재(34)가 D링 부재(19)에 의해 방향 전환되므로, 힘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어, 목 졸림 현상이 방지(통증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필로우(1)의 전방 내측 부위에 구비되는 D링 부재(19)를 통한 힘 방향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2 벨트 부재(34)는 어깨 지지 끈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 부재(34)에는 길이 조절용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벨트 부재(34)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제2 벨트 부재(3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신장 사이즈, 필요 등에 맞게 필로우(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길이 조절용 버클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벨트 부재(34)는 가위, 칼 등에 의해 커팅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벨트 부재(34)의 길이 조절 후 필요 없는 부분은 절단하여 제거 가능하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의 외면(커버)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 팔보호대(2)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 제1 벨트 부재(3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의 재질을 매쉬 소재로 하여 통풍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로우(1) 등은 내구도를 갖도록 두께감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베개)(1)는 팔의 벌림(외전)자세를 만드는데 필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인데, 필로우(1)의 가로 길이(내외측 방향 길이)가 좁을 경우 충분한 벌림(외전)자세가 형성되지 못하며, 대부분의 울트라슬링들은 외관 문제로 인해 직경을 좁게 만들어 기능적 효과가 떨어집니다. 기능적인 자세유지를 위해서는 어깨관절의 벌림(외전)각도가 30도 이상 형성되어야 하며 어깨 외전 보조기에 의하면, 필로우(1)의 제1 경사 각(측면 각도)(a1)를 형성함과 동시에 필로우(1)의 가로 길이를 통해 어깨 벌림(외전) 각도가 30도 이상으로 충분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의 (베개)의 측면(바깥쪽)은 제2 경사각(a2)(15도 경사)을 갖게 함으로써, 환자가 팔을 얹는데 더욱 편하게 디자인되었으며, 수평면상에서 시상면을 기준으로 15도 어깨관절을 외회전시킨 디자인으로 어깨관절 안정에 효과적인 인간공학 및 생체역학적 디자인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역학적 설계 기반한 것으로서, 제1 벨트 부재(31)의 위치 개선을 통해 필로우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어깨 외전 보조기에 의하면, 생체역학적 및 인간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벨트 부재(31)의 일단 및 타단 각각과 연결되는 필로우(1)의 전측 버클(12) 및 후측 버클(13) 각각이 필로우(1)의 상단으로부터 필로우(1)의 상하 길이의 1/3 지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벨트 부재(31)의 연결 위치가 필로우(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상단 1/3 지점에 위치하여 바깥회전모멘트(바깥모멘트)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깥모멘트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 부재(34)는 본 어깨 외전 보조기와 팔의 무게를 현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팔보호대(2)의 후측 버클(후면 버클)(13)에서 시작하여 아프지 않은 쪽(건측) 어깨 위를 지나간 후 필로우의 전방 내측 D링 부재(19)를 통과하여, 필로우 측면에 붙게 되는 팔보호대(2)의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와 연결될 수 있다.
기존 어깨끈(하니스)의 방식과 달리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의 전방 내측 D링 부재(19)를 통해 힘의 방향을 바꿔 제2 벨트 부재(34)로부터 발생되는 목 안쪽부위의 압박을 방지하고 장시간 착용이 가능하다.
팔보호대(2)는 필로우(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환자의 아픈 쪽(환측)의 아래팔이 팔보호대(2) 내부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환자의 팔에 착용될 수 있다. 이때, 기존제품들은 재료의 특성으로 지지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매쉬소재 중 두께감이 높은 재료를 팔보호대(2)의 재료로 선택하여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팔보호대(2)와 필로우(1) 사이는 제1 벨크로부(32)와 제2 벨크로부(33)의 벨크로 결합에 의해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 착용 시 필로우(1)와 팔보호대(2) 전방 부분이 중력으로 인해 아래 방향(하측)으로 돌아가는 바깥회전력이 발생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팔보호대(1) 중간 끈 역할을 하는 제2 벨크로부(33)로 필로우(1)와 팔보호대 간에 지지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필로우(1)의 내외측 방향 두께(길이)직경 때문에 화장실, 차량탑승 등의 상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재활치료를 받을 때, 회복 후 약간의 지지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제2 벨트 부재(34)를 이용한 팔보호대(2)의 단독 사용이 가능하다. 즉,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필로우(1) 제거 후 팔보호대(2)를 단독적으로 암 슬링(Arm Sling) 형태로 단독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제1 벨트 부재(31) 및 제2 벨트 부재(34) 각각은 버클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한 팔로 착탈이 용이하다. 다시 말해, 버클 길이 조절 방식 채택으로 탈부착이 간편하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에 의하면, 착용 중 치료를 위한 팔걸이 개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팔보호대(2)가 사이즈별로 복수개(대/중/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착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Size korea의 통계자료에서 회전근 개 파열 발생이 대다수인 40-60대 남성/여성의 인체치수를 참고한 것에 근거하여, 팔보호대(2)는걸이 사이즈가 대/중/소로 분류되어 신체에 가장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어깨 외전 보조기는 MRI, X-ray 검사 시 사용 가능하다.
또한, 필로우(1)는의 내부에 들어가는 메모리폼을 필로우(1)의 천 커버 속에 삽입할 때, 지퍼방식으로 사용하지 않고, 벨크로 삽입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금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어깨 보조기에 있어서, 전술한 버클들, D링 부재 등은 모두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존 제품들은 금속 D고리와 지퍼를 사용하여 보조기 착용 시 의학적 검사를 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나, 본 어깨 외전 보조기에 의하면, 금속 재료가 없도록 디자인되어 의학적 검사에 효과적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벨트 부재(34)는 통풍성 및 압력 분산을 위한 어깨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벨트 부재(34)는 버클 길이 조절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착용이 편리할수 있다.
또한,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2 벨트 부재(34)는 타단에 버클이 구비되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일단(도 7의 (b) 참조)이 팔보호대(2)의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와 탈거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타단의 버클(도 7의 (c) 참조)이 팔보호대(2)의 후단의 버클 (28)(도 5 참조)과 탈거 가능한 버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2 벨트 부재(34)는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로부터 연장되되 방향 전황용 D링 부재(19)를 통과하며 방향 전환되어 팔보호대(2)의 후단의 버클 (28)(도 5 참조)으로 연장될 수 있다. D링 부재(19)는 본 어깨 외전 보조기를 현가하고 필로우(1)와 팔보호대(2) 사이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어깨끈(하니스)의 문제로서 착용 시 보조기 및 팔의 중력무게가 모두 아프지 않은 쪽(건측) 목 또는 어깨로 지탱하기 때문에 목 통증이 발생됩니다. 반면에, 도 7을 참조하면, 본 어깨 외전 보조기에 의하면 제2 벨트 부재(34)의 어깨 패드가 굴곡이 있는 디자인을 가지므로, 통풍성을 가지고 압력을 분산시키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 부재(34)는 장시간 보조기 착용 시 어깨 끈이 접혀 목 안쪽으로 점점 더 강해지는 국소압박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벨트 부재(34)는 단단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31)는 메쉬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벨트 부재(31)의 외피는 메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벨트 부재(31)에는 허리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허리 패드의 폭은 다른 부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분산 효과 및 착용감 증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부재(31)에는 버클이 구비될 수 있다. 버클에 의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이 편리하고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제1 벨트 부재(31)는 필로우(1)와 팔보호대(2)의 매쉬 소재보다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멍크기가 더욱 큰 매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최대의 통풍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허리 패드에 의해 허리 중간부위 국소부위 압박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전면과 후면에서 측면의 벌림(외전)각도를 형성하여 팔의 벌림(외전)자세를 보조하도록 되어있고, 전후면 상단 1/3 지점에 전측 버클(12) 및 후측 버클(13)이 구비되어 팔의 중력무게로 인한 바깥 회전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경사각(a2) 형성을 위해 전면이 후면보다 넓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경사각(a2)에 의해 팔의 외회전 자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윗면에서 시상면으로부터 15도 외전(제1 경사각(a1) 15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깨관절의 외회전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상면에 제1 벨크로부(32)가 구비되므로, 팔보호대(2)의 제2 벨크로부(33)와 벨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벨크로부(32)가 필로우(1)의 상면 중간 부분에 구비되므로, 제2 벨크로부(33)와의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의 내측면에는 함몰부(11)가 형성되므로, 허리를 감싸기 위한 굴곡 디자인이 형성되어 착용 시 압박이 전면으로 분산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필로우(1)의 내피는 메모리폼일 수 있고, 외피는 매쉬 소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통풍성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도 3의 (d)를 참조하면, 필로우(1)의 외측면에는 팔보호대(2)가 벨크로 결합하도록 전체적으로 벨크로(3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금속 지퍼를 사용하지 않고 벨크로 삽입 방식을 채택하여 메모리 폼을 천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는 착용자의 신체와의 접촉력 향상을 위해 좌/우측을 구분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팔보호대(2) 내부에 환측 팔을 삽입할 경우 팔꿈치부위가 속에서 떠있는 불편함이 발생할 것을 고려하여, 팔꿈치 부위를 개방(25)하여 착용감 및 통풍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2 벨크로부(33)에 의해 필로우(1)와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팔보호대(2)의 전면부에는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이를 테면 내측 D링 부재(27))는 제2 벨트 부재(3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도,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다른 하나(이를 테면, 외측 D링 부재(29))는 팔보호대(2)의 끈(291)과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목부위를 개방하거나 닫아놓을 수 있다. 손목부위를 개방할 수 있다는 것은 재활치료 시 본 어깨 외전 보조기를 모두 탈의 후 치료를 받고 다시 보조기를 착용하는 번거로움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팔보호대(2)의 내측면(내면)에는 전술한 필로우(1)의 외측면의 벨크로(37)와 벨크로 결합하는 벨크로(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필로우(1)의 벨크로(37) 및 팔보호대(2)의 벨크로(26)는 필로우(1)와 팔보호대(2)가 완전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팔보호대(2)의 상부 후단에는 제2 벨트 부재(34)의 타단의 버클과 버클 결합되는 버클(28)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로우(1)를 제거하고 팔보호대(2)를 단독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제2 벨트 부재(34)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버클을 팔보호대(2)의 내측 D링 부재(27) 및 외측 D링 부재(29) 중 하나 및 팔보호대(2)의 후단의 버클(28) 각각과 체결하여 사용가능하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필로우
11: 함몰부
12: 전측 버클
13: 후측 버클
19: D링 부재
2: 팔보호대
25: 개방된 부분
26: 벨크로
27: 내측 D링 부재
28: 후단의 버클
29: 외측 D링 부재
291: 끈
31: 제1 벨트 부재
32: 제1 벨크로부
33: 제2 벨크로부
34: 제2 벨트 부재
37: 벨크로

Claims (7)

  1. 어깨 외전 보조기에 있어서,
    필로우;
    환측 어깨의 팔을 감싸는 팔보호대; 및
    상기 필로우를 신체에 결착시키고, 상기 팔보호대를 상기 필로우에 결착시키는 결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로우는, 상기 필로우의 신체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외측을 향하는 외면이 환측 어깨의 외전 각도가 제1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하측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 제1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고,
    상기 필로우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전측 버클 및 후측 버클 각각이 구비되고,
    상기 결착부는,
    일단이 상기 전측 버클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후측 버클에 체결되며, 신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측 버클로부터 상기 후측 버클로 연장 구비되는 제1 벨트 부재;
    상기 필로우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벨크로부;
    상기 팔보호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크로부와 벨크로 결합되는 제2 벨크로부; 및
    일단이 상기 팔보호대의 전단부의 상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팔보호대의 후단부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팔보호대의 전단부의 상부로부터 건측 어깨의 상측을 지나 상기 팔보호대의 후단부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팔보호대를 신체에 결착시키는 제2 벨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로우의 상면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2 벨트 부재의 방향을 전환하는 D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D링 부재는 방향 전환용으로서, 상기 D링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벨트 부재는, 상기 팔보호대의 전단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필로우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기 D링 부재를 통과하여 방향 전환되어 상기 건측 어깨의 상측을 지나 상기 팔보호대의 후단부로 연장 구비되는 것인, 어깨 외전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의 상기 외면은, 환측 어깨의 외회전 각도가 제2 미리 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후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각도와 대응되는 제2 경사각을 갖는 것인, 어깨 외전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로우는, 신체를 향하는 방향인 내측을 향하는 내면에 신체와 맞물리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인, 어깨 외전 보조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35643A 2021-03-19 2021-03-19 어깨 외전 보조기 KR10232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43A KR102326818B1 (ko) 2021-03-19 2021-03-19 어깨 외전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643A KR102326818B1 (ko) 2021-03-19 2021-03-19 어깨 외전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818B1 true KR102326818B1 (ko) 2021-11-17

Family

ID=7870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643A KR102326818B1 (ko) 2021-03-19 2021-03-19 어깨 외전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8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99U (ko) * 1997-04-30 1998-11-25 김영옥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KR200375248Y1 (ko) *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100099813A (ko) * 2009-03-04 2010-09-15 류실근 견관절 고정을 위한 견관절 고정보조기구의 멜빵 장착지지구
KR101666206B1 (ko) * 2015-11-27 2016-10-14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어깨관절 외전보조기
KR20170085380A (ko) * 2016-01-14 2017-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20170085379A (ko) * 2016-01-14 2017-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20190054632A (ko) * 2017-11-14 2019-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형상조절형 슬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999U (ko) * 1997-04-30 1998-11-25 김영옥 어깨 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
KR200375248Y1 (ko) * 2004-11-16 2005-02-07 최창혁 어깨관절 외전보조용 팔걸이부재
KR20100099813A (ko) * 2009-03-04 2010-09-15 류실근 견관절 고정을 위한 견관절 고정보조기구의 멜빵 장착지지구
KR101666206B1 (ko) * 2015-11-27 2016-10-14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어깨관절 외전보조기
KR20170085380A (ko) * 2016-01-14 2017-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20170085379A (ko) * 2016-01-14 2017-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어깨 보조기
KR20190054632A (ko) * 2017-11-14 2019-05-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형상조절형 슬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602B2 (en) Device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and/or snoring
US5692246A (en) Chest pillow chest protector
US10398585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JPH04502721A (ja) 睡眠マスク及び支持枕
US6918885B2 (en) Vest having arm sling
US20150038891A1 (en) Protective sheath
JP6342163B2 (ja) 子守帯
US11638656B2 (en) Shoulder and arm restraint
US5116306A (en) Adjustable clavicle strap and orthotic device using same
US20080015479A1 (en) Sling design
US6435185B1 (en) Travelers' comfort—wearable arm support
US6719712B2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US7179241B2 (en) Protective sling
US20100121237A1 (en) Arm sling and decorative sling jacket
US20080119770A1 (en) Sling for supporting an arm
KR20100068410A (ko) 조절가능한 등 지지 장치
KR102331093B1 (ko) X자형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KR102326818B1 (ko) 어깨 외전 보조기
US4895142A (en) Arm sling
US5263496A (en) Patient support pad for easing pain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101955475B1 (ko) 완충 어깨 벨트를 가지는 힙 시트 캐리어
US20070043311A1 (en) Sling assembly for supporting an arm of a user
KR101955476B1 (ko) 완충 패드를 구비한 힙 시트 캐리어
US4484572A (en) Position 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